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189B1 -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Google Patents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6189B1 KR101896189B1 KR1020170108753A KR20170108753A KR101896189B1 KR 101896189 B1 KR101896189 B1 KR 101896189B1 KR 1020170108753 A KR1020170108753 A KR 1020170108753A KR 20170108753 A KR20170108753 A KR 20170108753A KR 101896189 B1 KR101896189 B1 KR 1018961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 seat
- stroller
- main body
- ca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 등의 경사진 이동보도에서 유모차의 기울기 값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전륜 캐스터와 후륜 캐스터 간의 높이차에 대응되게 수평조절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유모차의 수평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모차의 수평도 유지시 전자석부재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부착되어 유모차의 불필요한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이동보도의 경사에도 미끄러지거나 전복되지 않게 되며 쏠림현상이 해결되어 유모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측정된 수평도의 측정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자력인가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에서 지지프레임과 시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의 제어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임.
도 4의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의 수평조절부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a)는 수평조절부의 길이가 연장된 상태이고, (b)는 수평조절부의 길이가 축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에서 전자석부재가 수평조절부에 각각 구비된 것을 도시한 실시 예의 도면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에서 에스컬레이터의 단차져 있는 스텝에 의한 경사 구획부 상에 위치한 수평조절부 및 바퀴의 상태와 전자석부재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임.
도 7은 에스컬레이터 진입 전후의 수평 구획부 상에 위치한 수평조절부 및 바퀴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 상태의 도면임.
도 8은 에스컬레이터의 단차져 있는 스텝에 의한 경사 구획부 상에 위치한 수평조절부 및 바퀴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 상태의 도면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를 도시한 도면임.
제어부는 자력해제신호를 받으면 자력인가신호를 차단하여 전자석부재가 스텝으로부터 떨어지게 한다. 이때, 자력해제신호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일 수도 있고, 입력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일 수도 있으며, 센서에 측정된 수평도의 역 기울기 값이 측정될 경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일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0)로부터 자력인가신호가 차단되면 전자석부재(500)는 자기장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부착되었던 스텝으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아울러 역 구동신호를 받은 제 1. 제 2 수평조절부(401,402)는 모터를 역구동시켜 길이를 수축시킨다. 즉,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으로부터 하차한 유모차의 전륜 캐스터는 지면에 놓이게 되고, 제 1, 제 2 수평조절부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어 평지에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한다.
120: 지지프레임 121: 측면프레임
121a: 상부프레임 121b: 하부프레임
122: 수평프레임 123: 가이드레일
124: 격벽 125: 거치대
126: 모터 127: 핸들부
128: 스위치 130: 시트
131: 시트 고정바 132: 구름부재
133: 댐퍼 134: 댐퍼로드
140: 손잡이 150: 태양광모듈
151: 축전지 200: 센서
300: 제어부 400: 수평조절부
410: 고정 케이싱 411: 제 1 중공부
412: 체결돌기 420: 모터
421: 모터축 422: 숫나사산
430: 기동 케이싱 431: 제 2 중공부
432: 암나사산 433: 안내홈
500: 전자석부재(전자석 바)
Claims (14)
- 전, 후륜 캐스터가 구비된 지지프레임에 유아가 앉을 수 있는 시트가 장착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수평도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 측정된 수평도의 측정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수평조절신호 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전, 후륜 캐스터에 각각 인접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평조절신호를 받으면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조절부; 및 상기 수평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자력인가신호를 받으면 자기장이 형성되어 금속재질의 바닥에 고정되는 전자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시트의 중앙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측면프레임이 상기 시트의 좌,우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시트는 좌,우 측면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시트를 고정시키는 시트 고정바가 상기 시트 상단의 좌,우측과 하단의 전방 좌,우측 및 후방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면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측면프레임에는 상기 시트 고정바가 결합되는 위치의 일정구간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 고정바의 말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구름운동하는 구름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시트 고정바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타고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전, 후륜 캐스터가 구비된 지지프레임에 유아가 앉을 수 있는 시트가 장착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수평도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 측정된 수평도의 측정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수평조절신호 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전, 후륜 캐스터에 각각 인접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평조절신호를 받으면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조절부; 및 상기 수평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자력인가신호를 받으면 자기장이 형성되어 금속재질의 바닥에 고정되는 전자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시트의 중앙을 중심축으로 하는 호 형상의 측면프레임들과 상기 측면프레임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들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시트는 측면프레임들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시트를 고정시키는 시트 고정바가 상기 시트 상단의 좌,우측, 하단의 전방 좌,우측 및 후방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면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측면프레임에는 상기 시트 고정바가 결합되는 위치의 일정구간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 고정바의 말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구름운동하는 구름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시트 고정바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타고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측정된 수평도의 측정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자력인가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된 한 쌍의 전륜 캐스터에 각각 인접하여 결합된 제 1, 제 2 수평조절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된 한 쌍의 후륜 캐스터에 각각 인접하여 결합된 제 3, 제 4 수평조절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자석부재는 상기 제 1, 제 2, 제 3, 제 4 수평조절부의 기동케이싱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수평조절부는 상기 전, 후륜 캐스터에 인접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 하단에 각각 결합되고 내부에 기동 케이싱의 활주 경로로 사용되는 제 1 중공부가 형성되어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의 고정 케이싱과,
상기 고정 케이싱의 제 1 중공부 상부에 배치되고 자유단 외주면 둘레에 숫나사산을 형성한 모터축을 하향으로 뻗게 하는 모터와,
상기 제 1 중공부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상기 모터축의 삽입을 허용하고 내주면 둘레에 암나사산을 형성한 제 2 중공부를 갖춰 상부를 개방한 관 형상의 상기 기동 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된 한 쌍의 전륜 캐스터에 각각 인접하여 결합된 제 1, 제 2 수평조절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된 한 쌍의 후륜 캐스터에 각각 인접하여 결합된 제 3, 제 4 수평조절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자석부재는 전륜 캐스터 측에 배치된 제 1, 제 2 수평조절부의 기동케이싱 하단에 연결되어 제 1, 제 2 수평조절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전자석 바와, 후륜 캐스터 측에 배치된 제 3, 제 4 수평조절부의 기동케이싱 하단에 연결되어 제 1, 제 2 수평조절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전자석 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수평조절부는 상기 전, 후륜 캐스터에 인접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 하단에 각각 결합되고 내부에 기동 케이싱의 활주 경로로 사용되는 제 1 중공부가 형성되어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의 고정 케이싱과,
상기 고정 케이싱의 제 1 중공부 상부에 배치되고 자유단 외주면 둘레에 숫나사산을 형성한 모터축을 하향으로 뻗게 하는 모터와,
상기 제 1 중공부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상기 모터축의 삽입을 허용하고 내주면 둘레에 암나사산을 형성한 제 2 중공부를 갖춰 상부를 개방한 관 형상의 상기 기동 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케이싱에는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케이싱에는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에는 상기 시트 고정바의 양 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 고정바의 슬라이딩시 부드러운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속도를 조절하는 댐퍼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부에는 상기 본체를 밀고 당기거나 본체의 방향을 조정하는 손잡이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상부의 상기 좌,우 측면프레임 사이에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광모듈이 더 구비되고, 상기 태양광모듈의 일측에는 상기 태양광모듈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여 공급전원으로 사용하는 축전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면 중앙을 가로질러 거치대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에는 모터축이 상부를 향하도록 모터가 거치되며, 상기 모터축에는 본체를 밀고 당기거나 본체의 방향을 조정하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핸들부가 결합되되,
상기 핸들부에는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신호를 받아 구동하며, 상기 핸들부는 상기 모터의 구동시 상기 모터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손잡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 상면과 전방에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광모듈이 더 구비되고, 상기 태양광모듈의 일측에는 상기 태양광모듈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여 공급전원으로 사용하는 축전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8753A KR101896189B1 (ko) | 2017-08-28 | 2017-08-28 |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PCT/KR2017/013667 WO2019045181A1 (ko) | 2017-08-28 | 2017-11-28 |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8753A KR101896189B1 (ko) | 2017-08-28 | 2017-08-28 |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6189B1 true KR101896189B1 (ko) | 2018-09-07 |
Family
ID=6359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8753A Expired - Fee Related KR101896189B1 (ko) | 2017-08-28 | 2017-08-28 |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6189B1 (ko) |
WO (1) | WO201904518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05191A (ko) * | 2022-01-03 | 2023-07-11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동 중에도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 탑박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26271B (zh) * | 2019-11-25 | 2023-02-03 | 魏宏帆 | 座椅装置以及支撑装置 |
CN112208610A (zh) * | 2020-10-21 | 2021-01-12 | 皖江工学院 | 可自动平衡的婴儿车及其工作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2554Y1 (ko) | 2004-11-19 | 2005-04-22 | 정병조 | 유모차 |
KR200483525Y1 (ko) | 2016-10-20 | 2017-05-25 | 김도훈 |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96767A (en) * | 1996-12-03 | 1999-12-07 | Sunwa Ltd. | Wheelchair transporter for use on an escalator and an escalator control system for transporting the wheelchair transporter on the escalator |
JP2002332186A (ja) * | 2002-03-18 | 2002-11-22 | Satoshi Iwamoto | エスカレータ用台車 |
JP2005087720A (ja) * | 2003-08-14 | 2005-04-07 | Satoshi Takagi | 車椅子及びベビーカー又は荷物運搬車をエスカレーターに乗せる装置 |
EP2114747B1 (en) * | 2007-02-19 | 2015-01-28 | Thorley Industries | Stroller |
-
2017
- 2017-08-28 KR KR1020170108753A patent/KR10189618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7-11-28 WO PCT/KR2017/013667 patent/WO201904518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2554Y1 (ko) | 2004-11-19 | 2005-04-22 | 정병조 | 유모차 |
KR200483525Y1 (ko) | 2016-10-20 | 2017-05-25 | 김도훈 |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05191A (ko) * | 2022-01-03 | 2023-07-11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동 중에도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 탑박스 |
KR102692456B1 (ko) * | 2022-01-03 | 2024-08-05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동 중에도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 탑박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045181A1 (ko) | 2019-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51052B2 (en) | Patient transfer apparatus with integrated tracks | |
US10744049B2 (en) | Patient transfer apparatus | |
KR101207997B1 (ko) | 파워 보행기 | |
KR101896189B1 (ko) |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
WO2015196942A1 (zh) | 多功能无障碍出行电动轮椅 | |
KR20090103357A (ko) | 계단 주행이 가능한 휠체어 및 그 바퀴 | |
US20130168931A1 (en) | Indoor Walker | |
KR101215285B1 (ko) | 턱이 있는 보도에서도 주행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 |
CN111494109B (zh) | 一种爬楼梯轮椅 | |
KR20110093053A (ko) | 다기능 전동체어 | |
KR200483525Y1 (ko) |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 |
CN110251373A (zh) | 具有辅助起身及坐下功能的行走助力器 | |
KR20200037610A (ko) | 수평 유지 기능을 갖는 휠체어 | |
KR101750193B1 (ko) | 전동 휠체어 | |
KR101694855B1 (ko) | 경사로용 휠체어 보조장치 | |
KR20160092112A (ko) | 휠체어용 자세 유지 장치 | |
KR102381643B1 (ko) |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 |
US20220133559A1 (en) | Motorised mobility device | |
JP2004267571A (ja) | 車椅子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椅子本体 | |
KR101413045B1 (ko) | 수평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 |
CN212631080U (zh) | 一种爬楼梯轮椅 | |
JP2004166843A (ja) | 歩行支援器具 | |
JP2002178930A (ja) | 階段走行可能な運搬車 | |
KR101537907B1 (ko) | 다기능 휠체어 | |
KR101241754B1 (ko) | 다기능 전동 휠체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