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802B1 - Electrodes pad for defibrillation - Google Patents
Electrodes pad for defibrill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9802B1 KR101889802B1 KR1020170051903A KR20170051903A KR101889802B1 KR 101889802 B1 KR101889802 B1 KR 101889802B1 KR 1020170051903 A KR1020170051903 A KR 1020170051903A KR 20170051903 A KR20170051903 A KR 20170051903A KR 101889802 B1 KR101889802 B1 KR 1018898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ydrogel
- pad
- electrode
- adhesive
- op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Specially adapted for shock therapy, e.g. defibril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2—Leeches; Worms, e.g. cestodes, tapeworms, nematodes, roundworms, earth worms, ascarids, filarias, hookworms, trichinella or taen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03—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semi-solid, e.g. an ointment, a gel, a hydrogel or a solidifying ge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61N1/0496—Patch electrodes characterised by using specific chemical compositions, e.g. hydrogel compositions, adhes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ard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제세동기 전극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심부에 개구부(S1)를 구비하며, 저면에 접착층(11)이 형성된 비전도성의 접착 패드(1)와, 상기 접착 패드(1)의 개구부(S1)에 위치되는 전도성의 하이드로겔(3)과, 상기 하이드로겔(3)의 상면에 적층되는 전극판(2)과, 중심부에 개구부(S4)를 구비하며, 상기 접착 패드(1)의 상면에 적층되는 고정 커버(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제세동기용 전극 패드에 의하면, 사용이 간편하고, 제세동기 패들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환자의 피부 손상을 안정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defibrillator electrode p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osable defibrillator electrode pad which has a nonconductive adhesive pad (1) having an opening (S1) at its center and an adhesive layer (11) A conductive hydrogel 3 located at the opening S1 of the hydrogel 3 and an electrode plate 2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ydrogel 3 and an opening S4 at the center, And a fixed cover (4) lamin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cover (4).
The disposable defibrillator electrod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use, can prevent corrosion of defibrillation paddles, stably prevents damage to a patient's skin, and minimizes energy loss.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회용 제세동기 전극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세동기 패들 전극의 부식을 방지해주고, 환자의 피부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일회용 제세동기 전극 패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defibrillator electrode p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osable defibrillator electrode pad capable of preventing corrosion of a defibrillation paddle electrode and preventing skin damage of a patient.
심실세동, 심방세동, 심방 조동, 심실반박 등의 부정맥을 보이는 심장에 고압 전류를 극히 단시간 통하게 함으로써, 정상적인 맥박으로 회복시키는 기기를 제세동기라고 한다. A defibrillator is a device that restores a normal pulse by passing a high-voltage current through the cardiac arrhythmia, such as ventricular fibrillation, atrial fibrillation, atrial fibrillation, and ventricular tachycardia, for a very short period of time.
보통 흉벽의 심청부와 심기부에 2개의 단극을 대고 전류를 통하게 하는데, 오늘날 제세동기는 응급실, 수술실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쇼핑몰이나 지하철 역과 같은 공공장소에서도 자동 제세동기(AED)가 비치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심실세동의 위험이 큰 사람에게서는 심장 박동이 변화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전기 충격을 전달하는 이식형 제세동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제세동기는 통상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전기 자극을 인체에 전달하는 패들을 포함하며, 상기 패들은 전기 자극의 전달을 위해 피부에 접촉되는 패들 전극을 포함한다. Today, defibrillators are widely used in emergency rooms and operating rooms, and automatic defibrillators (AEDs) are also available in public places such as shopping malls and subway stations. In addition, in recent years, people with a greater risk of ventricular fibrillation may use an implantable defibrillator that automatically delivers an electrical shock when a change in heartbeat is detected. The defibrillator typically includes a body and a paddle coupled to the body for delivering an electrical stimulus to a human body, the paddle including a paddle electrode contacting the skin for delivery of an electrical stimulus.
제세동은 충분한 양의 전류가 심장을 지나도록 하는데, 심장을 지나가는 전류의 양을 결정하는 인자는 선택한 에너지(joules)와 경흉 저항(transthoracic impedance)이다. 경흉 저항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선택한 에너지의 양, 패들 전극의 크기, 패들에 주어지는 압력, 패들 전극과 피부 간의 밀착 정도 등이다. 따라서 이식형 제세동기를 제외하고는,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손에든 패들을 강하게 누르고 패들 전극과 피부와의 사이에 젤이나 크림 등을 바르거나 넣어야 한다.Defibrillation allows a sufficient amount of current to pass through the heart, and the factor that determines the amount of current passing through the heart is the selected energy (joules) and transthoracic impedance. Factors influencing the thoracic aortic resistance include the amount of energy selected, the size of the paddle electrod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addle, and the degree of contact between the paddle electrode and the skin. Therefore, with the exception of implantable defibrillators, to reduce the resistance, you must press the paddles firmly in your hand and apply or place gels or creams between the paddle electrodes and the skin.
즉, 제세동기의 패들 전극을 이용하는 경우, 피부와의 밀착력 증가 및 피부 화상 방지 등을 위하여, 외부의 통에 보관되는 젤을 전극에 짜서 바르고 환자에게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외부 통에 젤을 보관하여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아울러, 이러한 젤의 사용으로 패들 전극이 쉽게 부식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많이 사용되는 자동 제세동기의 경우, 전문가가 아닌 젤의 적당 사용량에 대한 지식이 없는 일반인이 사용하는 것으로서 젤 사용법의 미숙으로 인한 피부 화상 또는 전기 자극의 감소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That is, when the paddle electrode of the defibrillator is used, a gel stored in an outer case is worn on the electrode and used for patients in order to increase adhesion with the skin and prevent skin burn. However, this method inconveniences the need to store the gel in the outer cylinder.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use of such a gel easily corrodes the paddle electrod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which is frequently used recently, it is used by a general person who does not have knowledge about the proper amount of the gel, which is not an expert, and the problem of reduction of skin burn or electric stimulation due to immaturity of the gel usage method may occur.
또한, 선등록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3051호에서는 하이드로겔 점착제가 구비된 전극을 제안하였으나, 일회용이 아닌 제세동기의 패들 전극에 습식의 점착제가 계속적으로 부착된 형태여서 보관 및 위생의 문제가 제시되었다.In addition,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23051, which was previously registered, proposes an electrode provided with a hydrogel adhesive, but since the wet adhesive is continuously attached to the paddle electrode of the defibrillator, which is not disposable, .
그리고 선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4088호에서는 젤 공급이 가능한 전극 패드를 제안하였으나, 사용 편의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Korean Patent No. 10-1584088, which is registered in advance, has proposed an electrode pad capable of supplying a gel, but has a drawback in that it is not easy to us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세동기용 전극 패드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젤 사용이 요구되지 않아 제세동기 패들의 부식을 방지해주고, 환자의 피부 손상을 안정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de pad for a defibrillator that can be used as a disposable device, thereby preventing corrosion of the defibrillation paddle by preventing the use of a separate gel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patient's skin stably.
또한, 젤 사용법의 미숙으로 인한 피부 화상 또는 전기 자극의 감소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다.It also solves the problem of reduction of skin burn or electric stimulation due to immaturity of gel usag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제세동기용 전극 패드는, 중심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며, 저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비전도성의 접착 패드와, 상기 접착 패드의 개구부에 위치되는 전도성의 하이드로겔과, 상기 하이드로겔의 상면에 적층되는 전극판과, 중심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착 패드의 상면에 적층되는 고정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de pad for a disposable defibrillator, including: a nonconductive adhesive pad having an opening at the center thereof and having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bottom thereof; and a conductive hydrogel An electrode plate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ydrogel, and a stationary cover having an opening at the central portion and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pad.
상기 전극판의 크기가 상기 하이드로겔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고정 커버의 개구부가 상기 접착 패드의 개구부보다 작아, 상기 고정 커버가 상기 접착 패드, 상기 전극판 및 상기 하이드로겔을 고정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ze of the electrode plate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hydrogel and the opening of the fixed cover is smaller than the opening of the adhesive pad so that the fixed cover fixes the adhesive pad, the electrode plate, and the hydrogel. do.
상기 접착 패드의 저면과 상기 전도성의 하이드로겔의 저면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adhesive pa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uctive hydrogel.
상기 전도성의 하이드로겔에 열처리된 지렁이 분말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And an earthworm powder heat-treated with the conductive hydrogel.
상기 전극판의 저면에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plate.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제세동기용 전극 패드에 의하면, 사용이 간편하고, 제세동기 패들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환자의 피부 손상을 안정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disposable defibrillator electrod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use, can prevent corrosion of defibrillation paddles, stably prevents damage to a patient's skin, and minimizes energy lo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제세동기 전극 패드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제세동기 전극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제세동기 전극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극 패드 저면에 이형필름이 추가로 적층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제세동기 전극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제세동기 전극 패드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osable defibrillator electrod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osable defibrillator electrod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osable defibrillator electrod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de pad of FIG. 3, in which a release film is further laminat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osable defibrillator electrode p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use state diagrams of the disposable defibrillator electrod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pecific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먼저, 종래 제세동기는 젤을 외부의 통에 보관하여 제세동기 사용 시 패들 전극에 젤을 짜서 바르고 환자에게 사용하는 방식을 따랐다. 따라서 외부 통에 따로 젤을 보관하여 구비하여야 하고, 젤 사용법의 미숙으로 인한 피부 화상 또는 전기 자극의 감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젤을 패들 전극에 직접 도포함으로써, 패들의 전극이 쉽게 부식되는 단점도 있었다. First, the conventional defibrillator kept the gel in the outside case, and when the defibrillator was used, the gel was applied to the paddle electrode and the device was used for pati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ore the gel separately in the outer cylinder and the problem of reduction of the skin burn or electrical stimulation due to immaturity of the gel usage method may occur. In addition, by directly applying the gel to the paddle electrode, the paddle electrode is easily corrod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일회용의 제세동기용 전극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전극 패드(A)는 본체와; 본체에 연결되며, 패들 전극을 포함하는 패들;을 구비한 종래 제세동기에 모두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즉, 본 발명의 일회용의 전극 패드(A)는 전극 패드(A)를 환자의 피부에 접착시킨 후, 상기 전극 패드(A)에 제세동기의 패들 전극을 접촉시키고, 제세동을 실시하는 것으로, 제세동기의 종류와 관계없이 모두 적용 가능한 것이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osable defibrillator electrode pad to overcome such disadvantages.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electrode pad (A)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conventional defibrillator including a paddle connected to a main body and including a paddle electrode. That is, the disposable electrode pad (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fter the electrode pad (A) is adhered to the skin of the patient, the paddle electrode of the defibrillato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de pad (A) Regardless of the type of motivation.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전극 패드(A)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중심부에 개구부(S1)를 구비하며, 저면에 접착층(11)이 형성된 비전도성의 접착 패드(1)와, 상기 접착 패드(1)의 개구부(S1)에 삽입되는 전도성의 하이드로겔(3)과, 상기 하이드로겔(3)의 상면에 적층되는 전극판(2)과, 중심부에 개구부(S4)를 구비하며, 상기 접착 패드(1)의 상면에 적층되는 고정 커버(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o 3, the disposable electrode pad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onconductive
먼저, 상기 접착 패드(1)는 저면에 접착층(11)이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되어 전극 패드(A)가 환자의 시술부위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착 패드(1)는 비전도성의 소재로 구성되어 제세동기의 패들 전극으로부터 전기 자극을 전달받을 수 없으며, 중심부에 개구부(S1)가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S1)에 상기 하이드로겔(3)이 삽입되는 것이다. First, the
여기서, 상기 접착 패드(1)의 재질은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비전도성의 재질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한데, 예시적으로 합성수지, 종이, 코팅지, 부직포 등 다양한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그 두께, 크기 역시 제한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개구부(S1)의 크기는 접착 패드(1) 전체 면적의 60~90%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후술될 하이드로겔(3)이 상기 개구부(S1)와 동일한 크기를 가져 상기 개구부(S1)에 삽입되므로, 필요 이상의 접착면을 가지면 전극 패드(A)의 크기가 필요 이상 커져 사용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Here, the material of the
또한, 상기 접착 패드(1)의 저면에 형성된 접착층(11)의 종류 역시 제한하지 않는바,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비전도성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정도면 족하다.In addition, the type of the
다음으로, 상기 접착 패드(1)의 개구부(S1)에 삽입되는 전도성의 하이드로겔(3)은 인체 피부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후술될 전극판(2)으로부터 전기 자극을 전달받아 인체에 전달해주며, 전기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하여 화상의 위험성을 줄여주고, 전극과 피부를 밀착시켜 주며, 전류 밀도를 균일하게 하여 에너지 손실 역시 최소화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전도성의 하이드로겔(3)은 종래 패들 전극에 직접 도포되는 젤을 대체하는 것으로, 패들 전극에 직접 도포되지 않아 패들 전극의 부식을 방지하며, 젤의 사용량에 대해 무지한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Next, the
이때, 상기 전도성의 하이드로겔(3)은 종래 게시된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한바, 예시적으로 아크릴산 및 비닐피롤리돈이 5:0.5~2.5 중량비 정도로 구성된 고분자 단량체 40~50중량%, 염화칼륨 등의 염 3~7중량%, 분자량 3만~4만의 폴리에틸렌옥시드와 같은 증점제 0.1~5중량%, 1-하이드록시시클로핵실페닐케톤 등의 가교제 0.01~0.1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가교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외 다양한 조성으로 구성된 전도성의 하이드로겔(3)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도성의 하이드로겔(3)이 갖는 점착성에 의해 환자의 피부에 전극 패드(A)가 점착, 고정되는 것이 아닌, 상기 접착 패드(1)의 접착층(11)에 의해 피부에 접착, 고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하이드로겔(3)이 거의 점착성을 갖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하이드로겔(3)의 점착성만을 이용하여 전극 패드를 구성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의 전극 패드(A)는 현저히 우수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pad A is adhered to the skin of the patient by the adhesive property of the
상기 전도성의 하이드로겔(3) 상면에 적층되는 전극판(2)은 제세동기의 패들 전극으로부터 전기 자극을 전달받아 인체에 제세동 쇼크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전극판(2)의 재질은 금속이면 족한바, 예시적으로 주석 또는 주석합금일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전극판(2)의 크기는 상기 하이드로겔(3)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 전극판(2)이 필요 이상 크면 전기 자극이 하이드로겔(3) 이외의 부분에도 전달되어 피부 손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size of the
또한, 상기 전극판(2)과 상기 전도성의 하이드로겔(3)은 전도성의 접착제에 의해 적층, 고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하이드로겔(3)의 접착력 또는 후술되는 고정 커버(4)에 의해서만 고정될 수도 있는바, 상기 전도성 접착제로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사용 가능하다. The
그리고 상기 고정 커버(4)는 상기 접착 패드(1), 상기 전극판(2) 및 상기 하이드로겔(3)을 상호 고정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접착 패드(1)와 동일하게 중심부에 개구부(S4)를 구비하여, 상기 전극판(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다만, 상기 고정 커버(4)의 개구부(S4)의 크기는 상기 접착 패드(1)의 개구부(S1)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전극판(2)의 크기보다도 작아야 하는데, 상기 고정 커버(4)가 상기 접착 패드(1)의 개구부(S1)에 삽입된 하이드로겔(3)과 상기 하이드로겔(3)에 적층되되 상기 하이드로겔(3)보다 크기가 작은 전극판(2)을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접착 패드(1)와 상기 전극판(2) 사이는 사면으로 약간의 유격이 생기게 되는데, 그 유격을 상기 고정 커버(4)가 고정해준다. 이로 인해 상기 접착 패드(1)가 신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전극판(2)과 상기 전극판(2)의 저면에 부착된 하이드로겔(3)이 움직일 수 있게 되므로, 전극 패드(A)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세동기 패들을 전극판(2) 위에 놓고 누르면 하이드로겔(3)이 인체에 더욱 밀착되어 부착되게 되고, 패들을 강하게 누르더라도 전극 패드(A)가 인체에서 떨어지는 것을 막아준다. The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 커버(4)의 재질 역시 제한하지 않는데, 상기 접착 패드(1)와 같이, 비전도성의 재질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한데, 예시적으로 합성수지, 종이, 코팅지, 부직포 등 다양한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그 두께 역시 제한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of the fixed
아울러, 도 4와 같이, 상기 접착 패드(1)와 상기 전도성의 하이드로겔(3)의의 저면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필름(5)이 추가로 적층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며, 이때 이형필름(5)의 재질 역시 공지된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함은 당연하다.4, a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전극 패드(A)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별도의 젤 사용이 방지되어 제세동기 패들 전극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환자의 피부 손상을 안정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pad A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prevent corrosion of the defibrillation paddle electrode by preventing the use of a separate gel, prevent damage to the patient's skin stably, The energy loss can be minimiz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극 패드(A)의 전도성 하이드로겔(3)은 열처리된 지렁이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열처리된 지렁이 분말을 더 포함함으로써, 화상의 위험을 더욱 예방할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열처리된 지렁이 분말은 화독(火毒)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고통을 완화시켜 주면서, 화상흔이 남지 않도록 피부의 재생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처리된 지렁이 분말이란 탄화시킨 지렁이를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한 것을 의미하는바, 분말의 입도는 5~500㎛ 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처리란, 지렁이를 100~300℃의 온도에서 10~60분간 가열하는 정도면 족하다. The heat-treated earthworm powder quickly removes toxic poison and alleviates pain, and plays a role in effectively regenerating the skin so as not to leave any scars. The heat-treated earthworm powder means that the carbonized earthworm is ground to produce powder,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powder is preferably 5 to 500 μm. The heat treatment is sufficient to heat the earthworm at a temperature of 100 to 300 DEG C for 10 to 60 minutes.
본 발명에서 상기 열처리된 지렁이 분말은, 가교전 전도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100중량%에 2~5중량%의 범위, 즉 예시적으로 고분자 단량체 40~50중량%, 염 3~7중량%, 증점제 0.1~5중량%, 가교제 0.01~0.1중량%, 열처리된 지렁이 분말 2~5중량% 및 잔량의 물로 포함됨이 바람직한바, 상기 열처리된 지렁이 분말이 5중량%를 초과하면 하이드로겔(3)의 물성이 저하되며, 2중량% 미만이면 화상 예방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treated earthworm powder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2 to 5% by weight, for example, 40 to 50% by weight of a polymer monomer, 3 to 7% by weight of a salt, 0.1 to 3% 5 to 5%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0.01 to 0.1%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2 to 5% by weight of a heat-treated earthworm powder and a residual amount of water. If the heat treated earthworm powder exceeds 5% by weight, the properties of the hydrogel (3) If the amount is less than 2% by weight,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n image deteriorates.
또한,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2)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요철(21)을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전극판(2)의 저면에 미세 요철(21)을 형성하면, 패들에 압력을 가할 시 환자의 신체에 닿는 전극판(2)의 표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신체 접촉성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요철은 그 모양에 제한이 없으나, 완만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5, a plurality of
본 발명에 따른 전극 패드(A)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도 6 및 7에서와 같이, 상기 전극 패드(A)로부터 포장지나 이형필름(5)을 제거하고, 접착 패드(1) 저면의 접착층(11)을 통해 상기 전극 패드(A)를 환자의 시술 부위에 부착시킨다. 그리고 제세동기의 패들(100)의 패들 전극을 상기 전극 패드(A)의 상면으로 노출된 전극판(2)에 직접 접촉시켜 전기 자극을 인가함으로써, 별도의 젤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전기 자극을 안정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게 된다.6 and 7, the packaging or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전극 패드(A)는 그 사용이 쉽고, 간편하여 의료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도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pad 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used and can be easily used by ordinary people who do not have medical knowledg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접착 패드 2 : 전극판
3 : 전도성 하이드로겔 4 : 고정 커버
5 : 이형필름
11: 접착층1: Adhesive pad 2: Electrode plate
3: Conductive hydrogel 4: Fixed cover
5: release film
11: Adhesive layer
Claims (5)
상기 접착 패드(1)의 개구부(S1)에 삽입되는 전도성의 하이드로겔(3)과,
상기 하이드로겔(3)의 상면에서 상기 하이드로겔(3)보다는 작은 크기로 적층되는 전극판(2)과,
중심부에는 상기 전극판(2)보다 작은 개구부(S4)를 구비하며, 상기 접착 패드(1)의 상면에 적층되는 고정 커버(4) 및
상기 접착 패드(1)의 접착층(11) 저면과 상기 전도성의 하이드로겔(3)의 저면을 보호하도록 탈부착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보호필름(5)을 구비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제세동기 전극 패드.
A nonconductive adhesive pad 1 having an opening S1 at the center and an adhesive layer 1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 conductive hydrogel 3 inserted into the opening S1 of the bonding pad 1,
An electrode plate (2)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ydrogel (3) to a size smaller than the hydrogel (3)
(4) having an opening (S4) smaller than the electrode plate (2) at the center and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pad (1)
And a protection film (5) detachably attached so as to protect the bottom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1) of the adhesive pad (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uctive hydrogel (3). The disposable defibrillator electrode pad .
상기 전도성의 하이드로겔(3)에 열처리된 지렁이 분말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제세동기 전극 패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ive hydrogel (3) comprises earthworm powder heat-treated.
상기 전극판(2)의 하이드로겔(3)측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요철(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제세동기 전극 패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21) ar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plate (2) on the side of the hydrogel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1903A KR101889802B1 (en) | 2017-04-21 | 2017-04-21 | Electrodes pad for defibrill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1903A KR101889802B1 (en) | 2017-04-21 | 2017-04-21 | Electrodes pad for defibrill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9802B1 true KR101889802B1 (en) | 2018-08-20 |
Family
ID=6344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1903A Active KR101889802B1 (en) | 2017-04-21 | 2017-04-21 | Electrodes pad for defibrill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9802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3051Y1 (en) | 2003-05-09 | 2003-08-14 | (주)바이오첵 | Antimicrobial hydrogel adhesives and biomedical electrode containing them |
KR20100025321A (en) * | 2008-08-27 | 2010-03-09 | 주식회사 바이오프로테크 | Tab electrode and wire leading to the same |
KR101325608B1 (en) * | 2011-05-13 | 2013-11-06 | 김일광 | Compositions for burn treatment, and producing method of the same |
US20140012360A1 (en) * | 2011-03-28 | 2014-01-09 | Koninklijke Philips N.V. | Defibrillator electrode pad with two peel tabs |
KR20150118703A (en) * | 2014-04-15 | 2015-10-23 | 주식회사 오성전자 | A defibrillator paddles with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method thereof |
KR101584088B1 (en) | 2014-04-09 | 2016-01-12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Electrodes pad capable of suppling gel defibrillator having thereof |
-
2017
- 2017-04-21 KR KR1020170051903A patent/KR10188980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3051Y1 (en) | 2003-05-09 | 2003-08-14 | (주)바이오첵 | Antimicrobial hydrogel adhesives and biomedical electrode containing them |
KR20100025321A (en) * | 2008-08-27 | 2010-03-09 | 주식회사 바이오프로테크 | Tab electrode and wire leading to the same |
US20140012360A1 (en) * | 2011-03-28 | 2014-01-09 | Koninklijke Philips N.V. | Defibrillator electrode pad with two peel tabs |
KR101325608B1 (en) * | 2011-05-13 | 2013-11-06 | 김일광 | Compositions for burn treatment, and producing method of the same |
KR101584088B1 (en) | 2014-04-09 | 2016-01-12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Electrodes pad capable of suppling gel defibrillator having thereof |
KR20150118703A (en) * | 2014-04-15 | 2015-10-23 | 주식회사 오성전자 | A defibrillator paddles with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37701B2 (en) | Long term wear multifunction biomedical electrode | |
US20220088371A1 (en) | Long-term wear electrode | |
US11712575B2 (en) | Wearable multiphasic cardioverter defibrillator system and method | |
US5366497A (en) | Non-invasive, radiolucent cardiac electrode | |
US6134479A (en) | Electrode triad for external defibrillation | |
US6178357B1 (en) | Electrode pad system and defibrillator electrode pad that reduces the risk of peripheral shock | |
US11147962B2 (en) | Multipart non-uniform patient contact interface and method of use | |
US4196737A (en) | Transcutaneous electrode construction | |
JP7015693B2 (en) | Multi-vector patient electrode system and usage | |
JPH0341190B2 (en) | ||
EP2691146B1 (en) | Defibrillator electrode pad with two peel tabs | |
JP2015521085A5 (en) | ||
US6526303B1 (en) | Disposable defibrillation and external pacing electrode | |
EP3307152A1 (en) | Multivector patient contact interface and method of use | |
US11771887B2 (en) | Configurable electrodes and sensors | |
KR101584088B1 (en) | Electrodes pad capable of suppling gel defibrillator having thereof | |
JPS60156475A (en) | Device for iontopholesis | |
KR101889802B1 (en) | Electrodes pad for defibrillation | |
CN218833401U (en) | Conductive adhesive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for a defibrillator | |
WO2006072834A2 (en) | Stable electrode and uses thereof | |
JPS6316347Y2 (en) | ||
Simpson | How to use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following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 |
CN201783086U (en) | Defibrillation electrode | |
JPH03268768A (en) | Foot surface curing film | |
HK1223874B (en) | Wearable multiphasic cardioverter defibrillator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1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