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98630B1 -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630B1
KR101898630B1 KR1020180021096A KR20180021096A KR101898630B1 KR 101898630 B1 KR101898630 B1 KR 101898630B1 KR 1020180021096 A KR1020180021096 A KR 1020180021096A KR 20180021096 A KR20180021096 A KR 20180021096A KR 101898630 B1 KR101898630 B1 KR 101898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ss
block
protrusion
lawn
block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수
Original Assignee
어스그린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스그린코리아(주) filed Critical 어스그린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80021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63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A01G13/0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20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6Sets of pav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1/00Planting
    • Y10S111/901Lawn or tur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잔디의 생장점과 뿌리의 보호를 통해 잔디의 고사를 방지하고 빗물의 저류와 급수를 통해 잔디의 생육 지속성을 확보함으로써 장기간의 친환경 녹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은, 잔디의 뿌리가 활착되는 활착홀(11)이 구비되며 잔디가 식재되는 블록 본체(10)와; 상기 블록 본체의 상부에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생장점 보호돌기(20)와; 상기 블록 본체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뿌리 보호돌기(30)와; 상기 블록 본체에 형성되는 저류부(12)를 포함하여, 상기 생장점 보호돌기와 뿌리 보호돌기를 통해 잔디를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저류부에 물을 저장한 후 잔디에 급수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은, 잔디의 뿌리가 활착되는 활착홀(11)이 구비되며 잔디가 식재되는 블록 본체(10)와; 상기 블록 본체의 상부에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생장점 보호돌기(20)와; 상기 블록 본체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뿌리 보호돌기(30)와; 상기 블록 본체에 상대적으로 주변보다 적은 강성으로 형성되는 접힘부(17)를 포함하여 상기 생장점 보호돌기와 뿌리 보호돌기를 통해 잔디를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블록 본체가 상기 접힘부를 통해 접혀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은, 잔디의 뿌리가 활착되는 활착홀(11)이 구비되며 잔디가 식재되는 블록 본체(10)와; 상기 블록 본체의 상부에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생장점 보호돌기(20)와; 상기 블록 본체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뿌리 보호돌기(30)와; 상기 블록 본체에 형성되는 저류부(12)와; 상기 블록 본체에 상대적으로 주변보다 적은 강성으로 형성되는 접힘부(17)를 포함하여 상기 생장점 보호돌기와 뿌리 보호돌기를 통해 잔디를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저류부에 물을 저장한 후 잔디에 급수하고 상기 블록 본체가 상기 접힘부를 통해 접혀 사용된다.

Description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 {GRASS MAT BLOCK FOR PREVENTING RAINWATER PENERATRATION AND GRASS WITHER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LAWN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잔디 매트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잔디의 생장점과 뿌리의 보호를 통해 잔디의 고사를 방지하고 빗물의 저류와 침투 및 급수를 통해 잔디의 생육 지속성을 확보하는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잔디 매트 블록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보행로(보도블록 보행로, 모래사장 등)의 포장층(보도블록, 모래 등) 하부에 설치되어 보행로의 침하를 방지하는 보행 그리드로도 사용 가능하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학교운동장, 골프장, 잔디구장 및 공원의 잔디밭 등과 같은 잔디 생육 지역에서 잔디들은 사람 또는 차량 등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밟히면서 손상되기 때문에 잔디의 개보수에 상당한 비용이 소모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잔디 생육 지역에는 사람 또는 차량 등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밟히더라도 잔디의 손상을 방지하는 잔디 보호용 메트 블록의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8037호)은 블록의 내부에 설치되며, 목화를 재료로 직조한 천염섬유 또는 헌옷을 분쇄 가공하여 압축한 섬유층 또는 야자
나무 열매껍질로 만든 천연섬유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위에 포설되어 잔디에 수분 및 영양을 공급하되, 코코넛 열매 분쇄물, 왕겨, 톱밥, 휴믹산, 축분, 짚 및 풀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2종이상의 재료로 만든 퇴비, 폐지 또는 폐펄프를 건조 압축시킨 것, 피트모스, 전지목 파쇄물, 폐한약재, 수피(바크), 숯가루, 분쇄한 맥반석, 질석 및 퍼라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광물질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발효, 숙성시킨 영양층 및 상기 영양층에 착근되어 성장하는 잔디층을 포함하는 천연잔디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외곽틀의 내측에 격벽을 두어 상기 영양층이 설치되어 상기 잔디층이 성장하도록 하는 식재부를 형성하되, 상기 격벽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베이스층이 설치되는 공간부를 갖추고, 상기 격벽의 하부에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구를 구비하여 잔디의 뿌리를 보호하며, 상기 외곽틀의 일측 및 타측에 수연결구 및 암연결구를 형성하여서 된 연결구가 구비된 천연잔디 블록으로서, 잔디의 생장점을 보호하는 구성이 없고 구조적으로 물을 저장하지 못하여 잔디의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고, 시공 현장의 슬로프에 따른 대안이 없어 시공성이 좋지 못하며 예를 들어 평지와 경사지 부분에서 들뜸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803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잔디의 생장점과 뿌리의 보호를 통해 잔디의 고사를 방지하고 빗물의 저류와 급수를 통해 잔디의 생육 지속성을 확보하는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잔디의 생장점과 뿌리의 보호를 통해 잔디의 고사를 방지하고 빗물의 저류와 급수를 통해 잔디의 생육 지속성을 확보하는 한편 시공 현장의 슬로프에 맞는 용이한 시공이 가능한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은, 잔디의 뿌리가 활착되는 활착홀이 구비되며 잔디가 식재되는 블록 본체의 상부에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생장점 보호돌기와; 상기 블록 본체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뿌리 보호돌기와; 상기 블록 본체에 형성되는 저류부를 포함하여, 상기 생장점 보호돌기와 뿌리 보호돌기를 통해 잔디를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저류부에 물을 저장한 후 잔디에 급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은, 잔디의 뿌리가 활착되는 활착홀이 구비되며 잔디가 식재되는 블록 본체의 상부에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생장점 보호돌기와; 상기 블록 본체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뿌리 보호돌기와; 상기 블록 본체에 상대적으로 주변보다 적은 강성으로 형성되는 접힘부를 포함하여 상기 생장점 보호돌기와 뿌리 보호돌기를 통해 잔디를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블록 본체가 상기 접힘부를 통해 접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은, 잔디의 뿌리가 활착되는 활착홀이 구비되며 잔디가 식재되는 블록 본체의 상부에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생장점 보호돌기와; 상기 블록 본체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뿌리 보호돌기와; 상기 블록 본체에 형성되는 저류부와; 상기 블록 본체에 상대적으로 주변보다 적은 강성으로 형성되는 접힘부를 포함하여 상기 생장점 보호돌기와 뿌리 보호돌기를 통해 잔디를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저류부에 물을 저장한 후 잔디에 급수하고 상기 블록 본체가 상기 접힘부를 통해 접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에 의하면, 블록 본체가 잔디의 뿌리가 지중에 활착하는 것과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막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잔디를 균일한 높이로 유지하고 생장점 보호돌기와 뿌리 보호돌기를 통해 잔디의 생장점과 뿌리를 답압으로부터 보호하여 잔디에 의한 친환경 녹화를 오랫동안 지속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빗물을 저장한 후 잔디와 토양에 급수하여 토양 안정화의 효과도 있다.
그리고, 잔디 매트 블록의 휨 강성 변화를 통해 슬로프에 맞는 각도로 자유롭게 접힘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도 있다.
또한, 간단한 인터록킹 구조를 이용하여 조립 및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뿐만 아니라 부분 교체가 가능하여 보수성도 매우 우수하다.
또한, 잔디 매트 블록의 설치 시 토양이 잔디 매트 블록에 응집되어 잔디 매트 블록이 흔들림없이 설치됨으로써 잔디 포장의 밀림과 유실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이는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이 슬로프를 따라 시공되는 예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이 연결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의 시공 상태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100)(이하 "매트 블록"이라 약칭함)은, 잔디(1)(도 6에 도시됨)가 안착되는 블록 본체(10), 블록 본체(1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잔디(1)의 생장점을 보호하는 생장점 보호돌기(20), 블록 본체(10)의 저부에 돌출 형성되며 잔디(1)의 뿌리를 보호하는 뿌리 보호돌기(30)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블록 본체(10)는 잔디(1)를 저부에서 받쳐 지지할 수 있는 사각형의 판재 형태로서 잔디(1)의 뿌리가 지중에 활착되고 빗물이 침투하도록 상하로 관통하는 다수의 활착홀(11)이 구성된다.
활착홀(11)은 도면에 도시된 원형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사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매트 블록(100)은 물(빗물 등)을 저장하는 저류부(12)가 구성된다.
저류부(12)는 블록 본체(10)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오목한 공간이며, 예를 들어 활착홀(11)의 둘레부에 형성된다. 즉, 활착홀(11)에는 내측의 벽(턱)이 활착홀(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내측의 벽으로부터 외측에 외측의 벽(턱)이 형성됨으로써 저류부(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저류부(12)는 활착홀(11)의 둘레부에 띠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내측의 벽은 활착홀(11)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고 활착홀(11)이 원형인 경우 내측의 벽은 원형이고 외측의 벽은 6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록 본체(10)는 토사의 응집(밀도 증가)을 통해 매트 블록(100)이 지반에 안정적으로 정착되도록 지반응집부(13)가 구성된다.
지반응집부(13)는 활착홀(11) 주변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토사가 상부로 가면서 응집되도록 상부로 가면서 좁아지는 공간을 만드는 형태이다.
또한, 매트 블록(100)이 지반에 설치된 상태에서 흔들림없이 정착 상태를 유지하여 결과적으로 잔디(1)가 움직이는 것을 막고 유실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네일(40)이 사용된다.
네일(40)은 매트 블록(100)을 지반에 정착할 수 있는 모든 제품이 사용 가능하며, 블록 본체(10)는 네일(40)의 고정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정착부(12)가 포함된다.
정착부(14)는 네일(40)이 상하로 관통하는 정착홀(14a)을 갖는 판의 형태이고, 예를 들어 블록 본체(10)의 중앙과 사각의 모서리 총 5개가 구성될 수 있다.
활착홀(11)은 뿌리의 활착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이고, 정착부(14)의 정착홀(14a)은 네일(40)을 정착할 수 있는 적절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정착부(14)를 통해서도 뿌리의 활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나 이상의 활착홀(114b)이 구성된다.
정착부(14)에 형성되는 활착홀(14b)은 상하로 관통하는 구멍이며 정착홀(14a)의 둘레부에 형성될 수 있다.
블록 본체(10)의 휨 강성 증대를 위하여 블록 본체(10)의 테두리가 안쪽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예를 들어 블록 본체(10)의 테두리에 안쪽보다 두꺼운 보강띠(15)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트 블록(100)은 취급(제조, 보관, 운반 등)의 편리함을 위하여 적절한 크기로 제조되며 시공 현장에서 시공 현장의 크기에 맞춰 다수개가 사용된다. 이 때, 다수의 매트 블록(100)이 독립적으로 떨어져 있으면 적은 외력에 의해서도 매트 블록(100)이 설치 위치를 벗어나고 결과적으로 잔디 포장이 유실될 수 있으므로 매트 블록(100)들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록킹부(16)가 구성된다.
인터록킹부(16)는 블록 본체(10)의 둘레부에 다수개가 형성되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을 갖는 돌기의 형태가 가능하다. 물론, 인터록킹부(16)는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구조와 수량이 가능하며, 단, 매트 블록(100)들이 연결될 때 동일 라인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참고).
인터록킹부(14)의 구조 상 매트 블록(100)을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 끼우는 작업을 통해 매트 블록(100)들을 연결하며, 따라서, 병해충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 교체가 필요한 부분의 매트 블록(100)만 상부로 빼낸 후 새로운 매트 블록(100)을 끼우는 것으로 보수 작업이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매트 블록(100)이 설치되는 시공 현장은 운동장과 같은 평평한 부지, 도로 변의 사면 등 다양하며, 따라서 평지와 경사지 모두 시공이 가능하도록 접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블록 본체(10)의 중앙부에 좌우 양쪽 구간보다 강성이 적은 접힘부(17)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블록 본체(10)는 중앙에, 활착홀(11)들 사이에 타구간보다 두께가 얇은 접힘부(17)가 형성된다.
또한, 접힘부(17)는 일정 폭의 면적으로 활착홀(11)들 사이에 형성되는 형태는 물론, 다른 예로서 노치(notch) 형태도 가능하다.
접힘부(17)는 접힘부(17)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의 경사가 다르도록 하는 것인데, 평지에서 좌우 양쪽의 경사가 임의로 바뀌게 되면 잔디 포장의 불량이 발생하므로 접힘부(17)가 접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연결부(18)가 구성된다.
연결부(18)는 접힘부(17)의 양쪽과 연결 예를 들어 접힘부(17)의 양쪽에 있는 인터록킹부(16)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띠 형태이다. 따라서, 평지에서 사용할 때에는 연결부(18)를 통해 접힘부(17)의 양쪽을 연결한 상태로 하여 접힘부(17)가 접히지 않도록 하고, 접힘부(17)를 접을 때에는 연결부(18)를 절단하여 접힘부(17)의 양쪽을 접히도록 한다.
생장점 보호돌기(20)는 보행자 등이 잔디(1)를 밟을 때 잔디에 가해지는 압력(답압)에 의해 잔디(1)의 생장점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활착홀(11)들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블록 본체(10)에 상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높이는 잔디(1)의 생장점에 답압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높이다.
생장점 보호돌기(20)는 생장점의 보호 측면에서 볼 때 다양한 형상(원형, 각형 등)이 가능하지만, 여러 방향의 토압에 대한 버팀강성의 확보를 위하여 바람직하게 3개 이상의 돌기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방사형 구조의 생장점 보호돌기(20)는 빗물의 저류가 가능한 효과도 도출한다.
생장점 보호돌기(20)는 저부가 상부보다 큰 하중을 받는 것을 고려하여 저부가 상부보다 큰 단면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상부가 저부보다 뾰족하기 때문에 잔디(1)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효과도 도출한다.
생장점 보호돌기(20)들은 상호 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생장점 보호돌기(20)이 잔디(1)의 뿌리가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막지 않도록 생장점 보호돌기(20)들의 사이에는 뿌리포복 유도부(21)가 형성된다.
생장점 보호돌기(20)들의 간격은 발이 빠지지 않을 정도의 간격이다.
뿌리포복 유도부(21)는 생장점 보호돌기(20)들 사이가 막힌 경우 공간을 의도적으로 확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고, 즉, 뿌리포복 유도부(21)들 사이의 빈 공간인 것이다.
뿌리 보호돌기(30)는 보행자 등이 보행할 때 매트 블록(100)을 밟더라도 잔디(1)의 뿌리가 눌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블록 본체(10)의 저면에 저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뿌리 보호돌기(30)는 바람직하게 생장점 보호돌기(20)와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하중에 대한 강성을 증대한다.
뿌리 보호돌기(30)는 지반에 대한 정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저부로 가면서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생장점 보호돌기(20)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3개 이상의 돌기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매트 블록(100)은 바람직하게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재질로 하며, 물론, 동등 이상의 다양한 재질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매트 블록(100)은 블록 본체(10)와 생장점 보호돌기(20)와 뿌리 보호돌기(30)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저류부(12)와 접힘부(14)가 조합되는 예, 저류부(12)만 포함된 예, 접힘부(14)만 포함된 예 모두가 가능하고, 저류부(12)가 없는 예도 블록 본체(10)와 생장점 보호돌기(20) 및 뿌리 보호돌기(30)의 구조만으로도 빗물의 저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을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은 기본형(도 6), 빗물저류조(빗물저금통) 조합형(도 7), 습도유지형(도 8, 도 9)이 있다.
1. 기본형.
기본형은 원지반층(2) - 조경토층(3) - 마사토층(4) - 그린층(5)의 시공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원지반의 표면 다짐 등을 통해 원지반층(2)을 시공한다.
원지반층(2) 위에 조경토를 포설(예를 들어 100~150mm의 두께)하여 조경토층(3)을 시공한다.
조경토층(3) 위에 마사토(또는 모래)를 포설(70~100mm의 두께)하여 마사토층(4)을 시공한다. 마사토층(4)은 본 발명에 의한 매트 블록(100)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는 층이다.
마사토층(4) 위에 본 발명에 의한 매트 블록(100)을 설치하고 잔디(1)를 매트 블록(100)에 넣거나 잔디씨가 혼합된 배양토를 매트 블록(100)에 충진하여 그린층(5)을 시공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매트 블록(100)을 마사토층(4)에 올린 후 눌러 뿌리 보호돌기(30)가 마사토층(4)에 삽입 정착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블록 본체(10)는 마사토층(4)의 표면 위에 있고 뿌리 보호돌기(30)가 마사토층(4) 안에 삽입되어 정착된다.
매트 블록(100)을 눌러 정착하는 것은 다수의 매트 블록(100)을 연결한 후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수의 매트 블록(100)이 함께 사용될 것이며, 인터록킹부(16)를 통해 이웃하는 매트 블록(100)들을 서로 연결하여 잔디 포장면의 면적에 맞는 크기의 그린층(5)을 시공한다.
2. 빗물 저류조 조합형.
빗물 저류조(빗물저금통) 조합형은 기본형에 빗물저금통(7)을 조합한 것이며, 원지반층(2) - 조경토층(3) - 부직포층(6) - 마사토층(4) - 그린층(5)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지고, 부직포층(6) 아래에서부터 원지반층(2)에 걸쳐 하나 이상의 빗물저금통(7)이 설치된다.
조경토층(3)과 마사토층(4) 및 그린층(5)은 기본형과 동일하고, 빗물저금통(7)은 예를 들어 6리터 또는 8리터 용량의 기성품으로서 빗물을 저장한다.
3. 습도유지형.
습도유지형은 기본형에 습도유지를 위한 습도유지재{보온덮개(8-1)(도 8), 야자매트(8-2)(도 9)}가 추가되는 것이다.
조경토층(3)과 마사토층(4) 및 그린층(5)은 기본형과 동일하고, 조경토층(3)과 마사토층(4) 사이에 습도유지재를 깔아 설치한다.
본 발명의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100)을 이용하여 시공된 잔디 포장면에 따르면, 매트 블록(100)을 눌러 설치할 때 마사토가 지반응집부(14)를 통해 응집되기 때문에 매트 블록(100)과 지반이 빈틈없이 시공되므로 매트 블록(100)의 움직임이 없고 따라서 잔디 포장을 장기간 동안 시공 상태로 유지한다. 아울러, 잔디(1)는 생장점이 생장점 보호돌기(20)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보행자가 매트 블록(100)을 밟고 보행할 때 답압이 발생하지만 생장점이 눌리지 않아 잔디(1)의 고사를 방지하고 잔디(1)의 원활한 성장을 유도한다.
또한, 잔디(1)의 뿌리가 뿌리 보호돌기(30)에 의해 눌리지 않게 되어 뿌리가 넓게 퍼지면서 지중에 안정적으로 활착된다.
1 : 잔디, 10 : 블록 본체
11 : 활착홀, 12 : 저류부
13 : 지반응집부, 14 : 정착부
15 : 보강띠, 16 : 인터록킹부
17 : 접힘부, 18 : 연결부
20 : 생장점 보호돌기, 30 : 뿌리 보호돌기

Claims (15)

  1. 잔디의 뿌리가 활착되는 활착홀(11)이 구비되며 잔디가 식재되는 블록 본체(10)와;
    상기 블록 본체의 상부에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생장점 보호돌기(20)와;
    상기 블록 본체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뿌리 보호돌기(30)와;
    상기 블록 본체에 상대적으로 주변보다 적은 강성으로 형성되는 접힘부(17)와;
    상기 접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양쪽에 각각 연결되며 평지에서 사용 시 상기 접힘부가 접히지 않도록 하는 한편 절단에 의해 상기 접힘부가 접히도록 하는 연결부(18)를 포함하여 상기 생장점 보호돌기와 뿌리 보호돌기를 통해 잔디를 보호하고 상기 블록 본체가 상기 접힘부를 통해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2. 삭제
  3. 잔디의 뿌리가 활착되는 활착홀(11)이 구비되며 잔디가 식재되는 블록 본체(10)와;
    상기 블록 본체의 상부에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생장점 보호돌기(20)와;
    상기 블록 본체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뿌리 보호돌기(30)와;
    상기 블록 본체에 형성되는 저류부(12)와;
    상기 블록 본체에 상대적으로 주변보다 적은 강성으로 형성되는 접힘부(17)와;
    상기 접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양쪽에 각각 연결되며 평지에서 사용 시 상기 접힘부가 접히지 않도록 하는 한편 절단에 의해 상기 접힘부가 접히도록 하는 연결부(18)를 포함하여 상기 생장점 보호돌기와 뿌리 보호돌기를 통해 잔디를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저류부에 물을 저장한 후 잔디에 급수하고 상기 블록 본체가 상기 접힘부를 통해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는 저면에 상부로 가면서 좁아지는 공간을 형성하여 지반을 응집하는 지반응집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반응집부는 상기 활착홀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상대적으로 주변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7. 삭제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는 상기 활착홀의 둘레부에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인터록킹부를 포함하여 다수개가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에 형성되며 네일이 정착되도록 하는 정착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생장점 보호돌기와 뿌리 보호돌기 중 하나 이상은 3개 이상의 돌기가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여러방향의 토압에 대한 버팀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12. 원지반 위에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의한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을 설치하고, 상기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에 잔디를 식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을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원지반 위에 조경토를 포설하여 조경토층을 시공하고, 상기 조경토층 위에 마사토 또는 모래를 포설하여 마사토층을 시공하며, 상기 마사토층 위에 상기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을 설치한 후 잔디를 식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을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마사토층 위에 부직포를 깔아 부직포층을 시공하고, 상기 부직포층 아래에서부터 원지반에 걸쳐 빗물저류조를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빗물을 저장하여 급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을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마사토층 위에 습도유지재를 깔아 지반의 습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을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
KR1020180021096A 2018-02-22 2018-02-22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 Active KR101898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096A KR101898630B1 (ko) 2018-02-22 2018-02-22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096A KR101898630B1 (ko) 2018-02-22 2018-02-22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630B1 true KR101898630B1 (ko) 2018-10-04

Family

ID=6386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096A Active KR101898630B1 (ko) 2018-02-22 2018-02-22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6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140A (ko) * 2018-10-17 2020-04-27 어스그린코리아(주) 다기능 가로수 보호 기구
KR20200109992A (ko) 2019-03-15 2020-09-23 어스그린코리아(주) 이중 사출 잔디 보호 매트 블록
KR20210011112A (ko) * 2019-07-22 2021-02-01 어스그린코리아(주)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CN113317140A (zh) * 2021-07-01 2021-08-31 湖北华域地景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地景园林拼接式草坪底盘
EP4464842A1 (fr) * 2023-05-17 2024-11-20 Permab Dalle de stabilisation de sol à alvéoles conçues pour contenir un matériau de comblemen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140A (ko) * 2018-10-17 2020-04-27 어스그린코리아(주) 다기능 가로수 보호 기구
KR102144279B1 (ko) * 2018-10-17 2020-08-13 어스그린코리아(주) 다기능 가로수 보호 기구
KR20200109992A (ko) 2019-03-15 2020-09-23 어스그린코리아(주) 이중 사출 잔디 보호 매트 블록
KR20210011112A (ko) * 2019-07-22 2021-02-01 어스그린코리아(주)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KR102318575B1 (ko) * 2019-07-22 2021-10-28 어스그린코리아(주)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CN113317140A (zh) * 2021-07-01 2021-08-31 湖北华域地景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地景园林拼接式草坪底盘
CN113317140B (zh) * 2021-07-01 2022-06-17 湖北华域地景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地景园林拼接式草坪底盘
EP4464842A1 (fr) * 2023-05-17 2024-11-20 Permab Dalle de stabilisation de sol à alvéoles conçues pour contenir un matériau de comblement
FR3148795A1 (fr) * 2023-05-17 2024-11-22 Sas Guyomar Paysage & Pepinieres Dalle de stabilisation de sol à alvéoles conçues pour contenir un matériau de combl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630B1 (ko)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
US6178690B1 (en) Plant cultivation mat and method for laying the same
US5189833A (en) Turf-growing process
US7392616B1 (en) Modular field planting system
US9015992B1 (en) Prevegetated blanket
JP3813934B2 (ja) 緑化体
KR101583664B1 (ko)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
US7752805B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enabling tree root growth beneath adjacent surfaces
JP2009077687A (ja) 緑化駐車場
JP3506371B2 (ja) 擁壁緑化ブロックおよび擁壁緑化構造
JP2003102278A (ja) 底面灌水ユニットとこれを用いた中央分離帯及び底面灌水プランター
KR102141237B1 (ko) 조립식 식생 수로
JPH0523061A (ja) 匍匐植物保護材
JP2631958B2 (ja) スポーツグラウンド用排水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多孔質層形成ユニット、スポーツグラウンド用排水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パイプユニット並びにスポーツグラウンドの施工方法
JP3890532B2 (ja) 多目的緑化盤及び緑化方法
JP2546563Y2 (ja) 人工植物栽培床
KR102617557B1 (ko)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
JP3338977B2 (ja) 樹木の保護装置
JP3251188U (ja) 法面の緑化構造
JP3390861B2 (ja) 植栽可能な壁面緑化構造
JP2824472B2 (ja) 植物栽培用人工床
JP2006014681A (ja) 緑化基盤構造及び緑化基盤システム
JPH11313560A (ja) 植物保護構造
JP2023102118A (ja) 植物保護材
KR100965294B1 (ko)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