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748B1 - System for protecting battery from over-charge for vehicle and the controlling method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tecting battery from over-charge for vehicle and the controll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7748B1 KR101887748B1 KR1020160089676A KR20160089676A KR101887748B1 KR 101887748 B1 KR101887748 B1 KR 101887748B1 KR 1020160089676 A KR1020160089676 A KR 1020160089676A KR 20160089676 A KR20160089676 A KR 20160089676A KR 101887748 B1 KR101887748 B1 KR 1018877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battery
- state
- wake
- external charg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5—Preventing overcharg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 B60L11/1801—
-
- B60L11/1851—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3—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in combination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e.g. from overhead contact l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 B60L2230/3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6—Electric voltages sens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02T10/7005—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은, 차량에 마련되어 차량의 전장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충전 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마련된 외부 전압 단자; 외부 충전 전압을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부; 및 외부 전압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충전 단자를 통해 인가된 외부 충전 전압을 감지하고,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상태에서 외부 충전 전압이 기설정된 제1 기준전압보다 크면 배터리 제어부를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하는 웨이크 업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충전(점프)에 의해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고, 배터리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내구성 및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An automotive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provided in a vehicle and supplying electric power to electric components of the vehicle; An external voltag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adapted to be supplied with an external charging voltage; A batter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whether the battery is charged using the external charge voltage; And an external charging terminal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voltage terminal, detects an external charging voltage applied through the external charging terminal, and when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voltage in the ignition off state of the vehicle, And a wake-up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w-voltage battery of the vehicle is charged by external charging (jump), overcharge of the battery is prevented, and battery voltage is maintained stably to maintain durability and performa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충전(점프)에 의해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고, 배터리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내구성 및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overcharging prevention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charging prevention system for a vehicl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전기자동차는 장래의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Research is actively being made in the sense that electric vehicles are the most likely alternative to solve future automobile pollution and energy problems.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되며,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을 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하여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An electric vehicle (EV) is an automobile which is powered by an AC or DC motor and is powered mainly by a battery, and classified as a battery-dedicated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electric vehicle. A battery- And the hybrid electric vehicle operates the engine to charge the battery by generating electric power, and by using the electric power, the electric motor can be driven to move the car.
또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직렬 방식과 병렬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직렬 방식은 엔진에서 출력되는 기계적 에너지는 발전기를 통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바뀌고 이 전기적 에너지가 배터리나 모터로 공급되어 차량은 항상 모터로 구동되는 자동차로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주행거리의 증대를 위하여 엔진과 발전기를 추가시킨 개념이고, 병렬 방식은 배터리 전원으로도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고 엔진(가솔린 또는 디젤)만으로도 차량을 구동시키는 두가지 동력원을 사용하고 주행조건에 따라 병렬 방식은 엔진과 모터가 동시에 차량을 구동할 수도 있다.The hybrid electric vehicle can be classified into a serial system and a parallel system. In the serial system, the mechanical energy output from the engine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through the generator, and the electrical energy is supplied to the battery or the motor. This is a concept that adds an engine and a generator to increase the mileage of an existing electric vehicle. The parallel type can move the car by battery power. The two power sources that drive the vehicle by the engine (gasoline or diesel) Depending on the driving conditions, the engine and the motor can drive the vehicle at the same time.
또한, 최근 모터/제어기술도 점점 발달하여 고출력, 소형이면서 효율이 높은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DC모터를 AC모터로 변환함에 따라 출력과 EV의 동력성능(가속성능, 최고속도)이 크게 향상되어 가솔린차에 비하여 손색없는 수준에 도달하였다. 고출력화를 추진하면서 고회전함에 따라 모터가 경량소형화되어 탑재중량이나 용적도 크게 감소하였다.Also, recently, motor / control technology is gradually developed, and high power, compact and highly efficient system is being developed. As the DC motor was converted into an AC motor, the output power and EV power performance (acceleration performance, maximum speed) were greatly improved, reaching a level comparable to that of gasoline cars. As the high power is being promoted, the weight of the motor is reduced and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motor are greatly reduced.
기존의 자동차에서도 소형의 배터리를 사용하여, 전장 내부의 부하를 동작하거나, 시동을 거는 때에 소형 배터리의 에너지를 사용하였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차량의 동작을 위한 고압배터리가 있음에도, 시동을 종료한 후, 소형의 보조배터리가 방전되는 현상이 있었고, 배터리의 방전종지전압에 도달하면, 배터리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고, 전기자동차 시스템도 운전을 재개할 수 없다.Conventional automobiles use a small battery and use the energy of a small battery when operating a load inside the electric field or starting the engine. In the case of an electric vehicle, there is a phenomenon in which a small auxiliary battery is discharged after the startup is completed, even though there is a high-voltage battery for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When the battery reaches the discharge end voltage of the battery, Electric vehicle systems also can not resume operation.
따라서, 이러한 방전된 보조 배터리에 외부 충전(점프)을 이용하여 배터리 전압을 충전하게 되는데 외부 충전 전압이 고전압일 경우 배터리에 과충전 및 내구 저하 및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ly, when the battery voltage is charged using external charging (jumping) to the discharged auxiliary battery, when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is a high volta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ttery is overcharged, durability deteriorates, and performance is lowered.
본 발명은 외부 충전(점프)에 의해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고, 배터리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내구성 및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battery overcharge prevention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prevent overcharging of a battery when charging a low voltage battery of a vehicle by external charging (jump) and maintain durability and performance by stably maintaining the battery voltage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은, 차량에 마련되어 차량의 전장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충전 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마련된 외부 전압 단자; 외부 충전 전압을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부; 및 외부 전압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충전 단자를 통해 인가된 외부 충전 전압을 감지하고,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상태에서 외부 충전 전압이 기설정된 제1 기준전압보다 크면 배터리 제어부를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하는 웨이크 업 구동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vercharge protection system for a vehicle, comprising: a battery provided in a vehicle for supplying power to electric components of the vehicle; An external voltag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adapted to be supplied with an external charging voltage; A batter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whether the battery is charged using the external charge voltage; And an external charging terminal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voltage terminal, detects an external charging voltage applied through the external charging terminal, and when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voltage in the ignition off state of the vehicle, And a wake-up driving unit for performing wake-up operation.
여기서, 특히 배터리에 전압을 인가 또는 차단하도록 온/오프 스위칭하는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Here, it is particularl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relay for on / off switching so as to apply or cut off the voltage to the battery.
여기서, 특히 외부 충전 전압 및 배터리 전압 상태를 감지하는 전압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He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voltage sensor unit for sensing an external charging voltage and a battery voltage state.
여기서, 특히 웨이크 업 구동부는 웨이크 업 상태에서 외부 충전 전압을 기설정된 제2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외부 충전 전압보다 제2 기준전압이 크면 웨이크 업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In particular, the wake-up driv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ares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with a preset second reference voltage in the wakeup state and switches to a wake-up off state when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is larger than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
여기서, 특히 배터리 제어부는 웨이크 업 구동부에서 웨이크 업 오프 상태로 전환하기 전에 릴레이를 온(ON) 상태로 스위칭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Here, particularly, the battery control s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witches the relay to the ON state before switching from the wakeup driving section to the wakeup off state.
여기서, 특히 배터리 제어부는 웨이크 업 구동부의 웨이크 업 상태에서 배터리 전압이 기설정된 제3 기준전압보다 크면 릴레이를 오프 상태로 스위칭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In particular, the battery control unit switches the relay to the off state when the battery voltag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hird reference voltage in the wakeup state of the wake-up driving unit.
여기서, 특히 배터리 제어부는 웨이크 업 구동부의 웨이크 업 상태에서 배터리 전압이 기설정된 제4 기준전압보다 작으면 릴레이를 온 상태로 스위칭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In particular, the battery control unit switches the relay to the ON state when the battery voltag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fourth reference voltage in the wake-up state of the wake-up driving unit.
여기서, 특히 배터리 제어부는 외부 충전 전압과 기설정된 제1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제1 기준전압이 외부 충전 전압보다 크면, 웨이크 업 오프 상태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In particular, the battery controller compares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with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voltage and charges the battery in the wakeup off state whe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greater than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또한,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상태에서 외부 충전 전압 단자를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하여 외부 충전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웨이크 업 구동부는 외부 충전 전압을 기설정된 제1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단계; 웨이크 업 구동부는 외부 충전 전압이 제1 기준전압보다 크면,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및 배터리 제어부는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되면, 배터리 전압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릴레이를 온/오프 스위칭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overcharge protection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connecting an external charging voltage terminal to a battery of a vehicle in an ignition off state of the vehicle, step; Wherein the wake-up driving unit comprises: comparing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with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voltage; The wake-up driving unit switches the wake-up state when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when the wake-up state is switched to the wake-up state, There is a feature in that it includes.
여기서, 특히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이후, 웨이크업 구동부는 외부 충전 전압을 기설정된 제2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Here, after the step of switching to the wake-up state in particular, the wake-up driving unit further includes a step of comparing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with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oltage.
여기서, 특히 배터리 제어부는 웨이크업 구동부에서 외부 충전 전압보다 기설정된 제2 기준전압이 크다고 판단되면 릴레이를 온 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 및 웨이크업 구동부는 웨이크업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In particular, the battery control unit may switch the relay to an on stat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is greater than the external charge voltage in the wake-up driving unit. And the wake-up driving unit is switched to a wake-up OFF state.
여기서, 특히 배터리 제어부가 배터리 전압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릴레이를 온/오프 스위칭 제어하는 단계는, 배터리 전압을 기설정된 제3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단계; 배터리 전압이 제3 기준전압보다 크면, 릴레이를 오프 상태로 스위칭하여 배터리 충전을 차단하는 단계; 충전이 차단된 배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기설정된 제4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단계; 및 배터리 전압이 제4 기준전압보다 작으면, 릴레이를 온 상태로 스위칭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Here, in particular, the battery control unit monitors the battery voltage state to control on / off switching of the relay, the battery control unit comparing the battery voltage with a predetermined third reference voltage; Switching the relay to an off state to shut off charging of the battery if the battery voltage is greater than a third reference voltage; Monitoring the charged battery voltage and comparing it with a preset fourth reference voltage; And charging the battery by switching the relay to the on state if the battery voltage is lower than the fourth reference voltage.
여기서, 특히 제1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단계에서, 제1 기준전압이 외부 충전 전압보다 크면, 웨이크업 오프 상태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Here, in particular, in the step of comparing with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f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greater than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the battery is charged in the state of wake-up off.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충전(점프)에 의해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고, 배터리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내구성 및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w-voltage battery of the vehicle is charged by external charging (jump), overcharge of the battery is prevented, and battery voltage is maintained stably to maintain durability and perform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상기 도 1의 배터리관리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tomotive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management unit of FIG. 1. FIG.
3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an automotive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system.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배터리관리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tomotive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management unit of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은, 배터리(110), 릴레이(120), 배터리 관리부(130), 외부 충전 단자(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n automotive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배터리(110)는 차량에 마련되어 차량의 전장부품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110)는 컨버터(미도시)에서 인가되는 전장 부하용 전압을 충전하여, 충전된 전압을 각 전장 부하측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장 부하는, 전기자동차 혹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에서 운전자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식 파워 스티어링, 워터 펌프, 에어컨, 방향지시등, 테일램프, 헤드램프, 브러시 등을 말하나, 이는 전장 부하의 일 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이러한, 배터리(110)는 12V 배터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전장 부하측의 차량 시동(IGN) 온/오프를 수행하는데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배터리(110)가 방전된 상태에서는 차량의 시동(IGN) 온을 수행할 수 없어 외부로부터 외부 점프 전압을 인가하여 충전하게 된다. The
릴레이(120)는 배터리에 전압을 인가 또는 차단하도록 온/오프 스위칭하게 된다. 여기서, 릴레이를 한정하지 않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반도체 회로나 바이메탈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릴레이는 배터터 관리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배터리의 과방전 또는 과충전을 방지하게 된다. The
배터리 관리부(BMS: Battery management system)(130)는, 고전압 배터리(미도시) 및 전장부하에 사용되는 보조 배터리(110)의 잔여용량, 충전 필요성을 판단하고, 고전압 및 보조 배터리(110)(이하 '배터리'로 칭함)에 저장된 충전전류를 전기 자동차의 각 부로 공급하는데 따른 관리, 배터리를 충전하고 사용할 때, 배터리가 과충전되거나 과방전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한다.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130 determines the remaining capacity and charging necessity of the
또한, 배터리 관리부(BMS: Battery management system)(130)는 전류 사용에 대한 관리를 통해 차량이 장시간 주행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급되는 전류에 대한 보호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 관리부(BMS)(130)는 차량 시동이 오프 상태일 때, 자동적으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여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Also,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130 includes a protection circuit for current supplied to the vehicle to allow the vehicle to travel for a long time through management of current use. When the vehicle is in the off state, the battery management unit (BMS) 130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wakeup state to control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외부 전압 단자(140)는 배터리(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점프(충전) 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마련된 전극 단자이다. 전극 단자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와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연결함으로써 충전된 전압을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에 공급하여 방전된 차량의 시동을 걸어주는 역할을 한다. The
즉,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전극과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전극 단자를 연결하여 접촉시킨 후, 방전된 차량의 시동을 걸면 방전부는 충전된 전압을 고출력 방전을 통해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110)에 제공함으로써 시동을 걸 수 있다. 이때, 외부 점프단의 전압은 일반적으로 12V를 사용하게 되지만 15V 이상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12V 배터리에 외부 충전 전압이 과충전을 유발할 수 있는 과전압이 인가되면 이에 대해 배터리를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다. That is, the battery electrode of the discharged vehicle and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emergency power supply devi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make contact with each other. Then, when the discharged vehicle is started, the discharging unit supplies the charged voltage to the
따라서, 배터리 관리부(130)에서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 배터리 과충전을 방지하게 위한 배터리 관리부(130)를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고 릴레이(120) 스위칭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배터리 관리부(130)의 전원은 릴레이 전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릴레이 오프 상태에서도 웨이크 업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관리부(130)는 웨이크업 구동부(210), 배터리 제어부(220), 및 전압 센서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배터리 관리부(130)의 구성은 필요에 따라 더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필요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고 일반적인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 생략하기로 한다. 2, the
웨이크 업 구동부(210)는 외부 전압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충전 단자를 통해 인가된 외부 충전 전압을 감지하고,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상태에서 외부 충전 전압이 기설정된 제1 기준전압보다 크면 배터리 관리부(130)를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The wake-up
보다 구체적으로, 웨이크 업 구동부(210)는 릴레이 후단의 전압에 의해 웨이크 업 되도록 회로가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점프단 전압은 12V 부근의 전압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회로를 구성하지 않으면 배터리 관리부는 점프단 전압에 의해 항시 웨이크 업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과충전을 유발하는 전압(예를들어, 14.8V 초과시)에 의해서만 웨이크 업 될 수 있도록 웨이크 업 구동부(210)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웨이크 업 구동부(210)는 분압회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More specifically, the wake-up
또한, 웨이크 업 구동부(210)는 웨이크 업 상태에서 외부 충전 전압을 기설정된 제2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외부 충전 전압보다 제2 기준전압이 크면 웨이크 업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즉, 릴레이 후단의 전압이 일정 수준 미만으로 하강 할 경우(외부 점프 전압 탈거 시 등) 배터리 관리부가 오프가 되도록 회로가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외부 점프에 의해 배터리 관리부(130)가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 후, 웨이크 업 오프(off)되는 전압에 대해서도 정의가 필요하다. 만약, 14.8V를 기준으로 온/오프를 반복한다면 배터리 관리부 전원이 채터링 될 수 있으므로 적정 수준의(예를 들어 14V) 히스테리시스를 갖도록 구성되어야한다. Further, the wake-up
배터리 제어부(220)는 배터리 관리부(130)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배터리 상태의 충전 상태 모니터링, 웨이크 업 구동부 및 릴레이의 온/오프를 제어하게 된다. The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제어부(220)는 외부 충전 전압을 이용한 배터리(110)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외부 충전 전압에 따라 웨이크 업 구동부(210)에서 배터리 관리부의 상태를 온/오프 필요 시, 즉,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하여 충전 또는 웨이크 업 오프(off) 상태에서 충전을 진행할지를 판단하여 릴레이(120)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배터리 제어부(220)는 웨이크 업 구동부(210)에서 외부 충전 전압과 기설정된 제1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제1 기준전압이 외부 충전 전압보다 크면, 웨이크 업 오프 상태에서 배터리가 충전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배터리 제어부(220)는 웨이크 업 구동부(210)에서 외부 충전 전압을 기설정된 제2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외부 충전 전압보다 제2 기준전압이 크면 웨이크 업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게 될 때, 웨이크 업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기 전에 릴레이(120)를 온(ON) 상태로 스위칭하도록 제어하게 된다.When the wake-up
또한, 배터리 제어부는 웨이크 업 구동부(210)의 웨이크 업 상태에서 배터리 전압이 기설정된 제3 기준전압보다 크면 릴레이를 오프 상태로 스위칭하고, 배터리 전압이 기설정된 제4 기준전압보다 작으면 릴레이를 온 상태로 스위칭하게 된다. The battery control unit switches the relay to the off state when the battery voltage is higher than the preset third reference voltage in the wake-up state of the wake-up
다시 말해, 외부 충전 전압에 의해 배터리 전압이 상승하게 되고, 배터리 전압이 과전압 제3 기준 전압 값 이상으로 도달할 경우 릴레이를 오프시켜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릴레이 오프 시 배터리 충전이 차단되어 배터리는 다시 서서히 방전되어 제4 기준 전압값 이하가 될 경우 릴레이를 재접속하도록 제어하여 다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여기서, 외부 점프(전압)이 연결되어 있는 동안 배터리 충전 상태에 따라 릴레이의 온/오프를 제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battery voltage rises by the external charge voltage and the battery voltage reaches the overvoltage third reference voltage or higher, the relay is turned off to be controlled. When the relay is turned off, the battery is interrupted and the battery is gradually discharged again, and when the voltage drops below the fourth reference voltage, the relay is reconnected to charge the battery again. Here, the on / off control of the relay is repeated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battery charging state while the external jump (voltage) is connected.
한편, 외부 점프(전압) 해제 시 점프단 전압이 일정전압 미만 인 경우 배터리 관리부 오프 상태로 전환하도록 한다. 배터리 관리부의 오프 상태의 전환 전에는 반드시 릴레이 온 상태를 수행하여 외부 점프 탈거 후에도 정상적인 차량동작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rnal jump (voltage) is released, if the jump end voltag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the battery management unit is turned off. The relay-on state is necessarily performed before the battery management unit is switched off, so that normal vehicle operation can be performed even after removing the external jump.
전압 센서부(230)에서 외부 충전 전압 및 배터리 전압 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이를 웨이크 업 구동부에서 배터리 관리부의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하거나 배터리 제어부가 릴레이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게 된다. When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utomotive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먼저,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상태에서 외부 충전 전압 단자를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하여 외부 충전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S301). As shown in FIG. 3,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over-charging protection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battery of the vehicle in the ignition off state of the vehicle to apply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S301 ).
이어서, 웨이크 업 구동부(210)는 외부 충전 전압을 기설정된 제1 기준전압과 비교하게 된다(S302). Then, the wake-up
이때, 웨이크 업 구동부(210)는 외부 충전 전압이 제1 기준전압보다 크면,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S303). At this time, if the external charge voltage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the wake-up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점프단의 전압은 일반적으로 12V를 사용하게 되지만 15V 이상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12V 배터리에 외부 충전 전압이 과충전을 유발할 수 있는 과전압이 인가되면 이에 대해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한 제어를 하기 위해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이 필요하다. More specifically, the voltage of the external jump stage is generally 12 V, but a voltage of 15 V or more can be applied. Therefore, when an overvoltage is applied to the 12V battery, which may cause overcharging of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it is necessary to switch to the wake-up state in order to control the battery.
이어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이후, 웨이크업 구동부(210)는 외부 충전 전압을 기설정된 제2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04). 여기서,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 후, 웨이크 업 오프(off)되는 전압에 대해서도 정의가 필요하다. 만약, 14.8V를 기준으로 온/오프를 반복한다면 배터리 관리부 전원이 채터링 될 수 있으므로 적정 수준의(예를 들어 14V) 히스테리시스를 갖도록 설정하게 된다.Then, after switching to the wake-up state, the wake-up
그 다음, 배터리 제어부는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되면, 배터리 전압 상태를 모니터링하여(S304) 릴레이를 온/오프 스위칭 제어하게 된다(S306 - S309).Then, when the battery control unit is switched to the wakeup state, it monitors the state of the battery voltage (S304) and controls on / off switching of the relay (S306 to S309).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제어부가 배터리 전압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릴레이를 온/오프 스위칭 제어하는 단계는, 배터리 전압을 기설정된 제3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06).More specifically, the step of controlling the on / off switching of the relay by monitoring the state of the battery voltage by the battery control unit performs a step of comparing the battery voltage with a preset third reference voltage (S306).
이때, 배터리 전압이 제3 기준전압보다 크면, 릴레이를 오프 상태로 스위칭하여 배터리 충전을 차단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307).At this time, if the battery voltage is greater than the third reference voltage, the step of switching the relay to the off state to block the battery charge is performed (S307).
그리고 충전이 차단된 배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기설정된 제4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308).Then, the step S308 is performed in which the charged battery voltage is monitored and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fourth reference voltage.
이때, 배터리 전압이 제4 기준전압보다 작으면, 릴레이를 온 상태로 스위칭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S309)가 수행된다.At this time, if the battery voltage is lower than the fourth reference voltage, step S309 of switching the relay to the ON state to charge the battery is performed.
상기와 같은 릴레이 온/오프 스위칭 제어방법은, 외부 충전 전압에 의해 배터리 전압이 상승하게 되고, 배터리 전압이 과전압 제3 기준 전압 값 이상으로 도달할 경우 릴레이를 오프시켜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릴레이 오프 시 배터리 충전이 차단되어 배터리는 다시 서서히 방전되어 제4 기준 전압값 이하가 될 경우 릴레이를 재접속하도록 제어하여 다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여기서, 외부 점프(전압)이 연결되어 있는 동안 배터리 충전 상태에 따라 릴레이의 온/오프를 제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게 된다. In the relay on / off switching control method, the battery voltage is raised by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and when the battery voltage reaches the overvoltage third reference voltage or higher, the relay is turned off to be controlled. When the relay is turned off, the battery is interrupted and the battery is gradually discharged again, and when the voltage drops below the fourth reference voltage, the relay is reconnected to charge the battery again. Here, the on / off control of the relay is repeated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while the external jump (voltage) is connected to prevent the battery from overcharging.
한편, 제1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단계에서, 제1 기준전압이 외부 충전 전압보다 크면, 웨이크업 오프 상태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10). 즉, 외부 충전 전압이 제1 기준 전압보다 작은 상태라면, 배터리 과충전 상태의 모니터링 없이도 무난하게 충전이 수행가능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If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greater than the external charge voltage in the step of comparing with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 step of charging the battery in the wakeup off state is performed (S310). That is, if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is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t is determined that charging can be carried out without monitoring the over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또한, 배터리 제어부(220)는 웨이크업 구동부(210)에서 외부 충전 전압보다 기설정된 제2 기준전압이 크다고 판단되면 릴레이를 온 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311). 그리고 웨이크업 구동부는 웨이크업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312).When the wake-up
다시 말해, 외부 점프(전압) 해제 시 점프단 전압이 일정전압 미만인 경우, 배터리 관리부 오프 상태로 전환하도록 한다. 배터리 관리부의 오프 상태의 전환 전에는 반드시 릴레이 온 상태를 수행하여 외부 점프 탈거 후에도 정상적인 차량동작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In other words, when the jump termination voltag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when the external jump (voltage) is released, the battery management section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The relay-on state is necessarily performed before the battery management unit is switched off, so that normal vehicle operation can be performed even after removing the external jump.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10 --- 배터리
120 --- 릴레이 스위치
130 --- 배터리 관리부
140 --- 외부 점프 단자
210 --- 웨이크 업 구동부
220 --- 배터리 제어부
230 --- 전압 센서부110 --- Battery
120 --- Relay switch
130 --- Battery management part
140 --- External jump terminal
210 --- Wakeup driver
220 --- Battery control section
230 --- voltage sensor unit
Claims (13)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충전 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마련된 외부 전압 단자;
외부 충전 전압을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부; 및
외부 전압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충전 단자를 통해 인가된 외부 충전 전압을 감지하고,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상태에서 외부 충전 전압이 기설정된 제1 기준전압보다 크면 배터리 제어부를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하는 웨이크 업 구동부;를 포함하며,
배터리 제어부의 웨이크 업 상태에서, 웨이크 업 구동부는 외부 충전 전압을 기설정된 제2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외부 충전 전압보다 제2 기준전압이 크면 웨이크 업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며, 제2 기준전압은 제1 기준전압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
A battery provided in the vehicle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electric components of the vehicle;
An external voltag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adapted to be supplied with an external charging voltage;
A batter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whether the battery is charged using the external charge voltage; And
The battery control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voltage terminal and detects an external charging voltage applied through the external charging terminal. If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voltage in the ignition off state of the vehicle, And a wake-up driving unit,
In the wake-up state of the battery control unit, the wake-up driving unit compares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with a preset second reference voltage, switches to a wake-up off state when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is greater than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배터리에 전압을 인가 또는 차단하도록 온/오프 스위칭하는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lay for on / off switching to apply or cut off the voltage to the battery.
외부 충전 전압 및 배터리 전압 상태를 감지하는 전압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oltage sensor unit for detecting an external charge voltage and a battery voltage state.
배터리 제어부는 웨이크 업 구동부에서 웨이크 업 오프 상태로 전환하기 전에 릴레이를 온(ON) 상태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battery control unit switches the relay to an ON state before switching from the wakeup drive unit to the wakeup off state.
배터리 제어부는 웨이크 업 구동부의 웨이크 업 상태에서 배터리 전압이 기설정된 제3 기준전압보다 크면 릴레이를 오프 상태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control unit switches the relay to the off state when the battery voltag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hird reference voltage in the wakeup state of the wakeup driving unit.
배터리 제어부는 웨이크 업 구동부의 웨이크 업 상태에서 배터리 전압이 기설정된 제4 기준전압보다 작으면 릴레이를 온 상태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control unit switches the relay to an ON state when the battery voltag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fourth reference voltage in a wakeup state of the wakeup driving unit.
배터리 제어부는 외부 충전 전압과 기설정된 제1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제1 기준전압이 외부 충전 전압보다 크면, 웨이크 업 오프 상태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control unit compares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with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voltage to charge the battery in a wakeup off state if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greater than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상태에서 외부 충전 전압 단자를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하여 외부 충전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웨이크 업 구동부는 외부 충전 전압을 기설정된 제1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단계;
웨이크 업 구동부는 외부 충전 전압이 제1 기준전압보다 크면,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배터리 제어부는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되면, 배터리 전압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릴레이를 온/오프 스위칭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의 제어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otive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system of claim 1,
Connecting an external charging voltage terminal to a battery of the vehicle in an ignition off state of the vehicle to apply an external charging voltage;
Wherein the wake-up driving unit comprises: comparing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with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voltage;
Switching the wake-up driving unit to a wake-up state if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And controlling the on / off switching of the relay by monitoring the battery voltage state when the battery control unit is switched to the wakeup state.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이후,
웨이크업 구동부는 외부 충전 전압을 기설정된 제2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fter the step of switching to the wakeup state,
And the wake-up driving unit further includes a step of comparing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with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oltage.
배터리 제어부는 웨이크업 구동부에서 외부 충전 전압보다 기설정된 제2 기준전압이 크다고 판단되면 릴레이를 온 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 및
웨이크업 구동부는 웨이크업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Switching the relay to an on state if it is determined in the wake-up driving unit that the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oltage is greater than the external charging voltage; And
And the wake-up driving unit switches to a wake-up off state.
배터리 제어부가 배터리 전압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릴레이를 온/오프 스위칭 제어하는 단계는,
배터리 전압을 기설정된 제3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단계;
배터리 전압이 제3 기준전압보다 크면, 릴레이를 오프 상태로 스위칭하여 배터리 충전을 차단하는 단계;
충전이 차단된 배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기설정된 제4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단계; 및
배터리 전압이 제4 기준전압보다 작으면, 릴레이를 온 상태로 스위칭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the on / off switching control of the relay by monitoring the state of the battery voltage by the battery control unit,
Comparing the battery voltage with a predetermined third reference voltage;
Switching the relay to an off state to shut off charging of the battery if the battery voltage is greater than a third reference voltage;
Monitoring the charged battery voltage and comparing it with a preset fourth reference voltage; And
And charging the battery by switching the relay to the on state if the battery voltage is lower than the fourth reference voltage.
제1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단계에서,
제1 기준전압이 외부 충전 전압보다 크면, 웨이크업 오프 상태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의 제어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charging the battery in the wakeup off state whe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greater than the external charge voltag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9676A KR101887748B1 (en) | 2016-07-15 | 2016-07-15 | System for protecting battery from over-charge for vehicle and the controll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9676A KR101887748B1 (en) | 2016-07-15 | 2016-07-15 | System for protecting battery from over-charge for vehicle and the controlling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8976A KR20180008976A (en) | 2018-01-25 |
KR101887748B1 true KR101887748B1 (en) | 2018-08-13 |
Family
ID=6109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9676A Active KR101887748B1 (en) | 2016-07-15 | 2016-07-15 | System for protecting battery from over-charge for vehicle and the controlling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774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3898B1 (en) * | 2018-11-12 | 2022-09-1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A battery pack charge system configured to prevent overcharge and A vehicle comprising the same |
CN109466373A (en) * | 2018-11-30 | 2019-03-15 | 北京长城华冠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 The cell managing device and vehicle of vehicle |
KR102501273B1 (en) * | 2020-08-31 | 2023-02-1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protection circuit and batter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KR102432368B1 (en) | 2020-08-31 | 2022-08-1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protection circuit and batter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4033838B4 (en) * | 2004-07-13 | 2006-11-23 | Siemens Ag | Battery sensor and method for operating a battery sensor |
KR102255321B1 (en) * | 2013-08-22 | 2021-05-2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preventing battery discharge and detecting fault of electric field load, and Method thereof |
KR101684736B1 (en) * | 2014-08-21 | 2016-12-08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Overcharge protection apparatus with minimum power consumption |
-
2016
- 2016-07-15 KR KR1020160089676A patent/KR101887748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8976A (en) | 2018-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54751B2 (en) | Vehicle control device | |
CN107985229B (en) |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617292B1 (en) | Electric vehicles and method for sub-battery charging control thereof | |
RU2631354C2 (en) | Electric power supply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electric power supply control | |
US8463475B2 (en) | Control device for electric vehicle | |
KR101583340B1 (en) | Apparatus for battery control and method for battery control for electrical vehicles | |
US7832513B2 (en) | Vehicular electrica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CN102237706B (en) | Power supply unit having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 |
JP3749143B2 (en) | Vehicle power supply | |
CN108656968B (en) |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 |
US20180233943A1 (en) | Power supply system for vehicle | |
CN110316176B (en) | Control device | |
US20150336523A1 (en) | Vehicle power supply apparatus and vehicle power regeneration system | |
KR101927124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trouble of battery | |
KR101795169B1 (en) | Method for jumping ignition of battery | |
KR20130069001A (en) |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866063B1 (en) | System for controlling relay of an auxiliary battery and method thereof | |
JP6515875B2 (en) | Automotive power system | |
JP2017212808A (en) |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 |
KR101887748B1 (en) | System for protecting battery from over-charge for vehicle and the controlling method | |
KR102556389B1 (en) | Auxiliary battery system for small electric vehicle, apparatus for auxiliary battery for small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charging the same | |
CN112238830A (en) | DC/AC inverter system powered by integrated grid | |
JP2015180140A (en) | Power supply system for vehicle | |
JP2004023803A (en) | Voltage controller for battery pack | |
CN111433076B (en) | Electrical device for an electrically drivable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