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0874B1 -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874B1
KR101900874B1 KR1020170110421A KR20170110421A KR101900874B1 KR 101900874 B1 KR101900874 B1 KR 101900874B1 KR 1020170110421 A KR1020170110421 A KR 1020170110421A KR 20170110421 A KR20170110421 A KR 20170110421A KR 101900874 B1 KR101900874 B1 KR 101900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agent
fire extinguishing
tank
housing
fi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창선
Original Assignee
전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길숙 filed Critical 전길숙
Priority to KR1020170110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874B1/ko
Priority to US16/107,880 priority patent/US1089874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8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iercing walls, heaped materia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에 설치된 유리벌브가 화재의 열에 의해 파손되면서 하우징에 설치된 탄성체에 의해 이동부재가 이동되고, 이동부재에 결합된 타격부재에 의해 압축된 소화 약제가 저장된 탱크의 막을 파손시켜 소공간으로 가압 된 소화 약제가 퍼져 나가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소공간에 설치되는 자동소화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분전함, 변전함, 냉장고, 서버랙 등과 같이 화재의 위험성이 큰 소공간에 화재의 발생시 열기에 의해 하우징 내측에 설치된 유리벌브가 깨지면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부재가 이동하면서 타격부재가 탱크의 입구를 막고 있는 막을 파괴하여 탱크에 가압된 소화 약제가 비산되어 초기에 화재의 진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with small space using Fire extinguishing agent}
본 발명은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 유리벌브가 깨지면서 가압 된 소화 약제가 저장된 탱크를 타격하여 화재가 발생 된 부분으로 소화 약제를 비산시켜 공기를 차단하므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소화기는 화재의 초기단계에서 소화 약제가 갖는 냉각 또는 공기차단 등의 효과를 이용하여 불을 끌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를 신속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소형화되어 있다.
자동소화기에 사용하는 소화 약제 또는 그 메커니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소화 약제를 기준으로 분류하면, 포말소화기(泡沫消火器), 분말소화기, 할론소화기, 이산화탄소소화기 등이 대표적이다.
소화기는 화재의 성질에 따라 각각의 용법이 다르고, 소화기의 종류로는 ①수조가 붙은 펌프 소화기, ②산알칼리 소화기, ③거품 소화기, ④이산화탄소 소화기, ⑤분말 소화기, ⑥사염화탄소 소화기, ⑦일염화일브롬화메탄 소화기 등으로 나누어진다.
①수조가 붙은 펌프 소화기는 물 16L들이 용기에 손으로 누르는 펌프와 고무 호스를 부착한 것인데 물의 보급이 연속적으로 가능하다. 유효 방사 범위는 8~12m, 방사 시간은 물의 보급만 끊이지 않으면 무한히 사용할 수 있는데 물 16L를 방사하는 데에는 약 1분이 걸린다.
②산알칼리 소화기: 묽은 황산에 탄산수소나트륨을 혼합함으로써 이산화탄소를 발생하고 그 압력에 의해 수용액을 뿜어내는 구조이다. 혼합 방법에 의해 파병식(破甁式)과 전도식(轉倒式)이 있다. 현재에는 주로 파병식의 이중병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병식은 외통, 내통으로 되어 있으며, 외통에는 물이 채워져 있고 내통은 이중의 유리병으로 진한 황산과 탄산수소나트륨 분말이 채워져 있으며, 사용시에는 파병용 돌기를 두들겨 이중병을 파괴해서 혼합시킨다. 전도식에서는 소화기를 거꾸로 들면 황산 용액의 뚜껑이 떨어져서 용액이 혼합된다. 유효 방사 범위는 5~9m, 방사 시간은 약 40초이다.
③거품 소화기는 보통은 전도식 구조이며 용기는 내통과 외통으로 되어 있고 내통에는 황산알루미늄 용액, 외통에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넣으며, 사용할 때에는 용기를 거꾸로 하면 내통이 열려서 용액이 혼합되어 이산화탄소가 발생된다. 수산화알루미늄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거품이 생기고 이산화탄소의 압력으로 거품을 방사한다. 유효 방사 범위는 5~9m, 방사 시간은 약 40초이다.
④이산화탄소 소화기는 용기 안에 액화 이산화탄소를 충전하여 사용할 때 밸브를 개방하면 이산화탄소와 드라이아이스를 방출한다. 방사 거리가 짧아 화염에 접근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으므로 화염이 커지면 사용할 수 없다. 유효 방사 범위는 1~2.5m, 방사 시간은 약 20초이다.
⑤분말 소화기는 용기에 탄산수소나트륨의 건조 분말을 넣고 따로 방사용의 소형 이산화탄소 봄베(獨 Bombe)를 부착한 것이다. 사용할 때에는 봄베의 덮개를 부수면 탄산수소나트륨 분말은 이산화탄소의 압력에 의해 노즐에서 방출되고 화열에 의해 분해되어 이산화탄소를 발생한다. 유효 방사 범위는 3~6m, 방사 시간은 약 15초이다.
⑥사염화탄소 소화기는 사염화탄소의 증발 숨은열과 공기보다 비중이 큰 것을 이용한 것으로 용기의 약 2/3만큼 사염화탄소를 넣고 나머지에 공기를 압입(압력은 7kg/cm2 정도) 한 것이다. 유효 방사 범위는 5~9m, 방사 시간은 약 40초이다.
⑦일염화일브롬화메탄 소화기는 용기의 구조는 핸드 레버식이고 일염화일브롬화메탄을 소화제로 사용한 것이다. 용기의 약 2/3만큼 일염화일브롬화메탄을 충전하고 나머지에 공기를 압입(8~9kg/cm2) 한 것이다. 유효 방사 범위는 3~6m, 방사 시간은 약 20초이다.
작은 규모의 화재에 사용하는 것으로, 전자제품의 내측 또는 전자 기기가 설치되는 함체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선행기술로 실용신안공보 제1997-06853호(1997.07.09. 공고) '자동확산 소화기의 공이침 작동장치'는 소화 약제 방출구와 중앙통공이 연통 된 헤드의 중앙상단에 실린더를 결합하여 그 내부에 공이침을 가진 승강봉을 내장시켜 스프링에 의한 탄발력을 부여하고, 승강봉의 하단을 열감지편에 의해 헤드에 지지시키는 것에 있어서, 중앙볼트와 그 양측에 잡아주는 협지볼 및 열감지납, 조임볼트가 순차적으로 끼운 감지판을 구성하여 이 감지판의 중앙볼트에 승강봉의 하단을 나사 결합시켜 승강봉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선행기술은 중앙볼트와 그 양측에 잡아주는 협지볼 및 열감지납, 조임볼트가 순차적으로 끼운 감지판을 구성되어 열에 의해 열감지납이 녹아내려 승강봉에 의해 소화기를 공이침으로 작동시키는 것이나, 상기의 열감지납이 감지판의 내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화재에 의한 열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여 열감지납이 녹아내리지 않아 초기 화재에 대응하지 못해 화재가 번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공보 제1997-06853호(1997.07.09.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 유리벌브가 깨지면서 가압 된 소화 약제가 저장된 탱크를 타격하여 소화 약제를 화재가 발생된 부분으로 비산시켜 공기를 차단함으로써 화재가 번지를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우징에 설치된 유리벌브가 화재의 열에 의해 파손되면서 하우징에 설치된 탄성체에 의해 이동부재가 이동되고, 이동부재에 결합된 타격부재에 의해 압축된 소화 약제가 저장된 탱크의 막을 파손시켜 소공간으로 가압 된 소화 약제가 퍼져 나가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소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동소화장치는, 화재 발생시 열이 유리벌브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통공 및 지지판을 가지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게 구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지지판에 결합되어 유리벌브를 고정하는 이동부재와; 이동부재가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의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부재에 결합되어 하우징에 설치되는 탄성체와; 탄성체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탄성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우징에 결합되는 텐션조정부재와; 하우징에 결합되는 마개와; 열에 파손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지지판과 이동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유리벌브와; 이동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체와; 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탱크의 입구를 타격하여 압축된 소화 약제가 비산 될 수 있도록 고정체에 나사 결합되는 타격부재; 압축된 소화 약제가 저장되어 화재 발생시 소화 약제가 압력에 의해 분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는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우징은, 열이 유리벌브로 전달되도록 형성된 통공과 이동부재 및 유리벌브가 설치되는 지지판이 형성된 몸체와; 몸체 일측에 설치되는 제1연결관과; 제1연결관이 설치된 몸체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부재는, 유리벌브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된 이동부재몸체와; 탄성력에 의해 타격부재가 이동되어 탱크의 입구를 타격할 수 있도록 이동부재몸체에 설치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리벌브는, 일측은 둥글게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뾰족하게 형성되되, 상기 둥글게 형성된 부분은 고정홈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내측 면에 고정되고, 상기 뾰족하게 형성한 끝단에서 곡면이 형성된 부분은 메인분출공의 곡면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내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격부재는, 탱크의 막을 타격하여 내측으로 인입이 용이하도록 한쪽으로만 경사지게 각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격부재의 경사진 부분은, 가로방향의 가로홈이 형성되어 탱크에 가압 된 상태로 저장된 소화 약제의 분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격부재는, 하단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 상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탱크의 막을 타격하여 용이하게 파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정체와 타격부재는, 일체로 형성되어 이동부재에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탱크는, 저부에 게이지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지결합공에는 소화 약제의 압력을 체크하여 표시하는 압력게이지가 '-'자 형상 또는 'L'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재가 분전함, 변전함, 냉장고, 서버랙 등과 같이 화재의 위험성이 큰 소공간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열기에 의해 하우징 내측에 설치된 유리벌브가 깨지면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부재가 이동하면서 타격부재가 탱크의 입구를 막고 있는 막을 파괴하여 탱크에 가압된 소화 약제가 비산되어 초기에 화재의 진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의 유리벌브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의 고정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의 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a은 본 발명에 의한 타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b는 도 10b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체와 타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의 탱크에 설치되는 압력게이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절결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가 분전반의 함체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가 분전반의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는 크게, 도 1 내지 6과같이 구성되거나, 또는 도 7 내지 9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3 내지 15와 같이 작동 및 설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의 유리벌브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의 고정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의 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a은 본 발명에 의한 타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b는 도 10b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체와 타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의 탱크에 설치되는 압력게이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절결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가 분전반의 함체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 예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가 분전반의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우징(10)에 설치된 유리벌브(60)가 화재의 열에 의해 파손되면서 하우징(10)에 설치된 탄성체에 의해 이동부재(20)가 이동되고, 이동부재(20)에 결합 된 타격부재(90)에 의해 압축된 소화 약제가 저장된 탱크(100)의 막(101)을 파손시켜 소공간으로 가압 된 소화 약제가 퍼져 나가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소공간에 설치되는 자동소화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소화장치는 하우징(10), 이동부재(20), 탄성체(30), 텐션조정부재(40), 마개(50), 유리벌브(60), 고정체(70), 타격부재(90) 및 탱크(1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유리벌브(60)로 열의 전달 및 가압 된 소화 약제가 비산 되도록 형성된 통공(11-2)과 이동부재(20) 및 유리벌브(60)가 설치되는 지지판(11-3)이 형성된 몸체(11)와, 상기 몸체(11) 일측에 설치되는 제1연결관(12)과, 상기 제1연결관(12)이 설치된 몸체(11)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제2연결관(1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11)는 상부와 하부에 나사가 형성된 결합관(11-1)이 각각 형성되어 제1연결관(12)과 제2연결관(13)이 결합 된다.
상기 통공(11-2)은 몸체(11)의 양측면에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소화 약제의 분출이 용이하도록 통공(11-2)의 입구에서 몸체(11) 쪽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통공(11-2)을 통해 비산되는 소화 약제가 넓게 확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판(11-3)은 몸체(11)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동부재(20)가 결합되는 끼움공(11-6)과 소화 약제가 분출되는 메인분출공(11-4)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분출공(11-4)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유리벌브(60)가 결합 된다.
상기 메인분출공(11-4)은 유리벌브(60)의 뾰족한 부분이 끝나는 곡면 부분의 형상과 동일하게 곡면부(11-5)가 형성되어 유리벌브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끼움공(11-6)의 사이에는 소화 약제가 분출될 수 있도록 서브분출공(11-7)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서브분출공(11-7)과 메인분출공(11-4)에 의해 소화 약제가 분출되어 통공(11-2)을 통해 비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관(12)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몸체(11)의 결합관(11-1)에 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 하부에 나사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연결관(12)의 내측 상부에는 텐션조정부재(40)가 나사 결합되어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연결관(13)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은 몸체(11)의 결합관(11-1) 및 탱크(1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에 나사가 형성되고, 원통형의 외주연에는 너트의 형상이 구성되어 탱크(100)와 결합시 공구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재(20)는 유리벌브(60)가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홈(22)을 가지며 탄성체(30)가 결합할 수 있도록 전체 형상이 'ㅗ'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이동부재몸체(21)와, 상기 이동부재몸체(21)의 일측에 반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바(23)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홈(22)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벌브(60)의 끝단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유리벌브(60) 끝단이 둥글게 형성된 모서리 부분에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바(23)의 끝단 내측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볼트(80)가 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바(23)는 몸체(11)의 지지판(11-3)에 형성한 끼움공(11-6)에 결합한다.
상기 가이드바(23)는 도 1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 형태로 복수로 구성되고, 도 5에 도시한 구성은 반원형 형상으로 복수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바(23)는 어느 한 형상에 한정하여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탄성체에 의해 이동부재(20)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도 무관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30)는 상기 이동부재(20)의 이동부재몸체(21) 일측에 결합되어 하우징(10)의 제1연결관(12)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30)는 텐션조정부재(40)에 의해 탄성력이 조절된다.
상기 텐션조정부재(40)는 탄성체(30)의 일측에 결합하여 하우징(10)의 제1연결관(12) 내측에 나사 결합한다. 상기 텐션조정부재(40)의 일측에는 일자 드라이버가 결합할 수 있도록 홈(미부호)이 형성되며, 상기 홈에 일자 드라이버가 결합하여 텐션조정부재(40)의 위치를 조절하여 탄성체(30)의 탄성력을 조절한다.
상기 마개(50)는 하우징(10)의 제1연결관(12) 일측에 결합되어 제1연결관(12)의 내측으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마개(50)는 제조회사의 스티커를 부착하거나 또는 일측에 홈을 형성하여 그 내측에 부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유리벌브(60)는 화재시 열에 의해 파손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지지판(11-3)의 메인분출공(11-4)과 이동부재(20)의 고정홈(22)에 각각 일측이 고정되어 하우징(10)의 몸체(11)에 형성한 통공(11-2)에 위치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리벌브(60)는 일측이 둥글게 형성되고 타측은 뾰족하게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재(20)의 둥글게 형성된 부분이 내측 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유리벌브(60)의 뾰족한 부분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벌브(60)의 어깨 부분, 즉 뾰족한 부분에서 본체로 연결되는 둥근 부분에 메인분출공(11-4)의 곡면부(11-5)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체(70)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소화 약제의 분출 및 타격부재(90)가 나사 결합되는 약제분출공(71)이 형성되고, 상기 약제분출공(71)의 외주에 볼트(80)가 끼워지는 복수의 결합공(72)이 형성된다.
상기 타격부재(90)는 고정체(70)의 약제분출공(71)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부(93)를 가지며 일정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된 타격돌기(91)가 형성되고, 상기 타격돌기(91)에는 소화 약제가 분출되는 약제유입구(92)가 형성되어 몸체(11)의 통공(11-2)을 통해 소화 약제가 비산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탱크(100)는 화재발생시 압력에 의해 소화 약제가 타격부재(90)의 약제유입구(92), 고정체(70)의 약제분출공(71), 몸체(11)의 메인분출공(11-4)을 통해 통공(11-2)에서 비산 될 수 있도록 가압 된 상태로 저장된다.
상기 탱크(100)는 입구에 막(101)이 형성되어 소화 약제가 가압 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탱크(100)는 하우징(10)의 제2연결관(13)에 나사 결합 된다.
상기 탱크(100)에 저장되는 소화 약제는 펜타플루오르에탄(HFC-125), 핵사플루오르프로판(HFC-227ea), 노벡 1230(NOVEC-1230)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100)의 재질은 소화 약제가 가압 된 상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내강압연 강관 및 강대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는 도 1 내지 6의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7 내지 9와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는 하우징(10), 이동부재(20), 탄성체(30), 텐션조정부재(40), 마개(50), 유리벌브(60), 고정체(70), 타격부재(90) 및 탱크(10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20), 탄성체(30), 텐션조정부재(40), 마개(50), 유리벌브(60), 고정체(70), 타격부재(90) 및 탱크(100)의 구성은 도 1 내지 6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1 내지 6의 구성과 다르게 구성되는 하우징(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의 통공(11-2) 및 지지판(11-3)이 형성되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연결관(12)와, 제1연결관(12)이 설치된 타측에 설치되는 제2연결관(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관(12)는 내측에 탄성체가 지지 될 수 있도록 일측은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지고, 타측은 막힌 상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연결관(12)의 일측이 막힌 상태로 구성되면, 탄성체(30)의 길이가 더 긴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탄성체(30)에 의해 이동되어 타격되는 타격부재(90)가 탱크(100)의 막(101)을 용이하게 파손시키므로 내부에 가압 된 상태로 저장되는 소화 약제의 분출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고정체(70)와 타격부재(90)는 도면에 도시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10 및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고정체(70)와 타격부재(9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체(70)의 하부에 타격부재(90)가 일체로 형성되어 탱크(100)의 막을 타격할 때 탄성체(30)에 의한 탄성 압력이 강하게 작용하여도 그 압력을 견고하게 견딜 수 있다. 즉 분리되거나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고정체(70)와 타격부재(90)가 일체로 형성되어 탱크(100) 내측에 가압 된 상태로 저장된 소화 약제가 분출시 주변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타격부재(90)의 약제유입구(92)로 한꺼번에 많은 양의 소화 약제가 분출되려는 강한 압력이 작용하여 통공(11-2)으로 비산이 넓게 이루어져 초동진압이 용이하다.
상기 타격부재(90)의 타격돌기(91)는 한쪽으로 경사진 부분에 가로방향으로 '⊃'자 형 가로홈(91-1)을 형성하여 막을 타격할 시에 파손된 막(101)에 의해 약제유입구(92)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가압 된 소화 약제의 분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타격부재(90)의 타격돌기(91)를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100)의 막(101)을 타격하여 내측으로 인입이 용이하도록 한쪽으로만 경사지게 각도를 형성하는 것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격부재(90)는 도 10a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10b와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0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타격부재(9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타격돌기(91)의 양측에서 하방향 중앙을 중심 쪽으로 경사지게 깎아 내어 끝단이 뾰족하게 타격돌기(91)가 형성되고, 뾰족하게 형성된 타격돌기(91)에 소화 약제가 유입될 수 있도록 약제유입구(92)가 확개된다.
상기 타격돌기(91)가 탱크(100)의 입구에 형성한 막(101)을 파손시키면서 내측으로 인입되면, 탱크(100)에 가압 된 상태로 저장된 소화 약제가 약제유입구(92)를 통해 유입되어 몸체(11)에 형성한 통공(11-2)을 통해 비산되어 초동 진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타격부재(90)의 타격돌기(91)는 하단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 상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탱크(100)의 막(101)을 타격할 시에 그 내측으로 인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하단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타격시 막(101)의 파손이 용이한 것은 물론 타격시 파손된 막(101)에 의해 약제유입구(92)가 막힐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격부재(90)는 도 6b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 즉, 원통형 관 형태로 타격돌기(91)를 구성하고, 타격돌기(91) 하단을 톱니모양이 형성되도록 하여 탱크(100)의 막을 타격 시 파손된 막(101)에 의해 약제유입구(92)가 막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약제유입구(92)로 가압 된 소화 약제의 분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타격부재(90)의 하단을 송곳과 같이 형성하고, 송곳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분에 복수의 약제유입구(92)를 형성하여 막(101)의 타격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탱크(100)의 내측으로 타격부재(90)가 인입되어 가압 된 소화 약제가 용이하게 약제유입구(92)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탱크(100)의 구성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탱크(100)의 저면에는 게이지결합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지결합공(102)에는 탱크(100) 내측에 가압 된 상태로 저장되는 소화 약제의 압력 상태를 체크 할 수 있도록 압력게이지(103)가 설치된다.
상기 압력게이지(103)는 '-'자 형상 또는 'L'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의 상태에 따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력게이지(103)가 설치되므로 탱크(100) 내부의 압력을 항상 체크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압력의 저하에 의해 소화 약제가 분출되지 않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므로 화재 발생시 초동진화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탱크의 구성은 도 12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13과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탱크(100)는 저면에 게이지결합공(102)을 다단으로 형성하고, 다단으로 형성한 게이지결합공(102)에는 탱크(100) 내측에 가압 된 상태로 저장되는 소화 약제의 압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게이지(103)가 설치된다.
상기 탱크(100)의 저부에 설치되는 압력게이지(103)는 게이지결합공(102)에 인입되도록 설치하여 탱크(100)를 바닥 또는 탁자 등에 세울 시 압력게이지(103)에 의해 방해 받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는 도 14 내지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전함, 변전함, 냉장고, 서버랙 등과 같이 소공간에 설치하여 화재의 발생시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4 내지 16은 본 발명의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를 분전반의 함체 또는 본체에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4 내지 16을 참조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소화 약제가 비산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4 내지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를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전함 함체의 내측 상부 또는 내측 측면 중 어느 한 곳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부와 측면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이동부재(20)와 몸체(11)의 지지판(11-3) 사이에 설치된 유리벌브(60)가 열에 의해 파손된다.
상기 유리벌브(60)가 파손되면, 하우징(10)의 제1연결관(12)에 설치한 탄성체(30)가 텐션조정부재(40)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탱크(100)가 설치된 방향으로만 이완되면서 이동부재(20)를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부재(20)는 몸체(11)의 지지판(11-3)에 형성된 끼움공(11-6)에 가이드 되면서 고정체(70)에 설치된 타격부재(90)를 이동시켜 탱크(100)의 입구를 막고 있는 막(101)을 파손시킨다.
상기 타격부재(90)가 막을 파손시키면서 탱크의 입구 내측으로 유입되면, 타격부재의 약제유입구와 고정체의 약제분출공을 거쳐 메인분출공을 통해 가압 상태의 소화 약제가 분출된다.
이때 비산되는 소화 약제는 메인분출공(11-4)으로 분출되어 이동부재(20)의 하단에 부딪혀 비산 됨과 동시에 메인분출공(11-4)에서 분출되면서 확개되어 비산되므로 다양한 각도로 소화 약제가 퍼져 나가기 때문에 소공간에서 발생한 화재를 빠르게 진압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는 빠르게 퍼져 나가는 소화 약제에 의해 초동 진압이 용이하여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하우징 11: 몸체
11-1: 결합관 11-2: 통공
11-3: 지지판 11-4: 메인분출공
11-5: 곡면부 11-6: 끼움공
11-7: 서브분출공 12: 제1연결관
13: 제2연결관 20: 이동부재
21: 이동부재몸체 22: 고정홈
23: 가이드바 30: 탄성체
40: 텐션조정부재 50: 마개
60: 유리벌브 70: 고정체
71: 약제분출공 72: 결합공
80: 볼트 90: 타격부재
91: 타격돌기 91-1: 가로홈
92: 약제유입구 100: 탱크
101: 막 102: 게이지결합공
103: 압력게이지

Claims (11)

  1. 화재 발생시 열이 유리벌브(60)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통공(11-2) 및 지지판을 가지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게 구성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지지판에 결합되어 유리벌브(60)를 고정하는 이동부재(20)와;
    이동부재(20)가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10)의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부재(20)에 결합되어 하우징(10)에 설치되는 탄성체(30)와;
    탄성체(3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탄성체(30)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우징(10)에 결합되는 텐션조정부재(40)와;
    하우징(10)에 결합되는 마개(50)와;
    열에 파손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지지판(11-3)과 이동부재(20) 사이에 설치되는 유리벌브(60)와;
    이동부재(20)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체(70)와;
    이동부재(20)의 이동에 의해 탱크(100)의 입구에 설치된 막(101)을 타격하여 가압 된 소화 약제가 비산 될 수 있도록 고정체(70)에 나사 결합되는 타격부재(90)와;
    압축된 소화 약제가 저장되어 화재 발생시 소화 약제가 압력에 의해 분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10) 일측에 설치되는 탱크(100);로 이루어지는 자동소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소화장치는
    하우징에 설치된 유리벌브(60)가 화재의 열에 의해 파손되면서 하우징(10)에 설치된 탄성체(30)에 의해 이동부재(20)가 이동되고, 이동부재(20)에 결합된 타격부재(90)에 의해 압축된 소화 약제가 저장된 탱크(100)의 막(101)을 파손시켜 소공간으로 가압 된 소화 약제가 퍼져 나가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열이 유리벌브(6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된 통공(11-2)과 이동부재(20) 및 유리벌브(60)가 설치되는 지지판(11-3)이 형성된 몸체와;
    몸체(11) 일측에 설치되는 제1연결관(12)과;
    제1연결관(12)이 설치된 몸체(11)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제2연결관(13);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20)는,
    유리벌브(60)가 결합 될 수 있도록 고정홈(22)이 형성된 이동부재몸체(21)와;
    탄성력에 의해 타격부재(90)가 이동되어 탱크(100)의 입구를 타격할 수 있도록 이동부재몸체(21)에 설치되는 가이드바(2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벌브(60)는
    일측은 둥글게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뾰족하게 형성되되,
    상기 둥글게 형성된 부분은 고정홈(22)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내측 면에 고정되고,
    상기 뾰족하게 형성한 끝단에서 곡면이 형성된 부분은 메인분출공(11-4)의 곡면부(11-5)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내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90)는
    탱크(100)의 막(101)을 타격하여 내측으로 인입이 용이하도록 한쪽으로만 경사지게 각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90)의 경사진 부분은,
    가로방향의 가로홈(91-1)이 형성되어 탱크에 가압 된 상태로 저장된 소화 약제의 분출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90)는,
    하단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 상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탱크(100)의 막(101)을 타격하여 용이하게 파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70)와 타격부재(90)는,
    일체로 형성되어 이동부재(20)에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100)는,
    저부에 게이지결합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지결합공(102)에는 소화 약제의 압력을 체크하여 표시하는 압력게이지(103)가 '-'자 형상 또는 'L'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100)는,
    저부에 다단으로 게이지결합공(102)이 형성되고,
    소화 약제의 압력을 체크하여 표시하는 압력게이지(103)가 게이지결합공(102)에 인입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KR1020170110421A 2017-08-30 2017-08-30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Active KR101900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421A KR101900874B1 (ko) 2017-08-30 2017-08-30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US16/107,880 US10898744B2 (en) 2017-08-30 2018-08-21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small spaces using fire extinguishing ag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421A KR101900874B1 (ko) 2017-08-30 2017-08-30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874B1 true KR101900874B1 (ko) 2018-09-21

Family

ID=6372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421A Active KR101900874B1 (ko) 2017-08-30 2017-08-30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98744B2 (ko)
KR (1) KR101900874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316A (ko) * 2019-09-18 2021-03-26 백창선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
KR102235652B1 (ko) * 2019-10-08 2021-04-05 조종혁 화재진압용 탄산음료 분출구
KR20210041385A (ko) * 2019-10-07 2021-04-15 안상수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KR102253400B1 (ko) * 2020-09-18 2021-05-18 이대규 자동 소화 장치
KR102381588B1 (ko) 2021-10-06 2022-04-01 창창한 주식회사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자동소화장치
CN114344776A (zh) * 2022-01-06 2022-04-15 浙江华神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灭火装置及制备方法
KR20220109286A (ko) 2021-01-28 2022-08-04 (주)청보 소공간에 설치된 소화기의 자동 전개장치
KR20220118651A (ko) 2021-02-19 2022-08-26 (주)페스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KR20230045987A (ko) * 2021-09-29 2023-04-05 화이어제로 주식회사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KR102549310B1 (ko) 2023-04-03 2023-06-30 주식회사 파이어캅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KR20230107963A (ko) * 2022-01-10 2023-07-18 이강호 소형 자동소화장치
KR102604793B1 (ko) 2023-04-03 2023-11-21 주식회사 파이어캅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KR102628627B1 (ko) 2023-01-05 2024-01-25 (주)대동소방 소공간용 자동 소화장치
KR102694578B1 (ko) 2023-03-31 2024-08-13 주식회사 피오에프 타격장치에 의한 초기 소화장치
KR102742525B1 (ko) 2024-07-03 2024-12-16 주식회사 명광 자동소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3793B (zh) * 2021-05-25 2022-10-04 江苏惠新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一种具有消防功能的充电桩
CZ2021309A3 (cs) * 2021-06-19 2022-12-28 Megellan, Se Automatický komunikační systém pro lokální potlačení zvyšující se teploty, případně hašení požáru v elektrických zařízeních připojených ke zdroji elektrické energi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70907Y (zh) * 2009-03-12 2009-12-30 宁波能林消防器材有限公司 灭火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1517A (en) * 1995-09-05 1996-09-03 Arsenault; Joseph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ischarge valve
AU2184599A (en) * 1998-02-04 1999-08-23 Yokoi Incorporated Sprinkler head
US9937370B2 (en) * 2013-11-06 2018-04-10 Kronebusch Industries, Llc Automatic fire extinguisher
CN106456139B (zh) * 2014-02-18 2019-10-22 麻省理工学院 组织收集针
DE202014101880U1 (de) * 2014-04-22 2014-05-13 Job Lizenz Gmbh & Co Kg Kompakte Miniatur-Feuerlösch- bzw. Brandschutzeinrichtung
CA2911790C (en) * 2014-11-14 2023-03-28 R&D Fire Solutions Inc. Pre-action sprinkler head
US10159862B2 (en) * 2015-06-30 2018-12-25 Kronebusch Industries, Llc Fire extinguisher with recessed gau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70907Y (zh) * 2009-03-12 2009-12-30 宁波能林消防器材有限公司 灭火器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316A (ko) * 2019-09-18 2021-03-26 백창선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
KR102277679B1 (ko) * 2019-09-18 2021-07-14 백창선 IoT형 가스식 자동소화장치
KR20210041385A (ko) * 2019-10-07 2021-04-15 안상수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KR102307367B1 (ko) * 2019-10-07 2021-09-30 안상수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KR102235652B1 (ko) * 2019-10-08 2021-04-05 조종혁 화재진압용 탄산음료 분출구
KR102253400B1 (ko) * 2020-09-18 2021-05-18 이대규 자동 소화 장치
KR20220109289A (ko) 2021-01-28 2022-08-04 (주)청보 소공간에 설치된 소화기의 자동 전개장치
KR20220109286A (ko) 2021-01-28 2022-08-04 (주)청보 소공간에 설치된 소화기의 자동 전개장치
KR20220109290A (ko) 2021-01-28 2022-08-04 (주)청보 소공간에 설치된 소화기의 자동 전개장치
KR20220109288A (ko) 2021-01-28 2022-08-04 (주)청보 소공간에 설치된 소화기의 자동 전개장치
KR20220109287A (ko) 2021-01-28 2022-08-04 (주)청보 소공간에 설치된 소화기의 자동 전개장치
KR20220118651A (ko) 2021-02-19 2022-08-26 (주)페스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KR20230045987A (ko) * 2021-09-29 2023-04-05 화이어제로 주식회사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KR102670581B1 (ko) * 2021-09-29 2024-06-04 화이어제로 주식회사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KR102381588B1 (ko) 2021-10-06 2022-04-01 창창한 주식회사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자동소화장치
CN114344776A (zh) * 2022-01-06 2022-04-15 浙江华神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灭火装置及制备方法
KR102614735B1 (ko) * 2022-01-10 2023-12-14 이강호 소형 자동소화장치
KR20230107963A (ko) * 2022-01-10 2023-07-18 이강호 소형 자동소화장치
KR102628627B1 (ko) 2023-01-05 2024-01-25 (주)대동소방 소공간용 자동 소화장치
KR102694578B1 (ko) 2023-03-31 2024-08-13 주식회사 피오에프 타격장치에 의한 초기 소화장치
KR102604793B1 (ko) 2023-04-03 2023-11-21 주식회사 파이어캅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KR102549310B1 (ko) 2023-04-03 2023-06-30 주식회사 파이어캅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KR102742525B1 (ko) 2024-07-03 2024-12-16 주식회사 명광 자동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47015A1 (en) 2020-02-13
US10898744B2 (en)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874B1 (ko)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CN102179019B (zh) 一种便携式洁净气体灭火器
KR101161952B1 (ko)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US6886640B1 (en) Fluid spray nozzle and fire extinguisher
CN201168363Y (zh) 灭火器结构及其定位装置
KR101252223B1 (ko) 다방향 방사노즐이 구비된 소화기
JP2018000948A (ja) 泡生成部、圧縮気体泡消火器及び圧縮気体泡消火システム
KR200344303Y1 (ko) 소화기용 분사노즐
JP5456207B2 (ja) 複数の作用物質放出能力を有するデュアルモード作用物質放出システム
JP4361590B1 (ja) 消火用ノズル装置
WO2012001774A1 (ja) 液体噴霧ノズルおよび液体噴霧システム
CN103816635A (zh) 一种超细干粉及冷气溶胶灭火系统的多孔喷头
KR101947067B1 (ko) 소방용 스프링클러
CN203379538U (zh) 一种可投掷的喷洒式灭火瓶
KR102192499B1 (ko)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KR200491282Y1 (ko)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
KR102192498B1 (ko) 연결 유로 개폐 기능을 갖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KR200445484Y1 (ko) 약제액통이 구비된 분사기
KR102056472B1 (ko)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US3204698A (en) Fire extinguisher having swivel outlet with detachable discharge horn
CN201664481U (zh) 一种气囊型便携式细水雾灭火器
KR20120071481A (ko)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
JPH0450043Y2 (ko)
CN222130846U (zh) 一种灭火器喷管组装装置
KR101562168B1 (ko) 소공간용 자동소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3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9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9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