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510B1 - Rahmen type sturctures - Google Patents
Rahmen type sturctur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4510B1 KR101894510B1 KR1020160025072A KR20160025072A KR101894510B1 KR 101894510 B1 KR101894510 B1 KR 101894510B1 KR 1020160025072 A KR1020160025072 A KR 1020160025072A KR 20160025072 A KR20160025072 A KR 20160025072A KR 101894510 B1 KR101894510 B1 KR 1018945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slab
- hollow
- side wall
- concrete b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69 Rama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2001/619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slabs being connected at an angle, e.g. forming a cor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빈 중공벽체의 상부에 서로 다른 길이를 지닌 편측 구조를 적용하거나 편측 구조와 중공벽체의 하부에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테이퍼진 구조를 동시에 적용함에 따라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라멘형 구조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ymen-like structure for improving workability by applying a unilateral structure having different lengths to an upper portion of a hollow wall having an inner hollow or by simultaneously applying a unidirectional structure and a tapered structure to a lower portion of a hollow wall in one direction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라멘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중공벽체의 양단을 구조적으로 변경한 측벽부가 적용되는 라멘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den-lik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den-like structure to which a side wall portion structurally modified at opposite ends of a hollow wall is applied.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PC제품으로 시공이 되든지 또는 거푸집을 이용하여 현장타설로 시공이 되거나 기동, 벽체, 보 및 슬라브가 필수적인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져서 건축된다.Typically, buildings are constructed either as PC products or as workplaces using formwork, or as components of maneuvering, walls, beams and slabs.
이러한 기둥과 벽체와 보와 슬라브로 이루어지는 건축물은 벽체의 기둥을 감당하기 때문에 벽체를 비내력벽으로 시공가능하게 되어 벽체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슬라브의 하중을 보가 감당하기 때문에 슬라브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게 되어 슬라브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Since the columns and walls and the beams and slabs are constructed to support the pillars of the wall,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walls by the non-load-bearing walls, thereby ensur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wall. Further, So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slab.
그러나, 기둥과 벽체와 보와 슬라브로 이루어지는 건축물은 기둥이 설치됨으로써 건축내부에 기둥이 돌출되어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공간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보가 설치됨으로서 보의 춤만큼 층고가 높아지기 때문에 자재비, 노동력 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pillars and the walls and the slabs of the pillars and the slabs of the pillars are installed, the pillars protrude into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o occupy a space, resulting in a problem of poor space utilization. Moreover, Material cost, labor force, and the like.
상기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최근의 건축물은 기둥과 보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벽체가 기둥의 역할까지 수행하는 내력벽체로 시공되며, 또한 슬라브가 보의 역할까지 수행하는 무량슬라브로 시공되어 하중을 직접적으로 내력벽체에 전달하게 하는 공법을 채택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증대시키면서도 층고를 낮출 수 있게 되었다.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 a recent structure is constructed as a bearing wall which does not have a column and a beam but a wall acts as a column, and a slab is also constructed as a slab,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while lowering the height of the floors.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은 슬라브와 내력벽체의 현장타설하여 연결시 수직철근의 연속화를 해야만 구조적인 일체화를 할 수 있으므로 커플러를 사용한 기계적이음을 시행하였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mechanical connection using a coupler is performed because structural integration can be performed only when vertical reinforcement is continuously connected when the slab and the load bearing wall are connected by being laid.
그러나, 이러한 커플러를 사용한 기계적이음을 시행할 경우, 구조적인 일체화를 이루기 위해 수직철근을 연속화하는 과정에서 작업효율의 저하되고, 상당한 시간과 그에 따른 작업자의 노동력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a mechanical joint using such a coupler is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work efficiency is lowered in the process of serializing vertical steel bars to achieve structural integration, and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worker's labor is required additionally.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부가 빈 중공벽체의 상부에 서로 다른 길이를 지닌 편측 구조를 적용하는 라멘형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minated structure that applies a unidirectional structure having different lengths to an upper portion of an empty hollow bod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내부가 빈 중공벽체의 상부에 서로 다른 길이를 지닌 편측 구조와 중공벽체의 하부에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테이퍼진 구조를 적용하는 라멘형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minated structure which has a unilateral structure having different lengths on an upper portion of an empty hollow wall and a tapered structure which is inclin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llow wall in one direction.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라멘형 구조체는, 콘크리트베이스 및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슬라브로 이루어진 베이스부;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와 수직하면서 상기 하부슬라브의 양측에 고정되는 측벽부;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와 평행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슬라브; 및 상기 하부슬라브와 수직하면서 상기 측벽부의 하단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하부슬라브와 상기 측벽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는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벽체; 및 상기 중공벽체의 상부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상부슬라브의 양측을 지지하는 중공벽체 일단부;를 포함하며,상기 중공벽체 일단부에 양측이 지지되는 상부슬래브는 프리캐스트 바닥판 상면에 형성된 트러스근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트러스근의 양 단부가 측벽부의 내측으로 함몰된 부위로 연결철근에 의하여 연장되어, 콘크리트(C)가 측벽부 및 상부슬라브의 내부, 함몰된 부위로 주입되어 타설됨으로써 완성되도록 하며, 상기 중공벽체의 일면으로부터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는 테이퍼진 형상의 중공벽체 타단부가 형성되어 고정부재가 중공벽체의 하단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하부슬라브와 상기 측벽부를 고정시키게 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minated structure comprising: a base portion including a concrete base and a lower slab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ncrete base; A sidewall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concrete base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slab; An upper slab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ide wall to be parallel to the concrete base; And a fixing member inserted perpendicularly to the lower slab and inserted into a lower end of the side wall to fix the lower slab and the side wall, wherein the side wall is hollow with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ollow inside; And a hollow wall one end portion of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wall is recessed inward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upper slab, wherein an upper slab supported at one end of the hollow wall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recast deck And the truss root is formed so that both ends of the truss roots extend to the inner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by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so that the concrete C is injec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upper slab, And the other end of the tapered hollow wall sloping inwardly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hollow wall is formed so that the fix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hollow wall to fix the lower slab and the side wall.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가 빈 중공벽체의 상부에 서로 다른 길이를 지닌 편측 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종래기술보다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directional structure having different length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hollow body can be used to improve workability over the prior art.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가 빈 중공벽체의 상부에 서로 다른 길이를 지닌 편측 구조와 중공벽체의 하부에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테이퍼진 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현장의 상황별로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structure having different lengths on the upper part of hollow hollow body and a tapered structure inclining lower side of hollow wall in one direction can be suitably appli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the field.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측벽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측벽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측벽부가 적용된 라멘형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타설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측벽부가 적용된 라멘형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타설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1A is a view illustrating a side wall por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view illustrating a side wall por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view showing a laden-like structure to which a side wall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B is a view showing the casting of concrete in FIG. 2A.
3A is a view showing a laden-like structure to which a side wall por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B is a view showing that concrete is injected and poured in FIG. 3A.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을 참조하여, 측벽부를 설명하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측벽부가 적용된 라멘형 구조체를 설명하기로 한다.1, a side wall portion will be described, and a laden type structure to which a side wall por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측벽부][Side wall part]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측벽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측벽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A is a side wall se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side wall se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측벽부(120)는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와 수직하면서 상기 하부슬라브의 양측에 고정되며, 이러한 측벽부(120)는 중공벽체(121) 및 중공벽체 일단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1A, the
중공벽체(121)는 직육면체 형상을 지닌 벽체로서, 그 내부는 비어 있는 중공형태를 지닌다. 또한, 중공벽체(121)는 일반적으로 벽체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중공벽체 일단부(122)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벽체(121)의 4면 중 넓게 형성된 2면의 상부에 해당하며, 중공벽체(121)의 상부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부슬라브(130)의 양측을 지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A, one
이때, 중공벽체 일단부(122)의 양단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편측된 구조를 지닌다.At this time, the lengths of both ends of the one
한편,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측벽부(120)는 중공벽체(121), 중공벽체일단부(122) 및 중공벽체타단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구성요소에서 중공벽체 타단부(123)를 더 포함하는 구조를 지닌다.Referring to FIG. 1B, the
따라서, 제 2 실시예의 중공벽체(121) 및 중공벽체 일단부(122)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중공벽체 타단부(123)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refore, the
중공벽체 타단부(123)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벽체(121)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중공벽체(121)의 일면으로부터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지닌다.The
[라멘형 구조체][Raman type structure]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벽체가 적용된 라멘형 구조체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ramen-like structure to which a sidewall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측벽부가 적용된 라멘형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타설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A is a view showing a laden-like structure to which a side wall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B is a view showing that concrete is injected and installed in FIG.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라멘형 구조체(100)는 콘크리트베이스(111) 및 콘크리트베이스(111)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슬라브(112)로 이루어진 베이스부(110), 콘크리트베이스(111)와 수직하면서 하부슬라브(112)의 양측에 고정되는 측벽부(120), 콘크리트베이스(111)와 평행하도록 측벽부(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슬라브(130) 및 하부슬라브(112)와 수직하면서 측벽부(120)의 하단 내부로 삽입되어 하부슬라브(112)와 측벽부(12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aymen-
베이스부(110)는 콘크리트베이스(111) 및 하부슬라브(112)를 포함하며, 콘크리트베이스(111)는 하부슬라브(11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구조적인 안정성 측면에서 특히 바람직하다.The
측벽부(120)는 중공벽체(121) 및 중공벽체 일단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중공벽체(121)는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도 1a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중공벽체 일단부(122)는 중공벽체(121)의 상부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부슬라브(130)의 양측을 지지하는 구조를 지닌다. 특히, 중공벽체 일단부(122)의 양단의 길이는 서로 다른 편측된 구조를 지니게 되는데, 이러한 중공벽체 일단부(122)는 손쉽게 상부슬라브(130)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상부슬라브(130)의 양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One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라멘형 구조체(100)는 각 구성요소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C)가 측벽부(120) 및 상부슬라브(130)의 내부로 주입되어 타설됨으로써 완성된다.2B, after the components are assembled as shown in FIG. 2A, the concrete structure C of the laden-
도 3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측벽부가 적용된 라멘형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타설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3A is a view showing a laden-like structure to which a side wall por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3B is a view showing that concrete is injected and laid in FIG.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라멘형 구조체(100')는 콘크리트베이스(111) 및 콘크리트베이스(111)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슬라브(112)로 이루어진 베이스부(110), 콘크리트베이스(111)와 수직하면서 하부슬라브(112)의 양측에 고정되는 측벽부(120), 콘크리트베이스(111)와 평행하도록 측벽부(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슬라브(130) 및 하부슬라브(112)와 수직하면서 측벽부(120)의 하단 내부로 삽입되어 하부슬라브(112)와 측벽부(12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다.The raymen-lik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10 formed of a
측벽부(12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벽체(121) 및 중공벽체(121)의 상부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부슬라브(130)의 양측을 지지하는 중공벽체 일단부(122)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중공벽체(121)의 하부가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중공벽체 타단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중공벽체 타단부(123)는 중공벽체(121)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중공벽체(121)의 일면으로부터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지니며, 이에 따라 고정부재(140)도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가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라멘형 구조체
110 : 베이스부
111 : 콘크리트베이스
112 : 하부슬라브
120 : 측벽부
121 : 중공벽체
122 : 중공벽체일단부
123 : 중공벽체타단부
130 : 상부슬라브
140 : 고정부재100: lamen-like structure
110: Base portion
111: Concrete base
112: Lower slab
120:
121: Hollow wall
122: one end of the hollow wall
123: hollow wall other end
130: Upper slab
140: Fixing member
Claims (3)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와 수직하면서 상기 하부슬라브의 양측에 고정되는 측벽부;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와 평행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슬라브; 및
상기 하부슬라브와 수직하면서 상기 측벽부의 하단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하부슬라브와 상기 측벽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12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벽체(121); 및 상기 중공벽체의 상부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상부슬라브의 양측을 지지하는 중공벽체 일단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벽체 일단부에 양측이 지지되는 상부슬래브(130)는 프리캐스트 바닥판 상면에 형성된 트러스근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트러스근의 양 단부가 측벽부의 내측으로 함몰된 부위로 연결철근에 의하여 연장되어, 콘크리트(C)가 측벽부(120) 및 상부슬라브(130)의 내부, 함몰된 부위로 주입되어 타설됨으로써 완성되도록 하며, 상기 중공벽체(121)의 일면으로부터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는 테이퍼진 형상의 중공벽체 타단부(123)가 형성되어 고정부재(140)가 중공벽체(121)의 하단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하부슬라브와 상기 측벽부를 고정시키는 라멘형 구조체.A base portion composed of a concrete base and a lower slab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crete base;
A sidewall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concrete base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slab;
An upper slab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ide wall to be parallel to the concrete base; And
And a fixing member inserted perpendicularly to the lower slab and inserted into a lower end of the side wall to fix the lower slab and the side wall,
The side wall part 120 include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ollow body 121 having an empty interior; And a hollow wall one end portion (122), which is supported by the upper slab, and the upper slab (130), which is supported at one end of the hollow wall, The truss is formed by the truss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t deck, and both ends of the truss roots are extended by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to a portion where the truss roots are recessed to the inside of the side walls, so that the concrete C is sandwiched between the side walls 120 and the upper slabs 130, And the other end portion 123 of the hollow wall tapered inwardly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hollow wall 121 is formed so that the fixing member 140 is hollowed,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wall (121) to fix the lower slab and the side wal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5072A KR101894510B1 (en) | 2016-03-02 | 2016-03-02 | Rahmen type sturctur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5072A KR101894510B1 (en) | 2016-03-02 | 2016-03-02 | Rahmen type sturctur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3064A KR20170103064A (en) | 2017-09-13 |
KR101894510B1 true KR101894510B1 (en) | 2018-10-05 |
Family
ID=5996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5072A Active KR101894510B1 (en) | 2016-03-02 | 2016-03-02 | Rahmen type sturctur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4510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93544A (en) * | 2001-12-26 | 2003-07-09 | Haneda Concrete Industrial Co Ltd | Concrete assembly structure |
KR100760681B1 (en) * | 2006-05-22 | 2007-09-28 | (주)대우건설 | Precast barrier member and bridge barrier structure using the same |
KR101278547B1 (en) * | 2013-03-06 | 2013-06-24 | 덕산콘크리트(주) | The precast concrete wall for the water-storage construct |
KR101314081B1 (en) | 2013-04-12 | 2013-10-14 | (주)서현컨스텍 | Retaining wall and upeer structure connection method for rahmen structure |
-
2016
- 2016-03-02 KR KR1020160025072A patent/KR10189451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93544A (en) * | 2001-12-26 | 2003-07-09 | Haneda Concrete Industrial Co Ltd | Concrete assembly structure |
KR100760681B1 (en) * | 2006-05-22 | 2007-09-28 | (주)대우건설 | Precast barrier member and bridge barrier structure using the same |
KR101278547B1 (en) * | 2013-03-06 | 2013-06-24 | 덕산콘크리트(주) | The precast concrete wall for the water-storage construct |
KR101314081B1 (en) | 2013-04-12 | 2013-10-14 | (주)서현컨스텍 | Retaining wall and upeer structure connection method for rahmen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3064A (en) | 2017-09-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9150B1 (en) |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girder | |
CN108138481A (en) | A type of prefabricated column and beam construction | |
US20020092249A1 (en) | Partially prefabricated waffle slab | |
KR101962853B1 (en) | Joint for Precast Beam and Columns | |
US10640970B2 (en) | Concrete building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 |
KR101798138B1 (en) | Multi precast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828341B1 (en) | Plate type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748781B1 (en) | Precast wal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
KR101894510B1 (en) | Rahmen type sturctures | |
JP4966825B2 (en) | Joint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columns | |
KR101576224B1 (en) |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girder for building construction | |
KR101748770B1 (en) | Complex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5003253B2 (en) | RC beam construction method | |
JP2009197537A (en) | Structure and method for supporting floor slab | |
KR950032934A (en) | Construction method of high-rise building | |
KR102767498B1 (en) | slab form | |
JP2006169837A (en) | Reinforced concrete column beam connection structure | |
CN219992736U (en) | Building node structure of assembled full prefabricated floor and supporting member | |
JP3197091B2 (en) | Parting concrete structure between pillar and girder or girder and girder | |
TWI822635B (en) | Construction structure | |
KR102574831B1 (en) | Compoisite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US1222349A (en) | Form for concrete construction. | |
KR20120124278A (en) | Deck for concrete slab construction | |
JP5248784B2 (en) | Column and beam joint structure | |
CN105019655A (en) | Pouring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bea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