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92492B1 - 팬터그래프용 암 - Google Patents

팬터그래프용 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492B1
KR101892492B1 KR1020160129777A KR20160129777A KR101892492B1 KR 101892492 B1 KR101892492 B1 KR 101892492B1 KR 1020160129777 A KR1020160129777 A KR 1020160129777A KR 20160129777 A KR20160129777 A KR 20160129777A KR 101892492 B1 KR101892492 B1 KR 101892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arm
pantograph
collecting
arm connecting
ar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207A (ko
Inventor
조용현
박철민
박춘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29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492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4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1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bow-type collector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60L5/22Supporting means for the contact bow
    • B60L5/28Devices for lifting and resetting the coll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1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bow-type collector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60L5/22Supporting means for the contact bow
    • B60L5/24Pantograp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팬터그래프용 암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팬터그래프용 암은, 전차선에 접하는 집전부를 지지하는 집전지지부와, 하부암에 결합되는 하부암연결부와, 하부암연결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집전지지부에 고정되는 제1부재와, 하부암연결부와 집전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부재를 구비하는 연결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팬터그래프용 암{ARM FOR PANTOGRAPH}
본 발명은 팬터그래프용 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전부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팬터그래프용 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동차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며, 전력을 공급하는 전차선(電車線)으로부터 전동차의 지붕에 설치된 팬터그래프 장치 등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팬터그래프 장치는, 전차선과 접하여 마찰되며, 전력을 공급받는 집전부와, 집전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한다. 프레임부는 집전부를 지지하는 상부암과, 전동차에 연결되는 베이스부와, 상부암과 베이스부를 연결하는 하부암을 포함한다.
다만, 종래의 팬터그래프 장치에서 상부암은 집전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경량 재료를 적용하여 중량을 절감해야 하는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기 어렵고, 장치의 제작 과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9001호(2013.04.19 공개, 발명의 명칭: 전동차용 팬터그래프)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종 재질을 사용하여, 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고, 열 변형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팬터그래프용 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팬터그래프용 암은: 전차선에 접하는 집전부를 지지하는 집전지지부; 하부암에 결합되는 하부암연결부; 및 상기 하부암연결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집전지지부에 고정되는 제1부재와, 상기 하부암연결부와 상기 집전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부재를 구비하는 연결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하부암연결부의 일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타단부는 상기 집전지지부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하부암연결부를 가열 팽창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암연결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부재는,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하부암연결부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상기 집전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제1부재와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집전지지부가 삽입되되, 상기 집전지지부가 삽입되는 위치에 장홀이 형성되는 제2바디부; 및 상기 장홀을 관통하여 상기 집전지지부에 고정되는 제2바디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홀은, 상기 제2바디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홀은, 상기 제2바디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홀은, 상기 제2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2바디부와 상기 집전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며 통전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전소재는 상기 집전지지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바디부는, 타단부의 내경이 상기 집전지지부 또는 상기 통전부재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집전지지부는, 제2바디부가 가열된 후, 상기 통전부재가 감긴 상태로 상기 제2바디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부재는, 알루미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팬터그래프용 암은, 이종 재질을 사용하여, 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고, 열 변형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종재질을 적용한 경우에도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열변형에 의한 결합 해제, 장치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용 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부재, 하부암연결부 및 제2부재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부재, 집전지지부 및 제2부재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홀에 대하여 제2바디체결부가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팬터그래프용 암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용 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용 암(1)은 집전지지부(100), 하부암연결부(200) 및 연결암부(300)를 포함하여 집전부(미도시)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집전지지부(100)는 전차선에 접하는 집전부에 결합되어 집전부를 지지하며, 션트리드 등이 설치되어, 집전부에서 집전된 전력이, 집전지지부(100), 연결암부(300) 및 하부암연결부(200) 등을 통하여 전동차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암연결부(200)는 하부암(미도시)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암연결부(200)는 하부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집전부의 유동을 흡수한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연결암부(300)는, 각각 상이한 재질, 특히 열팽창계수가 상이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부재(310)와 제2부재(330)를 구비하여, 집전지지부(100)와 하부암연결부(200)를 연결하고, 집전지지부(100)를 지지한다.
제1부재(310)는 하부암연결부(2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집전지지부(10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부재(310)는 일단부(도 4 기준 우측 단부)가 하부암연결부(200)에 길이 방향(도 1 기준 X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타단부(도 2 기준 좌측 단부)는 집전지지부(100)에 접착제 등에 의하여 상온 접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부재(3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통공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부재(310)의 외경은 하부암연결부(200)의 일단부, 즉 제1부재(310)와 결합되는 하부암연결부(200) 단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하부암연결부(200)에 열박음 방식으로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부재, 하부암연결부 및 제2부재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부재(310)의 일단부(도 5 기준 우측 단부)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 등에 의하여 대략 80 ~ 90 로 가열된 하부암연결부(200)의 일단부(도 5 기준 좌측 단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끼움 결합된다.
제1부재(310)가 하부암연결부(200)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하부암연결부(200)와의 결합을 유지하되, 제2부재(330)와의 열팽창 정도의 차이가 발생되어 소정 크기 이상의 길이 방향 힘이 작용하면, 하부암연결부(200)에 대하여 이동되어 열응력 등의 발생을 방지한다.
제1부재(310)의 일단부는, 제1부재(3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암연결부(200)와 일정거리, 예를 들어 5 ~ 10mm 가량의 갭(G)이 발생되도록 장착되어 제1부재(310)가 하부암연결부(200)에 대하여, 제1부재(3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부재(310)의 일단부가 하부암연결부(20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1부재(310)의 일단부와 하부암연결부(200) 사이에 설정되는, 제1부재(310)의 길이 방향 갭(G)의 크기는 제1부재(310)와 제2부재(330)의 길이, 열팽창계수의 차이, 사용 환경에서의 온도범위, 열박음을 위한 가열 온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부재(310)는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강재를 적용한 경우 대비, 중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금속재질, 특히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부재(330)의 기계적 강성, 특히 휨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제2부재(330)는 제1부재(310)와 열팽창 계수가 상이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하부암연결부(200)와 집전지지부(10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부재(330)는 일단부(도 4 기준 우측 단부)가 하부암연결부(200)의 일단부(도 4 기준 좌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타단부(도 2 기준 좌측 단부)가 집전지지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부재(310)와의 열팽창 계수 차이에 의하여 열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해소한다.
제2부재(330)는 통공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부재(310)를 둘러싸며, 집전지지부(100)가 제2부재(330)의 타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부재(330)는 제1부재(310)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재질, 특히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의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CFRP로 예시되는 제1부재(310)에 아크가 작용하거나, 외부의 충격, 열, 이물질 등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1부재(310)의 손상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부재(330)는 제2바디부(331) 및 제2바디체결부(333)를 포함한다.
제2부재(330)는 제1부재(310)을 둘러싸되, 제1부재(310)와 이격되게 위치하여, 제2부재(330)가 아크 등에 의하여 가열되거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제1부재(310)가 고온, 고압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부재, 집전지지부 및 제2부재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홀에 대하여 제2바디체결부가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제2바디부(331)는 제1부재(310)를 둘러싸며, 타단부(도 6 기준 좌측 단부)의 내측으로 집전지지부(100)가 삽입되고, 집전지지부(100)가 결합되는 위치에 장홀(332)이 형성된다.
또한, 제2바디부(331)의 일단부(도 4 기준 우측 단부)에는 하부암연결부(200)가 삽입되며, 접착제로 상온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제2바디부(331)와 하부암연결부(200)를 접합할 수 있는 기술 사상 안에서 접착제에 의한 접합 이외에도 볼팅, 용접 등의 다양한 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바디체결부(333)는 장홀(332)을 관통하여 집전지지부(100)에 나사 결합, 끼움 결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홀(332)은 제2바디부(331)의 길이 방향(X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1부재(310)와 제2부재(330)의 열팽창 계수 등이 상이한 경우, 제1부재(310)와 제2부재(330)가 상호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열응력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다. 제2바디체결부(333)가 장홀(332)의 길이 방향, 즉 제2바디부(33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홀(332)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제2바디부(33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고(도 1 및 3 참조), 제2바디체결부(333)가 각각의 장홀(332)을 통하여 집전지지부(100)에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장홀(332)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제2바디부(3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제2바디체결부(333)가 각각의 장홀(332)을 통하여 집전지지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부재(330)는 금속재질, 특히 알루미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강재를 적용하는 경우 대비, 중량을 절감할 수 있고, 제2부재(33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부재(310)에 아크가 작용하거나, 외부의 충격 등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부재(330)는 통전부재(335)를 더 포함한다. 통전부재(335)는 제2바디부(331)와 집전지지부(100) 사이에 개재되며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통전부재(335)는 집전지지부(10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집전지지부(100)에 장착되며, 집전지지부(100)에 장착된 상태로 제2바디부(331)의 내측에 열박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바디부(331)의 타단부(도 2 기준 좌측 단부), 즉 집전지지부(100)가 삽입되는 부위의 내경은 집전지지부(100) 또는 통전부재(335)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집전지지부(100)는 제2바디부(331)가 가열된 후, 통전부재(335)가 감긴 상태로 제2바디부(331)에 끼움 결합된다.
집전지지부(100)에 통전부재(335)가 감긴 상태에서 제2바디부(331)의 내측으로 진입될 때, 통전부재(335)가 제2바디부(331)에 걸려 변형되거나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집전지지부(100)의 외주면에는 통전부재(335)가 끼워질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통전부안착홈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용 암(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온에서 제1부재(310)와 집전지지부(100), 하부암연결부(200)와 제2부재(330)를 접합한다. 제1부재(310)의 경우 집전지지부(100)에 삽입 결합되는데, 제1부재(310)의 외주면과 집전지지부(100)의 내주면이 접착제에 의하여 상온 접합된다.
제2부재(330)의 경우 하부암연결부(200)가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데, 제2부재(330)의 내주면과, 하부암연결부(200)의 외주면이 접착제에 의하여 상온 접합된다.
제2부재(330)와 하부암연결부(200) 조립체는 오토클레이브 등에 의하여 가열된 후, 제1부재(310)와 집전지지부(100) 조립체와 결합된다.
하부암연결부(200)의 내경은 제1부재(31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지만, 오토클레이브 등에 의하여 가열되면 열팽창 되면서 내경이 확장되며, 내경이 확장된 상태에서 제1부재(310)가 하부암연결부(200)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제2부재(330)의 내경은, 집전지지부(100)가 제2부재(330)와 결합되는 단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열팽창 된 상태에서 집전지지부(100)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집전지지부(100)가 제2부재(330)에 끼워지면, 제2바디체결부(333)를 이용하여 제2부재(330)와 집전지지부(100)를 결합한다. 제2바디체결부(333)는 제2부재(330)에 형성되는 장홀(332)을 통하여 진입되어, 집전지지부(100)에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 팬터그래프용 암(1)은 연결암부(300)가 CFRP를 포함하는 제1부재(310)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제2부재(330)의 복합소재를 포함하여 집전부를 지지한다.
따라서 제2부재(330)는 토션 힘 등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고, 아크 등의 발생 또는 외부의 충격에 강하며, 제1부재(310)는 경량의 재질을 포함하여 중량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벤딩 힘에 대한 강성이 강하며, 집전지지부(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팬터그래프용 암(1)은 이종 재질을 적용한 경우, 특히 열팽창 계수가 상이한 경우, 제1부재(310)와 제2부재(330) 사이의 상호 이동이 가능하므로, 제1부재(310) 또는 제2부재(330)에 열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부재(310)와 제2부재(330)의 상호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1부재(310)와 하부암연결부(200)의 결합구조, 제2부재(330)와 집전지지부(100)의 결합구조는 소정 힘 이상이 작용하는 경우 소정 거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부재(310)의 길이 방향 열팽창계수보다 제2부재(330)의 길이 방향 열팽창계수의 크기가 큰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온도가 상승될 때, 제2부재(330)가 늘어나는 정도가 제1부재(310)의 신장 정도보다 크게 된다.
제1부재(310) 대비 제2부재(330)가 더욱 신장 되는 길이 차이에 의한 응력은 1차적으로 장홀(332)의 길이 방향으로 제2바디체결부(333)가 이동하면서 상쇄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310) 대비 제2부재(330)가 장홀(332)에서 제2바디체결부(333)가 이동될 수 있는 거리 이상의 차이로 더욱 신장되는 경우, 제1부재(310)가 하부암연결부(200)에 대하여 이동되면서 해당 거리의 차이를 상쇄할 수 있다.
온도가 하강될 때 역시, 제2바디체결부(333)가 장홀(33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제1부재(310)가 하부암연결부(200)에 대하여 이동되면서 길이 변화의 차이에 의한 응력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길이 변화의 차이에 따른 이동과 관련하여 1차적으로 장홀(332)의 길이 방향으로 제2바디체결부(333)가 이동되고, 2차적으로 제1부재(310)가 하부암연결부(200)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장홀(332)의 폭, 제2바디체결부(333)의 체결력, 제1부재(310)와 하부암연결부(200)의 형상 및 결합 방식 등을 조절하여, 그 순서가 바뀔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장홀(332) 내에서 제2바디체결부(333)가 이동되는 것과, 제1부재(310)가 하부암연결부(200)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팬터그래프용 암 100: 집전지지부
110: 통전부안착홈부 200: 하부암연결부
300: 연결암부 310: 제1부재
330: 제2부재 331: 제2바디부
332: 장홀 333: 제2바디체결부
335: 통전부재 G: 갭

Claims (14)

  1. 전차선에 접하는 집전부를 지지하는 집전지지부;
    하부암에 결합되는 하부암연결부; 및
    상기 하부암연결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집전지지부에 고정되는 제1부재와, 상기 하부암연결부와 상기 집전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부재를 구비하는 연결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하부암연결부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상기 집전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용 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하부암연결부의 일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타단부는 상기 집전지지부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용 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하부암연결부를 가열 팽창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암연결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용 암.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용 암.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제1부재와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용 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집전지지부가 삽입되되, 상기 집전지지부가 삽입되는 위치에 장홀이 형성되는 제2바디부; 및
    상기 장홀을 관통하여 상기 집전지지부에 고정되는 제2바디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용 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홀은,
    상기 제2바디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용 암.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홀은,
    상기 제2바디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용 암.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홀은,
    상기 제2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용 암.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2바디부와 상기 집전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며 통전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전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용 암.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소재는 상기 집전지지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용 암.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부는,
    타단부의 내경이 상기 집전지지부 또는 상기 통전부재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집전지지부는, 제2바디부가 가열된 후, 상기 통전부재가 감긴 상태로 상기 제2바디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용 암.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는, 알루미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용 암.
KR1020160129777A 2016-10-07 2016-10-07 팬터그래프용 암 Active KR101892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777A KR101892492B1 (ko) 2016-10-07 2016-10-07 팬터그래프용 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777A KR101892492B1 (ko) 2016-10-07 2016-10-07 팬터그래프용 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207A KR20180039207A (ko) 2018-04-18
KR101892492B1 true KR101892492B1 (ko) 2018-08-30

Family

ID=6208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777A Active KR101892492B1 (ko) 2016-10-07 2016-10-07 팬터그래프용 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4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6516A1 (en) 2005-03-22 2006-09-28 Bussan Nanotech Research Institute, Inc. Composite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812B1 (ko) * 2009-12-18 2012-01-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
KR101272135B1 (ko) * 2011-10-11 2013-06-07 재단법인 한국계면공학연구소 전동차용 팬터그래프
KR101473417B1 (ko) * 2013-01-23 2014-12-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소음저감을 위한 관절커버가 구비된 팬터그래프
KR101623401B1 (ko) * 2014-10-28 2016-05-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팬터그래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6516A1 (en) 2005-03-22 2006-09-28 Bussan Nanotech Research Institute, Inc. Composite materia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경량 저소음 팬터그래프 개발, 보고서, 한국철도기술연구원(2015.12.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207A (ko)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00657B (zh) 用于将线束安装至车辆的支撑结构上的自紧固支架以及包括该自紧固支架的车辆
US9381945B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coupling side structures and roof rails
US10300949B2 (en) Wheelchair conversion vehicle with a modified K-fr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10129208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nstalling composite rivets
KR101892492B1 (ko) 팬터그래프용 암
KR20190132345A (ko) 성형시스템
EP2897780B1 (en) Method of forming a tube from a thermoplastic sandwich sheet
JP2010120565A (ja) 機能性パネルおよびその接合方法
KR20170128643A (ko) 자동차용 케이블 고정구
KR101028561B1 (ko) 스폿 용접장치
KR101776759B1 (ko) 연료 전지 파워 트레인 시스템 프레임
JP6035990B2 (ja) 車両用電源装置
CN104859457A (zh) 轨道交通工具受电弓
KR102004300B1 (ko) 팬터그래프용 암
JP6096699B2 (ja) Smt実装機において少なくとも1つの実装ヘッドを位置決めするためのガントリ装置、及び当該ガントリ装置の製造方法
US20230381883A1 (en) Induction welding heat shield assembly with multiple heat shields with aligned recesses for induction welding path
US12263652B2 (en) Heat shield with coil recess for induction welding
KR101386966B1 (ko) 티그 용접기용 토치
GB2374312B (en) Welding apparatus
KR101379273B1 (ko) 자동차 배기관용 다축 연결조인트
CN110816437B (zh) 汽车管线束支架
CN212330820U (zh) 一种汽车上弯梁左支撑板生产用支撑架
CN213292531U (zh) 一种电池可拆式电动助力自行车
CN103465727B (zh) 拔轮装置
JP5968079B2 (ja) 固定具、及び固定具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