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022B1 - 자동차의 조향컬럼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향컬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5022B1 KR101885022B1 KR1020170028148A KR20170028148A KR101885022B1 KR 101885022 B1 KR101885022 B1 KR 101885022B1 KR 1020170028148 A KR1020170028148 A KR 1020170028148A KR 20170028148 A KR20170028148 A KR 20170028148A KR 101885022 B1 KR101885022 B1 KR 1018850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ing member
- mounting bracket
- outer tube
- reinforcing
- brack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 중 보강부재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 중 상부 마운팅 브라켓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 중 이너튜브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231: 차체결합부 233: 튜브결합부
235: 하부 마운팅브라켓 250: 플레이트 브라켓
270: 이너튜브 290: 아우터튜브
310: 제1부재 320: 제2부재
321: 결합홀 340: 보강부재
341: 안착부 543: 지지부
645: 절곡부 723: 플랜지부
Claims (12)
- 조향휠과 연결되는 조향축을 감싸는 아우터튜브;
상기 조향축을 감싸며 상기 아우터튜브에 내삽되는 이너튜브;
상기 아우터튜브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아우터튜브의 외주면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판형상의 플레이트 브라켓;
상기 플레이트 브라켓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상부 마운팅브라켓; 및
상기 아우터튜브 또는 이너튜브의 단부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하부 마운팅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아우터튜브, 이너튜브, 플레이트 브라켓, 상부 마운팅브라켓, 하부 마운팅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평판 또는 곡판으로 형성되는 2개의 부재가 이격되어 적층되며, 이중 어느 한쪽부재인 제1부재와 다른 한쪽부재인 제2부재를 연결하는 보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보강부재는 일측단이 상기 제1부재와 결합되며 타측단이 상기 제2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보강부재의 끝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끝단에서 이격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가 상기 결합홀 하측부위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제1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부재에서 제2부재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보강부재의 돌출된 끝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2부재에 삽입되는 끝단에서 이격되는 위치에 상기 제2부재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 하측부위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부재가 상기 제2부재와 밀착되게 볼록한 형상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부재가 절개되며 절개된 부위가 상기 제2부재와 밀착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일측단에서 상기 제1부재와 밀착되게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부재와 밀착되게 일측단이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의 이격되는 간격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8148A KR101885022B1 (ko) | 2017-03-06 | 2017-03-06 | 자동차의 조향컬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8148A KR101885022B1 (ko) | 2017-03-06 | 2017-03-06 | 자동차의 조향컬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5022B1 true KR101885022B1 (ko) | 2018-08-03 |
Family
ID=63250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8148A Active KR101885022B1 (ko) | 2017-03-06 | 2017-03-06 | 자동차의 조향컬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502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9736A (ko) * | 2019-03-14 | 2020-09-23 | 주식회사 포스코 | 차량용 크로스 부재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33435U (ko) * | 1994-05-09 | 1995-12-16 | 김양수 | 구조물 패널 |
JP4919840B2 (ja) * | 2007-03-06 | 2012-04-18 | 株式会社アイテック | パネル |
KR20160074070A (ko) * | 2014-12-18 | 2016-06-28 | 주식회사 만도 | 자동차의 조향 컬럼 |
-
2017
- 2017-03-06 KR KR1020170028148A patent/KR10188502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33435U (ko) * | 1994-05-09 | 1995-12-16 | 김양수 | 구조물 패널 |
JP4919840B2 (ja) * | 2007-03-06 | 2012-04-18 | 株式会社アイテック | パネル |
KR20160074070A (ko) * | 2014-12-18 | 2016-06-28 | 주식회사 만도 | 자동차의 조향 컬럼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9736A (ko) * | 2019-03-14 | 2020-09-23 | 주식회사 포스코 | 차량용 크로스 부재 |
KR102200172B1 (ko) | 2019-03-14 | 2021-01-07 | 주식회사 포스코 | 차량용 크로스 부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28325B2 (ja) |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 |
JP6908740B2 (ja) | 車両操舵輪への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揺動方式による取り付けのための結合装置 | |
CN102826112B (zh) | 转向装置 | |
JPH0645415Y2 (ja) |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における衝撃エネルギ吸収機構 | |
JP5528868B2 (ja) | ステアリング装置 | |
US7648168B2 (en) |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of vehicle equipped with wire block assembly | |
US9802637B2 (en) | Steering device | |
WO2013051441A1 (ja) |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 |
JP4759527B2 (ja) | 制振装置 | |
CN108407881A (zh) | 转向装置 | |
KR101885022B1 (ko) | 자동차의 조향컬럼 | |
JP2018188053A (ja) | ステアリング装置 | |
KR20120042328A (ko) | 자동차의 조향 컬럼 | |
KR101267712B1 (ko) | 자동차의 조향컬럼 | |
JP3945495B2 (ja) | 自動車車両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エネルギー吸収システムの変形可能な金属カプセル型装置 | |
KR101264965B1 (ko) |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 | |
JP4292027B2 (ja) |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 |
KR20190012672A (ko) | 자동차의 조향 컬럼 | |
JPH11208322A (ja) | シートスライド装置 | |
JP5137523B2 (ja) | 防振装置 | |
JP5970991B2 (ja) |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JP2014015105A (ja) |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JP4064844B2 (ja) | シフトレバーの取付構造 | |
JP4192010B2 (ja) | チルトステアリングコラム支持装置 | |
US20200247475A1 (en) | Side brack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