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309B1 - Apparatus for elimination of noxious insect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limination of noxious insec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0309B1 KR101890309B1 KR1020160135119A KR20160135119A KR101890309B1 KR 101890309 B1 KR101890309 B1 KR 101890309B1 KR 1020160135119 A KR1020160135119 A KR 1020160135119A KR 20160135119 A KR20160135119 A KR 20160135119A KR 101890309 B1 KR101890309 B1 KR 1018903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housing
- opening
- upper housing
- lower op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1
- 230000001473 noxious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077 insect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46 repe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985 Body Odo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2185 Cobit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5925 Di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904 Skin odour abnormal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667 attr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1902 chemoattractant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7 detri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공기가 유입되는 상측개구와, 상기 공기가 유출되는 하측개구를 포함하는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측개구 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상부하우징의 연장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며, 상기 하측개구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상측연통개구가 형성되는 하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팬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커터블레이드;을 포함하는 해충 퇴치기를 제공한다.An upper housing including an upper opening through which air flows and a lower opening through which the air flows; A blowing fan disposed inside the upper housing for blowing air into the lower opening direction; A lower hous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housing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upper housing and having an upper communication opening having a sectional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lower opening; And a cutter blade disposed inside the lower housing and coupled to a drive shaft of the blower fan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driving of the blower fan.
Description
본 발명은 빛 또는 유인 물질로 유인된 해충을 공기 흡입 방식으로 흡입하여 퇴치하는 해충 퇴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ect repellent for inhaling insects pumped with light or attractant by an air suction method.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은 숙주동물의 체취, 열기, 이산화탄소 냄새 등에 유인되는 습성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충을 퇴치하는 방법으로는 빛 등으로 해충을 유인한 다음 고전압을 인가하여 퇴치하는 물리적 방제법, 연기 또는 향을 이용하는 화학적 방제법, 미꾸라지 등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법, 물 웅덩이를 없애거나 해충의 유충이 살 수 없도록 주위 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적 방제법, 빛 등으로 해충을 유인한 다음 유인된 해충을 공기 흡입 방식으로 흡입하여 커터날 등으로 퇴치하는 방제법 등이 있다.Pests such as mosquitoes have a habit of being attracted to body odor, heat, carbon dioxide odor and the like of host animals. Generally, a method of eradicating a pest includes a physical control method in which a pest is attracted by a light and t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a chemical control method using smoke or fragrance, a biological control method using a loach or the like, a method of eliminating a puddle, There is an environmental control method that improv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o that the environment can not be avoided, a method of attracting insects by light, and a method of inhaling insect pests by air suction method and cutting them with a cutter blade.
다만, 야외에서는 물리적 방제법이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빛으로 해충을 유인하여 퇴치하기 위해서는 빛 주변으로 모여든 해충이 포집통 내측으로 포집되어야 한다. 이 때, 해충은 포집통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강제적으로 빨려 들어간다. 그러나, 종래 방식은 공기의 흐름 즉, 기류가 약하고, 기류가 사방으로 분산되는 등의 이유로 유인된 해충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physical control methods are often used outdoors. However, in order to attract and exterminate pests by light, the pests gathered around the light must be collected inside the trap. At this time, the insect pest is forcibly sucked by the air flowing into the collecting pail. 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effectively collect attracted pests due to the air flow, that is, the air current is weak and the air current is dispersed in all direction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격 배치되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갖는 해충 퇴치기 구조에서, 상부하우징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주변으로 분산되지 않고 하부하우징 내측으로 효과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해충 포집에 최대한 유리할 수 있는 해충 퇴치기의 형상을 설계하고자 한다. 또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해충 퇴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st control device having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structure, air discharged from the upper housing is not distributed to the periphery, So that they can be moved effectively. In addition, we want to design the shape of the pest control device which can be the most advantageous for trapping pests. It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 pest controller that can improve durability.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공기가 유입되는 상측개구와, 상기 공기가 유출되는 하측개구를 포함하는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측개구 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상부하우징의 연장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며, 상기 하측개구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상측연통개구가 형성되는 하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팬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커터블레이드;을 포함하는 해충 퇴치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n upper housing including an upper opening through which air flows and a lower opening through which the air flows; A blowing fan disposed inside the upper housing for blowing air into the lower opening direction; A lower hous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housing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upper housing and having an upper communication opening having a sectional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lower opening; And a cutter blade disposed inside the lower housing and coupled to a drive shaft of the blower fan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driving of the blower fan.
상기 간격은 상기 하측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상측연통개구로 모두 유입되는 이격 거리이다.The gap is a separation distance at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lower opening flows into the upper communication opening.
상기 상측연통개구는 상기 하측개구의 반경보다 작고, 상기 상측연통개구의 중심은 상기 하측개구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동심선 위에 위치한다.The upper communication opening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lower opening and the center of the upper communication opening is located on an imaginary concentric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lower opening.
상기 커터블레이드는 상기 송풍팬의 각 블레이드와 동일 방향으로 휘어진다.The cutter blade is bent in the same direction as each blade of the blowing fan.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단 내측면에는 상기 공기의 회전 방향으로 휘어진 공기가이드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And an air guide member bent at a lower end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in a rotating direction of the air.
상기 공기가이드부재는 일정 반경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ir guide member may have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사이에는 유인발광부;가 배치될 수 있다.And an artificial light emitting portio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상기 상부하우징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공기유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ir inflow holes may be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측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루프캡;이 더 형성될 수 있다.And a loop cap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upper housing.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단 내측면에는 보강플레이트;가 배치될 수 있다.A reinforcing plate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using.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기는 상부하우징에서 발생하여 송풍되는 공기가 주변으로 분산되지 않고 하부하우징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어 해충을 포집함에 효과적이다. 송풍팬과 커터블레이드를 동일 구동축에 의해 회동하도록 하여 요구되는 전기모터의 수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송풍팬과 커터블레이드의 각 날개 면의 형상을 일치시켜 공기의 흐름 방향을 더 강화시키고 그에 따라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이격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어 해충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The insect repell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effective for trapping insects because the air generated in the upper housing can be mov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housing without being dispersed to the surroundings. The number of required electric motors can be reduced by rotating the blower fan and the cutter blades by the same drive shaft. Further, the shapes of the blade surfaces of the blower fan and the cutter blade are made to coincid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s further strengthened, there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vibration and noise. Fur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can be designed so as to be maximally spaced, so that the insects can be effectively collected.
또한, 상부하우징 내부에 송풍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와류 방향과 일치하는 공기가이드부재를 배치하여 상부하우징의 하측 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주변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 내부에 보강플레이트를 배치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에 의해 하부하우징의 상측연통개구가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n air guide member, which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formed by the air blowing fan, is disposed in the upper housing to preven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opening of the upper housing from being dispersed to the surroundings. Further, the reinforcing plate may be disposed inside the lower housing to prevent the upper communication opening of the lower housing from being easily deformed by a physical impact externally appl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투시 측면도.
도 4는 도 1의 공기가이드부재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1의 하부하우징 내부를 내려다 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st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Figure 3 is a perspective side view of Figure 1;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air guide member in Fig.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the lower housing of FIG. 1 viewed from abov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투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해충 퇴치기는 상부하우징(10), 송풍팬(20), 하부하우징(30), 커터블레이드(40), 공기가이드부재(50), 유인발광부(60), 루프캡(70), 보강플레이트(80), 포집통(90) 등을 포함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st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side view of FIG. 1 to 3, the insect repelling device includes an
상부하우징(10)은 상면과 하면이 모두 개구되어 있는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갖는다. 이 때, 공기는 상측개구(14)로 유입되어 하측개구(16)로 토출된다. 상부하우징(10)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공기유입홀(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공기유입홀(12)은 상부하우징(10)의 측면을 관통하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모양의 통공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상부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더 증가할 수 있다.The
공기유입홀(12)은 1) 하측개구(16)로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과, 2) 상부하우징(10)에 바로 인접하는 외부 공간에 형성되는 기압 사이에 발생하는 압력 차이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부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총량이 적으면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작아 하측개구(16)로 토출되는 공기가 주변 사방으로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유입홀(12)은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증가시켜 하측개구(16)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쭉 뻗어 나갈 수 있도록 공기의 흐름을 개선하여 직진성을 향상시킨다.The
또한, 상부하우징(10)의 하단 내측면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회전 방향으로 휘어진 공기가이드부재(50)가 배치된다. 공기가이드부재(50)는 송풍팬(20)에 의해 상부하우징(10) 내에서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며 유동하는 공기에 대해 그 회전력을 증가시키면서 하측개구(16) 측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그 결과, 하측개구(16)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마치 회오리 바람과 같이 강한 회전력을 갖고 토출될 수 있다. 즉, 공기가이드부재(50) 역시 토출되는 공기의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n
도 4는 도 1의 공기가이드부재(50)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가이드부재(50)는 일정 반경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공기가이드부재(50)는 직사각형 모양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공기가이드부재(50)의 반경은 상부하우징(10)의 반경의 절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공기가이드부재(50)는 상부하우징(10)의 하단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될 수 있다. 공기가이드부재(50)는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일단이 상부하우징(10)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송풍팬(20)은 상부하우징(10)의 상측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하측개구(16)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송풍팬(20)은 그 구동축이 상부하우징(10)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송풍팬(20)은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모터(25)에 의해 작동된다. 한편, 송풍팬(20)의 각 블레이드는 복수 개가 방사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에서 송풍팬(2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휘어진다. 송풍팬(20)이 작동되면 상측개구(14)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하측개구(16)로 토출된다. 한편, 전기모터(25)는 브라켓 등에 의해 상부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blowing
도 5는 도 1의 하부하우징(30) 내부를 내려다 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하부하우징(30)은 상부하우징(10)의 연장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며, 하부하우징(30)에는 상부하우징(10)의 하측개구(16)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상측연통개구(34)가 형성된다. 하부하우징(30) 역시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하측에도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하우징(10)의 하측개구(16)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측연통개구(34)를 통해 하부하우징(30)으로 전부 유입된다. 이렇게 일정 속도를 갖는 기류에 의해 하측개구(16)와 상측연통개구(34) 사이 빈 공간으로 접근하는 해충은 기류에 휩쓸려 하부하우징(30) 내부에 포집될 수 있다.5, the
구체적으로, 상측연통개구(34)의 단면적은 하측개구(16)의 단면적보다 큰데 이는 하측개구(16)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토출 속도에 따라 방사 방향으로 분산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상측연통개구(34)를 통해 전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측연통개구(34)의 중심은 하측개구(16)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동심선 위에 위치한다.Specifically,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또한, 하부하우징(30)의 상단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플레이트(80)가 배치된다. 이는, 상측연통개구(34)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강플레이트(80)는 예를 들어, 십자 모양, 격자 모양 등으로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reinforcing plate (80) is dispos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30). This prevents the upper communication opening 34 from being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he reinforcing
또한, 하부하우징(30) 내부에는 커터블레이드(40)가 배치된다. 커터블레이드(40)는 송풍팬(2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송풍팬(20)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동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20)의 구동축은 하부하우징(30) 내부 공간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 결과, 커터블레이드(40)는 송풍팬(20)의 구동축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터블레이드(40)는 송풍팬(20)의 구동축과 커플링에 의해 결합되는 별개의 구동축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이와 같이, 송풍팬(20)과 커터블레이드(40)가 동일 구동축에 형성되어 함께 회동하게 되면, 커터블레이드(40)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기모터가 불필요하여 요청되는 전기모터의 수량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한편, 커터블레이드(40)는 송풍팬(20)의 각 블레이드와 동일 방향으로 휘어진다. 구체적으로, 커터블레이드(40)는 복수 개가 방사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에서 송풍팬(20)의 구동축의 회전 방향과 일치하도록 휘어진다. 이는 상측연통개구(34)로 유입되는 공기의 회전 유동 방향을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어,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그 결과, 하부하우징(30)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 역시 최소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회전하는 커터블레이드(40)는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휩쓸려 하부하우징(30) 내부로 포집되는 해충을 분쇄하여 퇴치한다. 다만, 하부하우징(30)의 하단이 전술한 것처럼 개구된 경우 퇴치된 해충은 하부하우징(30)의 하측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해충 퇴치기가 설치된 장소 주변이 퇴치된 해충의 사체로 인해 더렵혀져 주변 미관을 훼손시킬 수 있다.The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부하우징(30)의 하단에는 하부하우징(30)의 하측개구를 일부 덮을 수 있는 포집통(90)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연통개구(3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여전히 하부하우징(30)의 하측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포집통(90)은 해충의 사체를 수거할 수 있어 해충 퇴치기의 사용에 따라 동반되는 주변 청소의 실시 주기를 늘려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달리, 하부하우징(30)의 하단에는 하부하우징(30)의 하측개구를 덮을 수 있는 포집망이 설치될 수 있다. 포집망 역시 해충의 사체를 수거할 수 있어 해충 퇴치기의 사용에 따라 동반되는 주변 청소의 실시 주기를 늘려주는 효과를 제공한다.In order to prevent this, a
한편,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30) 사이에는 유인발광부(60)가 배치된다. 유인발광부(60)는 해충을 유인하기 위해 특정 파장을 갖는 빛을 방사한다. 유인발광부(60)는 예를 들어, 복수 개의 LED 소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인발광부(60)를 설치하기 위해 해충퇴치기에는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30)의 각 외주면에 체결되어 양 측을 연결시키는 봉, 막대, 플레이트 등의 연결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유인발광부(60)는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연결부재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ttracting
또한, 상부하우징(10)의 상측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루프캡(7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루프캡(70)은 상부하우징(10) 상단에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설치된다.Further, a
루프캡(70)은 예를 들어, 우천시 상부하우징(10)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루프캡(70)은 상부하우징(10) 내부에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 내부에 배치되는 전기모터(25)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상부하우징 20: 송풍팬
30: 하부하우징 40: 커터블레이드
50: 공기가이드부재 60: 유인발광부
12: 공기유입홀 70: 루프캡
80: 보강플레이트 25: 전기모터
14: 상측개구 16: 하측개구
34: 상측연통개구 90: 포집통10: upper housing 20: blowing fan
30: Lower housing 40: Cutter blade
50: air guide member 60:
12: Air inlet hole 70: Loop cap
80: reinforcing plate 25: electric motor
14: upper opening 16: lower opening
34: upper communication opening 90: collection container
Claims (10)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배치되어 상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측개구 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단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의 회전 방향으로 휘어진 공기가이드부재;
상기 상부하우징의 연장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며, 상기 하측개구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상측연통개구가 형성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유인발광부; 및
상기 하부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팬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커터블레이드;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커터블레이드는 사이 송풍팬의 구동축의 회전 방향과 일치하도록 휘어지며,
상기 송풍팬에 의한 공기 압력차에 의해 상기 하측개구와 상기 상측연통개구 사이 빈 공간으로 해충을 포집하는 해충 퇴치기.
An upper housing having an upper opening through which air flows and a lower opening through which the air flows, the upper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air inlet holes formed at a side thereof;
A plurality of blades disposed in the upper housing to blow air in the lower opening direction;
An air guide member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a lower end of the upper housing and curved in a rotating direction of the air;
A lower hous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housing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upper housing and having an upper communication opening having a sectional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lower opening;
An artificial light emitt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nd
And a cutter blade disposed inside the lower housing and coupled to a driving shaft of the blowing fan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driving of the blowing fan,
The blade and the cutter blade are bent so as to coincide with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driving shaft of the interstitial fan,
And an air pressure difference caused by the air blowing fan collects insects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lower opening and the upper communication opening.
상기 간격은 상기 하측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상측연통개구로 모두 유입되는 이격 거리인 해충 퇴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val is a separation distance at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lower opening flows into the upper communication opening.
상기 상측연통개구는 상기 하측개구의 반경보다 작고, 상기 상측연통개구의 중심은 상기 하측개구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동심선 위에 위치하는 해충 퇴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communication opening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lower opening and the center of the upper communication opening is located on an imaginary concentric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lower opening.
상기 공기가이드부재는 일정 반경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해충 퇴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guide member is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측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루프캡;이 더 형성되는 해충 퇴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oop cap disposed above the upper hous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단 내측면에는 보강플레이트;가 배치되는 해충 퇴치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inforcing plate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us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5119A KR101890309B1 (en) | 2016-10-18 | 2016-10-18 | Apparatus for elimination of noxious insec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5119A KR101890309B1 (en) | 2016-10-18 | 2016-10-18 | Apparatus for elimination of noxious insect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2654A KR20180042654A (en) | 2018-04-26 |
KR101890309B1 true KR101890309B1 (en) | 2018-08-24 |
Family
ID=6208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5119A Active KR101890309B1 (en) | 2016-10-18 | 2016-10-18 | Apparatus for elimination of noxious insec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030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1876U (en) | 2022-03-18 | 2023-09-26 | 안흥기 | The self-powered pest control device using solar energ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859168A (en) * | 2019-11-22 | 2020-03-06 | 深圳市壹闻科技有限公司 | High-efficient type mosquito killer lamp with function of making an uproar is fallen |
KR102402878B1 (en) * | 2021-06-02 | 2022-05-31 | (주)다목에코텍 | A noxious insect luring and capturing device |
CN115024292B (en) * | 2022-07-19 | 2023-12-29 | 临沂市森林湿地保护中心 | Forestry insect pest monitoring and pest automatic collection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9542B2 (en) * | 1998-01-28 | 2001-03-05 | 日本電気株式会社 | Reference voltage generation circuit |
KR200394218Y1 (en) * | 2005-06-07 | 2005-09-01 | 박상영 | The Fly Exterminater |
KR101339882B1 (en) * | 2011-11-28 | 2013-12-10 | 주식회사 이레그린 | Catcher |
-
2016
- 2016-10-18 KR KR1020160135119A patent/KR10189030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9542B2 (en) * | 1998-01-28 | 2001-03-05 | 日本電気株式会社 | Reference voltage generation circuit |
KR200394218Y1 (en) * | 2005-06-07 | 2005-09-01 | 박상영 | The Fly Exterminater |
KR101339882B1 (en) * | 2011-11-28 | 2013-12-10 | 주식회사 이레그린 | Catch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1876U (en) | 2022-03-18 | 2023-09-26 | 안흥기 | The self-powered pest control device using solar energ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2654A (en) | 2018-04-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0309B1 (en) | Apparatus for elimination of noxious insects | |
CN108488090B (en) | Air blower | |
KR20130139531A (en) | Harmful insect grasping equipment | |
WO2004071188A3 (en) | Light emitting insect trap | |
JP3136423U (en) | Pest trap | |
JP3141997U (en) | Pest trap | |
JP2020051657A (en) | Ventilation device | |
KR100753758B1 (en) | Pest control | |
KR200396720Y1 (en) | Birds-beasts rid and Harmful insect grasping equipment | |
KR20090052618A (en) | Pest collecting device | |
CN105941368A (en) | Insect catching box and insect catching machine with same | |
KR100685009B1 (en) | Pest control | |
KR101393105B1 (en) | Bug capturing device of air drop type | |
KR101127975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Mosquito | |
KR100537635B1 (en) | Apparatus to catch harmful insects | |
KR101253467B1 (en) | Insect trap for installing wall | |
KR20090005532U (en) | Pest trap | |
KR20210007230A (en) | Bug capturing device with IT function | |
KR101325540B1 (en) | Insecticidal device | |
KR100426496B1 (en) | Noxious insects killing apparatus | |
CN211482572U (en) | High-efficient pest control device | |
KR200341986Y1 (en) | A apparatus for capture a harmful insect | |
WO2016126172A1 (en) | Device for exterminating blood-sucking insects (variants) | |
WO2020021892A1 (en) | Insect trap | |
CN209251482U (en) | A kind of agricultural pests tra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9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