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91021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021B1
KR101891021B1 KR1020167036433A KR20167036433A KR101891021B1 KR 101891021 B1 KR101891021 B1 KR 101891021B1 KR 1020167036433 A KR1020167036433 A KR 1020167036433A KR 20167036433 A KR20167036433 A KR 20167036433A KR 101891021 B1 KR101891021 B1 KR 101891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tongue
terminal
mating
metal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5141A (ko
Inventor
이 체 호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420289128.XU external-priority patent/CN203859275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420288762.1U external-priority patent/CN203859322U/zh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05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0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다른 메이팅 커넥터와 메이팅하기에 적절한 전기 커넥터는 결합체, 접지 금속판 및 외부 차폐 쉘을 포함한다. 결합체는 제1 단자 모듈 및 제2 단자 모듈을 포함한다. 제1 단자 모듈은 제1 절연 단편, 복수의 제1 단자, 제1 베이스부 및 제1 설편부를 갖는다. 각각의 제1 단자는 제1 메이팅부와 제1 납땜부를 형성한다. 제2 단자 모듈은 제1 절연 단편 및 복수의 제2 단자를 갖는다. 제2 절연 단편은 제2 베이스부와 제2 설편부를 갖는다. 각각의 제2 단자는 제2 메이팅부와 제2 납땜부를 형성한다. 접지 금속판은 제1 단자 모듈과 제2 단자 모듈 사이에 개재된다. 외부 차폐 쉘은 설편부들을 둘러싸고, 메이팅 커넥터의 삽입을 위한 메이팅 캐비티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단순한 구성을 갖고 용이하게 조립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송신, 전원 및 전기 커넥터의 전자기 차폐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른 기능을 갖는 복수의 단자가 종종 통상적인 전기 커넥터 내의, 전기 커넥터의 절연체에 제공되며, 단자의 데이터 송신 중에 전자기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차폐 부재가 절연체에 매립된다.
그러나, 단자 또는 차폐 부재 등이 전기 커넥터에 추가되는 경우, 통상적으로, 전기 커넥터의 전체 구성의 복잡성이 현저히 증가되며, 예를 들면, 중국 특허 출원 번호 제201320378153.0호는 전기 커넥터를 개시하며, 복수의 상이한 조립 구성이 조립을 위해 차폐 부재 등과 협업하도록 각각 성형될 필요가 있어, 전기 커넥터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고, 나아가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전기 커넥터의 단자는 절연체의 설편부(tongue)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조립의 어려움을 증가시키고 구성 및 조립 프로세스를 복잡하게 한다. 또한, 통상적인 전기 커넥터는 모든 전자기 방사를 완전히 차폐할 수 없으며, 일단 전자기 방사가 절연체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누설되면, 부정적인 효과가 단자의 꼬리부에 적용되어, 신호 송신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통상적인 전기 커넥터에 대해 향상될 여지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을 갖고 용이하게 조립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양호한 전자기 차폐 효과를 갖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다른 메이팅 커넥터와 메이팅하기에 적절하다.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는 결합체, 접지 금속판 및 외부 차폐 쉘을 포함한다. 결합체는 제1 단자 모듈 및 제2 단자 모듈을 포함한다. 제1 단자 모듈은 제1 절연 단편과 제1 절연 단편에 고정된 복수의 제1 단자를 갖는다. 제1 절연 단편은 제1 베이스부와 제1 베이스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설편부를 갖는다. 제1 설편부는 서로 대향하는 제1 결합면과 제1 메이팅면을 갖는다. 각각의 제1 단자의 일단부는 제1 베이스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제1 메이팅면 상에 노출되는 제1 메이팅부를 형성하고, 각각의 제1 단자의 타단부는 제1 베이스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제1 납땜부를 형성한다.
제2 단자 모듈은 제1 절연 단편과 조립되는 제2 절연 단편과 제2 절연 단편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2 단자를 갖는다. 제2 절연 단편은 제2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 설편부를 갖는다. 제2 설편부는 제1 결합면에 직면하는 제2 결합면과 제2 결합면에 대향하는 제2 메이팅면을 갖는다. 각각의 제2 단자의 일단부는 제2 베이스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제2 메이팅면 상에 노출되는 제2 메이팅부를 형성하고, 각각의 제2 단자의 타단부는 제2 베이스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제2 납땜부를 형성한다. 접지 금속판은 제1 단자 모듈과 제2 단자 모듈 사이에 개재된다. 외부 차폐 쉘은 제1 설편부의 외부 공간 및 제2 설편부의 외부 공간을 둘러싸고 메이팅 커넥터의 삽입을 위한 메이팅 캐비티를 형성한다.
실시예에서, 제1 절연 단편은 제2 절연 단편에 직면하는 표면 상에 제1 고정 메커니즘을 적어도 갖고, 제2 절연 단편에는 제1 고정 메커니즘과 협업하고 이에 고정되는 제2 고정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접지 금속판은 제1 고정 메커니즘 및 제2 고정 메커니즘에 대응하는 관통홀로 적어도 형성되고; 제1 고정 메커니즘 및 제2 고정 메커니즘은 각각 서로 협업하는 고정 돌출 포스트 및 고정홀이고, 제1 고정 메커니즘은 접지 금속판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제2 고정 메커니즘에 결합된다.
실시예에서, 접지 금속판의 2개의 대향면은 각각 제1 설편부의 제1 결합면과 제2 설편부의 제2 결합면에 부착되고, 접지 금속판에는 제1 설편부 및 제2 설편부로부터 각각 노출되는 2개의 메이팅측 에지가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제1 단자 모듈의 구성과 제2 단자 모듈 구성의 구성은 동일하고, 고정 레그가 제1 절연 단편과 제2 절연 단편의 각각으로부터 각각 연장된다.
실시예에서, 제1 단자 모듈은 제2 단자 모듈의 위쪽에 제공되고, 적어도 고정 레그는 제2 절연 단편의 제2 베이스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는 결합체에 제공되는 내부 차폐 쉘을 더 포함하고; 내부 차폐 쉘은 외부 차폐 쉘과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 사이에 위치되고, 적어도 제1 설편부 및 제2 설편부의 후방 섹션을 덮는다.
실시예에서, 내부 차폐 쉘은 고정 섹션과 연장 섹션을 포함하고, 고정 섹션은 외부 차폐 쉘의 내면에 대해 접하고 제1 베이스부 또는 제2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연장 섹션은 제1 설편부 및 제2 설편부의 후방 섹션을 덮는다.
실시예에서, 내부 차폐 쉘은 제1 절연 단편과 제2 절연 단편에 각각 부착되는 2개의 금속판을 포함하고, 각 금속판은 제1 설편부의 후방 섹션 또는 제2 설편부의 후방 섹션 상에 부착되는 전방 연장판, 대응하는 제1 베이스부 또는 대응하는 제2 베이스부에 부착되는 후방 연장판 및 전방 연장판과 후방 연장판에 수직인 접속판을 갖는다.
실시예에서, 각 전방 연장판의 전방 단부는 안내 전방 에지를 형성하고; 갭이 각 안내 전방 에지와 각 결합체 사이에 형성되어 안내 전방 에지가 결합체를 향해 약간 변위될 수 있게 한다.
실시예에서, 결합체의 양측은 추가로 전방 연장판의 2개의 측면에 각각 인접한 2개의 수용 그루브로 형성되고; 각 수용 그루브의 후방측은 수직으로 연장되고 제1 베이스부 및 제2 베이스부를 관통하는 채널을 갖고; 각 금속판은 추가로 대응하는 전방 연장판의 2개의 측면에 제공되는 2개의 고정 돌출 탭을 갖고; 각 고정 돌출 탭은 전방 연장판으로부터 인접하는 수용 그루브로 연장되어 대응하는 채널에 래칭된다.
실시예에서, 각 금속판은 추가로 결합체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접속 탄성 탭을 적어도 갖고; 각 접속 탄성 탭은 외부 차폐 쉘과 결합된다.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는 결합체, 접지 금속판, 외부 차폐 쉘 및 내부 차폐 쉘을 포함한다. 결합체는 본체와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설편부를 갖는 절연체; 및 상단 및 하단으로 분할되고 절연체에 고정되는 복수의 단자들로서, 각각의 단자는 전방으로 연장되고 절연체로부터 연장되는 꼬리부 및 설편부로부터 노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하고, 상단의 단자들의 접촉부는 설편부의 상부면 상에 노출되고, 하단의 단자의 접촉부는 설편부의 하부면 상에 노출된다. 접지 금속판은 결합체에 고정되고, 상단의 단자들과 하단의 단자들 사이에 위치된다. 외부 차폐 쉘은 절연체와 결합되고 설편부의 외부 공간을 둘러싸서 메이팅 캐비티를 규정한다. 내부 차폐 쉘은 외부 차폐 쉘의 내측에 위치되고 결합체의 표면 상에 제공되며, 내부 차폐 쉘은 상부 금속판 및 하부 금속판을 포함하고, 상부 금속판은 결합체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접속 탄성 탭을 적어도 갖고, 접속 탄성 탭은 외부 차폐 쉘에 접속된다.
실시예에서, 하부 금속판은 결합체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접속 탄성 탭을 적어도 갖고, 접속 탄성 탭은 외부 차폐 쉘에 접속된다.
실시예에서, 하부 금속판은 적어도 결합체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납땜 레그를 갖고, 납땜 레그는 외부 차폐 쉘로부터 연장되고, 접지를 달성하기 위해 대응하는 회로 보드에 납땜된다.
실시예에서, 접지 금속판은 제1 차폐부와 상기 제1 차폐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차폐부를 포함하고, 제1 차폐부는 절연체에 고정되고, 제2 차폐부와 단자들의 꼬리부는 동일 방향을 따라 절연체로부터 연장된다.
실시예에서, 외부 차폐 쉘은 접지를 달성하기 위해 회로 보드에 납땜되는 납땜 레그를 적어도 갖는다.
실시예에서, 절연체는 제1 절연 단편과 제2 절연 단편에 의해 조립되고, 상단의 단자는 제1 절연 단편에 매립되고, 하단의 단자는 제2 절연 단편에 매립되고, 접지 금속판은 제1 절연 단편과 제2 절연 단편 사이에 개재된다.
실시예에서, 제1 절연 단편은 제1 베이스부와 제1 베이스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설편부를 포함하고, 상단의 단자들의 접촉부는 상기 제1 설편부로부터 노출되고; 제2 절연 단편은 제2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 설편부를 포함하고, 하단의 단자들의 접촉부는 제2 설편부로부터 노출되고; 제1 설편부 및 제2 설편부는 조립되어 절연체의 설편부를 형성하고, 제1 베이스부 및 제2 베이스부는 조립되어 절연체의 본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1 단자 모듈 및 제2 단자 모듈의 설계에 의해,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각각 제1 절연 단편의 측면과 제2 절연 단편의 측면에 우선 고정될 수 있으며, 그 후, 제1 단자 모듈과 제2 단자 모듈이 조립되어 그 사이에 접지 금속판을 개재시켜 조립 프로세스의 어려움을 감소시킨다. 또한, 접지 금속판이 노출된 메이팅측 에지를 갖고 전기 커넥터에는 내부 차폐 쉘이 제공되어, 전기 커넥터가 더욱 양호한 전자기 차폐 효과를 달성하게 하며; 또한, 내부 차폐 쉘과 외부 차폐 쉘이 접속 탄성 탭을 통해 접속되고, 내부 차폐 쉘이 외부 차폐 쉘을 통해 접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어, 전기 커넥터가 더욱 양호한 전자기 차폐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술한 특징 및 효과와 다른 특징 및 효과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통해 명백하게 될 것이며,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컴포넌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다른 각도에서 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컴포넌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내부 차폐 쉘의 2개의 금속판 사이의 조립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결합체의 컴포넌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각도에서 본 결합체의 컴포넌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전방측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의 내측부를 나타내는 도 7의 라인 VIII-VIII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메이팅 커넥터와 메이팅되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가 회로 보드에 제공되는 것과, 전기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사이의 메이팅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회로 보드에 제공되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의 외부 차폐 쉘과 절연체 사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다른 각도에서 본 도 12의 도면이다.
도 14는 제2 실시예의 내부 차폐 쉘과 절연체 사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른 각도에서 본 도 14의 도면이다.
도 16은 제2 실시예의 접지 금속판, 납땜 레그 포지셔닝 부재 및 절연체 사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다른 각도에서 본 도 16의 도면이다.
도 18은 제2 실시예의 단자와 절연체의 제1 절연 단편 및 제2 절연 단편 사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다른 각도에서 본 도 18의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라인 XII-X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라인 XIII-XI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2 실시예의 단자 이격부와 단자 꼬리부 사이의 기능적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제2 실시예의 단자 이격부와 단자 꼬리부 사이의 기능적 관계를 나타내는 도 23의 부분도이다.
참조 부호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300, 300c 전기 커넥터
100 결합체
101 고정 레그
102 수용 그루브
103 채널
104 오목부
10c 절연체
20c 단자
201c 접촉부
202c 꼬리부
1 제1 단자 모듈
11, 11c 제1 절연 단편
111, 111c 제1 베이스부
112, 112c 제1 설편부
113 제1 결합면
114 제1 메이팅면
115 제1 고정 메커니즘
116, 116c 고정 돌출 포스트
117, 117c 고정홀
118c 제한 그루브
12 제1 단자
121 제1 메이팅부
122 제1 납땜부
13c 본체
131c 상부면
132c 하부면
133c 측면
134c 전방면
135c 채널
136c 래치 그루브
137c 수용 오목부
14c 설편부
141c 베이스부
142c 연장부
143c 상부면
144c 하부면
145c 수용 채널
146c 래칭부
15c 단자 이격부
2 제2 단자 모듈
21, 21c 제2 절연 단편
211, 211c 제2 베이스부
212, 212c 제2 설편부
213 제2 결합면
214 제2 메이팅면
215 제2 고정 메커니즘
216 고정 돌출 포스트
217 고정홀
22 제2 단자
221 제2 메이팅부
222 제2 납땜부
3, 3c 접지 금속판
31 메이팅측 에지
32, 32c 관통홀
33c 제1 차폐부
34c 관통홀
35c 제2 차폐부
36c 접지 레그
4, 4c 외부 차폐 쉘
41, 41c 메이팅 캐비티
42c 납땜 레그
43c 개구
5, 5c 내부 차폐 쉘
51 고정 섹션
52 연장 섹션
53 금속판
54c 제1 금속판
55c 제2 금속판
59c는 납땜 레그
531, 531c 전방 연장판
532, 532c 안내 전방 에지
533 갭
534, 534c 후방 연장판
535, 535c 접속판
536, 536c, 538c 고정 돌출 탭
537, 537c 접속 탄성 탭
6c 납땜 레그 포지셔닝 부재
61c 래칭 블록
62c 포지셔닝 홀
63c 포지셔닝 홀
64c 포지셔닝 오목부
7, 7c 메이팅 커넥터
71, 71c 접지 탄성 탭
72c 차폐 외부 쉘
73c 메이팅 전방 에지
8, 8c 회로 보드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기술 내용, 특징 및 효과는 도면과 함께 2개의 특정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제1 실시예가 나타내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는 다른 메이팅 커넥터(7)의 삽입 및 접속을 위해 적절한 리셉터클 커넥터이다(도 9 참조). 전기 커넥터(300)는 결합체(100), 결합체(100)에 고정된 접지 금속판(3)(도 5 참조), 결합체(100)를 둘러싸는 외부 차폐 쉘(4) 및 외부 차폐 쉘(4)의 내측에 위치하고 결합체(100)의 표면에 제공되는 내부 차폐 쉘(5)을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결합체(100)는 서로 조립되는 제1 단자 모듈(1)과 제2 단자 모듈(2)을 포함한다. 제1 단자 모듈(1)은 제1 절연 단편(11)과 제1 절연 단편(11)에 매립되는 복수의 제1 단자(12)를 갖는다. 제1 절연 단편(11)은 제1 베이스부(111), 제1 베이스부(111)의 전방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제1 설편부(112) 및 제2 단자 모듈(2) 쪽으로 하방으로 향하는 2개의 제1 고정 메커니즘(115)을 갖는다. 제1 설편부(112)는 제2 단자 모듈(2) 쪽으로 하방으로 향하는 제1 결합면(113)과 제1 결합면(113)에 대향하는 제1 메이팅면(114)을 갖는다. 제1 단자(12)는 제1 베이스부(111)에 고정되고, 제1 단자(12)의 전방 단부는 제1 베이스부(11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제1 메이팅면(114)에 노출된 제1 메이팅부(121)를 형성하고, 제1 단자(12)의 후방 단부는 제1 베이스부(11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여 회로 보드(8)에 납땜되는 제1 납땜부(122)를 형성한다(도 7 및 도 8 참조).
제2 단자 모듈(2)의 구성은 제1 단자 모듈(1)의 구성과 동일하며, 제2 단자 모듈(2)의 구성 및 제1 단자 모듈(1)의 구성은 180도 회전 대칭이다. 제2 단자 모듈(2)은 제1 절연 단편(11)을 향해 상방으로 조립되는 제2 절연 단편(21)과, 제2 절연 단편(21)에 매립되는 복수의 제2 단자(22)를 갖는다. 제2 절연 단편(21)은 위치에 있어 제1 베이스부(111)에 대응하는 제2 베이스부(211), 제2 베이스부(211)의 전방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고 위치에 있어 제1 설편부(112)에 대응하는 제2 설편부(212) 및 제1 절연 단편(11)의 제1 고정 메커니즘(115)과 협업하고 이에 고정되는 2개의 제2 고정 메커니즘(215)을 갖는다. 제2 설편부(212)는 제1 결합면(113)으로 상방으로 향하는 제2 결합면(213)과 제2 결합면(213)에 대향하는 제2 메이팅면(214)을 갖는다. 제2 단자(22)의 전방 단부는 제2 베이스부(21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여 제2 메이팅면(214)에 노출된 제2 메이팅부(221)를 형성하고, 제2 단자(22)의 후방 단부는 제2 베이스부(21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회로 보드(8)에 납땜되는 제2 납땜부(222)를 형성한다(도 7 및 도 8 참조).
결합체(100)는 각각 제1 베이스부(111)의 후방측과 제2 베이스부(211)의 후방측에 제공되는 2개의 고정 레그(101), 각각 결합체(100)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고 각각 제1 설편부(112)의 후방 섹션 및 제2 설편부(212)의 후방 섹션에 인접한 2개의 수용 그루브(102), 및 각각 제1 베이스부(111)의 최상부면 및 제2 베이스부(211)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4개의 오목부(104)를 추가로 포함한다. 2개의 고정 레그(101)는 각각 제1 절연 단편(11)의 후방측 및 제2 절연 단편(21)의 후방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절연 단편(11) 및 제2 절연 단편(21)으로부터 멀리 후방으로 연장되고, 회로 보드(8)를 관통하여 고정된다(도 7 및 도 8 참조).
접지 금속판(3)은 제1 단자 모듈(1)과 제2 단자 모듈(2) 사이에 개재되어, 제1 설편부(112)와 제2 설편부(212)에 의해 조립되는 설편부의 구성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제1 단자(12)와 제2 단자(22) 사이의 고주파 신호의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킨다. 접지 금속판(3)의 2개의 대향면은 각각 제1 설편부(112)의 제1 결합면(113)과 제2 설편부(212)의 제2 결합면(213)에 부착되고, 접지 금속판(3)에는 각각 좌측 및 우측에서 제1 설편부(112) 및 제2 설편부(212)로부터 노출된 2개의 메이팅측 에지(31)와 접지 금속판(3)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4개의 관통홀(32)이 제공된다. 4개의 관통홀(32)은 제1 절연 단편(11) 2개의 제1 고정 메커니즘(115) 및 제2 절연 단편(21)의 2개의 제2 고정 메커니즘(215)에 대응하므로, 2개의 제1 고정 메커니즘(115)이 접지 금속판(3)의 4개의 관통홀(32)을 관통하여 2개의 제2 고정 메커니즘(215)과 결합하고 동시에 접지 금속판(3)을 위치시킨다. 제1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각각의 제1 고정 메커니즘(115)은 고정 돌출 포스트(116) 및 고정홀(117)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2 고정 메커니즘(215)은 각각 고정홀(117)과 고정 돌출 포스트(116)와 협업하는 고정홀(217)과 고정 돌출 포스트(216)를 포함한다.
외부 차폐 쉘(4)은 결합체(100)의 제1 설편부(112)의 외부 공간과 제2 설편부(212)의 외부 공간을 둘러싸고, 메이팅 커넥터(7)의 삽입을 위한 메이팅 캐비티(41)를 형성한다. 내부 차폐 쉘(5)은 외부 차폐 쉘(4)과 제1 베이스부(111)와 제2 베이스부(211) 사이에 위치되고, 적어도 제1 설편부(112)의 후방 섹션과 제2 설편부(212)의 후방 섹션을 덮으며, 바람직하게는 내부 차폐 쉘(5)은 추가로 메이팅 캐비티(41)를 향하는 제1 베이스부(111)의 전방면 또는 메이팅 캐비티(41)를 향하는 제2 베이스부(211)의 전방면을 덮는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차폐 쉘(5)은 제1 베이스부(111)의 전방 섹션 또는 제2 베이스부(211)의 전방 섹션에 고정되고 외부 차폐 쉘(4)의 내면에 대해 접하는 고정 섹션(51)과 제1 설편부(112)의 후방 섹션과 제2 설편부(212)의 후방 섹션에 부착되어 이를 둘러싸는 연장 섹션(52)을 가짐으로써, 전자기 방사가 결합체(100)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내부 차폐 쉘(5)은 서로 조립된 2개의 금속판(53)을 갖는다. 2개의 금속판(53)은 각각 결합체(100)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되어, 각각 제1 절연 단편(11) 및 제2 절연 단편(21)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각 금속판(53)은 실질적으로 계단형이고, 제1 설편부(112)의 후방 섹션 또는 제2 설편부(212)의 후방 섹션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전방 연장판(531), 제1 베이스부(111)의 전방 섹션 또는 제2 베이스부(211)의 전방 섹션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후방 연장판(534), 전방 연장판(531)과 후방 연장판(534)을 접속하고 수직으로 연장하는 접속판(535), 전방 연장판(531)의 좌측 및 우측에 제공되는 2개의 고정 돌출 탭(536) 및 결합체(100)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2개의 접속 탄성 탭(537)을 갖는다. 각 전방 연장판(531)의 전방 단부는 안내 전방 에지(532)를 형성하고, 갭(533)이 각 안내 전방 에지(532)와 결합체(100) 사이에 형성되므로(도 7 및 도 8 참조), 메이팅 커넥터(7)가 메이팅 캐비티(41) 내로 삽입될 때, 안내 전방 에지(532)가 결합체(100)를 향해 약간 변위될 수 있으며, 이는 메이팅 커넥터(7)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결합체(100)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된 2개의 수용 그루브(102)는 각각 전방 연장판(531) 각각의 좌측 및 우측에 인접하게 있으며, 각 수용 그루브(102) 후방측은 수직으로 연장되고 제1 베이스부(111) 및 제2 베이스부(211)를 관통하는 채널(103)을 갖는다. 각각의 고정 돌출 탭(536)은 대응하는 전방 연장판(531)으로부터 연장되고, 인접한 수용 그루브(102)로 연장되고, 대응하는 채널(103)에 래칭되어 결합체(100)와 결합한다. 각 접속 탄성 탭(537)은 오목부(104)에 대응되게 수용되고, 각 접속 탄성 탭(537)의 단부는 외부 차폐 쉘(4)과 탄성적으로 결합하며, 접지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외부 차폐 쉘(4)을 통해 내부 차폐 쉘(5)을 접지시킨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300)가 메이팅 커넥터(7)와 메이팅되는 경우, 각각의 차폐 구성은 전자기 차폐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접지 회로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지 금속판(3)은 접지 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접지 금속판(3)의 후방측에 위치한 회로 보드(8)에 접속할 뿐만 아니라, 접지 금속판(3)의 좌측과 우측에 노출된 메이팅측 에지(31)를 통해 메이팅 커넥터(7)의 외부 쉘의 금속 탄성 암(미도시)에 접속하여, 다른 접지 회로를 형성하여 메이팅 커넥터(7)에 대한 접지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내부 차폐 쉘(5)은 접속 탄성 탭(537)을 통해 외부 차폐 쉘(4)을 접속하여 접지 회로를 형성하고, 메이팅 커넥터(7)가 삽입될 때 메이팅 커넥터(7)의 접지 탄성 탭(71)(도 9 참조)에 접속하여 다른 접지 회로를 형성하여, 내부 차폐 쉘(5) 및 외부 차폐 쉘(4)의 전자기 차폐 효과를 더욱 향상시킨다.
제1 실시예의 제1 단자 모듈(1)의 구성과 제2 단자 모듈(2)의 구성이 완전히 동일하므로, 상이한 조립 구성이 별도로 성형될 필요가 없으며, 단지 하나의 유형의 단자 모듈이 필요로 되는 한 제1 단자 모듈(1)과 제2 단자 모듈(2)이 조립되고 접지 금속판(3)을 개재시켜, 성형 프로세스 및 전체 구성의 복잡성을 현저하게 단순화시킨다는 것에 유념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또한, 우선 제1 단자(12)와 제2 단자(22)가 각각 제1 절연 단편(11)의 측면과 제2 절연 단편(21)의 측면에 매립되고 그 후 조립되어, 조립 프로세스의 곤란성과 조립 디바이스의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제1 단자 모듈(1)의 제1 단자(12)의 구성과 제2 단자 모듈(2)의 제2 단자(22)의 구성이 완전히 동일하고 180도 회전 대칭이므로, 메이팅 커넥터(7)가 적절한 방향 또는 거꾸로의 방향으로 전기 커넥터(300)에 삽입되든지 간에, 대응하는 메이팅 커넥터(7)가 전기 커넥터의 단자와 적절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제1 단자 모듈(1) 및 제2 단자 모듈(2)의 설계에 의해, 제1 단자(12)와 제2 단자(22)는 각각 제1 절연 단편(11)의 측면과 제2 절연 단편(21)의 측면에 우선 매립될 수 있고, 그 후 제1 단자 모듈(1) 및 제2 단자 모듈(2)이 조립되어 그 사이에 접지 금속판(3)을 개재시켜, 조립 프로세스의 곤란성 및 조립 디바이스의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접지 금속판(3)이 제1 단자(12)와 제2 단자(22) 사이에 제공되고, 내부 차폐 쉘(5)이 결합체(100)의 후방부에 위치되고, 외부 차폐 쉘(4)이 제1 설편부(112) 및 제2 설편부(212)를 둘러싸는 것에 의해, 더욱 양호한 전자기 차폐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전기 커넥터(300)의 전자기 차폐 구성이 복수의 접지 회로를 형성하고, 전체 차폐 구성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로 달성된다.
도 10 내지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제2 실시예가 제공된다. 전기 커넥터(300c)는 직각 커넥터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전기 커넥터(300c)는 메이팅 커넥터(7c)의 매팅(matting)을 위해 회로 보드(8c)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전기 커넥터(300c)는 절연체(10c), 복수의 단자(20c), 외부 차폐 쉘(4c), 내부 차폐 쉘(5c), 접지 금속판(3c) 및 납땜 레그 포지셔닝 부재(6c)를 포함한다.
절연체(10c)는 제1 절연 단편(11c)과 제2 절연 단편(21c)에 의해 조립되며, 본체(13c)와 본체(13c)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설편부(14c)를 갖는다. 본체(13c)는 더 넓은 상부면(131c), 더 넓은 하부면(132c), 2개의 측면(133c) 및 상부면(131c)과 하부면(132c)을 접속하는 전방면(134c)을 갖는다. 설편부(14c)는 본체(13c)에 접속된 베이스부(141c)와 베이스부(141c)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42c)를 갖는다. 설편부(14c)의 베이스부(141c)의 두께는 설편부(14c)의 연장부(142c)의 두께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에서, 제1 절연 단편(11c)은 제1 베이스부(111c)와 제1 베이스부(111c)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설편부(112c)를 포함하며; 제2 절연 단편(21c)은 제2 베이스부(211c)와 제2 베이스부(211c)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 설편부(212c)를 포함하고; 제1 설편부(112c)와 제2 설편부(212c)는 조립되어 절연체(10c)의 설편부(14c)를 형성하고, 제1 베이스부(111c)와 제2 베이스부(211c)는 조립되어 절연체(10c)의 본체(13c)를 형성한다.
도 18 및 도 19를 함께 참조하면, 단자(20c)는 절연체(10c)에 고정되고, 각 단자(20c)는 설편부(14c)의 연장부(142c)에서 외부로 노출된 접촉부(201c) 및 절연체(10c)의 본체(13c)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꼬리부(202c)를 갖는다. 상단의 단자(20c)의 접촉부(201c)는 설편부(14c)의 연장부(142c)의 상부면(143c) 상에 노출되고, 하단의 단자(20c)의 접촉부(201c)는 설편부(14c)의 연장부(142c)의 하부면(144c) 상에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단자(20c)는 상단과 하단으로 분할되며, 상단의 단자(20c)는 제1 절연 단편(11c)에 매립되고, 하단의 단자(20c)는 제2 절연 단편(21c)에 매립된다. 상단의 단자(20c)의 접촉부(201c)는 제1 설편부(112c)로부터 노출되고, 상단의 단자(20c)의 꼬리부(202c)는 제1 베이스부(111c)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하단의 단자(20c)의 접촉부(201c)는 제2 설편부(212c)로부터 노출되고, 하단의 단자(20c)의 꼬리부(202c)는 제2 베이스부(211c)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각 단의 단자(20c)는 전방으로 돌출된 4개의 단자(20c)와 4개의 단자(20c)에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8개의 단자(20c)를 포함한다. 전방으로 돌출하는 4개의 단자(20c)에서, 양측에 위치한 2개의 더 긴 단자(20c)가 접지에 사용되며 중간에 위치한 2개의 더 긴 단자(20c)는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8개의 더 짧은 단자(20c)는 2개의 고속 차동 신호 쌍, 중앙에 위치한 저속 차동 신호 쌍 및 2개의 제어 단자를 포함한다. 상단의 단자(20c)의 접촉부(201c)와 하단의 단자(20c)의 접촉부(201c)는 설편부(14c)에 대해 180도 대칭이어서, 메이팅 커넥터(7c)를 180도 반전시켜 전기 커넥터(300c)에 삽입되게 한다.
또한, 절연체(10c)와 단자(20c)의 조립된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결합체(100)와 동등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단의 단자(20c)와 제1 절연 단편(11c) 조립된 구성은 제1 실시예의 제1 단자 모듈(1)과 동등하며; 하단의 단자(20c)와 제2 절연 단편(21c)의 조립된 구성은 제1 실시예의 제2 단자 모듈(2)과 동등하다.
외부 차폐 쉘(4c)은 절연체(10c)와 결합되며, 메이팅 캐비티(41c)를 규정하기 위해 설편부(14c)의 외부 공간을 둘러싸고, 회로 보드(8c)에 고정되는 4개의 납땜 레그(42c)를 갖는다. 절연체(10c)의 전방면(134c)은 메이팅 캐비티(41c)에 직면한다.
내부 차폐 쉘(5c)은 설편부(14c)의 베이스부(141c), 상부면(131c), 하부면(132c) 및 본체(13c)의 전방면(134c)을 덮고, 내부 차폐 쉘(5c)을 위치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 돌출 탭(536c, 538c)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내부 차폐 쉘(5c)은 제1 금속판(54c) 및 제2 금속판(55c)을 포함한다. 제1 금속판(54c)은 베이스부(141c)를 덮는 전방 연장판(531c), 전방 연장판(531c)의 후단으로부터 수직으로 굴곡되어 연장하는 접속판(535c), 및 접속판(535c)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으로 후방으로 연장하는 후방 연장판(534c)을 갖는다. 제2 금속판(55c)은 베이스부(141c)를 덮는 전방 연장판(531c), 전방 연장판(531c)의 후단으로부터 수직으로 굴곡되고 연장하는 접속판(535c), 및 접속판(535c)의 하방 에지로부터 수평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연장판(534c)을 갖는다. 2개의 전방 연장판(531c)은 각각 설편부(14c)의 베이스부(141c)의 상측 및 하측을 덮고, 2개의 접속판(535c)은 본체(13c)의 전방면(134c)을 덮고, 2개의 후방 연장판(534c)은 각각 본체(13c)의 상부면(131c)과 하부면(132c)을 덮는다. 즉, 제1 금속판(54c) 및 제2 금속판(55c)은 함께 설편부(14c)의 베이스부(141c)의 상측 및 하측을 덮으며, 즉, 내부 차폐 쉘(5c)은 그 내부에 단자(20c)를 둘러싸기 위해 설편부(14c)의 베이스부(141c)를 덮고, 내부 차폐 쉘(5c)과 각 단자(20c) 사이에 갭이 존재한다. 일부 단순화된 실시예(미도시)에서, 내부 차폐 쉘(5c)은 또한 설편부(14c)의 베이스부(141c)만을 덮거나, 설편부(14c)의 베이스부(141c)와 본체(13c)의 전방면(134c)만을 덮도록 제공될 수 있어, 접지 차폐 효과를 어느 정도 달성하고, 메이팅 캐비티(41c)의 전자기 방사가 절연체(10c)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누설되어 단자(20c)의 꼬리부(202c)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여, 단자(20c)의 신호 송신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전기 커넥터(300c)의 외측으로 전자기 방사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이 달성된다.
절연체(10c)는 설편부(14c)의 베이스부(141c)의 두 측면에 인접하고 수직으로 연장하는 2개의 채널(135c), 각각 상부면(131c) 및 하부면(132c)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래치 그루브(136c), 및 상부면(131c) 상에 형성된 2개의 수용 오목부(137c)를 추가로 갖는다. 일부 동등한 실시예에서, 2개의 채널의 후방 단부는 본체(13c)의 전방 또는 본체(13c)와 설편부(14c) 사이의 또는 조인트(미도시)에서 종료되며, 4개의 고정 돌출 탭(536c)은 각각 2개의 전방 연장판(531c)의 2개의 횡방향 측에 형성되고, 대응하는 채널(135c)에 삽입 및 래칭되어, 2개의 전방 연장판(531c)을 고정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2개의 채널(135c)은 추가로 미리 정해진 깊이로 절연체(10c)의 본체(13c)로 후방으로 연장하고, 수직으로 본체(13c)를 관통하며; 4개의 고정 돌출 탭(536c) 후방 부분은 본체(13c)에 의해 채널(135c)에 래칭되도록 본체(13c)에 형성된 채널(135c)로 삽입되어, 4개의 고정 돌출 탭(536c)이 외부로 확장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바람직하게는, 4개의 고정 돌출 탭(538c)은 제1 금속판(54c) 및 제2 금속판(55c)의 고정을 강화하도록, 2개의 후방 연장판(534c)의 2개의 횡방향 측 상에 각각 형성되어 대응하는 래치 그루브(136c)를 삽입 및 래칭하며; 나머지 2개의 납땜 레그(59c)는 제2 금속판(55c)의 접속판(535c) 및 후방 연장판(534c)에 형성되고, 각각의 납땜 레그(59c)는 전방 연장판(531c)으로부터 외부 차폐 쉘(4c)을 향해 외부로 연장되고, 외부 차폐 쉘(4c)은 대응하는 납땜 레그(59c)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대응하는 개구(43c)를 갖고 있어, 접지 효과를 형성하고 고정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개구(43c)에 대응하는 납땜 레그(59c)를 회로 보드(8)에 납땜되게 한다(도 20, 도 21 참조). 제1 금속판(54c)은 추가로 접속판(535c)과 후방 연장판(534c)에 형성된 탄성 2개의 접속 탄성 탭(537c)을 갖고, 2개의 접속 탄성 탭(537c)은 전방 연장판(531c)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외부 차폐 쉘(4c)에 접촉하여(도 21 참조), 내부 차폐 쉘(5c)과 외부 차폐 쉘(4c)이 접지 및 보조 고정 효과를 형성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차폐 쉘(5c)의 전방 에지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arc) 안내부를 갖고, 설편부(14c)는 추가로 안내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채널을 갖고, 각 안내부의 전방 단부 에지와 각 수용 채널 사이에 갭이 존재하여, 안내부를 수용 채널로 약간 변위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 금속판(54c)은 추가로 전방 연장판(531c)의 전방 에지에 형성되고 아크 형태를 갖는 안내 전방 에지(532c)를 갖고, 제2 금속판(55c)은 추가로 전방 연장판(531c)의 전방 에지에 형성되고 아크 형태를 갖는 안내 전방 에지(532c)를 갖는다. 각각 2개의 안내 전방 에지(532c)를 수용하도록, 설편부(14c)는 추가로 베이스부(141c)의 상부면(143c) 및 하부면(144c)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수용 채널(145c)(도 21 참조)을 갖는다. 메이팅 커넥터(7c)(도 10 참조)와 전기 커넥터(300c)의 메이팅 프로세스 중에, 2개의 안내 전방 에지(532c)가 메이팅 커넥터(7c)의 메이팅 전방 에지(73c)를 지체 없이 용이하게 통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메이팅 커넥터(7c)가 전기 커넥터(300c)와 메이팅된 후에, 메이팅 커넥터(7c)의 복수의 상부 접지 탄성 탭(71c)과 복수의 하부 접지 탄성 탭(71c)이 접지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내부 차폐 쉘(5c)의 2개의 전방 연장판(531)과 접촉 및 메이팅할 수 있어, 제1 접지 차폐 구성을 형성하여 전자기 방사가 절연체(10c)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외부 차폐 쉘(4c)은 메이팅 커넥터(7c)의 차폐 외부 쉘(72c)에 접촉하여 제2 접지 차폐 구성을 형성함으로써, 메이팅 캐비티(41c)의 외부 공간에 대한 전체 포위 및 차폐 효과를 효과적으로 달성한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접지 금속판(3c)은 제1 절연 단편(11c)과 제2 절연 단편(21c) 사이에 개재된다. 접지 금속판(3c)은 상단의 단자(20c)와 하단의 단자(20c) 사이에 위치되는 판이며, 제1 차폐부(33c)와 제1 차폐부(33c)로부터 연장되는 제2 차폐부(35c), 및 제1 차폐부(33c)로부터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절연체(10c)로부터 연장되고 제2 차폐부(35c)의 2개의 측 사이에 위치되는 2개의 접지 레그(36c)를 포함한다. 제1 차폐부(33c)는 절연체(10c)에 고정되고, 제2 차폐부(35c)와 단자(20c)의 꼬리부(202c)는 같은 방향을 따라 절연체(10c)로부터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2 차폐부(35c)는 접지 금속판(3c)의 제1 차폐부(33c)의 후방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굴곡되고 수직으로 연장됨으로써 형성되고, 상단의 단자(20c)의 꼬리부(202c)와 하단의 단자(20c)의 꼬리부(202c) 사이에서 횡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실시예에서, 제2 절연 단편(21c)은 복수의 고정 돌출 포스트(116c)를 갖고, 제1 절연 단편(11c)은 각각 고정 돌출 포스트(116c)와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홀(117c)을 갖고, 접지 금속판(3c)은 대응하는 고정 돌출 포스트(116c)의 관통을 위해 제1 차폐부(33c)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32c)을 갖는다. 물론, 동등한 실시예에서, 제1 절연 단편(11c)이 복수의 고정 돌출 포스트를 가질 수 있고, 제2 절연 단편(21c)이 복수의 고정홀을 가질 수 있다. 접지 금속판(3c)은 설편부(14c)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상단의 단자(20c)와 하단의 단자(20c) 사이의 신호 송신 중의 고주파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제2 차폐부(35c)는 상단의 단자(20c)의 꼬리부(202c)와 하단의 단자(20c)의 꼬리부(202c) 사이에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접지 레그(36c)의 접지에 의해 단자(20c)의 차폐 효과를 추가로 개선하고 그 전기적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설편부(14c)는 추가로 연장부(142c)의 2개의 측으로부터 각각 퇴피되는 2개의 래칭부(146c)를 갖고, 접지 금속판(3c)의 측면 에지의 부분이 각각 이러한 래칭부(146c)로부터 노출되므로, 메이팅 커넥터(7c)의 래칭 탄성 탭(미도시)이, 메이팅 커넥터(7c)와 전기 커넥터(300c)가 메이팅될 때 대응하는 래칭부(146c)에 래칭될 수 있고 접지 금속판(3c)에 접촉할 수 있으며, 메이팅 커넥터(7c)는 접지 금속판(3c)의 접지 레그(36c)를 통해 접지되고, 메이팅 커넥터(7c)의 더욱 양호한 접지 효과가 달성된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절연체(10c)의 납땜 레그 포지셔닝 부재(6c)와 본체(13c)가 함께 결합되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납땜 레그 포지셔닝 부재(6c)는 제2 절연 단편(21c)의 후방측에 결합되고 제1 절연 단편(11c)의 아래에 배치되고, 제2 절연 단편(21c) 상의 제한 그루브(118c)와 결합하도록 납땜 레그 포지셔닝 부재(6c)의 2개의 측으로부터 각각 돌출 2개의 래칭 블록(61c)과, 접지 금속판(3c)의 접지 레그(36c)와 단자(20c)의 꼬리부(202c)를 관통하고 이를 위치시키기 위해 수직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포지셔닝 홀(62c, 63c)을 가져, 꼬리부(202c)와 접지 레그(36c)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에서, 하단의 단자(20c)의 꼬리부(202c)는 직선으로, 수직으로 그리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납땜을 통해 사용되는 납땜 레그를 형성한다. 상단의 단자(20c)의 꼬리부(202c)의 각각은 굴곡되어 표면 납땜에 사용되는 납땜 레그를 형성하고, 하단의 단자(20c)의 꼬리부(202c) 뒤에 위치되고, 후단의 납땜 레그 포지셔닝 부재(6c)의 포지셔닝 홀(63c)은 추가로 상단의 단자(20c)의 꼬리부(202c)의 통과를 위해 납땜 레그 포지셔닝 부재(6c)의 후방 측면을 관통한다. 또한, 납땜 레그 포지셔닝 부재(6c)는 추가로 접지 금속판(3c)의 제2 차폐부(35c)의 단부를 대응되게 수용하는 포지셔닝 오목부(64c)를 갖고(도 22 참조), 포지셔닝 오목부(64c)는 상단의 대응 단자(20c)를 수용하는 포지셔닝 홀(63c)과 하단의 대응 단자(20c)를 수용하는 포지셔닝 홀(62c) 사이에 위치된다.
도 19 및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제1 절연 단편(11c)은 제2 절연 단편(21c)에 대해 더 후방으로 돌출되며, 단자 이격부(15c)는 제2 절연 단편(21c)에 대해 더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 절연 단편(11c)의 부분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접지 금속판(3c)의 후방 부분에는 단자 이격부(15c)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34c)가 제공된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단자 이격부(15c)는 단자(20c)의 꼬리부(202c)가 회로 보드(8c)에 장착될 때 단자(20c)의 꼬리부(202c)가 상방으로 굴곡되고 변형되어 접지 금속판(3c)에 접촉되어 단락 회로를 야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단자(20c)에 대해 더 후방으로 돌출하는, 중간에 위치된 하단의 2개의 단자(20c)의 꼬리부(202c)에 대해 접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300c)는 설편부(14c)의 강도를 높이고 접지 금속판(3c)을 통해 단자(20c)의 신호 송신 중의 고주파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키고, 제2 차폐부(35c)가 상단의 단자(20c)의 꼬리부(202c)와 하단의 단자(20c)의 꼬리부(202c) 사이에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차폐 효과를 더욱 증가시키고 및 전기적 성능을 향상시키고 접지 차폐 효과를 더욱 증가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 또한, 절연체(10c)는 제1 절연 단편(11c) 및 제2 절연 단편(21c)에 의해 조립된 후, 추가로 접지 금속판(3c)의 접지 레그(36c)와 단자(20c)의 꼬리부(202c)의 관통 및 포지셔닝을 위해 납땜 레그 포지셔닝 부재(6c)와 조립되므로, 절연 컴포넌트가 3개의 서브컴포넌트에 의해 조립되며, 이는 전기 커넥터(300c)의 소형화에 유리하며, 전기 커넥터(300c)의 제조 및 조립을 더욱 용이하게 만든다.
그러나, 상술한 것은 단지 본 발명의 유일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구현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즉 본 발명의 청구항 및 설명 내용에 따라 이루어지는 단순한 동등한 변형 및 수정은 여전히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3)

  1. 다른 메이팅(mating) 커넥터와 메이팅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로서,
    결합체;
    제1 단자 모듈과 제2 단자 모듈 사이에 개재된 접지 금속판;
    제1 설편부의 외부 공간 및 제2 설편부의 외부 공간을 둘러싸고,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삽입을 위한 메이팅 캐비티를 형성하는 외부 차폐 쉘; 및
    상기 결합체에 제공되어 상기 외부 차폐 쉘과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 사이에 위치되고, 적어도 상기 제1 설편부 및 상기 제2 설편부의 후방 섹션을 덮고, 상기 외부 차폐쉘을 접속하여 접지 회로를 형성하는 내부 차폐 쉘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체는,
    제1 절연 단편과 상기 제1 절연 단편에 고정된 복수의 제1 단자들을 갖는 상기 제1 단자 모듈로서, 상기 제1 절연 단편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로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1 설편부를 갖고, 상기 제1 설편부는 서로 대향하는 제1 결합면과 제1 메이팅면을 갖고, 각각의 제1 단자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메이팅면 상에 노출된 제1 메이팅부를 형성하고, 각각의 제1 단자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제1 납땜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단자 모듈; 및
    상기 제1 절연 단편과 조립되는 제2 절연 단편과 상기 제2 절연 단편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2 단자들을 갖는 제2 단자 모듈로서, 상기 제2 절연 단편은 상기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 설편부를 갖고, 제2 설편부는 상기 제1 결합면에 직면하는 제2 결합면과 상기 제2 결합면에 대향하는 제2 메이팅면을 갖고, 각각의 제2 단자의 일단부는 상기 제2 베이스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메이팅면 상에 노출된 제2 메이팅부를 형성하고, 각각의 제2 단자의 타단부는 상기 제2 베이스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제2 납땜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2 단자 모듈을 갖는, 전기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단편은 상기 제2 절연 단편에 직면하는 표면 상에 적어도 제1 고정 메커니즘을 더 갖고; 상기 제2 절연 단편에는 상기 제1 고정 메커니즘과 협업하고 이에 고정되는 제2 고정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전기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지 금속판은 적어도 상기 제1 고정 메커니즘에 대응하는 관통홀 및 상기 제2 고정 메커니즘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 메커니즘 및 상기 제2 고정 메커니즘은 각각 서로 협업하는 고정 돌출 포스트 및 고정홀이고, 상기 제1 고정 메커니즘은 상기 접지 금속판의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고정 메커니즘과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지 금속판의 2개의 대향면들은 각각 상기 제1 설편부의 상기 제1 결합면과 상기 제2 설편부의 상기 제2 결합면에 부착되고, 상기 접지 금속판에는 상기 제1 설편부와 상기 제2 설편부로부터 각각 노출된 2개의 메이팅측 에지들이 제공되는, 전기 커넥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모듈의 구성 및 상기 제2 단자 모듈의 구성은 동일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의 구성은 180도 회전 대칭을 이루며, 고정 레그가 상기 제1 절연 단편 및 상기 제2 절연 단편의 각각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모듈은 상기 제2 단자 모듈의 위쪽에 제공되고, 적어도 고정 레그가 상기 제2 절연 단편의 상기 제2 베이스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2 단자 모듈에 고정된 납땜 레그 포지셔닝 부재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납땜 레그 포지셔닝 홀들이 상기 제1 납땜부와 상기 제2 납땜부의 관통 및 포지셔닝을 위해 상기 납땜 레그 포지셔닝 부재 상에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차폐 쉘은 고정 섹션과 연장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섹션은 상기 외부 차폐 쉘의 내면에 대해 접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 또는 상기 제2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상기 연장 섹션은 상기 제1 설편부 및 상기 제2 설편부의 후방 섹션을 덮는, 전기 커넥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차폐 쉘은 상기 제1 절연 단편과 상기 제2 절연 단편 상에 각각 부착되는 2개의 금속판들을 포함하고; 각 금속판은 상기 제1 설편부의 후방 섹션 또는 상기 제2 설편부의 후방 섹션 상에 부착되는 전방 연장판, 대응하는 상기 제1 베이스부 또는 대응하는 상기 제2 베이스부 상에 부착되는 후방 연장판 및 상기 전방 연장판 및 상기 후방 연장판에 수직인 접속판을 갖는, 전기 커넥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전방 연장판의 전방 단부는 안내 전방 에지를 형성하고; 갭이 각각의 상기 안내 전방 에지와 각각의 상기 결합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 전방 에지가 상기 결합체를 향해 약간 변위될 수 있게 하는, 전기 커넥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의 2개의 측면들이 추가로 상기 전방 연장판의 2개의 측면들에 각각 인접한 2개의 수용 그루브들로 형성되고, 각각의 수용 그루브의 후방측은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를 관통하는 채널을 갖고; 각각의 금속판은 추가로 대응하는 상기 전방 연장판의 2개의 측면들에 제공되는 2개의 고정 돌출 탭들을 갖고, 각각의 고정 돌출 탭은 대응하는 상기 전방 연장판으로부터 인접하는 상기 수용 그루브로 연장되고 대응하는 상기 채널에 래칭되는, 전기 커넥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금속판은 적어도 상기 결합체로부터 멀어지며 연장되는 접속 탄성 탭을 더 갖고, 각각의 상기 접속 탄성 탭은 상기 외부 차폐 쉘과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
  14. 다른 메이팅 커넥터와 메이팅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로서,
    결합체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설편부를 갖는 절연체; 및 상단 및 하단으로 분할되고 상기 절연체에 고정되는 복수의 단자들로서, 각각의 단자는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절연체로부터 연장되는 꼬리부 및 상기 설편부로부터 노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의 단자들의 접촉부들은 상기 설편부의 상부면 상에 노출되고, 상기 하단의 단자들의 접촉부들은 상기 설편부의 하부면 상에 노출되는, 상기 결합체;
    상기 결합체에 고정되고, 상기 상단의 단자들과 상기 하단의 단자들 사이에 위치되는 판인 접지 금속판;
    상기 절연체와 결합되고 상기 설편부의 외부 공간을 둘러싸서 메이팅 캐비티를 규정하는 외부 차폐 쉘; 및
    상기 외부 차폐 쉘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체의 표면 상에 제공되는 내부 차폐 쉘로서, 상기 내부 차폐 쉘은 상부 금속판 및 하부 금속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금속판은 상기 결합체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접속 탄성 탭을 적어도 갖고, 상기 접속 탄성 탭은 상기 외부 차폐 쉘에 접속되는, 상기 내부 차폐 쉘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속판은 상기 결합체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접속 탄성 탭을 적어도 갖고, 상기 접속 탄성 탭은 상기 외부 차폐 쉘에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속판은 상기 결합체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납땜 레그를 적어도 갖고, 상기 납땜 레그는 상기 외부 차폐 쉘로부터 연장되고 접지를 달성하기 위해 대응하는 회로 보드에 납땜되는, 전기 커넥터.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접지 금속판은 제1 차폐부와 상기 제1 차폐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폐부는 상기 절연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차폐부와 상기 단자들의 꼬리부들은 동일 방향을 따라 상기 절연체로부터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차폐 쉘은 접지를 달성하기 위해 회로 보드에 납땜되는 납땜 레그를 적어도 가는, 전기 커넥터.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제1 절연 단편과 제2 절연 단편에 의해 조립되고, 상기 상단의 단자들은 상기 제1 절연 단편에 매립되고, 상기 하단의 단자들은 상기 제2 절연 단편에 매립되고, 상기 접지 금속판은 상기 제1 절연 단편과 상기 제2 절연 단편 사이에 개재되는, 전기 커넥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단편은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설편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의 단자들의 접촉부들은 상기 제1 설편부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제2 절연 단편은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 설편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의 단자들의 접촉부들은 상기 제2 설편부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제1 설편부 및 상기 제2 설편부는 조립되어 상기 절연체의 설편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는 조립되어 상기 절연체의 본체를 형성하는, 전기 커넥터.
  21. 다른 메이팅(mating) 커넥터와 메이팅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로서,
    결합체;
    제1 단자 모듈과 제2 단자 모듈 사이에 개재된 접지 금속판;
    제1 설편부의 외부 공간 및 제2 설편부의 외부 공간을 둘러싸고,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삽입을 위한 메이팅 캐비티를 형성하는 외부 차폐 쉘; 및
    상기 외부 차폐 쉘과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 사이에 위치되고 적어도 상기 제1 설편부 및 상기 제2 설편부의 후방 섹션을 덮는 내부 차폐쉘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체는,
    제1 절연 단편과 상기 제1 절연 단편에 고정된 복수의 제1 단자들을 갖는 상기 제1 단자 모듈로서, 상기 제1 절연 단편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로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1 설편부를 갖는 상기 제1 단자 모듈;
    상기 제1 절연 단편과 조립되는 제2 절연 단편과 상기 제2 절연 단편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2 단자들을 갖는 제2 단자 모듈로서, 상기 제2 절연 단편은 상기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2 설편부를 갖는 상기 제2 단자 모듈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모듈의 구성은 상기 제2 단자 모듈의 구성과 동일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의 구성은 180도 회전 대칭을 이루는, 전기 커넥터.
  23. 다른 메이팅(mating) 커넥터와 메이팅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로서,
    결합체;
    상기 결합체에 고정되고, 상단의 단자들과 하단의 단자들 사이에 위치되는 판인 접지 금속판;
    절연체와 결합되고 설편부의 외부 공간을 둘러싸서 메이팅 캐비티를 규정하는 외부 차폐 쉘; 및
    상기 외부 차폐 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체의 표면에 제공되는 내부 차폐 쉘로서, 상기 내부 차폐 쉘은 상부 금속 판과 하부 금속 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금속 판은 상기 결합체로부터 멀어지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탄성 탭을 더 갖고, 상기 접속 탄성 탭은 상기 외부 차폐 쉘과 결합되는, 내부 차페 쉘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체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설편부를 갖는 절연체; 및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되어 상기 절연체에 고정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67036433A 2014-05-30 2015-05-29 전기 커넥터 Active KR101891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20288762.1 2014-05-30
CN201420289128.XU CN203859275U (zh) 2014-05-30 2014-05-30 电连接器
CN201420288762.1U CN203859322U (zh) 2014-05-30 2014-05-30 电连接器
CN201420289128.X 2014-05-30
PCT/IB2015/001211 WO2015181629A2 (zh) 2014-05-30 2015-05-29 电连接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141A KR20170005141A (ko) 2017-01-11
KR101891021B1 true KR101891021B1 (ko) 2018-09-28

Family

ID=54699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433A Active KR101891021B1 (ko) 2014-05-30 2015-05-29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08811B2 (ko)
JP (2) JP6295346B2 (ko)
KR (1) KR101891021B1 (ko)
WO (1) WO201518162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243363U (zh) * 2014-02-21 2015-04-01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JP6935198B2 (ja) * 2014-06-24 2021-09-15 周賢 蔡 エレクトリックコネクター
JP6265852B2 (ja) * 2014-07-08 2018-01-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5449401B (zh) 2014-08-08 2019-02-05 莫列斯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JP5905977B1 (ja) 2015-01-29 2016-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製造方法およびコネクタ
CN105337108B (zh) 2015-08-12 2018-02-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5322383B (zh) 2015-08-13 2018-08-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6231533B2 (ja) * 2015-11-09 2017-11-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6583961B2 (ja) 2015-12-18 2019-10-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5655787B (zh) 2016-01-18 2019-06-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107293890A (zh) * 2016-04-11 2017-10-24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CN108075276B (zh) * 2016-11-11 2020-01-0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和连接器组件
CN206283050U (zh) * 2016-11-23 2017-06-2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6532959U (zh) * 2016-12-08 2017-09-29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JP6833524B2 (ja) * 2017-01-13 2021-02-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実装用のコネクタ
JP6840636B2 (ja) * 2017-07-19 2021-03-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DE102017212602A1 (de) * 2017-07-21 2019-01-24 Robert Bosch Gmbh Steuergerät und elektrische Verbindungsanordnung
TWM556031U (zh) * 2017-09-05 2018-02-21 正崴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防水連接器
CN108110438B (zh) * 2017-11-28 2024-01-16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TWM564839U (zh) * 2018-02-14 2018-08-01 英豪科技股份有限公司 連接器
CN112005448B (zh) * 2018-05-22 2022-09-23 欧姆龙株式会社 探针销
JP7265418B2 (ja) * 2019-05-31 2023-04-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788022B1 (ko) * 2019-10-18 2025-03-31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전기 커넥터 및 전자 디바이스
JP7372531B2 (ja) * 2019-10-18 2023-11-0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子デバイス
CN113036498B (zh) 2019-12-09 2023-04-11 东莞立德精密工业有限公司 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113193436B (zh) * 2020-01-10 2022-07-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USD997881S1 (en) * 2020-04-09 2023-09-05 Ls Mtron Ltd. Shell for a USB receptacle connector
TWI763001B (zh) * 2020-06-17 2022-05-0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可傳輸複數組資料流之訊號傳輸裝置
KR20220142200A (ko) * 2021-04-14 2022-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셉터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17215360U (zh) * 2021-12-27 2022-08-16 安费诺商用电子产品(成都)有限公司 卡边缘连接器
US20230378675A1 (en) * 2022-05-18 2023-11-23 Amphenol East Asia Electronic Technology (Shen Zhen) Co., Ltd. Usb type-c female connector
CN218498499U (zh) * 2022-06-14 2023-02-17 东莞富强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
EP4404398A1 (en) 2023-01-20 2024-07-24 Koninklijke Philips N.V. Conn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0124A1 (en) * 2009-02-16 2010-08-19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terminal having tail portion interconnected to metallic shell surrounding the connector
US20110159747A1 (en) * 2009-12-31 2011-06-3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mating interface configured by composite tongue member
US20130316581A1 (en) * 2012-05-24 2013-11-2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portions in specific arrangement and a grounding plate for excellent high-frequency characteristics
US20130330976A1 (en) * 2012-06-10 2013-12-12 Apple Inc. Dual connector having ground planes in tongue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89211C (en) 1986-11-18 1991-09-17 Timothy A. Lemke Terminator for multiple electrical conductors
TW387624U (en) * 1998-12-22 2000-04-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card connector
WO2003012928A1 (en) 2001-08-01 2003-02-1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nsert molded terminal modules
US6743047B2 (en) 2002-10-23 2004-06-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rear ground plate
TW563950U (en) * 2002-12-25 2003-11-21 Hon Hai Prec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WO2006013553A2 (en) 2004-08-02 2006-02-09 M-Systems Flash Disk Pioneers Ltd. Reversible universal serial bus (usb) device and connector
JP3109294U (ja) 2004-12-13 2005-05-19 正▲うえ▼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シールドを具えたコネクタ
US7473136B2 (en) * 2007-01-22 2009-01-0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M330651U (en) 2007-11-16 2008-04-11 Wonten Technology Co Ltd Electric connector
WO2009069969A2 (en) 2007-11-30 2009-06-04 Moon Key Lee A type symmetric usb receptacle
CN201252259Y (zh) * 2008-07-24 2009-06-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M357080U (en) 2008-12-24 2009-05-11 Advanced Connectek Inc Socket connector
TWM367498U (en) * 2009-04-20 2009-10-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201430237Y (zh) 2009-04-22 2010-03-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10267503A (ja) * 2009-05-15 2010-11-25 Hosiden Corp コネクタ
KR101666868B1 (ko) 2009-12-29 2016-10-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유에스비이 소켓
MX2012013857A (es) 2010-05-28 2013-01-24 Apple Inc Conector de orientacion dual con contactos externos.
US8388380B1 (en) * 2011-10-20 2013-03-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Waterproof connector with board-mounted soldering plate for improved sealing
US8708745B2 (en) 2011-11-07 2014-04-29 Apple Inc. Dual orientation electronic connector
US8460036B1 (en) * 2012-02-14 2013-06-11 U.D. Electronic Corp. Electrical connector
US9252542B2 (en) * 2012-05-24 2016-02-02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plate thereof
US9203176B2 (en) 2012-07-20 2015-12-01 Advanced-Connetek Inc. Plug connector
TWM447609U (zh) * 2012-07-20 2013-02-21 Speedtech Corp 傳輸高頻訊號之高密度連接器結構
JP5696695B2 (ja) * 2012-08-02 2015-04-08 Smk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TWI593199B (zh) * 2013-01-08 2017-07-21 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US8851927B2 (en) * 2013-02-02 2014-10-07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and grounding features thereof
US9022800B2 (en) * 2013-05-23 2015-05-05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heat-dissipation feauter thereof
CN203367652U (zh) * 2013-05-31 2013-12-2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堆叠电连接器
CN203445352U (zh) 2013-06-28 2014-02-1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0124A1 (en) * 2009-02-16 2010-08-19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terminal having tail portion interconnected to metallic shell surrounding the connector
US20110159747A1 (en) * 2009-12-31 2011-06-3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mating interface configured by composite tongue member
US8475216B2 (en) 2009-12-31 2013-07-02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mating interface configured by composite tongue member
US20130316581A1 (en) * 2012-05-24 2013-11-2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portions in specific arrangement and a grounding plate for excellent high-frequency characteristics
US8684769B2 (en) 2012-05-24 2014-04-0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portions in specific arrangement and a grounding plate for excellent high-frequency characteristics
US20130330976A1 (en) * 2012-06-10 2013-12-12 Apple Inc. Dual connector having ground planes in tong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95346B2 (ja) 2018-03-14
JP6480613B2 (ja) 2019-03-13
US10008811B2 (en) 2018-06-26
JP2017517118A (ja) 2017-06-22
WO2015181629A3 (zh) 2016-04-07
KR20170005141A (ko) 2017-01-11
JP2018085348A (ja) 2018-05-31
WO2015181629A2 (zh) 2015-12-03
US20170271820A1 (en)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021B1 (ko) 전기 커넥터
JP6386159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合せ
KR101899232B1 (ko) 전기 커넥터
CA2866434C (en) Differential signal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skew between a differential signal pair
US9466930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843148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02706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347962B1 (en) Connector assembly with multi-contact ground shields
US710855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member
US20140302709A1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CN108232691B (zh) 双屏蔽高速对接连接器
TW201535875A (zh) 插頭連接器及與之對接的插座連接器
WO2015181625A2 (zh) 电连接器
US10826255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JP2014232595A (ja) 同軸コネクタ
KR20030052993A (ko) 실드형 커넥터
TWM521821U (zh) 電連接器
JP3801448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組立体
JP4976103B2 (ja) コネクタ
US1074930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ealing member formed after mounting upon printed circuit board
TWI558003B (zh)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combination
JP3202707U (ja) コネクタ及びその端子
JP2023008309A (ja) コネクタ付き基板
TWM496874U (zh) 電連接器
US20250079771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improved sh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