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745B1 - 박막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박막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6745B1 KR101886745B1 KR1020110087703A KR20110087703A KR101886745B1 KR 101886745 B1 KR101886745 B1 KR 101886745B1 KR 1020110087703 A KR1020110087703 A KR 1020110087703A KR 20110087703 A KR20110087703 A KR 20110087703A KR 101886745 B1 KR101886745 B1 KR 1018867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parent conductive
- electrode layer
- front electrode
- concavo
- convex struc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70—Surface textures, e.g. pyramid structures
- H10F77/707—Surface textures, e.g. pyramid structures of the substrates or of layers on substrates, e.g. textured ITO layer on a glass substrat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1/138—Manufacture of transparent electrodes, e.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or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20—Electrodes
- H10F77/206—Electrodes f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F77/211—Electrodes f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for photovoltaic cel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20—Electrodes
- H10F77/244—Electrodes made of transparent conductive layers, e.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lay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전극층이 상대적으로 표면 거칠기가 큰 제1 전면전극층 상에 상대적으로 표면 거칠기가 작은 제2 전면전극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전면전극층을 통과하는 태양광이 다양하게 산란되어 상기 반도체층에서 태양광의 흡수율이 증진됨과 더불어 전면전극층의 표면 거칠기가 줄어들어 태양전지의 개방전압(Voc)과 완충인자(fill factor)가 증가될 수 있고, 결국 태양전지의 효율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ZnO를 MOCVD법으로 증착한 증착물의 표면 거칠기 차이를 보여주는 SEM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면전극층과 제2 전면전극층을 연속공정으로 형성하는 공정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공정을 구현하기 위한 공정 장비의 개념도이다.
210: 제1 전면전극층 220: 제2 전면전극층
230: 제3 전면전극층 300: 반도체층
400: 투명도전층 410: 제1 투명도전층
420: 제2 투명도전층 430: 제3 투명도전층
500: 후면전극층 1: 챔버
Claims (24)
-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전면전극층;
상기 전면전극층 상에 형성된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투명도전층; 및
상기 투명도전층 상에 형성된 후면전극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전극층은,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그 표면이 제1 요철구조로 형성된 제1 전면전극층, 및 상기 제1 전면전극층 상에 형성되며 그 표면이 제2 요철구조로 형성된 제2 전면전극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요철구조와 상기 제2 요철구조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요철구조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제1 요철구조의 표면 거칠기 보다 작고, 상기 제1 전면전극층과 상기 제2 전면전극층은 서로 상이한 결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판과 제1 전면전극층 사이에, 그 표면이 제3 요철구조로 형성된 제3 전면전극층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요철구조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제1 요철구조의 표면 거칠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 -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전면전극층;
상기 전면전극층 상에 형성된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투명도전층; 및
상기 투명도전층 상에 형성된 후면전극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도전층은, 상기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며 그 표면이 제1 요철구조로 형성된 제1 투명도전층, 및 상기 제1 투명도전층 상에 형성되며 그 표면이 제2 요철구조로 형성된 제2 투명도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요철구조와 상기 제2 요철구조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요철구조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제1 요철구조의 표면 거칠기 보다 작고, 상기 제1 투명도전층과 상기 제2 투명도전층은 서로 상이한 결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도체층과 제1 투명도전층 사이에, 그 표면이 제3 요철구조로 형성된 제3 투명도전층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요철구조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제1 요철구조의 표면 거칠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구조는 골과 피크가 각을 가진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요철구조는 골과 피크가 각을 갖지 않은 곡선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면전극층의 결정 구조는 상기 제2 전면전극층의 결정 구조보다 수평 방향으로 성장된 성분을 더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도전층의 결정 구조는 상기 제2 투명도전층의 결정 구조보다 수평 방향으로 성장된 성분을 더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면전극층의 부피는 전체 전면전극층의 부피의 1 ~ 50%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 -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명도전층의 부피는 전체 투명도전층의 부피의 1 ~ 50%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 - 삭제
- 삭제
- 삭제
- 기판 상에 전면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전면전극층 상에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반도체층 상에 투명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투명도전층 상에 후면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기판 상에 그 표면이 제1 요철구조로 형성된 제1 전면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1 전면전극층 상에 그 표면이 제2 요철구조로 형성된 제2 전면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요철구조와 상기 제2 요철구조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요철구조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제1 요철구조의 표면 거칠기 보다 작고,
상기 제1 전면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금속 공급원 및 산소 공급원을 이용하여 투명한 도전물질을 적층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면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금속 공급원, 산소 공급원 및 표면 거칠기 조절원을 이용하여 투명한 도전물질을 적층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제1 전면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 이전에 그 표면이 제3 요철구조로 형성된 제3 전면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3 요철구조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제1 요철구조의 표면 거칠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 기판 상에 전면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전면전극층 상에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반도체층 상에 투명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투명도전층 상에 후면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반도체층 상에 그 표면이 제1 요철구조로 형성된 제1 투명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1 투명도전층 상에 그 표면이 제2 요철구조로 형성된 제2 투명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요철구조와 상기 제2 요철구조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요철구조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제1 요철구조의 표면 거칠기 보다 작고,
상기 제1 투명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금속 공급원 및 산소 공급원을 이용하여 투명한 도전물질을 적층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투명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금속 공급원, 산소 공급원 및 표면 거칠기 조절원을 이용하여 투명한 도전물질을 적층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제1 투명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 이전에 그 표면이 제3 요철구조로 형성된 제3 투명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3 요철구조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제1 요철구조의 표면 거칠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 삭제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구조는 골과 피크가 각을 가진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요철구조는 골과 피크가 각을 갖지 않은 곡선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공급원은 (CH3)2Zn(Dimethylzinc: DMZ), (C2H5)2Zn(Diethylzinc: DEZ), Zn(C5H7O2)2(Zinc acetyl-acetonate),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산소 공급원은 O2, H2O, N2O, CO2,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 거칠기 조절원은 알콜, C4H8O(Tetrahydrofuran),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공급원, 산소 공급원 및 표면 거칠기 조절원을 이용하여 투명한 도전물질을 적층하는 공정은, 표면 거칠기 조절원의 함량비(몰비)가 표면 거칠기 조절원/금속 공급원 = 0.01 ~ 50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공급원 및 산소 공급원을 이용하여 투명한 도전물질을 적층하는 공정, 및 상기 금속 공급원, 산소 공급원 및 표면 거칠기 조절원을 이용하여 투명한 도전물질을 적층하는 공정은,
도펀트 공급원을 추가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공급원 및 산소 공급원을 이용하여 투명한 도전물질을 적층하는 공정, 및 상기 금속 공급원, 산소 공급원 및 표면 거칠기 조절원을 이용하여 투명한 도전물질을 적층하는 공정은,
하나의 공정 장비 내에서 연속 공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거칠기 조절원은 상기 산소 공급원과 혼합하여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1/006509 WO2012134000A1 (ko) | 2011-03-29 | 2011-09-02 | 박막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TW100145147A TWI568002B (zh) | 2011-03-29 | 2011-12-07 | 薄膜型太陽能電池及其製造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8193 | 2011-03-29 | ||
KR20110028193 | 2011-03-29 | ||
KR1020110047121 | 2011-05-19 | ||
KR20110047121 | 2011-05-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1873A KR20120111873A (ko) | 2012-10-11 |
KR101886745B1 true KR101886745B1 (ko) | 2018-08-08 |
Family
ID=47282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7703A Active KR101886745B1 (ko) | 2011-03-29 | 2011-08-31 | 박막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6745B1 (ko) |
TW (1) | TWI56800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735247B (zh) * | 2020-06-03 | 2021-08-01 | 凌巨科技股份有限公司 | 薄膜太陽能電池的前電極層及其製造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61011A (ja) * | 1999-03-05 | 2000-09-22 | Kanegafuchi Chem Ind Co Ltd | シリコン系薄膜光電変換装置 |
WO2008062685A1 (en) | 2006-11-20 | 2008-05-29 | Kaneka Corporation | Substrate provided with transparent conductive film for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ubstrate,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using the substrate |
WO2010044269A1 (ja) * | 2008-10-17 | 2010-04-22 | 株式会社アルバック | 太陽電池の製造方法 |
JP6014554B2 (ja) * | 2013-06-05 | 2016-10-2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動力伝達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98169A (ja) * | 1986-02-25 | 1987-09-01 | Fuji Electric Corp Res & Dev Ltd | 太陽電池 |
KR100964153B1 (ko) * | 2006-11-22 | 2010-06-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태양전지 |
US20120024381A1 (en) * | 2009-03-13 | 2012-02-02 | Sumitomo Metal Mining., Ltd. |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laminated body and production method of same, and silicon-based thin film solar cell |
KR20110014039A (ko) * | 2009-08-04 | 2011-02-1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KR20110026628A (ko) * | 2009-09-08 | 2011-03-16 | 주식회사 효성 | 고효율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
-
2011
- 2011-08-31 KR KR1020110087703A patent/KR101886745B1/ko active Active
- 2011-12-07 TW TW100145147A patent/TWI568002B/zh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61011A (ja) * | 1999-03-05 | 2000-09-22 | Kanegafuchi Chem Ind Co Ltd | シリコン系薄膜光電変換装置 |
WO2008062685A1 (en) | 2006-11-20 | 2008-05-29 | Kaneka Corporation | Substrate provided with transparent conductive film for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ubstrate,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using the substrate |
WO2010044269A1 (ja) * | 2008-10-17 | 2010-04-22 | 株式会社アルバック | 太陽電池の製造方法 |
JP6014554B2 (ja) * | 2013-06-05 | 2016-10-2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動力伝達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1873A (ko) | 2012-10-11 |
TW201240116A (en) | 2012-10-01 |
TWI568002B (zh) | 2017-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402361A (zh) | 光电装置 | |
KR101072472B1 (ko) | 광기전력 장치의 제조 방법 | |
CN102656707B (zh) | 薄膜硅叠层太阳能电池及其制造方法 | |
Liang et al. | Progress in crystalline silicon heterojunction solar cells | |
CN102255005B (zh) | 薄膜太阳电池及其制造方法 | |
US20120318335A1 (en) | Tandem solar cell with improved tunnel junction | |
CN102983215A (zh) | 具有硅纳米线结构的硅薄膜太阳能电池的制备方法 | |
CN101295745A (zh) | 膜层、膜层的形成方法和具有该膜层的薄膜太阳能电池 | |
CN102142469A (zh) | Pi柔性衬底太阳电池用p型微晶硅碳薄膜材料及制备 | |
KR101886745B1 (ko) | 박막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CN104733548A (zh) | 具有量子阱结构的硅基薄膜太阳能电池及其制造方法 | |
CN103238219A (zh) | 用于a-Si单结和多结薄膜硅太阳能电池的改进的a-Si:H吸收层 | |
CN102157594A (zh) | nc-Si:H/SiNx超晶格量子阱太阳电池 | |
KR20110043147A (ko) | 이종 접합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CN101414650B (zh) | 一种纳米晶/非晶硅两相薄膜太阳电池的制备方法 | |
US20130291933A1 (en) | SiOx n-LAYER FOR MICROCRYSTALLINE PIN JUNCTION | |
JP5770294B2 (ja) | 光電変換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20130061346A (ko) |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Yan et al. | High efficiency amorphous and nanocrystalline silicon thin film solar cells on flexible substrates | |
TWI483405B (zh) | 光伏打電池及製造光伏打電池之方法 | |
JP2011014618A (ja) | 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083402B1 (ko) | 박막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JP2011018884A (ja) | 光起電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CN203325950U (zh) | 一种多带隙双面透光太阳能电池 | |
KR101528455B1 (ko) | 박막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8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8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9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5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4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1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8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