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96106B1 -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 - Google Patents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106B1
KR101896106B1 KR1020160142277A KR20160142277A KR101896106B1 KR 101896106 B1 KR101896106 B1 KR 101896106B1 KR 1020160142277 A KR1020160142277 A KR 1020160142277A KR 20160142277 A KR20160142277 A KR 20160142277A KR 101896106 B1 KR101896106 B1 KR 101896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oil
pack
support
high viscos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476A (ko
Inventor
석창현
양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닉
Publication of KR20170052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10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지지체의 적어도 일면에 지지체의 면적 당 0.2 내지 2 g/cm2 양으로 0.2MPa 내지 1.0MPa의 압력으로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METHOD FOR PREPARING HIGH VISCOSITY COMPOSITION PACK AND HIGH VISCOSITY COMPOSITION PACK PREPA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팩으로 제형화가 용이하지 않은 높은 점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균일하고 안정적인 팩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과도한 스트레스, 공해, 불규칙한 식생활 등으로 인하여 만성 피로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외부 환경 요인으로 여드름, 아토피, 색소 이상, 노화 촉진, 수분 부족, 감염성 피부질환 등 다양한 피부 질환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외계로부터 자극이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될 기회가 많고, 체내로부터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더욱이 피부의 근소한 변화도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질 수 있다. 이처럼 외관상 중요한 역할을 하고, 또한 외부 환경 및 음식물 섭취 등에도 쉽게 반응하는 피부건강은 현대인들의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피부 건강을 쉽게 지키고 개선하기 위해 가정이나 업소에서 행해지고 있는 것이 마사지 또는 마스크 팩이다. 종래에는 미용, 마사지 팩으로는 계란 등의 동물성 단백질이 주로 사용되다가,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에 피부영양제를 첨가시킨 겔 타입의 미용제가 개발되어 많이 이용되었다. 또한, 천연과일이나 야채를 이용한 천연 팩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팩은 제형과 사용 방법에 따라 건조된 필름을 제거하는 필오프 타입 팩, 팩제를 바른 후 물 세안으로 팩을 제거하는 워시오프 타입 팩, 티슈로 닦아내는 티슈오프 타입 팩 및 시트에 유액이 적셔 있는 시트 타입 팩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워시오프 타입 팩은 팩제를 바르고 마른 후 세안으로 내용물을 제거할 수 있어서 자극이 적고, 사용이 편리하며, 모공 노폐물 제거 및 각질 케어 기능이 뛰어나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팩 제형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러한 워시오프형 팩은 제형 안정도가 좋지 않아서 효능을 나타내는 성분의 사용량에 한계가 있거나, 고온 또는 냉온에서 물이 생기는 등의 구조적인 불안 등의 문제도 발생한다.
이러한 팩에는 피부에 유효한 성분을 전달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층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층은 피부에 피부 미용 성분, 영양 성분, 수분 등을 공급하는 층으로, 피부에 밀착되면서도 흐르지 않고, 상기 성분들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물성을 갖는 제형으로 제조되어야 한다.
한편, 로션, 영양 크림, 젤 등과 같이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는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은 마스크 팩의 지지체 상에 균일하고 안정한 도포가 어려워서 파우치 내에서 조성물의 쏠림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팩으로 제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팩으로 구현되어 피부에 유효한 성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균일하고 안정적인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을 제조할 수 있는 공정이 제공되는 경우 관련 분야에서 널리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의 한 측면은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제조된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균일하고 안정적인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을 제조할 수 있는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제조된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지지체의 적어도 일면에 0.2 내지 2 g/cm2 양으로 0.2MPa 내지 1.0MPa의 압력으로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높은 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팩으로 구현되어 피부에 유효한 성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한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이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하면 팩으로 구현이 어려운 제형을 지지체에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고,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도 지지체로부터 조성물이 분리되거나 뭉치지 않는 안정적인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 팩의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수분이 표면에 분리되었다.
도 2는 비교예 2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 팩의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오일이 표면에 분리되었다.
도 3은 비교예 3에 의해 우레탄을 지지체로 제조된 마스크 팩의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지지체 코팅이 불가하였다.
도 4는 비교예 4에 의해 나일론을 지지체로 제조된 마스크 팩의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지지체 코팅이 불가하였다.
도 5는 실시예 1에 의해 텐셀을 지지체로 제조된 마스크 팩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2에 의해 레이온을 지지체로 제조된 마스크 팩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3에 의해 면을 지지체로 제조된 마스크 팩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 유효 성분, 수분 등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며, 피부 밀착성이 매우 우수한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발명의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에 적용되는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접촉되어 화장료 조성물층에 함유된 수분, 피부 유효 성분등을 피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팩 제형으로 구현이 어려운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안정한 팩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은 점도가 4,000cps 내지 25,000cps인 것으로, 영양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제형, 젤 형태 등과 같이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 지지체를 단순히 화장료 조성물에 함침 하는 등의 공정에 의해서는 균일한 도포를 갖는 팩이 획득되지 않는 물성의 화장료 조성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에 제공될 수 있는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크림(유화) 제형으로, 일정한 크림 점성을 갖는 유사한 물성의 화장료 조성물, 예를 들어 젤 등도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은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지지체의 적어도 일면에 지지체의 면적 0.2 내지 2 g/cm2 양으로 0.2MPa 내지 1.0MPa의 압력으로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 상기 코팅하는 단계에 후속적으로 성형 단계 및 포장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성형 단계 및 포장 단계의 수행 방식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점도가 4,000cps 내지 25,000cps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0cps 내지 20,000cps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점도의 기준 온도는 2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상온으로 30℃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팩용 조성물은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인 것으로, 상기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용 조성물의 점도가 4,000cps 미만인 경우에는 팩용 조성물이 지지체에 원활하게 흡수 또는 도포되지 않고 외부로 흘러내리는 경향이 있으며, 상기 점도가 25,000cps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성이 높아 팩용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 피부 유효 성분 등이 효과적으로 피부로 침투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한편, 상기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비중이 1.0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중이 1.1 내지 1.4인 것으로, 비중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내용물이 묽어서 흐르게 되므로 코팅 수행에 문제가 있고, 1.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서 본 발명에 의한 코팅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pH가 4.0 내지 7.0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자극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방부가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상기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0.1 내지 20 중량%, 점증제 0.01 내지 10 중량%, 오일 1 내지 50 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오일은 에틸헥시 스테아레이트, 디메티콘, 시클로메티콘,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에틸라우레이트, 에틸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시클로펜탄, 시클로옥탄, 트랜스-데칼린, n-펜탄, n-헥산, n-헥사데칸, 트리프로필아민, 1,7-옥타디엔, 부틸라우레이트, 시클로도데칸, 디부틸에테르, 이소옥탄, n-옥탄, 트리부틸아민, 트리이소부틸아민, 폴리올에스테르, 트리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칸올; 리퀴드파라핀, 바세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스쿠알렌; 마이크로리스탈린왁스, 비즈왁즈, 라놀린왁스; 호호바오일, 아보카도오일, 아몬드오일, 올리브오일, 참기름, 밀배아유, 사플라워오일, 동백기름, 피마자유, 포도씨오일, 녹차씨오일, 마카다미아넛츠오일, 야자유, 로즈힙오일, 경화유, 아르간오일, 산자나무오일, 아르간트리커넬오일, 라벤더오일; 사이클로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오일 성분인 것이다.
오일은 전체 팩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오일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유화 제형이 획득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일이 분리되는 등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코카마이드메칠엠이에이,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피이지-20스테아레이트,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60,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세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바틸 알코올, 아라키딜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C14-22 알코올, 부틸 글루코사이드, C10-16 알킬 글루코사이드, C12-18 알킬 글루코사이드, C12-20 알킬 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 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카프릴 글루코사이드, 데실 글루코사이드,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옥틸도데실 글루코사이드,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및 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계면활성제는 전체 팩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안정성이 낮아서 유상과 수상이 분리되는 문제가 있으며,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의 경도가 높아져 팩용 크림 제형으로 제조하기 어렵고, 피부 자극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팩용 조성물은 점증제를 포함하며, 상기 점증제는 세틸 알코올,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아라비아검, 트래거캔스검, 갈락탄, 펙틴, 퀸스 시드 추출물, 갈조 분말, 덱스트란, 풀루란, 숙시노글라이칸, 카제인, 알부민, 폴리비닐메틸에테르,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산염, 잔탄검, 알긴산, 알긴산염 및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 에테르(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증제는 전체 팩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10 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8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점증제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팩용 조성물에 대하여 의도하는 점도 변화가 불충분할 수 있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균일하고 밀착력이 우수한 마스크 팩으로 코팅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잔부의 물을 포함하며, 이때의 "잔부의 물"이란 전체 팩용 조성물이 100 중량%가 될 때까지 물의 함량으로 채우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만, 상기 "잔부의 물"은 상술한 성분 이외의 성분을 추가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팩용 화장료 조성물 기타 첨가제, 피부 유효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타 첨가제는 보습제, 금속이온봉쇄제, 향료,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이온봉쇄제로는 금속이온에 대하여 킬레이트(chelate) 작용을 유도할 수 있는 EDTA, EDTA-2 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는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통상적인 화장료 보습제 성분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류;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의 글리세린류; 및 솔비톨 멀티톨, 자당, 전분당, 라쿠치톨 등의 당류 등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 유효 성분은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노인산, 코엔자임 큐텐, 엘라스틴, 콜라겐, 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콜라겐, 카페인, 키토산,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 알파비사볼롤, 토코페롤, 토코페롤아세테이트, 알부틴, 니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레티놀아세테이트, 비타민 A, D, E, 및 천연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천연추출물은 알로에, 녹차, 인삼, 홍삼, 진주, 목초액, 솔잎, 은행잎, 프로폴리스, 뽕잎, 누에, 달팽이 점액, 카카두플럼, 카무카무, 야사이야자, 스쿠알란, 캐비어, 브로콜리, 블루베리, 위치하젤, 아세로라, 클로렐라, 망고스틴, 구아바, 산수유, 당근, 카페인, 하마멜리스, 스피룰리나, 연어알, 감태, 자이언트켈프, 곤포, 마치현, 파래, 우뭇가사리, 뽕 나무 뿌리, 라즈베리, 산딸기, 톳, 모자반, 에델바이스, 카모마일, 라벤더, 페퍼민트, 유칼립투스, 레몬밤, 오레가노, 티트리, 황금, 어성초, 산자나무 및 유자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피부에 유효한 효과를 전달할 수 있는 어떠한 미용 성분 및 영양 성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는 70℃ 내지 90℃에서 화장료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된 화장료 조성물을 20℃ 내지 50℃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는 7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수행되며, 70℃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분리 및 안정성의 문제가 있고, 90℃ 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변색, 변취, 변형의 문제가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냉각하는 단계는 2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수행되며, 20℃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함침 불량의 문제가 있고, 5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내용물이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는 1500rpm 내지 4000rpm 의 교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rpm이 1500rpm 미만인 경우에는 혼합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4000rp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rpm 증가에 요구되는 에너지 투입 대비 도출되는 효과가 크지 않아 공정 경제 상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지지체는 기공의 평균 직경이 1μm 이상 내지 20μm 미만이고, 기공률이 5% 내지 50%인 것으로, 지지체의 기공의 평균 직경이 1μm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밀착력에 문제가 있고, 20μm 이상인 경우에는 크림 조성물이 지지체에 안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분리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기공률이 5% 미만인 경우에는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이 충분한 양으로 보유되지 않는 경향이 있고, 기공률이 5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크림 조성물이 지지체에 안정하게 보유되지 못하고 분리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공"이란 지지체에 구비된 관통 구멍 및/또는 비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것이며, 기공률이란 이러한 기공의 부피가 전체 지지체의 부피에서 자치하는 비율을 의미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흡수성이 30% 내지 70%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흡수성이 30% 미만인 경우에는 함침 불량의 문제가 있고, 흡수성이 7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용물 잔여 정도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직물 또는 부직포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지지체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나일론, 레이온, 텐셀, 면, 마, 모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로 이루어진 직물 또는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두께가 0.1mm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며, 0.15mm 내지 0.35 mm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체의 두께가 0.1mm 미만인 경우에는 보관, 운반 및 사용 과정에서 베이스 시트가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의 두께가 5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마스크 팩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지나치게 두꺼워져 마스크 팩을 얼굴에 밀착, 부착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술한 상기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지지체의 적어도 일면에 지지체의 면적 당 0.2 내지 2 g/cm2 양으로 0.2MPa 내지 1.0MPa 의 압력으로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량이 지지체의 면적 당 0.2 g/Cm2 미만인 경우에는 팩용 조성물층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거나 균일하게 형성되기 어렵고, 팩용 조성물 내에 포함된 피부 유효 성분의 전달이 불충분한 경향이 있으며, 2 g/cm2 초과인 경우에는 지지체 상에 과도한 양의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용 조성물이 남아, 잔여 부분의 안정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도포 시 압력이 0.2MPa 미만인 경우에는 조성물의 균일한 도포가 어렵고, 1.0MPa 초과인 경우에는 지지체에 조성물이 잔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코팅하는 단계는 20 이상 내지 70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계가 20℃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팩용 화장료 조성물이 지지체에 원활하게 흡착 및 코팅되지 않고, 70℃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일부 화장료 성분이 휘발되거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상기 코팅하는 단계에 후속적으로 -5 이상 내지 20℃ 미만의 온도에서 1 내지 30 분 동안 팩을 냉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가 -5℃ 미만인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얼어서 부서지는 문제가 있어며, 상기 온도가 30℃ 이상인 경우에는 냉각이 불충분한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팩용 조성물을 지지체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공정은 예를 들어, 일반적인 도포, 바코팅, 롤코팅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의하면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일면에 지지체의 면적 당 0.2 내지 2 g/cm2 양으로 도포된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이 제공된다.
상기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 함량, 그리고 지지체의 성분, 구조 등은 앞서 본 발명의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에서 기술한 바와 같다.
나아가, 본 발명의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은 사용 전 유통 과정에서 팩의 효능 및 형태 유지를 위해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노출 면에 이형 필름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이형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재질을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고분자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의 제조
비교예 1-4 및 실시예 1-3
하기 표 1의 조성에 의해 팩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보다 상세하게, 하기 성분 중 유상인 오일, 계면활성제 등을 80℃까지 가온하고, 한편, 수상인 보습제, 정제수 등을 80℃까지 가온한 후 호모믹싱 3000rpm으로 10분간 유화하였다. 그 후 점증제를 투입하여 호모믹싱 3500rpm 10분 혼합 후 40℃로 냉각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팩용 조성물의 점도 및 비중을 표 1에 함께 기재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팩용 조성물을 50℃의 온도에서 지지체의 양면에 롤코팅 방식으로 지지체 전체에 1.2 g/cm2의 양으로 0.65Mpa의 압력으로 코팅한 다음, 0 ℃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냉각시켜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이때, 지지체는 비교예 1 ~ 2 및 실시예 1 ~ 3 의 경우 셀룰로오스계 텐셀, 레이온, 면 등을 이용하였고, 비교예 3은 폴리우레탄, 비교예 4의 경우 나일론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인 성분 비교예 실시예
1 2 3 4 1 2 3
오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5% 0.9% 22% 22% 50% 22% 1%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60 23% 0.08% 8% 8% 20% 8% 0.1%
점증제 세틸 알코올 11% 0.0095% 5% 5% 10% 5% 0.01%
정제수 To100 Wt%
지지체 텐셀 텐셀 폴리우레탄 나일론 텐셀 레이온
점도 28300cps 3710cps 16070cps 16070cps 24600cps 16070cps 4180cps
비중 1.51 0.94 1.20 1.20 1.31 1.20 1.11
* To 100 Wt%은 100 중량%가 되도록 정제수로 잔부를 채우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화장료 조성물을 지지체의 면적당 0.2 g/Cm2 미만으로 도포할 경우, 내용물이 지지체에 다량 흡수되어 조성물 잔여량이 절대 부족하고 지지체를 감싸는 필름과의 탈락 현상이 발생하였고, 2 g/cm2 초과로 도포할 경우에는 내용물이 지지체의 흡수량을 초과하여 세어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 수행 시 0.2MPa 미만 압력으로 도포한 것은 크림 타입 내용 조성물이 지지체에 고르게 도포되지 않았고, 1.0MPa 압력 이상으로 도포한 것은 지지체에 크림 타입 내용 조성물이 과도한 압력에 의해 지지체 밖으로 흘러 내리게 되었다.
또한, 비교예 2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4000cps미만인 경우에는 낮은 점도로 흘러내리는 특성에 의해 코팅이 불가하였고, 비교예 1과 같이 25000cps초과인 경우에는 과도한 점도로 코팅기의 최대 압력으로도 지지체에 코팅이 불가하여 도포할 수가 없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공정에서 70℃ 내지 90℃, 1500rpm 내지 4000rpm 이외의 조건에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 확보 자체에 어려움이 있었다.
2. 제형 안정성 평가 실험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제조한 마스크 팩의 제품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의 팩용 조성물을 -4 ℃, 실온, 4℃, 40℃, 45℃ 항온조에 2주씩 보관한 후, 오일의 베어나옴 현상의 확인을 통해 제형의 안정성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및 2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 범위를 벗어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 팩은 팩 내 성분의 안정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3 및 4에서 제조된 마스크 팩은 지지체에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지 못해 코팅이 불균일해지고, 전혀 흡수되지 않아 코팅 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지지체로 나일론을 이용한 비교예 4의 경우에는 지지체의 탄성으로 인해 팩 제조 시 조성물의 코팅이 매우 불균일하였다.
온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4 ℃ 분리 분리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온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4 ℃ 분리 분리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40 ℃ 분리 분리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45 ℃ 분리 분리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에 의해서는 마스크 팩이 가장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제조되었으며, 반면 비교예 1 및 2의 경우에는 안정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28)

  1. 기공의 평균 직경이 1㎛ 내지 20 ㎛ 미만, 기공률이 5% 내지 50%, 흡수성이 30% 내지 70%인 천연 섬유로 제조된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일면에 지지체 면적 당 0.2 내지 2 g/cm2 양으로 도포된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중이 1.0 내지 1.5이고, 30℃에서 점도가 4,000 cps 내지 25,000cps의 고점도인,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pH가 4.0 내지 7.0인,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0.1% 내지 20% 중량%, 점증제 0.01 내지 10 중량%, 오일 1 내지 50 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금속이온봉쇄제, 향료,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타 첨가제, 피부 유효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하는,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레이온, 텐셀, 면, 마, 모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로 이루어진 직물 또는 부직포인,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두께가 0.1 내지 5mm인,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에틸헥시 스테아레이트, 디메티콘, 시클로메티콘,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에틸라우레이트, 에틸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시클로펜탄, 시클로옥탄, 트랜스-데칼린, n-펜탄, n-헥산, n-헥사데칸, 트리프로필아민, 1,7-옥타디엔, 부틸라우레이트, 시클로도데칸, 디부틸에테르, 이소옥탄, n-옥탄, 트리부틸아민, 트리이소부틸아민, 폴리올에스테르, 트리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칸올; 리퀴드파라핀, 바세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스쿠알렌; 마이크로리스탈린왁스, 비즈왁즈, 라놀린왁스; 호호바오일, 아보카도오일, 아몬드오일, 올리브오일, 참기름, 밀배아유, 사플라워오일, 동백기름, 피마자유, 포도씨오일, 녹차씨오일, 마카다미아넛츠오일, 야자유, 로즈힙오일, 경화유, 아르간오일, 산자나무오일, 아르간트리커넬오일, 라벤더오일; 사이클로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코카마이드메칠엠이에이,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피이지-20스테아레이트,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60,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세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바틸 알코올, 아라키딜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C14-22 알코올, 부틸 글루코사이드, C10-16 알킬 글루코사이드, C12-18 알킬 글루코사이드, C12-20 알킬 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 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카프릴 글루코사이드, 데실 글루코사이드,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옥틸도데실 글루코사이드,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및 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세틸 알코올,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아라비아검, 트래거캔스검, 갈락탄, 펙틴, 퀸스 시드 추출물, 갈조 분말, 덱스트란, 풀루란, 숙시노글라이칸, 카제인, 알부민, 폴리비닐메틸에테르,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산염, 잔탄검, 알긴산, 알긴산염 및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 에테르(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
  12. 비중이 1.0 내지 1.5, 30℃에서 점도가 4,000 cps 내지 25,000cps인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기공의 평균 직경이 1㎛ 내지 20㎛ 미만, 기공률이 5% 내지 50%, 흡수성이 30% 내지 70%인 천연 섬유로 제조된 지지체의 적어도 일면에 지지체의 면적 당 0.2 내지 2 g/cm2 양으로 0.2MPa 내지 1.0MPa의 압력으로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pH가 4.0 내지 7.0인,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0.1% 내지 20%, 점증제 0.01% 내지 10%, 오일 1% 내지 50%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금속이온봉쇄제, 향료,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타 첨가제, 피부 유효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하는,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는 70℃ 내지 90℃에서 화장료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된 화장료 조성물을 20℃ 내지 50℃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는 1500rpm 내지 4000rpm의 교반에 의해 수행되는,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20. 삭제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흡수성이 30% 내지 70%인,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22. 삭제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레이온, 텐셀, 면, 마, 모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로 이루어진 직물 또는 부직포인,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2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두께가 0.1 내지 5mm인,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2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하는 단계는 20℃ 내지 70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2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하는 단계는 롤코팅, 바코팅, 압착 방식으로 수행되는,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2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하는 단계에 후속적으로 -5 이상 내지 20℃ 미만의 온도에서 1 내지 30 분 동안 팩을 냉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28. 제12항, 제15항 내지 제19항, 제21항 및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의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팩.
KR1020160142277A 2015-10-29 2016-10-28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 Active KR101896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50838 2015-10-29
KR1020150150838 2015-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476A KR20170052476A (ko) 2017-05-12
KR101896106B1 true KR101896106B1 (ko) 2018-10-19

Family

ID=587405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277A Active KR101896106B1 (ko) 2015-10-29 2016-10-28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
KR1020160142278A Ceased KR20170051344A (ko) 2015-10-29 2016-10-28 메이크업 효과를 갖는 팩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278A Ceased KR20170051344A (ko) 2015-10-29 2016-10-28 메이크업 효과를 갖는 팩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896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269B1 (ko) 2017-04-24 2018-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49406B1 (ko) * 2017-08-31 2019-11-28 (주)화니핀코리아 고점도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KR101896597B1 (ko) 2018-03-09 2018-10-18 유정근 한약재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이 함유된 마스크 시트
KR102174716B1 (ko) * 2018-07-30 2020-11-05 주식회사 라모수 부착시간이 짧고 피부 탄력 효과와 보습력이 향상된 마스크 팩
KR102265010B1 (ko) * 2019-04-15 2021-06-15 주식회사 레조나랩 공명 유도 가시광선을 이용한 마스크 시트 침지액의 제조 방법
KR102293237B1 (ko) * 2019-08-26 2021-08-25 주식회사 피비에스코리아 피부 미백 및 재생 효과를 갖는 칼라 마스크팩
KR102407269B1 (ko) * 2020-09-21 2022-06-13 주식회사 투래빗코스메틱 시트 타입의 메이크업 부스팅 화장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1425A (ja) 2004-01-30 2005-08-11 Sansho Shigyo Kk シートタイプ化粧品
KR101328408B1 (ko) * 2012-10-23 2013-11-13 주식회사 제닉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수중유 형태의 오르가노겔 화장료 조성물
KR101431456B1 (ko) * 2012-11-15 2014-08-21 주식회사 제닉 수중유 형태의 오르가노겔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1425A (ja) 2004-01-30 2005-08-11 Sansho Shigyo Kk シートタイプ化粧品
KR101328408B1 (ko) * 2012-10-23 2013-11-13 주식회사 제닉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수중유 형태의 오르가노겔 화장료 조성물
KR101431456B1 (ko) * 2012-11-15 2014-08-21 주식회사 제닉 수중유 형태의 오르가노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476A (ko) 2017-05-12
KR20170051344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106B1 (ko)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
KR102055150B1 (ko) 경피 흡수 능력이 증진된 마스크팩용 세포간지질 모사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WO2014014139A1 (ko) 2액형 타입 미용용 팩류 및 패취류 조성물
KR101735384B1 (ko) 시트형 팩용 클레이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형 클레이 마스크 팩
CN109453043A (zh) 一种稳定性良好的纳米乳液
KR101909980B1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6333898A (zh) 一种多重保湿双层卸妆液及其制备方法
KR101782591B1 (ko) 즉각적인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4003183A1 (ja) パック基材、パック化粧料ならびにパック化粧料キット
US9125825B2 (en) Freeze-dried molded article containing magnesium ascorbyl phosphate
JP2023138656A (ja) 発泡性皮膚外用剤
KR101723845B1 (ko) 천연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천연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16759A (ko) 건식 시트형 마스크 팩용 조성물 및 건식 시트형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102049406B1 (ko) 고점도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KR101795371B1 (ko) 크림형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138484A (ko)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114148A (zh) 包含高吸水性聚合物和层状或片状的消光矿物填料的化妆品组合物
KR101096277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9199923A (zh) 一种喷雾式睡眠面膜及其制备方法
KR102001513B1 (ko) 쿨링 효능이 향상된 쿨링 마스크팩, 이의 제조 방법 및 사용방법
KR101650304B1 (ko) 시트형 팩용 클레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형 클레이 마스크 팩
KR20190037382A (ko) 피부자극이 없고 피부 재생 및 보습작용 유지시간이 우수한 모델링 마스크팩
KR20100053083A (ko) 피부 붓기를 완화해주는 화장료 조성물
CN107898659A (zh) 辅酶q10冻干闪释片及其制备方法
KR102371116B1 (ko)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