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128B1 - A ventilation unit with a device that adjusts the air volume by adjusting the damper installed on the body with the ventury differential pressure without the air supply and exhaust fan inside - Google Patents
A ventilation unit with a device that adjusts the air volume by adjusting the damper installed on the body with the ventury differential pressure without the air supply and exhaust fan insid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2128B1 KR101892128B1 KR1020180034445A KR20180034445A KR101892128B1 KR 101892128 B1 KR101892128 B1 KR 101892128B1 KR 1020180034445 A KR1020180034445 A KR 1020180034445A KR 20180034445 A KR20180034445 A KR 20180034445A KR 101892128 B1 KR101892128 B1 KR 1018921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exhaust
- air supply
- pressure
- amou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0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composed of diaphragms or seg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급기 및 배기 송풍기가 없이 밴츄리 차압으로 몸체에 설치된 댐퍼를 조절하여 풍량을 가변하는 장치가 부착된 환기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급기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급기송풍부와, 유입되는 공기를 예냉 및 예열하는 냉난방코일과, 상기 급기송풍부를 제어하는 급기인버터를 구성한 공기조화기; 배기인버터에 의해 제어되어 배기덕트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송풍부; 상기 급, 배기덕트와 실내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환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각각의 환기수단은, 일측에 실내급기연결구와 실내배기연결구를 형성한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스본체 내부를 구획하는 전열교환기; 상기 케이스본체와 급기덕트 사이에 설치되어, 압력 차를 통해 댐퍼의 개폐량을 가변조절함으로써, 급기덕트에서 실내공간으로 급기되는 공기의 급기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급기가변풍량조절기; 상기 케이스본체와 배기덕트 사이에 설치되어, 압력 차를 통해 댐퍼의 개폐량을 가변조절함으로써, 실내공간에서 배기덕트로 배기되는 공기의 배기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배기가변풍량조절기; 상기 케이스본체에 구성되어 급기가변풍량조절기와 배기가변풍량조절기의 풍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unit having a device for varying an air volume by adjusting a damper installed on a body with a venturi pressure difference without an air supply and exhaust air blower inside, An air conditioner constituting a cooling / heating coil for precooling and preheating the incoming air, and an air supply inverter for controlling the air supply / exhaust unit; An exhaust blow-in portion controlled by the exhaust inverter to exhaust air of the exhaust duct to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ventilation means installed between the air supply duct and the indoor space, wherein each ventilation means comprises a case body having an indoor air supply connection port and an indoor air discharge conne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 exhaust heat exchanger installed in the case body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case body; An air supply variable air amount regulator provided between the case body and the air supply duct to adjust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duct to the indoor space by varying th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damper through a pressure difference; An exhaust variable air volume regulator provided between the case body and the exhaust duct to adjust the amount of exhaust of air exhausted to the exhaust duct in the indoor space by varying th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damper through a pressure differenc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an air flow rate of the air supply variable air amount regulator and the exhaust air amount regula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부에 급기 및 배기 송풍기가 없이 밴츄리 차압으로 몸체에 설치된 댐퍼를 조절하여 풍량을 가변하는 장치가 부착된 환기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조화기의 냉난방코일을 통해 외기의 예냉 및 예열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절기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은 물론, 하절기에는 온도 및 습도가 낮아지게 되어 쾌적환 실내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고, 전열교환기의 훼손 방지를 통해 유지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 배기가변풍량조절기가 압력 차를 감지하여 댐퍼의 개폐량을 가변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덕트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거나, 일부 환기수단의 강약조절 및 정지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급, 배기되는 공기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덕트의 정압변화를 감지하는 정압센서에 의해 급기송풍부 및 배기송풍부의 풍량이 자동으로 제어되어 에너지의 절감을 이룰 수 있고, 정압 감소를 통해 소음의 저감을 이룰 수 있는 내부에 급기 및 배기 송풍기가 없이 밴츄리 차압으로 몸체에 설치된 댐퍼를 조절하여 풍량을 가변하는 장치가 부착된 환기유니트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unit having a device for varying the air volume by adjusting a damper installed on a body with a venturi pressure difference without an air supply and exhaust air blower inside.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ondensation in the winter season, as well as to reduce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in the summer season, thereby maintaining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and preventing the heat exchanger from being damaged The control of the damper is controlled by varying th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damper by detecting the pressure difference and the length of the duct is made longer or the intensity of the ventilation means is controlled and stopped. , It is possible to keep the amount of exhausted air constant at all times and to detect the change in the static pressure of the duct The sensor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air flow rate of the air supply and exhaust air flow to reduce the energy and reduce the noise by decreasing the static pressure. Inside, there is no air supply and exhaust air blow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unit having a device for adjusting the air volume by adjusting a damper installed therein.
일반적으로 환기유니트(VENTILATION UNIT)라 하면, 실내 또느 실외측으 LRHDRL를 강제로 인입하여 실외 또는 실내측으로 송풍시키기 위한 것으로, 주로 학교, 병원, 조리실, 오피스 건물, 지하철 역사, 지하도 상가, 터미널 대합실, 공항시설, 도서관, 박물관, 찜질방, PC방 및 사무실 등과 같은 많은 인원이 함께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의 환기용으로 공조기나 청정실 등에서 외부공기를 필터링(filtering)한 이후에 실내로 유입시키는 것이며, 제어기술로는 수동운전, 타임스케줄 운전, Co2 감지에 의한 자동운전이 일반적이다.VENTILATION UNIT is a ventilation unit that is used to force the LRHDRL into the indoor or outdoor area and blow it outdoors or indoors. It is mainly used for schools, hospitals, kitchens, office buildings, subway history, underground shopping malls, This system filters outside air in an air conditioner or a clean room for ventilation of a multi-use facility that is used by many people such as a facility, a library, a museum, a steam room, a PC room and an office. Automatic operation by manual operation, time schedule operation, Co2 detection is common.
따라서 종래의 환기유니트의 구조는 케이싱의 일측단에 외기유입구와 내기 배출구를 형성하고, 타측단에는 외기 배출구와 내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케이싱의 내측에는 급기팬과 배기팬이 각각 설치되고, 그 내측 중앙에 전열교환부와 필터 등이 설치되어 진다.Accordingly, in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unit, an outside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casing, an outside air outlet and an air inlet are formed at the other end, an air supply fan and an exhaust fan are provided inside the casing, An electric heat exchanger and a filter are installed in the center.
특히, 이러한 구조를 갖는 환기유니트는 실외 공기를 급기팬에 의해 케이싱 내측으로 유입시켜 필터로 필터링 후 실내로 배출하고, 동시에 실내공기를 배기팬에 의해 케이싱 내측으로 유입시켜 필터로 필터링 후 실외로 배출하도록 된 것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전열교환부에 의해서 겨울철에는 배출되는 실내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난방손실을 줄이고, 여름철에는 배출되는 실내공기의 냉기를 흡수하여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냉방손실을 줄이는 효과를 얻는다.Particularly, in the ventilation unit having such a structure, the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casing by the air supply fan by the air supply fan, and the air is filtered and discharged to the room. At the same time, the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casing by the exhaust fan, In this process, the total heat exchange part absorbs the heat of the indoor air discharged in winte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outdoor air to reduce the heating loss, and absorbs the cold air of the indoor air discharged in summer The cooling air loss is reduced by lowering the outdoor air temperature.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환기장치는, 동절기에는 영하의 외부 냉기와 영상의 실내온기가 교체되는 열교환기 내부에서 결로가 발생하기 때문에 별도의 드레인팬이 없을 경우 천정에 설치한 환기유니트에서 결로수가 바닥으로 낙수되거나, 결로로 인한 전열교환기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ventilating apparatus, in the winter season, condensation occurs inside the heat exchanger in which the outside air cooler and the indoor warm air of the image are exchanged. Therefore, in the absence of a separate drain pan,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is dripped to the bottom or damag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due to condensation occurs.
또한, 하절기에는 고온다습한 외부의 공기가 도입되는 과정에서 실내온도와 습도가 상승되기 때문에 장시가 운전시 에어콘을 가동하지 않을 경우 재실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결점이 있었으며, 덕트가 길 경우에는 환기유니트에 내장된 소형 송풍기의 풍량과 정압의 한계가 초과되는 문제가 있어 일반적인 환기유니트를 건물의 지하 또는 대규모 건물의 내부에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raised during the introduction of hot and humid external air during the summer season,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occupant feels uncomfortabl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not operated during the long operation. When the duct is lo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volume and the static pressure limit of the small blower built in the air conditioner are exceeded, so that the general ventilation unit can not be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or large-scale building of the building.
본 발명은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냉난방코일을 통해 외기의 예냉 및 예열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절기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하절기에는 온도 및 습도가 낮아지게 되어 쾌적환 실내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전열교환기의 훼손이 방지되어 유지관리가 간편해지는 내부에 급기 및 배기 송풍기가 없이 밴츄리 차압으로 몸체에 설치된 댐퍼를 조절하여 풍량을 가변하는 장치가 부착된 환기유니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premature cooling and preheating of the outside air through the cooling and heating coils of the air conditioner,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condensation in the winter season and lowe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summ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ntilation unit having a ventilation unit with a device for varying the air volume by adjusting a damper installed on the body with a venturi differential pressure without providing an air supply and exhaust air blower inside the ventilation unit, .
또한, 본 발명은 급, 배기가변풍량조절기가 압력 차를 감지하여 댐퍼의 개폐량을 가변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덕트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거나, 일부 환기수단의 강약조절 및 정지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급, 배기되는 공기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덕트의 정압변화를 감지하는 정압센서에 의해 급기송풍부 및 배기송풍부의 풍량이 자동으로 제어되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정압 감소를 통해 소음의 저감을 이룰 수 있는 내부에 급기 및 배기 송풍기가 없이 밴츄리 차압으로 몸체에 설치된 댐퍼를 조절하여 풍량을 가변하는 장치가 부착된 환기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length of the duct is made longer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damper by sensing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air-to-air and air-volume variable air amount regulator, or even when the intensity of the ventilation means is controlled and stopped, Can be maintained constantly. In addition, the static pressure sensor that senses the change in the static pressure of the duct can automatically reduce the airflow of the rich airflow and the airflow of the exhaust airflow to reduce the energy, And a ventilation unit having a device for varying the air volume by adjusting a damper installed on the body with a venturi differential pressure without an air supply and exhaust air blower ins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급기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급기송풍부와, 유입되는 공기를 예냉 및 예열하는 냉난방코일과, 상기 급기송풍부를 제어하는 급기인버터를 구성한 공기조화기; 배기인버터에 의해 제어되어 배기덕트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송풍부; 상기 급, 배기덕트와 실내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환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각각의 환기수단은, 일측에 실내급기연결구와 실내배기연결구를 형성한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스본체 내부를 구획하는 전열교환기; 상기 케이스본체와 급기덕트 사이에 설치되어, 압력 차를 통해 댐퍼의 개폐량을 가변조절함으로써, 급기덕트에서 실내공간으로 급기되는 공기의 급기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급기가변풍량조절기; 상기 케이스본체와 배기덕트 사이에 설치되어, 압력 차를 통해 댐퍼의 개폐량을 가변조절함으로써, 실내공간에서 배기덕트로 배기되는 공기의 배기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배기가변풍량조절기; 상기 케이스본체에 구성되어 급기가변풍량조절기와 배기가변풍량조절기의 풍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급기 및 배기 송풍기가 없이 밴츄리 차압으로 몸체에 설치된 댐퍼를 조절하여 풍량을 가변하는 장치가 부착된 환기유니트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supply air rich portion for adjusting an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an air supply duct; a cooling and heating coil for pre-cooling and preheating the air to be introduced; Harmonics; An exhaust blow-in portion controlled by the exhaust inverter to exhaust air of the exhaust duct to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ventilation means installed between the air supply duct and the indoor space, wherein each ventilation means comprises a case body having an indoor air supply connection port and an indoor air discharge conne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 exhaust heat exchanger installed in the case body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case body; An air supply variable air amount regulator provided between the case body and the air supply duct to adjust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duct to the indoor space by varying th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damper through a pressure difference; An exhaust variable air volume regulator provided between the case body and the exhaust duct to adjust the amount of exhaust of air exhausted to the exhaust duct in the indoor space by varying th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damper through a pressure differenc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an air flow rate of the air supply variable air volume regulator and the air volume adjusting air volume adjuster, the air volume variable air volume regulator being disposed in the case bod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ntilation unit with a device for vary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본 발명을 이용하면, 공기조화기의 냉난방코일을 통해 외기의 예냉 및 예열을 이룰 수 있어 동절기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하절기에는 온도 및 습도가 낮아지게 되어 쾌적환 실내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전열교환기의 훼손이 방지되어 유지관리가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precooling and preheating of the outside air can be achieved through the cooling / heating coil of the air conditioner, and congestion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the winter season,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lowered in the summer seaso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simplify maintenance.
또한, 본 발명은 덕트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거나, 일부 환기수단의 강약조절 및 정지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급, 배기가변풍량조절기가 압력 차를 감지하여 댐퍼의 개폐량을 가변조절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급, 배기되는 공기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덕트의 정압변화를 감지하는 정압센서에 의해 급기송풍부 및 배기송풍부의 풍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정압 감소를 통해 소음이 저감되는 장점도 가진다.Further, even if the length of the duct is long or the strength of the ventilation means is controlled and stopped, the amount of opening / closing of the damper is controlled by the variable air volume regulator by sensing the pressure differen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ir amount constantly at a constant level and also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air volume of the air supply rich portion and the air exhaust air volume portion by the constant pressure sensor which detects the change of the static pressure of the duct, So that the noise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환기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내공간에 환기수단이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급기가변풍량조절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급기가변풍량조절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5의 B부분 확대도.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entila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ventilation means is connected to an indoor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supply variable air volume reg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 supply variable air amount reg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5;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급기 및 배기 송풍기가 없이 밴츄리 차압으로 몸체에 설치된 댐퍼를 조절하여 풍량을 가변하는 장치가 부착된 환기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급기덕트(111)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급기송풍부(113)와, 유입되는 공기를 예냉 및 예열하는 냉난방코일(115)과, 상기 급기송풍부(113)를 제어하는 급기인버터(117)를 구성한 공기조화기(110); 배기인버터(127)에 의해 제어되어 배기덕트(121)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송풍부(120); 상기 급, 배기덕트(111, 121)와 실내공간(1)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환기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각각의 환기수단(400)은, 일측에 실내급기연결구(411)와 실내배기연결구(413)를 형성한 케이스본체(410); 상기 케이스본체(410)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스본체(410) 내부를 구획하는 전열교환기(420); 상기 케이스본체(410)와 급기덕트(111) 사이에 설치되어, 압력 차를 통해 댐퍼(19)의 개폐량을 가변조절함으로써, 급기덕트(111)에서 실내공간(1)으로 급기되는 공기의 급기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급기가변풍량조절기(100); 상기 케이스본체(410)와 배기덕트(121) 사이에 설치되어, 압력 차를 통해 댐퍼의 개폐량을 가변조절함으로써, 실내공간(1)에서 배기덕트(121)로 배기되는 공기의 배기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배기가변풍량조절기(200); 상기 케이스본체(410)에 구성되어 급기가변풍량조절기(100)와 배기가변풍량조절기(200)의 풍량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unit having a device for varying an air volume by adjusting a damper installed on a body with a venturi differential pressure without an air supply and exhaust air blower inside, A heating and
첫째, 공기조화기(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급기덕트(111)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급기덕트(111)와 연결된 실내공간(1)의 급기디퓨져를 통해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외기를 공급하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급기덕트(111)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급기송풍부(113)와,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예냉 및 예열하는 냉난방코일(115)과, 상기 급기송풍부(113)를 제어하는 급기인버터(117)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he
여기서 상기 급기송풍부(113)는 전동기(113a)와, 상기 전동기(113a)의 구동에 의해 급기 송풍을 발생시키는 급기팬(113b)으로 이루어지는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상기 전동기(113a)는 급기인버터(117)의 제어에 의해 구동이 제어됨으로써 급기팬(113b)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The
아울러 상기 냉난방코일(115)은 종래에 공지된 바와 같이 밸브 조작으로 조절되는 냉온수의 급수와 환수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외기를 예냉 또는 예열시키는 구성으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oling /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110)에는 외부에 설치된 외기그릴(118)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한하기 위한 개폐댐퍼(119)가 더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개폐댐퍼(119)는 공기조화기(110)의 미작동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둘째, 배기송풍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실내공간(1)의 공기를 배기덕트(121)를 통해 공급받아 외부로 배기시키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전동기(120a)와, 상기 전동기(120a)의 구동에 의해 배기 송풍을 발생시키는 배기팬(120b)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전동기(120a)는 배기인버터(127)의 제어에 의해 구동이 제어됨으로써 배기팬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2, the exhaust
셋째, 환기수단(4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110)를 통해 급기덕트(111)로 유입되는 공기를 각각의 방 즉, 각각의 실내공간(1)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배기송풍부(120)를 통해 실내공간(1)의 공기를 배기덕트(121)를 통과시켜 외부로 배기시킴으로써 실내공간(1)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각각의 실내공간(1)을 개별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복수 구성되어 각각 설치되며, 상기 공기조화기(110)의 급기송풍부(113) 및 배기송풍부(120)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송풍기가 요구되지 않는다.1 to 5, the air introduced into the
이를 위하여 각각의 환기수단(400)은 케이스본체(410)와, 전열교환기(420)와, 급기가변풍량조절기(100)와, 배기가변풍량조절기(200)와,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일측이 급기덕트(111)와 배기덕트(121)에 연결되고, 타측이 실내공간(1)의 천장에 구비된 급기디퓨져와 배기디퓨져에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this end, each of the ventilation means 400 includes a
먼저, 환기수단(400)의 케이스본체(410)는 환기수단(400)을 급, 배기덕트(111, 121)와 실내공간(1)의 급, 배기디퓨져 사이에 연결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측에는 급기디퓨져에 연결설치되는 실내급기연결구(411)와 배기디퓨져에 연결설치되는 실내배기연결구(413)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급, 배기가변풍량조절기(100, 200)의 설치를 위한 한 쌍의 설치구를 형성한다.The
아울러 상기 케이스본체(410)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천장에 고정설치하기 위해 전산볼트가 결합되는 고정고리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케이스본체(410)의 하부는 용이한 점검을 위하여 개폐되는 구성으로 제작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dge of the case
더불어 상기 케이스본체(410)의 내부에는 유동하는 공기를 분산시키기 위한 구성이 더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급기가변풍량조절기(100)와 전열교환기(420) 사이에 배치되도록 케이스본체(410)의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급기가변풍량조절기(100)를 통과하여 전열교환기(420)로 이송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제1다공판(430)과, 전열교환기(420)와 배기가변풍량조절기(200) 사이에 배치되도록 케이스본체(410)의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전열교환기(420)를 통과하여 배기가변풍량조절기(200)로 이송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제2다공판(440)으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제1, 2다공판(430, 440)에 의하면, 유동하는 공기를 고르게 분산시켜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소음이 저감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tructure for dispersing air flowing inside the
또한, 환기수단(400)의 전열교환기(420)는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본체(410)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모서리부분에는 공기가 섞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공기차단막이 구성되어 케이스본체(100)의 내측에 고정설치된다.The total
그리고 상기 전열교환기(4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심지와 원판지의 접착으로 이루어진 편면골판지를 90°의 각도로 엇갈리게 적층시켜 접착제작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열교환기(420)는 종래에 공지된 것 즉, 통상의 합성수지 또는 종이재질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2, the total
또한, 환기수단(400)의 급기가변풍량조절기(1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본체(410)와 급기덕트(111) 사이에 설치되어, 압력 차를 통해 댐퍼(19)의 개폐량을 가변조절함으로써, 급기덕트(111)에서 실내공간(1)으로 급기되는 공기의 급기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하우징(10)과, 제1압력취출부(20)와, 제2압력취출부(30)와, 전송수단(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1 to 7, the air supply variable
첫째, 하우징(10)은 종래에 공지된 바와 같이 공기의 유동통로인 내부에 오목형상을 가진 밴츄리부(15)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급기덕트(111)에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및 케이스본체(410)의 설치구에 연결되어 밴츄리부(15)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12)를 형성하는 몸체(13)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출구(12) 측 몸체(13)에 댐퍼(19)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st, the
여기서 상기 댐퍼(19)는 회동 가능하도록 하우징(10)에 결합되는 중심축에 디스크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유동통로를 개폐하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종래에 공지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둘째, 제1압력취출부(20)는 하우징(10)의 넓은 부분 즉, 입구(11) 측 몸체(13)를 통과하는 압력을 정확하게 취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입구(11) 측 몸체(13)에 복수 형성되는 제1압력홀(21)과, 상기 하우징(10)과의 사이에 제1공간(23)을 형성하도록 볼록부(24)를 구비하여 상기 제1압력홀(21)이 형성된 하우징(10)의 입구(11) 측 몸체(13)에 결합되는 제1외통(25)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pressure take-out
여기서 상기 제1압력홀(21)은 난기류 발생시에도 제1공간으로 압력이 균일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4 ~ 8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아울러 상기 제1외통(25)에는 제1공간(23)으로 채워진 압력을 취출하기 위한 제1연통홀(27)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연통홀(27)은 제1공간(23)과 연통되도록 제1외통(25)을 관통하여 형성된다.The first
그리고 상기 제1외통(25)은 리벳팅이나 용접과 같이 공지된 통상의 결합방법을 통하여 하우징(10)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며, 기밀을 위하여 마감부위를 실리콘으로 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And the first
셋째, 제2압력취출부(30)는 하우징(10)의 좁은 부분 즉, 밴츄리부(15)를 통과하는 압력을 정확하게 취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밴츄리부(15)에 복수 형성되는 제2압력홀(31)과, 상기 하우징(10)과의 사이에 제2공간(33)을 형성하도록 제2압력홀(31)이 형성된 하우징(10)의 밴츄리부(15)에 결합되는 제2외통(35)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압력홀(31)은 제1압력홀(21)과 마찬가지로 4 ~ 8개 등 간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pressure take-out
아울러 상기 제2외통(35)에는 제2공간(33)으로 채워진 압력을 취출하기 위한 제2연통홀(37)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연통홀(37)은 제2공간(33)과 연통되도록 제2외통(35)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외통(35)은 제1외통(25)과 마찬가지로 리벳팅이나 용접과 같이 공지된 통상의 결합방법을 통하여 하우징(10)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고, 기밀을 위하여 마감부위를 실리콘으로 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second
넷째, 전송수단(40)은 상기 제1, 2압력취출부(20, 30)의 제1, 2공간(23, 33)에 각각 채워진 압력을 댐퍼작동기(70)로 공급하기 위하여 제1, 2연통홀(27, 37)에 각각 결합설치되는 구성으로, 제1, 2전송호스(71, 72)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댐퍼(19)를 개폐조절하는 댐퍼작동기(70)로 제1, 2공간(23, 33)의 압력을 각각 공급하는 작용을 한다.Fourth, the transmitting means 40 is provided with first and
이를 위하여 상기 전송수단(40)은 제1압력취출부(20)에 구성된 제1외통(25)의 제1연통홀(27)에 결합되는 제1전송수단(50)과, 제2압력취출부(30)에 구성된 제2외통(35)의 제2연통홀(37)에 결합되는 제2전송수단(60)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제1, 2전송수단(50, 60)은 내부에 통공을 형성하는 전송볼트 및 상기 전송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너트의 구성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The transfer means 40 includes a first transfer means 50 coupled to the
더하여 본 발명에서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고급스러움을 느끼게 하도록 하는 외피통(80)을 하우징(10)의 외측 둘레에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외피통(8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상기 외피통(80)의 내경이 제1압력취출부(20)의 제1외통(25)과 인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mprise an
아울러 상기 외피통(10)에는 전송수단(40)의 설치를 위해 하우징(10)의 제1, 2연통홀(27, 37)에 대응되는 제1, 2관통홀(81, 82)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어야 할 것이며, 댐퍼(19)의 중심축이 끼워지는 홀도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야 한다.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입구(11)와 출구(12)에는 상기 외피통(80)에 결합된 상태로 하우징(10)에 밀착되는 연결통(90)이 각각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연결통(90)에는 하우징(10)과 외피통(80)을 보다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1, 2결합링(91, 92)이 더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즉, 상기 연결통(90)의 일측에는 하우징(10)의 외경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제1결합링(91)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결합링(91)의 외측에 위치하여 외피통(80)의 외경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제2결합링(92)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외피통(80)을 연결통(90)을 이용하여 하우징(10)에 손쉽고 견고한 설치를 이루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이때에는 상기 연결통(90)의 내경과 하우징(10)의 내경이 일치하도록 제1결합링(91)의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을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That is, the
더불어 상기 연결통(90)의 제2결합링(92)과 외피통(80)은 통상의 리벳팅 등의 결합을 더 포함하여 시행함으로써 결합된 하우징(10)과 외피통(80) 및 연결통(90)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한편, 상기 전송수단(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공간(23)에 채워진 압력을 댐퍼작동기(70)로 공급하기 위해 제1연통홀(27)에 설치되는 제1전송수단(50)과, 제2공간(33)에 채워진 압력을 댐퍼작동기(70)로 공급하기 위해 제2연통홀(37)에 설치되는 제2전송수단(6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 2전송수단(50, 60)에 대한 구성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transfer means 40 includes a first transfer means 50 installed in the
먼저, 제1전송수단(50)은 제1압력취출부(20)의 제1공간(23) 즉, 입구(11) 측 몸체(10)를 통과하는 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연통홀(27) 및 제1관통홀(81)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제1전송볼트(55)와, 상기 제1전송볼트(55)에 나사결합되어 제1외통(25)과 외피통(80)을 제1전송볼트(55)로 체결시키는 제1너트(57)로 이루어진다.The first transmission means 50 is configured to supply a pressure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제1전송볼트(55)는 제1너트(57)를 이용한 체결을 위하여 상기 제1공간(23)에 위치되는 제1헤드(51)와, 상기 제1헤드(51)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제1연통홀(27) 및 제1관통홀(81)을 통해 외피통(80)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댐퍼작동기(70)에 접속된 제1전송호스(71)에 연결되는 제1전송구(53)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전송구(53)에는 제1너트(57)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The
아울러 제2전송수단(60)은 제2압력취출부(30)의 제2공간(33) 즉, 몸체(13)의 밴츄리부(15)를 통과하는 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연통홀(37) 및 제2관통홀(82)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제2전송볼트(65)와, 상기 제1전송볼트(65)와 나사결합되어 제2전송볼트(65)를 제2외통(35)에 체결시키는 제2너트(67)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transmission means 60 is configured to supply pressure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제2전송볼트(65)는 제2너트(67)를 위한 체결을 위하여 상기 제2공간(33)에 위치되는 제2헤드(61)와, 상기 제2헤드(61)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제2연통홀(37) 및 제2관통홀(82)을 통해 외피통(80)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댐퍼작동기(70)에 접속된 제2전송호스(72)에 연결되는 제2전송구(63)로 구성되며, 상기 제2전송구(63)에는 제2너트(67)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The
또한, 환기수단(400)의 배기가변풍량조절기(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본체(410)와 배기덕트(121) 사이에 설치되어, 압력 차를 통해 댐퍼(19)의 개폐량을 가변조절함으로써, 실내공간(1)에서 배기덕트(121)로 배기되는 공기의 배기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상기 케이스본체(410)의 설치구에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및 배기덕트(121)에 연결되어 밴츄리부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와 댐퍼를 형성한 몸체를 구성한 하우징과, 제1압력취출부와, 제2압력취출부와, 전송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위 급기가변풍량조절기(100)와 설치방향이 반대일 뿐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1 to 3, the variable
또한, 환기수단(400)의 제어부(3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본체(410)에 구성되어 급기가변풍량조절기(100)와 배기가변풍량조절기(200)의 풍량을 제어하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각각의 실내공간(1)의 환경에 따라 풍량 즉, 공기량 조절을 강, 중, 약으로 3단계 조절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정지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 to 3, the
한편, 각각의 실내공간(1)에는 환기수단(400)에 구성된 제어부(300)를 조작하기 위한 리모트컨트롤(310)가 각각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 급기가변풍량조절기(100) 및 배기가변풍량조절기(200)를 통과하는 공기의 통과량을 원격으로 설정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급, 배기가변풍량조절기(100, 200)의 설정을 변경한다 하더라도 상기 급, 배기가변풍량조절기(100, 200)에 구성된 각각의 댐퍼(19)가 압력차에 따라 가변조절되는 것에 의해 설정된 풍량 만큼만 통과되게 할 수 있게 된다.Each of the
또한, 위와 같은 리모트컨트롤(310)을 이용하여 급, 배기가변풍량조절기(100, 200)의 설정을 변경하게 되면, 급, 배기덕트(111, 121)에는 과다하게 공급되는 풍량으로 인해 정압이 증가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급, 배기덕트(111, 121)에 정압을 감지하여 급, 배기송풍기(113, 120)를 각각 제어하는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과풍량 및 과정압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When the settings of the air supply and exhaust
이러한 과풍량 과정압 해소 수단은, 상기 급기덕트(111)에 급기정압센서(130)를 추가 구성하고, 배기덕트(121)에는 배기정압센서(140)를 추가 구성함으로써 상기 급, 배기덕트(111, 121) 내의 정압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을 것이며, 여기서 상기 급, 배기정압센서(130, 140)는 감지된 정압과 설정압력의 차이를 비교하여 급, 배기송풍부(113, 120)의 출력을 자동조절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The air blowing process pressure decompress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n air supply
따라서 상기 급, 배기정압센서(130, 140)에서 감지되는 정압이 설정압력를 초과하였을 경우에는 급, 배기인버터(117, 127)에 신호를 전송하여 급, 배기송풍부(113, 120)의 출력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고, 상기 급, 배기정압센서(130, 140)에서 감지되는 정압이 설정압력 미만일 경우에는 급, 배기송풍기(113, 120)의 출력을 증폭시키는 신호를 급, 배기인버터(117, 127)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급기덕트(111)와 배기덕트(121) 내의 정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에너지의 절감과 더불어 소음이 저감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positive pressure sensed by the supply and exhaus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동절기에는 공기조화기(110)에 구성된 냉난방코일(115)에 온수가 공급되어 유입되는 외기가 10℃ ~ 15℃로 예열된 상태로 급기덕트(111)를 통과한 후, 환기수단(400)의 전열교환기(420)에서 배기되는 따뜻한 실내공기와 열교환된 다음, 실내공간(1)으로 공급된다.First, during the winter season,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cooling /
따라서 겨울철 저온공기 유입으로 인한 결로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종이재질로 이루어진 전열교환기(420)의 훼손이 방지되어 유지관리가 편리하며, 누수로 인한 2차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Therefore, not only the condensation due to the inflow of low temperature air does not occur in winter, but also the maintenance of the
또한, 하절기에는 공기조화기(110)에 구성된 냉난방코일(115)에 냉수가 공급되어 유입되는 외기가 25℃ ~ 28℃ 정도로 예냉됨과 동시에, 60 ~ 65% 정도의 습도로 제습된 상태로 급기덕트(111)를 통과한 후, 환기수단(400)의 전열교환기(420)에서 배기되는 시원한 실내공기와 열교환된 다음, 실내공간(1)으로 공급된다.In the summer, cold water is supplied to the cooling /
따라서 여름철 고온 다습한 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불쾌감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여름철 에어컨의 가동에너지의 절감과 더불어, 실내공간(1)을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uncomfortable feeling due to the inflow of hot and humid air in the summer, thereby reducing the operating energy of the air conditioner in summer and keeping the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환기수단(400)에 급기 및 배기를 위한 별도의 송풍팬이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환기수단(400)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기 및 배기로 인한 압력차가 발생하지 않아 누기량의 감소를 이룰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효율이 높아지는 장점도 가지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entilation means 400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ventilation fan for supplying and exhausting air, the volume of the ventilation means 400 can be minimized, and the pressure difference due to the supply and exhaust It is possible to achieve a reduction in leakage amount,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한편, 위와 같은 복수 개의 환기수단(400)을 가동하여 각각의 실내공간(1)을 환기시키는 도중,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리모컨트롤러(310)를 조작하여 일부의 환기수단(400)을 정지시키거나, 강약조절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the ventilation means 400 are operated to ventilate the respective
그러면 상기 환기수단(400)의 사용 댓수의 감소 또는 가동율의 감소로 인해 급기덕트(111) 또는 배기덕트(121)에 과정압이 발생하여 풍량이 증대되는데, 이때 각각의 환기수단(400)에 구성된 급, 배기가변풍량조절기(100, 200)는 제1, 2압력취출부(20, 30)를 통해 측정된 압력차가 기설정된 기준압력차 이상 즉, 풍량이 과대할 경우에는 댐퍼(19)가 폐쇄 조절되어 출력이 저하되는 작용이 이루어지고, 제1, 2압력취출부(20, 30)를 통해 측정된 압력차가 기설정된 기준압력차 이하 즉, 풍량이 과소할 경우에는 댐퍼(19)가 개방 조절되어 출력이 상승되는 작용이 이루어지며, 위와 같은 작용에 의해 상기 급, 배기가변풍량조절기(100, 200)를 통과하는 공기량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In this case, due to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the ventilation means 400 or the reduction in the operating rate, process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또한, 상기 급, 배기덕트(111, 121)에 형성된 과정압은 급기송풍부(113)에 구성된 급기팬(113b)과 배기송풍부(120)에 구성된 배기팬(120b)의 출력을 증감시키는 것을 통해 해소할 수 있다.The process pressure formed in the air supply and
즉, 상기 급, 배기정압센서(130, 140)에서 감지되는 정압이 설정압력를 초과하였을 경우에는 급, 배기인버터(117, 127)에 신호를 전송하여 급, 배기송풍부(113, 120)의 출력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고, 상기 급, 배기정압센서(130, 140)에서 감지되는 정압이 설정압력 미만일 경우에는 급, 배기송풍기(113, 120)의 출력을 증폭시키는 신호를 급, 배기인버터(117, 127)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급기덕트(111)와 배기덕트(121) 내의 정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positive pressure sensed by the supply and exhaust
따라서, 상술한 작용에 의해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방지되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적정풍량 유지로 인해 소음이 저감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상기 급, 배기가변풍량조절기(100, 200)를 통과하는 공기량은 댐퍼(19)의 개폐작용을 통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를 지속하게 된다.Accordingly,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can be prevented, energy can be saved, and noise can be reduced due to the maintenance of a proper air volume, and the air can be passed through the variab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 : 실내공간
110 : 공기조화기 111 : 급기덕트 113 : 급기송풍부 113a : 전동기 113b : 급기팬 115 : 냉난방코일 117 : 급기인버터 118 : 외기그릴 119 : 개폐댐퍼
120 : 배기송풍부 120a : 전동기 120b : 배기팬 121 : 배기덕트 127 : 배기인버터
130 : 급기정압센서 140 : 배기정압센서
400 : 환기수단
410 : 케이스본체 411 : 실내급기연결구 413 : 실내배기연결구
420 : 전열교환기 430, 440 : 제1, 2다공판
100 : 급기가변풍량조절기
10 : 하우징 11 : 입구 12 : 출구 13 : 몸체 15 : 밴츄리부 19 : 댐퍼 20 : 제1압력취출부 21 : 제1압력홀 23 : 제1공간 24 : 볼록부 25 : 제1외통 27 : 제1연통홀 30 : 제2압력취출부 31 : 제2압력홀 33 : 제2공간 35 : 제2외통 37 : 제2연통홀 40 : 전송수단 50, 60 : 제1, 2전송수단 51, 61 : 제1, 2헤드 53, 63 : 제1, 2전송구 55, 65 : 제1, 2전송볼트 57, 67 : 제1, 2너트 70 : 댐퍼작동기 71, 72 : 제1, 2전송호스 80 : 외피통 81, 82 : 제1, 2관통홀 90 : 연결통 91, 92 : 제1, 2결합링
200 : 배기가변풍량조절기
300 : 제어부 310 : 리모트컨트롤1: Indoor space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 air conditioner, an air conditioner, an air supply duct, an air supply rich section, an electric motor, an air supply fan, an air supply fan,
120: exhaust blowing-out
130: Supplying static pressure sensor 140: Exhausting static pressure sensor
400: Ventilation means
410: Case body 411: Indoor air supply connector 413: Indoor air exhaust connector
420:
100: Supply variable air volume regulator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mp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mper having a damper, a damper, and a damper. 1 communication hole 30: second pressure take-off part 31: second pressure hole 33: second space 35: second outer tube 37: second communication hole 40: transfer means 50, 60: first and second transfer means 51, 61: The first and
200: Variable air volume regulator
300: control unit 310: remote control
Claims (5)
배기인버터(127)에 의해 제어되어 배기덕트(121)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송풍부(120);
상기 급, 배기덕트(111, 121)와 실내공간(1)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환기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각각의 환기수단(400)은,
일측에 실내급기연결구(411)와 실내배기연결구(413)를 형성한 케이스본체(410);
상기 케이스본체(410)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스본체(410) 내부를 구획하는 전열교환기(420);
상기 케이스본체(410)와 급기덕트(111) 사이에 설치되어, 압력 차를 통해 댐퍼(19)의 개폐량을 가변조절함으로써, 급기덕트(111)에서 실내공간(1)으로 급기되는 공기의 급기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급기가변풍량조절기(100);
상기 케이스본체(410)와 배기덕트(121) 사이에 설치되어, 압력 차를 통해 배댐퍼의 개폐량을 가변조절함으로써, 실내공간(1)에서 배기덕트(121)로 배기되는 공기의 배기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배기가변풍량조절기(200);
상기 케이스본체(410)에 구성되어 급기가변풍량조절기(100)와 배기가변풍량조절기(200)의 풍량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급기가변풍량조절기(100)는,
입구(11)와 출구(12)를 형성하는 몸체(13)를 구성하되, 상기 입구(11)와 출구(12) 사이에는 밴츄리부(15)를 형성하며, 출구(12) 측 몸체(13)에는 댐퍼(19)가 설치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입구(11) 측 몸체(13)에 복수 형성되는 제1압력홀(21)과, 상기 하우징(10)과의 사이에 제1공간(23)을 형성하도록 볼록부(24)를 구비하여 상기 제1압력홀(21)이 형성된 하우징(10)의 입구(11) 측 몸체(13)에 결합되는 제1외통(25)과, 상기 제1공간(23)과 연통되도록 제1외통(25)에 관통형성되는 제1연통홀(27)을 구성한 제1압력취출부(20);
상기 하우징(10)의 밴츄리부(15)에 복수 형성되는 제2압력홀(31)과, 상기 하우징(10)과의 사이에 제2공간(33)을 형성하도록 제2압력홀(31)이 형성된 하우징(10)의 밴츄리부(15)에 결합되는 제2외통(35)과, 상기 제2공간(33)과 연통되도록 제2외통(35)에 관통형성되는 제2연통홀(37)을 구성한 제2압력취출부(30);
댐퍼작동기(70)에 접속되는 제1, 2전송호스(71, 72)에 각각 연결되어 제1, 2압력취출부(20, 30)의 제1, 2공간(23, 33)에 채워진 압력을 각각 공급하는 전송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급기 및 배기 송풍기가 없이 밴츄리 차압으로 몸체에 설치된 댐퍼를 조절하여 풍량을 가변하는 장치가 부착된 환기유니트.
An air supply coil 113 for pre-cooling and pre-heating the air to be introduced, an air supply inverter 115 for controlling the air supply fan 113, An air conditioner 110 constituting the air conditioner 117;
An exhaust air blowing unit 120 controlled by the exhaust inverter 127 to exhaust air of the exhaust duct 121 to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ventilation means 400 installed between the air supply and exhaust ducts 111 and 121 and the indoor space 1,
Each ventilation means (400)
A case main body 410 having an indoor air supply connection port 411 and an indoor air supply connection port 413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total enthalpy heat exchanger 420 installed in the case main body 410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case main body 410;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duct 111 to the indoor space 1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damper 19 by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case body 410 and the air supply duct 111, An air supply variable air amount regulator 100 for constantly controlling the air amount;
The amount of exhaust air discharged from the indoor space 1 to the exhaust duct 121 is adjusted to a constant value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damper by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case body 410 and the exhaust duct 121, An exhaust variable air amount regulator 200 for controlling the air amount;
And a control unit (300) provided in the case body (410) and controlling the air flow rate of the air supply variable air volume controller (100) and the air exhaust air volume controller (200)
The air supply variable air amount regulator (100)
A body 13 constituting an inlet 11 and an outlet 12 is formed and a vortex portion 15 is formed between the inlet 11 and the outlet 12 and a body 13 A housing 10 on which a damper 19 is installed;
A plurality of first pressure holes 21 formed in the body 11 on the inlet 11 side of the housing 10 and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24 formed so as to form a first space 23 between the housing 10 and the housing 10, A first outer tube 25 having a first pressure hole 21 formed therein and coupled to a body 13 on the inlet 11 side of the housing 10 in which the first pressure hole 21 is formed, A first pressure take-out part (20) constituting a first communication hole (27) formed through the outer cylinder (25);
A second pressure hole 31 formed in the venturi 15 of the housing 10 and a second pressure hole 31 formed to define a second space 33 between the housing 10 and the housing 10, A second outer tube 35 coupled to the vortex portion 15 of the housing 10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37 formed through the second outer tube 35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pace 33 A second pressure take-out part 30 constituting the first pressure take-out part 30;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hoses 71 and 72 connected to the damper actuator 70 so that the pressures in the first and second spaces 23 and 33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take- And a transmission unit (40) for supplying the air to the ventilation unit. The ventilation unit is equipped with a device for varying the air volume by adjusting a damper installed on the body with a venturi pressure difference without an air supply and exhaust air blower insid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perforated plate (430) for dispersing air to be supplied to the total enthalpy heat exchanger (420) through the air supply variable air volume controller (100) 420), and a second perforated plate (440) for dispersing the air to be delivered to the variable exhaust air amount regulator (200).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Ventilation unit with a device to adjust the air volume by adjusting the damper installed.
상기 연결통(90)에는 하우징(10)의 외경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제1결합링(91)과, 상기 제1결합링(91)의 외측에 위치하여 외피통(80)의 외경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제2결합링(92)이 더 포함되어 구비되며,
상기 전송수단(40)은,
상기 제1압력취출부(20)의 제1공간(23)에 위치되는 제1헤드(51)와 제1전송호스(71)와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1헤드(51)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연통홀(27) 및 제1관통홀(81)을 통해 외피통(8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전송구(53)를 구성한 제1전송볼트(55)와, 상기 제1전송구(53)와 나사결합되어 제1외통(25)과 외피통(80)을 제1전송볼트(55)로 체결시키는 제1너트(57)로 이루어진 제1전송수단(50);
상기 제2압력취출부(30)의 제2공간(33)에 위치되는 제2헤드(61)와 제2전송호스(72)와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2헤드(61)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2연통홀(37) 및 제2관통홀(82)을 통해 외피통(8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전송구(63)를 구성한 제2전송볼트(65)와, 상기 제2전송구(63)와 나사결합되어 제2전송볼트(65)를 제2외통(35)에 체결시키는 제2너트(67)로 이루어진 제2전송수단(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급기 및 배기 송풍기가 없이 밴츄리 차압으로 몸체에 설치된 댐퍼를 조절하여 풍량을 가변하는 장치가 부착된 환기유니트.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81, 82)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holes (27, 37)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10) And a connection barrel 90 is further provided at the mouth and the outlet of the housing 1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10 while being coupled to the outer barrel 80 Respectively,
The connection sleeve 90 is provided with a first engagement ring 91 which is closely fitt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housing 10 and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first engagement ring 91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envelope sleeve 80 And a second coupling ring 92 to be fitted,
The transmitting means (4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irst head (51) for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head (51) located in the first space (23) of the first pressure takeout part (20) and the first transfer hose (71) A first transfer bolt 55 constituting a first transfer port 53 protruding out of the outer casing 80 through one communication hole 27 and the first through hole 81, And a first nut (57) threadedly engaged with the first outer tube (25) and the outer tube (80) by a first transmission bolt (55);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econd head (61) for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head (61) located in the second space (33) of the second pressure takeout part (30) and the second transfer hose (72) A second transfer bolt 65 constituting a second transfer port 63 protruding out of the outer casing 8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37 and the second through hole 82, And a second nut (67) threadedly engaged with the first outer bolt (63) to fasten the second transfer bolt (65) to the second outer cylinder (35). A ventilation unit with a device that adjusts the air volume by adjusting the damper installed on the body by a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vancuri without the blower.
상기 급기덕트(111)와 배기덕트(121)에는 정압측정을 위한 급기정압센서(130)와 배기정압센서(1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
상기 급, 배기정압센서(130, 140)에서 감지되는 정압이 설정압력를 초과하였을 경우에는 급, 배기인버터(117, 127)에 신호를 전송하여 급, 배기송풍부(113, 120)의 출력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고,
상기 급, 배기정압센서(130, 140)에서 감지되는 정압이 설정압력 미만일 경우에는 급, 배기송풍기(113, 120)의 출력을 증폭시키는 신호를 급, 배기인버터(117, 127)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급기덕트(111)와 배기덕트(121) 내의 정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급기 및 배기 송풍기가 없이 밴츄리 차압으로 몸체에 설치된 댐퍼를 조절하여 풍량을 가변하는 장치가 부착된 환기유니트.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door space (1) further comprises a remote control (310) for operating the controller (300) and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air supply variable air volume controller (100) Allowing the amount of air to be changed remotely,
The air supply duct 111 and the exhaust duct 121 further include an air supply static pressure sensor 130 and an exhaust static pressure sensor 140 for measuring static pressure,
When the static pressure sensed by the supply and exhaust static pressure sensors 130 and 140 exceeds the set pressure, the signal is sent to the feed and exhaust inverters 117 and 127 to lower the output of the feed and discharge units 113 and 120 In addition,
When the static pressure sensed by the supply and exhaust static pressure sensors 130 and 140 is lower than the set pressure, a signal for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feed and exhaust blowers 113 and 120 is transmitted to the feed and exhaust inverters 117 and 127 And a static pressure in the air supply duct (111) and the air supply duct (121) can be constantly maintained. A device for varying the air volume by adjusting a damper installed on the body with a bantry differential pressure without an air supply and exhaust blower Attached ventilation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4445A KR101892128B1 (en) | 2018-03-26 | 2018-03-26 | A ventilation unit with a device that adjusts the air volume by adjusting the damper installed on the body with the ventury differential pressure without the air supply and exhaust fan insid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4445A KR101892128B1 (en) | 2018-03-26 | 2018-03-26 | A ventilation unit with a device that adjusts the air volume by adjusting the damper installed on the body with the ventury differential pressure without the air supply and exhaust fan insid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2128B1 true KR101892128B1 (en) | 2018-08-28 |
Family
ID=63454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4445A Active KR101892128B1 (en) | 2018-03-26 | 2018-03-26 | A ventilation unit with a device that adjusts the air volume by adjusting the damper installed on the body with the ventury differential pressure without the air supply and exhaust fan insid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212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8665B1 (en) * | 2023-04-24 | 2024-06-26 | 김종엽 | Apparatus for controlling variable air volume and mwthod for controlling variable air volume |
KR102728817B1 (en) * | 2023-05-23 | 2024-11-13 | 탑에어주식회사 | Apparatus for controlling negative pressure of kitchen using ec fa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63104A (en) * | 2010-09-17 | 2012-03-29 | Mitsubishi Jisho Sekkei Inc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
KR101256781B1 (en) * | 2013-01-24 | 2013-04-25 | (주)새한공조 | Hybrid air condition system with indirectness load control mode |
KR101469425B1 (en) | 2014-10-06 | 2014-12-05 |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 Ventilation apparatus for total heat exchanger |
KR20160031657A (en) * | 2014-09-12 | 2016-03-23 | 은성화학(주) | a Sound absorbing device for a total heat exchanger and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
JP6092831B2 (en) * | 2014-10-10 | 2017-03-08 | 株式会社エルビー | Process for producing rice cake processed food and method for producing beverage containing rice cake processed food |
-
2018
- 2018-03-26 KR KR1020180034445A patent/KR10189212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63104A (en) * | 2010-09-17 | 2012-03-29 | Mitsubishi Jisho Sekkei Inc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
KR101256781B1 (en) * | 2013-01-24 | 2013-04-25 | (주)새한공조 | Hybrid air condition system with indirectness load control mode |
KR20160031657A (en) * | 2014-09-12 | 2016-03-23 | 은성화학(주) | a Sound absorbing device for a total heat exchanger and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
KR101469425B1 (en) | 2014-10-06 | 2014-12-05 |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 Ventilation apparatus for total heat exchanger |
JP6092831B2 (en) * | 2014-10-10 | 2017-03-08 | 株式会社エルビー | Process for producing rice cake processed food and method for producing beverage containing rice cake processed food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8665B1 (en) * | 2023-04-24 | 2024-06-26 | 김종엽 | Apparatus for controlling variable air volume and mwthod for controlling variable air volume |
KR102728817B1 (en) * | 2023-05-23 | 2024-11-13 | 탑에어주식회사 | Apparatus for controlling negative pressure of kitchen using ec fa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3014479C (en) | Integrated heat and energy recovery ventilator system | |
US9103555B2 (en) | Multiple zone climate control system | |
US8702482B2 (en) | Ventilation controller | |
KR101628152B1 (en) | Dedicated Outdoor Air Handling Unit(DOAHU) with dehumidifier Heat Pipes for energy conserv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ompound DOAHU and chilled beam units | |
KR102047754B1 (en) | Multi-function smart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1121209B1 (en) | Hybrid circulation system | |
CN107655108B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7842963A (en) | Fresh air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6253459B2 (en) | Ventilator for air conditioning | |
CA2915278A1 (en) | Unit with recovery wheel and economizer and method of control | |
US20110124279A1 (en) | Supply air unit | |
KR101055166B1 (en) | Electric diffuser for air-conditioning and supply / exhaust system unit of apartment house using temperature sensor and pressure sensor | |
CN109556219B (en) | Variable air volume air conditioning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5788254B2 (en) | Ventilation system | |
KR20180014122A (en) | Ventilator | |
KR101892128B1 (en) | A ventilation unit with a device that adjusts the air volume by adjusting the damper installed on the body with the ventury differential pressure without the air supply and exhaust fan inside | |
US11519632B2 (en) | Variable air flow / multiple zone HVAC air terminal system | |
JP2014173826A (en) | Total heat exchange type ventilation device | |
CA2685977A1 (en) | Air powered terminal unit and system | |
US20220082268A1 (en) | Variable capacity heat pump system | |
CA1241589A (en) | Space heater | |
KR200353071Y1 (en) | an instrument of use fo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 |
CN110594874A (en) | Household air conditioner | |
CN211060255U (en) | Household air conditioner | |
JPH07145958A (en) | Air conditioning diffus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3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