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88282B1 - Flavor inhalator - Google Patents

Flavor inha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282B1
KR101888282B1 KR1020167008832A KR20167008832A KR101888282B1 KR 101888282 B1 KR101888282 B1 KR 101888282B1 KR 1020167008832 A KR1020167008832 A KR 1020167008832A KR 20167008832 A KR20167008832 A KR 20167008832A KR 101888282 B1 KR101888282 B1 KR 101888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ource
carbon heat
ignition
carbon
cav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8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2672A (en
Inventor
타케시 아키야마
마나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52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6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28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10Devices with chemical heating means
    • A24F47/006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5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comprising as heat source a carbon fuel or an oxidized or thermally degraded carbonaceous fuel, e.g. carbohydrates, cellulos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2Cigarettes with integrated combustible heat sources, e.g. with carbonaceous hea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60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8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with a flame, e.g. using a bur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향미 흡인구(1)는, 탄소 열원(10)과 통 모양의 외벽(31)을 가진 지지부(3)를 구비한다. 탄소 열원(10)은, 탄소 열원(10)의 길이 축 방향(L)을 따라 이어지는 1개의 공동(11A)이 설치되어 있는 원통부(11)와 원통부(11)보다도 탄소 열원(10)의 착화측에 설치된 착화단부(12)를 구비하고 있으며, 착화단부(12)의 착화측의 단면(10a)에 공동(11A)과 연통하는 홈(12X)이 형성되어 있다. 외벽(31)은, 열 전도 부재(312)를 구비하고 있고, 열 전도 부재(312)의 적어도 일부는, 탄소 열원(10)에 인접한다.The flavor absorption member 1 has a support portion 3 having a carbon heat source 10 and a tubular outer wall 31. The carbon heat source 10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11 provided with one cavity 11A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and a cylindrical portion 11 formed of a carbon heat source 10 And an ignition end 12 provided on the ignition side and a groove 12X communicating with the cavity 11A is formed in the end face 10a of the ignition end 12 on the ignition side. The outer wall 31 has a heat conduction member 312 and at least a part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is adjacent to the carbon heat source 10.

Figure R1020167008832
Figure R1020167008832

Description

향미 흡인구{FLAVOR INHALATOR}{FLAVOR INHALATOR}

본 발명은 향미(香味) 흡인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vor attracting population.

종래, 탄소 열원을 갖고, 이러한 탄소 열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향미 발생원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향미 흡인구에 대해서, 여러가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Various proposals have been made for a flavor absorption population having a carbon heat source and configured to heat a flavor source by heat generated from such a carbon heat source.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착화성(着火性)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착화단(착화측의 단면)에 착화단을 가로지르는 골(홈)이 형성된 탄소 열원을 갖는 향미 흡인구가 기재되어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in order to improve ignitability, a flavor absorption population having a carbon heat source in which a valley (groove) crossing the ignition end is formed at the ignition end (end face on the ignition side) have.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직경 1.5mm ~ 3mm의 관통공을 가진 원기둥 모양의 탄소 열원을 갖는 향미 흡인구가 기재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describes a flavor absorption population having a cylindrical heat source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a through hole having a diameter of 1.5 mm to 3 mm.

여기에서, 향미 흡인구에 이용되는 탄소 열원은, 아래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rbon heat source used for the flavor absorption population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s.

첫번째 조건은, 연소 개시시부터 초기 퍼프(흡연)시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착화성이 양호하고, 충분한 열량을 공급하는 것이다.The first condition is that in a period from the start of combustion to the initial puff (smoking), the ignitability is good and a sufficient amount of heat is supplied.

또한, 두번째 조건은, 중반부터 후반까지의 퍼프(흡연)시에, 발열량의 변동이 적고, 안정된 열량을 공급하는 것이다.The second condition is that the calorific value fluctuates little and the stable calorie is supplied at the time of puff (smoking) from the middle to the second half.

또한, 세번째 조건은, 연소 종료시에 확실하게 소화시키는 것이다.The third condition is to reliably extinguish at the end of combustion.

이에 대해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탄소 열원은, 착화단에 형성된 홈에 의해, 연소 개시시부터 초기 퍼프시까지의 기간에서 착화성에 대해서는 향상시킬 수 있지만, 라이터 등의 착화원 및 착화 단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켰을 뿐, 연소 개시시부터 초기 퍼프시까지의 기간에서 공기 유로에 대해서 착화 단부에 효율적으로 열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 효과는 불충분하다.On the other hand, the carbon heat sour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can improve the ignitability in the period from the start of combustion to the initial puff time by the grooves formed in the ignition end, but the carbon source of the ignition source such as the lighter and the ignition end The effect is not sufficient because the contact area is increased and the heat is not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ignition end with respect to the air flow path from the start of combustion to the initial puff time.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탄소 열원은, 탄소 열원에서 발생한 열을 그 탄소 열원의 포위 부재나 지지 부재를 통해서 향미 발생원에 전달하는 구성의 향미 흡인구에서 이용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으므로, 탄소 열원에서 발생한 열을 주로 대류열로 향미 발생원에 전달하는 구성의 향미 흡인구로 이용된 경우에는, 중반부터 후반까지의 퍼프시에 안정된 열량 공급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t is assumed that the carbon heat sour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used in a flavor absorption population configured to transmit heat generated from a carbon heat source to a flavor generating source through a surrounding member or a supporting member of the carbon heat source. Is used as a flavor suction port in which the heat generated in the puff chamber is mainly conveyed to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by the convection hea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upply the stable heat quantity in the puff from the middle to the late stage.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탄소 열원은, 전체 길이에 걸쳐서 균일한 원기둥 모양이므로, 즉, 착화단에 홈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라이터 등의 착화원으로는, 착화단에 효율적으로 열을 전달하기가 곤란하고, 연소 개시시부터 초기 퍼프시까지의 기간에, 양호한 착화성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arbon heat sour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has a uniform cylindrical shape over the entire length, that is, the grooves are not formed in the ignition end, the ignition source such as a lighter, which is generally circulated,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transfer heat to the stage,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good ignitability during the period from the start of combustion to the initial stage of puffing.

이들, 특허문헌 1 및 2와 같이, 종래의 일체 성형된 탄소 열원에서, 연소 개시시부터 초기 퍼프시의 양호한 착화성과, 중반부터 후반까지 퍼프시의 안정된 열량 공급을 양립하는 것은 매우 곤란했다. 또한, 연소 종료시에 연소를 소화(消火)시킨다는 점에서도 대책이 요망되고 있다.As in Patent Documents 1 and 2, it has been very difficult to achieve both good ignition during initial puffing from the start of combustion and stable supply of calorific value during puffing from the middle to the late stage in conventional single-body carbon heat sources. In addition, countermeasures are also required in that combustion is extinguished at the end of combustion.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평 5-103836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5-103836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표 2010-535530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0-535530

제1의 특징은, 막대 모양의 탄소 열원(10)과, 상기 탄소 열원을 지지하는 통 모양의 외벽을 가진 지지부를 구비하는 향미 흡인구로서, 상기 탄소 열원은, 상기 탄소 열원의 길이 축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1개의 공동(空洞)이 마련되어 있는 통부(筒部)와, 상기 통부보다도 상기 탄소 열원의 착화측에 마련된 착화 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착화단부에서의 상기 착화측의 단면에, 상기 공동과 연통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착화 단부는, 상기 통부에 마련된 상기 공동의 연장 방향에서 상기 공동에 연통하는 공극(空隙)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홈은, 상기 공극과는 별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외벽은, 열 전도 부재(31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열 전도 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탄소 열원에 인접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The first feature is a flavor absorption population comprising a rod-shaped carbon heat source (10) and a support having a tubular outer wall for supporting the carbon heat source, wherein the carbon heat source has a longitudinal axis direction of the carbon heat source And a ignition end provided on the ignition side of the carbon heat source rather than the cylinder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end face of the ignition end at the ignition end, And the ignition end portion has a gap communicating with the cavity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avity provided in the cylinder portion and the groove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gap, In the support portion, the outer wall is provided with a heat conduction member (312), and at least a part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is adjacent to the carbon heat source.

제2의 특징은, 제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는, 적어도 한 종류의 휘발성 향미 성분을 포함하는 향미 발생원(2)이 마련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탄소 열원으로부터 상기 향미 발생원까지 이어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at, in the first characteristic,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containing at least one kind of volatile flavor ingredient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support portion, and at least from the carbon heat source to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

제3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또는 제2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착화 단부의 측면에 노출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in the first or second aspect, the groove is ex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ignition end portion.

제4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3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통부는, 원통 모양을 가진다. 상기 공동의 직경과 상기 탄소 열원의 외경과의 차이는, 1mm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A fourth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aspects, the cylindrical portion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meter of the cavity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carbon heat source is 1 mm or more.

제5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4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통부 및 상기 착화 단부는,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first to fourth aspects, the tubular portion and the ignition end portion are integrally molded.

제6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5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탄소 열원의 길이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탄소 열원의 사이즈는, 10mm ~ 30mm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길이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탄소 열원의 사이즈는, 4mm ~ 8mm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In a sixth aspect, in the first to fifth aspects, the size of the carbon heat sourc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arbon heat source is 10 mm to 30 mm. And the size of the carbon heat source is 4 mm to 8 mm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제7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6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탄소 열원의 길이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공동의 사이즈는, 1mm ~ 4mm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A seventh feature is that, in the first to sixth aspects, the size of the cavity is in the range of 1 mm to 4 mm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of the carbon heat source .

[도 1] 도 1은, 실시 형태의 향미 흡인구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2는, 실시 형태의 탄소 열원을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도 3은, 실시 형태의 탄소 열원을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도 4는, 실시 형태의 탄소 열원의 착화단에 형성되는 홈의 일 예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도 5는, 실시 형태의 탄소 열원의 착화단에 형성되는 홈의 일 예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도 6은, 실시 형태의 탄소 열원(10)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도 7은, 실시예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도 8은, 실시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도 9는, 변경예 1의 탄소 열원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도 10은, 변경예 1의 탄소 열원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도 11은, 변경예 2의 열 전도 부재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Fig. 1 is a view showing a flavor absorption population of the embodiment.
[Fig. 2] Fig. 2 is a view showing the carbon heat source of the embodiment.
[Fig. 3]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arbon heat source of the embodiment.
[Fig. 4]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roove formed in the ignition end of the carbon heat sour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5] Fig.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roove formed in the ignition end of the carbon heat sour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6]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arbon heat sourc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7]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embodiment.
[Fig. 8]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9 is a diagram showing a carbon heat source of Modification Example 1.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carbon heat source of Modification Example 1. [Fig.
[Fig. 11]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heat conduction member of the second modification example.

(일 실시 형태)(One embodiment)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의 향미 흡인구(1)에 대해서 설명한다.1 to 6,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flavored mouthpie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서, 도 1은, 실시 형태의 향미 흡인구(1)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a)는 실시 형태의 탄소 열원(1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b)는 실시 형태의 탄소 열원(10)을 착화 단면(10a)측에서 본 도면이며, 도 2(c)는 실시 형태의 탄소 열원(10)을 흡구단(10b) 착화 단면(10a)측에서 본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a)는, 도 2(b)에 나타내는 S단면을 T측에서 본 도면이다. S단면은, 공동(11A)의 중심{축선(AX)}을 지나고, 후술하는 홈(12B)을 지나는 단면이다.2 (a) is a sectional view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of the embodiment, and Fig. 2 (b) is a cross- 2 (c) is a view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of the embodiment seen from the ignition end face 10a side of the intake end 10b . More specifically, Figs. 1 and 2 (a) are views of the S cross section shown in Fig. 2 (b) viewed from the T side. The S-section is a cross section passing through the groove 12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avity 11A (the axis AX).

도 1에 나타내듯이, 실시 형태의 향미 흡인구(1)는, 향미 발생원(2)과, 탄소 열원(10)과, 필터(4)와, 향미 발생원(2)과, 탄소 열원(10)과, 필터(4)를 지지하는 지지부(3)를 구비하고 있다.1, the flavor absorption mouthpie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flavor generating source 2, a carbon heat source 10, a filter 4, a flavor generating source 2, a carbon heat source 10, , And a support portion (3) for supporting the filter (4).

또한, 향미 흡인구(1)는, 축선(AX)에 따른 방향인 길이 축 방향(L)과, 길이 축 방향(L)에 직교하는 짧은 축 방향(D)을 가진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길이 축 방향(L)에 있어서 향미 흡인구(1)의 탄소 열원(10) 측을 착화단측(도 1에 나타내는 좌측)이라고 규정하고, 향미 흡인구(1)의 필터(4) 측을 흡구측(도 1에 나타내는 우측)이라고, 규정한다.The flavor absorption mouth 1 has a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in the direction along the axis AX and a short axial direction 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 In the embodiment, for the sake of explanation, the carbon heat source 10 side of the flavor intake port 1 is defined as the ignition end side (left side in Fig. 1)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The right side in Fig. 1) on the filter 4 side.

향미 흡인구(1)에서는, 유저가 필터(4) 측의 단부에 입을 대고 흡인하면, 탄소 열원(10) 측의 단부로부터 필터(4)측의 단부를 향하여 공기류가 발생한다.In the flavor absorption filter 1, when the user sucks the filter 4 on its end, the airflow is generated from the end on the carbon heat source 10 side toward the end on the filter 4 side.

향미 발생원(2)은, 지지부(3)의 내부에서, 탄소 열원(10)과 필터(4) 사이에 마련되고 있다. 향미 발생원(2)은, 적어도 한 종류의 휘발성 향미 성분을 포함한다. 향미 발생원(2)은, 탄소 열원(10)에 의해서 발생한 열이 공기류에 의해서 전달되는 것에 의해서 향미를 방출한다.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is provided between the carbon heat source 10 and the filter 4 inside the support 3. The flavor source 2 contains at least one volatile flavor component.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emits flavor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carbon heat source 10 being transmitted by the air flow.

향미 발생원(2)으로는, 예를 들어, 담배 잎을 이용할 수 있으며, 시가렛(종이 권취 담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썬 담배나, 코담배로 사용되는 입상(粒狀) 담배나, 롤 담배나, 성형 담배 등의 담배 원료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향미 발생원(2)으로서, 다공질 소재 또는 비 다공질 소재의 담체를 채용해도 된다.As the flavor source 2, for example, tobacco leaves may be used, and general sun cigarettes used for cigarettes (paper-wrapped tobacco), granular tobacco used for snuff, roll tobacco, Tobacco and other tobacco raw materials can be employed. As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a carrier of a porous material or a non-porous material may be employed.

또한, 롤 담배는, 시트상의 재생 담배를 롤 모양으로 성형하여 얻고, 내부에 유로를 가진다. 또한, 성형 담배는 입상 담배를 틀 성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The roll cigarette is obtained by forming a regenerated cigarette in a sheet form into a roll shape and has a channel therein. The molded cigarette can be obtained by molding the granular tobacco.

또한, 상기 향미 발생원(2)으로 이용되는 담배 원료 또는 담체에는, 소망하는 향료가 들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향미 발생원(2)은, 글리세린이나,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별도로 준비한 니코틴원에서부터 방출된 니코틴을 담체에 포착시킨 구성이어도 된다.In addition, the tobacco raw material or carrier used as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may contain a desired perfume. For example,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glycerin, a polyhydric alcohol such as propylene glycol, and nicotine released from a separately prepared nicotine source may be captured on a carrier.

또한, 도 1의 예에서는, 향미 발생원(2)은, 지지부(3)의 내부에 있어서, 탄소 열원(10)으로부터 길이 축 방향(L)으로 소정의 공극(32A)을 만들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향미 발생원(2)은, 탄소 열원(10)에 당접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1,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is arranged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gap 32A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from the carbon heat source 10 in the support portion 3, For example,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may be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arbon heat source 10.

또한, 지지부(3)의 내부에서, 탄소 열원(10)과 향미 발생원(2) 사이에 공극부 또는 통기성을 가진 불연(不燃)부재를 배치함으로써, 탄소 열원(10) 및 향미 발생원(2)이 인접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carbon heat source 10 and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are disposed in the support portion 3 by disposing a void portion or a non-combustible member having air permeability between the carbon heat source 10 and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Or may be configured not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지지부(3)는, 탄소 열원(10)을 지지하는 통 모양의 외벽(31)과, 외벽(31)에 의해 길이 방향(L)을 따라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공동(32)을 가진다. 지지부(3)에 있어서, 외벽(31)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 모양의 시트상 부재를 원통 모양으로 만곡시키고 양측연부를 겹쳐 중공 원통체로 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supporting portion 3 has a tubular outer wall 31 for supporting the carbon heat source 10 and a cavity 32 formed so as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by the outer wall 31. In the supporting portion 3, the outer wall 31 may be formed, for example, by bending a rectangular sheet-shaped member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superimposing both side edges thereof to form a hollow cylindrical body.

실시 형태에서, 외벽(31)은, 복수의 시트상 부재를 적층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외벽(31)은, 외장 부재(311)와 열 전도 부재(312)를 구비하고, 외장 부재(311)와 열 전도 부재(312)를 원통 모양으로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In the embodiment, the outer wall 31 is form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sheet-like members. Specifically, the outer wall 31 is formed by bending the sheath member 311 and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in a cylindrical shape, which has the sheath member 311 and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실시 형태에서, 외장 부재(311)는, 포장용 후지(厚紙)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외장 부재(311)는, 담배 포장용으로 이용되는 공지의 포장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embodiment, the exterior member 311 is made of cardboard for packaging. On the other hand, the exterior member 311 may be constituted by a known wrapping paper used for packaging cigarettes.

열 전도 부재(312)는, 적어도 탄소 열원(10)에서부터 향미 발생원(2)까지 이어진다. 또한, 길이 축 방향(L)에서, 외장 부재(311)의 길이(L0)와, 열 전도 부재(312)의 길이는 동일한 것으로 한다. 또한, 열 전도 부재(312)의 길이(Ls)는, 외장 부재(311)의 길이(L0)와 다르게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열 전도 부재(312)의 길이(Ls)는 외장 부재(311)의 길이(L0)보다 짧아도 되고, 예를 들어, 20mm 이어도 된다.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extends from at least the carbon heat source 10 to the flavor source 2. The length L0 of the exterior member 311 and the length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are the same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 The length Ls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may be different from the length L0 of the exterior member 311. [ Specifically, the length Ls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L0 of the exterior member 311, or may be 20 mm, for example.

또한, 실시 형태에서, 열 전도 부재(312)의 적어도 일부는, 탄소 열원(10)에 인접한다. 구체적으로, 열 전도 부재(312)는, 그 일부에서, 탄소 열원(10)의 짧은 축 방향(D)의 외표면(외주면)에 당접하는 당접 부분을 가진다. 또한, 열 전도 부재(312)는, 향미 발생원(2)의 짧은 축 방향(D)의 외표면(외주면)과, 필터(4)의 짧은 축 방향(D)의 외표면(외주면)과도 당접한다.Further, in the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is adjacent to the carbon heat source 10. Specifically,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has, in a part thereof, a contact portion which abuts on the outer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ort-axis direction D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also abuts the outer surfac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the short axis direction D of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and the outer surfac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the short axial direction D of the filter 4 .

또한, 도 1에 나타내듯이, 열 전도 부재(312)는, 길이 축 방향(L)에서, 착화단측의 단부(312a)와 흡구측의 단부(312b)를 가진다. 열 전도 부재(312)의 착화단측의 단부(312a)는, 탄소 열원(10)의 흡구단(10b)보다도 착화단 측에 위치한다. 한편, 열 전도 부재(312)의 착화단 측의 단부(312a)는, 탄소 열원(10)의 착화단면(10a)보다도 흡구측에 위치한다.1, the heat conducting member 312 has an end 312a on the ignition end side and an end 312b on the suction side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As shown in Fig. The end 312a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on the ignition end side is located on the ignition end side with respect to the intake end 10b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 On the other hand, the end 312a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on the ignition end side is located closer to the intake side than the ignition end face 10a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다시 말하면, 열 전도 부재(312)의 착화단 측의 단부(312a)와, 탄소 열원(10)의 흡구단(10b) 사이의 길이(Lx)는, 0mm 이상이다. 또한, 길이(Lx)는, 탄소 열원(10)의 길이 축 방향(L)의 길이(Ly)보다도 짧다. 또한, 길이(Lx)는, 길이(Ly)의 1/2 이하의 길이이어도 되며, 1/4 이하의 길이어도 된다. 또한, 길이(Lx)는, 열 전도 부재(312)의 탄소 열원(10)에 당접하는 당접 부분의 길이 축 방향(L)의 길이라고 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the length Lx between the end 312a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on the ignition end side and the suction end 10b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is 0 mm or more. The length Lx is shorter than the length Ly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in the axial direction L. [ The length Lx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1/2 of the length Ly and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1/4 of the length Ly. The length Lx may be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of the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carbon heat source 10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

열 전도 부재(312)에는, 비 연소성이 뛰어난 부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 전도 부재(312)에는, 열 전도성이 뛰어난 부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소 열원(10)에 의해서 발생한 열을 공기류에 의해서 향미 발생원(2)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고려하면, 열 전도 부재(312)에는, 기밀성이 뛰어난 부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을 고려하면, 열 전도 부재(312)에는, 금속 부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알루미늄을 적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apply a member having excellent non-combustibility to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It is preferable to apply a member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to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heat generated by the carbon heat source 10 is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by the air flow, it is preferable to apply a member having high airtightness to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Considering this viewpoint, it is preferable to apply a metal member to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and more preferably to apply aluminum.

필터(4)는, 지지부(3)의 내부에서, 가장 흡구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예에서는, 필터(4)는, 지지부(3)의 내부에서, 향미 발생원(2)으로부터 길이 축 방향(L)으로 소정의 공극을 만들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필터(4)는, 향미 발생원(2)에 당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The filter (4) is provided at the most suction side inside the support portion (3). 1, the filter 4 is arranged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gap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from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inside the support portion 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For example, the filter 4 may be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필터(4)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종이, 또는, 다른 적절한 공지의 필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4)는, 적어도 한 종류의 휘발성 향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The filter 4 may comprise cellulose acetate, paper, or other suitable known filter elements. In addition, the filter 4 may contain at least one volatile flavor component.

또한, 도 1에 나타내듯이, 탄소 열원(1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부(3)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탄소 열원(10)의 연소 상태의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동(11A)의 제조 공정을 쉽게 할 수 있다.1, at least a part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is exposed from the supporting portion 3, so that the visibility of the combustion state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can be improved. In this cas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avity 11A can be easily performed.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탄소 열원(10)은, 원기둥 모양이며, 원통부(11)와 착화단부(12)를 구비하고 있다.2 and 3, the carbon heat source 1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11 and an ignition end portion 12. As shown in Fig.

도 2(a)에 나타내듯이, 원통부(11)에는, 탄소 열원(10)의 길이 축 방향(L)을 따라 이어지는 공동(11A)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a), the cylindrical portion 11 is provided with a cavity 11A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L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또한, 도 2(c)에 나타내듯이, 이러한 공동(11A)은, 탄소 열원(1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원통부(11)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동축 원 기둥 모양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공동(11A)의 제조 공정을 쉽게 할 수 있다.2C, the cavity 11A may have a coaxial columnar shape having the same center axis as the center axis of the cylindrical portion 11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 In this cas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avity 11A can be easily performed.

여기에서, 중반에서부터 후반까지의 퍼프시에, 안정된 열량을 공급하기 위해, 즉, 자연 연소시(비 흡연시)의 발열량과 퍼프시의 발열량 사이의 변동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퍼프시의 유입 공기와 연소 영역과의 접촉 면적을 저감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n order to supply a stable amount of heat during the puff from the middle to the second half, that is, to suppress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calorific value at the time of natural combustion (non-smoking) and the calorific value at the puff,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combustion region is reduced.

그러므로, 예를 들어, 도 2(a)에 나타내듯이, 단일 공동(11A)만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함으로써, 자연 연소시의 발열량과 퍼프시의 발열량 사이의 변동량을 억제할 수 있다.Therefo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a), by making a cylindrical shape having only a single cavity 11A,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amount of variation between the calorific value at the time of natural combustion and the calorific value at the time of puff.

여기에서, 공동(11A)의 지름(R1)과 탄소 열원{원통부(11)}의 외경(R2)과의 차{원통부(11)의 두께}는, 탄소 열원의 카본 배합 비율 등에 따라 충분한 착화성을 얻기 위한 수치로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1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5m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mm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유저는 향미의 흡인을 충분한 회수만큼 할 수 있다.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meter R1 of the cavity 11A and the outer diameter R2 of the carbon heat source (the cylindrical portion 11) (the thickness of the cylindrical portion 11) is sufficient depending on the carbon mixing ratio of the carbon heat source But it may be configured to be not less than 1 mm, preferably not less than 1.5 mm,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2.0 mm. With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suck the flavor as many times as necessary.

또한, 공동(11A)의 지름(R1)은, 1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5m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mm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흡인시에 발생하는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The diameter R1 of the cavity 11A may be configured to be not less than 1 mm, preferably not less than 1.5 mm, and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2.0 mm. With this configuration, the pressure loss occurring at the time of suction can be reduced.

또는, 이러한 공동(11A)은, 원뿔 형상 등처럼, 길이 축 방향(L)을 따라 다른 지름이 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중반에서부터 후반까지 퍼프시에 공급하는 열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avity 11A may have a shape having a different diameter along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such as a conical shap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amount of heat supplied to the puff during the middle to late period.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화단부(12)는, 원통부(11)보다도 탄소 열원(10)의 착화측(착화 단면(10a)) 쪽에 마련되어 있다. 착화단부(12)는, 원통부(11)에 마련된 공동(11A)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공동(11A)에 연통하는 공극(12C)을 가진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축선(AX)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착화단부(12)의 공극(12C)의 사이즈는, 축선(AX)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공동(11A)의 사이즈보다도 작다. 단, 축선(AX)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착화단부(12)의 공극(12C)의 사이즈는, 축선(AX)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공동(11A)의 사이즈와 같아도 된다.As shown in Fig. 2 (a), the ignition end portion 12 is provided closer to the ignition side (ignition end face 10a)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than the cylindrical portion 11. The ignition end portion 12 has an air gap 12C communicating with the cavity 11A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avity 11A provided in the cylindrical portion 11. In the embodiment, the size of the gap 12C of the ignition end portion 12 in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AX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avity 11A in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axis AX. The size of the gap 12C of the ignition end 12 in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axis AX may be the same as the size of the cavity 11A in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axis AX.

또한, 도 2(b)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화단부(12)에 있어서의 착화단면(10a)에, 공동(11A)과 연통하는 홈(12X)으로서 홈(12A) 및 홈(12B)이 형성되어 있다. 홈(12A) 및 홈(12B)은, 착화단부(12)의 공극(12C)과는 별도로 형성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즉, 탄소 열원의 전체에 걸쳐서 길이 축 방향(L)을 따라 관통하는 관통공(원통부(11)의 공동(11A) 및 착화단부(12)의 공극(12C))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이 착화단면(10a)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착화단면(10a)에 노출되는 관통공은, 홈(12A) 및 홈(12B)에는 해당하지 않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홈(12A)은, 홈 바닥(121A)을 가지는 구덩이 부분이며, 홈(12B)은, 홈 바닥(121B)을 가지는 구덩이 부분이다.As shown in Fig. 2 (b) and Fig. 3, grooves 12A and grooves 12B are formed in the ignition end face 10a of the ignition end portion 12 as grooves 12X communicating with the cavity 11A, Is form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groove 12A and the groove 12B are formed separately from the gap 12C of the ignition end 12. That is, the through holes (the cavity 11A of the cylindrical portion 11 and the gap 12C of the ignition end portion 12) penetrating the entire length of the carbon heat source along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are form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hrough hole exposed to the ignition face 10a does not correspond to the groove 12A and the groove 12B when exposed to the ignition face 10a. Here, the groove 12A is a pit portion having the groove bottom 121A, and the groove 12B is a pit portion having the groove bottom 121B.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착화단면(10a)의 면적{홈(12A)이 형성된 부분의 면적을 제외}」을 줄이고, 「홈(12X)에서의 홈벽의 면적」을 크게 하기 때문에, 라이터 등의 착화원의 열이 효율적으로 착화단부에 전달하여, 연소 개시시부터 초기 퍼프시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양호한 착화성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area of the ignition section 10a (excluding the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groove 12A is formed) is reduced and the area of the groove wall in the groove 12X is increased, The original heat is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ignition end, and good ignitability can be obtained in the period from the start of combustion to the initial puff time.

즉, 충분한 착화성을 얻기 위해서는, 「착화단면(10a)의 면적{홈(12X)이 형성된 부분의 면적을 제외}」에 대한 「홈(12X)에서의 홈벽의 면적」의 비율, 「홈(12X)의 홈벽의 면적」/「착화단면(10a)의 면적{홈(12X)이 형성된 부분의 면적을 제외}」이 큰 편이 바람직하다.That is, in order to obtain sufficient ignitability,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groove wall in the groove 12X" to the "area of the ignition end face 10a (excluding the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groove 12X is formed)", 12X) " / " area of the ignition end face 10a (excluding the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groove 12X is formed) "

이 「착화단면(10a)의 면적{홈(12X)이 형성된 부분의 면적을 제외}」에 대한 「홈(12X)의 홈벽의 면적」의 비율은, 탄소 열원의 카본 배합 비율 등에 따라 충분한 착화성을 얻기 위한 수치로 적절히 선택되지만, 예를 들면, 0.5 이상,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으로 하는 것으로, 충분한 착화성을 얻을 수 있다.The ratio of the "area of the groove 12X of the groove 12X" to the "area of the ignition end face 10a (excluding the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groove 12X is formed)" satisfies sufficient ignitability For example, 0.5 or more, preferably 1.25 or more, and more preferably 2.5 or more, so that sufficient ignitability can be obtained.

여기에서, 「착화단면(10a)의 면적{홈(12X)이 형성된 부분의 면적을 제외}」은, 도 5에 나타내는 사선 부분의 면적이며, 「홈(12X)의 홈벽의 면적」은, 「착화단면(10a)의 홈(12X)의 전체 길이(도 5에 나타내는 A~H의 8변의 길이의 합계)」×「홈(12X)의 깊이」에 의해서 산출되는 면적이다.Here, the area of the ignition section 10a (excluding the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groove 12X is formed) is the area of the hatched area shown in Fig. 5, and the area of the groove 12X of the groove 12X is "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eight sides A to H shown in Fig. 5) of the groove 12X of the ignition section 10a " x depth of the groove 12X ".

또한, 홈(12X)은, 공동(11A)과 연통하는 형상이라면, 임의의 배치로 할 수 있다.The grooves 12X may be arranged in any arbitrary arrangement as long as they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cavity 11A.

예를 들어, 도 2(b)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홈(12X)은, 착화단부(12)의 측면(12B)에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연소 개시시부터 초기 퍼프시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홈(12X)의 측벽을 연소시킬 수 있어, 더욱 착화성이 향상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b) and Fig. 3, the groove 12X may be exposed on the side surface 12B of the ignition end portion 12.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idewall of the groove 12X can be more efficiently burnt in the period from the start of combustion to the initial puff, and the ignitability is further improved.

또한, 예를 들어, 도 2(b)에 나타내듯이, 착화단면(10a)에 있어서, 2개의 홈(12X)이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도 4에 나타내듯이, 착화단면(10a)에 있어서, 3개의 홈(12X)이 60℃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As shown in Fig. 2 (b), for example, the two grooves 12X may be arranged so as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in the ignition end face 10a. In the ignition end face 10a as shown in Fig. 4 , And three grooves 12X may be arranged so as to cross at 60 deg.

여기에서, 착화단면(10a)을 균등하게 분할하도록, 복수의 홈(12X)을 배치함으로써, 연소 개시시부터 초기 퍼프시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착화단면(10a) 전체에 균일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By arranging the plurality of grooves 12X so as to evenly divide the ignition face 10a, it is possible to uniformly and efficiently heat the entire ignition face 10a from the start of combustion to the initial puff time, .

또한, 홈(12X)은, 곡선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각각의 홈이 공동(11A)에 연통하고 있으면, 복수의 홈(12X)이 공동(11A)의 중심 이외의 위치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The grooves 12X may be arranged in a curved shape so that when the respective grooves communicate with the cavity 11A, the grooves 12X are arranged so as to intersect at positions other than the center of the cavity 11A .

또한, 홈(12X)은, 예를 들어, 공동(11A)을 향하여 깊어지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Further, the groove 12X may be inclined to deepen toward the cavity 11A, for example.

또한, 착화단면(10a) 내의 다양한 위치에서, 복수의 곡선 모양의 홈(12X)이나, 직선 모양의 홈(12X)을 교차시킴으로써, 착화단면(10a)에서, 복수의 돌기가 설치되는 것으로 되어도 된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 착화단면(10a)은, 복수의 돌기의 선단에 형성되는 가상면 및 복수의 돌기의 선단면(先端面)을 포함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A plurality of projections may be provided in the ignition face 10a by crossing the plurality of curved grooves 12X and the linear grooves 12X at various positions in the ignition face 10a .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gnition face 10a includes a virtual face formed at the tip of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and a front end face of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또한, 홈(12X)의 깊이를 깊게 함으로써, 착화단부에서의 공기의 유로 면적이 크게 되어, 보다 착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by making the depth of the groove 12X deeper, the air flow path area at the ignition end portion becomes larger, and the ignition property can be improved.

또한, 착화성의 향상에는, 홈(12X)보다도 효과는 저감하지만, 디자인성 등의 관점에서, 홈(12X)과 함께 공동(11A)과 연통하지 않는 홈 등의 가공을 하는 것도 실시 형태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In order to improve the ignition property, the effect of the groove 12X is lower than that of the groove 12X.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design and the like, the groove 12X and the groove 11A are not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Of course it is.

나아가, 착화 단면(10a)에 대해서, 모서리 가공을 하는 것으로, 착화 단면(10a)에서의 깨짐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by performing edge processing on the ignition section 10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gnition section 10a from being broken.

또한, 탄소 열원(10){즉, 원통부(11) 및 착화단부(12)}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압출(押出), 타정(打錠)과 압력주조(押鑄) 등의 방법으로 일체 성형되어도 된다.The carbon heat source 10 (i.e., the cylindrical portion 11 and the ignition end portion 12) can be formed by a method such as extrusion, tableting, and pressure casting Or may be integrally formed.

그리고, 탄소 열원(10)의 길이 축 방향(L)의 길이(L1)는, 8mm ~ 30mm, 바람직하게는 10mm ~ 30mm, 더 바람직하게는 10mm ~ 15mm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탄소 열원(10)은, 향미 흡인구의 열원으로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The length L1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in the axial direction L may be 8 mm to 30 mm, preferably 10 mm to 30 mm, and more preferably 10 mm to 15 mm. The carbon heat source 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suitably employed as a heat source for a flavor-suction port.

또한, 탄소 열원(10)의 외경(R2)은, 4mm ~ 8mm, 더 바람직하게는 5mm ~ 7mm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탄소 열원(10)은, 향미 흡인구의 열원으로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R2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may be set to be 4 mm to 8 mm, more preferably 5 mm to 7 mm. The carbon heat source 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suitably employed as a heat source for a flavor-suction port.

또한, 원통부(11)의 외경 및 착화단부(12)의 외경은, 탄소 열원(10)의 외경(R2)과 같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portion 11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ignition end portion 12 are configured to be equal to the outer diameter R2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또한, 길이 축 방향(L)에서의 원통부(11)의 길이는, 착화단부(12)의 기능(착화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길이 축 방향(L)에서의 원통부(11)의 길이는, 길이 축 방향(L)에서 탄소 열원(10)의 전체 길이에서 상기의 홈(12X)의 깊이를 뺀 길이이어도 된다.The length of the cylindrical portion 11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can be arbitrarily se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hinder the function (ignitability) of the ignition end portion 12.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cylindrical portion 11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may be a length obtained by subtracting the depth of the groove 12X from the entire length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

아래에, 도 6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의 탄소 열원(10)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arbon heat sourc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S101)에서, 탄소 열원(10)에 대한 1차 성형을 한다.As shown in Fig. 6, primary molding is performed on the carbon heat source 10 in step S101.

1차 성형시의 탄소 열원(10)은, 공동(11A)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원기둥 모양을 가지고 있어도 되며, 길이 축 방향으로 이어진 공동(11A)이 마련된 원기둥 모양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The carbon heat source 10 in the primary molding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cavity 11A is not provided and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 cavity 11A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ength.

여기에서, 식물 유래의 탄소 재료나, 불연 첨가물이나, 바인더(유기 바인더 또는 무기 바인더)나, 물 등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압출, 타정, 압력주조 등의 방법에 의해서 일체 성형함으로써, 탄소 열원(10)을 얻을 수 있다.Here, a mixture containing a plant-derived carbon material, an incombustible additive, a binder (an organic binder or an inorganic binder), water, or the like is integrally formed by a method such as extrusion, tableting or pressure casting, ) Can be obtained.

또한, 이러한 탄소 재료로서는, 가열 처리 등에 의해 휘발성의 불순물을 제거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carbon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obtained by removing volatile impurities by heat treatment or the like.

또한, 탄소 열원(10)은, 10중량% ~ 99중량% 범위의 탄소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충분한 열량 공급이나, 재의 관리 등의 연소 특성의 관점에서, 탄소 열원(10)은, 30중량% ~ 70중량% 범위의 탄소 재료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며, 40중량% ~ 50중량% 범위의 탄소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Further, the carbon heat source 10 may include a carbon material in a range of 10 wt% to 99 wt%. The carbon heat source 10 preferably includes a carbon material in a range of 30 wt% to 70 wt%, and more preferably, a carbon material in a range of 40 wt% to 50 wt%, in terms of combustion characteristics such as sufficient heat quantity supply and management of the ash. It is more preferable to include a carbon material.

유기 바인더로서는, 예를 들어,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Na(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아르긴산염, EVA, PVA, PVAC 및 당류의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organic binder, for example, a mixture containing at least one of CMC (carboxymethyl cellulose), CMC-Na (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arginate, EVA, PVA, PVAC and saccharides can be used.

또한, 무기 바인더로서는, 예를 들어, 정제 벤토나이트 등의 광물계, 또는 콜로이달실리카나, 규산나트륨 수용액, 규산 칼슘 등의 실리카계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inorganic binder, for example, a mineral base such as purified bentonite, or a silica base binder such as colloidal silica, an aqueous solution of sodium silicate, and calcium silicate can be used.

예를 들면, 향미의 관점에서, 상기 바인더가, 1중량% ~ 10중량%의 CMC 또는 CMC-Na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며, 1중량% ~ 8중량%의 CMC 또는 CMC-Na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For example, from a flavor point of view, it is preferred that the binder comprises from 1% to 10% by weight of CMC or CMC-Na, more preferably from 1% to 8% by weight of CMC or CMC-Na desirable.

또한, 불연 첨가물로서는,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규소 등으로 이루어진 탄소염 또는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탄소 열원(10)은, 40중량% ~ 89중량%의 불연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As the nonflammable additive, for example, a carbon salt or oxide composed of sodium, potassium, calcium, magnesium, silicon and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the carbon heat source 10 may include 40 wt% to 89 wt% non-flammable additives.

여기에서, 불연 첨가물로서, 탄산 칼슘을 사용하고, 탄소 열원(10)이 40중량% ~ 55중량%의 불연 첨가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calcium carbonate is used as the incombustible additive, and the carbon heat source 10 includes the incombustible additive of 40 wt% to 55 wt%.

탄소 열원(10)은, 연소 특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염화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을 1중량% 이하의 비율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The carbon heat source 10 may contain an alkali metal salt such as sodium chloride in a proportion of 1% by weight or les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combustion characteristics.

스텝(S102)에서, 원통부(11)를 형성하기 위한 가공을 한다. 예를 들면, 1차 성형된 탄소 열원(10)의 한쪽 단면(퍼프측 단면)으로부터, 드릴로 소정 위치까지 구멍을 뚫는 것에 의해, 공동(11A)을 갖는 원통부(11)를 형성한다.In step S102, processing for forming the cylindrical portion 11 is performed. For example, a cylindrical portion 11 having a cavity 11A is formed by making a hole from a one end face (puff side end face) of the primary molded carbon heat source 1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a drill.

스텝(S103)에서, 착화단부(12)를 형성하기 위한 가공을 한다. 예를 들면, 스텝(S102)에서 드릴을 삽입한 면(퍼프측 단면)과 반대측의 면(착화단)에, 다이아몬드 커팅 디스크로, 소정 가공을 함으로써, 홈(12X)을 형성한다.In step S103, processing for forming the ignition end portion 12 is performed. For example, in step S102, a groove 12X is formed in the diamond cutting disk by a predetermined machining process on the surface (ignition end) opposite to the surface (puff side end face) where the drill is inserted.

여기에서, 탄소 열원(10)의 조성(카본 배합률 등)이나, 외경(R2)에 따라 홈(12X)의 개수나 깊이, 폭 등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양호한 착화성을 얻을 수 있다.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number, depth, width, and the like of the grooves 12X in accordance with the composition (carbon blend ratio)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and the outer diameter R2, good ignitability can be obtained.

또한, 스텝(S102) 및 스텝(S103)의 순서는 반대이어도 된다. 또한, 1차 성형에서 공동(11A)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스텝(S102)는 생략해도 된다.The order of steps S102 and S103 may be reversed. In the case where the cavity 11A is formed in the primary molding, step S102 may be omitted.

(작용 및 효과) (Action and effect)

실시 형태의 향미 흡인구(1) 및 탄소 열원(10)에 따르면, 착화 단면(10a)에서, 홈(12X)을 형성함과 동시에, 원통부(11)에서 탄소 열원(10)의 길이 축 방향(L)을 따라 이어지는 공동(11A)을 형성함으로써, 착화 단면(10a)에서의 양호한 착화성 및 원통부(11)에서의 안정된 열량 공급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flavor absorption port 1 and the carbon heat source 10 of the embodiment, the groove 12X is formed in the ignition end face 10a and the groove 12X is formed in the cylindrical portion 11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It is possible to satisfactorily satisfy both the good ignition property in the ignition end face 10a and the stable heat amount supply in the cylindrical portion 11 by forming the cavity 11A extending along the line L. [

또한, 실시 형태의 향미 흡인구(1)에서는, 지지부(3)의 외벽(31)은, 외장 부재(311)와 열 전도 부재(312)를 구비한다. 또한, 열 전도 부재(312)의 적어도 일부는 탄소 열원(10)에 인접한다. 구체적으로, 열 전도 부재(312)의 일부는, 탄소 열원(10)의 짧은 축 방향(D)의 외표면(외주면)에 당접한다.The outer wall 31 of the support portion 3 includes the sheathing member 311 and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In this case, Also,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 conducting member 312 is adjacent to the carbon heat source 10. Specifically, a part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ort-axis direction D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이러한, 향미 흡인구(1)에 의하면, 탄소 열원(10)의 연소가 진행되어, 열 전도 부재(312)의 당접 부분에 도달하면, 탄소 열원(10)으로부터 발생한 열이 열 전도 부재(312)에 전파된다. 이에 의해, 탄소 열원(10)의 온도가 저하하고, 연소가 억제된다. 즉, 이러한 향미 흡인구(1)에 따르면, 연소 종료시(끽연 종료시)에서, 탄소 열원(10)의 연소를 확실하게 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향미 흡인구(1)에 의하면, 지지부(3)에 있어서 연소도 확실히 방지되고, 이에 의해 연소 종료시에 있어서, 확실하게 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carbon heat source 10 is burned and reaches the contact portion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heat generated from the carbon heat source 10 flows into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is lowered and the combustion is suppressed. That is, according to the flavor absorption unit 1, it becomes possible to reliably extinguish the combustion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at the end of combustion (at the time of smoking en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lavor absorption member 1, the combustion in the support portion 3 is reliably prevented, whereby it is possible to reliably extinguish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combustion.

또한, 열 전도 부재(312)는, 적어도 탄소 열원(10)에서 향미 발생원(2)까지 이어진다. 구체적으로, 열 전도 부재(312)는, 탄소 열원(10)의 짧은 축 방향(D)의 외표면(외주면)과, 향미 발생원(2)의 짧은 축 방향(D)의 외표면(외주면)과 당접한다.Further,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extends from the carbon heat source 10 to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at least. Specifically,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is formed so that the outer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short axial direction D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the outer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short axial direction D of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Contact.

이러한 향미 흡인구(1)에 의하면, 탄소 열원(10)의 연소가 열 전도 부재(312)의 당접 부분에 도달하면, 탄소 열원(10)에서 발생한 열이 열 전도 부재(312)를 통해서 향미 발생원(2)에 전파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향미 발생원(2)에 공급되는 열량이 증가한다. 이에 의해, 향미 발생원(2)으로부터의 향미 성분의 발생이 촉진되고, 유저에게 더 많은 향미 성분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When the combustion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reaches the abutting portion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the heat generated from the carbon heat source 10 flows through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2), the amount of heat supplied to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increases. Thus, the generation of flavor components from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is promoted, and more flavor components can be efficiently supplied to the user.

또한, 열 전도 부재(312)에는, 기밀성을 갖는 부재로서,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탄소 열원(10)에 의해서 발생한 열을 공기류에 의해서 향미 발생원(2)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is made of, for example, aluminum as a member having airtightness. In this case, heat generated by the carbon heat source 10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by air flow.

(실시예 1)(Example 1)

도 7을 참조하여, 착화 단면(10a)에서의 홈(12X)의 형상 및 착화성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시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도 1과 마찬가지로, 도 2(b)에 나타내는 S단면을 T측에서 본 도면이다.With reference to Fig. 7, a test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pe of the groove 12X in the ignition end face 10a and the ignition property will be described. Fig. 7 is a view of the S cross section shown in Fig. 2 (b) as seen from the T side as in Fig.

이러한 시험에서는, 아래와 같이, 복수의 시험용 샘플 A-1 ~ E-3을 제조했다. 각 시험용 샘플 A-1 ~ E-3의 홈(12X)의 폭과, 깊이와, 개수에 대해서, 표 1에 나타낸다.In this test, a plurality of test samples A-1 to E-3 were produced as follows. The width, depth, and number of the grooves 12X of the test samples A-1 to E-3 are shown in Table 1.

첫째로, 100g의 활성탄과 90g의 탄산 칼슘과 10g의 CMC(에테르화도 0.6)를 혼합한 후, 1g의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270g의 물을 부어, 더욱 혼합했다.First, 100 g of activated carbon, 90 g of calcium carbonate and 10 g of CMC (with a degree of etherification of 0.6) were mixed, and then 270 g of water containing 1 g of sodium chloride was poured and further mixed.

둘째로, 이러한 혼합물을 혼합한 후, 외경 6mm, 내경 0.7mm의 원기둥 모양이 되도록 압출 성형을 했다.Secondly, after mixing the mixture, extrusion molding was performed so as to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uter diameter of 6 mm and an inner diameter of 0.7 mm.

셋째로, 이러한 압출 성형에 의해서 얻어진 성형물을 건조한 후, 13mm 길이로 절단하여, 1차 성형체{1차 성형시의 탄소 열원(10)}를 얻었다.Third, the molded product obtained by such extrusion molding was dried and then cut into a length of 13 mm to obtain a primary molded product (carbon heat source 10 in primary molding).

넷째로, 1차 성형체의 한쪽 단면(퍼프측 단면)으로부터, 2mm 지름의 드릴로 소정 위치까지 구멍을 뚫어, 공동(11A)을 갖는 원통부(11)를 형성했다.Fourthly, a hole was drill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a drill having a diameter of 2 mm from one end face (puff side end face) of the primary molded body to form a cylindrical portion 11 having a cavity 11A.

다섯째로, 스텝(S102)에서, 드릴을 삽입한 면(퍼프측 단면)과 반대측의 면 착화단)에, 다이아몬드 커팅 디스크로 소정 가공을 함으로써, 홈(12X)을 형성했다.Fifthly, in step S102, the groove 12X is formed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 machining with a diamond cutting disk on the surface of the drill-inserted side (plow side end face) an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ace side.

그 후, 각 시험용 샘플 A-1 ~ E-3{탄소 열원(10)}에 대해서, 아래의 방법으로, 착화성의 평가 시험을 했다.Then, for each of the test samples A-1 to E-3 (carbon heat source 10), a test for evaluation of ignitability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manner.

첫째로, 도 7에 나타내듯이, 각 시험용 샘플 A-1 ~ E-3{탄소 열원(10)}의 원통부(11)를 통 모양으로 형성된 지지부(3)에 접속한다.First, as shown in Fig. 7, the cylindrical portion 11 of each of the test samples A-1 to E-3 (the carbon heat source 10)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ortion 3 formed in a tubular shape.

둘째로, 시판되는 가스 라이터(500)를 사용하여, 각 시험용 샘플{탄소 열원(10)}을, 가스 라이터(500)의 화염에 접촉시키고, 3초간 가열한 후, 55ml/2초로 퍼프한다. 여기에서, 이러한 퍼프를 15초 간격으로 반복했다.Second, each test sample (carbon heat source 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lame of the gas lighter 500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gas lighter 500, heated for 3 seconds, and then puffed at 55 ml / 2 seconds. Here, such puffs were repeated at intervals of 15 seconds.

각 시험용 샘플 A-1 ~ E-3의 착화성 평가 시험의 결과에 대해서, 표 1에 나타낸다.The results of the ignition evaluations of the test samples A-1 to E-3 are shown in Table 1.

[표 1][Table 1]

Figure 112016032204563-pct00001
Figure 112016032204563-pct00001

여기에서, 착화성 평가 시험으로서 「최초의 퍼프 후의 각 시험용 샘플의 착화단의 연소 상태(착화단 전체가 연소하는지 여부)」 및 「2회째의 퍼프 후의 연소의 지속 여부(균일하게 연소가 지속하는가)」를 확인했다. 이러한 평가 시험의 결과에 따르면, 홈(12X)의 개수가 「2개」인 경우, 홈(12X)의 깊이를 「2mm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시판의 가스 라이터(500)로도 충분한 착화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Here, as the evaluation of the ignition property, "the combustion state of the ignition end of each test sample after the first puff (whether or not the entire ignition end is burned)" and "whether or not the combustion after the second puff is continued ).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evaluation test, when the number of the grooves 12X is " 2 ", the depth of the grooves 12X is set to 2 mm or more so that the gas lighter 500, .

또한, 홈(12X)의 깊이가 「1mm」인 경우에도, 홈(12X)의 개수를 「3개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착화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고 인정되었다.Further, even when the depth of the groove 12X is " 1 mm ",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ignitability tends to be improved by setting the number of grooves 12X to " 3 or more ".

또한, 이러한 평가 시험 결과에 따르면, 착화단에 대한 홈벽의 면적비[「착화 단면(10a)의 면적{홈(12X)이 형성된 부분의 면적을 제외}」에 대한 「홈(12X)의 홈벽의 면적」의 비율]이 클수록, 착화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test, the area ratio of the groove wall with respect to the ignition end [the area of the groove 12X (the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groove 12X is formed) &Quo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r, the ignitability is improved.

또한, 홈 깊이는, 길이 축 방향(L)에서, 착화 단면(10a)으로부터 홈(12X)의 바닥까지의 거리이다. 홈 폭은, 착화 단면(10a)에서, 홈(12X)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홈(12X)의 사이드이다.The groove depth is a distance from the ignition end face 10a to the bottom of the groove 12X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 The groove width is the side of the groove 12X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roove 12X in the ignition end face 10a.

(실시예 2)(Example 2)

아래에서, 실시예 2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2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복수의 샘플(샘플 L-1 ~ 샘플 M-2)을 만들어, 퍼프 간의 온도차 및 연소 지속 퍼프 회수를 확인했다.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In Example 2, a plurality of samples (samples L-1 to M-2) shown in Fig. 8 were made to confirm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puffs and the number of continuous puffs of combustion.

각 샘플은, 활성탄, 탄산칼슘 및 CMC로 구성되는 탄소 열원이다. 샘플의 총중량이 100중량%인 경우에, 샘플은, 80중량%의 활성탄, 15중량%의 탄산칼슘 및 5중량%의 CMC로 구성된다. 길이 축 방향(L)에서의 각 샘플의 전체 길이는 15mm이다. 각 샘플이 가진 공동의 수, 공동의 사이즈 및 공동의 개수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다.Each sample is a carbon heat source composed of activated carbon, calcium carbonate and CMC. When the total weight of the sample is 100% by weight, the sample is composed of 80% by weight of activated carbon, 15%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and 5% by weight of CMC. The total length of each sample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is 15 mm. The number of cavities, the size of the cavities and the number of cavities of each sample are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샘플을 종이 관에 삽입하고, 시판의 가스 라이터 불꽃을 3초간에 걸쳐서 착화단에 접촉시킨 후, 55ml/2초의 퍼프를 하였다.Such a sample was inserted into a paper tube, and a commercially available gas lighter flame was contacted with the ignition end for 3 seconds, followed by puffing at 55 ml / 2 seconds.

도 8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공동을 가진 샘플 M-1 ~ 샘플 M-2와 비교하여, 단수의 공동을 가진 샘플 L-1 ~ 샘플 L-3에서는, 퍼프 간의 온도차 및 연소 지속 퍼프 회수의 양측에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As shown in Fig. 8, in the samples L-1 to L-3 having a single cavity as compared with the samples M-1 to M-2 having a plurality of cavities, both sides o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puffs and the number Good results were obtained.

즉, 복수의 공동이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수의 공동이 마련된 경우에 「성형체 단면적/유로 둘레 길이」가 크기 때문에, 퍼프 간의 온도의 차가 축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복수의 공동이 마련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수의 공동이 마련되는 경우에, 「성형체 단면적/유로 둘레 길이」가 크기 때문에, 퍼프 회수가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That is,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cavities are provided,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between the puffs was reduced because the "molded body cross-sectional area / circumferential length" was large when a single cavity was provided. Further,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cavities are provide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puffs increases because the " molded body cross-sectional area / circumferential length " is large when a single cavity is provided.

(변경예 1)(Modification Example 1)

아래에서, 상기 실시 형태의 변경예 1에 대해서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Modification Example 1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Hereinafter, differences between the abov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도 9 및 도 10은, 변경예 1의 탄소 열원(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탄소 열원(10)을 착화측의 단면{이하, 착화 단면(10a)}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S단면을 T측에서 본 도면이다. S단면은, 공동(11A)의 중심을 지나고, 또한, 홈(12B)을 지나는 단면이다.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앞쪽에 보이는 모서리선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Figs. 9 and 10 are views showing the carbon heat source 10 of Modification Example 1. Fig. 9 is a view showing the carbon heat source 10 viewed from the side of the ignition si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ignition end face 10a). 10 is a view of the S cross section shown in Fig. 9 viewed from the T side. The S-section is a cross s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avity 11A and passing through the groove 12B. It should be noted that, in FIG. 1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rner lines shown at the front are indicated by dotted lines.

도 9에 나타내듯이, 탄소 열원(10)의 착화 단면(10a)에는, 공동(11A)의 중심을 지나는 십자 모양의 홈(12X)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a cross-shaped groove 12X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avity 11A is formed in the ignition end face 10a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변경예 1에서, 착화단부(12)는, 원통부(11)에 마련된 공동(11A)의 연장 방향에서 공동(11A)에 연통하는 공극을 가진다. 변경예 1에서, 축선(AX)에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착화단부(12)의 공극의 사이즈는, 축선(AX)에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공동(11A)의 사이즈와 같다. 십자 모양의 홈(12X)은, 착화단부(12)의 공극과는 별도로 형성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In Modification Example 1, the ignition end portion 12 has a gap communicating with the cavity 11A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avity 11A provided in the cylindrical portion 11. [ In Modification Example 1, the size of the gap of the ignition end portion 12 in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axis AX is the same as the size of the cavity 11A in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axis AX.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ross-shaped groove 12X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gap of the ignition end portion 12.

상기 실시 형태에서 이미 말한 것처럼, 착화 단면(10a)에 모서리 가공이 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듯이, 착화 단면(10a)에 있어서 직경 방향의 외측단(U1)에는 모서리 가공이 이루어졌다. 착화 단면(10a)에 있어서 직경 방향의 내측단(U2)에는 모서리 가공이 이루어졌다. 착화 단면(10a)의 반대 측에 마련된 비 착화단에서 직경 방향의 외측단(U3)에는 모서리 가공이 이루어졌다. 즉, 외측단(U1), 내측단(U2) 및 외측단(UE)은, 길이 축 방향(L)에 대한 수직 면에 대해서 경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모서리 가공에 의해서, 탄소 열원(10)의 깨짐이 억제된다.As already mentione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ignition end face 10a may be corner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radially outer end U1 of the ignition end face 10a is subjected to edge processing. In the ignition end face 10a, the inner edge U2 in the radial direction was subjected to edge processing. The outer edge (U3)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non-ignition end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gnition end face (10a) was subjected to edge processing. That is, the outer end U1, the inner end U2, and the outer end UE have a slope with respect to a vertical plan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 By this edge processing, cracking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is suppressed.

여기에서, 공동(11A)의 직경(φ)은, 예를 들면 2.5mm이다. 각 홈(12X)의 홈 폭은, 공동(11A)의 직경(φ)보다도 작고, 예를 들면, 1mm이다. 길이 축 방향(L)에서 탄소 열원(10)의 전체 길이는, 예를 들면, 17mm이다. 길이 축 방향(L)에서의 착화단부(12)의 길이는, 예를 들면 2mm이다. 길이 축 방향(L)에서, 착화단부(12) 중의 모서리 가공이 이루어지는 부위의 길이는 예를 들면 0.5mm이다. 즉, 길이 축 방향(L)에서 착화단부(12) 중의 모서리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부위의 길이는 1.5mm이다.Here, the diameter? Of the cavity 11A is, for example, 2.5 mm. The groove width of each groove 12X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avity 11A and is, for example, 1 mm. The total length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is, for example, 17 mm. The length of the ignition end portion 12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is, for example, 2 mm.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the length of the edge portion of the ignition end 12 is 0.5 mm, for example. That is, the length of a portion of the ignition end portion 12 where cornering is not performed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is 1.5 mm.

또한, 변경예 1에서는, 탄소 열원(10){원통부(11) 및 착화단부(12)}은,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탄소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 축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공동을 갖는 덩어리체(塊體)를 압출이나 타정, 압축주조 등의 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후에, 착화 단면의 절삭에 의해 홈을 형성해도 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modified example 1, the carbon heat source 10 (the cylindrical portion 11 and the ignition end portion 12) is integrally molded. For example, a lump, which is made of a carbon material and has a cavit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is formed by a method such as extrusion, tableting, compression casting, etc., .

(변경예 2)(Variation Example 2)

아래에서, 상기 실시 형태의 변경예 2에 대해서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변경예 2의 향미 흡인구(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과 마찬가지로, 도 2(b)에 나타내는 S단면을 T측에서 본 도면이다.Modification 2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Hereinafter, differences between the abov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Fig. 11 is a view showing a flavor absorption mouthpiece 1 according to a second modification. Fig. Fig. 11 is a view of the S cross section shown in Fig. 2 (b) as seen from the T side as in Fig.

변경예 2의 향미 흡인구(1)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주로, 열 전도 부재의 구성이 다르다. 구체적으로, 변경예 2의 향미 흡인구(1)는, 상기 실시 형태의 열 전도 부재(312)에 대신하여, 열 전도 부재(313)를 가진다. 변경예 2의 열 전도 부재(313)는, 길이 축 방향(L)에 있어서, 탄소 열원(10)으로부터 향미 발생원(2)까지 이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열 전도 부재(313)의 흡구측 단부(313b)가 길이 축 방향(L)에서, 향미 발생원(2)의 외주면에 위치하고, 열 전도 부재(313)의 흡구측 단부(313b)는, 길이 축 방향(L)에서 향미 발생원(2)의 외주면에 위치한다.In the flavor absorption mouthpiece 1 of Modified Example 2, the configuration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above embodiment. Specifically, the flavor absorption mouthpiece 1 of Modified Example 2 has a heat conduction member 313 instead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3 of Modification Example 2 extends from the carbon heat source 10 to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 More specifically, the suction side end portion 313b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3 is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and the suction side end portion 313b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3 Is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또한, 길이 축 방향(L)에 있어서, 열 전도 부재(313)의 착화단측 단부(313a)의 위치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도 1 참조).The position of the ignition end side end portion 313a of the heat conducting member 313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is the same as that in the above embodiment (see Fig. 1).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열 전도 부재(313)의 길이 축 방향(L)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length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3 in the axial direction L can be shortened, so that the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또한, 도 11의 예에서는, 길이 축 방향(L)에 있어서, 열 전도 부재(313)의 착화단측 단부(313a)의 위치는, 외장 부재(311)의 착화단측 단부의 위치와 같은 경우를 예로 들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부재(313)의 착화단측 단부(313a)의 위치는, 외장 부재(311)의 착화단측 단부보다도 흡구측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11, the position of the ignition end side end portion 313a of the heat conductive member 313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is the same as the position of the ignition end side end portion of the exterior member 311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ignition end side end 313a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3 may be provided closer to the suction side than the ignition end side end of the sheathing member 311. [

또한, 도 11의 예에서는, 길이 축 방향(L)에 있어서, 열 전도 부재(313)의 흡구측 단부(313b)의 위치가, 향미 발생원(2)의 흡구측 단부(2b)의 위치와 같은 경우를 예로 들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 전도 부재(313)의 흡구측 단부(313b)의 위치는, 향미 발생원(2)의 착화단측 단부(2a)와 흡구측 단부(2b) 사이라면, 어디라도 된다.11, the position of the suction side end portion 313b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3 is the same as the position of the suction side end portion 2b of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osition of the suction side end portion 313b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3 may be anywhere between the ignition end side end portion 2a of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and the suction side end portion 2b.

이상, 상기 실시 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당 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대한 어떤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Accordingly, the description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any way.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서, 탄소 열원(10)은 원기둥 모양을 갖지만,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탄소 열원(10)은 각기둥 모양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 길이 축 방향(L)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공동(11A)은 원형 모양을 갖지만,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길이 축 방향(L)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공동(11A)은, 직사각형 형상, 타원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런 경우에, 공동(11A)의 직경(R1) 및 탄소 열원(10)의 외경(R2)은, 길이 축 방향(L)에 직교하는 방향의 사이즈로 바꾸어 이해해도 된다. 이런 경우에, 길이 축 방향(L)에 직교하는 방향의 사이즈는, 길이 축 방향(L)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탄소 열원(10){공동(11A)}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의 최대 길이라고 해도 되고, 최소 길이라고 해도 되며, 평균 길이라고 해도 된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the carbon heat source 10 has a cylindrical shape,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arbon heat source 10 may have a prismatic shape. In the embodiment, the cavity 11A has a circular shape in a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the cavity 11A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or an elliptical shape. In this case, the diameter R1 of the cavity 11A and the outer diameter R2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may be changed to a siz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FIG. In such a case, the size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is the maximum length of the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cavity 11A) in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L And may be a minimum length or an average length.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향미 발생원(2)과 필터(4)가 별개로 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향미 발생원(2)과 필터(4)를 일체화한 향미 발생원(에어로졸 발생원)으로 해도 된다.Although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and the filter 4 are separately provide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2 and the filter 4 may be integrated into a flavor generating source (aerosol generating source) do.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부(3)에 있어서, 외벽(31)은, 외장 부재(311)와 열 전도 부재(312)와의 2층 구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층 이상의 구조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열 전도 부재(312)의 일부는, 탄소 열원(10)의 짧은 축 방향(D)의 외표면(외주면)에 당접하는 구성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외벽(31)은, 탄소 열원(10)과 열 전도 부재(312) 사이에, 다른 시트상 부재를 가지고 있고, 다른 시트상 부재가, 탄소 열원(10)의 외표면(외주면)에 당접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열 전도 부재(312)는, 탄소 열원(10)의 외표면(외주면)에 인접하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outer wall 31 of the support portion 3 has been described by taking the case of a two-layer structure of the exterior member 311 and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tructure may be three or more layers. In the above embodiment, a part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is configured to abut the outer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short axis direction D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outer wall 31 has another sheet-like member between the carbon heat source 10 and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and the other sheet-like member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As shown in FIG. That is, if the heat conduction member 312 is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rbon heat source 10,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applied.

또한,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는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the embodiment and the modific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에는 기재하지 않은 다양한 실시 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범위의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Thu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embodiments not described herei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only by the inventive particulars of the relevant patent claims from the above description.

또한, 일본 특허출원 제2013-204167호(2013년 9월 30일 출원)의 모든 내용이 참조로,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ntire contents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3-204167 (filed on September 30, 2013)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 개시시부터 초기 퍼프 시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착화성이 양호하며, 또한, 중반부터 후반까지 퍼프시에 안정된 열량 공급을 실현하고, 또한, 연소 종료시에 확실하게 소화할 수 있는 탄소 열원 및 향미 흡인구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good ignitability in the period from the start of combustion to the initial puff, and to realize stable supply of heat at the time of puff from mid to late, And can provide a carbon source and a flavor absorption population that can be digested.

Claims (7)

막대 모양의 탄소 열원과, 상기 탄소 열원을 지지하는 통 모양의 외벽을 가진 지지부를 구비하는 향미 흡인구로서,
상기 탄소 열원은,
상기 탄소 열원의 길이 축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1개의 공동이 마련되어 있는 통부와,
상기 통부보다도 상기 탄소 열원의 착화측에 마련되어 있는 착화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착화단부에서의 상기 착화측의 단면에, 상기 공동과 연통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착화단부는, 상기 통부에 마련된 상기 공동의 연장 방향에서 상기 공동에 연통하는 공극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홈은, 상기 공극과 별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외벽은 열 전도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열 전도 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탄소 열원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구.
A flavor absorption population comprising a rod-shaped carbon heat source and a support having a tubular outer wall for supporting the carbon heat source,
The carbon heat source may include,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one cavity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arbon heat source;
And a ignition end portion provided on the ignition side of the carbon heat source rather than the cylinder portion,
A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cavity is formed in an end face of the ignition side at the ignition end,
The ignition end portion has a gap communicating with the cavity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avity provided in the cylindrical portion,
Wherein the groove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gap,
In the support portion, the outer wall has a heat conduction member,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is adjacent to the carbon heat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는, 적어도 한 종류의 휘발성 향미 성분을 포함하는 향미 발생원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열 전도 부재는, 적어도 상기 탄소 열원으로부터 상기 향미 발생원까지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lavor generating source including at least one kind of volatile flavor ingredient is provided inside the support,
Wherein the heat conduction member extends from at least the carbon heat source to the flavor generating sour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착화단부의 측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groove is ex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ignition end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는, 원통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공동의 직경과 상기 탄소 열원의 외경과의 차이는, 1mm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arrel has a cylindrical shape,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meter of the cavity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carbon heat source is 1 mm or mo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 및 상기 착화단부는,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er portion and the ignition end portion are integrally mold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열원의 길이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탄소 열원의 사이즈는, 10mm~30mm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탄소 열원의 사이즈는, 4mm~8mm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of the carbon heat source, the size of the carbon heat source is 10 mm to 30 mm,
And the size of the carbon heat source is 4 mm to 8 mm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열원의 길이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공동의 사이즈는, 1mm~4mm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size of the cavity is in a range of 1 mm to 4 mm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longitudinal axis direction of the carbon heat source.
KR1020167008832A 2013-09-30 2014-09-25 Flavor inhalator Expired - Fee Related KR10188828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04167 2013-09-30
JP2013204167 2013-09-30
PCT/JP2014/075536 WO2015046384A1 (en) 2013-09-30 2014-09-25 Flavor inha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672A KR20160052672A (en) 2016-05-12
KR101888282B1 true KR101888282B1 (en) 2018-08-13

Family

ID=52743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832A Expired - Fee Related KR101888282B1 (en) 2013-09-30 2014-09-25 Flavor inhala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888282B1 (en)
EA (1) EA030672B1 (en)
TW (1) TW201517819A (en)
WO (1) WO201504638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7555A1 (en) * 2016-04-27 2017-11-0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Flavor inhaler
EP3636085A4 (en) 2017-05-26 2021-03-03 Japan Tobacco, Inc. Flavor source unit and flavor inhaler
JP7176101B2 (en) * 2019-04-04 2022-11-2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carbon heat source for flavor inhaler, composite particles, carbon heat source for flavor inhaler, and flavor inhal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6949A1 (en) 2001-12-28 2003-07-17 Japan Tobacco Inc. Smoking implement
WO2006046422A1 (en) 2004-10-25 2006-05-04 Japan Tobacco Inc. Heat source rod production machine and its production method
WO2010076653A1 (en) 2008-12-30 2010-07-08 Philip Morris Products S.A.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components for smoking articles
WO2012014490A1 (en) 2010-07-30 2012-02-02 Japan Tobacco Inc. Smokeless flavor inhala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4331A (en) * 1984-09-14 1989-08-08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DE3908161A1 (en) * 1989-03-13 1990-09-27 Bat Cigarettenfab Gmbh Smokable article
US5188130A (en) * 1989-11-29 1993-02-23 Philip Morris, Incorporated Chemical heat source comprising metal nitride, metal oxide and carbon
EP0444553A3 (en) 1990-02-27 1993-04-14 R.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DE19818975A1 (en) * 1997-08-12 1999-02-18 Hewlett Packard Co Method for correcting dark current in CMOS imaging sensors
MX2010001649A (en) 2007-08-10 2010-03-11 Philip Morris Prod Distillation-based smoking article.
RU2577727C1 (en) * 2012-03-30 2016-03-20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Heat coal source and aroma inhaler
JP2016103981A (en) * 2013-03-08 2016-06-0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Flavor sucker
JP6131316B2 (en) * 2013-03-08 2017-05-1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pack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6949A1 (en) 2001-12-28 2003-07-17 Japan Tobacco Inc. Smoking implement
WO2006046422A1 (en) 2004-10-25 2006-05-04 Japan Tobacco Inc. Heat source rod production machine and its production method
WO2010076653A1 (en) 2008-12-30 2010-07-08 Philip Morris Products S.A.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components for smoking articles
WO2012014490A1 (en) 2010-07-30 2012-02-02 Japan Tobacco Inc. Smokeless flavor inha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1690711A1 (en) 2016-07-29
EA030672B1 (en) 2018-09-28
WO2015046384A1 (en) 2015-04-02
KR20160052672A (en) 2016-05-12
TW201517819A (en) 201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5539B2 (en) Carbon heat source and flavor suction tool
JP6998925B2 (en) Heat generator for aerosol generation system of smoking goods, and related smoking goods
KR102699742B1 (en) Aerosol-generating article having an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a double plug
US11160302B2 (en) Flavor inhaler and cup
CN108024568B (en) Heat generation section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of a smoking article
EP2757912B1 (en) Segmented smoking article with substrate cavity
US5611360A (en) Smoking article
US9149072B2 (en) Segmented smoking article with substrate cavity
HU214761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JP5960342B2 (en) Combustion type heat source, flavor inhal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mbustion type heat source
KR101888282B1 (en) Flavor inhalator
TW201507635A (en) Combustion type heating source and flavor suction device
KR102767321B1 (en) A smoking article comprising a combustible heat source with airflow hole
KR102692367B1 (en) A method of forming a combustible heat source, the combustible heat source manufactured by the method, and a smoking article comprising the same
HK1200064B (en) Carbon heat source and flavour inhalation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