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860B1 -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9860B1 KR101899860B1 KR1020180045374A KR20180045374A KR101899860B1 KR 101899860 B1 KR101899860 B1 KR 101899860B1 KR 1020180045374 A KR1020180045374 A KR 1020180045374A KR 20180045374 A KR20180045374 A KR 20180045374A KR 101899860 B1 KR101899860 B1 KR 1018998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oint
- joint bar
- formwork
- fixing member
- join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5—Strips for covering joints between form sections, e.g. to avoid burring or spilling of laitanc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줄눈용 거푸집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줄눈용 거푸집에 설치되는 줄눈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줄눈용 거푸집에 설치되는 줄눈바 고정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 의 줄눈바가 줄눈바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의 플로차트이다.
11:: 콘구멍 12: 줄눈
100: 거푸집 본체
200: 줄눈 형성부재
210: 줄눈바
211: 몸체부 212: 결합날개부
213: 보강판 214: 탈거홈
220: 줄눈바 고정부재
221: 중앙돌기 222: 고정날개부
223: 체결홀 224: 결합후크
225: 보강판 삽입홈 226: 고정날개 보강리브
1000: 줄눈용 거푸집
Claims (4)
- 벽체가 시공되는 위치에 다수의 철근을 이용하여 철근 기초물을 설치하는 철근 기초물 설치단계;
시공 벽체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판상의 거푸집 본체들을 연속적으로 설치한 다음, 거푸집 본체의 전면부 상에 벽체에 형성되는 줄눈의 교차 지점과 각각 대응되는 지점에 십자형(+)의 구조의 줄눈바 고정부재들을 설치한 다음 수평 및 수직방향별로 인접하게 설치된 줄눈바 고정부재에 줄눈바의 양단을 각각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줄눈용 거푸집을 제작하는 줄눈용 거푸집 제작단계;
줄눈용 거푸집 제작단계를 통해 제작된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을 철근 기초물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하는 줄눈용 거푸집 배치단계;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 사이로 콘크리트를 넣어 양생하는 콘크리트 양생단계;
상기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 D 콘, 본체 볼트, 주물 사각와셔 및 주물 너트를 제거하는 부품 제거단계; 및
상기 줄눈용 거푸집을 해체하여 거푸집 본체로부터 줄눈바와 줄눈바 고정부재를 분리하는 줄눈용 거푸집 해체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줄눈바는,
반원관(Half-pipe) 구조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소정의 폭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날개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기립 형성되어 길이조절을 위해 몸체부의 소정지점을 절단하는 경우에도 항상 존재하게 되는 보강판,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탈거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줄눈바 고정부재는,
육면체 구조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의 특정 패턴의 형상이 가공되며 중앙측에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중앙돌기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는 판형 구조로 상기 중앙돌기의 하단측에 치우친 위치에서 저면이 중앙돌기의 저면과 동일선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돌기의 각 측면에 일체 형성되는 고정날개부와, 상기 각 고정날개부의 양측 끝단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결합날개부와 후크 결합방식으로 결합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된 결합후크와, 상기 보강판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상기 각 고정날개부를 길이방향으로 양분하는 형태로 중앙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보강판 삽입홈, 및 상기 중앙돌기의 측면과 고정날개부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고정날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날개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고정날개 보강리브는,
상기 중앙돌기측에서 고정날개부의 끝단 측으로 갈수록 하향지게 경사진 쐐기형 구조로 형성되고, 고정날개부의 끝단까지 미치지 못하는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줄눈바 고정부재의 해체 시 낙하에 따른 고정날개부의 끝단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고정날개부의 끝단에 발생되는 변형을 허용함으로써 고정날개부의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줄눈바의 양단은 고정날개부에 형성된 결합후크와의 접촉에 의해 벌어진 후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어 상기 결합날개부가 걸림부에 결합됨으로써 줄눈바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줄눈용 거푸집 배치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양생단계 사이에는
세파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 간의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이격거리 확보단계;
노출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되는 콘구멍의 자리를 형성하는 D 콘을 상기 세파 볼트의 양단부에 결합시키는 D 콘 결합단계;
본체 볼트를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을 각각 통과하도록 한 후에 상기 본체 볼트를 상기 D 콘에 결합시키는 본체 볼트 결합단계;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 볼트에 끼워지게 주물 사각와셔를 체결하는 주물 사각와셔 체결단계; 및
상기 주물 사각와셔가 이탈되지 않도록 주물 너트를 체결하는 주물 너트 체결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5374A KR101899860B1 (ko) | 2018-04-19 | 2018-04-19 |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5374A KR101899860B1 (ko) | 2018-04-19 | 2018-04-19 |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9860B1 true KR101899860B1 (ko) | 2018-09-18 |
Family
ID=63718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5374A Active KR101899860B1 (ko) | 2018-04-19 | 2018-04-19 |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986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55895A (ko) | 2020-06-17 | 2021-12-24 | 정석평 | 발포 세라믹 패널을 이용한 건축 시공 구조 및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38362A (ja) * | 2007-12-04 | 2009-06-25 | Kajima Corp |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の壁の目地棒 |
KR101812565B1 (ko) * | 2017-07-27 | 2018-01-30 | 대화이앤씨건설 주식회사 |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
-
2018
- 2018-04-19 KR KR1020180045374A patent/KR10189986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38362A (ja) * | 2007-12-04 | 2009-06-25 | Kajima Corp |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の壁の目地棒 |
KR101812565B1 (ko) * | 2017-07-27 | 2018-01-30 | 대화이앤씨건설 주식회사 |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55895A (ko) | 2020-06-17 | 2021-12-24 | 정석평 | 발포 세라믹 패널을 이용한 건축 시공 구조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90001B2 (en) | Formwork panel for concrete-work shutterings | |
KR101765107B1 (ko) |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 |
KR101801270B1 (ko) |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812565B1 (ko) |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 |
KR101237333B1 (ko) |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 |
KR101854653B1 (ko) | 노출콘크리트 공법 기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770172B1 (ko) |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590180B1 (ko) | 헤드 확장형 리브와 경량체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제작 방법 | |
KR101859398B1 (ko) |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899860B1 (ko) |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 |
KR101925362B1 (ko) | 철근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101641339B1 (ko) |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 |
KR101900689B1 (ko) |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 |
KR101859406B1 (ko) |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 |
CN220279969U (zh) | 一种通用型预制墙板模具 | |
KR101859408B1 (ko) |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 | |
KR101812955B1 (ko) |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906194B1 (ko) |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 |
KR101812560B1 (ko) | 건축 시공방법 | |
KR101915184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줄눈 형성부재 | |
KR20110000140U (ko) |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의 이음부재 구조 | |
KR100959025B1 (ko) | 노출 콘크리트 패널 제조방법 | |
KR101915181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877417B1 (ko) | 옹벽 시공방법 | |
KR200357642Y1 (ko) | 인코너판넬 보강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4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9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