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87818B1 -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818B1
KR101887818B1 KR1020170085207A KR20170085207A KR101887818B1 KR 101887818 B1 KR101887818 B1 KR 101887818B1 KR 1020170085207 A KR1020170085207 A KR 1020170085207A KR 20170085207 A KR20170085207 A KR 20170085207A KR 101887818 B1 KR101887818 B1 KR 101887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able container
plunger
container
disposable
turn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창식
Original Assignee
권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창식 filed Critical 권창식
Priority to KR1020170085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제조된 일회용 용기를 직립상태로 안치시키는 턴테이블과, 턴테이블에 안치된 일회용 용기가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밀대와, 밀대에 의해 이동된 일회용 용기가 이송되는 이송관을 포함하여 일회용 용기를 적재라인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턴테이블과 이송관 사이에 위치하여 밀대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일회용 용기를 직립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도시키는 전도부를 더 포함하고, 전도부의 일측에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지관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직경에 비해 높이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일회용 용기를 이송관을 따라 이송시키기 위하여 일회용 용기를 이송관의 진입단부에서 수평상태로 용이하게 전도시키므로, 일회용 용기의 적재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DISPOSABLE CUP}
본 발명은 성형라인에서 성형제조된 일회용 용기를 적재라인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일회용 용기를 이송관을 따라서 적재라인 측으로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는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용기는 플라스틱 또는 스티로풀 재질의 합성수지 제품 또는 종이재질의 제품으로서 인스턴트 식품 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 생활의 필수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일회용 용기는 소주컵과 같은 소용량의 용기에서부터 커피, 음료수 또는 라면, 치킨 등과 같은 음식물을 담는 대용량의 용기까지 다양한 크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일회용 용기는 음식물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성형제조되며, 이러한 제조과정에서 이물질이 용기의 내부에 유입되거나 또는 용기의 외면이 찌그러지는 등 일회용 용기의 불량여부를 검사한다. 그리고, 검사완료된 양호한 용기는 이송라인을 따라서 적재라인측으로 이송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4534호에는 검사부를 통과한 일회용 용기를 불량여부에 따라서 구분하여 배출하는 배출부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배출부로 배출된 일회용 용기는 배출파이프를 따라서 적재라인 측으로 이송되어 적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0389호에는 이송벨트의 낙하단 하부에 위치하는 진입구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배출 파이프와, 상기 배출 파이프의 진입구를 향행서 에어를 방출하는 에어배출노즐을 갖는 컵이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 파이프로 진입한 종이컵은 정렬된 상태로 적재라인으로 이송되어 정렬된 상태로 적재되었다.
통상적인 종이컵과 같이 높이가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일회용 용기는 배출 파이프를 따라서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높이가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일회용 용기는 배출 파이프를 따라서 이송되는 동안 뒤집어지는 등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적재라인 측에 정렬된 상태로 적재되지 못하였으며, 이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정렬시키므로 작업자의 작업피로도를 증가시켰으며 결과적으로 일회용 용기의 생산효율을 저하시켰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0434920호와 제10-0434921호에는 종이컵이 옆으로 이송되도록 종이컵의 직경보다 작은 높이를 지닌 사각 이송관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사각 이송관에 있어서, 종이컵을 안착판에 로딩시키는 장치로서 턴테이블의 구멍 상단에 설치되는 누름구와 안착판의 흡입장홈 하단에 설치되는 흡입기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 사각 이송관에 종이컵을 진입시키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였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4534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0389호 등록특허공보 제10-0434920호 등록특허공보 제10-0434921호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높이가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일회용 용기를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는 사각형 이송파이프를 포함하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각형 이송파이프에 진입시키고자 하는 일회용 용기를 사각형 이송파이프의 진입부에서 전도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제조된 일회용 용기를 직립상태로 안치시키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안치된 일회용 용기가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밀대와, 상기 밀대에 의해 이동된 일회용 용기가 이송되는 이송관을 포함하여 상기 일회용 용기를 적재라인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는 상기 턴테이블과 이송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밀대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일회용 용기를 직립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도시키는 전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도부의 일측에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지관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도부의 내부에는 상기 밀대에 의해 이동하는 일회용 용기의 일부가 걸쳐지는 턱부가 제공된다.
상기 밀대는 상기 일회용 용기를 직립상태로 이동시키는 제1밀대부와 직립상태로 이동한 일회용 용기의 일측에 힘을 가하는 제2밀대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경에 비해 높이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일회용 용기를 이송관을 따라 이송시키기 위하여 일회용 용기를 이송관의 진입단부에서 수평상태로 용이하게 전도시키므로, 일회용 용기의 적재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턴테이블에 선적된 일회용 용기가 전도부로 유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일회용 용기가 전도부에서 전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서 수평상태로 이송된 일회용 용기가 적재수단에 적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직립상태'는 용기의 밑지가 하부에 위치하는 세워진 상태이고, 용어 '수평상태'는 용기가 엎어져서 용기의 밑지가 이송관의 측면을 향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성형제조된 일회용 용기를 적재라인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100)는 일회용 용기(10)가 직립상태로 안치되는 용기 공급부를 갖는다. 상기 용기 공급부는 예를 들어 턴테이블(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송장치(100)는 턴테이블(12)에 안치된 일회용 용기(1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밀대(120)와, 밀대(120)에 의해 이동된 일회용 용기(10)를 상기 적재라인까지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이송관(20)을 포함한다.
일회용 용기(10)는 둘레부가 되는 옆지와 저면판이 되는 밑지가 서로 접합되어 있고 직경보다 높이의 길이가 작은 사발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일회용 용기(10)는 턴테이블(12)에 직립상태로 안치된다. 턴테이블(12)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안착구멍(12a)들이 제공되고, 일회용 용기(10)는 턴테이블(12)의 안착구멍(12a)에 직립상태로 안착된다.
이송관(20)은 일회용 용기(10)를 수평상태로 이송시킬 수 있는 사각형 단면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이송관(20)의 사각형 단면구조는 상술된 특허문헌들중 등록특허공보 제10-0434920호와 제10-0434921호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한다.
밀대(120)는 턴테이블(12)의 안착구멍(12a)에 안착되어 있는 일회용 용기(10)를 이송관(20)으로 이동시키는 부재이다. 밀대(120)에는 공기를 상방으로 공급하는 공기 송풍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송풍부를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서 일회용 용기(10)는 이송관(20)으로 이동하게 된다.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회용 용기(10)가 이송관(20) 내의 턱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공그 송풍부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서 일회용 용기(10)는 직립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도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100)는 턴테이블(12)과 이송관(20) 사이에 위치하여 밀대(120)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일회용 용기(10)를 직립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도시키는 전도부(110)를 더 포함한다. 전도부(110)에는 이송관(20)에 결합되는 결합부(110a)와, 일회용 용기(10)가 턴테이블(12)로부터 유입되는 유입부(110b)가 제공되고, 결합부(110a)와 유입부(110b) 사이에는 송풍기와 같은 공기 공급수단(116)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이송관(20) 측으로 유입시키는 지관(114)이 연결된다.
공기 공급수단(116)의 작동에 의해서 지관(114)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전도부(110)를 경유해서 이송관(20)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의 유동에 의해서 외부 공기는 전도부(110)의 유입부(110b)를 통해서 흡입되어 이송관(20)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전도부(110)의 내부에 있어서, 유입부(110b) 부근에는 밀대(120)에 의해 이동하는 일회용 용기(10)의 일부가 걸쳐지는 턱부(112)가 제공된다. 도면에 턱부(112)는 전도부(110)의 내부로 돌출하고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지만, 전도부(110)의 측벽에 함몰되어 있는 오목형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밀대(120)는 일회용 용기(10)를 직립상태로 이동시키는 제1밀대부(122)와 직립상태로 이동한 일회용 용기(10)의 일측에 힘을 가하는 제2밀대부(124)로 이루어진다. 제1밀대부(122)와 제2밀대부(124)는 전도부(110)의 내부에서 일정 거리를 함께 이동한 후 제1밀대부(122)가 정지한 상태에서 제2밀대부(124)는 전도부(110)의 내부에서 더 이동하게 된다. 제2밀대부(124)의 이동거리는 전도부(110)의 내부에서 일회용 용기(10)가 직립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도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제1밀대부(122)와 제2밀대부(124)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평상태로 전도된 일회용 용기(10)는 공기 공급수단(116)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함께 이송관(20)을 따라서 적재위치로 이송된다. 적재위치에 있어서, 이송관(20)의 배출단부 일측에는 배출기구(132)가 제공되고 타측에는 배출기구(132)의 작동에 의해서 이송관(20)으로부터 배출되는 일회용 용기(10)가 적재되는 적재수단(134)이 제공된다. 이송관(20)으로부터 배출되는 일회용 용기(10)는 적재수단(134)에 포개지는 상태로 적재된다. 일정 수량이 적재되어 있는 일단의 일회용 용기들은 적재수단(134)으로부터 분리된 후 포장위치로 이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일회용 용기 제조장치(미도시)의 성형제조라인에서 성형제조된 일회용 용기(10)는 검사라인(미도시)에서 불량여부에 대한 검사가 완료되면, 양호한 용기만이 턴테이블(12)의 안착구멍(12a)에 직립상태로 안착된다.
턴테이블(12)의 회전동작에 의해 일회용 용기(10)는 이송관(2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송관(20)과 턴테이블(12) 사이에는 일회용 용기(10)가 직립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도되는 전도부(110)가 제공된다. 일회용 용기(10)가 이송관(20) 하부의 정위치에 도달하면, 밀대(120)의 상방향 이동에 의해서 일회용 용기(10)는 직립상태로 전도부(110)의 유입부(110b)를 통해 전도부(110) 내부로 진행하게 된다.
밀대(120)는 제1밀대부(122)와 제2밀대부(124)로 이루어지고, 제1밀대부(122)와 제2밀대부(124)가 동시에 상방으로 이동하여 일회용 용기(10)를 직립상태로 이동시키고, 제1밀대부(122)의 상방 이동이 정지된 후 제2밀대부(124)가 계속 상방으로 이동하여 일회용 용기(10)를 직립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도시킨다. 즉, 전도부(110) 내부로 진행하는 일회용 용기(10)의 상부가 전도부(110) 내측에 형성된 턱부(112)에 도달하게 되면, 밀대(120)의 제1밀대부(122)가 진행정지되고 제2밀대부(124)가 계속 진행하면서 직립상태의 일회용 용기(10)는 수평상태로 전도하게 된다.
이 후, 수평상태로 전도된 일회용 용기(10)는 지관(114)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이송관(20)을 따라서 적재위치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송관(20)의 배출단부에 도달한 일회용 용기(10)는 상기 배출단부의 일측에 제공된 배출기구(132)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배출단부의 타측을 통해서 배출된다. 이때, 이송관(20)의 배출단부로부터 배출되는 일회용 용기(10)는 배출단부의 타측에 제공된 적재수단(134)에 적재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이송과정을 통해서 일정 수량의 일회용 용기(10)가 적재수단(134)에 포개진 상태로 적재되면, 일단의 일회용 용기(10)는 적재수단(134)으로부터 분리된 후 포장라인으로 이송된다.
상술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100 : 이송장치
110 : 전도부
120 : 밀대

Claims (2)

  1. 성형제조된 일회용 용기를 직립상태로 안치되는 용기 공급부와, 상기 용기 공급부에 안치된 일회용 용기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밀대와, 상기 밀대에 의해 이동된 일회용 용기가 이송되는 이송관과, 상기 용기 공급부와 이송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밀대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일회용 용기를 직립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도시키는 전도부를 포함하여 상기 일회용 용기를 적재라인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대는 제1밀대부와 제2밀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밀대부와 제2밀대부가 동시에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일회용 용기를 직립상태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밀대부의 상방 이동이 정지된 후 상기 제2밀대부가 계속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일회용 용기를 직립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의 내부에는 상기 밀대에 의해 이동하는 일회용 용기의 일부가 걸쳐지는 턱부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KR1020170085207A 2017-07-05 2017-07-05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KR101887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207A KR101887818B1 (ko) 2017-07-05 2017-07-05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207A KR101887818B1 (ko) 2017-07-05 2017-07-05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818B1 true KR101887818B1 (ko) 2018-08-10

Family

ID=6322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207A KR101887818B1 (ko) 2017-07-05 2017-07-05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325B1 (ko) * 2018-10-16 2020-03-27 주식회사농심 블록스프 투입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7071A (ja) * 2007-05-18 2009-01-15 Wild Parma Srl 回転機械からコンベアへ可撓性容器を連続的に移動させる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7071A (ja) * 2007-05-18 2009-01-15 Wild Parma Srl 回転機械からコンベアへ可撓性容器を連続的に移動させる装置およ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325B1 (ko) * 2018-10-16 2020-03-27 주식회사농심 블록스프 투입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145B1 (ko) 콘택트렌즈 몰드 분리장치
US9592632B2 (en) Inspection and ejector unit
US20030056466A1 (en) Solution filling and plugging system to a container
CN101657369A (zh) 一种通过气流传送物体,尤其是传送瓶坯、瓶子等的设备
CN203601987U (zh) 用于使容器定向的设备
US20120305133A1 (en) Machine for filling bottles with solid forms of pharmaceutical products, in particular capsules, pills, pastilles, and/or tablets
US83761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and orienting articles
US20170121121A1 (en) Preform alignment apparatus
KR101887818B1 (ko)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CN107335623B (zh) 一种餐盘检测设备
KR102018320B1 (ko) 용기핸들 자동 조립시스템
TWI830838B (zh) 容器包裝裝置
JP2006199299A (ja) ライン式充填機
KR101897496B1 (ko) 종이덮개 자동 성형장치
KR101833276B1 (ko) 캡핑기의 캡 정렬장치
KR101822481B1 (ko) 사출기의 튜브 로딩장치
JP2007315794A (ja) 成形容器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CN208373609U (zh) 一种喷码视觉检测一体化设备
KR20180010571A (ko) 캡 조립 시스템
US7464804B2 (en) Automatic pallet loader system and method
KR20170120229A (ko) 사출기의 튜브 회전장치
KR101328659B1 (ko) 차량용 연료분배관의 연결캡 검사장치
CN215620332U (zh) 一种纸碗输送检测装置
CN113399280A (zh) 一种奶茶杯输送检测装置及其生产方法
KR101485065B1 (ko) 식품 포장용기의 크기에 따른 분류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