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2044B1 -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 - Google Patents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044B1
KR101902044B1 KR1020140116185A KR20140116185A KR101902044B1 KR 101902044 B1 KR101902044 B1 KR 101902044B1 KR 1020140116185 A KR1020140116185 A KR 1020140116185A KR 20140116185 A KR20140116185 A KR 20140116185A KR 101902044 B1 KR101902044 B1 KR 101902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housing
water
drop
r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7729A (ko
Inventor
홍학표
Original Assignee
홍학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학표 filed Critical 홍학표
Priority to KR1020140116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044B1/ko
Publication of KR20160027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04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3Dispensing fittings for drip irrigation, e.g. dri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관에서 압송하는 물 또는 수액의 압력에 따라 하우징의 여닫는 정도를 조절하여 그 안으로 들어오는 물 또는 수액의 압력을 조절·보상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물이나 수액을 공급하는 파이프의 길이에 따라 압력 강하가 발생하더라도 점적 버튼에서 항상 미리 정한 속도로 한 방울씩 안정적으로 물이나 수액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여닫는 정도를 탄성 지지를 받는 로드를 이용하여 스프링 장력으로 확실하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이 로드가 체크 밸브와 같은 기능을 하여 물 또는 수액 공급을 중단하더라도 하우징에 남아 있는 물이나 수액이 액관 쪽으로 역류하거나 그 외부로 배출되어 떨어지는 낙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서 물이나 수액의 유로를 형성하고 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점적기 보디를 이 하우징에서 쉽게 분리·결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유로가 막히거나 비료 성분이 침착되는 등 점적 버튼이 기능을 상실하더라도 하우징에서 점적기 보디를 분리하여 유로를 깨끗하게 청소한 다음 다시 조립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한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BUTTON FOR DRIP IRRIGATION}
본 발명은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 스프링의 탄성 지지를 받는 로드로 물이나 수액의 유출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므로 수액의 낙수와 역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하우징에서 점적기 보디를 쉽게 분해하여 청소한 다음 다시 조립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 수명을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수 시설이란 온실이나 노지 등에서 식물이나 나무 등을 재배할 때 생산량 증대를 위하여 물과 액상 비료 등을 공급하는 시설을 말한다. 여기서, 관수(灌水)란 식물이 필요한 수분(물 또는 액상 비료 등)을 한 방울씩 적절한 속도로 공급하여 식물 생육이 가장 잘 이루어질 수 있는 토양조건을 만들어 주는 것을 말한다.
이런 관수 시설은 통상적으로 물이나 액상 비료 등을 파이프를 통해 미리 정한 압력(예를 들어, 1.5~2.0㎏/㎠)으로 제공하고, 이 파이프에는 미리 정한 간격(예를 들어, 작물 식재 간격에 맞게 20㎝)으로 점적기 또는 점적 버튼을 설치한다. 여기서, 점적기와 점적 버튼은 상기 파이프를 통해 고압으로 제공한 물이나 액상 비료를 낮은 압력으로 변환하여 작물이나 식물에 미리 정한 속도로 한 방울씩 공급하기 위한 구성을 말한다. 예를 들어서, 100M 길이의 온실에 설치하는 관수 시설의 파이프는 100M가 되며, 여기서 설치하는 점적기나 점적 버튼은 작물을 20㎝ 간격으로 심은 경우 각 작물에 물과 액상 비료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씩 설치한다고 가정하면 500개가 필요하다.
한편, 상기 점적기와 점적 버튼은 이처럼 고압의 물이나 액상 비료를 물방울 형태로 식물에 제공하는 중요한 구성이므로, 특히 식물 생육에 알맞은 성장 조건에 알맞게 물과 액상 비료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에는 이러한 점적기와 점적 버튼과, 이런 구성을 포함하는 점적 장치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물이 점적 형태로 배출되는 점적기를 점적 호스에 내장하여 식물의 뿌리 부근에 일정량의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무공해로 식물이 활발하게 생장할 수 있게 한 식물재배용 내장형 점적기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2는 점적기의 낙수 방지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점적기의 입구측에 수압이 기준압력을 넘어설 때 개방되고 이하일 때 차단되는 개폐밸브를 형성하므로 농작물에의 물공급 차단 동작시 수압이 기준압력 이하로 내려갈 때 개폐밸브의 차단동작에 의해 점적기의 하류 측으로의 물공급이 중단됨에 따라 점적기의 낙수를 방지하여 농작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점적기의 낙수 방지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3은 점적 급수 노즐 및 이를 갖는 점적 급수 호스에 관한 것으로서, 급수 시작점으로부터 원거리까지 급수량이 균일하며, 급수 중단 시 잔류 수압에 따른 누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점적 급수 노즐 및 이를 갖는 점적 급수 호스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점적 시설에 사용한 점적 버튼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급수 호스에 점적 버튼을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 개를 설치하는 데, 물이나 액상 비료를 공급하는 펌프와 가까운 곳에 설치한 점적 버튼일수록 물이나 액상 비료의 압송 압력이 높아 그 분출량이 많아지고, 반대로 펌프와 먼 곳에 설치한 점적 버튼일수록 압송 압력이 낮아 그 분출량이 적어진다.
(2) 이에, 펌프와 가까이 있거나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그 분출량이 같아지게 하기 위해서는 점적 버튼에는 압력 보정판을 설치하여 급수 호스 내부의 수압 변화에 따라 이를 보정할 수 있게 구성해야 한다.
(3) 하지만, 기존의 압력 보정판은 통상적으로 실리콘 판막이나 세라믹 판막으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수압 변화에 대한 보정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그 보정 범위가 넓지 않았다. 즉, 기존의 압력 보정판은 식물식재 거리가 20㎝일 때 그 보정할 수 있는 거리가 26~40㎝로 한정적이었다.
(4) 또한, 기존의 압력 보정판은 판막 형태로 제작하다 보니 압력 보정판의 물성 변화가 많이 생기고 이러한 물성 변화는 압력 보정판의 수명으로 이어진다. 이에, 압력 보정판의 수명이 1~3년으로 고르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5) 이러한 수명 차이는 제품에 대한 신뢰성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식물에 제공하는 물과 액상 비료에 대한 관수량에 편차가 발생하여 식물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펌프와 가까이 있는 식물의 성장률은 높고 멀리 있는 식물의 성장률은 낮아지는 불균형을 초래한다.
(6) 급수 호스를 통해 물을 제공할 때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액상 비료의 조성물 중에서 큰 입자 등이 미세하게 형성한 유도로를 달라붙거나 막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점적 버튼을 교환하거나 막힌 유도로를 뚫어주어야 하는 부수적인 작업을 시행해야 한다.
(7) 그리고, 점적 버튼의 교환은 이 점적 버튼이 급수 호수와 일체로 형성한 경우 어려움이 있거나 급수 호수 전체 또는 일부를 교환해야 하므로 교환 비용이 많이 필요하다.
(8) 또한, 유도를 화학적으로 뚫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질산이나 황산 또는 인산과 같은 강산을 이용하여 유도로에 눌어붙은 이물질이나 비료 성분 등을 녹여서 제거해야 한다. 이는 강한 산성 물질을 2~3일 정도 급수 호수에 공급해야 하므로 급수 호수의 파손과 더불어 강한 산성 물질로 수질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0322935호 (등록일 : 2003.07.31)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98905호 (공개일 : 2004.11.26)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26087호 (공개일 : 2013.03.13)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액관에서 압송하는 물 또는 수액의 압력에 따라 하우징의 여닫는 정도를 조절하여 그 안으로 들어오는 물 또는 수액의 압력을 조절·보상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물이나 수액을 공급하는 파이프의 길이에 따라 압력 강하가 발생하더라도 점적 버튼에서 항상 미리 정한 속도로 한 방울씩 안정적으로 물이나 수액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여닫는 정도를 탄성 지지를 받는 로드를 이용하여 스프링 장력으로 확실하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이 로드가 체크 밸브와 같은 기능을 하여 물 또는 수액 공급을 중단하더라도 하우징에 남아 있는 물이나 수액이 액관 쪽으로 역류하거나 그 외부로 배출되어 떨어지는 낙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서 물이나 수액의 유로를 형성하고 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점적기 보디를 이 하우징에서 쉽게 분리·결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유로가 막히거나 비료 성분이 침착되는 등 점적 버튼이 기능을 상실하더라도 하우징에서 점적기 보디를 분리하여 유로를 깨끗하게 청소한 다음 다시 조립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한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은, 물 또는 수액을 압송하는 파이프(P)와 연결하는 액관(100); 상기 액관(100)과 연결하여 물 또는 수액을 공급받으면, 이 물 또는 수액을 점적 상태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구멍(210)을 가진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에 탈·장착할 수 있게 설치되며, 이 하우징(200) 내면과의 사이에 유로(310)를 형성하여 상기 액관(100)을 통해 공급받은 물 또는 수액의 압력을 떨어뜨려 점적화하는 점적기 보디(300); 상기 점적기 보디(300) 내에서 탄성 스프링(410)의 탄성 지지를 받아 그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액관(100)을 선택적으로 막아 물 또는 수액 공급을 차단하는 로드(400); 및 상기 하우징(200)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며, 상기 배출 구멍(210)을 통해 나온 점적을 미리 정한 곳으로 안내하는 점적 스틱(500);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200)은 입구 측에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한 쌍의 장착 홈(220)을 형성하고, 상기 점적기 보디(300)에는 상기 하우징(200)에 끼움에 따라 상기 각 장착 홈(220)에 선택적으로 끼워져서 고정할 수 있게 고정 돌기(320)를 형성하며;, 상기 장착 홈(220)과 고정 돌기(320)는 사선 형태로 형성하여, 하우징(200)에 점적기 보디(300)를 끼워서 돌림에 따라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게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액관(100)을 끼워 물이나 수액을 공급받을 수 있는 연결구(230)를 형성하고, 이 연결구(230) 안쪽 테두리에는 전체 테두리에 걸쳐 압착 돌부(231)를 형성하며;, 상기 로드(400)는 탄성 스프링(410)이 끼워지는 한쪽에 걸림 돌기(420)를 형성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연결구(230) 안쪽 면과 미리 정한 간격(G)만큼 떨어져서 끼워지게 형성하며, 상기 압착 돌부(231)와 접하는 부분은 만곡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탄성 스프링(410)은 장력이 0.5~2.0㎏/㎠이며;, 상기 유로(310)는 점적기 보디(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올라가면서 "S"자 형상을 반복하여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적어도 두 개의 "S"자형과, 이들 "S"자형 사이에서 하우징(200) 내벽과의 사이로 돌출하게 형성하되 이웃한 두 개가 서로 엇갈리게 돌출 성형하여 유체 흐름 방향을 바꿀 수 있게 형성한 여러 개의 돌출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탄성 지지를 받는 로드가 액관을 통해 하우징으로 들어오는 물 또는 수액의 압력 변화에 따라 하우징과 점적기 보디 사이로 통과하는 유량 조절을 통해 압력을 보정할 수 있다.
(2) 이는 길이가 긴 파이프에서 펌프와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하여 낮은 압력으로 물이나 수액을 공급받는 점적 버튼이라도 물이나 수액의 압력 보정을 통해 미리 정한 양만큼 물이나 수액을 식물에 제공하여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성장 조건을 균일하게 맞출 수 있다.
(3) 점적기 보디에 탄성 지지를 받는 로드를 설치하여 액관과 하우징 사이의 유체 흐름을 차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물이나 수액 공급을 마친 경우처럼 액관과 하우징 사이의 압력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하우징에서 액관으로 물이나 수액이 역류하거나 외부로 흐르는 낙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4) 하우징에서 점적기 보디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유로가 막히는 경우와 같이 내부 청소가 필요한 경우 이를 분리하여 청소한 다음 다시 쉽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5) 이에 이물질이나 비료 등의 성분이 유로를 막거나 달라붙는 경우라도 쉽게 하우징에서 점적기 보디를 분리하여 이를 제거할 수 있다.
(6) 또한, 이처럼 쉽게 이물질이나 달라붙은 것을 제거하여 유로의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점적 버튼의 기능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점적 버튼을 화분 등에 적용한 예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점적 버튼의 전체 구성을 분해하여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하우징과 그 내부에 장착하는 점적기 보디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분해한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점적기 보디 내에 구성한 로드의 구성 및 작동 전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6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점적기 보디와 하우징 사이에 형성한 유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점적 스틱과 하우징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하우징과 로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하우징과 점적기 보디를 단면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은,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액관(100)을 통해 소정의 압력으로 압송 받은 물이나 수액을 물방울(점적)화 하도록 구성한 하우징(200)과 점적기 보디(300) 사이에 탄성 지지를 받는 로드(400)를 구성함으로써, 이 로드(400)가 압력 조절 기능과 더불어 역류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200)에서 점적기 보디(300)를 쉽고 신속하게 탈·장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점적화하는 데 필요한 유로가 막히거나 이물질이 부착되더라도 하우징(200)에서 점적기 보디(300)를 분리하여 이러한 이물질을 쉽게 청소할 수 있으므로, 점적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적 버튼의 수명을 연장해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액관(10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파이프(P)에서 분기하여 물이나 수액을 실제 점적화하는 하우징(200)으로 보내기 위한 관이다.
여기서, 파이프(P)는 관수 시설에서 필요한 물이나 수액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지름을 가진 것을 사용하며, 이 파이프(P)에는 물이나 수액을 공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파이프(P)로는 이 외에도 액상 비료와 같이 식물의 생장하게 하는 데 필요한 것을 액화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압송할 수 있는 통상의 관수 시설에서 사용하는 파이프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액관(100)은 상술한 파이프(P)보다 지름이 작은 관을 채택함으로써, 하나의 파이프(P)에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개의 점적 버튼을 장착하여 여러 포기의 식물에 대하여 한 번에 물이나 수액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20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양측이 개방되어 어느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갈수록 좁아진 형태로 구성하며, 그중 한쪽을 상술한 액관(100)에 연결하여 이 액관(100)을 통해 물이나 수액을 공급받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200)은 내부 공간을 원뿔대 형상으로 제작하되, 특히 그 안지름이 작은 부분에 상기 액관(100)을 끼워 물이나 수액을 공급받을 수 있는 연결구(230)를 형성하고, 그 안지름이 큰 부분에 후술할 점적기 보디(300)를 삽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이는 하우징(200)이 안쪽으로 갈수록 점차 지름이 작아지므로 여기에 점적기 보디(300)를 끼움에 따라 하우징(200)과 점적기 보디(300) 사이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에는, 도 2·도 3·도 6 및 도 7과 같이, 점적(물방울)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구멍(210)을 형성한다. 배출 구멍(210)은 하우징(200)이라면 어디에라도 형성할 수 있으나, 점적기 보디(300)를 끼우는 입구 측의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연결구(230)와의 거리를 가능한 한 멀리 떨어지게 하여 물이나 수액이 지나가는 거리를 길게 하여 압력 강하 효과를 더 많이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 구멍(210)은 하나를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개를 형성하되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우징(200)에 점적기 보디(300)을 끼웠을 때에 2개의 배출 구멍(210) 중에서 어느 하나가 항상 지면 쪽을 향하게 하여 물이나 수액으로 이루어진 물방울이 후술할 점적 스틱(500)을 따라 안정적으로 지면까지 유도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점적기 보디(300)를 끼우는 입구 부분에 서로 마주 보게 적어도 2개의 장착 홈(220)을 형성한다. 이 장착 홈(220)은 점적기 보디(300)에 형성할 고정 돌기(320)가 끼워짐에 따라 점적기 보디(300)를 하우징(200)에 탈·장착할 수 있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홈(220)과 고정 돌기(320)는 나선 형태로 제작하고, 특히 고정 돌기(320)가 이 장착 홈(220)을 타고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점적기 보디(300)를 하우징(200)에 끼운 상태에서 이 점적기 보디(300)를 돌리면, 고정 돌기(320)가 장착 홈(220)을 타고 강제로 회전하면서 하우징(200)과의 밀착력을 더 높여주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하우징(200)에는, 도 2 및 도 9와 같이, 바깥 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240)를 형성한다. 이 가이드 돌기(240)는, 도 9와 같이, 후술할 점적 스틱(500)에 형성한 가이드 홈(511)을 안내한다.
점적기 보디(3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하우징(200) 안에 밀착되게 끼워진다. 특히, 상기 점적기 보디(300)에는 바깥 표면에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유로(310)를 형성한다. 이때, 유로(310)은 도 6과 같이 액관(100)에서 공급받은 물이나 수액의 통과량을 작게 하여 압력을 줄여주고 특히 그 유동 방향을 도 7과 같이 이웃한 두 개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게 하여 유체 흐름이 바뀌도록 돌출형을 여러 개 형성하거나, 도 8과 같이 "S"자를 연속해서 형성한 "S"자형으로 형성하여 유체 흐름을 바꿔 주면서 물이나 수액이 물방울처럼 한 방울씩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S자형은 적어도 두 개를 형성하고, 이웃한 두 개의 S자형 사이에 이 돌출형을 형성한다. 이러한 유로(310)는 점적기가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로 제작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는 도 6과 같이 하우징(200) 하부에서 액관(100)을 통해 공급받은 물이나 수액이 점적기 보디(300)의 폭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면서 위로 올라가고, 다시 도 7과 같이 점적기 보디(300) 아래로 방향 전환하면서 내려왔다가, 도 8과 같이 점적기 보디(300) 위로 올라가서 배출 구멍(210)을 통해 배출할 수 있게 한 예를 보여준다.
한편, 상기 점적기 보디(300)는, 도 3 및 도 6과 같이, 하우징(200)에 끼웠을 때 바깥쪽에 끼워지는 부분에 한 쌍의 격벽(330)을 형성한다. 격벽(330)은 점적기 보디(300)를 하우징(200)에 끼웠을 때, 도 6 및 도 8과 같이 점적기 보디(300)의 전체 둘레에 걸쳐 하나의 격실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격실에는, 도 8과 같이, 상술한 유로(310)가 연결되어 압력강하와 물이 솟구치지 않고 점적 상태에 이르기 전 상태의 물과 수액이 머무는 곳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점적기 보디(300)를 하우징(200)에 끼워 장착함에 따라, 상기 2개의 격벽(330)으로 형성한 격실에는 도 6 및 도 8과 같이, 상술한 배출 구멍(210)이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술한 유로(310)를 통과하면서 압력 강하가 이루어지고 잦은 유체 흐름 방향이 바뀌면서 물이나 수액이 솟구치지 않는 상태로 격실에 들어온 물이나 수액이 이 배출 구멍(210)을 통해 하우징(200) 밖으로 한 방울씩 배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점적기 보디(300)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고정 돌기(320)를 더 형성한다. 고정 돌기(3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장착 홈(220)에 하나씩 대응하여 끼워질 수 있게 구성하며, 특히 이 점적기 보디(300)를 돌려서 하우징(200)에 끼울 수 있게 나선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점적기 보디(300)에는, 도 2와 같이, 격벽(330)을 형성한 한쪽 끝에 손잡이(340)을 더 형성하여 손으로 쉽게 돌릴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점적기 보디(300)를 하우징(200)에 끼워서 쉽게 돌려서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4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점적기 보디(300) 안에 탄성 스프링(410)의 탄성 지지를 받게 설치한다. 특히, 로드(400)는 탄성 지지를 받는 끝단이 상술한 액관(100)과 연결구(230) 사이를 막아 액관(100)에서 선택적으로 물이나 수액이 하우징(200) 안으로 흐르지 못하게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상기 로드(400)는 체크 밸브와 같은 작용으로 액관(100)에서 송출하는 물이나 수액의 송출 압력이 미리 설정한 스프링 장력 이상이면 도 5와 같이 강제로 로드(400)를 밀어 하우징(200) 안으로 물이나 수액을 공급한다. 하지만, 이 압력이 스프링 장력보다 작으면 도 4와 같이 탄성 스프링(410)이 로드(400)를 밀어 액관(100)을 막아 물이나 수액이 하우징(200)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스프링(410)은 그 장력이 0.5~2.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온실의 경우와 같이 파이프를 통해 압송할 수 있는 물이나 수액의 압송 압력·식물에 필요한 물이나 수액의 양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 장력의 범위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점적 스틱(500)은, 도 1·도 2 및 도 9와 같이, 하우징(200)에 끼워서 사용하기 위한 헤드부(510), 및 이 헤드부(510)와 일체로 형성하여 점적을 지면으로 안내하기 위한 핀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510)는, 도 9와 같이, 단면이 "C"자 형상으로 도 2와 같이 하우징(200)의 얇은 두께 부분이나 액관(100)을 통해 끼울 수 있게 구성한다. 즉, "C"자 형상의 틈새 사이로 액관(100)을 헤드부(510) 안으로 끼운 다음, 이 헤드부(510)를 액관(100)이 설치된 반대쪽, 즉 굵기가 굵은 하우징(200) 어느 한쪽으로 밀면, 헤드부(510)가 벌어지면서 하우징(200)에 끼여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헤드부(510)는, 도 9와 같이, 내면에 상술한 각 가이드 돌기(240)가 끼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 홈(511)을 더 구성한다. 이 가이드 홈(511)은 하우징(200)에 끼워진 헤드부(510)가 회전하지 않게 하여 항상 정해진 끼움 방향으로 헤드부(510)를 하우징(200)에 끼울 수 있게 안내한다.
상기 핀부(520)는 상기 배출 구멍(210)에서 배출한 점적이 지면까지 안정적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핀부(520)의 구성은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진 것으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점적 버튼은 탄성 지지를 받는 로드의 작동으로 체크 밸브와 같이 작용하여 하우징 안에 남아있는 물이나 수액이 액관 등을 통해 외부로 떨어지는 낙수 현상이나 액관 안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점적 버튼은 유로를 구성하는 점적기 보디를 하우징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이 유로가 막히거나 이물질이 끼여 있더라도 언제든지 쉽고 신속하게 분해하여 청소한 다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점적 버튼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은, 도 10과 같이, 물이나 양액 등을 공급하지 않을 때에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는,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로드(400')의 형상을 바꾸고 이에 따라 하우징(200')의 형상 변경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로드(400')와 하우징(200')의 형상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2에 따른 로드(400')는, 도 10과 같이, 한쪽이 탄성 스프링(410)에 끼워지게 하여 일체로 작동할 수 있게 구성하고, 특히 이곳에 걸림 돌기(420)를 형성하여 탄성 스프링(410)이 로드(400')에서 빠지지 않게 하여 로드(400')가 안정적으로 탄성 스프링(410)의 탄성 지지를 받을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로드(400')는, 도 10과 같이, 다른 한쪽이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연결구(230)에 끼워지게 구성한다. 즉, 로드(400')의 다른 한쪽을 가늘게 형성하여 연결구(230)에 끼울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가늘게 형성하는 한쪽은 연결구(230)의 내면과 미리 정한 간격(G)만큼 작게 형성한다. 이는, 물이나 양액이 이 간격(G) 부분에 채워짐에 따라 그 압력으로 로드(400')를 점적기 보디(300) 안으로 쉽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로드(400')는 이처럼 가늘게 형성한 부분과 중간 부분이 만나는 부분, 즉 이 가는 부분을 연결구(230)에 끼웠을 때 하우징(200') 내면과 접하는 부분을 만곡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로드(400')와 하우징(20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접촉이 선 접촉하게 하여 접촉과 분리가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200')에는 연결구(230)의 안쪽 테두리에 압착 돌부(231)를 형성한다. 이때, 압착 돌부(231)는 상술한 로드(400')의 만곡 부분과 접하여 물이나 수액을 차단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압착 돌부(231)는 연결구(230)의 안쪽 테두리 전체에 걸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단면 형상이 반원과 같이 만곡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또한 상술한 로드(400')와 마찬가지로 선 접촉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본 발명은 로드(400')가 탄성 스프링(410)과 일체로 고정하여 안정적인 탄성 지지를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200')과 로드(400')가 선 접촉하여 물이나 양액을 차단하므로 이 탄성 스프링(410)의 든든한 탄성 지지로 안정적인 차단과 개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00 : 액관
200 : 하우징
210 : 배출 구멍
220 : 장착 홈
230 : 연결구
240 : 가이드 돌기
300 : 점적기 보디
310 : 유로
320 : 고정 돌기
330 : 격벽
340 : 손잡이
400 : 로드
410 : 탄성 스프링
500 : 점적 스틱
510 : 헤드부
511 : 가이드 홈
520 : 핀부

Claims (5)

  1. 물 또는 수액을 압송하는 파이프(P)와 연결하는 액관(100); 상기 액관(100)과 연결하여 물 또는 수액을 공급받으면, 이 물 또는 수액을 점적 상태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구멍(210)을 가진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에 탈·장착할 수 있게 설치되며, 이 하우징(200) 내면과의 사이에 유로(310)를 형성하여 상기 액관(100)을 통해 공급받은 물 또는 수액의 압력을 떨어뜨려 점적화하는 점적기 보디(300); 상기 점적기 보디(300) 내에서 탄성 스프링(410)의 탄성 지지를 받아 그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액관(100)을 선택적으로 막아 물 또는 수액 공급을 차단하는 로드(400); 및 상기 하우징(200)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며, 상기 배출 구멍(210)을 통해 나온 점적을 미리 정한 곳으로 안내하는 점적 스틱(500);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200)은 입구 측에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한 쌍의 장착 홈(220)을 형성하고, 상기 점적기 보디(300)에는 상기 하우징(200)에 끼움에 따라 상기 각 장착 홈(220)에 선택적으로 끼워져서 고정할 수 있게 고정 돌기(320)를 형성하며,
    상기 장착 홈(220)과 고정 돌기(320)는 사선 형태로 형성하여, 하우징(200)에 점적기 보디(300)를 끼워서 돌림에 따라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게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액관(100)을 끼워 물이나 수액을 공급받을 수 있는 연결구(230)를 형성하고, 이 연결구(230) 안쪽 테두리에는 전체 테두리에 걸쳐 압착 돌부(231)를 형성하며,
    상기 로드(400)는 탄성 스프링(410)이 끼워지는 한쪽에 걸림 돌기(420)를 형성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연결구(230) 안쪽 면과 미리 정한 간격(G)만큼 떨어져서 끼워지게 형성하며, 상기 압착 돌부(231)와 접하는 부분은 만곡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탄성 스프링(410)은 장력이 0.5~2.0㎏/㎠이며,
    상기 유로(310)는 점적기 보디(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올라가면서 "S"자 형상을 반복하여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적어도 두 개의 "S"자형과, 이들 "S"자형 사이에서 하우징(200) 내벽과의 사이로 돌출하게 형성하되 이웃한 두 개가 서로 엇갈리게 돌출 성형하여 유체 흐름 방향을 바꿀 수 있게 형성한 여러 개의 돌출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16185A 2014-09-02 2014-09-02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 Active KR101902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185A KR101902044B1 (ko) 2014-09-02 2014-09-02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185A KR101902044B1 (ko) 2014-09-02 2014-09-02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729A KR20160027729A (ko) 2016-03-10
KR101902044B1 true KR101902044B1 (ko) 2018-09-27

Family

ID=5553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185A Active KR101902044B1 (ko) 2014-09-02 2014-09-02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0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211B1 (ko) * 2017-12-29 2020-03-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량형 실외 실험적 온난화 및 타이머를 이용한 강수조절 시스템
CN108207591B (zh) * 2018-01-31 2023-07-28 迁安市固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根部灌水施肥器及系统
CN111084080B (zh) * 2020-01-19 2024-12-17 广州市植意科技有限公司 一种灌溉装置及灌溉系统
CN115997649B (zh) * 2023-01-10 2024-12-03 贵州省草业研究所 一种荒山废弃场地植被恢复滴灌装置
CN116808258B (zh) * 2023-08-30 2023-11-17 德州欣宇电气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畜牧养殖用消毒装置
CN118556487B (zh) * 2024-05-14 2025-01-21 中国农业大学 滴灌灌水器、滴灌装置及滴灌控制方法
CN118370180B (zh) * 2024-06-27 2024-09-17 徐州苏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滴灌系统的自清洁微抗堵塞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609Y1 (ko) * 2002-12-21 2003-03-12 김제구 농작물급수시설의 점적호오스용 가변개폐 배수밸브부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7983B1 (fr) 1994-12-07 1997-01-24 Atotech France Bain de chromatation et procede pour la finition de surfaces de zinc, d'alliage de zinc, ou de cadmium
KR100484352B1 (ko) 2003-05-16 2005-04-20 김동선 점적기의 낙수방지용 개폐장치
KR101390952B1 (ko) 2011-09-05 2014-04-29 위계대 점적급수노즐 및 이를 갖는 점적급수호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609Y1 (ko) * 2002-12-21 2003-03-12 김제구 농작물급수시설의 점적호오스용 가변개폐 배수밸브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729A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044B1 (ko)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
US7597276B2 (en) Ultra low flow spray head
US55074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pressurized low continuous flow to high flow in pulses
CA209135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pressurized low continuous flow to high flow in pulses
RU2723041C2 (ru) Шланг для капельного орошения с лентой
CN107613757A (zh) 发射器及滴灌用输送管
WO2014064452A1 (en) Adjustable emitter and preform
CN107969151A (zh) 用于液体的压力控制装置
US9066476B2 (en) Irrigation systems, irrigation components and related methods
WO2018055505A1 (en) Irrigation tube flushing system and flush valve therefor
JP5194211B2 (ja) スプリンクラー用ゴミ除去装置
KR102285559B1 (ko) 농작물 재배용 점적 조절장치
KR101917984B1 (ko) 농업용 액체 분무 노즐
KR101390952B1 (ko) 점적급수노즐 및 이를 갖는 점적급수호스
EP3278856A1 (en) Filtration device, spray device provided with same, and filtration method
KR101008102B1 (ko) 물공급장치의 밸브 노즐장치
KR102216180B1 (ko) 매설형 용수 공급호스용 드립
KR101178223B1 (ko) 안개분무용 스프링클러
CN108887153B (zh) 基于水压控制的双位灌溉喷头
CN207460806U (zh) 一种热带果园用水肥一体化滴灌装置
KR101938493B1 (ko) 양방향으로 급수되는 회전식 분수호스
AU2013399168A1 (en) Seed firmer life extender
KR102759436B1 (ko) 뿌리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지중 점적관용 드립 어셈블리
KR102441002B1 (ko)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
RU2367144C2 (ru) Система капельного поли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2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6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2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8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702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1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2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8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60615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7031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2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2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80831

Appeal identifier: 2017101001210

Request date: 2017031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21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313

Effective date: 2018083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8083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70313

Decision date: 20180831

Appeal identifier: 2017101001210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8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31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