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88132B1 - 편광 반사 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편광 반사 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132B1
KR101888132B1 KR1020170065499A KR20170065499A KR101888132B1 KR 101888132 B1 KR101888132 B1 KR 101888132B1 KR 1020170065499 A KR1020170065499 A KR 1020170065499A KR 20170065499 A KR20170065499 A KR 20170065499A KR 101888132 B1 KR101888132 B1 KR 101888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stretching
polyester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민
이세철
이승원
이중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5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132B1/ko
Priority to CN201880032793.1A priority patent/CN110637241B/zh
Priority to PCT/KR2018/005940 priority patent/WO2018217053A1/ko
Priority to US16/614,258 priority patent/US11668863B2/en
Priority to TW107117939A priority patent/TWI70224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1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실시예는 편광 반사 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의 길이/폭 방향의 인장 강도의 차이를 발생시키면서 필름 중앙부와 단부의 배향각 차이를 최소화해, 모듈러스 등의 기계적 강도 및 휘도를 향상시키고, 편광무라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편광 반사 시트의 기재 필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단층의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가공 공정이 보다 용이하고 두께가 보다 슬림하므로 소형화, 박막화 디스플레이 기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편광 반사 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POLYESTER FILM FOR POLARZING REFLECTIVE SHEET}
실시예는 편광 반사 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표시패널(PDP), 전기영동 표시장치(ELD)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들이 개발 중이거나 상품화되어 있다. 실내 전시용 디스플레이는 점점 대형화 및 박형화되는 추세이고, 실외 휴대용 디스플레이는 소형화 및 경량화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찍부터 각종 광학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광학필름은 디스플레이의 종류 및/또는 용도에 따라 높은 투광도, 광학적 등방성, 무결점 표면, 높은 내열성 및 내습성, 높은 유연성, 높은 표면경도, 낮은 수축율, 공정상의 처리용이성, 높은 휘도, 콘트라스트(contrast), 발광 효율 등의 물성을 갖추어야 한다.
특히, 디스플레이의 휘도, 콘트라스트(contrast), 발광 효율 등을 높이기 위해 휘도 향상 필름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휘도 향상 필름으로는 반사형 편광 필름이 주로 사용되는데, 상기 필름은 일반적으로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을 교대로 반복 적층된 형태로, 차광테이프 등에 의해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BLU)에 부착될 수 있다. 시판되는 휘도 향상 필름으로는 3M사의 이중휘도향상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DBEF)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휘도 향상 필름은 표면 저항이 높고, 정전기 발생에 의해 표면에 이물질 등이 부착되기 쉽다. 또한, 대형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외부 전하에 의해 액정이 깨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표면 경도가 낮아 내스크레치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투명성이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름의 표면에 코팅층을 적층시키는 등의 표면 처리 방법이 소개되었으며, 일례로 필름의 일면에 하드코팅층을 코팅시켜 표면을 강화시킨 예가 알려져 있다(한국공개특허 제2007-0028826호). 그러나, 상기와 같이 표면 처리된 필름은 휘도, 기계적 물성 및 외관 특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두께 측면에서 고려해볼 때 박형화, 소형화 추세의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0028826호
이에, 실시예는 단층 필름의 길이/폭 방향 강도의 차이를 발생시키면서 필름 중앙부와 단부의 배향각 차이를 최소화해, 기계적 강도 및 외관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휘도 향상 및 편광무라가 발생하지 않는 편광 반사 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 상에 배치되는 편광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 반사부는 등방성 수지층과 복굴절 수지층이 교대로 적층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의 면내 위상차가 3,000nm 내지 30,000nm이고, 상기 필름이 25 내지 35 kgf/mm2의 폭 방향 인장 강도 및 8.0 내지 19 kgf/mm2의 길이 방향 인장 강도를 가지며, 상기 폭 방향 인장 강도에 대한 상기 길이 방향 인장 강도의 비율이 0.25 내지 0.7이고, 상기 필름의 폭 방향 모듈러스가 450 내지 560kgf/mm2이며, 길이 방향 모듈러스가 220 내지 380kgf/mm2인 편광 반사 시트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편광 반사 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의 길이/폭 방향의 인장 강도의 차이를 발생시키면서 필름 중앙부와 단부의 배향각 차이를 최소화해, 기계적 강도 및 휘도를 향상시키고, 편광무라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단층의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가공 공정이 보다 용이하고 두께가 보다 슬림하므로 소형화, 박막화 디스플레이 기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시험예 (3)에서 사용된 배향각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시험예 (4)의 편광무라 발생 여부 확인에 사용되는 것으로, 기재 필름을 디스플레이에 장착한 모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반사 시트의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 상에 배치되는 편광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 반사부는 등방성 수지층과 복굴절 수지층이 교대로 적층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의 면내 위상차가 3,000nm 내지 30,000nm이고, 상기 필름이 25 내지 35 kgf/mm2의 폭 방향 인장 강도 및 8.0 내지 19 kgf/mm2의 길이 방향 인장 강도를 가지며, 상기 폭 방향 인장 강도에 대한 상기 길이 방향 인장 강도의 비율이 0.25 내지 0.7이고, 상기 필름의 폭 방향 모듈러스가 450 내지 560kgf/mm2이며, 길이 방향 모듈러스가 220 내지 380kgf/mm2인 편광 반사 시트을 제공한다.
상기 편광 반사 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으로서, 폭 방향(TD)으로 4.0배 내지 8.0배 연신되고, 길이 방향(MD)으로 1.0배 내지 3.0배 연신되어 제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폭 방향으로 4.1배 내지 6.0배 연신되고, 길이 방향으로 1.2배 내지 1.7배, 또는 1.2배 내지 1.5배로 연신될 수 있다.
상기 배율로 연신된 필름은 전폭에 대하여 ±2.8 deg.(°) 이하의 배향각 편차(광축)를 가질 수 있고, 자세하게는 ±0.5 내지 ±2.8 deg., 또는 ±0.5 내지 ±2.5 deg.의 배향각 편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배향각 편차는 0 deg.에 가까울수록 필름의 휘도가 향상되며, 상기 범위 내일 때, 편광무라 발생을 억제하여 색상 왜곡 현상을 방지하면서, 5% 이상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필름은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신 시 연신 부하(응력)를 높이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PET 필름은 길이 방향/폭 방향의 비율로 연신될 때 연신 온도를 낮추어 필름이 받는 예열량을 줄이게 되면 연신될 때 걸리는 응력이 높아지면서 결정의 배향성이 증가하게 되므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름은 길이 방향으로 8.0 내지 19kgf/mm2의 인장 강도, 폭 방향으로 25 내지 35kgf/mm2의 인장 강도를 갖는다. 상기 폭 방향 인장 강도에 대한 길이 방향 인장 강도의 비율은 0.25 내지 0.7, 0.25 내지 0.6, 0.25 내지 0.4, 또는 0.25 내지 0.35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필름은 폭 방향으로 450 내지 560kgf/mm2, 또는 500 내지 550 kgf/mm2, 길이 방향으로 220 내지 380kgf/mm2, 220 내지 280kgf/mm2, 또는 220 내지 270kgf/mm2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연신 후 열고정 시 열처리 온도(TMS 온도)를 높여 결정화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TMS 온도를 높이게 되면 필름 내 결정 성장이 가속화되고 결정의 양도 많아지게 되어 기계적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의 면내 위상차(Re)는 3,000 nm 이상, 7,000nm 이상, 또는 7,000nm 내지 30,000nm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필름은 위상차 편차가 500 nm/m 이하일 수 있고, 자세하세는 10 nm/m 내지 300 nm/m 또는 10nm/m 내지 200 nm/m일 수 있다. 상기 필름의 위상차 및 이들의 편차가 상기 범위 내일 때, 무지개 무라 등과 같은 색상 왜곡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의 두께는 30 내지 300㎛, 30 내지 200㎛, 60 내지 200㎛, 60 내지 190㎛, 80 내지 200㎛, 80 내지 190㎛, 또는 80 내지 188㎛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박막형 및/또는 소형화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상기 필름은 200mm X 200mm 의 샘플에 대하여 85℃, 24시간 동안 열수축율을 측정하였을 때, 길이 방향으로 0.05 내지 0.6%, 또는 0.05 내지 0.3%, 폭 방향으로 0.05 내지 0.6%, 또는 0.05 내지 0.3%의 수축율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필름의 파단 신도는 MD 방향으로 약 7% 내지 약 20%, TD 방향으로 약 75% 내지 약 1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와 같은 파단 신도를 가지기 때문에, 매끄러운 절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배향각은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약 ±5˚이내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배향각(광축)은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약 ±3 ˚ 이내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배향각은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2 ˚ 이내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배향각이 상기와 같은 범위를 가지는 경우,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용된 편광판은 향상된 편광도 및 휘도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배향각과 상기 폭 방향의 편차가 작을수록, 편광판의 편광 방향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배향각이 서로 일치하게 되고,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향상된 휘도 및 편광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의 편광 반사 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폴리에스테르 수지, 예컨대 PET 수지 등 필름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수지를 용융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한 후, 상기 미연신 시트를 폭 방향으로 연신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여 필름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PET 수지는 에틸렌글리콜과 같은 디올 성분과 테레프탈산과 같은 디카복실산 성분을 에스테르화 반응 및 중합반응시켜 직접 제조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를 용융 압출한 후 냉각시켜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미연신 시트를 폭 방향으로 예컨대 4.0배 이상, 4.0배 내지 8.0배, 또는 4.1배 내지 6.1배로 연신하고, 길이 방향으로 예컨대 3.0배 이하, 1.0배 내지 3.0배, 1.2배 내지 1.7배, 또는 1.2배 내지 1.5배로 연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폭 방향으로 연신되는 단계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의 연신 속도는 200%/분 내지 800%/분, 250%/분 내지 600%/분, 또는 250%/분 내지 300%/분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압출은 Tm+30℃ 내지 Tm+6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 용융 압출을 수행할 경우, 원활한 용융이 이루어지고 압출물의 점도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은 3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3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연신 온도는 Tg+5℃ 내지 Tg+50℃의 범위일 수 있으며, 연신 온도가 낮을수록 연신성이 좋아지나, 파단이 일어날 수 있다. 특히, 취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Tg+10℃ 내지 Tg+40℃의 연신 온도 범위일 수 있다. 예컨대, 길이 방향으로의 연신 온도는 75 내지 85℃, 폭 방향으로의 연신 온도는 80 내지 120℃이며, 상기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연신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방법은 상기 연신된 필름을 열고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열고정 온도는 180 내지 230℃이며, 상기 열고정 시간은 1 내지 2분일 수 있다. 열고정을 시작한 후에 필름은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이완되며(이완율 2 내지 4%), 이후, 100 내지 150℃로 단계적으로 온도를 하강시킴으로써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따르면, 적절한 두께 및 낮은 면내 위상차를 가져 편광무라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휘도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필름은 통상의 정전인가제, 대전방지제, 블로킹방지제 및 기타 무기활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본 실시예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편광 반사 시트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광 반사 시트는 편광 반사부 및 상기 편광 반사부를 샌드위치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반사부는 다층 연신 필름일 수 있다. 상기 다층 연신 필름은 제1층과 제2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된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일축 방향(x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은 교대로 적층되어 적층체를 이루며, 상기 적층체는 250층 내지 1,000층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500층일 수 있다.
상기 다층 연신 필름의 상기 제1층은 연신에 의해 굴절률이 변화하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층은 연신에 의한 굴절률 변화가 작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져, 제1층을 일축 방향(x방향)으로 연신시키게 되면, 일축 연신 방향(x 방향)으로 높은 굴절률을 가지게 되어 연신 방향으로 제2층과의 굴절률 차이로 인해,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하는 광학 간섭을 일으켜 반사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제1층은 단일 중합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가 사용되고, 상기 제2층은 결정성이 낮은 공중합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의 광학 두께는 가시광 파장의 1/4일 수 있다. 이에, 연신 방향(x 방향)으로는 굴절률 차이로 인한 반사 능력을 가지는 반면에, 필름 면 내에서 일축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y 방향)으로는 굴절률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반사 능력을 가지지 않으므로, 일정 방향의 빛만 반사시키는 편광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x 방향으로의 연신은 3 내지 7배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배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신에 의한 상기 제1층과 제2층의 x 방향으로의 굴절률 차는 0.1 내지 0.5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일 수 있다. 상기 x 방향으로의 굴절률 차가 상기 범위일 때 반사 성능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층과 제2층의 필름 면 내에서 일축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y 방향) 및 필름 두께 방향(z 방향)의 굴절률 차는 각각 0.05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y 방향 및 z 방향의 굴절률 차가 각각 0.05 이하일 때, 편광이 경사 방향으로 입사되었을 때의 색상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의 두께는 각각의 최소층 두께에 대한 최대층 두께가 1.2 내지 1.5 배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 필름 중 적어도 하나는 앞서 설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필름의 폭 방향과 상기 다층 연신 필름의 주 연신 방향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폭 방향과 상기 다층 연신 필름의 연신 방향이 실질적으로 일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 반사 시트는 향상된 휘도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편광 반사 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의 길이/폭 방향의 인장 강도의 차이를 발생시키면서 필름 중앙부와 단부의 배향각 차이를 최소화해, 모듈러스 등의 기계적 강도 및 휘도를 향상시키고, 편광무라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편광 반사 시트의 기재 필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단층의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가공 공정이 보다 용이하고 두께가 보다 슬림하므로 소형화, 박막화 디스플레이 기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틸렌글리콜 100몰% + 테레프탈산 100몰%, IV 0.61dl/g, SKC 사)를 약 280℃의 압출기를 통하여 용융 압출한 후, 약 25℃의 캐스팅롤에서 냉각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미연신 시트를 100℃로 예열한 후, 80℃에서 길이 방향으로 1.20배, 폭 방향으로 80℃에서 120℃로 단계적으로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4.16배 연신하였다. 이후, 상기 연신된 시트를 약 210℃의 온도에서 약 90초 동안 열고정시키고, 약 150℃에서 약 100℃로 온도를 하강시키면서, 약 3%의 이완율로 이완시켜 두께 188㎛의 단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및 3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연신비 및 최종 필름의 두께를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 편광반사 시트 제조.
3M 사의 Vikuiti™ 다층 연신 필름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기재 필름을 단면 또는 양면 접착하여, 편광 반사 시트를 제조하였다.
< 시험예 >
(1) 모듈러스 평가
ASTM D 882에 따라, 만능시험기 4206-001(Instron사)을 사용하여 종/횡 탄성 모듈러스를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2) 인장 강도 평가
KS B 5521에 따라 필름에 하중을 가하여 늘어나는 값에서 최대하중을 필름의 원래 단면적으로 나누어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3) 광축 평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배향각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필름(시료필름)의 배향각을 측정하고, 측정된 배향각과 폭 방향 사이의 각도의 편차(광축)를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4) 면내 위상차 평가
직교하는 이축의 굴절률(nx, ny)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nz)을 아베 굴절률계(NAR-4T, 측정파장 589nm, 아타고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필름의 두께 d(nm)는 전기 마이크로미터(밀리트론 1245D, 파인류프 사)를 이용해서 측정한 후 단위를 nm로 환산하였다. 상기 측정된 이축의 굴절률 각각의 차이를 절대값(|nx-ny|)으로 구하고, 필름의 두께 d(nm)를 곱하여(nxy×d) 면내 위상차(Re)를 구해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5) 편광무라 발생 여부
PVA와 요오드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편측에, 상기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얻은 필름(시료필름)을 편광자의 흡수축과 필름의 배향 주축이 수직이 되도록 첩부(貼付)하고, 그 반대편에 TAC필름(80㎛, 후지필름㈜)을 첩부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상기 편광판을,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이트륨·알루미늄·가넷계 황색 형광체를 조합한 발광소자로 이루어진 백색 LED를 광원(NSPW500CS, 니치아 화학)으로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출사광측에 설치하되, 시료필름을 시인측에 위치시켰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셀의 입사광측에 2매의 TAC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 하는 편광판을 가졌다(도 2 참조). 액정표시장치의 편광판의 정면 및 경사방향에서 육안으로 관찰하여 편광무라 발생 유무에 대해 관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6) 휘도 향상율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 상에 앞서 제조된 편광 반사 시트들을 배치시킨 후, 상기 프리즘 시트들을 통과하는 광의 휘도를 미놀타 CS-2000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비교예 1의 휘도를 기준으로 휘도 상승율을 구하였다.
Figure 112017050576162-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필름은 모두 인장 강도 및 모듈러스가 우수하면서 배향각 편차(광축)가 2.8 deg. 미만으로 낮고, 면내 위상차가 7,000nm 이상으로 높아 편광무라가 발생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일면 및 타면의 휘도가 동시에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3의 필름은 배향각 편차가 크고, 면내 위상차가 낮아 편광무라가 강하게 나타나거나, 휘도 향상율이 실시예의 필름보다 저조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제조된 필름은 편광무라가 발생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양면(이중)의 휘도가 향상되었으며 기계적 강도도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 상에 배치되는 편광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 반사부는 등방성 수지층과 복굴절 수지층이 교대로 적층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의 면내 위상차가 3,000nm 내지 30,000nm이고,
    상기 필름이 25 내지 35 kgf/mm2의 폭 방향 인장 강도 및 8.0 내지 19 kgf/mm2의 길이 방향 인장 강도를 가지며,
    상기 폭 방향 인장 강도에 대한 상기 길이 방향 인장 강도의 비율이 0.25 내지 0.7이고,
    상기 필름의 폭 방향 모듈러스가 450 내지 560kgf/mm2이며, 길이 방향 모듈러스가 220 내지 380kgf/mm2이며,
    상기 필름이 24시간, 85℃의 조건에서 길이 방향(MD)으로 0.05 내지 0.6%, 폭 방향(TD)으로 0.05 내지 0.6%의 수축율을 가지고,
    상기 필름이 길이 방향(MD)으로 7 내지 20%, 및 폭 방향(TD)으로 75 내지 100%의 파단 신도를 갖는, 편광 반사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방성 수지층과 상기 복굴절 수지층 사이의 굴절율 차이는 제1방향으로 0.1 내지 0.5이고, 상기 제1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제2방향으로 0.1 이하이며,
    상기 제1방향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폭 방향인, 편광 반사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전폭에 대하여 ±0.5 내지 ±2.8 deg. 이하의 배향각 편차를 갖는, 편광 반사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면내 위상차가 7,000nm 내지 30,000 nm인, 편광 반사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위상차 편차가 10 내지 300 nm/m 이하인, 편광 반사 시트.
  6.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미연신 시트를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신하는 단계;
    상기 연신된 시트를 열고정하여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을 편광 반사부의 단면 또는 양면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연신 시트를 폭 방향으로 4.0배 내지 8.0배 연신하고, 길이 방향으로 1.0배 내지 3.0배로 연신하며,
    상기 열고정 온도는 180℃ 내지 230℃ 이고,
    상기 연신된 시트는 열고정을 시작한 후에 길이 방향, 폭 방향 또는 이들 모두에 대해 2% 내지 4% 이완되며,
    상기 열고정은 100℃ 내지 150℃로 단계적으로 온도를 하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광 반사 시트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의 연신 온도는 80℃ 내지 120℃이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연신 온도는 75℃ 내지 85℃인, 편광 반사 시트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의 연신 속도를 200%/분 내지 800%/분인, 편광 반사 시트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반사부는 다층 연신 필름이고,
    상기 다층 연신 필름은 제1층과 제2층이 교대 적층되어 형성된 적층 필름이 일축 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이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의 폭 방향과, 상기 다층 연신 필름의 일축 연신 방향이 대응되고,
    상기 제1층은 연신에 의해 굴절률이 변화하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층은 상기 제1층보다 연신에 의한 굴절률 변화가 작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편광 반사 시트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250층 내지 1000층인, 편광 반사 시트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연신 필름은 상기 적층 필름이 3배 내지 7배 연신되어 제조되는, 편광 반사 시트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으로 단일 중합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가 사용되고, 상기 제2층으로 공중합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가 사용되는, 편광 반사 시트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의 연신에 의한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의 연신 방향으로의 굴절률 차는 0.1 내지 0.5인, 편광 반사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70065499A 2017-05-26 2017-05-26 편광 반사 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Active KR101888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499A KR101888132B1 (ko) 2017-05-26 2017-05-26 편광 반사 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CN201880032793.1A CN110637241B (zh) 2017-05-26 2018-05-25 光学聚酯膜和含其的棱镜片或偏振反射片
PCT/KR2018/005940 WO2018217053A1 (ko) 2017-05-26 2018-05-25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프리즘 시트 또는 편광 반사 시트
US16/614,258 US11668863B2 (en) 2017-05-26 2018-05-25 Optical polyester film, and prism sheet or polarized reflection sheet comprising same
TW107117939A TWI702248B (zh) 2017-05-26 2018-05-25 光學聚酯薄膜及包含其之偏光反射片或稜鏡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499A KR101888132B1 (ko) 2017-05-26 2017-05-26 편광 반사 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132B1 true KR101888132B1 (ko) 2018-08-14

Family

ID=6323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499A Active KR101888132B1 (ko) 2017-05-26 2017-05-26 편광 반사 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1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8826A (ko) 2005-09-08 2007-03-13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표면강화 휘도향상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면강화휘도향상필름
KR20070071346A (ko) * 2005-12-30 2007-07-0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복굴절성 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휘도 증강용 광학필름복합체
KR20070071347A (ko) * 2005-12-30 2007-07-0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확산 및 반사형 편광 기능이 통합된 터닝필름 시스템용광학필름 복합체
KR20130036267A (ko) * 2013-02-21 2013-04-1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복굴절성 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휘도 증강용 광학필름 복합체
JP2014505904A (ja) * 2011-01-18 2014-03-0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光学フィルム積層体
KR20160028594A (ko) * 2014-09-03 2016-03-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8826A (ko) 2005-09-08 2007-03-13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표면강화 휘도향상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면강화휘도향상필름
KR20070071346A (ko) * 2005-12-30 2007-07-0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복굴절성 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휘도 증강용 광학필름복합체
KR20070071347A (ko) * 2005-12-30 2007-07-0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확산 및 반사형 편광 기능이 통합된 터닝필름 시스템용광학필름 복합체
JP2014505904A (ja) * 2011-01-18 2014-03-0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光学フィルム積層体
KR20130036267A (ko) * 2013-02-21 2013-04-1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복굴절성 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휘도 증강용 광학필름 복합체
KR20160028594A (ko) * 2014-09-03 2016-03-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7523B2 (en)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2061215B1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377252B2 (ja) 画像表示装置
US11008430B2 (en) Polarizer protection film, polarizing plate comprising same, and display provided with same
JP7044468B2 (ja) 光学積層体および該光学積層体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20150054831A (ko) 광학 부재, 편광판 세트 및 액정 표시 장치
TW201350989A (zh) 光學構件、偏光板組及液晶顯示裝置
KR20210095974A (ko) 액정표시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
KR20160055152A (ko)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편광판의 광 투과율 개선 방법
JP2006517486A (ja) 高分子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1656231B (zh) 偏光板和显示装置
CN110447306A (zh) 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用的多层膜以及包含其的偏振片、防反射膜和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KR101913730B1 (ko)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보호필름과 이를 이용한 편광판
TWI702248B (zh) 光學聚酯薄膜及包含其之偏光反射片或稜鏡片
KR101889904B1 (ko) 프리즘 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US20160291229A1 (en) Method for producing retardation film
JP6880548B2 (ja) 液晶表示装置
WO2014185312A1 (ja) 画像表示装置
KR20180133958A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CN101251614A (zh) 层叠相位差薄膜
KR101888132B1 (ko) 편광 반사 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6309849B2 (ja) 1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それからなる液晶ディスプレイ用偏光板、液晶ディスプレイ用光学部材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
JP6077299B2 (ja) 1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それからなる偏光板、液晶表示装置用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604387B1 (ko)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 그 기재를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
KR102100354B1 (ko) 광학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5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5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