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852B1 - Apparatus for removing pipe of spent nuclear fuel skelet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ving pipe of spent nuclear fuel skelet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3852B1 KR101893852B1 KR1020160162668A KR20160162668A KR101893852B1 KR 101893852 B1 KR101893852 B1 KR 101893852B1 KR 1020160162668 A KR1020160162668 A KR 1020160162668A KR 20160162668 A KR20160162668 A KR 20160162668A KR 101893852 B1 KR101893852 B1 KR 1018938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support grid
- base frame
- fastened
- pressing mea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34—Apparatus or processes for dismantling nuclear fuel, e.g. before reprocessing ; Apparatus or processes for dismantling strings of spent fuel elements
- G21C19/36—Mechanical means onl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 지지격자와 하부 지지격자를 관통하여 체결된 안내관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는 복수의 안내관이 관통 체결된 보호 지지격자와 하부 지지격자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상기 안내관을 가압하여 탈락시키는 가압수단,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이 이동되게 동력을 제공하는 가동툴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보호 지지격자와 하부 지지격자를 관통하여 체결된 복수의 안내관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eparating guide pipes of spent fuel skeletons capable of easily separating a guide tube passed through a protective support grid and a lower support grid, A supporting means on which one of the protective support grid and the lower support grid on which the plurality of guide tubes are threaded is seated, a pressing means provided on the support means and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ress the plurality of guide tubes out, And a movable tool for providing power to move the pressing means.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separate the plurality of guide pipes fastened through the protective support grid and the lower support grid.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 지지격자와 하부 지지격자를 관통하여 체결된 안내관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de tube separator for a spent fuel skelet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guide tube separator for a spent fuel skeleton that can easily separate a guide tube, Separation device.
핵연료는 다수의 연료봉 및 안내관이 상단고정체와 하단고정체 및 중간지지격자(그리드)들에 의해 결합된 핵연료 집합체의 형태로 사용되고, 사용후에는 핵연료 집합체로부터 연료봉이 제거되어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 형태로 남게 된다. The fuel is used in the form of a fuel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fuel rods and guide tubes are combined with the upper fixture, the lower fixture and the intermediate support grids (grids), and after use, the fuel rods are removed from the fuel assemblies, .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는 다수의 부분으로 수평 절단하여 핫셀(Hot Cell) 시험 장비에서 강도나 변형 등의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여 추후 핵연료 집합체의 연구 개발에 이용한다. The spent fuel skeleton is horizontally cut into a number of parts,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and deformation are measured in a hot cell test equipment and used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next fuel assembly.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에서 절단된 하단부는 하단고정체와 보호 지지격자 및 하부 지지격자가 인접하여 배치되고, 이를 안내관이 관통하고 있으며, 안내관의 하단은 하단고정체에 볼트를 결합되어 있다. The lower end of the spent fuel skelet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end fixed body, the protective support lattice and the lower support lattice. The lower end of the guide pipe is bolted to the lower end fixed body.
따라서, 시험을 위해서 하단고정체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안내관 수와 동일한 다수의 볼트를 풀어야만 한다. Therefore, in order to separate the lower fixture for the test, a number of bolts equal to the number of guide tubes must be loosened.
상기 볼트 해체 작업은 방사선 차단을 위해 대형 수조 내에서 이루어지는 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08606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상부에 핸들이 구비되고 길이가 긴 장대형 도구의 하단에 볼트를 풀 수 있는 렌치를 장착하여 작업을 진행하였다. The bolt dismantl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a large water tank for radiation shielding, and a handle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086061, and a bolt can be loosened at the lower end of a long long tool The work was carried out by attaching a wrench.
그리고, 상기 볼트 해체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보호 지지격자와 하부 지지격자에서 복수의 안내관을 분리시켜야 한다. 상기 안내관은 약 20개로 마련되어 있어 있고, 이를 장대형 도구를 이용하여 하나씩 분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After the bolt disassembly operation is completed, the plurality of guide pipes must be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support grid and the lower support grid. There are about twenty guide tubes, which are difficult to separate one by one using a long tool.
따라서, 복수의 안내관을 보호 지지격자와 하부 지지격자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Therefore, it takes much effort and time to separate the plurality of guide tubes from the protective support grid and the lower support gri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보호 지지격자와 하부 지지격자를 관통하여 체결된 안내관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separating guide tubes of spent fuel skeletons, which can easily separate a guide tube fastened through a protective support grid and a lower support grid It has its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는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절단된 하단부에서 하단고정체가 분리된 후 보호 지지격자와 하부 지지격자에서 복수의 안내관을 동시에 분리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는 복수의 안내관이 관통 체결된 보호 지지격자와 하부 지지격자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되는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상기 안내관을 가압하여 탈락시키는 가압수단; 및 상기 가압수단이 이동되게 동력을 제공하는 가동툴;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apparatus for separating guide tubes of a spent nuclear fuel skelet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support grating and a lower support member separated from a cut bottom end of a spent fuel skeleton, Wherein the guide pipe separating device of the spent fuel skeleton is provided with support means on which any one of a protective support grid and a lower support grid on which a plurality of guide tubes are threaded is seated; A pressing means which is provided in the supporting means and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ress and drop the plurality of guide tubes; And a movable tool for providing power to move the pressing means.
본 발명에 의한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에 따르면, 보호 지지격자와 하부 지지격자를 관통하여 체결된 복수의 안내관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separating guide tubes of a spent fuel skele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separate a plurality of guide tubes fastened through a protective support grid and a lower support gri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에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와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에서 가압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에서 지지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에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가 안착되어 안내관을 분리하기 위한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에 의해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에서 안내관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 guide tube of a spent fuel skele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ent fuel skeleton is seated in an apparatus for separating guide tubes of a spent fuel skele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agmentary front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pent fuel separator and a spent fuel skeleton of a spent nuclear fuel skele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of a guide pipe separating apparatus for a spent fuel skele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of a support means in an apparatus for separating guide tubes of a spent fuel skele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for separating a spent fuel skeleton from a guide tube separator of a spent nuclear fuel skele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tube is separated from a spent fuel skeleton by a guide pipe separating device for a spent nuclear fuel skele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ipe separating apparatus for a spent fuel skele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mponent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에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와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정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 guide tube of a spent nuclear fuel skele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ent fuel skeleton of a spent fuel skeleton, FIG. 3 is an exploded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uide pipe separating apparatus and a spent fuel skeleton of the spent nuclear fuel skeleton. FIG.
그리고, 도 4는 상기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에서 가압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에서 지지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FIG. 4 is a schematic view of the guide pipe separating device of the spent nuclear fuel skeleton extracted from the pressurizing means. FIG. 5 schematically shows the supporting means in the guide pipe separating device of the spent fuel skeleton. Fig.
그리고, 도 6은 상기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에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가 안착되어 안내관을 분리하기 위한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고, 도 7은 상기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에 의해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에서 안내관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다.
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state for separating a guide tube by mounting a spent fuel skeleton to the guide tube separating apparatus of the spent nuclear fuel skeleton, FIG. 7 is a front view of the spent fuel skeleton FIG.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tube is separated from a spent fuel skeleton by a guide tube separating apparatus of FIG.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100)는 복수의 안내관(13)이 관통 체결된 보호 지지격자(11)와 하부 지지격자(12)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되는 지지수단(200)과, 상기 지지수단(200)에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상기 안내관(13)을 가압하여 탈락시키는 가압수단(300),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300)이 이동되게 동력을 제공하는 가동툴(4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7, an
여기서,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10)는 하단고정체는 분리되었고, 보호 지지격자(11)와 하부 지지격자(12)에 복수의 안내관(13)이 관통하여 체결된 상태이다.
Here, the
상기 지지수단(200)은 수조에 삽입되어 수조에 설치된 랙(20)에 거치되고, 복수의 안내관(13)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10)가 안착되게 마련된다. The support means 200 is inserted into a water tank and is mounted in a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수단(200)은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211)가 수조에 설치된 랙(20)에 거치되어 하방 이동 및 회전이 구속되는 베이스 프레임(2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보호 지지격자(11)와 상기 하부 지지격자(12)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되는 지지부(220),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서 상기 지지부(2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수단(300)이 체결되는 가압수단 체결부(230)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ing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은 ㄷ자 형태로 마련되고, 수조에 투입되거나 외부로 인양 시 물이 유동하도록 즉, 물이 쉽게 빠지도록 바닥판(212)에 복수의 투수홀(213)이 형성된다.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은 중심부 측에서 플랜지부(211)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수조에 설치된 랙(20)에 거치되어 하방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은 랙(20)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 또한 구속된다. The
나아가, 상기 플랜지부(211)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수조에 투입하거나 인양 시 외부의 이동수단에 체결되게 마련된 후크걸이(240)의 양측 단부 각각이 회전되게 체결된다. Further, the
즉,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을 이동시에는 상기 후크걸이(240)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외부의 이동수단에 체결되게 제공되고, 상기 안내관(13) 분리시에는 상기 가압수단(300)에 간섭되지 않도록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측면으로 배치되게 마련된다.
That is, when the
상기 지지부(22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중심부 측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호 지지격자(11)와 상기 하부 지지격자(12)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된다. The
즉, 상기 지지부(220)에 상기 보호 지지격자(11)와 상기 하부 지지격자(12)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수단(300)이 복수의 상기 안내관(13)을 가압하여 상기 보호 지지격자(11)와 상기 하부 지지격자(12) 중 어느 하나에서 분리시키도록 제공된다.
That is, in the state where any one of the
상기 가압수단 체결부(23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은 상단부 측에서 슬릿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수단(300)이 정면에서 삽입 체결되게 마련된다. 물론, 상기 지지수단(200)에 상기 가압수단(300)이 체결되는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기계적 체결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The pressing means fastening
상기 가압수단(300)은 상기 지지수단(200)에 체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수단(200)에 안착된 상기 보호 지지격자(11)의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상기 안내관(13)을 가압하여 상기 보호 지지격자(11)에서 탈락시키도록 마련된다. The pressurizing means 300 includes a plurality of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수단(300)은 상기 가압수단 체결부(230)에 삽입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일측단에 형성된 헤드(321)에 상기 가동툴(400)이 삽입 체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나사 체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스크류부재(32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내측에 배치되어 회전이 구속되고 상기 스크류부재(320)의 타측단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가동 플레이트(330), 그리고 복수의 상기 안내관(13)의 수량에 대응하여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가동 플레이트(330)에 체결되고 복수의 상기 안내관(13)을 가압하는 가압돌기(340)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즉,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상기 가압수단 체결부(230)에 삽입 지지되고, 상기 가동 플레이트(330)의 측면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내측벽에 접촉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은 되지만 회전은 구속되므로, 상기 가동툴(400)을 이용하여 상기 스크류부재(320)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부재(3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330)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동 플레이트(330)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가압돌기(340)도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That is, the
여기서, 상기 가압돌기(340)는 상기 안내관(13)을 가압하는 단부(341)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단부(341)가 상기 안내관(13)에 삽입되어 상기 안내관(13)을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가압돌기(340)가 상기 안내관(13)을 가압시 측면으로 미끌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돌기(340)의 단부(341)를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상기 안내관(13)에 상기 가압돌기(340)의 일부가 삽입되게 마련하였다.
The
상기 가동툴(400)은 작업자가 수조의 외부에서 상기 스크류부재(3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장대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가동툴(400)을 상기 스크류부재(320)의 헤드(321)에 체결하고 작업자가 상기 가동툴(400)을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부재(320)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가압돌기(34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동툴(400)은 바 형태로 마련된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일측단에서 양측으로 체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몸체(410)를 회전시키도록 제공되는 핸드레버(420), 그리고 상기 몸체(410)의 타측단에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부재(320)의 헤드(321)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430)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여기서, 상기 스크류부재(320)의 헤드(321)는 육각 볼트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가동툴(400)의 체결부(430)는 소켓 렌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헤드(321)와 상기 체결부(43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체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지지수단(200)에 상기 보호 지지격자(11)를 안착시킨 후 상기 가동툴(400)을 이용하여 상기 스크류부재(320)를 회전시켜 상기 가압돌기(340)가 상기 안내관(13)을 가압하여 상기 보호 지지격자(11)에서 복수의 안내관(13)을 탈락시키고, 상기 가동툴(400)을 이용하여 상기 스크류부재(32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가압돌기(34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지지수단(200)에 상기 하부 지지격자(12)를 안착시킨 후 다시 상기 스크류부재(320)를 회전시켜 상기 가압돌기(340)가 상기 안내관(13)을 가압하여 상기 하부 지지격자(12)에서 복수의 안내관(13)을 손쉽게 탈락시킬 수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after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핵연료 골격체 11 : 보호 지지격자
12 : 하부 지지격자 13 : 안내관
20 : 랙 100 : 안내관 분리장치
200 : 지지수단 210 : 베이스 프레임
211 : 플랜지부 212 : 바닥판
213 : 투수홀 220 : 지지부
230 : 가압수단 체결부 240 : 후크걸이
300 : 가압수단 310 : 베이스 플레이트
320 : 스크류부재 321 : 헤드
330 : 가동 플레이트 340 : 가압돌기
400 : 가동툴 410 : 몸체
420 : 핸드레버 430 : 체결부10: nuclear fuel skeleton 11: protective support grid
12: lower support grid 13: guide tube
20: rack 100: guide tube separator
200: support means 210: base frame
211: flange portion 212: bottom plate
213: Pitch hole 220: Support
230: pressing means fastening portion 240: hook hanger
300: pressing means 310: base plate
320: screw member 321: head
330: movable plate 340: pressing projection
400: Operation tool 410: Body
420: hand lever 430: fastening portion
Claims (8)
복수의 안내관이 관통 체결된 보호 지지격자와 하부 지지격자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되는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상기 안내관을 가압하여 탈락시키는 가압수단; 및
상기 가압수단이 이동되게 동력을 제공하는 가동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가 수조에 설치된 랙에 거치되어 하방 이동 및 회전이 구속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보호 지지격자와 상기 하부 지지격자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되는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수단이 체결되는 가압수단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가압수단 체결부에 삽입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단에 형성된 헤드에 상기 가동툴이 삽입 체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나사 체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스크류부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어 회전이 구속되고, 상기 스크류부재의 타측단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가동 플레이트; 및
복수의 상기 안내관의 수량에 대응하여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 체결되고, 복수의 상기 안내관을 가압하는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단부가 상기 안내관에 삽입되어 상기 안내관을 가압하는 가압돌기;
를 포함하는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
A guide pipe separator for a spent nuclear fuel skeleton capable of simultaneously separating a plurality of guide pipes from a protection support grid and a lower support grid after a lower fixture is separated from a cut bottom end of a spent fuel skeleton,
A support means on which one of a protective support grid and a lower support grid on which a plurality of guide tubes are penetrated is seated;
A pressing means which is provided in the supporting means and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ress and drop the plurality of guide tubes; And
And a movable tool for providing power to move the pressing means,
Wherein the support means comprises:
A base frame in which a flange protruding outwardly is placed in a rack provided in the water tub to restrain downward movement and rotation;
A support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base frame and on which one of the protective support grid and the lower support grid is seated; And
And a pressing means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support portion on the base frame and fastened by the pressing means,
Wherein the pressing means comprises:
A base plate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pressing means fastening portion;
A screw member that is inserted into the head formed at one end of the movable tool to receive rotational power and is screwed to the base plate to move up and down;
A movable plate disposed inside the base frame and constrained to rotate,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crew member so as to rotate and move up and down; And
Wherein a plurality of guide pipes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guide pipes and are fastened to the movable plate so that the end portions for pressing the plurality of guide pipes are rounded and the end portions are inserted into the guide pipe, A pressing projection;
Wherein the guide tube separator of the spent nuclear fuel skeleton includes a guide tube.
상기 지지수단은,
양측 단부 각각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플랜지부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수조에 투입하거나 인양 시 외부의 이동수단에 체결되게 마련된 후크걸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ans comprises:
A hook hook which is fastened to the flange portion of the base frame at both ends thereof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water tub or to be fastened to an external moving means when lifting the base frame;
Wherein the guide tube separator further comprises: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수조에 투입되거나 외부로 인양 시 물이 유동하도록 바닥판에 복수의 투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frame includes:
Wherein a plurality of permeable holes are formed in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water flows into the water tank or the water flows when the water is lifted to the outside.
상기 가동툴은,
바 형태로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단에서 양측으로 체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몸체를 회전시키도록 제공되는 핸드레버; 및
상기 몸체의 타측단에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부재의 헤드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able tool comprises:
A body provided in the form of a bar;
A hand lever fastened to one side of the body at both ends thereof, the hand lever being provided to allow the user to rotate the body; And
A fastening pa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inserted into the head of the screw member;
Wherein the guide tube separator of the spent nuclear fuel skeleton is provided with a guide tube.
상기 스크류부재의 헤드는 육각 볼트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가동툴의 체결부는 소켓 렌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ead of the screw member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exagonal bolt and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movable tool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ocket wrenc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2668A KR101893852B1 (en) | 2016-12-01 | 2016-12-01 | Apparatus for removing pipe of spent nuclear fuel skelet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2668A KR101893852B1 (en) | 2016-12-01 | 2016-12-01 | Apparatus for removing pipe of spent nuclear fuel skelet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2700A KR20180062700A (en) | 2018-06-11 |
KR101893852B1 true KR101893852B1 (en) | 2018-08-31 |
Family
ID=6260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2668A Active KR101893852B1 (en) | 2016-12-01 | 2016-12-01 | Apparatus for removing pipe of spent nuclear fuel skelet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385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14227A (en) | 2023-07-19 | 2025-02-03 | 한국원자력연구원 | Underwater cutting device for spent nuclear fuel skelet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8543B1 (en) | 2021-12-28 | 2023-12-04 |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 Equipment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top nozzle assembly of the nuclear fuel assembl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2002B1 (en) | 2011-05-02 | 2012-07-03 | 한국원자력연구원 | Apparatus for removing top nozzle of spent nuclear fuel skeleton and method for removing top nozzle using the same |
KR101647275B1 (en) * | 2015-06-17 | 2016-08-10 | 한국원자력연구원 | Apparatus for removing lower end fitting of spent nuclear fuel skeleto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95502B2 (en) * | 1991-12-26 | 2000-10-03 | 三菱原子燃料株式会社 | Nuclear fuel assembly assembly device |
US7453972B2 (en) * | 2006-06-09 | 2008-11-18 | Westinghouse Electric Co. Llc | Nuclear fuel assembly control rod drive thimble to bottom nozzle connector |
KR20150086061A (en) | 2014-01-17 | 2015-07-27 | 김재진 | Protected window structure for sliding window |
-
2016
- 2016-12-01 KR KR1020160162668A patent/KR10189385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2002B1 (en) | 2011-05-02 | 2012-07-03 | 한국원자력연구원 | Apparatus for removing top nozzle of spent nuclear fuel skeleton and method for removing top nozzle using the same |
KR101647275B1 (en) * | 2015-06-17 | 2016-08-10 | 한국원자력연구원 | Apparatus for removing lower end fitting of spent nuclear fuel skelet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14227A (en) | 2023-07-19 | 2025-02-03 | 한국원자력연구원 | Underwater cutting device for spent nuclear fuel skelet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2700A (en) | 2018-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3852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pipe of spent nuclear fuel skeleton | |
KR101494127B1 (en) | Nozzle to shell circle-automatic-welding apparatus hav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function of location adjuster | |
KR20140003381U (en) | Device for grabbing of pipe | |
CN217111811U (en) | Bridge building steel structure quality detection equipment with protection function | |
CN202957492U (en) | A special tool for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circuit breaker spring mechanism | |
CN111803820B (en) | A safety belt suspension device that can quickly disassemble and assemble an insulating rod | |
CN205362440U (en) | Expander roll fixing device of electric tube expander | |
KR101647275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lower end fitting of spent nuclear fuel skeleton | |
KR20140004986U (en) | lug load testing device | |
CN211437867U (en) | Based on electric power wire rod bending machine | |
CN213197239U (en) | High-toughness corrosion-resistant automobile inspection tool clamping device | |
CN211563055U (en) | Test tube support device for biotechnology development | |
CN210315287U (en) | Sign convenient to change | |
CN210071366U (en) | Leather azo dye detects sampling device | |
CN108254638B (en) | Capacitance state indicator convenient to disassemble and assemble | |
JP3548426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stanchion pole | |
CN214442113U (en) | Steel bending machine for forming steel truss girder suspension bridge | |
CN212387594U (en) | Intelligent state monitoring device for ocean platform crane | |
CN206927641U (en) | Device for recycling sewage with warning function | |
CN218564830U (en) | Metal strength testing device for desktop computer display screen mounting bracket | |
CN219977844U (en) | Water quality sampling device for waste water classification treatment | |
CN222837734U (en) | Brake disc dynamic balance detection clamp | |
CN216197143U (en) | Steel construction safety protection frame for building engineering experiments | |
CN219978355U (en) | Detachable electricity consumption detection device | |
CN215512487U (en) | Corrugated carton print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2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2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8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7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2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