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91091B1 -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091B1
KR101891091B1 KR1020180029063A KR20180029063A KR101891091B1 KR 101891091 B1 KR101891091 B1 KR 101891091B1 KR 1020180029063 A KR1020180029063 A KR 1020180029063A KR 20180029063 A KR20180029063 A KR 20180029063A KR 101891091 B1 KR101891091 B1 KR 101891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insert ring
connecting rod
connection groove
jo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진
Original Assignee
이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진 filed Critical 이명진
Priority to KR1020180029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0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63Building elements for making angled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적벽의 "T"자 접합부위를 보강하는데 이용되는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벽돌구멍(21)(31)에 삽입되는 제 1인서트링(40)과 제 2인서트링(50); 두 조적벽돌(20)(30) 사이의 접합층(10)를 지나 벽돌구멍(21)(31) 사이에 일렬로 형성되는 제 1연결홈(22)과 제 2연결홈(32); 제 1인서트링(40)의 단부를 안쪽으로 연장해서 제 1연결홈(22)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한 제 1접합부(41)(42); 제 1접합부(41)(42)를 가로로 절개한 후 상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벌려서 형성한 클레비스부(43)(44); 클레비스부(43)(44)에 형성되는 안내장공(43h)(44h); 제 2인서트링(50)의 단부를 안쪽으로 연장해서 제 2연결홈(32)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한 제 2접합부(51)(52); 제 2접합부(51)(52)의 상부를 가로로 절개한 후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벌려서 형성하고, 상판부(55)(56)를 갖는 래치부(53)(54); 제 1인서트링(40)과 제 2인서트링(5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60); 클레비스부(43)(44)에 삽입되고, 안내장공(43h)(44h)의 중심과 일치되는 핀구멍(62)을 갖는 힌지결합부(61); 핀구멍(62)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드핀(70); 래치부(53)(54)로 삽입되고, 걸림홈(64)(65)을 갖는 끼움부(63); 래치부(53)(54)의 하측 일부를 절개한 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해서 형성되고, 걸림홈(64)(65)에 걸리는 일방향성 탄성걸림편(57)(58)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Masonry Wall Binding Device}
본 발명은 조적벽의 "T"자 접합부위를 보강하는데 이용되는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봉을 이용해서 인접한 조절벽돌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을 쌓아서 만드는 조적벽은 작은 벽돌을 이용하기 때문에 운반이 편리하고, 취급이 간편하기 때문에 실내를 구획하는 비내력 벽체시공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각종 배관을 간단히 매설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와 같은 조적벽은 평면에서 볼 때 벽과 벽이 "T"자 모양으로 만나는 접합부를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곳은 벽돌을 엇갈리게 쌓지 못하기 때문에 접합부를 몰탈과 같은 것으로 접합할 수 밖에 없어서 시간이 경과되면 접합부위가 쉽게 갈라지고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접합부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441977호에 양단이 "ㄱ"자 모양으로 절곡된 강선을 벽돌구멍에 끼워서 균열을 방지하도록 된 종래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강선이 한쪽의 벽돌구멍에만 걸려 있기 때문에 결속력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441977호(공고일 2004.07.27.)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85178호(공고일 2011.11.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적벽과 조적벽이 직각으로 만나는 "T"자 접합부위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접합부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는, T자로 접합되는 두 조적벽돌에 형성된 벽돌구멍에 각각 삽입되는 제 1인서트링과 제 2인서트링; 두 조적벽돌 사이의 접합층를 지나 벽돌구멍 사이에 일렬로 형성되고, 조적벽돌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 1연결홈과 제 2연결홈; 제 1인서트링의 단부를 안쪽으로 연장해서 제 1연결홈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한 제 1접합부; 제 1접합부를 가로로 절개한 후 상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벌려서 형성한 클레비스부; 클레비스부에 형성되는 안내장공; 제 2인서트링의 단부를 안쪽으로 연장해서 제 2연결홈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한 제 2접합부; 제 2접합부의 상부를 가로로 절개한 후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벌려서 형성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해서 만나는 상판부를 갖는 래치부; 제 1연결홈과 제 2연결홈을 통해 제 1인서트링과 제 2인서트링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 연결봉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클레비스부에 삽입되고, 안내장공의 중심과 일치되는 핀구멍을 갖는 힌지결합부; 안내장공을 따라 움직이고, 핀구멍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드핀; 연결봉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래치부로 삽입되고, 걸림홈을 갖는 끼움부; 래치부의 하측 일부를 절개한 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해서 형성되고, 걸림홈에 걸리는 일방향성 탄성걸림편을 포함해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제 1인서트링과 제 2인서트링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벽돌구멍의 상단 모서리에 걸리는 절곡부; 연결봉의 중앙 외주면에 형성되는 손잡이홈; 연결봉에 형성되는 걸쇠구멍을 포함해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벽돌구멍(21)(31)의 내부에 제 1인서트링(40)과 제 2인서트링(50)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봉(6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조적벽돌(20)(30)에 고르게 전달함으로써 더욱 큰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1인서트링(40)과 제 2인서트링(50)을 벽돌구멍(21)(31)에 삽입한 다음 연결봉(60)을 회전시켜서 제 1연결홈(22)과 제 2연결홈(32)에 끼우고 연결봉(60)을 축방향으로 밀어서 끼움부(63)를 래치부(53)(54)에 삽입하면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1접합부(41)(42)와 제 2접합부(51)(52)에 의해 제 1인서트링(40)과 제 2인서트링(50)의 양단을 접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 1인서트링(40)과 제 2인서트링(5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걸쇠(80)와 같이 걸어서 당길 수 있는 도구를 삽입할 수 있는 걸쇠구멍(67)(68)이 연결봉(6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봉(60)을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래치부(53)(54)로 삽입되는 끼움부(63)가 일방향성 탄성걸림편(57)(58)과 걸림홈(64)(65)에 의해 삽입의 역방향으로 빠질 수 없도록 되어 있으므로, 연결봉(60)이 래치부(53)(54)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벽돌구멍(21)(31)의 상단 모서리에 걸리는 절곡부(49)(59)가 제 1인서트링(40)과 제 2인서트링(50)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제 1인서트링(40)과 제 2인서트링(50)을 벽돌구멍(21)(31)에 삽입할 때 과도한 깊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측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측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저면측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인서트링과 제 2인서트링을 벽돌구멍에 끼운 다음 연결봉을 회전시켜서 제 1연결홈과 제 2연결홈에 삽입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봉을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끼움부를 래치부에 삽입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봉을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끼움부를 래치부에 삽입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 결속장치가 적용된 조적벽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요부 확대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T자로 접합되는 두 조적벽돌(20)(30)에 형성된 벽돌구멍(21)(31)에 각각 삽입되는 제 1인서트링(40)과 제 2인서트링(50); 두 조적벽돌(20)(30) 사이의 접합층(10)를 지나 벽돌구멍(21)(31) 사이에 일렬로 형성되고, 조적벽돌(20)(30)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 1연결홈(22)과 제 2연결홈(32)을 포함한다.
제 1인서트링(40)과 제 2인서트링(50)은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금속판을 팔각링 모양으로 절곡해서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벽돌구멍(21)(31)의 내측코너와 만나는 부위에 팔각면이 위치되도록 해서 제 1인서트링(40)과 제 2인서트링(50)을 벽돌구멍(21)(31)으로 삽입할 때 벽돌구멍(21)(31)의 내측코너에 제 1인서트링(40)과 제 2인서트링(50)이 접촉되는 것을 피함으로써 마찰저항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인서트링(40)의 단부를 안쪽으로 연장해서 제 1연결홈(22)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한 제 1접합부(41)(42); 제 1접합부(41)(42)를 가로로 절개한 후 상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벌려서 형성한 클레비스부(43)(44); 클레비스부(43)(44)에 형성되는 안내장공(43h)(44h)을 포함한다.
제 1접합부(41)(42)는 면과 면을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전기저항용접에 의해 접합할 수 있으며, 제 1접합부(41)(42)의 상단부는 제 1연결홈(22)과 제 2연결홈(32)의 바닥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2인서트링(50)의 단부를 안쪽으로 연장해서 제 2연결홈(32)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한 제 2접합부(51)(52); 제 2접합부(51)(52)의 상부를 가로로 절개한 후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벌려서 형성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해서 만나는 상판부(55)(56)를 갖는 래치부(53)(54)를 포함한다.
제 2접합부(51)(52)는 면과 면을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전기저항용접에 의해 접합할 수 있으며, 하기의 연결봉(60)에 형성된 끼움부(6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래치부(53)(54)와 상판부(55)(56)는 ㄱ자 단면을 갖는 일체형이며, 특히 상판부(55)(56)는 끼움부(63)를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제 1연결홈(22)과 제 2연결홈(32)을 통해 제 1인서트링(40)과 제 2인서트링(5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60); 연결봉(6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클레비스부(43)(44)에 삽입되고, 안내장공(43h)(44h)의 중심과 일치되는 핀구멍(62)을 갖는 힌지결합부(61); 안내장공(43h)(44h)을 따라 움직이고, 핀구멍(62)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드핀(70)을 포함한다.
연결봉(60)은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형단면의 금속환봉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힌지결합부(61)는 클레비스부(43)(44)의 내폭에 맞는 외폭으로 연결봉(60)의 양측면을 평행하게 면취해서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드핀(70)은 핀구멍(62)에 압입하거나 접착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핀(70)이 안내장공(43h)(44h)에는 헐겁게 결합되도록 해서 안내장공(43h)(44h)을 따라 슬라이드핀(70)이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한다.
본 발명은 연결봉(6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래치부(53)(54)로 삽입되고, 걸림홈(64)(65)을 갖는 끼움부(63); 래치부(53)(54)의 하측 일부를 절개한 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해서 형성되고, 걸림홈(64)(65)에 걸리는 일방향성 탄성걸림편(57)(58)을 포함한다.
끼움부(63)는 래치부(53)(54)의 내폭에 맞는 외폭으로 연결봉(60)의 양측면을 평행하게 면취해서 형성할 수 있으며, 걸림홈(64)(65)은 면취된 끼움부(63)의 양면에 형성할 수 있다.
일방향성 탄성걸림편(57)(58)은 끼움부(63)가 래치부(53)(54)로 진입될 때 탄성변형에 의해 사이가 벌어지면서 끼움부(63)의 진입을 돕게 되며, 걸림홈(64)(65)이 일방향성 탄성걸림편(57)(58)의 끝에 일치되는 순간 일방향성 탄성걸림편(57)(58)이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걸리게 된다.
래치부(53)(54)의 하단에서 바깥쪽으로 절개되는 연장슬롯(53s)(54s)을 형성해서 끼움부(63)를 래치부(53)(54)로 삽입할 때 래치부(53)(54)가 탄성복원력을 갖고 벌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인서트링(40)과 제 2인서트링(50)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벽돌구멍(21)(31)의 상단 모서리에 걸리는 절곡부(49)(59); 연결봉(60)의 중앙 외주면에 형성되는 손잡이홈(66); 연결봉(60)에 형성되는 걸쇠구멍(67)(68)을 포함한다.
절곡부(49)(59)는 제 1인서트링(40)과 제 2인서트링(50)을 벽돌구멍(21)(31)에 삽입할 때 과도한 깊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절곡부(49)(59)가 벽돌구멍(21)(31)의 상단 모서리에 걸릴 때 제 1접합부(41)(42) 및 제 2접합부(51)(52)의 상단부와, 제 1연결홈(22) 및 제 2연결홈(32)의 바닥면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손잡이홈(66)은 연결봉(60)에 형성된 끼움부(63)을 래치부(53)(54)로 삽입할 때 연결봉(60)을 손으로 잡고 축방향으로 움직일 때 사용할 수 있으며, 걸쇠구멍(67)(68)은 연결봉(60)에 축의 직각방향인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60)을 수평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걸쇠(80)를 걸쇠구멍(67)(68)에 걸어서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편리하게 이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로 접합된 조적벽돌(20)(30)에 형성된 벽돌구멍(21)(31)에 제 1인서트링(40)과 제 2인서트링(50)을 각각 삽입하게 되면, 절곡부(49)(59)가 조적벽돌(20)(30)의 상단 모서리에 걸리는 순간 제 1인서트링(40)과 제 2인서트링(50)의 삽입이 정지된다.
이후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레비스부(43)(44)에 결합된 연결봉(60)을 회전시키게 되면, 연결봉(60)이 제 1연결홈(22)과 제 2연결홈(32)에 삽입되는데, 이때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구멍(67)(68)에 걸쇠(80)를 끼운 상태에서 도 8의 화살표방향인 축방향으로 연결봉(60)을 당기면, 힌지결합부(61)는 클레비스부(43)(44)에서 미끄러지고, 슬라이드핀(70)은 안내장공(43h)(44h)을 따라 이동된다.
또, 연결봉(60)에 형성된 끼움부(63)는 래치부(53)(54)로 삽입되는데, 이때 일방향성 탄성걸림편(57)(58)이 탄성변형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끼움부(63)의 진입을 돕게 되며, 슬라이드핀(70)이 안내장공(43h)(44h)의 끝에 접촉되고, 일방향성 탄성걸림편(57)(58)의 끝부분이 걸림홈(64)(65)에 일치되는 순간 일방향성 탄성걸림편(57)(58)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일방향성 탄성걸림편(57)(58)가 걸림홈(64)(65)에 걸리게 된다.
즉, 연결봉(60)은 슬라이드핀(70)과 일방향성 탄성걸림편(57)(58)에 의해 양반향으로 걸려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되며, 접합층(10)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양쪽 조적벽돌(20)(30)의 벽돌구멍(21)(31)에 삽입된 제 1인서트링(40)과 제 2인서트링(50)이 연결봉(60)에 의해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10 : 접합층 20,30 : 조적벽돌
21,31 : 벽돌구멍 22 : 제 1연결홈
32 : 제 2연결홈 40 : 제 1인서트링
41,42 : 제 1접합부 43,44 : 클레비스부
43h,44h : 안내장공 50 : 제 2인서트링
51,52 : 제 2접합부 53,54 : 래치부
53s,54s : 연장슬롯 55,56 : 상판부
49,59 : 절곡부 57,58 : 일방향성 탄성걸림편
60 : 연결봉 61 : 힌지결합부
62 : 핀구멍 63 : 끼움부
64,65 : 걸림홈 66 : 손잡이홈
67,68 : 걸쇠구멍 70 : 슬라이드핀
80 : 걸쇠

Claims (2)

  1. T자로 접합되는 두 조적벽돌(20)(30)에 형성된 벽돌구멍(21)(31)에 각각 삽입되는 제 1인서트링(40)과 제 2인서트링(50);
    상기 두 조적벽돌(20)(30) 사이의 접합층(10)를 지나 상기 벽돌구멍(21)(31) 사이에 일렬로 형성되고, 상기 조적벽돌(20)(30)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 1연결홈(22)과 제 2연결홈(32);
    상기 제 1인서트링(40)의 단부를 안쪽으로 연장해서 상기 제 1연결홈(22)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한 제 1접합부(41)(42);
    상기 제 1접합부(41)(42)를 가로로 절개한 후 상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벌려서 형성한 클레비스부(43)(44);
    상기 클레비스부(43)(44)에 형성되는 안내장공(43h)(44h);
    상기 제 2인서트링(50)의 단부를 안쪽으로 연장해서 상기 제 2연결홈(32)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한 제 2접합부(51)(52);
    상기 제 2접합부(51)(52)의 상부를 가로로 절개한 후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벌려서 형성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해서 만나는 상판부(55)(56)를 갖는 래치부(53)(54);
    상기 제 1연결홈(22)과 상기 제 2연결홈(32)을 통해 상기 제 1인서트링(40)과 상기 제 2인서트링(5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60);
    상기 연결봉(6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클레비스부(43)(44)에 삽입되고, 상기 안내장공(43h)(44h)의 중심과 일치되는 핀구멍(62)을 갖는 힌지결합부(61);
    상기 안내장공(43h)(44h)을 따라 움직이고, 상기 핀구멍(62)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드핀(70);
    상기 연결봉(6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래치부(53)(54)로 삽입되고, 걸림홈(64)(65)을 갖는 끼움부(63);
    상기 래치부(53)(54)의 하측 일부를 절개한 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해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64)(65)에 걸리는 일방향성 탄성걸림편(57)(58);
    을 포함하는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인서트링(40)과 제 2인서트링(50)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벽돌구멍(21)(31)의 상단 모서리에 걸리는 절곡부(49)(59);
    상기 연결봉(60)의 중앙 외주면에 형성되는 손잡이홈(66);
    상기 연결봉(60)에 형성되는 걸쇠구멍(67)(68);
    을 포함하는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
KR1020180029063A 2018-03-13 2018-03-13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 Active KR101891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063A KR101891091B1 (ko) 2018-03-13 2018-03-13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063A KR101891091B1 (ko) 2018-03-13 2018-03-13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091B1 true KR101891091B1 (ko) 2018-08-23

Family

ID=63454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063A Active KR101891091B1 (ko) 2018-03-13 2018-03-13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0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678B1 (ko) * 2018-10-18 2019-02-21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적벽 보강장치
KR101975755B1 (ko) * 2018-11-28 2019-05-07 주식회사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적벽의 티형 접합부위 보강장치
KR102249937B1 (ko) * 2020-11-02 2021-05-11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건축용 조적벽 연결장치
KR102814234B1 (ko) * 2023-12-21 2025-06-05 주식회사 나우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적벽 보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977B1 (ko) 2001-09-27 2004-07-27 고대석 신축보강쇠를 이용한 벽돌조적 방법
JP2006028775A (ja) * 2004-07-13 2006-02-02 Tahei Mizuguchi 上下・左右に隣接す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連結具。
KR101085178B1 (ko) 2011-08-23 2011-11-22 (주)서한종합건축사사무소 벽체 균열 방지 장치
KR101508933B1 (ko) * 2015-01-28 2015-04-08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공동주택용 벽돌 조적벽체 연결장치
KR101518359B1 (ko) * 2015-03-27 2015-05-07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977B1 (ko) 2001-09-27 2004-07-27 고대석 신축보강쇠를 이용한 벽돌조적 방법
JP2006028775A (ja) * 2004-07-13 2006-02-02 Tahei Mizuguchi 上下・左右に隣接す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連結具。
KR101085178B1 (ko) 2011-08-23 2011-11-22 (주)서한종합건축사사무소 벽체 균열 방지 장치
KR101508933B1 (ko) * 2015-01-28 2015-04-08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공동주택용 벽돌 조적벽체 연결장치
KR101518359B1 (ko) * 2015-03-27 2015-05-07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연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678B1 (ko) * 2018-10-18 2019-02-21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적벽 보강장치
KR101975755B1 (ko) * 2018-11-28 2019-05-07 주식회사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적벽의 티형 접합부위 보강장치
KR102249937B1 (ko) * 2020-11-02 2021-05-11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건축용 조적벽 연결장치
KR102814234B1 (ko) * 2023-12-21 2025-06-05 주식회사 나우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적벽 보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091B1 (ko)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
EP3259483B1 (en) Furniture parts comprising a male part and a female part of a joint
EP3415699B1 (en) Cast-in-place anchor assembly
US6189273B1 (en) Connector clip for drywall reveal
KR101259959B1 (ko) 내화성이 확보된 철근 이음용 쐐기형 원터치식 퀵 커플러
KR101039120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1631862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KR101469709B1 (ko) 건축용 조적벽 연결장치
CA2645824C (en) Improved connections for suspended ceiling system
US20080184656A1 (en) Slab bolster coupling
JP7141033B2 (ja) 連結金具
KR102430698B1 (ko) 건축 블록, 건축 블록으로 만들어진 벽 구조물 및 방법
KR101393061B1 (ko) 레이스 웨이용 조이너
US20060053735A1 (en) Reinforcing bar coupler
EP3449065B1 (en) Improved system for coupling two prefabricated panels for construction
KR101525412B1 (ko) 공동주택용 벽돌 조적벽체 보강장치
US20190089140A1 (en) Modular cable protector
KR101639996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KR101607186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JP6713122B2 (ja) 連結具
JP7174474B2 (ja) シールドセグメント用継手部材
JP2017150130A (ja) デッキプレート
JP7049766B2 (ja) 鋼管矢板の継手構造及び鋼管矢板の施工方法
KR20200093937A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RU2560032C1 (ru) Настил из механически соединяемых между собой панелей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их панелей,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х уклад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8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