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88332B1 -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 - Google Patents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332B1
KR101888332B1 KR1020180022680A KR20180022680A KR101888332B1 KR 101888332 B1 KR101888332 B1 KR 101888332B1 KR 1020180022680 A KR1020180022680 A KR 1020180022680A KR 20180022680 A KR20180022680 A KR 20180022680A KR 101888332 B1 KR101888332 B1 KR 101888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arriage
preheating
forming
se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호
Original Assignee
강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호 filed Critical 강성호
Priority to KR1020180022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3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57Producing floor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2Preparation of the material, in the area to be joined, prior to joining or welding
    • B29C66/022Mechanical pre-treatments, e.g. reshaping
    • B29C66/0224Mechanical pre-treatments, e.g. reshaping with removal of material
    • B29C66/02241Cutting, e.g. by using waterjets, or s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2Preparation of the material, in the area to be joined, prior to joining or welding
    • B29C66/024Thermal pre-treatments
    • B29C66/0246Cutting or perforating, e.g. burning away by using a laser or using hot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2035/0283Thermal pretreatment of the plastics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1)이 권취되는 권취롤(10); 상기 권취롤(10)에서 권출되는 원단(1)을 커팅하는 커팅기(20); 상기 커팅기(20)에서 커팅된 원단(1)의 양단을 고정하는 예열대차(30); 상기 예열대차(30)에 고정된 원단(1)을 예열하는 예열기(40); 상기 예열대차(30)에서 이송된 원단(1)이 안착되는 포밍대차(50); 상기 포밍대차(50)에 안착된 원단(1)을 프레스하는 포밍프레스(60); 접착제가 도포된 쿠션패드(2)가 거치되는 쿠션대차(70); 상기 포밍대차(50)에 안착된 원단(1)을 잡아서 상기 쿠션대차(70)에 거치된 쿠션패드(2)에 압착하여 원단(1)과 쿠션패드(2)가 접합된 바닥재를 제조하는 승하강이송부(80); 상기 승하강이송부(80)에 잡혀서 이송된 바닥재가 안착되는 절단데크(90); 및 상기 절단데크(90)에 안착된 바닥재에 다수의 홀을 형성하는 워터젯(100);을 포함하는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Manufacturing equipment of floor ma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의 바닥재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 중에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음과, 도어, 헤드라이너 및 차량의 바닥 등을 통해 주행 중의 소음 및 진동음이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에, 엔진의 소음을 차단, 제진, 흡음하는 기능과 주행 중 발생하는 저주파, 고주파의 복합에너지를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량의 실내에 바닥재를 설치하여 왔다. 바닥재의 상면에는 편의성 및 미관을 고려하여 카페트가 설치된다. 카페트는 주로 먼지를 흡수하는 섬유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03-0079359호는 폐우레탄 범퍼를 이용한 바닥재 제조 방법에 있어서, a)자동차의 폐우레탄 범퍼를 일정크기의 입도로 분쇄하여 수집하는 단계, b)상기 수집된 분쇄물을 폴리올(Polyol)과 이소시아네이트(Isocianate)와 함께 물리적 혼합에 의해 교반하는 단계, 및 c)상기 교반된 혼합물을 금형에 주입하여 소정의 시간이 지난후 폴리우레탄폼을 탈형시켜 완전경화시키는 단계 d)상기 b)단계에 있어서, 혼합을 위한 온도는 58 내지 62도로 하는 폐우레탄 범퍼를 이용한 바닥재 제조 방법을 공개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바닥재가 인체에 유해한 폴리우레탄폼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바닥재를 제조하는 작업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바닥재의 제조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의 인건비가 필요하며 제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3-0079359호(2003.10.1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바닥재를 자동으로 제조하여 원재료의 화학성분에 의해 작업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인건비를 저감할 수 있으며, 제조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는 원단(1)이 권취되는 권취롤(10); 상기 권취롤(10)에서 권출되는 원단(1)을 커팅하는 커팅기(20); 상기 커팅기(20)에서 커팅된 원단(1)의 양단을 고정하는 예열대차(30); 상기 예열대차(30)에 고정된 원단(1)을 예열하는 예열기(40); 상기 예열대차(30)에서 이송된 원단(1)이 안착되는 포밍대차(50); 상기 포밍대차(50)에 안착된 원단(1)을 프레스하는 포밍프레스(60); 접착제가 도포된 쿠션패드(2)가 거치되는 쿠션대차(70); 상기 포밍대차(50)에 안착된 원단(1)을 잡아서 상기 쿠션대차(70)에 거치된 쿠션패드(2)에 압착하여 원단(1)과 쿠션패드(2)가 접합된 바닥재를 제조하는 승하강이송부(80); 상기 승하강이송부(80)에 잡혀서 이송된 바닥재가 안착되는 절단데크(90); 및 상기 절단데크(90)에 안착된 바닥재에 다수의 홀을 형성하는 워터젯(1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이송부(80)는 상기 포밍프레스(60)의 후방에 설치되는 이송프레임(81)과, 상기 이송프레임(81)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이송레일(82)과, 상기 이송레일(82)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이송슬라이드(83)와, 상기 이송슬라이드(83)에 설치되는 승하강엑츄에이터(84)와, 상기 승하강엑츄에이터(84)의 로드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승하강되는 승하강가이드(85)와, 상기 승하강가이드(85)의 둘레면에 설치되어 원단(1)의 테두리를 잡는 클램프(8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86)는 상기 승하강가이드(85)의 둘레면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공압실린더(86-2)에 의해 서로 벌어졌다가 오므려져서 원단(1)의 테두리를 잡는 한 쌍의 회동바(86-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동바(86-1)는 L자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이송부(80)는 상기 이송슬라이드(83)를 관통하여 상기 승하강가이드(85)에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가이드(85)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87)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는 차량의 바닥재를 자동으로 제조하여 바닥재를 제조하는 작업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인건비를 저감할 수 있으며, 제조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이송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는 권취롤(10), 커팅기(20), 예열대차(30), 예열기(40), 포밍대차(50), 포밍프레스(60), 쿠션대차(70), 승하강이송부(80), 절단데크(90), 워터켓을 포함한다.
상기 권취롤(10)은 원단(1)이 권취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통상의 롤을 사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커팅기(20)는 상기 권취롤(10)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권취롤(10)에서 권출되는 원단(1)을 커팅한다. 이 때, 상기 커팅기(20)에서 커팅된 원단(1)은 판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예열대차(30)는 상기 커팅기(20)의 후방에 예열레일(35)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커팅기(20)에서 커팅된 원단(1)의 양단을 고정한다. 이 때,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예열레일(35)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예열기(40)는 상기 예열대차(30)에 고정된 원단(1)을 예열하여 원단(1)의 경도를 저하시킨다.
이 때, 상기 예열기(40)는 상기 예열대차(30)에 고정된 원단(1)을 제1차 및 제2차로 예열할 수 있으며, 제1예열부재(41) 및 제2예열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예열부재(41) 및 제2예열부재(42)는 원단(1)을 180도 내지 200에서 예열할 수 있으며, 모두 적외선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밍대차(50)는 상기 예열대차(30)의 후방에 포밍레일(55)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예열대차(30)에서 이송된 원단(1)이 안착된다. 이 때,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포밍레일(55)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 상기 포밍대차(50)는 원단(1)이 안착되는 상면에 차량의 바닥형상에 대응하는 성형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포밍대차(50)는 상기 예열대차(30)보다 좌우방향 폭이 좁게 형성되어 상기 예열대차(30)의 중심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예열대차(30)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예열대차(30)에서 이탈된 원단(1)이 얹어질 수 있다.
상기 포밍프레스(60)는 상기 포밍대차(50)에 안착된 원단(1)을 프레스한다. 좀 더 상세하게, 상기 포밍프레스(60)는 원단(1)을 프레스하는 하면에 차량의 바닥형상에 대응하는 돌출면이 원단(1)을 상기 안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프레스한다.
상기 쿠션대차(70)는 상기 포밍프레스(60)의 후방에 쿠션레일(76)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접착제분사기(75)에서 분사된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의 쿠션패드(2)가 거치된다. 이 때,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쿠션레일(76)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승하강이송부(80)는 상기 포밍대차(50)에 안착되어 있던 원단(1)을 잡아서 상기 쿠션대차(70)에 거치된 쿠션패드(2)에 압착하여 원단(1)과 쿠션패드(2)가 접합된 바닥재를 제조한다.
상기 절단데크(90)는 상기 승하강이송부(80)에 잡혀서 이송된 바닥재가 안착된다. 이 때, 상기 승하강이송부(80)는 상기 절단데크(90)에 바닥재를 안착한 후, 원위치로 귀환된다.
상기 워터젯(100)은 상기 절단데크(90)에 안착된 바닥재에 차량의 바닥 조립에 필요한 다수의 홀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는 차량의 바닥재를 자동으로 제조하여 바닥재를 제조하는 작업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인건비를 저감할 수 있으며, 제조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이송부(8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이송부(80)는 이송프레임(81), 이송레일(82), 이송슬라이드(83), 승하강엑츄에이터(84), 승하강가이드(85), 클램프(86)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프레임(81)은 상기 포밍프레스(60)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이송레일(82)은 상기 이송프레임(81)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이송슬라이드(83)는 상기 이송레일(82)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승하강엑츄에이터(84)는 상기 이송슬라이드(83)에 설치되며, 로드가 승하강된다.
상기 승하강가이드(85)는 상기 승하강엑츄에이터(84)의 로드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승하강된다.
상기 클램프(86)는 상기 승하강가이드(85)의 둘레면에 설치되어 원단(1)의 테두리를 잡는다.
이 때, 상기 클램프(86)는 상기 승하강가이드(85)의 둘레면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공압실린더(86-2)(미도시)에 의해 서로 벌어졌다가 오므려져서 원단(1)의 테두리를 잡는 한 쌍의 회동바(86-1)를 포함한다.
즉, 상기 클램프(86)는 한 쌍의 상기 회동바(86-1)의 벌어짐과 오므려짐을 통해 원단(1)의 테두리를 매우 간편하게 잡거나 놓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바(86-1)는 L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바(86-1)는 원단(1)의 테두리를 마치 인체의 이빨처럼 잡아서 원단(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이송부(80)는 상기 이송슬라이드(83)를 관통하여 상기 승하강가이드(85)에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가이드(85)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87)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봉(87)은 상기 승하강가이드(85)가 상하방향에서 어긋나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상기 회동바(86-1)는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에 다수의 융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원단(1)의 테두리를 좀 더 견고하게 잡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원단
2 : 쿠션패드
10 : 권취롤
20 : 커팅기
30 : 예열대차
35 : 예열레일
40 : 예열기
41 : 제1예열부재
42 : 제2예열부재
50 : 포밍대차
55 : 포밍레일
60 : 포밍프레스
70 : 쿠션대차
75 : 접착제분사기
76 : 쿠션레일
80 : 승하강이송부
81 : 이송프레임
82 : 이송레일
83 : 이송슬라이드
84 : 승하강엑츄에이터
85 : 승하강가이드
86 : 클램프
86-1 : 회동바
86-2 : 공압실린더
87 : 가이드봉
90 : 절단데크
100 : 워터젯

Claims (5)

  1. 원단(1)이 권취되는 권취롤(10);
    상기 권취롤(10)에서 권출되는 원단(1)을 커팅하는 커팅기(20);
    상기 커팅기(20)에서 커팅된 원단(1)의 양단을 고정하는 예열대차(30);
    상기 예열대차(30)에 고정된 원단(1)을 예열하는 예열기(40);
    상기 예열대차(30)에서 이송된 원단(1)이 안착되는 포밍대차(50);
    상기 포밍대차(50)에 안착된 원단(1)을 프레스하는 포밍프레스(60);
    접착제분사기(75)에서 분사된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의 쿠션패드(2)가 거치되는 쿠션대차(70);
    상기 포밍대차(50)에 안착된 원단(1)을 잡아서 상기 쿠션대차(70)에 거치된 쿠션패드(2)에 압착하여 원단(1)과 쿠션패드(2)가 접합된 바닥재를 제조하는 승하강이송부(80);
    상기 승하강이송부(80)에 잡혀서 이송된 바닥재가 안착되는 절단데크(90); 및
    상기 절단데크(90)에 안착된 바닥재에 수압의 힘으로 다수의 홀을 형성하는 워터젯(100);를 포함하되,
    상기 승하강이송부(80)는 상기 포밍프레스(60)의 후방에 설치되는 이송프레임(81)과,
    상기 이송프레임(81)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이송레일(82)과,
    상기 이송레일(82)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이송슬라이드(83)와,
    상기 이송슬라이드(83)에 설치되는 승하강엑츄에이터(84)와,
    상기 승하강엑츄에이터(84)의 로드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승하강되는 승하강가이드(85)와,
    상기 승하강가이드(85)의 둘레면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공압실린더(86-2)에 의해 서로 벌어졌다가 오므려져서 원단(1)의 테두리를 잡는 한 쌍의 회동바(86-1)를 갖는 클램프(86)를 포함하며,
    상기 포밍대차(50)는 상기 예열대차(30) 보다 좌우방향 폭이 좁게 형성되어 상기 예열대차(30)의 중심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예열대차(30)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예열대차(30)에서 이탈된 원단(1)이 얹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86-1)는
    L자 구조로 형성되는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이송부(80)는
    상기 이송슬라이드(83)를 관통하여 상기 승하강가이드(85)에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가이드(85)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87)을 포함하는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
KR1020180022680A 2018-02-26 2018-02-26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 Active KR101888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680A KR101888332B1 (ko) 2018-02-26 2018-02-26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680A KR101888332B1 (ko) 2018-02-26 2018-02-26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332B1 true KR101888332B1 (ko) 2018-08-13

Family

ID=63250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680A Active KR101888332B1 (ko) 2018-02-26 2018-02-26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3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805B1 (ko) * 2019-05-14 2019-11-27 동진이공(주) 자동차 카페트 보강판용 자동 부착장치
CN113977967A (zh) * 2021-11-09 2022-01-28 鼎鸣新材料(常州)有限公司 一种wpc地板上下层贴合装置
KR102404568B1 (ko) * 2021-03-02 2022-06-08 동진이공(주)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463A (ko) * 2001-10-04 2001-11-09 최봉교 자동차 내장재 가공용 성형장치
KR200299852Y1 (ko) * 2002-07-15 2003-01-06 김종무 자동차 도어트림용 내장재 접합장치
KR20030079359A (ko) 2002-04-03 2003-10-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우레탄 범퍼를 이용한 바닥재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463A (ko) * 2001-10-04 2001-11-09 최봉교 자동차 내장재 가공용 성형장치
KR20030079359A (ko) 2002-04-03 2003-10-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우레탄 범퍼를 이용한 바닥재 제조 방법
KR200299852Y1 (ko) * 2002-07-15 2003-01-06 김종무 자동차 도어트림용 내장재 접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805B1 (ko) * 2019-05-14 2019-11-27 동진이공(주) 자동차 카페트 보강판용 자동 부착장치
KR102404568B1 (ko) * 2021-03-02 2022-06-08 동진이공(주)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
CN113977967A (zh) * 2021-11-09 2022-01-28 鼎鸣新材料(常州)有限公司 一种wpc地板上下层贴合装置
CN113977967B (zh) * 2021-11-09 2024-05-17 鼎鸣新材料(常州)有限公司 一种wpc地板上下层贴合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332B1 (ko) 차량용 바닥재의 제조 설비
JP3803087B2 (ja) シェル型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部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DE69813559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innenpanelen für fahrzeuge
KR102189368B1 (ko) 자동차 내장재의 스킨 부착 자동화 장치
KR101664793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US200600120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a laminated trim component without use of slip frame
KR200299852Y1 (ko) 자동차 도어트림용 내장재 접합장치
JPS6127168B2 (ko)
KR20190090475A (ko)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시스템
KR100945848B1 (ko) 표피재가 인서트 되는 다중 사출성형장치 및 그를 이용한사출성형방법
KR102066509B1 (ko) 리얼 스티치가 스킨과 코어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장재 제조방법
CN217862900U (zh) 汽车备胎盖板及加工模具
KR20100013224A (ko) 서보 톰슨 프레스의 이송 테이블
KR102099808B1 (ko) 리얼 스티치가 스킨과 코어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장재 제조방법
JPH0637067B2 (ja) 合成樹脂成形装置
KR101395308B1 (ko) 선바이저 성형장치
CN108068289A (zh) 用于制造带状物的方法、复合材料以及内饰件
EP0128638A2 (en) A method of forming a laminated product
CN210070436U (zh) 一种红外线加热炉
KR100998840B1 (ko) 자동차용 크래쉬 패드 스킨 탈형장치
KR101457408B1 (ko) 자동차 필러 트림의 제작 금형
JP2021049683A (ja) 乗物用内装材の製造方法及び乗物用内装材
CN212922204U (zh) 一种海绵内套套袋机用包缝系统
KR102404568B1 (ko) 차량용 카페트 성형 자동화 장치
KR102098214B1 (ko) 이동금형을 구비한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내장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