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520B1 - Structure of beverage can lid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beverage can li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1520B1 KR101891520B1 KR1020160124962A KR20160124962A KR101891520B1 KR 101891520 B1 KR101891520 B1 KR 101891520B1 KR 1020160124962 A KR1020160124962 A KR 1020160124962A KR 20160124962 A KR20160124962 A KR 20160124962A KR 101891520 B1 KR101891520 B1 KR 1018915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rim
- beverage
- unit
- protru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65D17/40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and provided with attached means for reclosing or resea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7—Separate closure devices for reclosing opened cans or tins, e.g. beer c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4—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 B65D2517/0041—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in the form of a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수용 캔 뚜껑의 음료 토출구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음료수용 캔 뚜껑의 음료 토출구를 개봉한 후에도 다시 밀폐하여 보관할 수 있는 기능성이 개선된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하면이 밀폐되고 상면이 개구된 원통형의 음료수용 캔의 본체에 대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캔 뚜껑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면을 밀폐하는 원형의 박판으로 된 제1 덮개부와, 상기 제1 덮개부의 일측으로 치우쳐진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덮개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토출구멍과, 상기 본체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본체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형성된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박판으로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제1 덮개부와 돌출부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된 홈부와, 상기 제1 덮개부 상에 겹쳐져 위치하며, 원의 중심을 포함하는 박판의 반원판 형상으로, 직선부 테두리와 상기 직선부 테두리의 양단에서 연장된 곡선부 테두리를 포함하는 제2 덮개부와, 상기 제2 덮개부의 직선부 테두리의 양쪽에서 반원의 띠형상으로 연장된 판으로 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 테두리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토출구멍을 밀폐하는 토출구멍 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원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제1 덮개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덮개부의 곡선부 테두리는 상기 홈부에 삽입된 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of a beverage can lid which is capable of easily opening a beverage dispensing opening of a lid of a beverage holding can and which can be sealed and stored after opening the beverage dispensing opening of the beverage containing lid, A can lid structure for covering an opened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a beverage receptive can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 lower surface closed and an upper surface opened, A discharge port formed in a portion of the first lid unit that is biased by the first lid unit and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lid unit; and a rim unit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rim of the main unit along an upper rim of the main unit, And a thin plate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rim along the rim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im, Wherein the first lid part and the second lid part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lid part and the protruding part, and the first lid part and the second lid part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lid part and the protruding part, A grip portion formed of a plate extending in a semicircular strip shape on both sides of a straight portion rim of the second lid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extending from an inner edge of the handle portion; Wherein the second lid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lid portion with the center of the circle as a rotation axis, and the curved portion rim of the second lid portion is engaged with the second lid portion, And is rota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음료수용 캔 뚜껑에 있어서, 음료수 토출구멍이 개봉된 후 개봉된 토출구멍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lid for beverage cans, and specifically to a structure of a lid for a beverage receptacle,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after a beverage dispensing hole is opened.
음료수용 캔은 원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된 뚜껑을 가지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음료수용 캔 뚜껑의 개방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뚜껑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절취선에 의한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뚜껑의 일부를 개구하기 위한 개구탭을 포함한다.The beverage container has a cylindrical main body and a lid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lid of the beverage receptacle has an opening formed by a perforated line formed in a part of the lid, And an opening tab for pressing the opening downward to open a part of the lid.
즉, 상기 개구탭의 일측을 손가락으로 걸어 상방향으로 당겨줌으로써, 그 대향 측 선단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가압하는 함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개구됨으로써 소비자가 빨대 등을 이용하여 음료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That is, one side of the opening tab is pulled upward by a finger, and the opposite side end of the opening tab presses the opening part by the principle of the lever, so that the opening is opened so that the consumer can take a drink .
그러나, 상기 개구탭과 뚜껑 사이에는 소비자의 손가락을 걸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상기 개구탭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구하는 것이, 특히 여성이나 어린이 또는 노인들에게 있어서는 용이하지 않다,However, there is no space between the opening tab and the lid for hooking the consumer's finger, and it is not easy for the woman, the child, or the elderly to open the opening by the opening tab,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는데, 예를 들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36,953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서는, 상기 개구탭을 뚜껑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거리 경사 이격시켜 소비자가 상기 개구부의 개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캔 뚜껑의 개방구조를 개시하고 있다.For example,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436,95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the opening tab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consumer can easily open the opening.
그러나, 특허문헌 1에 의하더라도, 상기 개구부를 일단 개구하고 나면, 개구된 개구부를 밀폐할 수 없기 때문에, 개구된 개구부를 통해 이물질이 음료수 내로 들어가 음료수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However, eve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once the opening portion is opened, the opened portion can not be closed, so that the problem that the foreign substance enters the drinking water through the opened opening portion and contaminates the drinking water can not be solved.
즉, 상기 개구부를 일단 개구하고 나면, 개구된 개구부를 밀폐할 수 없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여러 사람이 모여 음료수를 마시며 오락을 즐기는 자리에서 음료수를 마시다가 잠시라도 보관하는 경우 개구된 개구부를 통해 이물질이 음료수 내로 들어가 음료수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That is, once the openings are opened, the opened openings can not be closed. For example, when several people gather to drink beverages and enjoy the entertainment, So that foreign matter enters the beverage and contaminates the beverag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음료수용 캔 뚜껑의 음료 토출구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음료수용 캔 뚜껑의 음료 토출구를 개봉한 후에도 다시 밀폐하여 보관할 수 있는 기능성이 개선된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which can easily open a beverage dispensing opening of a beverage cans lid, And to provide a structure of a lid for receiving a beverage can.
본 발명에 의한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는, 하면이 밀폐되고 상면이 개구된 원통형의 음료수용 캔의 본체에 대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캔 뚜껑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면을 밀폐하는 원형의 박판으로 된 제1 덮개부와, 상기 제1 덮개부의 일측으로 치우쳐진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덮개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토출구멍과, 상기 본체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본체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형성된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박판으로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제1 덮개부와 돌출부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된 홈부와, 상기 제1 덮개부 상에 겹쳐져 위치하며, 원의 중심을 포함하는 박판의 반원판 형상으로, 직선부 테두리와 상기 직선부 테두리의 양단에서 연장된 곡선부 테두리를 포함하는 제2 덮개부와, 상기 제2 덮개부의 직선부 테두리의 양쪽에서 반원의 띠형상으로 연장된 판으로 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 테두리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토출구멍을 밀폐하는 토출구멍 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원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제1 덮개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덮개부의 곡선부 테두리는 상기 홈부에 삽입된 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ructure of a lid for a beverage recep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of a can lid which covers an opened upper face of the main body of a beverage receptacle having a closed bottom and an opened upper face, A discharging hole formed in a portion of the first lid unit that is offset to one side of the first lid unit and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lid unit; A protrusion formed of a thin plate protruding horizontally from the rim along the rim between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rim, and a protrusion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lid and the protrusion And a second lid part which is located on the first lid part and which is formed in a semi-disc shape of a thin plate including a center of a circle, A grip portion formed of a plate extended in a semicircular strip shape on both sides of the straight portion of the frame of the second lid portion and a grip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ner edge of the grip portion, Wherein the second lid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lid part with the center of the circle as a rotation axis, and the second lid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urved part rim of the second lid part, Is rota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는, 상기 돌출부를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하면과 상기 제1 덮개부의 상면의 간격은, 상기 제2 덮개부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제2 덮개부의 두께의 2배보다 작으며, 상기 돌출부의 수평방향으로 돌출 정도는, 상기 돌출부의 하면과 상기 제1 덮개부의 상면의 간격에 연동하여 같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structure of the lid for beverage c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id portion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id portion, 2, and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protru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made to coincide with the gap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i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는,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연장하되, 상기 토출구멍 마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탭부와, 상기 토출구멍과 가장 근접한 부분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테두리부을 노치한 노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치부의 하면은 상기 제1 덮개부(80)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상기 탭부는 상기 노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ructure of the lid for a beverage recep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verage container has a tab portion extending from an outer edge of the handle portion and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hole stopper portion, And a notch portion notched at a rim por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notch portion is flush with the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부 및 탭부를 구비함으로써, 음료수용 캔 뚜껑의 음료 토출구멍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손잡이부에 의하여 개방된 상기 토출구멍을 개폐할 수 있는 제2 덮개부를 구비함으로써, 음료수용 캔 뚜껑의 음료 토출구멍을 개봉한 후에도 다시 밀폐하여 보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handle portion and the tab por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open the beverage discharge hole of the lid of the beverage holding can and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hole opened by the handle portion So that the beverage dispensing hole of the lid for drinking beverage can be sealed and stored even after the beverage dispensing hole is open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용 캔 뚜껑의 음료 토출구가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용 캔 뚜껑의 음료 토출구가 개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용 캔 뚜껑의 음료 토출구를 개봉 후 다시 밀폐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id for a beverage recep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everage dispensing opening of the beverage receptacle lid is sealed. Fig.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d for a beverage recep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everage dispensing opening of the lid of the beverage receptacle is opened;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lid for a beverage recep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everage dispensing opening of the beverage receptacle lid is sealed after being opened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용 캔 뚜껑의 음료 토출구가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용 캔 뚜껑의 음료 토출구가 개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용 캔 뚜껑의 음료 토출구를 개봉 후 다시 밀폐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하방향(또는 수직방향), 좌우방향(또는 수평방향) 및 내외방향은 음료수용 캔의 실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세워 놓은 상태를 기준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른다.Fig. 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id for a beverage recep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everage dispensing opening of the lid of the beverage receptacle is hermetically sealed.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id for a beverage recep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everage dispensing opening of the lid of the beverage- And then sealing it again after open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inward / outward directions are in accordance with a conventional method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substa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set up by a normal method.
또한, 본 발명에서 캔 뚜껑이란, 음료수가 수용되는 원통형의 캔에 있어서 상면 전체 구조를 말한다. 즉, 하면이 밀폐되고 상면이 개구된 원통형의 본체에 있어서, 개구된 상면을 덮는 부분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음료수용 캔의 상면과 음료수용 캔 뚜껑은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n lid refers to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can in which the beverage is contained. In other words, it refers to a portion of a cylindrical main body whose lower surface is hermetically closed and whose upper surface is opened, covering the opened upper surfac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lid of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used with the same meaning.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캔 뚜껑(100)의 구조는, 음료수용 캔 본체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상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테두리부(20)와, 상기 테두리부(20)의 하단(즉, 상기 본체의 상단 테두리)으로부터 안쪽 수평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면을 밀폐하는 제1 덮개부(80)와, 상기 테두리부(2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상기 테두리부(20)로부터 안쪽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판형상의 돌출부(10)와, 상기 제1 덮개부(80)와 돌출부(10)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된 홈부(30)와, 직선부 테두리와 상기 직선부 테두리의 양단에서 연장된 곡선부 테두리로 이루어진 반원판 형상으로 상기 곡선부 테두리가 상기 홈부(30)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제2 덮개부(70)와, 상기 제2 덮개부(70)의 직선부 테두리로부터 반원의 띠형상으로 연장된 손잡이부(40)와, 손잡이부(40)의 외측 테두리의 중심에 연장하여 형성된 탭부(50)와, 손잡이부(40)의 내측 테두리의 중심에 연장하여 형성된 토출구멍 마개부(60)를 포함한다.1 and 2, the structure of the can li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제1 덮개부(80)는, 상기 본체의 원형으로 개구된 상면을 덮어 밀폐하는 박판(薄板)으로, 상기 본체의 원형으로 개구된 상면에 대응하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으로 치우쳐진 부분에 상기 제1 덮개부(80)를 관통하여 형성된 토출구멍(81)이 형성되어 있다. The
또한, 상기 테두리부(20)는, 상기 본체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본체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테두리부(20)는 상기 테두리부(20)의 상단이 상기 제1 덮개부(80)의 수평면보다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Further, the
또한, 상기 돌출부(10)는 상기 테두리부(2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상기 테두리부(20)를 따라 상기 테두리부(2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박판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0)가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덮개부(80)와 겹쳐진 부분, 즉 상기 제1 덮개부(80)와 돌출부(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홈부(30)가 된다.The
즉, 상기 홈부(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덮개부(7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상기 홈부(30)를 따라 회전하는 레일로서 기능하게 된다. That is, the
이때 상기 돌출부(10)의 안쪽 단부(캔 뚜껑의 중심부 쪽 단부)는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쳐지게 되어 상기 홈부(30) 내로 삽입된 제2 덮개부(7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게 되는데, 이는 제2 덮개부(70)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1 덮개부(80)에 밀착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른 면에 있어서는 상기 홈부(30) 내에서 제2 덮개부(70)의 회전을 방해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inner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10 (the end portion on the center side of the lid of the can) is struck downward by the gravity so as to press the edge of the
따라서, 상기 홈부(30) 내로 삽입된 제2 덮개부(70)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1 덮개부(80)의 상면에 밀착하면서도, 상기 홈부(30) 내에서 스무스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면밀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Therefore, the edge of the
즉, 상기 돌출부(10)의 안쪽 단부가 아래쪽으로 쳐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10)의 하면과 상기 제1 덮개부(80)의 상면의 간격(즉, 상기 홈부(30)의 상하 폭)은 상기 제2 덮개부(70)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제2 덮개부(70)의 두께의 2배보다 작은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부(10)의 돌출 정도는, 상기 홈부(30)의 상하 폭과 거의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즉, 상기 홈부(30)의 상하 폭이 길어지면 상기 돌출부(10)의 돌출 정도도 상기 홈부(30)의 상하 폭에 연동하여 길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돌출부(10)의 안쪽 단부가 아래쪽으로 쳐지어 상기 홈부(30) 내로 삽입된 제2 덮개부(7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if the width of the
또한, 상기 토출구멍(81)과 가장 근접한 상기 돌출부(10) 및 상기 테두리부(20)의 일부분을 노치한(잘라낸) 노치부(82)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치부(8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40)로부터 연장된 탭부(50)를 위치시키기 위한 것인바. 상기 노치부(82)의 하면이 상기 제1 덮개부(80)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노치하며, 상기 노치부(82)의 폭은 상기 탭부(50)의 폭과 거의 같거나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a
또한, 상기 제2 덮개부(70)는, 박판으로 이루어지되, 원의 중심(90)을 포함하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의 상면을 가로지르는 직선부 테두리와 상기 직선부 테두리의 양단에서 연장한 원의 일부인 곡선부 테두리로 이루어진 반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여기서 반원 형상 또는 반원판 형상이란 상기 직선부 테두리가 원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일견하여 반원 또는 반원판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The
또한, 상기 제2 덮개부(70)는, 상기 제1 덮개부(80) 상에 겹쳐져 위치하며. 상기 원의 중심(90)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제1 덮개부(8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반지름(원의 중심으로부터 곡선부 테두리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1 덮개부(80)의 반지름보다 짧고, 상기 돌출부(10)의 안쪽 단부로 이루어진 둘레의 반지름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제2 덮개부(70)의 가장자리가 상기 홈부(30) 내로 삽입되게 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손잡이부(40)는 상기 제2 덮개부(70)의 직선부 테두리의 양쪽에서 반원의 띠형상으로 연장된 판으로 형성된다. 이때 손잡이부(40)의 외측 테두리는 상기 돌출부(10)의 안쪽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이때 손잡이부(40)의 내측 테두리는 상기 토출구멍(81)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손잡이부(40)의 외측 테두리와 내측 테두리 사이의 폭이 상기 손잡이부(40)의 폭이 되며, 상기 손잡이부(40)를 수평으로 상기 제1 덮개부(80) 상에 위치시켰을 때, 상기 손잡이부(40)는 기 돌출부(10)의 안쪽 단부와 상기 토출구멍(81)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또한, 토출구멍 마개부(60)는 상기 손잡이부(40)의 내측 테두리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며, 통상의 방법으로 상기 토출구멍(81)을 밀폐한다. 즉, 상기 토출구멍 마개부(60)를 상기 토출구멍(81)의 형상에 정합하는 형상(크기 및 형상이 같음)으로 하여, 상기 토출구멍 마개부(60)을 상기 토출구멍(81)에 삽입하여 밀봉한 후, 상기 토출구멍 마개부(60)과 토출구멍(81) 사이의 경계선을 절취선으로 하여 개봉하는 방식으로, 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urther, the discharge
또한, 상기 탭부(50), 사각의 띠 형상으로, 상기 손잡이부(40)의 외측 테두리 중 상기 토출구멍 마개부(60)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즉, 상기 손잡이부(40) 중 상기 토출구멍(81)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서 내측 테두리로부터 안쪽으로 연장하여 상기 토출구멍 마개부(60)이 형성되며, 외측 테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탭부(50)가 형성된다.That is, the
또한, 상기 탭부(50)는 상기 손잡이부(40) 외측 테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상기 노치부(82)에 안착한 후, 상기 테두리부(20)의 위치에서 아래로 구부러져 본체의 측면에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제2 덮개부(70), 손잡이부(40), 탭부(50) 및 토출구멍 마개부(60)는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하며, 특히 상기 덮개부(70), 손잡이부(40) 및 탭부(50)는 동일 두께로, 상기 토출구멍 마개부(60)는 상기 제1 덮개부(80)와 동일 두께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3, a method of using the structure of the lid for a beverage recepta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3의 (a)에서와 같이, 본체의 측면으로 구부러져 밀착되어 있는 상기 탭부(50)를 잡고 상기 손잡이부(40)를 서서히 들어올린다. 도 3의 (a)에서는 상기 탭부(50)가 계속하여 구부러져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구부러진 부분을 수평으로 편 후에 상기 손잡이부(40)를 들어올리는 것으로도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탭부(50)를 구부렸다 펴는 것이 용이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as shown in FIG. 3 (a), the
상기 탭부(50)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40)가 상기 제1 덮개부(80)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손잡이부(40)를 잡고 들어올리면 더 큰 힘을 가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 토출구멍 마개부(60)가 토출구멍(81)으로부터 절취선을 따라 분리된다.When the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손잡이부(40)를 들어올리면, 상기 제2 덮개부(70)는 그 가장자리가 상기 홈부(30)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 3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40)와 상기 제2 덮개부(70)가 접하는 부분이 구부려져 상기 손잡이부(40)가 기립하게 된다.3 (b) and FIG. 3 (b), since the edges of the
단지 캔 내의 음료수를 마시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부(40)를 적당한 정도로 기립시킨 상태에서 상기 토출구멍(81)에 빨대를 꼽거나 음료수를 토출시켜 음용하게 된다.In the case of drinking only the beverage in the can, the straw is inserted into the
그러나 음용도중 잠시 음료수를 마시는 것을 멈출 때에는, 상기 손잡이부(40)를 잡고, 도 3의 (b)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덮개부(7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 덮개부(70)가 상기 홈부(30)를 따라 회전하여 상기 토출구멍(81)을 밀폐하고, 다시 음용하고자 할 때에는,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덮개부(70)를 회전시켜 상기 토출구멍(81)을 개방할 수 있다.However, when stopping drinking the drink for a while during drinking, holding the
10 돌출부
20 테두리부
30 홈부
40 손잡이부
50 탭부
60 토출구멍 마개부
70 제2 덮개부
80 제1 덮개부
81 토출구멍
82 노치부
90 원의 중심10 protrusion
20 Border
30 groove
40 Handle
50 tab portion
60 Discharge hole stopper
70 Second cover part
80 first cover portion
81 Discharge hole
82 Notch
Center of 90 yen
Claims (3)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면을 밀폐하는 원형의 박판으로 된 제1 덮개부와,
상기 제1 덮개부의 일측으로 치우쳐진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덮개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토출구멍과,
상기 본체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본체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형성된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박판으로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제1 덮개부와 돌출부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된 홈부와,
상기 제1 덮개부 상에 겹쳐져 위치하며, 원의 중심을 포함하는 박판의 반원판 형상으로, 직선부 테두리와 상기 직선부 테두리의 양단에서 연장된 곡선부 테두리를 포함하는 제2 덮개부와,
상기 제2 덮개부의 직선부 테두리의 양쪽에서 반원의 띠형상으로 연장된 판으로 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 테두리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토출구멍을 밀폐하는 토출구멍 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원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제1 덮개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덮개부의 곡선부 테두리는 상기 홈부에 삽입된 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
A structure of a can lid that covers an opened upper surface of a main body of a beverage receptacle having a closed bottom and an open top surface,
A first lid portion of a circular thin plate which seals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 ejection hole formed in a portion of the first lid unit which is offset to one side of the first lid unit and form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first lid unit,
A rim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rim of the main body along an upper rim of the main body,
A project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rim portion and formed as a thin plate protruding horizontally from the rim portion along the rim portion;
A groove portion formed as a space between the first lid portion and the projecting portion,
A second lid portion including a straight section rim and a curved section rim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rectilinear section rim, the second lid section being overlapped on the first lid section,
A grip portion made of a plate extending in a semicircular strip shape on both sides of the straight line portion of the second lid portion,
And a discharge hole stopper which extends from an inner edge of the handle portion and seals the discharge hole,
Wherein the second lid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lid part with the center of the circle as a rotation axis and the rim of the curved part of the second lid part rotate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part. Structure of the lid.
상기 돌출부를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하면과 상기 제1 덮개부의 상면의 간격은, 상기 제2 덮개부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제2 덮개부의 두께의 2배보다 작으며,
상기 돌출부의 수평방향으로 돌출 정도는, 상기 돌출부의 하면과 상기 제1 덮개부의 상면의 간격에 연동하여 같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id portion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id portion and smaller than twic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id portion,
Wherein the projecting degree of the projecting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made coincident with the gap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id portion.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연장하되, 상기 토출구멍 마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탭부와,
상기 토출구멍과 가장 근접한 부분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테두리부을 노치한 노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치부의 하면은 상기 제1 덮개부(80)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상기 탭부는 상기 노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tab portion extending from an outer edge of the handle portion and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hole stopper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notch portion notched at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rim portion at a portion closest to the ejection hole,
Wherein a bottom surface of the notch portion is flush with the first lid portion (80), and the tab portion is located at the notch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4962A KR101891520B1 (en) | 2016-09-28 | 2016-09-28 | Structure of beverage can li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4962A KR101891520B1 (en) | 2016-09-28 | 2016-09-28 | Structure of beverage can li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5016A KR20180035016A (en) | 2018-04-05 |
KR101891520B1 true KR101891520B1 (en) | 2018-08-24 |
Family
ID=6197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4962A Expired - Fee Related KR101891520B1 (en) | 2016-09-28 | 2016-09-28 | Structure of beverage can li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1520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05186A (en) | 1986-11-19 | 1987-11-10 | The Coca-Cola Company | Can end assembly |
US6290084B1 (en) | 2000-02-17 | 2001-09-18 | Chun Chiu Louie | Rotary protective cover attachment for beverage container |
KR200450451Y1 (en) | 2007-12-31 | 2010-10-06 | 박누리 | Beverage can opener for easy opening and closing of beverage cans |
KR101166302B1 (en) | 2010-04-30 | 2012-07-18 | 서진혁 | Resealable Easy Open End For a Can |
US8622238B1 (en) | 2008-03-28 | 2014-01-07 | John Kaper | Rotatable pull-tab assembly |
-
2016
- 2016-09-28 KR KR1020160124962A patent/KR10189152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05186A (en) | 1986-11-19 | 1987-11-10 | The Coca-Cola Company | Can end assembly |
US6290084B1 (en) | 2000-02-17 | 2001-09-18 | Chun Chiu Louie | Rotary protective cover attachment for beverage container |
KR200450451Y1 (en) | 2007-12-31 | 2010-10-06 | 박누리 | Beverage can opener for easy opening and closing of beverage cans |
US8622238B1 (en) | 2008-03-28 | 2014-01-07 | John Kaper | Rotatable pull-tab assembly |
KR101166302B1 (en) | 2010-04-30 | 2012-07-18 | 서진혁 | Resealable Easy Open End For a Ca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5016A (en) | 2018-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21911B2 (en) | Rotating type cup lid | |
US6079588A (en) | Resealable container cover | |
US5720412A (en) | Container cover having a screen | |
RU2514601C2 (en) | Repeatedly closable shutter of container for liquid | |
KR0141618B1 (en) | Improved sanitary conditions of can cap | |
RU2571339C2 (en) | Easily openable and reclosable lid | |
US20070145055A1 (en) | Reclosable cap for a beverage container | |
US20100059516A1 (en) | Container | |
CN106829173B (en) | A kind of lid that pressing is opened | |
USRE34263E (en) | End closure having a push open lid portion | |
US20090200304A1 (en) | Integrated container protection tab | |
KR101891520B1 (en) | Structure of beverage can lid | |
KR101903558B1 (en) | Tumbler lid | |
WO2019018650A1 (en) | Drink-through reclosable spill resistant beverage cup lid with vent structure | |
JP3027910U (en) | Beverage cans and beverage containers | |
US2185180A (en) | Container | |
JP7553049B2 (en) | Beverage cans and can lids | |
US9682797B2 (en) | Safety mechanism for containers | |
JPH1191779A (en) | Beverage can | |
US9938052B2 (en) | Safety mechanism for containers | |
KR100329127B1 (en) | Beverage can lid provided with reclousable tab | |
KR20200052622A (en) | Can container | |
KR102699159B1 (en) | Beverage can | |
JP2004001782A (en) | Recappable can lid structure for drink can | |
JP4666952B2 (en) | Can li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8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0520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53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