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604B1 -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3604B1 KR101893604B1 KR1020160109469A KR20160109469A KR101893604B1 KR 101893604 B1 KR101893604 B1 KR 101893604B1 KR 1020160109469 A KR1020160109469 A KR 1020160109469A KR 20160109469 A KR20160109469 A KR 20160109469A KR 101893604 B1 KR101893604 B1 KR 1018936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hearing loss
- candida
- candida utilis
- composition accor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4—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23L33/145—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6—Yea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소음 및 노화 등의 난청으로 인한 청력 역치의 상승과 유모세포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으로써 난청을 억제할 수 있어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며, 또한 경구투여가 용이하여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일 수 있어 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은 카나마이신으로 유발된 이독성 모델에서 칸디다 유틸리스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처리에 따른 이독성에 의한 청각병증 치료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소음노출 후 클릭 자극음에서 청성유발전위를 이용한 청력역치 측정 시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contorl: 미처리 대조군, HM: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 처리 실험군).
도 4는 소음노출 후 8 kHz TB 자극음에서 청성유발전위를 이용한 청력역치 측정시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contorl: 미처리 대조군, HM: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 처리 실험군).
도 5는 소음노출 후 16 kHz TB 자극음에서 청성유발전위를 이용한 청력역치 측정시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contorl: 미처리 대조군, HM: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 처리 실험군).
도 6은 소음노출 후 중기반응을 이용한 Pa 잠복기 측정 시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contorl: 미처리 대조군, HM: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 처리 실험군).
도 7은 가나마이신 처리로 otic hair cell을 손상 시킨 5 dpf 제브라피쉬에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 처리 후 otic hair cell의 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normal :정상군, contorl: 가나마이신 처리 대조군, HM 0.5: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 0.5 ug/ml 처리 실험군, HM 1: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 1 ug/ml 처리 실험군).
도 8은 살리실레이트 처리로 otic hair cell을 손상 시킨 5 dpf 제브라피쉬에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 처리 후 otic hair cell의 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normal :정상군, contorl: 살리실레이트 처리 대조군, HM 1: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 1 ug/ml 처리 실험군, HM 10: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 10 ug/ml 처리 실험군, HM 100: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 100 ug/ml 처리 실험군).
도 9는 알록산 처리로 otic hair cell을 손상 시킨 5 dpf 제브라피쉬에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 처리 후 otic hair cell의 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normal :정상군, contorl: 알록산 처리 대조군, HM 1: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 1 ug/ml 처리 실험군, HM 10: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 10 ug/ml 처리 실험군, HM 100: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 100 ug/ml 처리 실험군).
Claims (11)
- 글루타치온을 추출물 내 3 중량% 이상 6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칸디다 유틸리스 (Candida Util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청은 전음성 난청(conductive hearing loss) 또는 감각신경성 난청(sensorineural hearing loss)인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청은 소음성 난청, 노인성 난청, 돌발성 난청, 당뇨병으로 인한 청신경병증, 이독성 난청, 외상성 난청 및 바이러스성 난청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디다 유틸리스 (Candida Utilis) 추출물은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글루타치온을 4 중량% 이상 6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추출물인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디다 유틸리스 (Candida Utilis) 추출물은 칸디다 유틸리스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인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글루타치온을 추출물 내 3 중량% 이상 6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칸디다 유틸리스 (Candida Util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난청은 전음성 난청(conductive hearing loss) 또는 감각신경성 난청(sensorineural hearing loss)인 난청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난청은 소음성 난청, 노인성 난청, 돌발성 난청, 당뇨병으로 인한 청신경병증, 이독성 난청, 외상성 난청 및 바이러스성 난청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난청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칸디다 유틸리스 (Candida Utilis) 추출물은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글루타치온을 4 중량% 이상 6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추출물인 난청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칸디다 유틸리스 (Candida Utilis) 추출물은 칸디다 유틸리스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인 난청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건강기능식품인 난청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121081 | 2015-08-27 | ||
KR1020150121081 | 2015-08-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6266A KR20170026266A (ko) | 2017-03-08 |
KR101893604B1 true KR101893604B1 (ko) | 2018-08-30 |
Family
ID=5840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9469A Active KR101893604B1 (ko) | 2015-08-27 | 2016-08-26 |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360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2366A (ko) * | 2017-06-29 | 2019-01-08 | 동국제약 주식회사 | 아보카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KR102030123B1 (ko) * | 2018-05-31 | 2019-10-08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102754662B1 (ko) * | 2020-12-17 | 2025-01-20 | 주식회사 삼양사 | 높은 트리펩타이드 생산능을 갖는 미생물 및 이의 용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57207A1 (de) | 2011-10-20 | 2013-04-25 | Digital Endoscopy Gmbh | Endoskopiesystem, steuersystem und verwendung eines steuersystems bei einem endoskopiesystem |
WO2016033615A1 (en) | 2014-08-29 | 2016-03-03 | Sound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 Methods of screening for drugs to prevent noise-induced hearing los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471902B1 (en) * | 2002-01-04 | 2014-07-02 | Sound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 Compositions for use in methods for treating hearing loss |
TW200922544A (en) | 2007-09-12 | 2009-06-01 | Merz Pharma Gmbh & Amp Co Kgaa | Interval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
KR101667000B1 (ko) | 2010-05-21 | 2016-10-17 | 덴카 주식회사 | 조성물 및 접착제 |
-
2016
- 2016-08-26 KR KR1020160109469A patent/KR10189360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57207A1 (de) | 2011-10-20 | 2013-04-25 | Digital Endoscopy Gmbh | Endoskopiesystem, steuersystem und verwendung eines steuersystems bei einem endoskopiesystem |
WO2016033615A1 (en) | 2014-08-29 | 2016-03-03 | Sound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 Methods of screening for drugs to prevent noise-induced hearing loss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Biotechnology Letters, 2003, 제25권, 페이지 887-890* |
Brain Research, 1998, 제784권, 페이지 82-90* |
Hearing Research, 1994, 제77권, 페이지 81-8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6266A (ko) | 2017-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89207A (ko) | 해조류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 |
CN113543793A (zh) | 螺旋藻提取物的制备方法、和包含螺旋藻提取物的用于改善认知能力的药学组合物及保健功能食品 | |
KR101893604B1 (ko) |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JP2021080259A (ja) | 視神経保護用組成物 | |
KR101720054B1 (ko) |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JP6484708B2 (ja) | 網膜疾患を予防及び治療するための、有効成分としてスピルリナ・マキシマ抽出物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 |
KR101807953B1 (ko) | 고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R20130023880A (ko) | 선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40019967A (ko) | 작약, 건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및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
KR102099363B1 (ko) | 아보카도 오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R100971374B1 (ko) |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90002366A (ko) | 아보카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R20210057634A (ko) | 메밀잣밤나무속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818395B1 (ko) |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US20150050364A1 (en) |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tinnitus | |
AU2009219468B2 (en) | Use of black soybean for treating ophthalmic diseases | |
CN115120703A (zh) | 枸杞糖肽在制备预防或治疗噪声性耳聋的药物中的用途 | |
KR20190073099A (ko) | 운카리아 린초필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10002954A (ko) | 고구마 줄기 또는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151152B1 (ko) |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151155B1 (ko) |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131044B1 (ko) |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US20220401508A1 (en) | Composition comprising sweet potato stem or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ear disease | |
KR102030123B1 (ko) |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20115370A (ko) | 구멍쇠미역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의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7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