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851B1 - Drone for cleaning - Google Patents
Drone for clean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5851B1 KR101885851B1 KR1020170027307A KR20170027307A KR101885851B1 KR 101885851 B1 KR101885851 B1 KR 101885851B1 KR 1020170027307 A KR1020170027307 A KR 1020170027307A KR 20170027307 A KR20170027307 A KR 20170027307A KR 101885851 B1 KR101885851 B1 KR 1018858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eaning
- drones
- main body
- frame
- fri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7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4443 Ricinus communis Nutrition 0.000 claims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02 health probl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 B08B1/002—
-
- B08B1/008—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12—Rotor dr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
- B64C2201/024—
-
- B64C2201/042—
-
- B64C2201/1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청소용 드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론 본체; 상기 드론 본체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드론 본체가 공중에서 부유하기 위한 양력을 제공하는 양력 발생부; 및 상기 드론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대상 물체를 청소하도록 제공되는 세정 유닛을 포함하는 청소용 드론이 제공될 수 있다.A cleaning dron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ft generating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rone main body, the lift generating unit providing lifting force for floating in the air; And a cleaning dron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ones body and including a cleaning unit provided to clean the target obje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람이 손이 닿지 않는 천장을 원격 제어되는 드론을 활용하여 청소하는 청소용 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의 날개가 천장과 같은 대상 물체에 충돌하지 않도록 양력 발생부는 드론 본체의 하부에 배치하고 천장을 청소하는 세정 유닛은 드론 본체의 상부에 배치하여 대상 물체의 청소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청소용 드론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dron for cleaning a ceiling which is not reachable by a person by utilizing a remotely controlled drones. More particularly, And a cleaning unit for cleaning the ceiling ar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one body to clean the object easily and safely.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원격 제어되는 드론은, 처음에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단순한 사격 연습에 사용되었으나, 전자 통신기술의 지속적 발전에 따라 군사용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다양한 분야로 확대 보급되고 있다.The drones, which are remotely controll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ere initially developed for military use and were used for simple shooting practice. However, as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continues to develop, the drones are being widely used not only for military use but also for various other fields.
일반적으로 드론은 양력을 출력하는 다수의 팬과, 상기 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제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팬은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프로펠러로 구성될 수 있다.Generally, the drone may include a plurality of fans for outputting lift,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fans, and a control unit. Here, the fan may be composed of a mot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by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a battery, and a propeller connected to a drive shaft of the motor.
이러한 드론은 최근에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각종 재해나 사고 지역 또는 정글이나 오지 또는 화산지역에 투입되어 현장의 상황파악이나 인명구조 또는 방송용 영상을 얻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고, 배송회사에서 물품 수송의 상업적 목적으로 운용하거나, 감시카메라를 대신하는 보안 및 관제서비스에 적용되기도 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These drones have recently been used in various disasters and accidents or in jungles, remote areas, or volcanic areas that are not easily accessible by people, and are used to capture the situation on the spot or to obtain lifesaving or broadcast images. It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operating for commercial purposes, or for security and control services in place of surveillance cameras.
한편, 공장과 같은 산업 현장이나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구조물의 천장을 청소할 때 종래에는 사다리 또는 사다리 차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천장을 청소하였다.On the other hand, when cleaning ceilings of industrial structures such as factories or high structures that are out of the reach of human hands, workers have conventionally cleaned the ceiling using ladder or ladder cars.
그러나, 이와 같은 천장 청소는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천장 접근의 한계성 때문에 청소를 완벽하게 할 수 없다. 또한 청소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작업자가 직접 흡입하여 건강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However, such ceiling cleaning not only causes safety accidents such as a worker crash, but also can not be cleaned completely due to limitations of ceiling approach. In addition, the operator may directly inhale the fine dust generated during cleaning, which may cause health problems.
이에 대한 대책으로 최근 활용되고 있는 드론을 천장 청소 현장에 투입하여 작업자를 대신하여 천장 청소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is problem,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of safely and easily performing a ceiling cleaning on behalf of a worker by putting the recently used dron into a ceiling cleaning sit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격 조정되는 드론을 이용하여 천장과 같은 대상 물체를 청소할 때 드론의 프로펠러가 대상 물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대상 물체의 청소를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청소용 드론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leaning dron which can perform cleaning of a target object more safely and easily while preventing a propeller of a dron from colliding with a target object when cleaning a target object such as a ceiling using a remote controlled drone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론 본체; 상기 드론 본체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드론 본체가 공중에서 부유하기 위한 양력을 제공하는 양력 발생부; 및 상기 드론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대상 물체를 청소하도록 제공되는 세정 유닛을 포함하는 청소용 드론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ft generating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rone main body, the lift generating unit providing lifting force for floating in the air; And a cleaning unit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one body, the cleaning unit being provided to clean the object.
또한 상기 드론 본체는, 빔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빔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one body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rame provided in a beam shape; And a second frame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frame and provided in a beam shape.
여기서 상기 드론 본체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이 교차하는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양력 발생부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드론 본체가 착륙하였을 때 상기 드론 본체를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시키는 다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drones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that do not interfere with the lift generating unit. When the drones are landed, And a leg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leg portion.
상기 다리부는, 상기 드론 본체의 착륙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제공되며 곡선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leg portion may be elastically deformable so as to absorb an impact upon landing of the drones, and may be provided in a curved shape.
또한 상기 양력 발생부는, 상기 드론 본체의 하부에 하방으로 설치되는 비행 모터; 및 상기 비행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드론 본체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lift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 flying motor installed downwardly at a lower portion of the drone main body; And a propeller coupled to a rotating shaft of the flight motor and disposed below the drone body.
또한 상기 세정 유닛은, 상기 드론 본체의 상부에 제공되는 세정 하우징; 상기 세정 하우징에 내장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세정 모터; 상기 세정 모터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및 상기 동력 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세정 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대상 물체를 마찰에 의해 세척하는 마찰 세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leaning housing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rone body; A cleaning motor built in the cleaning housing and generating power; A power transmission unit connected to the cleaning motor to transmit power; And a friction cleaning portion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and rotated at the top of the cleaning housing to clean the object by friction.
또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세정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종동 기어; 상기 종동 기어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종동 기어에 전달된 동력을 나누어 제공하는 종동 샤프트; 상기 종동 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동력 전달 방향을 전환하는 제1,2 베벨기어; 및 상기 제1,2 베벨기어에 각각 연결되며, 복수 개의 마찰 세정부를 각각 회전시키는 제1,2 세정 샤프트 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gear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of the cleaning motor; A driven gear that is gear-engaged with the drive gear; A driven shaft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driven gear and dividing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driven gear; First and second bevel gear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driven shaft to switch a power transmission direction; And first and second cleaning shaft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evel gears, respectively, for rotating the plurality of friction cleaning units.
여기서 상기 마찰 세정부는 브러쉬 또는 패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friction clean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rush or a pad.
또한 상기 세정 유닛은, 상기 세정 하우징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대상 물체를 향해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액을 공급하며, 상기 세정액을 저장하는 리저버 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praying port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leaning housing and spraying a cleaning liquid toward the target object; And a reservoir tank connected to the jetting unit to supply the cleaning liquid and store the cleaning liquid.
또한 상기 드론 본체는, 상기 마찰 세정부가 상기 대상 물체와 바른 자세로 접촉하는 것을 돕는 자세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rone body may further include an attitude supporter for assisting the friction eraser in contact with the object in a correct posture.
여기서 상기 자세 지지부는, 상기 드론 본체에서 상기 대상 물체를 향해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 기둥; 및 상기 지지 기둥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볼캐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osture supporter includes: a support post extending upward from the drones toward the target object; And a first ball caster rotatab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support column.
또한 상기 드론 본체는, 상기 대상 물체와 접촉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진동 감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rone body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damping unit capable of absorbing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dron body is in contact with the object.
여기서 상기 진동 감쇠부는, 상기 드론 본체에서 상기 대상 물체를 향해 상부로 연장되는 진동 기둥; 상기 진동 기둥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 기둥에 전달된 진동을 감쇠하는 진동 감쇠 부재; 및 상기 진동 감쇠 부재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볼캐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ibration damping unit includes: a vibration column extending upward from the drones toward the object; A vibration damping member installed on the vibration column to damp vibrations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column; And a second ball caster rotatab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산업 시설이나 높은 구조물의 천장과 같이 대상 물체에 사람이 손이 닿기 어려운 곳을 드론을 이용하여 청소할 때 양력 발생부를 드론 본체의 하부에 배치하여 드론의 날개가 천장과 충돌하지 않도록 하고, 세정 유닛은 드론 본체의 상부에 배치하여 천장 청소를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leaning a place where a human hand is difficult to reach a target object such as an industrial facility or a ceiling of a high structure by using a dron, the lift generating unit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ron body, And the cleaning unit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one main body, so that the ceiling can be cleaned more safely and easily.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드론의 사시도,
도2는 도1을 부분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드론의 세정 유닛의 구성 및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4 및 도5는 도1에 대한 서로 다른 방향에서의 측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d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rtially separated view of Fig. 1,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structure of a cleaning unit of a cleaning d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are side views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respect to Figure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many aspects of the claimed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form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for clarity.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its various embodiments, it is intended to illustrate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such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드론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을 부분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in a partially separated view.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드론(10)은 크게 드론 본체(100), 양력 발생부(200) 및 세정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위에 나열된 구성들을 포함한다는 의미는 이들 구성으로만 이루어진다는 뜻이 아니라 이들 구성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는 뜻으로, 이외에도 다른 구성(예컨대, 드론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요지가 희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s tha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nfigurations listed above, it does not mean that these configurations are merely constituted by these configurations but means that these configurations are basically included and may include other configurations (for example, well known technology well known in the drones) Bu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y is omitted in order to prevent dilution of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 드론 본체(100)는 드론(10)의 전체적인 뼈대를 이루는 요소로서 드론이 가져야 할 일반적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일반적 요소들은 이미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생략한다.First, the
도2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의 드론 본체(100)는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drone
제1 프레임(110)은 그 단면이 사각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0)은 제1 프레임(11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110)과 동일한 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드론 본체(100)는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이 서로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반드시 여기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과 교차하는 프레임이 더 추가되는 경우, 각각의 프레임은 반드시 직교하지 않더라도 프레임의 개수에 맞추어 동일한 위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1 and 2, the drone
또한, 드론 본체(100)는 드론(10)의 착륙시 드론 본체(100)를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시켜 드론 본체(100)가 직접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는 다리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one
다리부(130)는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에 직접 연결되어도 무방하지만, 드론 본체(100)의 전복을 방지하고 상기 양력 발생부(200)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이 교차하는 부위에 제공되는 것이 더 좋다.The
이때 다리부(130)는 착륙시 충격을 흡수하는데 유리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며 직선이 아닌 곡선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리부(130)가 곡선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드론(10)의 착륙시 탄성 변형에 유리하며 이에 따라 착륙시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한편,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력 발생부(200)는 드론 본체(100)의 하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력 발생부(200)는 드론 본체(100)가 공중에서 부유하기 위한 양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드론 본체(100)를 원하는 곳으로 비행시키거나 원하는 곳에서 공중 정지(호버링, hovering)시킬 수 있는 요소이다. 1 and 2,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10)은 천장과 같은 대상 물체의 청소 작업에 투입되기 때문에 드론 본체(100)를 비행 또는 공중 정지시키는 양력 발생부(200)가 드론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청소 작업 수행시 천장에 양력 발생부(200)가 충돌할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상기한 양력 발생부(200)는 양력 발생을 위해 비행 모터(210) 및 프로펠러(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비행 모터(210)는 드론 본체(100)의 하부에 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요소로서, 구체적으로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각 끝단에 하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The
또한 프로펠러(220)는 비행 모터(210)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드론 본체(100)의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천장 청소 작업시 프로펠러(220)가 천장 또는 상부 구조물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드론 본체(100)는 제어신호에 의해 비행 모터(210)가 구동되면 프로펠러(220)가 회전하면서 이때 발생하는 양력에 의해 비행하거나 공중 정지되어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양력 발생부(200)는 드론(10)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공지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When the
또한, 상기 세정 유닛(300)은 천장 청소가 용이하도록 드론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공장과 같은 산업 시설이나 사람의 손이 닿기 어려운 높은 구조물의 천장과 같은 대상 물체를 실질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요소이다. Further, the
세정 유닛(3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3을 추가로 참조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드론의 세정 유닛(300)의 구성 및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To further illustrate the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세정 유닛(300)은 세정 하우징(310), 세정 모터(320), 동력 전달부(330), 마찰 세정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세정 하우징(310)은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요소로서 드론 본체(100)의 상부에 제공될 수 있다. The cleaning
세정 하우징(310)이 드론 본체(10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이 교차하는 부위에는 베이스플레이트(101)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세정 하우징(310)은 세정 하우징(310)의 양단에 결합되는 커플러(102)를 매개로 드론 본체(100)에 설치될 수 있다. 세정 하우징(310)의 양단에는 원기둥 축(301)이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102)의 일측에는 원기둥 축(301)을 감싸는 구조의 고리부가 형성되고 커플러(102)의 타측은 드론 본체(1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The cleaning
또한, 세정 모터(320)는 세정 하우징(310)에 내장되며 천장 청소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요소이다. The cleaning
동력 전달부(330)는 세정 모터(320)에 동력 연결되어 동력을 다른 곳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330)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마찰 세정부(340)는 동력 전달부(33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요소로서, 세정 하우징(310)의 상부로 노출되어 천장과 직접 접촉하면서 마찰에 의해 천장을 닦을 수 있다. 마찰 세정부(340)는 천장과의 접촉을 우수하게 하기 위해 연질(flexible)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따라서, 세정 하우징(3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세정 모터(320)가 외부의 제어신호를 받아서 동작되면 동력이 발생하며, 그 동력은 동력 전달부(330)를 통해 세정 하우징(310)의 상부에 노출되어 있는 마찰 세정부(340)로 전달되고, 마찰 세정부(340)는 천장과 직접 접촉하면서 마찰에 의해 천장에 붙어 있는 때와 먼지를 제거하게 된다.Accordingly, power is generated when the cleaning
구체적으로, 동력 전달부(330)는 도3에 자세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동 기어(331), 종동 기어(332), 종동 샤프트(333), 제1,2 베벨기어(334,335), 제1,2 세정 샤프트 (336,337)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구동 기어(331)는 상기 세정 모터(320)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요소로서, 세정 모터(320)가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게 되면 구동모터는 세정 모터(320)와 동일한 회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또한, 종동 기어(332)는 구동 기어(331)와 기어 결합(치합)되어 구동 기어(331)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구동 기어(331)와 종동 기어(332)는 스퍼기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소음 방지를 위해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Further, the driven
또한 상기 종동 샤프트(333)는 종동 기어(332)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종동 기어(332)에 전달된 동력을 양쪽으로 나누어 제공할 수 있다. 종동 샤프트(333)가 제공되어 동력이 분지되는 경우 상기 마찰 세정부(34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Further, the driven
또한 제1베벨기어(334)와 제2베벨기어(335)는 종동 샤프트(333)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동력 전달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The
또한 제1세정샤프트(336)와 제2세정샤프트(337)는 제1베벨기어(334)와 제2베벨기어(335)에 각각 연결되며, 복수 개의 마찰 세정부(340)를 각각 회전시켜 천장을 청소할 수 있다. 여기서, 마찰 세정부(340)는 브러쉬 또는 패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이외에도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가능하다.The
한편, 상기 세정 유닛(300)은 마찰 세정부(340)를 통한 천장 청소시 천장에 세정액을 분사하기 위하여 분사부(350)와 세정액을 수용하기 위한 리저버 탱크(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도1을 참조하면, 상기 분사부(350)는 세정 하우징(310)의 외부 일측에 제공되며, 천장을 향해 세정액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리저버 탱크(360)는 세정라인을 통해 분사부(350)와 연결되고 세정액을 저장할 수 있다. 리저버 탱크(360)는 세정 하우징(310)에 내장될 수도 있지만 세정 하우징(310)의 외부에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세정액은 물 또는 액체 세제가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jetting
한편, 도4 및 도5를 더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10)에 추가될 수 있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a configuration that can be added to the
도4 및 도5는 도1에 대한 서로 다른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4를 참조하면, 드론 본체(100)는 마찰 세정부(340)가 천장과 같은 대상 물체와 접촉하여 청소를 수행할 때 마찰 세정부(340)가 천장과 바른 자세로 접촉하는 것을 돕는 자세 지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gures 4 and 5 are side views in different directions for Figure 1; Referring to FIG. 4, the drone
자세 지지부(400)는 마찰 세정부(340)의 상부 전체 면적이 천장과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서 만약 자세 지지부(400)가 없다면 마찰 세정부(340)는 천장에 경사진 상태로 접촉할 수 있는바 이에 따라 마찰 세정부(340)의 편마모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자세 지지부(400)는 지지 기둥(410)과 제1 볼캐스터(42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지지 기둥(410)은 드론 본체(100)에서 상부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는 요소로서 대략 상기 마찰 세정부(34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연장될 수 있고 마찰 세정부(34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제1 볼캐스터(420)는 지지 기둥(410)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요소로서, 마찰 세정부(340)가 천장과 접촉하여 청소를 수행할 때 제1 볼캐스터(420) 역시 천장과 접촉하게 된다. The
따라서 드론이 천장을 청소하면서 다른 곳으로 이동할 때 제1 볼캐스터(420)는 천장에 접촉된 상태에서 자유자재로 회전되면서 천장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드론이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돕는다.Accordingly, when the dron moves to another place while cleaning the ceiling, the
한편, 도5를 참조하면 드론 본체(100)는 천장과 접촉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진동 감쇠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천장 청소시 마찰 세정부(340) 및 자세 지지부(400)는 천장과 접촉하게 되고 이때 발생한 진동이 드론 본체(100)에 전달되면 드론 본체(100)의 진폭이 증가되어 드론의 자세 제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원활한 청소를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드론 본체(100)에는 별도의 진동 감쇠부(500)가 제공될 수 있다.5, the drone
구체적으로, 진동 감쇠부(500)는 진동 기둥(510)과, 진동 감쇠 부재(520) 및 제2 볼캐스터(53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진동 기둥(510)은 상기 지지 기둥(410)과 마찬가지로 드론 본체(100)에서 천장을 향해 상부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진동 감쇠 부재(520)는 실질적으로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서, 진동 기둥(510)에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 로드(521)와, 그 작동 로드(521)와 진동 기둥(510) 사이에 설치되어 전달된 진동을 감쇠하는 탄성 스프링(5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Like the
진동 기둥(510)에는 상기 작동 로드(521)가 삽입되어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홈(51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이 가해지면 작동 로드(521)가 슬라이딩 홈(511) 내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탄성 스프링(522)이 탄성 변형되면서 진동이 감쇠될 수 있다.A sliding
또한 제2 볼캐스터(530)는 진동 감쇠 부재(520)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볼캐스터(42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 :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
100 : 드론 본체 110 : 제1 프레임
120 : 제2 프레임 130 : 다리부
200 : 양력 발생부 210 : 비행 모터
220 : 프로펠러 300 : 세정 유닛
310 : 세정 하우징 320 : 세정 모터
330 : 동력 전달부 331 : 구동 기어
332 : 종동 기어 333 : 종동 샤프트
334,335 : 제1,2 베벨기어 336,337 : 제1,2 세정 샤프트
340 : 마찰 세정부 350 : 분사부
360 : 리저버 탱크 400 : 자세 지지부
410 : 지지 기둥 420 : 제1 볼캐스터
500 : 진동 감쇠부 510 : 진동 기둥
520 : 진동 감쇠 부재 530 : 제2 볼캐스터10: drone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100: drone main body 110: first frame
120: second frame 130:
200: lift generating part 210: flying motor
220: propeller 300: cleaning unit
310: Cleaning housing 320: Cleaning motor
330: Power transmission unit 331: Drive gear
332: driven gear 333: driven shaft
334, 335: first and
340: Friction taxation unit 350:
360: reservoir tank 400:
410: Support column 420: First ball caster
500: Vibration damping section 510: Vibration column
520: Vibration damping member 530: Second ball caster
Claims (13)
상기 드론 본체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드론 본체가 공중에서 부유하기 위한 양력을 제공하는 양력 발생부; 및
상기 드론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대상 물체를 청소하도록 제공되는 세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세정 유닛은,
상기 드론 본체의 상부에 제공되는 세정 하우징; 및
상기 세정 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대상 물체를 마찰에 의해 세척하는 마찰 세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 본체는,
상기 마찰 세정부가 상기 대상 물체와 접촉하는 것을 돕는 자세 지지부를 포함하는, 청소용 드론. Drone body;
A lift generating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rone main body, the lift generating unit providing lifting force for floating in the air; And
And a cleaning unit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one main body and provided to clean the object,
The cleaning unit includes:
A cleaning housing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rone main body; And
And a friction cleaning portion expos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leaning housing to clean the object by friction,
In the drones,
And a posture supporting part for supporting the friction cleaning part in contact with the object.
상기 드론 본체는,
빔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빔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청소용 드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drones,
A first frame provided in a beam shape; And
And a second frame dispos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frame and provided in a beam shape.
상기 드론 본체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이 교차하는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양력 발생부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드론 본체가 착륙하였을 때 상기 드론 본체를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시키는 다리부를 더 포함하는, 청소용 드론.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rones are provided at positions where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cross each other and do not interfere with the lift generating part, and when the dron main body lands, Further comprising a leg portion for separating the cleaning drones.
상기 다리부는, 상기 드론 본체의 착륙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제공되며 곡선 형태로 제공되는, 청소용 드론.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eg portion is provided in a curved shape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so as to absorb an impact upon landing of the droned body.
상기 양력 발생부는,
상기 드론 본체의 하부에 하방으로 설치되는 비행 모터; 및
상기 비행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드론 본체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청소용 드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ft-
A flight motor installed downwardly below the drone main body; And
And a propeller coupled to a rotational axis of the flight motor and disposed below the drones.
상기 세정 유닛은,
상기 세정 하우징에 내장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세정 모터; 및
상기 세정 모터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 세정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청소용 드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ing unit includes:
A cleaning motor built in the cleaning housing and generating power; And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connected to the cleaning motor to transmit power,
And the friction clean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and rotated.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세정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종동 기어;
상기 종동 기어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종동 기어에 전달된 동력을 나누어 제공하는 종동 샤프트;
상기 종동 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동력 전달 방향을 전환하는 제1,2 베벨기어; 및
상기 제1,2 베벨기어에 각각 연결되며, 복수 개의 마찰 세정부를 각각 회전시키는 제1,2 세정 샤프트 를 포함하는, 청소용 드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driving gear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of the cleaning motor;
A driven gear that is gear-engaged with the drive gear;
A driven shaft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driven gear and dividing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driven gear;
First and second bevel gear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driven shaft to switch a power transmission direction; And
And first and second cleaning shaft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evel gears, respectively, for rotating the plurality of friction cleaning units.
상기 마찰 세정부는 브러쉬 또는 패드 형태로 제공되는, 청소용 드론.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the friction clean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rush or pad.
상기 세정 유닛은,
상기 세정 하우징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대상 물체를 향해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액을 공급하며, 상기 세정액을 저장하는 리저버 탱크를 더 포함하는, 청소용 드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leaning unit includes:
A spraying pa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leaning housing and spraying a cleaning liquid toward the object; And
And a reservoir tank connected to the jetting section to supply the cleaning liquid and store the cleaning liquid.
상기 자세 지지부는,
상기 드론 본체에서 상기 대상 물체를 향해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 기둥; 및
상기 지지 기둥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볼캐스터를 포함하는, 청소용 드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sture-
A supporting column extending upward from the drones toward the object; And
And a first ball castor rotatably mounted on an end of the support column.
상기 드론 본체는, 상기 대상 물체와 접촉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진동 감쇠부를 더 포함하는, 청소용 드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rones further comprise a vibration damping portion capable of absorbing vibrations generated upon contact with the object.
상기 진동 감쇠부는,
상기 드론 본체에서 상기 대상 물체를 향해 상부로 연장되는 진동 기둥;
상기 진동 기둥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 기둥에 전달된 진동을 감쇠하는 진동 감쇠 부재; 및
상기 진동 감쇠 부재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볼캐스터를 포함하는, 청소용 드론.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vibration damping unit comprises:
A vibration column extending upward from the drones toward the object;
A vibration damping member installed on the vibration column to damp vibrations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column; And
And a second ball caster rotatably mounted on an end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7307A KR101885851B1 (en) | 2017-03-02 | 2017-03-02 | Drone for clean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7307A KR101885851B1 (en) | 2017-03-02 | 2017-03-02 | Drone for clean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5851B1 true KR101885851B1 (en) | 2018-08-08 |
Family
ID=63229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7307A Active KR101885851B1 (en) | 2017-03-02 | 2017-03-02 | Drone for clean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5851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92087A (en) * | 2018-08-29 | 2019-02-01 | 西北工业大学 | Unmanned aerial vehicle cleaning system for outdoor surveillance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00116605A (en) | 2019-04-02 | 2020-10-13 | 지수민 | Drones for transport of animal carcasses and danger notices |
CN115042944A (en) * | 2022-06-21 | 2022-09-13 | 任天海 | Underwater unpowered cleaning device for marine propeller |
CN115892458A (en) * | 2022-11-24 | 2023-04-04 | 北京工业职业技术学院 | Survey and drawing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camera lens self-cleaning function |
CN117360824A (en) * | 2023-12-06 | 2024-01-09 | 山西省地质勘查局二一七地质队有限公司 | Unmanned aerial vehicle carrying multispectral imaging equipment |
KR20240094097A (en) * | 2022-11-25 | 2024-06-25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Drone for managing bridge facility |
KR20250058975A (en) | 2023-10-24 | 2025-05-02 | 장상용 | Aeronautical drones capable of spraying fluid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266916A1 (en) * | 2011-04-21 | 2012-10-25 | Nicola John Policicchio | Squeegee Having at Least One Renewable Blade Surface For Treating a Target Surface |
US20130068892A1 (en) * | 2010-06-04 | 2013-03-21 | Hazry Bin Desa | Flying apparatus for aerial agricultural application |
KR20140060901A (en) | 2012-11-13 | 2014-05-21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Solar panel management aerial robot |
WO2015150529A1 (en) * | 2014-04-03 | 2015-10-08 | Pardell Ricard | Agcfds: automated glass cleaning flying drone system |
KR20160129786A (en) | 2016-05-27 | 2016-11-09 | 장민하 | Work drone |
-
2017
- 2017-03-02 KR KR1020170027307A patent/KR10188585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068892A1 (en) * | 2010-06-04 | 2013-03-21 | Hazry Bin Desa | Flying apparatus for aerial agricultural application |
US20120266916A1 (en) * | 2011-04-21 | 2012-10-25 | Nicola John Policicchio | Squeegee Having at Least One Renewable Blade Surface For Treating a Target Surface |
KR20140060901A (en) | 2012-11-13 | 2014-05-21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Solar panel management aerial robot |
WO2015150529A1 (en) * | 2014-04-03 | 2015-10-08 | Pardell Ricard | Agcfds: automated glass cleaning flying drone system |
KR20160129786A (en) | 2016-05-27 | 2016-11-09 | 장민하 | Work drone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92087A (en) * | 2018-08-29 | 2019-02-01 | 西北工业大学 | Unmanned aerial vehicle cleaning system for outdoor surveillance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00116605A (en) | 2019-04-02 | 2020-10-13 | 지수민 | Drones for transport of animal carcasses and danger notices |
CN115042944A (en) * | 2022-06-21 | 2022-09-13 | 任天海 | Underwater unpowered cleaning device for marine propeller |
CN115892458A (en) * | 2022-11-24 | 2023-04-04 | 北京工业职业技术学院 | Survey and drawing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camera lens self-cleaning function |
CN115892458B (en) * | 2022-11-24 | 2023-08-25 | 北京工业职业技术学院 | Survey and drawing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camera lens self-cleaning function |
KR20240094097A (en) * | 2022-11-25 | 2024-06-25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Drone for managing bridge facility |
KR102703920B1 (en) | 2022-11-25 | 2024-09-09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Drone for managing bridge facility |
KR20250058975A (en) | 2023-10-24 | 2025-05-02 | 장상용 | Aeronautical drones capable of spraying fluid |
CN117360824A (en) * | 2023-12-06 | 2024-01-09 | 山西省地质勘查局二一七地质队有限公司 | Unmanned aerial vehicle carrying multispectral imaging equipment |
CN117360824B (en) * | 2023-12-06 | 2024-02-06 | 山西省地质勘查局二一七地质队有限公司 | Unmanned aerial vehicle carrying multispectral imaging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5851B1 (en) | Drone for cleaning | |
CN111051202B (en) | Flying body and flying body system using same | |
KR102486884B1 (en) | Cleaning robot and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 | |
US6938298B2 (en) | Mobile cleaning robot for floors | |
EP2875768B1 (en) | Robot cleaner | |
KR102117263B1 (en) | Robot cleaner | |
JP6389533B2 (en) | Autonomous surface cleaning robot | |
CN108814461B (en) | Turntable structure and robot | |
JP2016209801A (en) | Drone-incorporated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unit of the same | |
KR102302527B1 (en) | cleaning robot | |
KR102019634B1 (en) | Drones that combine glass wipes and logistics delivery | |
US20190223681A1 (en) | Cleaner | |
EP2730205B1 (en) | Autonomous cleaning device | |
AU2002228490A1 (en) | Mobile robot | |
KR102487531B1 (en) | Photovoltaic panel washing device of photovoltaic generator | |
EP2754472B1 (en) | Attraction for amusement rides | |
JP2021133284A (en) | Unmanned aerial vehicle built-in cleaning device | |
JP2003026097A (en) | helicopter | |
KR102683924B1 (en) | Cleaning robot | |
WO2016145951A1 (en) | Wandering drive mechanism of mopping machine, and mopping machine | |
Hutter et al. | IBEX—A tele-operation and training device for walking excavators | |
CN206166840U (en) | Glass curtain wall cleaning machines people that can hinder more | |
JP4225653B2 (en) | Robot system | |
CN112498304B (en) | Walking structure of self-moving robot and self-moving robot | |
KR101699619B1 (en) | Automatic window clean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