[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2311B1 -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311B1
KR101902311B1 KR1020180046202A KR20180046202A KR101902311B1 KR 101902311 B1 KR101902311 B1 KR 101902311B1 KR 1020180046202 A KR1020180046202 A KR 1020180046202A KR 20180046202 A KR20180046202 A KR 20180046202A KR 101902311 B1 KR101902311 B1 KR 101902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racket
vehicle frame
vehicle
airba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주원
박은찬
Original Assignee
(주)에스모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모터스 filed Critical (주)에스모터스
Priority to KR1020180046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3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6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1Fluid actuator
    • B60G2202/416Fluid actuator using a pump, e.g. in the line connecting the lower chamber to the upper chamber of th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은,
차량 좌우측 각각에 상하로 배치된 4개의 링크와, 차량 좌우로 폭 방향으로 배치된 1개의 링크인, 총 5개의 링크로 구성된 링크부;
차량 프레임의 원래부터 있었던 구멍에 볼트로 체결되어, 차량 프레임의 손상 없이 차량에 상기 링크부를 설치해 주는 브라켓부;
상기 브라켓부에 설치된 제1에어백, 제2에어백, 상기 제1에어백 및 상기 제2에어백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탱크와, 상기 공기탱크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와, 상기 공기탱크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에어백부;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차량 프레임에 설치된 스테빌라이저바; 및
상기 차량 프레임에 설치된 쇼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SYSTEM FOR IMPROVING VEHICLE RIDING COMFORT}
본 발명은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2000-0019209)에는, 자동차 차체에 부착된 행거에 고정되는 판스프링과, 판스프링의 행거의 반대쪽에 고정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의 에어백으로 구성된 자동차 서스펜션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차 서스펜션은, 종래 에어 서스펜션에 판스프링과 연결봉을 추가함으로써, 고르지 못한 지면에 의해 차축에 과도하게 걸리던 차체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하고, 곡선로에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차축의 부시에 걸리는 측 하중을 완화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차체와 바퀴가 서로 간섭하지 않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에어백이 파손되어 차체가 내려앉더라도 자동차는 계속 운행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를 가진, 판스프링 및 에어백으로 구성된 자동차 서스펜션은 이제 일반화되어 있고, 이러한 자동차 서스펜션이 제공하는 승차감 역시 탑승자에게 이미 익숙해져 있다.
따라서, 차량이 점점 고급화 되고, 탑승자의 승차감 요구 역시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종래 자동차 서스펜션 보다 더 우수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2000-0019209)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기존 차량의 구조변경 없이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은,
차량 좌우측 각각에 상하로 배치된 4개의 링크와, 차량 좌우로 폭 방향으로 배치된 1개의 링크인, 총 5개의 링크로 구성된 링크부;
차량 프레임의 원래부터 있었던 구멍에 볼트로 체결되어, 차량 프레임의 손상 없이 차량에 상기 링크부를 설치해 주는 브라켓부;
상기 브라켓부에 설치된 제1에어백, 제2에어백, 상기 제1에어백 및 상기 제2에어백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탱크와, 상기 공기탱크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와, 상기 공기탱크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에어백부;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차량 프레임에 설치된 스테빌라이저바; 및
상기 차량 프레임에 설치된 쇼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은, 차량 좌우측에 상하로 배치된 4개의 링크와, 차량 후측 좌우 폭 방향으로 배치된 1개의 링크인, 총 5개의 링크로 구성된 링크부를 가지고 있다. 총 5개의 링크는 자체적으로 휘면서 차량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을 1차적으로 잡아주고, 브라켓부와 끝단이 연결되어, 브라켓부와 결합된 제1에어백 및 제2에어백으로 진동을 신속하게 전달하여, 제1에어백, 제2에어백이 진동을 신속하게 잡아주게 만든다. 더하여, 스테빌라이저바, 쇼바(shock absorber) 역시 진동을 신속하게 잡아준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하면, 탑승자가 기존 판스프링 또는/및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의 높은 승차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은, 차량 프레임의 손상 없이 링크부를 차량 프레임에 설치해주는 브라켓부를 가진다. 이러한 브라켓부로 인해, 새로운 개념의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을, 기존 차량의 구조 변경 없이도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총 5개의 링크의 재질을 동일하거나 다르게 하여, 링크의 진동 흡수력과 진동전달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어백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차체와 지면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공기탱크와 공기펌프를 구비하며, 공기펌프가 공기탱크에 공기를 공급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쿠션으로 잡아준다. 이로 인해, 공기펌프 작동으로 인한 작은 진동까지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막아주어, 탑승자가 느끼는 승차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이 차량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를 위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의 아래에서 위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을 앞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을 뒤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을 좌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을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제8브라켓이 차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4브라켓과 제8브라켓이 서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4브라켓, 제8브라켓, 제9브라켓, 제10브라켓이 서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제5브라켓, 제2에어백이 서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1)은, 원래 있던 차량 프레임(F)을 전혀 손상하지 않고, 차량 프레임(F)에 원래부터 있던 구멍을 그대로 사용하여 설치된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축(X)은 디퍼렌션 기어박스(G)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된다. 차축(X)의 내부에 샤프트(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샤프트는 바퀴와 연결된다. 엔진(미도시)의 동력은 변속기(미도시)와 드라이브 샤프트(미도시) 거쳐 디퍼렌셜 기어박스(G)로 전달된다. 디퍼렌셜 기어박스(G)에서 차축(X) 속 샤프트(미도시)를 통해 엔진의 동력이 바퀴로 최종 전달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1)은,
링크부(110,120,130), 브라켓부(210,220,230,240,250,260,270,280,290,300), 에어백부(31,32,33,34,35,36,37), 스테빌라이저바(40), 쇼바(5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110,120,130)는 차량 좌우측에 상하로 배치된 4개의 링크(110,120)와 차량 후측 좌우 폭 방향으로 배치된 1개의 링크(130)인, 총 5개의 링크로 구성된다.
링크부(110,120,130)는 제1링크(110), 제2링크(120), 제3링크(130)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110)는 차량 프레임(F) 좌측에 길이방향으로 위치된다. 제1링크(110)는 제1-1링크(111), 제1-2링크(112)로 구성된다. 제1-1링크(111)와 제1-2링크(112)는 아래위로 배치된다. 제1-1링크(111), 제1-2링크(112)은 강으로 만들어진다. 한편, 제1-1링크(111), 제1-2링크(112)의 재질을 서로 달리하여, 진동흡수력과 진동전달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1링크(111)는 탄소복합재로 만들고 제1-2링크(112)는 강으로 만들거나, 제1-1링크(111)는 강으로 만들고 제1-2링크(112)는 탄소복합재로 만들어 진동흡수력과 진동전달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크(120)는 차량 프레임(F) 우측에 길이방향으로 위치된다. 제2링크(120)는 제2-1링크(121), 제2-2링크(122)로 구성된다. 제2-1링크(121)와 제2-2링크(122)는 아래위로 배치된다. 제2-1링크(121), 제2-2링크(122)는 강(steel)으로 만들어진다. 한편, 제2-1링크(121), 제2-2링크(122)의 재질을 서로 달리하여, 진동흡수력과 진동전달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1링크(121)는 탄소복합재로 만들고 제2-2링크(122)는 강으로 만들거나, 제2-1링크(121)는 강으로 만들고 제2-2링크(122)는 탄소복합재로 만들어 진동흡수력과 진동전달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링크(130)는 차량 프레임(F) 폭 방향으로 위치된다. 제3링크(130)는 강으로 만들어진다. 한편, 제3링크(130)을 탄소복합재로 만들어 진동흡수력과 진동전달력을 바꿀 수도 있다.
한편, 총 5개 링크(111,112,121,122,130)의 재질을 제각각 달리하여, 진동흡수력과 진동전달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브라켓부(210,220,230,240,250,260,270,280,290,300)는 차량 프레임(F)에 원래부터 뚫려 있던 구멍에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차량 프레임(F)에 링크부(110,120,130)를 설치할 수 있게 만든다.
물론, 차량의 종류에 따라, 차량 프레임(F)에 원래부터 뚫려 있던 구멍의 개수와 위치가 달라질 수 있어, 차량 프레임(F)의 구멍이 개수와 위치에 맞게, 차량 프레임(F)에 브라켓부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가 통과하는, 브라켓부의 구멍의 개수와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브라켓부(210,220,230,240,250,260,270,280,290,300)는 제1브라켓(210), 제2브라켓(220), 제3브라켓(230), 제4브라켓(240), 제5브라켓(250), 제6브라켓(260), 제7브라켓(270), 제8브라켓(280), 제9브라켓(290), 제10브라켓(300)으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210)은 차량 프레임(F) 전방 좌측에 설치된다. 제1브라켓(210)은 측면에서 볼 때 V자 형상을 가진다.
제1브라켓(210)을 V자면, 제1브라켓(210)의 전단을 차량 프레임(F)에 장착한 상태에서, 제1브라켓(210)의 뒤쪽 길이를 조절하여, 제1-1링크(111)와 제1-2링크(112)의 아래위로 배치간격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제1-1링크(111)와 제1-2링크(112)의 아래위로 배치간격을 조절하면, 제1-1링크(111)와 제1-2링크(112)의 진동흡수력과 진동전달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1브라켓(210)에는 무게를 줄이기 위한 복수개의 구멍이 뚫린다. 제1브라켓(210)의 전면은 T자형이며, 제1브라켓(210)의 전면은 차량 프레임(F)에 볼트와 너트로 고정된다. 이때, 차량 프레임(F)에 이미 뚫어진 구멍을 그대로 활용하므로, 차량 프레임(F)에 별도의 볼트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다.
제1브라켓(210)의 후측으로 제1-1링크(111)과 제1-2링크(112)의 전단이 삽입된다. 이를 위해, 제1브라켓(210)의 후측은 가운데가 빈 플랜지 형태를 가진다.
제1브라켓(210)의 후측 아래 좌우측면에는, 제1-1링크(111)의 전단이 연결되는 제1구멍(211)이 뚫린다. 제1-1링크(111)의 전단에는 부싱(bushing)이 끼워지고, 부싱은 제1구멍(211)과 볼트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1-1링크(111)의 전단이 회전 가능해진다.
제1브라켓(210)의 후측 위 좌우측면 제1구멍(211) 위에는, 제1-2링크(112)의 전단이 연결되는 제2구멍(212)이 뚫린다. 제1-2링크(112)의 전단에는 부싱이 끼워지고, 부싱은 제2구멍(212)과 볼트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1-2링크(112)의 전단이 회전 가능해진다.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라켓(220)은 차량 프레임(F) 전방 우측에 설치된다. 제2브라켓(220)은 측면에서 볼 때 V자 형상을 가진다.
제2브라켓(220)을 V자면, 제2브라켓(220)의 전단을 차량 프레임(F)에 장착한 상태에서, 제2브라켓(220)의 뒤쪽 길이를 조절하여, 제2-1링크(121)와 제2-2링크(122)의 아래위로 배치간격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제2-1링크(121)와 제2-2링크(122)의 아래위로 배치간격을 조절하면, 제2-1링크(121)와 제2-2링크(212)의 진동흡수력과 진동전달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2브라켓(220)에는 무게를 줄이기 위한 복수개의 구멍이 뚫린다. 제2브라켓(220)의 전면은 T자형이며, 제2브라켓(220)의 전면은 차량 프레임(F)에 볼트와 너트로 고정된다. 이때, 차량 프레임(F)에 이미 뚫어진 구멍을 그대로 활용하므로, 차량 프레임(F)에 별도의 볼트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다.
제2브라켓(220)의 후측으로 제2-1링크(121)과 제2-2링크(122)의 전단이 삽입된다. 이를 위해, 제2브라켓(220)의 후측은 가운데가 빈 플랜지 형태를 가진다.
제2브라켓(220)의 후측 아래 좌우측면에는, 제2-1링크(121)의 전단이 연결되는 제1구멍(221)이 뚫린다. 제2-1링크(121)의 전단에는 부싱이 끼워지고, 부싱은 제1구멍(221)과 볼트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2-1링크(121)의 전단이 회전 가능해진다.
제2브라켓(220)의 후측 위 좌우측면 제1구멍(221) 위에는, 제2-1링크(121)의 전단이 연결되는 제2구멍(222)이 뚫린다. 제2-1링크(122)의 전단에는 부싱이 끼워지고, 부싱은 제2구멍(222)과 볼트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2-1링크(121)의 전단이 회전 가능해진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브라켓(230)은 차량 프레임(F) 후방 좌측에 설치된다. 제3브라켓(230)은 제3-1브라켓(231)과 제3-2브라켓(232)으로 구성된다. 제3-1브라켓(231)과 제3-2브라켓(232)은 아래위로 배치된다.
제3-1브라켓(231)에 제1-1링크(111)의 후단이 삽입된다. 이를 위해, 제3-1브라켓(231)은 가운데가 빈 플랜지 형태를 가진다. 제3-1브라켓(231)의 좌우측면에는, 제1-1링크(111)의 후단이 연결되는 구멍(231a)이 뚫린다. 제1-1링크(111)의 후단에는 부싱이 끼워지고, 부싱은 구멍(231a)과 볼트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1-1링크(111)의 후단이 회전 가능해진다.
제3-2브라켓(232)에 제1-2링크(112)의 후단이 삽입된다. 이를 위해, 제3-2브라켓(232)은 가운데가 빈 플랜지 형태를 가진다. 제3-2브라켓(232)의 좌우측면에는, 제1-2링크(112)의 후단이 연결되는 구멍(232a)이 뚫린다. 제1-2링크(112)의 후단에는 부싱이 끼워지고, 부싱은 구멍(232a)과 볼트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1-2링크(112)의 후단이 회전 가능해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브라켓(240)은 차량 프레임(F) 후방 우측에 설치된다. 제4브라켓(240)은 제4-1브라켓(241)과 제4-2브라켓(242)으로 구성된다. 제4-1브라켓(241)과 제4-2브라켓(242)은 아래위로 배치된다.
제4-1브라켓(241)에 제2-1링크(121)의 후단이 삽입된다. 이를 위해, 제4-1브라켓(241)은 가운데가 빈 플랜지 형태를 가진다. 제4-1브라켓(241)의 좌우측면에는, 제2-1링크(121)의 후단이 연결되는 구멍(241a)이 뚫린다. 제2-1링크(121)의 후단에는 부싱이 끼워지고, 부싱은 구멍(241a)과 볼트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2-1링크(121)의 후단이 회전 가능해진다.
제4-2브라켓(242)에 제2-2링크(122)의 후단이 삽입된다. 이를 위해, 제4-2브라켓(242)은 가운데가 빈 플랜지 형태를 가진다. 제4-2브라켓(242)의 좌우측면에는, 제2-2링크(122)의 후단이 연결되는 구멍(242a)이 뚫린다. 제2-2링크(122)의 후단에는 부싱이 끼워지고, 부싱은 구멍(242a)과 볼트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2-2링크(122)의 후단이 회전 가능해진다.
도 3, 도 4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브라켓(250)은 차량 프레임(F) 후방에 폭방향으로 설치된다. 제5브라켓(250)의 하면에는 제3링크(130)의 일단이 연결되는 플랜지(251)가 구비된다. 플랜지(251)의 좌우측면에는, 제3링크(130)의 일단이 연결되는 구멍(251a)이 뚫린다. 제3링크(130)의 일단에는 부싱이 끼워지고, 부싱은 구멍(251a)과 볼트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3링크(13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해진다. 제5브라켓(250)의 하면 좌측에는 제1에어백(31)의 상단이 연결되고, 제5브라켓(250)의 하면 우측에는 제2에어백(32)의 상단이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브라켓(260)은 디퍼렌셜 기어박스(G) 앞쪽 차량 프레임(F)에 설치된다. 제6브라켓(260)은 스테빌라이저바(40)를 지지하며, 제6브라켓(260)의 하면에는 스테빌라이저바(40)의 양 측을 고정하는 체결띠(41)가 연결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브라켓(270)은 차축(X) 좌측 상하면에 설치된다. 제7브라켓(270)은 차축(X)을 손상하지 않고 제3브라켓(230)을 차축(X)에 설치할 수 있게 해준다.
제7브라켓(270)은 제7-1브라켓(271), 제7-2브라켓(272)으로 구성된다.
제7-1브라켓(271)과 제7-2브라켓(272)는 차축(X)을 사이에 두고 아래위로 배치된다.
제7-1브라켓(271)의 상면은 차축(X)에 볼트로 고정된다. 이때, 차축(X)에 이미 뚫어진 구멍을 그대로 활용하므로, 차축(X)에 별도의 볼트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다. 제7-1브라켓(271)의 하면에 제3-1브라켓(231)이 볼트로 체결된다.
제7-2브라켓(272)은 하면은 차축(X)에 볼트로 고정된다. 이때, 차축(X)에 이미 뚫어진 구멍을 그대로 활용하므로, 차축(X)에 별도의 볼트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다. 제7-2브라켓(272)의 하면에 제3-2브라켓(232)이 볼트로 체결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브라켓(280)은 차축(X) 우측 상하면에 설치된다.
제8브라켓(280)은 차축(X)을 손상하지 않고 제4브라켓(240)을 차축(X)에 설치할 수 있게 해준다.
제8브라켓(280)은 제8-1브라켓(281), 제8-2브라켓(282)으로 구성된다.
제8-1브라켓(281)과 제8-2브라켓(282)는 차축(X)을 사이에 두고 아래위로 배치된다.
제8-1브라켓(281)의 상면은 차축(X)에 볼트로 고정된다. 이때, 차축(X)에 이미 뚫어진 구멍을 그대로 활용하므로, 차축(X)에 별도의 볼트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다. 제8-1브라켓(281)의 하면에 제4-1브라켓(241)이 볼트로 체결된다.
제8-2브라켓(282)의 하면은 차축(X)에 볼트로 고정된다. 이때, 차축(X)에 이미 뚫어진 구멍을 그대로 활용하므로, 차축(X)에 별도의 볼트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다. 제8-2브라켓(272)의 하면에 제4-2브라켓(242)이 볼트로 체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9브라켓(290)은 차축(X)의 후면 좌우측에 위치된다.
제9브라켓(290)은 제9-1브라켓(291), 제9-2브라켓(292)으로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9-1브라켓(291)은 차축(X)의 후면 좌측에 위치된다. 제9-1브라켓(291)의 바닥면에는 제1에어백(31)의 하단이 연결된다. 제9-1브라켓(291)의 후면은, 제3-1브라켓(231)의 후면 및 제3-2브라켓(232)의 후면 및 제7-1브라켓(271)의 후면에 볼트로 체결된다.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9-2브라켓(292)은 차축(X)의 후면 우측에 위치된다. 제9-2브라켓(292)의 바닥면에는 제2에어백(32)의 하단이 연결된다. 제9-2브라켓(292)의 후면은, 제4-1브라켓(241)의 후면 및 제4-2브라켓(242)의 후면 및 제8-1브라켓(281)의 후면에 볼트로 체결된다.
도 10,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0브라켓(300)은 차축(X)의 후면과 제9-2브라켓(292)에 설치된다.
제10브라켓(300)의 전면에는 3개의 구멍(311,312,313)이 일렬로 수직선상으로 구비된다. 가운데 구멍(312)에 제3링크(130)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볼트는 위아래 구멍(311,313)을 통과하여, 제10브라켓(300)을 차축(X)에 체결한다. 이때, 차축(X)에 이미 뚫어진 구멍을 그대로 활용하므로, 차축(X)에 별도의 볼트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다. 제10브라켓(300)의 측면은 제9-2브라켓(291)의 측면과 볼트로 체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부(31,32,33,34,35,36,37)는, 제1에어백(31), 제2에어백(32), 공기탱크(33), 공기펌프(34), 쿠션(35), 위치센서(36), 제어부(37)로 구성된다.
제1에어백(31)의 하단은 제9-1브라켓(291)의 바닥면에 연결되고, 상단은 제5브라켓(250)의 하면 좌측에 연결된다. 제1에어백(31)은 차량에 처음부터 달려 있던 것을 위치만 변경하여 재활용한다. 이로 인해,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의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다.
제2에어백(32)의 하단은 제9-2브라켓(292)의 바닥면에 연결되고, 상단은 제5브라켓(250)의 하면 우측에 연결된다. 제2에어백(32)은 차량에 처음부터 달려 있던 것을 위치만 변경하여 재활용한다. 이로 인해,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의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다.
공기탱크(33)는 제1에어백(31) 및 제2에어백(32)에 공기를 공급한다. 공기펌프(34)는 공기탱크(33)에 공기를 공급한다.
쿠션(35)은 공기펌프(34)가 공기탱크(33)에 공기를 공급할 때 생기는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지 못하게 막아준다. 3개의 쿠션(35)이 공기펌프(34)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된다. 쿠션(35)은 고무재질을 가진다. 이러한 쿠션(35)으로 인해, 공기펌프(34)에서 발생하는 작은 진동까지도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위치센서(35)는 제1-1링크(111)와 제1-2링크(112) 사이에 설치된다. 위치센서(35)는 제1-1링크(111)와 제1-2링크(112)의 사이 간격을 측정한다.
제어부(37)는 위치센서(35)로부터 측정된 값을 받아, 제1에어백(31) 및 제2에어백(32)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제1-1링크(111)와 제1-2링크(112)의 사이 간격을 설정된 간격으로 맞춘다.
이러한 방식으로, 탑승자가 늘어나 차체가 지면으로 내려앉을 때, 제1에어백(31) 및 제2에어백(32)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늘려, 차체를 올려, 차체와 지면의 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스테빌라이저바(40)는 차량의 좌우 진동을 막아 수평을 유지한다. 스테빌라이저바(40)의 양쪽은 제6브라켓(260)의 하면에 브라켓으로 고정된다. 스테빌라이저바(40)의 양 끝단은 차량 프레임(F)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테빌라이저바(40)는 차량에 처음부터 달려 있던 것을 제6브라켓(260)을 사용하여 위치만 변경하여 재활용한다. 이로 인해,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의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쇼바(50)는 차량 스프링의 진동을 억제하여 안전성과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쇼바(50)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차축(X)과 차량 프레임(F)에 연결된다. 쇼바(50)는 차량에 처음부터 달려 있었던 쇼바(50)를 위치 변경 없이 그대로 사용한다. 이로 인해,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의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다.
1: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 110,120,130: 링크부
210,220,230,240,250,260,270,280,290,300: 브라켓부
31,32,33,34,35,36,37: 에어백부 40: 스테빌라이저바
50: 쇼바

Claims (7)

  1. 차량 좌우측 각각에 상하로 배치된 4개의 링크와, 차량 좌우로 폭 방향으로 배치된 1개의 링크인, 총 5개의 링크로 구성된 링크부; 차량 프레임의 원래부터 있었던 구멍에 볼트로 체결되어, 차량 프레임의 손상 없이 차량에 상기 링크부를 설치해 주는 브라켓부; 상기 브라켓부에 설치된 제1에어백, 제2에어백, 상기 제1에어백 및 상기 제2에어백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탱크와, 상기 공기탱크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와, 상기 공기탱크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에어백부;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차량 프레임에 설치된 스테빌라이저바; 및 상기 차량 프레임에 설치된 쇼바를 포함하는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차량 프레임 좌측에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며, 제1-1링크와 상기 제1-1링크의 바로 위에 위치된 제1-2링크로 구성된 제1링크; 상기 차량 프레임 우측에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며, 제2-1링크와 상기 제2-1링크의 바로 위에 위치된 제2-2링크로 구성된 제2링크; 상기 차량 프레임 폭 방향으로 위치된 제3링크로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부는,
    차량 프레임 전방 좌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1링크의 전단과 상기 제1-2링크의 전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브라켓; 차량 프레임 전방 우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1링크의 전단과 상기 제2-2링크의 전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브라켓; 차량 프레임 후방 좌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1링크의 후단과 상기 제1-2링크의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브라켓; 차량 프레임 후방 우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1링크의 후단과 상기 제2-2링크의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브라켓; 차량 프레임 후방에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3링크의 일단이 연결되되며, 하면 좌측에는 제1에어백의 상단이 연결되고, 하면 우측에는 제2에어백의 상단이 연결되는 제5브라켓; 상기 제1에어백의 하단이 연결되는 제9-1브라켓과, 상기 제2에어백의 하단이 연결되는 제9-2브라켓으로 구성된 제9브라켓; 상기 제9-1브라켓을 차축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차축의 좌측 상하면에 설치된 제7브라켓; 상기 제9-2브라켓을 차축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차축의 우측 상하면에 설치된 제8브라켓; 상기 제3링크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10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의 전단을 상기 차량 프레임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의 뒤쪽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제1-1링크의 전단이 연결되는 제1구멍과 상기 제1-2링크의 전단이 연결되는 제2구멍의 배치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1링크와 상기 제1-2링크의 진동흡수력 및 진동전달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브라켓은 측방향에서 볼 때 V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브라켓의 전단을 상기 차량 프레임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2브라켓의 뒤쪽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제2-1링크의 전단이 연결되는 제1구멍과 상기 제2-2링크의 전단이 연결되는 제2구멍의 배치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2-1링크와 상기 제2-2링크의 진동흡수력 및 진동전달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브라켓은 측방향에서 볼 때 V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1링크, 상기 제1-2링크, 상기 제2-1링크, 상기 제2-2링크, 상기 제3링크의 재질을 동일하거나 다르게 하여, 링크의 진동흡수력과 진동전달력을 조절하고,
    상기 공급펌프가 상기 공기탱크에 공기를 공급할 때 생기는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지 못하게 막아주기 위해, 상기 공급펌프와 상기 차량 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쿠션을 포함하여,
    기존 차량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장착되며, 동시에 승차감 개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46202A 2018-04-20 2018-04-20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 Active KR101902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202A KR101902311B1 (ko) 2018-04-20 2018-04-20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202A KR101902311B1 (ko) 2018-04-20 2018-04-20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311B1 true KR101902311B1 (ko) 2018-11-13

Family

ID=6439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202A Active KR101902311B1 (ko) 2018-04-20 2018-04-20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3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091B1 (ko) * 2002-04-16 2005-03-22 이오상 차량용 에어 서스펜션
KR101072793B1 (ko) * 2003-04-03 2011-10-14 헨드릭슨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차축 클램프 조립체 탑 패드와 에어 스프링 설치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091B1 (ko) * 2002-04-16 2005-03-22 이오상 차량용 에어 서스펜션
KR101072793B1 (ko) * 2003-04-03 2011-10-14 헨드릭슨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차축 클램프 조립체 탑 패드와 에어 스프링 설치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95389B (zh) 带坐舱的行进车辆
KR20100045800A (ko)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CN203401898U (zh) 一种汽车独立后悬架
US10661626B2 (en) Attaching structure for stabilizer of utility vehicle
WO2014070703A1 (en) Vehicular suspension enhancement
US6273441B1 (en) Vehicle suspension stabilizing device
CN102923202B (zh) 重型载重汽车驾驶室悬挂装置
US3732941A (en) Vehicle chassis resiliently supported on main frame
CN103517849A (zh) 具有倾斜连杆驾驶室悬架的车辆
KR101902311B1 (ko) 차량 승차감 개선 시스템
CN109664704A (zh) 用于机动车辆车身悬架的纵向片簧装置
KR20070122375A (ko) 차량 섀시를 안정화시키는 보조 판 스프링을 사용하는 방법및 장치
CN111873736A (zh) 一种空气悬架
US20040195901A1 (en) Suspension
KR102382844B1 (ko) 차량용 휠 베이스 조절장치
CN104260606A (zh) 一种无人车悬挂系统
CN210363249U (zh) 一种载荷用牵引车用空气悬架
KR101509688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DE102010052151A1 (de) Kabine für ein Baufahrzeug
KR200479374Y1 (ko) 사륜구동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마운팅 보강장치
KR100883251B1 (ko) 상용차량의 리프스프링 조립체
KR102039979B1 (ko) 차량 진동 저감 시스템
KR101596686B1 (ko) 차량용 롤로드의 횡강성 보강 구조
CN113602054B (zh) 全地形车
AU2004325797B2 (en) Cab-over-engine vehicle and method of mounting ca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