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151B1 - Key button device - Google Patents
Key butt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1151B1 KR101891151B1 KR1020120094573A KR20120094573A KR101891151B1 KR 101891151 B1 KR101891151 B1 KR 101891151B1 KR 1020120094573 A KR1020120094573 A KR 1020120094573A KR 20120094573 A KR20120094573 A KR 20120094573A KR 101891151 B1 KR101891151 B1 KR 1018911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 button
- key
- protruding
- case frame
- electronic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칭 수단을 스위칭시키기 위한 키 버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 수단이 형성되는 케이스 프레임 및 케이스 프레임의 키 홀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가압 동작에 의해 상기 스위칭 수단을 스위칭하는 키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키 버튼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키 홀에 일부가 돌출되는 키 탑과, 상기 키 탑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키 탑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플렌지부 및 상기 키 버튼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키 탑의 상, 하 유동에 따라 상기 걸림 수단에 걸려 상기 키 버튼의 유동각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키 버튼 가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수단을 포함하여, 키 버튼의 상, 하 유동시 이를 단속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유동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우수한 클릭감을 제공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의 신뢰성 향상에 일조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button device for switching a switching means disposed inside an electronic device. The key button device includes a case frame in which at least one latching means is formed, Wherein the key button includes a key top portion protruding partly from the key hole of the case frame and extending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key top, The key top is integrally formed with a flange portion including a support piece for supporting the key top so that the key top is not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key top. And protruding means protruding in the key button pressing direction to restrict the angle, To minimize flow angle by providing a separate structure in which the flow when it can be interrupted and, by preventing the resulting damage in advance and provide an excellent click feeling can be improved as a result contributes to the reliability of the electronic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장치를 위한 키버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button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에는 데이터 입력, 커서의 이동, 볼륨의 조절 등 사용자에 의한 전자 장치의 조작을 위한 키 버튼이 설치된다. 대체적으로 이러한 키 버튼은 전자 장치의 케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키 홀에 키 탑의 일부가 돌출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며, 키 탑에서 전자 장치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액추에이터에 의해 전자 장치 내부에 설치된 스위칭 수단을 가압하는 기계적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Generally, an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with a key button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by a user such as data input, movement of a cursor, volume control, and the like. Generally, such a key button is provided in such a manner that a portion of the key top is projected in a key hole formed in a case fram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 switching means installed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by an actuator protruding inward of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key top A mechanical method of pressurization is used.
이러한 스위칭 수단으로는 전자 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술한 액추에이터의 가압 범위에 배치되어 액추에이터의 가압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스위칭 수단으로는 탄소 접점을 선택적으로 연결시켜주기 위한 메탈돔이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메탈돔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가압받을 때 스위칭 기능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일정 클릭감을 제공하기도 한다.Such a switching mean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ubstrate provided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and is arranged in a pressing range of the above-described actuator to selectively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by a pressing operation of the actuator. Therefore, as a switching means, a metal dome for selectively connecting carbon contacts is mainly used. Such a metal dome provides a switching feeling as well as a certain clicking feeling to the user when it is pressed by an actuator.
도 1은 키 버튼이 설치된 일반 전자 장치(1)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전자 장치(1)로는 스마트 폰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하였으며, 키 버튼(100)으로는 전자 장치(1)의 측면(3)에 돌출 설치되는 사이드 키 버튼을 도시하였다. 전자 장치(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4)가 설치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4)의 상부에는 이어 피스(ear piece)(5)가 설치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4)의 하측으로는 마이크로폰 장치(6)가 설치되고 있다.The
이러한 경우 키 버튼(100)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 받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가압 동작시에 상, 하 방향으로 일정 각도 만큼 유동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종래의 구조에 의해 설치되는 키 버튼(100)은 이러한 유동각이 크기 때문에 오랜 사용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하고 사용자에게 현저히 저하된 클릭감을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1)의 신뢰성 저하를 유발하고 있다.In this case, the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키 버튼(10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 2의 키 버튼(100)이 전자 장치(1)의 케이스 프레임(20)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종래의 키 버튼(100)은 전자 장치(1)의 케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키 홀(21)에 돌출되는 키 탑(101)과, 키 탑(101)에서 연장 형성되고 키 탑(101)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케이스 프레임(20)의 내측에 배치되는 플렌지부(102, 103) 및 플렌지부(102, 103)에서 키 버튼(100)의 가압 방향으로 돌출되는 액추에이터(104)를 포함한다. 또한, 플렌지부(102, 103)의 양단에는 일정 길이로 지지편(105)이 형성되어 케이스 프레임(20)의 키 홀(21) 양측에 설치된 지지홈(미도시 됨)에 삽입되어 키 버튼(100)이 케이스 프레임(20)의 외측 또는 내측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키 탑(101)이 항상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한다.2 and 3, the
따라서, 키 버튼(100)이 케이스 프레임(20)의 키 홀(21)에서 키 탑(101)만이 돌출되도록 설치되면 플렌지부(102, 103)는 케이스 프레임(20)의 키 홀(21)의 내측면(213, 214)에 의해 간섭받도록 설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플렌지부(102)는 키 홀(21)의 내측면 상부(213)에 의해 간섭을 받으며, 하부 플렌지부(103)는 키 홀(21)의 내측면 하부(214)에 의해 간섭을 받는다. When the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 2의 키 버튼(100)이 전자 장치(1)의 케이스 프레임(2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로써, (a)는 키 탑(101)이 하측 방향으로 유동된 상태이며, (b)는 키 탑(101)이 상측 방향으로 유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Fig. 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종래 기술에서는 키 탑(101)이 상, 하측 방향으로 유동될 때 상부 플렌지부(102)와 하부 플렌지부(103)가 각각 키 홀(21)의 내측면 상, 하부(213, 214)에 의해 간섭받음과 동시에 키 탑(101)이 키 홀(21)의 도입부인 키 홀 상부(211)와 키 홀 하부(212)에 의해 간섭받는다. The
즉,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탑(101)이 하측 방향으로 유동되었을 경우 상부 플렌지부(102)는 키 홀(21)의 내측면 상부(213)에 의해 간섭받음과 동시에 키 탑(101)의 하측 부분이 키 홀(21)의 키 홀 하부(212)에 의해 간섭 받는다.That is, as shown in (a), when the
또한,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탑(101)이 상측 방향으로 유동되었을 경우 하부 플렌지부(103)는 키 홀(21)의 내측면 하부(214)에 의해 간섭받음과 동시에 키 탑(101)의 상측 부분이 키 홀(21)의 키 홀 상부(211)에 의해 간섭 받는다.When the
따라서, 키 버튼의 플렌지부(102, 103)와 케이스 프레임(20)에 형성된 키 홀(21)의 자체 구조만으로 상호 간섭되는 체결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키 탑(101)이 하측 방향으로는 7도, 상측 방향으로는 9도 이상의 유동각이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큰 유동각은 잦은 키 버튼(100)의 눌림 동작에 의해 파손을 유발하게 되며, 사용자에게 원활한 클릭감을 제공하기 어렵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키 버튼(100)의 오동작은 전자 장치(1) 전체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Therefor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astening structure in which th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키 버튼의 유동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키 버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 button device which is minimized in a flow angle of a key button.
또한, 본 발명은 오랜 기간 동안 반복적인 가압 동작이 수행되더라도 항상 일정한 클릭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키 버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 button device that can provide a constant click feeling to a user at all times even when repetitive pr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fo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본 발명은 키 버튼의 상, 하 방향으로의 유동각을 최소화하여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의 신뢰성 향상이 이바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키 버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 button device that minimizes the flow angle of the key button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to prevent breakage even when the key button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electronic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항상 신뢰성 있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키 버튼 장치가 마련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a key button device that can always perform a reliable operation even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칭 수단을 스위칭시키기 위한 키 버튼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 수단이 형성되는 케이스 프레임 및 케이스 프레임의 키 홀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가압 동작에 의해 상기 스위칭 수단을 스위칭하는 키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키 버튼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키 홀에 일부가 돌출되는 키 탑과, 상기 키 탑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키 탑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플렌지부 및 상기 키 버튼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키 탑의 상, 하 유동에 따라 상기 걸림 수단에 걸려 상기 키 버튼의 유동각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키 버튼 가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key button device for switching a switching means disposed inside an electronic device, the key button device comprising: a case frame in which at least one latching means is formed; And a key button which is partially exposed to the hole and switches the switching means by a pressing operation, wherein the key button comprises: a key top partially protruding from the key hole of the case frame; And a support piece extending from the key frame to support the key top so as to prevent the key top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inside of the case frame, and a flange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key button, The key button is pressed in the key button pressing direction to limit the flow angle of the key button by being hooked by the engaging means It comprises a projecting mean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돌출 수단으로는 상기 플렌지부에서 가압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위칭 수단을 가압하는 액추에이터일 수 있으며, 상기 플렌지부에서 가압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일 수 있고, 상기 걸림 수단에 걸릴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상기 플렌지부 자체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means may be an actuator protruding in the pressing direction from the flange portion to press the switching means, or may be at least one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lange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pressing direction And the flange portion itself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enough to be caught by the engaging means.
또한,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키 버튼의 상, 하 유동에 따라 상기 돌출 수단의 상, 하 단부가 걸리도록 배치되는 일정 간격을 갖는 한 쌍의 걸림편일 수 있으며, 상기 키 버튼의 상, 하 유동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시에 상기 돌출 수단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 어느 하나가 걸릴 수 있는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상면 또는 하면 그 자체일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means may be a pair of locking piece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uch th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rotruding means are engaged with the upper and lower flows of the key button, Or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case frame to which one of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rotruding means can be caught during at least one operation of the lower flow.
본 발명에 따르면, 키 버튼의 상, 하 유동시 이를 단속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유동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우수한 클릭감을 제공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의 신뢰성 향상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a flow angle by providing a separate structure for interrupting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key button, thereby preventing breakage thereof and providing a good click feeling, Thereby contributing to an improvement in reliability.
도 1은 키 버튼이 설치된 일반 전자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키 버튼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 2의 키 버튼이 전자 장치의 케이스 프레임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 2의 키 버튼이 전자 장치의 케이스 프레임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 버튼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키 버튼이 전자 장치의 케이스 프레임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키 버튼이 전자 장치의 케이스 프레임 내부에 에서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및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버튼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key butt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key butto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ey button of Fig. 2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frame of the electronic device; Fig.
Fig. 4 is an opera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ey button of Fig. 2 according to the prior art flows inside a case frame of an electronic device;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key butt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ey button of FIG.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a case frame of an electronic device; FIG.
FIG. 7 is an opera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ey button of FIG.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lowing inside a case frame of an electronic device; FIG. And
8 to 10 are perspective views of key butt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키 버튼이 설치된 일반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나 본 발명에 따른 키 버튼(도 5의 10)이 적용될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a key button, and a key button (10 of Fig.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전자 장치(1)로는 스마트 폰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데이터 입력을 위한 키 버튼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키 버튼으로는 전자 장치(1)의 측면(3)에 돌출 설치되는 사이드 키 버튼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키 버튼 설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일반 숫자/문자 키 버튼, 전원 버튼, 웨이크 업 버튼 등 다양한 버튼에 적용가능할 것이다.The
한편, 전자 장치(1)의 전면(2)에는 디스플레이 장치(4)가 설치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4)의 상부에는 이어 피스(ear piece)(5)가 설치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4)의 하측으로는 마이크로폰 장치(6)가 설치되고 있다.A display device 4 is installed on a
이러한 경우 키 버튼(10)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 받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가압 동작시에 상, 하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유동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치 구조에 의해 설치되는 키 버튼(10)은 이러한 유동각을 최소화시켰기 때문에 작동 신뢰성이 보장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키 버튼은 제조자의 케이스 프레임 프레임 설계에 따라 유동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case, the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 버튼(1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키 버튼(10)이 전자 장치(1)의 케이스 프레임(20)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키 버튼은 전자 장치(1)의 케이스 프레임(20)에 형성된 키 홀(21)에 돌출되는 키 탑(11)과, 키 탑(11)에서 연장 형성되고 키 탑(11)보다 넓은 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되며 케이스 프레임(21)의 내측에 배치되는 플렌지부(12) 및 플렌지부(12)에서 키 버튼(10)의 가압 방향으로 돌출되는 액추에이터(13)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13)는 미도시된 전자 장치(1)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위칭 수단을 접촉에 의해 스위칭시키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스위칭 수단으로는 메탈돔(metal dome)이 사용될 수 있다. 5 and 6, a key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에 따르면 액추에이터(13)는 도 5의 X축 방향으로 종래 기술의 그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긴 길이를 갖도록 돌출된다. 또한, 플렌지부(12)의 양단에는 일정 길이로 지지편(14)이 형성되어 케이스 프레임(20)의 키 홀(21) 양측에 설치된 지지홈(미도시 됨)에 삽입되어 키 버튼(10)이 케이스 프레임(20)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키 탑(11)이 항상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장치(1)의 케이스 프레임(20)의 내부에는 상술한 액추에이터(13)의 상부(131)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편(215)이 형성되며, 액추에이터(13)의 하부(132)는 케이스 프레임(20)의 하측면(216)의 간섭을 받도록 설치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더욱 바람직게도, 종래의 기술과 다르게, 플렌지부(12)는 단순히 케이스 프레임(20)의 내부에서 키 탑(11)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 키 탑(11)의 상, 하 방향의 유동을 간섭하지는 않는다. 즉, 플렌지부(12)가 키 홀(21)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간섭 동작 이전에 액추에이터(13)의 상부(131)가 케이스 프레임(20)에 마련된 걸림편(215)에 간섭을 받거나 액추에이터(13)의 하부(132)가 케이스 프레임(20)의 하측면(216)에 의해 간섭을 미리 받도록 하여 키 탑(11)의 상, 하 방향으로의 유동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키 버튼(10)이 전자 장치(1)의 케이스 프레임(2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로써, (a)는 키 탑(11)이 하측 방향으로 유동된 상태이며, (b)는 키 탑(11)이 상측 방향으로 유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7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에서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탑(11)이 하측 방향으로 유동될 때 액추에이터(13)의 상부(131)가 케이스 프레임(20)의 내측에 마련된 걸림편(131)에 의해 간섭을 받으며 이와 동시에 키 탑(11)의 하부는 키 홀(21)의 도입부인 키홀 하부(212)의 간섭을 받도록 구현된다. When the key top 11 is moved downward, the
또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탑(11)이 상측 방향으로 유동될 때 액추에이터(13)의 하부(132)가 케이스 프레임(20)의 하측면(216)에 의해 간섭을 받으며 이와 동시에 키 탑(11)의 상부는 키 홀(21)의 도입부인 키 홀 상부(211)의 간섭을 받도록 구현된다. 즉, 종래의 키 탑(11)의 유동각을 크게 유도했던 플렌지부(12)의 간섭 구조를 미연에 배제시킨 것이다.The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버튼(10)의 키 탑(11)은 종래의 그것보다 X축 방향으로 좀더 연장된 액추에이터(13)의 상부(131)가 케이스 프레임(20)의 내측에 마련된 걸림편(215)에 걸림으로써 키 탑(11)은 하측 방향으로 5도의 유동각을 가지며, 액추에이터(13)의 하부(132)가 케이스 프레임(20)의 하측면(216)에 걸림으로써 상측 방향으로는 약 5.5도의 유동각을 갖는 것이다. 이는 종래의 키 버튼 보다 현저히 적은 유동각을 갖도록 구현되는 것이다.7, the
더욱이, 플렌지부(12)와 키 홀(21)의 정해진 간섭에 의한 매우 큰 유동각을 가질 수 밖에 없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액추에이터(13)의 상, 하부 형상을 변경하거나, 케이스 프레임(20)의 걸림편(215) 및 하측면(216)의 형상을 변경한다면 제조자는 상술한 유동각보다 더욱 작은 키 탑(11)의 유동각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In contrast to the prior art in which a very large flow angle due to a predetermined interference between the
미도시되었으나, 상술한 액추에이터(13)의 하부(132)를 간섭하는 구조로 케이스 프레임(20)의 하측면(216)을 예로 들었으나, 상술한 액추에이터(13)의 상부(131)을 간섭하는 걸림편(215)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또 다른 걸림편에 의해 액추에이터(13)의 하부(132)를 간섭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버튼(30)의 사시도이다.8 to 10 are perspective views of a
공히, 각 도면에서 키 탑(31, 41)과 플렌지부(32, 42, 52) 및 플렌지부(32, 42, 52)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전자 장치(1)의 케이스 프레임(20)에 마련된 지지홈에 장착되기 위한 지지편(35, 45, 55)은 공통으로 구현된다.In the drawings, the key tops 31 and 41 and the
우선, 도 8의 키 버튼(30)은 전자 장치(1)의 케이스 프레임(20) 내부에 배치되는 걸림편(215) 및 하측면(216)에 걸릴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33)와 별도의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34)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러한 걸림 돌기(34)가 상술한 케이스 프레임(20) 내부에 배치되는 걸림편(215) 및 하측면(216)에 키 탑(31)의 유동에 따라 걸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또한, 도 9의 경우처럼 액추에이터(43)가 배치되는 플렌지부(42)의 중앙 부분이 아닌 플렌지부(42)의 테두리 영역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걸림 돌기(42)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걸림 돌기(42)가 상술한 케이스 프레임(20)의 내부에 배치되는 걸림편(215) 및 하측면(216)에 키 탑의 유동에 따라 걸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9, a plurality of latching
역시, 도 10의 경우는 기존 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D)를 갖는 플렌지부(5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걸림 돌기를 형성할 필요없이 플렌지부(52) 자체가 키 홀(21)의 내측면에 걸리기 전에 케이스 프레임(20)의 내부에 배치되는 걸림편(215) 및 케이스 프레임(20)의 하측면(216)에 먼저 걸리도록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10, the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렌지부가 키 홀의 내측면에 간섭 받는 구조에 의해 키 버튼의 유동각이 결정되는 것이 아닌, 키 버튼의 구성 요소로써 케이스 프레임 내측에 배치되며 X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구현되는 액추에이터, 별도의 걸림 돌기 또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플렌지부에 의해 케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걸림편 및 케이스 프레임 하측면에 먼저 간섭받도록 하여 유동각이 최소화될 수 있게 설계가 가능한 것이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key button is not determined by the structure in which the flange portion is interfer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key hole, but is disposed inside the case frame as a component of the key butt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low angle by interfering with the engaging piece and the case frame bottom side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case frame by the actuator, the separate locking protrusion or the relatively thick flange portion.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Obviously, 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at can modify these embodiments. In other words, there may be many other way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10: 키 버튼(key button)
11: 키 탑(key top) 12: 플렌지부(flange portion)
13: 액추에이터(actuator) 14: 지지편(support member)
20: 케이스 프레임(case frame) 21: 키 홀(key hole)
211: 키 홀 상부(key hole upper portion)
212: 키 홀 하부(key hole lower portion)
215: 걸림편 216: 케이스 프레임 하측면1: electronic device 10: key button
11: key top 12: flange portion
13: actuator 14: support member
20: a case frame 21: a key hole,
211: key hole upper portion
212: key hole lower portion
215: latching piece 216: case frame bottom side
Claims (10)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 수단이 형성되는 케이스 프레임; 및
케이스 프레임의 키 홀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가압 동작에 의해 상기 스위칭 수단을 스위칭하는 키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키 버튼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키 홀에 일부가 돌출되는 키 탑;
상기 키 탑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키 탑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플렌지부; 및
상기 플렌지부의 내측면으로부터 가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돌출 수단의 상면 및 하면 각각의 적어도 일부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키 버튼 장치.
A key button device for switching a switching means disposed inside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case frame having at least one engaging means formed therein; And
And a key button that is partially exposed in the keyhole of the case frame and switches the switching means by a pressing operation,
The key button
A key top partially protruding from the keyhole of the case frame;
A flange extending from the keytop and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keytop, and a support piece supporting the keytop so that the keytop is not detached from the inside of the case frame; And
And protruding means protruding from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in a pressing direction,
Wherein the engaging means is arranged to overlap with at least a part of each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ding means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돌출 수단은 상기 플렌지부에서 가압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위칭 수단을 가압하는 액추에이터인 키 버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ruding means is an actuator protruding in the pressing direction from the flange portion to press the switching means.
상기 돌출 수단은 상기 플렌지부에서 가압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인 키 버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ruding means is at least one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lange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pressing direction.
상기 돌출 수단은 상기 걸림 수단에 걸릴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상기 플렌지부 자체인 키 버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ruding means is the flange portion itself formed to have a thickness enough to be caught by the engaging means.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키 버튼의 상, 하 유동에 따라 상기 돌출 수단의 상, 하 단부가 걸리도록 배치되는 일정 간격을 갖는 한 쌍의 걸림편인 키 버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aging means is a pair of engaging pieces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rojecting means are engaged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flows of the key button.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키 버튼의 상, 하 유동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시에 상기 돌출 수단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 어느 하나가 걸릴 수 있는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상면 또는 하면인 키 버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aging means is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case frame in which at least one of an upper end portion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protruding means can be engaged whe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flows of the key button is operated.
상기 키 버튼은 상, 하 유동각이 5 ~ 5.5도의 범위에서 상기 돌출 수단이 상기 걸림 수단에 걸리도록 결정되는 키 버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key button is determined so that the projecting means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means in a range of 5 to 5.5 degrees in the upward and downward flow angles.
상기 키 버튼이 유동될 때 상기 플렌지부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키 홀에 걸리기 전에 상기 돌출 수단이 상기 걸림 수단에 먼저 걸리도록 구성되는 키 버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ruding means is first hooked to the engaging means before the flange portion is engaged with the keyhole of the case frame when the key button is move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key butt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전자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인 전자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s a portable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4573A KR101891151B1 (en) | 2012-08-28 | 2012-08-28 | Key button device |
CN2012206211591U CN202948844U (en) | 2012-08-28 | 2012-11-21 | Ke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pply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4573A KR101891151B1 (en) | 2012-08-28 | 2012-08-28 | Key button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8404A KR20140028404A (en) | 2014-03-10 |
KR101891151B1 true KR101891151B1 (en) | 2018-08-23 |
Family
ID=48424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4573A Expired - Fee Related KR101891151B1 (en) | 2012-08-28 | 2012-08-28 | Key button devi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1151B1 (en) |
CN (1) | CN202948844U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511173B (en) * | 2014-04-15 | 2015-12-01 | Wistron Corp | Keyswitch mechanism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
KR20220050454A (en) * | 2020-10-16 | 2022-04-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ide key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7614B1 (en) | 2002-08-14 | 2005-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hake holding construction in Mobile phone |
KR100747032B1 (en) | 2006-05-25 | 2007-08-07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Flow prevention structure of car slide button |
KR100927835B1 (en) * | 2002-08-02 | 2009-1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andheld terminal |
-
2012
- 2012-08-28 KR KR1020120094573A patent/KR10189115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11-21 CN CN2012206211591U patent/CN202948844U/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7835B1 (en) * | 2002-08-02 | 2009-1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andheld terminal |
KR100487614B1 (en) | 2002-08-14 | 2005-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hake holding construction in Mobile phone |
KR100747032B1 (en) | 2006-05-25 | 2007-08-07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Flow prevention structure of car slide butt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8404A (en) | 2014-03-10 |
CN202948844U (en) | 2013-05-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14295B2 (en) | Key structure | |
US8492669B2 (en) | Key device | |
CN104409259B (en) | Key board unit and its button | |
US8950881B2 (en) | Backlight module and keyboard | |
US9536683B2 (en) | Touch module | |
JP2014216262A (en) | Key switch device and keyboard | |
US10509482B1 (en) | Keyboard device | |
US20180025862A1 (en) | Keyboard device | |
US10170253B2 (en) | Key scissor-type connecting element with an elastic contact part | |
US9799465B2 (en) | Key structure | |
JP5558235B2 (en) | Push switch | |
KR101891151B1 (en) | Key button device | |
US9715976B2 (en) | Keyboard device | |
JP2015015164A (en) | Ket structure | |
US8581130B2 (en) | Key structure with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 |
US9627158B2 (en) | Keyboard key using an asymmetric scissor-type connecting element | |
US7714245B2 (en) | Keyswitch with balance member | |
US20120160652A1 (en) | Keyboard with plate-type keycap assembly | |
US8563886B2 (en) | Key structure with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 |
CN110189949A (en) | key structure | |
US20190378667A1 (en) | Keyboard device | |
CN102403146B (en) | Press key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 |
JP2008305694A (en) | Holding structure of rubber key for switch operation of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 |
CN201985001U (en) | Push button and keyboard | |
JP6214231B2 (en) |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8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8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8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