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902B1 -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6902B1 KR101886902B1 KR1020140111678A KR20140111678A KR101886902B1 KR 101886902 B1 KR101886902 B1 KR 101886902B1 KR 1020140111678 A KR1020140111678 A KR 1020140111678A KR 20140111678 A KR20140111678 A KR 20140111678A KR 101886902 B1 KR101886902 B1 KR 1018869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ck
- carbon atoms
- group
- formula
- compou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 G03F7/033—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the binders being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11/00—Diaryl- or thriarylmethane dyes
- C09B11/04—Diaryl- or thriarylmethane dyes derived from triarylmethanes, i.e. central C-atom is substituted by amino, cyano, alkyl
- C09B11/10—Amino derivatives of triarylmethanes
- C09B11/24—Phthaleins containing amino groups ; Phthalanes; Fluoranes; Phthalides; Rhodamine dyes; Phthaleins having heterocyclic aryl rings; Lactone or lactame forms of triarylmethane dy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28—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photosensitivity-increasing substances, e.g. photoinitiato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28—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photosensitivity-increasing substances, e.g. photoinitiators
- G03F7/031—Organic compounds not covered by group G03F7/029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실험예의 현상 밀착성 평가에 따른 최소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 바인더 수지(A) | 광중합성 화합물(B) | 광중합 개시제(C) | 흑색안료(D) | 용매 (E) |
|||||
A-1 | A-2 | A-3 | A-4 | C-1 | C-2 | C-3 | ||||
실시예 1 | 15 | 10 | 0.3 | 0.3 | 8 | 66.3 | ||||
실시예 2 | 15 | 10 | 0.5 | 8 | 66.4 | |||||
실시예 3 | 7 | 5 | 0.3 | 0.3 | 8 | 79.3 | ||||
실시예 4 | 25 | 10 | 0.3 | 0.3 | 8 | 56.3 | ||||
실시예 5 | 7 | 5 | 6 | 6 | 8 | 67.9 | ||||
실시예 6 | 15 | 10 | 0.3 | 0.3 | 8 | 66.3 | ||||
실시예 7 | 15 | 10 | 0.5 | 8 | 66.4 | |||||
실시예 8 | 7 | 5 | 0.3 | 0.3 | 8 | 79.3 | ||||
실시예 9 | 25 | 10 | 0.3 | 0.3 | 8 | 56.3 | ||||
실시예 10 | 7 | 5 | 6 | 6 | 8 | 67.9 | ||||
비교예 1 | 15 | 10 | 0.3 | 0.3 | 8 | 66.3 | ||||
비교예 2 | 15 | 10 | 0.3 | 0.3 | 8 | 66.3 | ||||
비교예 3 | 15 | 10 | 0.5 | 8 | 66.4 | |||||
비교예 4 | 15 | 10 | 0.5 | 8 | 66.4 | |||||
비교예 5 | 15 | 10 | 0.5 | 8 | 66.4 | |||||
비교예 6 | 15 | 10 | 0.3 | 0.3 | 8 | 66.3 | ||||
[바인더 수지(A)] A-1: 합성예 3의 카도계 바인더 수지 (본 발명의 카도계 바인더 수지) A-2: 합성예 4의 카도계 바인더 수지 (본 발명의 카도계 바인더 수지) A-3: 비교합성예의 바인더 수지 A-4: 아크릴계 바인더(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메타아크릴산) (몰비 55/9/11/25, Mw=20,000, 산가 100 ㎎KOH /g) [광중합성 화합물(B)]: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광중합 개시제(C)] C-1: 합성예 5의 광중합 개시제 C-2: N-1919 (Adeka사) C-3: Triazine-EB(Tronly사) [흑색 안료(D)]: CHBK-17(미쿠니색소사) [용매(E)]: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밀착촉진제(F)]: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신에츠사) |
구분 | 최소 패턴 (㎛) | 기판 접착력 | ||
1cycle | 2cycle | 3cycle | ||
실시예 1 | 4 | 미박리 | 미박리 | 미박리 |
실시예 2 | 4 | 미박리 | 미박리 | 미박리 |
실시예 3 | 3 | 미박리 | 미박리 | 미박리 |
실시예 4 | 5 | 미박리 | 미박리 | 미박리 |
실시예 5 | 6 | 미박리 | 미박리 | 미박리 |
실시예 6 | 4 | 미박리 | 미박리 | 미박리 |
실시예 7 | 4 | 미박리 | 미박리 | 미박리 |
실시예 8 | 3 | 미박리 | 미박리 | 미박리 |
실시예 9 | 5 | 미박리 | 미박리 | 미박리 |
실시예 10 | 6 | 미박리 | 미박리 | 미박리 |
비교예 1 | 6 | 미박리 | 박리 | 박리 |
비교예 2 | 8 | 미박리 | 미박리 | 미박리 |
비교예 3 | 8 | 미박리 | 박리 | 박리 |
비교예 4 | 8 | 미박리 | 박리 | 박리 |
비교예 5 | 8 | 미박리 | 박리 | 박리 |
비교예 6 | 8 | 미박리 | 미박리 | 박리 |
Claims (6)
-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A), 광중합성 화합물(B), 광중합 개시제(C), 흑색 안료(D) 및 용매(E)를 포함하고,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A)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여 중합되는 카도계 바인더 수지(a1)를 포함하거나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여 중합되는 카도계 바인더 수지(a2)를 포함하고,
상기 광중합 개시제(C)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이며, X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또는 수산기이고, R3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임)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R4 및 R5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며, X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또는 수산기이고, R6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임)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R7은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O-R9, 및 할로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 또는 -O-R9 및 할로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탄소수 7 내지 24의 아릴알킬기이고,
R8은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24의 아릴알칼기이고,
R9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임).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A) 1 내지 40중량부, 광중합성 화합물(B) 1 내지 20중량부, 광중합 개시제(C) 0.1 내지 10중량부, 흑색 안료(D) 5 내지 20중량부 및 용매(E) 20 내지 85중량부를 포함하는,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 청구항 1, 2 및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블랙매트릭스.
- 청구항 5항에 따른 블랙매트릭스가 구비된 화상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1678A KR101886902B1 (ko) | 2014-08-26 | 2014-08-26 |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1678A KR101886902B1 (ko) | 2014-08-26 | 2014-08-26 |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4628A KR20160024628A (ko) | 2016-03-07 |
KR101886902B1 true KR101886902B1 (ko) | 2018-08-08 |
Family
ID=5554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1678A Active KR101886902B1 (ko) | 2014-08-26 | 2014-08-26 |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690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934062B2 (ja) * | 2017-03-30 | 2021-09-08 |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Dongwoo Fine−Chem Co., Ltd. | 感光性樹脂組成物、これを利用して製造されたカラーフィルターおよび画像表示装置 |
KR101958414B1 (ko) * | 2017-03-30 | 2019-03-14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
KR102300331B1 (ko) * | 2017-03-31 | 2021-09-09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청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
KR102395742B1 (ko) * | 2017-03-31 | 2022-05-09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청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
JP6921963B2 (ja) * | 2017-03-31 | 2021-08-18 |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Dongwoo Fine−Chem Co., Ltd. | 青色感光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画像表示装置 |
KR102403787B1 (ko) * | 2017-03-31 | 2022-05-30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청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
KR20180111067A (ko) * | 2017-03-31 | 2018-10-11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청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0238B1 (ko) * | 2007-11-05 | 2010-03-31 | 타코마테크놀러지 주식회사 | 플루오렌 유도체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조성물 및 광학 시트 |
KR101068622B1 (ko) | 2009-12-22 | 2011-09-2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기판접착력이 향상된 고차광성 블랙매트릭스 조성물 |
KR101373990B1 (ko) * | 2010-12-21 | 2014-03-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플루오렌기를 포함하는 알칼리 가용성 수지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
KR20140082237A (ko) * | 2012-12-24 | 2014-07-02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블랙 매트릭스 |
KR101609634B1 (ko) * | 2012-12-26 | 2016-04-06 | 제일모직 주식회사 |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광층 |
-
2014
- 2014-08-26 KR KR1020140111678A patent/KR101886902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4628A (ko) | 2016-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6902B1 (ko) |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 |
KR101963931B1 (ko) |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 |
KR102582662B1 (ko) | 청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 |
KR102002134B1 (ko) |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 |
JP2010262028A (ja) | 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用感光性樹脂組成物 | |
JP5780618B2 (ja) | 高分子およびそれを含む感光性樹脂組成物{polymerandphotosensitiveresincompositioncomprisingthesame} | |
KR20160109444A (ko) | 청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 |
CN104768925B (zh) | 基于苯乙烯基的化合物及其在着色材料、光敏树脂、光阻材料、滤色器和显示器件的应用 | |
KR101992866B1 (ko) |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 |
KR102131169B1 (ko) |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 |
KR20150055417A (ko) |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 |
KR101953936B1 (ko) |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 |
KR100900138B1 (ko) | 알칼리 가용성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알칼리 가용성수지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 |
CN105700293A (zh) | 黑色感光树脂组合物,黑色矩阵和包括其的图像显示装置 | |
KR20180014507A (ko) |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 |
KR101992867B1 (ko) |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 |
KR20170111133A (ko) |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 |
KR20140014622A (ko) |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 |
KR20160115000A (ko) |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컬러 필터 | |
KR101745062B1 (ko) | 수지 조성물, 감광재, 컬러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60025736A (ko) |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 |
KR20160071994A (ko) |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 |
KR20170077362A (ko) |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 |
KR102143054B1 (ko) |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 |
KR20170014509A (ko) |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컬러필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1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8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1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8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