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905B1 - Apparatus and method for railroad rail reinforce of sleeper clamping typ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railroad rail reinforce of sleeper clamping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0905B1 KR101890905B1 KR1020170146018A KR20170146018A KR101890905B1 KR 101890905 B1 KR101890905 B1 KR 101890905B1 KR 1020170146018 A KR1020170146018 A KR 1020170146018A KR 20170146018 A KR20170146018 A KR 20170146018A KR 101890905 B1 KR101890905 B1 KR 1018909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sleeper
- railway
- support portion
- clamp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6/00—Tracks or track components not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의 보강장치는, 지반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침목; 상기 복수의 침목들 양측 상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철도 레일; 상기 한 쌍의 철도 레일 사이에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종 보강대; 및 상기 종 보강대를 침목의 중간 단에 직접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지지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 지지구는, 상기 침목과 동일 수직 선상에서 상기 종 보강대를 감싸서 덮는 클램프 유닛과, 상기 클램프 유닛과 상기 침목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침목의 측면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수직 지지부와, 상기 침목의 저면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수평 지지부로 구성되고,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의 보강방법은, 복수의 침목들 중간 부위 상단에 한 쌍의 철도 레일과 나란한 방향으로 종 보강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종 보강대를 덮도록 클램프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클램프 유닛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상기 결합부재의 수직 지지부를 삽입시켜서 너트와 체결시킴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의 수평 지지부가 상기 침목의 저부와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ment device and a reinforcing method for a railway rail fastening type railroad rail, A pair of rail rails fixedly installed side by sid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treads; A longitudinal bar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air of rail rails; And a fixing support for directly fixing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member to the middle end of the sleeper, wherein the fixing support includes: a clamp unit which covers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member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sleeper, Wherein the joining member is composed of a vertical support portion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sleeper and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leeper, Disposing a longitudinal bar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pair of rail rails at the top of the middle of the plurality of treads; Placing the clamp unit so as to cover the longitudinal bar; And a vertical supporting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is 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holes formed at the respective corners of the clamp unit to be engaged with the nut so that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is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of the sleep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레일의 주변 시설물 공사에 따라 철도 레일이 변형되거나 또는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도 레일 상에 설치되는 보강대를 침목에 직접 체결하는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apparatus and a reinforcing method for a railway ra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inforcing apparatus and a reinforcing method for a railway r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device and a reinforcing method of a railway rail fastening type that is directly fastened to a railroad tie.
일반적으로, 철도 레일은 지반의 상부에 복수 개의 침목을 나란하게 설치하고, 그 상부에 한 쌍의 철도 레일을 나란하게 설치함으로써, 철도 차량이 철도 레일을 따라 주행하게 될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Generally, railway rails are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a plurality of treads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and a pair of railway rails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so that the railway car can absorb the shock when traveling along the railway rail. .
따라서, 한 쌍의 철도 레일은 항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데, 철도 레일의 주변에서 다른 시설물들의 공사를 수행할 경우, 철도 레일을 지지하는 지반이 약화되어 철도 레일이 변형되거나 또는 침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철도 차량이 철도 레일로부터 탈선하게 되어 큰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Therefore, the pair of rail rails should be kept at the same interval at all times. When the construction of other facilities around the rail rails is performed, the ground supporting the rail rails is weakened and the rail rails are deformed or settled The railway vehicle derailed from the railway railway, causing a serious accident.
즉, 철도 레일의 하부를 가로지르는 수로나, 케이블박스 등의 설치, 또는 철도 레일 주변의 지하 터널 공사, 또는 철도 레일 주변의 건축물 신축 등의 공사를 수행함에 따라 철도 레일을 지지하는 지반이 약화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That is, the ground supporting the railway rail is weakened by performing the construction such as the waterway crossing the lower part of the railway, the cable box, the underground tunnel work around the railway railway, or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around the railway railway The above-described problems may occu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667584호의 ‘연약지반 철도 보강을 위한 방석침목구조’와, 한국등록특허 제10-1297713호의 ‘철도 레일 보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 등이 개시되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No. 10-0667584 entitled " Cushion Sleeper Structure for Reinforcing a Soft Ground Railroad ", Korean Patent No. 10-1297713 " Railway Reinforc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struction "
이들 등록특허 중, 제10-1297713호의 ‘철도 레일 보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mong these registered patents, the 'railway rail reinforc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struction' of No. 10-129771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s follows.
도 1은 종래의 철도 레일 보강장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며, 도 3a는 철도 레일 보강을 위하여 침목들 사이에 별도로 추가 배치되는 횡 보강대에 철도 레일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횡 보강대에 철도 레일이 배제된 상태의 평면도이다.FIG. 1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of FIG. 1, and FIG. 3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ailway rail is installed on a transverse reel that is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reads for reinforcement of a railway rail Fig. 3B is a plan view of the transverse rib shown in Fig. 3A, in which the railway rail is excluded.
또한, 도 4는 도 2에서 횡 보강대 부분의 횡 단면 구성도이고, 도 5는 횡 보강대가 U자형 볼트에 의해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Fig. 4 is a transverse sectional view of the transverse rib in Fig. 2,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verse rib is bound by a U-shaped bolt.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철도 레일의 보강장치(10)는, 복수의 침목(20)들 상부의 양 측에 나란한 방향으로 한 쌍의 철도 레일(40)이 설치되고, 복수의 침목(20)들 상부의 중앙 부위 즉, 한 쌍의 철도 레일(40) 사이에는 종 보강대(30)가 설치되어 있다.1 to 5, a
이 때, 한 쌍의 철도 레일(40)은 침목(20)의 양 측에 설치된 제1 조인트 유닛(22)들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pair of
또한, 복수의 침목(20)들 사이에는 침목(20)들과 나란한 방향으로 횡 보강대(50)가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이러한 횡 보강대(50)는 종 보강대(30) 및 한 쌍의 철도 레일(40) 하부에 배치되는데, 횡 보강대(50)에도 양 측에 제2 조인트 유닛(52)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제2 조인트 유닛(52)들에도 철도 레일(40)이 고정되게 설치된다.The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 보강대(30)와 횡 보강대(50)는, 종 보강대(30)를 감싸되, 양 측단에 2개씩 총 4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클램프(60)와, 이 클램프(60)의 체결공들에 삽입되되 횡 보강대(50)를 감싸는 U자형 볼트(70)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4 and 5, the
즉, 종 보강대(30)를 덮도록 클램프(60)가 안착되고, U자형 볼트(70)의 양 단을 클램프(60)의 일측에 형성된 2개의 체결공에 삽입시키고, 다른 U자형 볼트(70)의 양 단을 클램프(60)의 타측에 형성된 나머지 2개의 체결공에 삽입시킨 후, 각각 너트로서 조여 체결시킴에 따라 종 보강대(30)와 횡 보강대(50)를 고정되게 결합시키게 된다.That is, the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구성에 따른 철도 레일(40) 보강장치는, 종 보강대(30)를 고정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침목(20)들 사이에 별도의 횡 보강대(50)가 배치시켜야 함으로써, 부품 수 증가에 따라 시공비가 많이 소요되고, 조립 공수가 많아져서 시공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railway rail reinforcing apparatus of the related art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 plurality of
특히, 횡 보강대(50)는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침목(20)들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이러한 횡 보강대(50)가 배치되는 부위, 즉 침목(20)과 침목(20) 사이의 공간은 매우 협소해지게 됨으로써, 침목(20)들 사이의 바닥에 깔리는 자갈 등의 다짐 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Particularly, since the
통상적으로 철도 레일(40)의 지반에는 자갈을 포설시키고, 다짐 작업을 통해 지반을 강화시키게 된다. 이 때 침목(20)에서 레일과 교차되는 부위의 주변에는 모두 다짐 작업을 수행하여 철도 레일(40)의 변형이나 침하 등을 예방시켜야 하는데, 종래 기술에 따른 철도 레일(40)의 보강장치는, 침목(20)과 침목(20) 사이에 별도의 횡 보강대(50)가 배치됨에 따라 이 횡 보강대(50)가 배치된 부위의 공간이 협소해지게 되어 원활한 다짐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Generally, gravel is laid on the ground of the
또한, 횡 보강대(50)가 한 쌍의 철도 레일(40)의 하부 쪽에 배치됨에 따라 철도 레일(40)과 횡 보강대(50)의 교차 부위에도 별도의 제2 조인트 유닛(52)을 설치하여 철도 레일(40)과 고정시키는 작업을 더 수행해야 함으로써, 이 역시 부품 수 증가에 따라 시공비가 과다 소요되고, 그 작업 공수의 증가로 시공성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 보강대를 침목에 대하여 직접 고정되게 결합시킴에 따라 불필요한 부품 수를 줄여 시공비를 낮춤은 물론 조립 공수의 감소로 시공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reinforcement device and a reinforcing method of a railway rail fastening type railway rail which can improve the workability by reducing the airflow.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종 보강대를 침목에 대하여 고정되게 결합시킴에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침목들 사이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시킴으로써, 침목과 철도 레일의 교차 부위 주변에 충분한 다짐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철도 레일의 변형이나 침하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ailway rail system in which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rods are fixedly coupled to a railroad tie to secure a space between a plurality of railroad tie rollers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reinforcing device and a reinforcing method of a railway rail fastening type railway rail which can relieve the deformation or settlement of a railway rail by allowing sufficient compaction work to be performed around the railway rail.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의 보강장치는, 지반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침목; 상기 복수의 침목들 양측 상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철도 레일; 상기 한 쌍의 철도 레일 사이에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종 보강대; 및 상기 종 보강대를 침목의 중간 단에 직접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지지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 지지구는, 상기 침목과 동일 수직 선상에서 상기 종 보강대를 감싸서 덮는 클램프 유닛과, 상기 클램프 유닛과 상기 침목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침목의 측면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수직 지지부와, 상기 침목의 저면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수평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ailway rail reinforcing apparatus for a railway sleeping type railway comprising: a plurality of railroad tie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 ground; A pair of rail rails fixedly installed side by sid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treads; A longitudinal bar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air of rail rails; And a fixing support for directly fixing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member to the middle end of the sleeper, wherein the fixing support includes: a clamp unit which covers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member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sleeper, The joining member may include a vertical support portion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sleeper, and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leeper.
여기서, 상기 클램프 유닛은, 상기 종 보강대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종 보강대의 측부를 덮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로부터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들에 대하여 상기 침목에 대하여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부로 구성될 수 있다.The clamp unit includes a cover portion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bar, a side portion covering the side portion of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bar, and a fixing portion formed to be bent from the side portion and fixedly coupled to the tie- Government.
이 경우, 상기 클램프 유닛은 상기 철도 레일 및 상기 종 보강대의 설치 방향을 기준으로 그 폭이 상기 침목의 중간 단 폭 보다는 길게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 유닛의 고정부 각 모서리 측에는 각각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clamp unit may be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middle section of the railroad track, and the coupling unit may be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fixing unit of the clamp unit .
또한, 상기 결합부재의 수직 지지부는, 나사부가 형성된 제1 지지부와, 나사공이 형성된 제2 지지부로 구성되어, 나사 체결에 의해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The vertical support portion of the engagement member is composed of a first support portion having a threaded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having a screw hole, and the length thereof can be varied by screwing.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의 보강방법은, 상기한 구성의 철도 레일의 보강장치를 이용하여 철도 레일을 보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복수의 침목들 중간 부위 상단에 한 쌍의 철도 레일과 나란한 방향으로 종 보강대를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종 보강대를 덮도록 클램프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 (c) 상기 클램프 유닛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상기 결합부재의 수직 지지부를 삽입시켜서 너트와 체결시킴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의 수평 지지부가 상기 침목의 저부와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inforcing a railway rail using a reinforcing apparatus for railway rails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Disposing a longitudinal bar in a side-by-side direction with a pair of rail rails; (b) seating the clamp unit so as to cover the longitudinal bar; (c) inserting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through the coupling hole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clamp unit and fastening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to the nut so that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is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of the sleeper can do.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의 수직 지지부는 상기 침목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길이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Here,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may include a length adjusting portio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sleeper.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에 의하면, 종 보강대를 침목에 대하여 직접 고정되게 결합시킴에 따라 불필요한 부품 수기 줄어들어 시공비가 낮아짐은 물론 조립 공수의 감소로 시공성 또한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inforcement device and the reinforcing method of the railway rail fastening type railroad rai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ngitudinal rail is directly fixed to the railroad ties, unnecessary parts are reduce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lowered. A greatly improved effect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에 의하면, 종 보강대를 침목에 대하여 고정되게 결합시킴에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침목들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됨으로써, 침목과 철도 레일의 교차 부위 주변에 충분한 다짐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철도 레일의 변형이나 침하의 우려가 불식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reinforcement device and the reinforcing method of the railway rail fastening type railway rai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rods are fixedly coupled to the railroad ties,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railroad tie traps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ufficient compaction operation around the intersection of the railroad rail and the railroad rail, so that the effect of deformation or settlement of railroad rail can be avoid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도 1은 종래의 철도 레일 보강장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 3a는 철도 레일 보강을 위하여 침목들 사이에 별도로 추가 배치되는 횡 보강대에 철도 레일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횡 보강대에 철도 레일이 배제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서 횡 보강대 부분의 횡 단면 구성도.
도 5는 횡 보강대가 U자형 볼트에 의해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 보강장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 8은 도 7에서 침목 부분의 횡 단면 구성도.
도 9는 침목이 L자형 결합부재에 의해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종 보강대를 클램프 유닛에 의해 침목에 고정시키는 L자형 결합부재의 정면도.
도 11은 종 보강대를 클램프 유닛에 의해 침목에 고정시키는 다른 형태의 L자형 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L자형 결합부재가 길이 가변되는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13a 내지 도 13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도 레일 보강장치가 적용된 철도 레일에 다짐 시공의 여러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conventional railway rail reinforcing apparatus.
Figure 2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of Figure 1;
FIG. 3A is a front view of a railway rail installed in a transversal bar separately disposed between treads for railway rail reinforcement; FIG.
FIG. 3B is a plan view of the transverse rib shown in FIG. 3A without the rail rail.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nsverse rib portion in Fig. 2; Fig.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ansverse rib is bound by a U-shaped bolt. Fig.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railway sleeping rail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of Fig. 6
Fig. 8 is a transverse sectional view of the sleeping portion in Fig. 7; Fig.
Fig.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leeper is engaged by an L-shaped engagement member. Fig.
10 is a front view of an L-shaped engagement member for securing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bar to the sleeper by the clamp unit;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L-shaped engagement member for fixing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bar to the sleeper by the clamp unit.
Fig.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ength of the L-shaped engagement member shown in Fig. 11 is variable. Fig.
13A to 13F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compaction of a railway rail to which a railway rail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u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ing and / or comprising 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 / or operations other than the stated components, steps and / .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Fur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erspective view, cross-sectional view, side view, and / or schematic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form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in the respective drawings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 보강장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침목 부분의 횡 단면 구성도이다.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railway sleeping rail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of FIG. 6, and FIG. 8 is a transverse sectional view of a sleeping portion in FIG.
또한, 도 9는 침목이 L자형 결합부재에 의해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0은 종 보강대를 클램프 유닛에 의해 침목에 고정시키는 L자형 결합부재의 정면도이다.Fig.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leeper is bound by an L-shaped engagement member, and Fig. 10 is a front view of an L-shaped engagement member for fixing a longitudinal reinforcement band to a sleeper by a clamp unit.
먼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140)의 보강장치(100)는, 지반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침목(110)과, 복수의 침목(110)들 양측 상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철도 레일(140)과, 한 쌍의 철도 레일(140) 사이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종 보강대(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6 and 8, a
이 때, 한 쌍의 철도 레일(140)은 침목(110)의 양 측에 설치된 제1 조인트 유닛(112)들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ir of
그리고, 종 보강대(120)는 대략 I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종 보강대(120)는 상하로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도 레일(140)의 보강장치는, 종 보강대(120)를 침목(110)의 중간 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지지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device of the
여기서, 고정 지지구는 종 보강대(120)의 상부를 덮기 위하여 수평을 이루는 덮개부와, 이 덮개부의 양 측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종 보강대(120)의 측부를 덮기 위한 측면부 및 이 측면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결합부재(200)들에 의해 침목(110)에 대하여 고정,결합되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클램프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ationary support includes a horizontal lid fo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또한, 고정 지지구는 클램프 유닛(130)을 침목(110)에 대하여 고정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재(200)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결합부재(200)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tationary support may include
고정 지지구를 이루는 클램프 유닛(130)은, 덮개부와 측면부 및 고정부가 일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그 폭은 침목(110)의 폭 보다는 큰 것이 적용될 수 있다.The
즉, 도 6을 다시 한 번 참조하면, 클램프 유닛(130)은 철도 레일(140) 및 종 보강대(120)의 설치 방향을 기준으로 그 폭이 침목(110)의 중간 단 폭 보다는 다소 길게 형성된 것이 적용된다.6, the
따라서, 클램프 유닛(130)의 고정부 양 단은 평면으로 바라볼 때 전후 측 모서리 부위가 침목(11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고정부의 모서리 측에는 각각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both ends of the fixed unit of the
이와 같이 클램프 유닛(130)의 고정부 각 모서리 측에 형성되는 결합공은 모두 4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결합공들을 통해 결합부재(200)가 삽입되어 클램프 유닛(130)과 침목(110)을 고정되게 결합시키게 됨으로써, 종 보강대(120)는 침목(110)에 대하여 직교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결합부재(200)는 클램프 유닛(130)의 결합공에 삽입이 이루어지는 수직 지지부(210)와, 이 수직 지지부(210)로부터 직교하는 한 쪽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수평 지지부(220)로 구성되어 마치 L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8 to 10, the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뒷받침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결합부재(200)의 수직 지지부(210)에 별도의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수직 지지부(210)는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 일정 길이만큼 나사부가 형성된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너트 등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although the vertical supporting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결합부재(200)에서, 수평 지지부(220)는 침목(110)의 저면과 밀착되게 지지되고, 수직 지지부(210)는 침목(110)의 측면과 밀착되게 지지될 수 있다.In the
따라서, 침목(110)들에 대하여 교착되는 방향으로 종 보강대(120)를 배치시키고,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침목(110)과 동일 선산에 위치하는 부위에 클램프 유닛(130)을 안착시킴에 따라 클램프 유닛(130)의 덮개부와 측면부가 종 보강대(120)를 덮게 되면, 클램프 유닛(130)의 고정부 각 모서리 즉, 결합공들이 형성된 각 모서리 부위는 침목(110)의 중간 부위와 겹치지 않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도 6 참조)Accordingly, when the
이 상태에서, 각 결합공마다 L자 형상을 이루는 결합부재(200)들로서 클램프 유닛(130)과 침목(110)을 결합시키면 되는데, 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is state, the
먼저, 결합부재(200)의 수직 지지부(210) 선단을 클램프 유닛(130)의 고정부 아래 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의 결합공을 통해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삽입시킨다.First, the tip of the
이 때, 결합부재(200)의 수평 지지부(220)는 침목(110)의 저면과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안쪽 방향에 위치되도록 하여 삽입시킨다.At this time, the
다음에, 클램프 유닛(130)의 결합공을 통해 상부로 노출된 결합부재(200)의 수직 지지부(210) 선단에 너트 등을 끼워 체결시킴에 따라 조여주게 되면, 침목(110)은 클램프 유닛(130)과 결합부재(200)의 수평 지지부(220) 사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클램프 유닛(130)은 결합부재(200)에 의해 침목(110)과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a nut or the like is tightened at the tip of the
이 경우, 너트를 강하게 조임에 따라 결합부재(200)의 수평 지지부(220)는 침목(110)의 저면과의 밀착력이 증대됨에 따라 클램프 유닛(130)은 침목(11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is case, as the nut is strongly tightened, the
이에 따라, 종 보강대(120) 또한 클램프 유닛(130)의 덮개부 및 측면부와 침목(110)의 상면 사이에 강한 밀착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그 결속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ngitudinal support bars 120 are also stably fixed by the strong adhesion between the lid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of the
여기서, 결합부재(200)는 클램프 유닛(130)의 고정부 각 모서리에 대하여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4점 지지에 의해 클램프 유닛(130)을 침목(110)에 대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As the
참고로, 도 10에서 미설명 부호 (230)은 침목(110)에 대하여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는 용접 부위를 나타낸 것이다.For reference, in FIG. 1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목 체결식철도 레일(140)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에 의하면, 종 보강대(120)를 침목(110)에 대하여 직접 고정되게 결합시킴에 따라 불필요한 부품 수가 줄어들어 시공비가 낮아짐은 물론 조립 공수의 감소로 시공성 또한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inforcement device and the reinforcing method of the railway
즉, 종래에는 종 보강대(1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횡 보강대를 설치하고, 이 횡 보강대와 한 쌍의 철도 레일(140)을 고정시킴에 따라 그 부품 수가 많이 소요되어 시공비가 증가하게 됨은 물론 조립 공수의 증가로 시공성이 좋지 못한 반면에, 본원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도 레일(140)의 보강장치에 의하면, 종 보강대(120)를 침목(110)에 직접 고정되게 결합시킴에 따라 부품 수 절감에 따라 시공비가 절감됨과 아울러 조립 공수의 감소로 시공성 또한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conventionally, in order to stably fix the longitudinal support bars 120, a separate lateral support bar is provided and the pair 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도 레일(140)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에 의하면, 종 보강대(120)를 침목(110)에 대하여 고정되게 결합시킴에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침목(110)들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됨으로써, 침목(110)과 철도 레일(140)의 교차 부위 주변에 충분한 다짐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철도 레일(140)의 변형이나 침하의 우려가 불식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inforcement device and the reinforcing method of the
도 13a 내지 도 13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140)의 보강장치가 적용된 상태에서의 후 다짐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140)의 보강장치에서는 종래에서와 같이 침목(110)들 사이에 별도로 배치되는 횡 보강대의 구성이 배제됨에 따라 침목(110)과 철도 레일(140)의 교차 부위 주변에 8점 다지기가 가능해지게 된다.13A to 13F are views showing a rear compaction portion in a state where a reinforcing device of a railway
즉, 복수의 침목(110)에 대하여 한 쌍의 철도 레일(140)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도 13a내지 도 13d에서와 같이 하나의 침목(110) 당 철도 레일(140)과 교차되는 8개 지점에 다짐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That is, in a state in which a pair of
물론, 선로 상태, 작업조건, 작업 시간 등에 따라 도 13e 및 도 13f에서와 같이 6개소 다짐 또는 4개소 다짐을 할 수도 있으나, 기본 적으로 8개소 다짐을 기본으로 한다.Of course, depending on the line condition, working conditions, working time, etc., it is possible to compose six places or four places, as shown in Figs. 13E and 13F, but basically eight places are compaction.
참고로, 도면에서 O으로 표시된 부분은 첫 다짐이고, X로 표시된 부분은 뒷 다짐을 나타낸 것이다.For reference, the portion indicated by O in the drawing indicates the first compaction, and the portion indicated with X indicates the rear compaction.
그러나, 종래에는 종 보강대(1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침목(110)들 사이에 별도의 횡 보강대를 설치됨에 따라 침목(110)들 사이의 공간이 침해되어 협소해짐으로써, 상기와 같은 8개소 다짐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8개소 다짐을 실시할 수 없게 되어 철도 레일(140)의 변형이나 침하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없게 되는 반면, 본원발명은 8개소 다짐에 의해 철도 레일(140)의 변형이나 침하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효과도 거둘 수 있게 된다.However, conventionally, in order to stably fix the
한편, 도 11은 종 보강대를 클램프 유닛에 의해 침목에 고정시키는 다른 형태의 L자형 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L자형 결합부재가 길이 가변되는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300)는 수직 지지부(320)가 길이 가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L-shaped engagement member that fixes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bar to a sleeper by a clamp unit, and FIG.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shaped engagement member shown in FIG. 11 is variable in length The
예를 들어, 침목(110)의 두께가 모두 일정하면 문제가 없으나 철도 레일(140)의 설치 부위에 따라 침목(110)의 두께가 다른 것이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re is no problem if the thickness of the
이와 같이, 침목(110)의 두께가 다르게 되면 침목(110)의 두께에 상응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해야 하는바, 침목의 다른 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300)는 그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hickness of the
여기서, 결합부재(300)의 수직 지지부(320)는 나사부(312)가 형성된 제1 지지부와(310), 나사공(324)이 형성된 제2 지지부(32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지지부(310)의 나사부(312)와 제2 지지부(322)의 나사공(324) 체결에 의해 수직 지지부(32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The
이 경우, 수평 지지부(326)는 제2 지지부(32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와 같은 결합부재(300)를 이용하여 클램프 유닛과 침목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1 지지부(310)와 제2 지지부(322)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 결합부위는 용접 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supporting
참고로, 도 12에서 미설명 부호 (330)은 침목에 대하여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는 용접 부위를 나타낸 것이다.For reference, in FIG. 12,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결합부재(300)를 이용하여 클램프 유닛과 침목을 결합시키는 구성 및 방법은, 결합부재(300)의 수직 지지부(320) 길이를 가변시키는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 그 외의 나머지 구성 및 결합방법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coupling the clamping unit and the sleeper using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보강장치 110 : 침목
112 : 조인트 유닛 120 : 종 보강대
130 : 클램프 유닛 140 : 철도 레일
200 : 결합부재 210 : 수직 지지부
220 : 수평 지지부 300 : 결합부재
310 : 제1 지지부 312 : 나사부
320 : 수직 지지부 322 : 제2 지지부
324 : 나사공 326 : 수평 지지부100: reinforcement device 110: sleepers
112: Joint unit 120:
130: clamp unit 140: rail rail
200: coupling member 210: vertical support
220: horizontal support part 300:
310: first support portion 312:
320: vertical support portion 322: second support portion
324: screw hole 326: horizontal support
Claims (6)
상기 고정 지지구는,
상기 침목과 동일 수직 선상에서 상기 종 보강대를 감싸서 덮는 것으로서, 상기 종 보강대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종 보강대의 측부를 덮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로부터 절곡되게 형성되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클램프 유닛과;
상기 클램프 유닛과 상기 침목을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침목의 측면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수직 지지부와, 상기 침목의 저면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수평 지지부로 구성되어, L자 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 지지부는, 나사부가 형성된 제1 지지부와, 나사공이 형성된 제2 지지부로 구성되어, 나사 체결에 의해 그 길이가 가변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유닛의 고정부가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침목에 대하여 고정되게 결합되며,
상기 클램프 유닛은 상기 철도 레일 및 상기 종 보강대의 설치 방향으로 기준으로 그 폭이 상기 침목의 중간 단 폭 보다는 길게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 유닛의 고정부 각 모서리 측에는 각각 상기 결합부재가 통과되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의 보강장치.
A pair of rail rails fix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treads; 1. A reinforcing device for a railway rail fastening type railway rail comprising a longitudinally extending reinforcement bar provided in a side-by-side direction between railway rails, and a fixed support for directly fixing the longitudinally-
The stationary support includes:
A clamping unit for covering the longitudinal beam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tie bar and covering the top of the longitudinal beam, a side part covering the side of the longitudinal beam, and a fixing part formed to be bent from the side part, and;
A vertical supporting part for tightly coupling the clamping unit and the tie rail to the side surface of the tie rail and a horizontal supporting part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tie rail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ie rail, A first support portion having a threaded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having a screw hole, the engagement member having a length varying by screwing,
Wherein the fixing portion of the clamp unit is fixedly engaged with the sleeper by the engagement member,
The width of the clamp unit is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middle of the railroad track and the width of the railroad track,
And a coupling hole for allowing the coupling member to pass therethrough is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fixed portion of the clamp unit.
(a) 복수의 침목들 중간 부위 상단에 한 쌍의 철도 레일과 나란한 방향으로 종 보강대를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종 보강대를 덮도록 클램프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
(c) 상기 클램프 유닛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상기 결합부재의 수직 지지부를 삽입시켜서 너트와 체결시킴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의 수평 지지부가 상기 침목의 저부와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의 보강방법.
A method of reinforcing a railway rail using the reinforcement apparatus of a railway rail fastening type railway rail according to claim 1,
(a) disposing a longitudinal bar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pair of rail rails at an upper end of a plurality of treads;
(b) seating the clamp unit so as to cover the longitudinal bar;
(c) inserting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through the coupling hole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clamp unit and fastening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to the nut, thereby supporting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of the sleeper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is fixed to the railway rail.
상기 결합부재의 수직 지지부는 상기 침목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길이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침목 체결식 철도 레일의 보강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And adjusting the length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sleep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6018A KR101890905B1 (en) | 2017-11-03 | 2017-11-03 | Apparatus and method for railroad rail reinforce of sleeper clamping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6018A KR101890905B1 (en) | 2017-11-03 | 2017-11-03 | Apparatus and method for railroad rail reinforce of sleeper clamping typ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0905B1 true KR101890905B1 (en) | 2018-08-22 |
Family
ID=6345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6018A Active KR101890905B1 (en) | 2017-11-03 | 2017-11-03 | Apparatus and method for railroad rail reinforce of sleeper clamping ty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090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9447A (en) * | 2020-02-04 | 2021-08-12 | 이순구 | Apparatus for reinforcing railwail using i-beam |
KR102347666B1 (en) * | 2021-03-05 | 2022-01-07 | 한국철도공사 | Railway rail reinforcement apparatus capable of smart three-dimensional displacement measuremen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67031A (en) * | 2003-05-06 | 2007-06-27 |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 게엠베하 | sleeper |
KR20130030648A (en) * | 2011-09-19 | 2013-03-27 | 영중산업 주식회사 | Apparatus to reinforce of railway rail,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
2017
- 2017-11-03 KR KR1020170146018A patent/KR10189090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67031A (en) * | 2003-05-06 | 2007-06-27 |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 게엠베하 | sleeper |
KR20130030648A (en) * | 2011-09-19 | 2013-03-27 | 영중산업 주식회사 | Apparatus to reinforce of railway rail,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KR101297713B1 (en) | 2011-09-19 | 2013-08-19 | 서경테크(주) | apparatus to reinforce of railway rail,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9447A (en) * | 2020-02-04 | 2021-08-12 | 이순구 | Apparatus for reinforcing railwail using i-beam |
KR102369316B1 (en) * | 2020-02-04 | 2022-03-02 | 이순구 | Apparatus for reinforcing railwail using i-beam |
KR102347666B1 (en) * | 2021-03-05 | 2022-01-07 | 한국철도공사 | Railway rail reinforcement apparatus capable of smart three-dimensional displacement measure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7713B1 (en) | apparatus to reinforce of railway rail,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
WO2000061424A1 (en) | A beam connection | |
KR101640859B1 (en) | Structure for supporting guardrail | |
KR10189090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ailroad rail reinforce of sleeper clamping type | |
JP5436358B2 (en) | Vehicle track support method using vertical sleepers and track position support tool used therefor | |
KR101889472B1 (en) | Deck plate | |
JP2020133184A (en) | Installation method of rebar assembly for secondary tunnel lining | |
KR20180118880A (en) | Rail Track Assembly For Steel Railway Bridge | |
KR101985285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Elastic Support Layer between Track and Substructure | |
KR102101169B1 (en) | Apparatus to reinforce of railway rail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 |
KR200416824Y1 (en) | Reinforcing Plate for Structural Reinforcement | |
JP4668760B2 (en) | Steel bridge repair and reinforcement structure and method | |
KR101822428B1 (en) | Deck plate, fastening apparatus for deck plate, drain device of deck plate | |
JP2010024775A (en) | Reinforcement cage lifting method, reinforcement cage, and reinforcement cage assembling method | |
KR101786030B1 (en) | Guide structure of container ship | |
KR100862670B1 (en) | Parking lot construction method | |
CN115354529A (en) | Assembled suspension track beam | |
JP4650255B2 (en) | Steel slab reinforcement structure and existing steel slab reinforcement method | |
KR102369316B1 (en) | Apparatus for reinforcing railwail using i-beam | |
KR20150131570A (en) | Sleeper Tieing Apparatus and Method Reinforcing Track Structure of Railway Ballasted Track Using Such Apparatus | |
JP4066675B2 (en) | Joist structure of vehicle bed | |
JP2987399B2 (en) | Floor equipment | |
JP3655594B2 (en) | Orbital movement prevention structure | |
JP4083603B2 (en) |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of radio wave absorption panel | |
KR200473117Y1 (en) | Soundproof structure for railroad brid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1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6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3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6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4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8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7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6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4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8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