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84453B1 -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Google Patents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453B1
KR101884453B1 KR1020160071951A KR20160071951A KR101884453B1 KR 101884453 B1 KR101884453 B1 KR 101884453B1 KR 1020160071951 A KR1020160071951 A KR 1020160071951A KR 20160071951 A KR20160071951 A KR 20160071951A KR 101884453 B1 KR101884453 B1 KR 101884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core
basement
concrete
core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9741A (ko
Inventor
이정배
이범택
최지훈
방중석
강기성
김태호
한경수
양용근
이봉래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1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453B1/ko
Publication of KR20170139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4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8Dowels, i.e. members adapted to penetrate the surfaces of two parts and to take the shear stresses
    • E04B1/483Shear dowels to be embedded in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 벽체의 위치에 필러부재를 설치한 상태에서 코어 내외 슬래브를 선타설하여 슬래브가 토압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코어 내부에 가설 스트럿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공성 및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준층 슬래브를 기준으로 지하층과 지상층의 시공이 병행되는 역타 공법에서 지하층 코어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a) 일정 깊이 터파기 후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 형성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b) 코어 벽체 위치의 슬래브 거푸집 상면에 코어 내부 지하층 슬래브와 외부 지하층 슬래브의 경계부를 이격시키고, 토압을 전달하기 위해 코어 벽체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필러부재를 설치하는 한편,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 형성을 위하여 슬래브 거푸집 상부에 슬래브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c)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층 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 (d) 상기 (a) 내지 (c) 단계를 반복하여 지하층 슬래브를 하향으로 최하층까지 순차적으로 역타 시공하는 단계; 및 (e) 지하층 코어 벽체의 철근 및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코어 벽체를 순타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Pre-climbing core construction method for top-down construction}
본 발명은 코어 벽체의 위치에 필러부재를 설치한 상태에서 코어 내외 슬래브를 선타설하여 슬래브가 토압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코어 내부에 가설 스트럿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공성 및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에 대한 것이다.
역타 공법은 지하층 골조를 상부에서 하부 역순으로 시공하는 공법으로, 시공 진행 방식에 따라 탑다운 공법(Top-down method), 세미탑다운 공법(Semi top-down method), 업업 공법(Up-up method), 다운업 공법(Down-up method) 등으로 구별한다.
이중 탑다운 공법은 기준층 수평부재를 선시공하고 지상과 지하 구조물을 동시에 시공하는 방식이다. 탑다운 공법은 공기 단축에 효과적이긴 하나 역타 기둥인 킹포스트(king-post)가 큰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하여야 하므로, 시공성, 공사비 면에서 불리하여 일반적인 적용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업업 공법은 역타 공법을 적용하여 지하층 골조공사를 진행하면서 기초가 완성되면 지상층과 지하 잔여공사 진행하는 방식으로, 공사비 절감 및 공기 단축 면에서 효과적이어서 역타 공법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역타 공법에서 코어부는 지하층 수평부재 시공 후 상향으로 순타로 후시공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후타설되는 코어 벽체와 함께 코어 내부 슬래브 또한 후타설로 시공하였고, 이에 따라 코어 내부 바닥 전체가 개구부가 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코어 내부에서 토압을 지지할 슬래브가 없으므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압 지지를 위해서 코어 내부에 별도의 가설 스트럿(ST)을 설치하여야 한다. 도 1의 (a)는 코어 내부를 가설 스트럿(ST)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코어 내부 슬래브를 제외한 각 층 코어 외부 슬래브(1a)를 역타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후에 이러한 가설 스트럿(ST)을 해체한 다음, 도 1의 (b)에서와 같이 지상층과 지하층 코어부를 순타로 병행 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 시공 방법은 가설 스트럿(ST)의 설치 및 철거 작업이 수반되어 시공이 매우 번거롭고 공기를 지연시키는 요인이 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코어 내부 슬래브 설치를 위한 가설빔과 가설 스트럿(ST)이 간섭되어 이들 부재의 배치가 곤란할 수 있다.
한편, 탑다운 공법에서는 기준층을 기준으로 지상층 순타와 지하층 역타가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지하층 코어 벽체의 공사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지상층 코어 벽체의 하중을 통상 기준층 바닥 높이까지 설치되는 역타 기둥에 의해 지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지상층 코어 벽체와 지하층 역타 기둥은 구조 형식이 상이하므로, 이들 접합부에서 하중을 전이시킬 수 있는 전이층이 필요하다.
이에 종래에는 도 11과 같이 순타로 후타설되는 하부 코어 벽체의 타설을 위해 선타설된 지하 1층 코어 벽체의 하부를 지하 1층 슬래브에서 1m 정도 띄워서 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띄움 시공을 위해서는 멍에, 장선, 동바리 등 가설 공정이 필요하여 공기 지연 및 공사비가 상승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KR 10-1267565 B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어 내부 슬래브를 선타설하면서도 슬래브가 토압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코어 내부에 가설 스트럿이 필요 없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구조 형식이 상이한 지상층 코어 벽체와 지하층 역타 기둥의 접합부에서 띄움 시공 없이 하중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기준층 슬래브를 기준으로 지하층과 지상층의 시공이 병행되는 역타 공법에서 지하층 코어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a) 일정 깊이 터파기 후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 형성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b) 코어 벽체 위치의 슬래브 거푸집 상면에 코어 내부 지하층 슬래브와 외부 지하층 슬래브의 경계부를 이격시키고, 토압을 전달하기 위해 코어 벽체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필러부재를 설치하는 한편,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 형성을 위하여 슬래브 거푸집 상부에 슬래브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c)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층 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 (d) 상기 (a) 내지 (c) 단계를 반복하여 지하층 슬래브를 하향으로 최하층까지 순차적으로 역타 시공하는 단계; 및 (e) 지하층 코어 벽체의 철근 및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코어 벽체를 순타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필러부재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되어 횡하중을 전달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후면에 결합되어 후방의 슬래브 콘크리트 내에 정착되는 정착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단의 높이가 슬래브 상면 높이보다 일정 길이 낮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이음철근이 필러부재의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는 타설막이가 구비되고, 상기 이음철근은 타설막이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사이에는 보조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보조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 상부에는 필러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c)단계에서,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일부 구간에 일정 폭으로 지지용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a) 단계 이전에 기준층 슬래브 바로 하부의 지하 1층 슬래브와 지하 1층 코어 벽체가 선시공되되, 상기 지하 1층 코어 벽체는 지하 1층 슬래브의 상면 레벨까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지하 1층 슬래브의 콘크리트 타설 전에 슬래브 거푸집 상부에는 후타설되는 하부 코어 벽체의 콘크리트 타설용 타설구를 형성하기 위한 타설구 형성부재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지하 1층 슬래브의 하부에는 상부 코어 벽체의 시공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지지빔은 코어 벽체 내에 매립 가능하도록 코어 벽체의 폭보다 폭이 좁은 래티스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하부에는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가설빔이 설치되되, 상기 슬래브 거푸집과 가설빔 사이에는 가설빔의 상부플랜지 상면을 덮는 것으로 상기 슬래브 거푸집이 용접 결합되는 결합용 덧댐판이 구비되고, 상기 가설빔은 (c) 단계 또는 (d) 단계 이후에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결합용 덧댐판의 양측단에는 하부로 일정 길이 수직 절곡 형성되는 측면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가설빔의 상면에는 결합용 덧댐판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양중용 러그가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어, 상기 가설빔의 해체시 지하층 슬래브 상부에서 가설빔 철거장비의 양중로프를 상기 양중용 러그에 결합하여 가설빔을 지하층 슬래브 하부로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양중용 러그의 상부에는 보호캡이 결합되되, 상기 보호캡은 (c) 단계에서 지하층 슬래브의 콘크리트 타설 후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코어 벽체의 위치에 필러부재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코어 내외 슬래브를 선타설하여 슬래브가 토압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코어 내부에 별도로 가설 스트럿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설 스트럿의 설치 및 해체 공정 생략에 따라 시공성이 향상되고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이 가능하다. 아울러 코어 내부 슬래브 설치를 위한 가설빔과 가설 스트럿의 간섭 문제가 없다.
둘째, 기준층 바로 하부의 지하 1층 코어 벽체를 지하 1층 슬래브 상면에 접하도록 시공함으로써, 구조 형식이 상이한 지상층 코어 벽체와 지하층 역타 기둥의 접합부에서 띄움 시공 없이 하중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띄움 시공에 따른 가설재 및 이들 가설재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노력을 생략할 수 있어 시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다.
셋째, 역타 공법에서 바닥슬래브 시공을 위해 가설빔을 설치하는 경우, 가설빔과 슬래브 거푸집 사이에 위치되는 결합용 덧댐판 상부에 슬래브 거푸집을 결합함으로써 슬래브 거푸집의 손상 없이 가설빔을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넷째, 가설빔을 절단하여 해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설빔의 해체가 용이하다. 이에 따라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이 가능하고, 분리된 가설빔 조각의 낙하 위험이나 이로 인한 하부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설빔을 재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역타 공법의 공정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의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역타 공법의 공정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필러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필러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이음철근이 구비된 필러부재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7은 타설막이가 구비된 필러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보조플레이트가 구비된 필러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필러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지지용 콘크리트가 타설된 지하층 코어 벽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종래 역타 공법에서 지하 1층 슬래브와 지하 1층 코어 벽체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12는 타설구 형성부재가 구비된 지하 1층 슬래브와 코어 벽체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13은 타설구가 형성된 지하 1층 슬래브와 코어 벽체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지지빔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하는 가설빔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6은 도 15에서 슬래브 거푸집과 가설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측면판이 구비된 가설빔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서 가설빔과 결합용 덧댐판의 분리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9는 양중용 러그가 결합된 가설빔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0은 도 19에서 슬래브 거푸집과 가설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보호캡이 구비된 가설빔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2는 보호캡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3은 보호캡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4는 가설빔을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의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의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역타 공법의 공정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은 기준층 슬래브(1')를 기준으로 지하층과 지상층의 시공이 병행되는 역타 공법에서 지하층 코어를 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의 (a) 내지 (e)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은 (a) 일정 깊이 터파기 후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1a, 1b) 형성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2)을 설치하는 단계; (b) 코어 벽체(3) 위치의 슬래브 거푸집(2) 상면에 코어 내부 지하층 슬래브(1b)와 외부 지하층 슬래브(1a)의 경계부를 이격시키고, 토압을 전달하기 위해 코어 벽체(3)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필러부재(4)를 설치하는 한편,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1a, 1b) 형성을 위하여 슬래브 거푸집(2) 상부에 슬래브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c)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층 슬래브(1a, 1b)를 시공하는 단계; (d) 상기 (a) 내지 (c) 단계를 반복하여 지하층 슬래브(1a, 1b)를 하향으로 최하층까지 순차적으로 역타 시공하는 단계; 및 (e) 지하층 코어 벽체(3)의 철근 및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코어 벽체(3)를 순타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에서는 우선 (a) 일정 깊이 터파기 후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1a, 1b) 형성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2)을 설치한다(도 2의 (a)).
상기 (a) 단계의 터파기 실시 전에는 지중에 역타 기둥을 먼저 시공한다.
도 2의 (a)에서 후에 형성되는 코어 벽체(3)를 기준으로 왼편은 코어 외부 지하층 슬래브(1a)이고, 오른편은 코어 내부 지하층 슬래브(1b)이다.
역타 공법에서는 슬래브 거푸집(2) 지지를 위한 서포트 설치가 곤란하므로, 슬래브 거푸집(2)은 데크플레이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래브 거푸집(2)은 가설빔(6)에 의하여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b) 코어 벽체(3) 위치의 슬래브 거푸집(2) 상면에 코어 내부 지하층 슬래브(1b)와 외부 지하층 슬래브(1a)의 경계부를 이격시키고, 토압을 전달하기 위해 코어 벽체(3)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필러부재(4)를 설치하는 한편,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1a, 1b) 형성을 위하여 슬래브 거푸집(2) 상부에 슬래브 철근을 배근한다(도 2의 (b)).
상기 필러부재(4)는 코어 벽체(3)의 위치에 설치되어, 코어 내외부 슬래브(1a, 1b)를 이격시키는 한편, 슬래브(1a, 1b)의 압축력을 전달한다.
상기 필러부재(4)에 대해서는 도 4와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지하 1층은 코어가 선시공되므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러부재(4)는 지하 2층 부터 시공되며, 지하 최저층까지 설치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는 필러부재(4)의 설치와 함께,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1a, 1b) 형성을 위하여 슬래브 철근을 배근한다
그리고 (c)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층 슬래브(1a, 1b)를 시공한다(도 2의 (c)).
즉, 코어 벽체(3) 시공 전에 코어 내부 지하층 슬래브(1b)를 코어 외부 지하층 슬래브(1a)와 함께 선타설하면서도 필러부재(4)에 의하여 이격되는 코어 내외부 지하층 슬래브(1a, 1b)가 토압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코어 내부 지하층 슬래브(1b) 위치에 별도로 가설 스트럿(ST)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설 스트럿(ST)과 관련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시공성 및 경제성이 향상된다.
이후, (d) 상기 (a) 내지 (c) 단계를 반복하여 지하층 슬래브(1a, 1b)를 하향으로 최하층까지 순차적으로 역타 시공하고(도 2의 (d)), (e) 지하층 코어 벽체(3)의 철근 및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코어 벽체(3)를 순타 시공한다(도 2의 (e)).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역타 공법의 공정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3의 (a)는 코어 내부 지하층 슬래브(1b)가 상부에서 하부로 역타 선타설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코어 벽체(3)를 하부에서 상부로 순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코어 내외부 지하층 슬래브(1a, 1b)가 선타설되고 경계부인 코어 벽체(3) 및 인방보 위치에는 필러부재(4)가 설치되어 토압을 전달한다.
아울러 코어 벽체(3) 및 인방보는 나중에 기초부터 상향으로 순타 후타설되므로, 슬래브의 일체 타설 및 가설 스트럿(ST) 생략으로 시공이 편리하다.
도 4는 필러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필러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러부재(4)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1);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1) 사이에 결합되어 횡하중을 전달하는 복수의 연결부재(42);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41)의 후면에 결합되어 후방의 슬래브 콘크리트 내에 정착되는 정착부재(43); 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1) 사이에는 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코어 벽체(3)를 이루므로,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1) 사이의 거리는 코어 벽체(3) 또는 인방보의 두께와 동일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42)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1) 사이에 복수 개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42)는 도 4와 같이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하거나 도 5와 같이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트러스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밖에 연결부재(42)는 토압에 의한 압축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기만 하면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재(42)는 토압에 의한 압축력을 전달하며, 강봉, 철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웃하는 지지플레이트(41) 사이의 간격이 넓은 경우에는 좌굴에 유리한 앵글을 연결부재(42)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2)는 지지플레이트(41)에 용접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정착부재(43)는 선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 내에 정착되어 일체화되는 부분으로, 지지플레이트(41)의 후면, 즉 필러부재(4)의 외측에서 지지플레이트(41)에 결합한다.
상기 정착부재(43)는 쉬어스터드 등을 이용 가능하다.
상기 정착부재(43)는 지지플레이트(41)에 용접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필러부재(4) 부분은 코어 벽체(3)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가 후타설된다. 따라서 필러부재(4) 부분은 수축대(shrinkage strip) 역할을 하여, 선타설 슬래브(1a, 1b)의 수축 균열을 저감할 수 있다. 즉 필러부재(4)가 선타설 슬래브(1a, 1b)의 건조 수축을 일정 부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이음철근이 구비된 필러부재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41)는 상단의 높이가 슬래브 상면 높이보다 일정 길이 낮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41)의 상부에는 이음철근(44)이 필러부재(4)의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러부재(4)가 설치되는 구간에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경우, 상부 철근은 인장철근이 되므로 일정한 길이의 인장 정착 길이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지지플레이트(41)를 슬래브(1a, 1b)의 두께보다 낮게 설치하고, 지지플레이트(41) 상부에 필러부재(4)의 폭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인장용 이음철근(44)을 설치한다.
상기 이음철근(44)은 각 지지플레이트(41)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슬래브(1a, 1b) 내에 정착된다.
도 7은 타설막이가 구비된 필러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41)의 상부에는 타설막이(45)가 구비되고, 상기 이음철근(44)은 타설막이(45)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6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41)의 상단이 슬래브(1a, 1b)의 상면 높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선타설 콘크리트가 필러부재(4) 내측으로 흘러들어올 수 있다.
따라서 지지플레이트(41)의 상부에 타설막이(45)를 구비하여 콘크리트가 필러부재(4)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타설막이(45)는 코어 벽체(3) 내외의 콘크리트 분리 타설을 위한 거푸집 역할을 하면서 후타설되는 필러부재(4) 내측 콘크리트 이음부와의 일체성을 높인다.
상기 타설막이(45)는 메탈라스 등 망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타설막이(45)는 지지플레이트(41)의 전면 또는 후면에 지지플레이트(41)와 겹치도록 설치 가능하다. 이 경우 태그 용접 등에 의해 지지플레이트(41)와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도 8은 보조플레이트가 구비된 필러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1) 사이에는 보조플레이트(46)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42)는 보조플레이트(46)에 결합될 수 있다.
이웃하는 지지플레이트(41) 사이의 간격이 넓은 경우, 토압 등 압축력이 작용하면 연결부재(42)에 좌굴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웃하는 지지플레이트(41) 사이에 보조플레이트(46)를 평행하게 설치하여 연결부재(42)의 좌굴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보조플레이트(46)에는 복수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각 연결부재(42)가 보조플레이트(46)의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는 보조플레이트(46)의 좌우로 연결부재(42)를 분리하여 분리된 연결부재(42)의 양단을 각각 보조플레이트(46)와 지지플레이트(41)에 용접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필러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42) 상부에는 필러부재(4)의 길이 방향으로 지지부재(47)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7)는 연결부재(42) 상부에서 연결부재(42)의 좌굴장, 즉 비지지 길이를 줄여 토압 등 압축력 작용시 연결부재(42)의 좌굴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부재(47)는 강봉, 철근, 앵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42)와 태그 용접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7)는 필러부재(4)의 폭에 따라 도 9와 같이 1열로 배치하거나 또는 복수열로 구비할 수 있다.
도 10은 지지용 콘크리트가 타설된 지하층 코어 벽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단계에서, 지지플레이트(41) 사이의 일부 구간에 일정 폭으로 지지용 콘크리트(48)가 타설될 수 있다.
상기 코어 벽체(3)의 폭이 커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1) 사이의 간격이 넓은 경우, 토압 등에 의한 압축력 작용 시 연결부재(42)가 좌굴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1)의 사이의 일부 구간에 지지용 콘크리트(48)를 타설하여 지지용 콘크리트(48)가 압축력을 일부 분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용 콘크리트(48) 내에는 콘크리트 타설 전에 미리 수직 철근을 배근하도록 한다.
도 11은 종래 역타 공법에서 지하 1층 슬래브와 지하 1층 코어 벽체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탑다운 공법에서는 기준층을 기준으로 지상층 순타와 지하층 역타가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지하층 코어 벽체의 공사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지상층 코어 벽체의 하중을 통상 기준층 바닥 높이까지 설치되는 역타 기둥에 의해 지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지상층 코어 벽체와 지하층 역타 기둥은 구조 형식이 상이하므로, 이들 접합부에서 하중을 전이시킬 수 있는 전이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타로 후타설되는 하부 코어 벽체(3)의 타설을 위해 선타설된 지하 1층 코어 벽체(3')의 하부를 지하 1층 슬래브(1")에서 1m 정도 띄워서 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띄움 시공을 위해서는 멍에, 장선, 동바리 등 가설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고, 이들 부재의 해체 과정이 뒤따르는 등의 이유로 공기 지연 및 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a) 단계 이전에 기준층 슬래브(1') 바로 하부의 지하 1층 슬래브(1")와 지하 1층 코어 벽체(3')가 선시공되되, 상기 지하 1층 코어 벽체(3')는 지하 1층 슬래브(1")의 상면 레벨까지 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준층 슬래브(1') 바로 하부에 지하 1층 슬래브(1")의 상면 레벨까지 선타설된 지하 1층 코어 벽체(3')를 통하여 지상층 코어 벽체(3)의 수직 하중을 역타 기둥에 바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기준층 바로 하부의 지하 1층 코어 벽체(3')가 지하 1층 슬래브(1") 상면에 접하므로, 도 11과 같이 지하 1층 코어 벽체(3')의 하부를 지하 1층 슬래브(1")와 띄움 시공하기 위한 가설재 및 이들 가설재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노력을 제거할 수 있다.
후에 지하 1층 코어 벽체(3') 하부의 나머지 지하층 코어 벽체(3)들은 기초부터 상향으로 순타 시공하여 선타설된 지하 1층 코어 벽체(3')와 만나도록 시공한다.
도 12는 타설구 형성부재가 구비된 지하 1층 슬래브와 코어 벽체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타설구가 형성된 지하 1층 슬래브와 코어 벽체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하 1층 슬래브(1")의 콘크리트 타설 전에 슬래브 거푸집(2) 상부에는 후타설되는 하부 코어 벽체(3)의 콘크리트 타설용 타설구(31)를 형성하기 위한 타설구 형성부재(32)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타설구 형성부재(32)는 지하 1층 슬래브(1") 하부의 코어 벽체(3)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용 타설구(31)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타설구 형성부재(32)는 지하 1층 코어 벽체(3') 하부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되, 지하 1층 슬래브(1") 상부로 일측이 소정 길이 연장되는 L형 단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타설구 형성부재(32)는 다양한 소재로 구성 가능하며, 스티로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타설구 형성부재(32)는 순타로 후타설되는 하부 코어 벽체(3)의 시공 전에 제거되어 소정의 타설구(31)를 형성한다.
상기 타설구(31)를 통하여 지하 1층 슬래브(1") 하부의 코어 벽체(3)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도 14는 지지빔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앞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하 1층 슬래브(1")의 하부에는 상부 코어 벽체(3)의 시공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빔(5)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빔(5)은 코어 벽체(3) 내에 매립 가능하도록 코어 벽체(3)의 폭보다 폭이 좁은 래티스보로 구성 가능하다(도 14).
상기 지지빔(5)은 일반적으로 가설재이기 때문에 하부 코어 벽체(3)의 시공 전에 철거해야 하는 과정이 수반되어 번거롭다.
따라서 지지빔(5)을 코어 벽체(3) 내부에 매립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빔(5)으로 일반적인 압연 H 형강(Rolled H beam)을 이용하면 플랜지의 폭이 넓어 코어 벽체(3) 내에 매립할 수 없다.
이에 지지빔(5)으로 플랜지 폭을 좁게 구성한 조립 H 형강(built-up H beam)을 이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플랜지 폭을 좁게 하면 코어 벽체(3) 내에 매립 가능하긴 하나 플랜지와 코어 벽체(3)의 거푸집 사이의 간격이 좁고, 웨브의 간섭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타설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좁고 춤이 큰 래티스보를 지지빔(5)으로 하여 하부 코어 벽체(3) 내에 지지빔(5)을 매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래티스보는 상하 ㄱ 형강과 상하 ㄱ 형강의 일측 다리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래티스로 구성 가능하며, 래티스가 웨브를 구성하므로 이웃하는 래티스 사이로 콘크리트가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어 콘크리트 타설이 용이하다.
도 15는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하는 가설빔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서 슬래브 거푸집과 가설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슬래브 거푸집(2)의 하부에는 슬래브 거푸집(2)을 지지하기 위한 가설빔(6)이 설치되되, 상기 슬래브 거푸집(2)과 가설빔(6) 사이에는 가설빔(6)의 상부플랜지 상면을 덮는 것으로 상기 슬래브 거푸집(2)이 용접 결합되는 결합용 덧댐판(7)이 구비되고, 상기 가설빔(6)은 (c) 단계 또는 (d) 단계 이후에 해체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슬래브 거푸집(2)은 데크플레이트로, 하부플레이트(21), 상기 하부플레이트(21)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트러스거더(22) 및 슬래브 거푸집(2)의 길이 방향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수직봉(23)으로 구성 가능하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트러스거더(22)는 하나의 상부철근 양측에 래티스재를 대칭되게 부착하고 각 래티스재의 외측에 하부철근을 부착한 형태로 구성되었으나, 트러스거더(22)의 구체적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슬래브 거푸집(2) 설치시 슬래브 거푸집(2) 단부의 수직봉(23)이나 하부플레이트(21)를 후술할 결합용 덧댐판(7)과 현장 용접하여 슬래브 거푸집(2)을 결합용 덧댐판(7)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가설빔(6)은 바닥 슬래브 완성 전까지 시공 하중을 부담하는 것으로, H 형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용 덧댐판(7)은 가설빔(6)의 상부플랜지 상면을 덮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가설빔(6)의 상부플랜지 양측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용 덧댐판(7)은 가설빔(6)과 태그 용접하여 후에 해체가 용이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용 덧댐판(7)의 상면에 슬래브 거푸집(2)인 데크플레이트를 용접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슬래브 완성 후 가설빔(6) 해체시 결합용 덧댐판(7) 하부의 가설빔(6)만 해체하면 되므로 가설빔(6)의 해체가 용이하고, 결합용 덧댐판(7) 상면에 위치되는 슬래브 거푸집(2)의 손상이 전혀 없다.
도 17은 측면판이 구비된 가설빔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용 덧댐판(7)의 양측단에는 하부로 일정 길이 수직 절곡 형성되는 측면판(7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판(71)은 결합용 덧댐판(7)의 위치를 고정하여 결합용 덧댐판(7)이 가설빔(6)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측면판(71)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슬래브 거푸집(2)과 결합용 덧댐판(7) 사이로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설빔(6)의 해체시 측면판(71)을 용이하게 탈락시키기 위하여 측면판(71)은 가설빔(6)의 상부플랜지 하부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8은 도 17에서 가설빔과 결합용 덧댐판의 분리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판(71)은 가설빔(6)의 상부플랜지와 태그 용접할 수 있다.
상기 측면판(71)은 작업 안전을 위해 가설빔(6)의 상부플랜지와 일정 간격으로 태그 용접하여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가설빔(6)의 상부플랜지 측면과 측면판(71)의 내측면을 상호 태그 용접할 수 있다.
따라서 가설빔(6)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측면판(71)을 타격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용접된 부분을 분리하여 가설빔(6)을 해체할 수 있다.
도 19는 양중용 러그가 결합된 가설빔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에서 슬래브 거푸집과 가설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설빔(6)의 상면에는 결합용 덧댐판(7)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양중용 러그(61)가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어, 상기 가설빔(6)의 해체시 지하층 슬래브(1a, 1b) 상부에서 가설빔 철거장비의 양중로프(W)를 상기 양중용 러그(61)에 결합하여 가설빔(6)을 지하층 슬래브(1a, 1b) 하부로 하강시킬 수 있다.
즉, 지하층 슬래브(1a, 1b) 상부층에서 양중용 러그(61)에 가설빔 철거장비의 양중로프(W)를 연결한 후, 결합용 덧댐판(7)과 분리된 가설빔(6)을 하부층 슬래브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가설빔(6)은 다른 하부층 등에서 다시 사용하거나 외부로 반출하여 재활용하는 등 여러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2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용 덧댐판(7)에는 양중용 러그(61)가 관통되는 관통공(72)을 미리 형성할 수 있다.
도 21은 보호캡이 구비된 가설빔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2는 보호캡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3은 보호캡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중용 러그(61)의 상부에는 보호캡(6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호캡(62)은 (c) 단계에서 지하층 슬래브(1a, 1b)의 콘크리트 타설 후 제거 가능하다.
상기 가설빔(6)의 상면에서 결합용 덧댐판(7)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양중용 러그(61)는 슬래브 콘크리트 내에 묻히게 되는데, 양중용 러그(61)에 양중로프(W)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양중용 러그(61) 부분의 콘크리트를 할석하여 양중용 러그(61)를 노출시켜야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양중용 러그(61) 상부에 보호캡(62)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호캡(62)은 슬래브 콘크리트 경화 후 제거하며, 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양중용 러그(61)에 가설빔 철거장비의 양중로프(W)를 쉽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보호캡(62)은 고무, 스티로폼,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로 형성 가능하다.
도 22와 같이 상기 보호캡(62)은 내부가 빈 원기둥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각기둥이나 원뿔대, 각뿔대 등 양중용 러그(61)를 감쌀 수 있는 것이면 다른 형상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보호캡(62) 하부에는 양중용 러그(61)가 삽입되는 삽입홈(621)을 형성한다.
상기 보호캡(62) 제거 후 빈 공간은 가설빔(6)의 해체가 완료된 후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단면을 복구한다.
도 23과 같이, 상기 보호캡(62)은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구성하여, 상부에서 보호캡(62)을 쉽게 제거하는 한편 보호캡(62) 제거시 보호캡(62)의 훼손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호캡(62) 상부에는 보호캡(62)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당김 손잡이(62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4는 가설빔을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의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의 (a) 내지 (f)를 참조하여 가설빔을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a) 가설빔(6)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가설빔(6) 상부에 결합용 덧댐판(7)을 설치한다(도 24의 (a)).
이때, 상기 가설빔(6) 상면에는 결합용 덧댐판(7)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도록 양중용 러그(61)가 결합되고, 양중용 러그(61)의 상부에는 보호캡(62)이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b) 상기 결합용 덧댐판(7) 상부에 슬래브 거푸집(2)을 설치한다(도 24의 (b)).
상기 (b) 단계에서 슬래브 거푸집(2)은 결합용 덧댐판(7)에 용접 결합하여 고정한다.
상기 슬래브 거푸집(2)은 하부플레이트(21), 트러스거더(22) 및 수직봉(23)으로 구성되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수직봉(23) 하단 또는 하부플레이트(21)를 결합용 덧댐판(7)에 용접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후, (c) 상기 슬래브 거푸집(2) 상부에 상부근을 배근하고 슬래브 콘크리트(C)를 타설하며(도 24의 (c)), (d) 보호캡(62)을 제거하여 양중용 러그(61)를 노출시킨다(도 24의 (d)).
상기 보호캡(62) 제거시 양중용 러그(61)가 결합용 덧댐판(7) 상부로 노출된다.
상기 (d) 단계 이후에는 가설빔(6)과 결합용 덧댐판(7)의 결합 부분을 해체한다.
그리고 (e) 상기 양중용 러그(61)에 가설빔 철거장비의 양중로프(W)를 연결한다(도 24의 (e)).
상기 가설빔 철거장비는 콘크리트를 타설한 슬래브 상부층에 설치 가능하며, 전동 또는 수동 윈치, 타워크레인, 모바일 크레인 등 다양한 장비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f) 상기 양중로프(W)를 하강시켜 가설빔(6)을 해체한다(도 24의 (f)).
분리된 가설빔(6)은 다른 하부층 등에서 다시 사용하거나 외부로 반출하여 재활용하는 등 여러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f) 단계 이후에는 보호캡(62)의 빈자리에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채워 단면을 복구한다.
1': 기준층 슬래브 1": 지하 1층 슬래브
1a, 1b: 지하층 슬래브 2: 슬래브 거푸집
3: 코어 벽체 3': 지하 1층 코어 벽체
31: 타설구 32: 타설구 형성부재
4: 필러부재 41: 지지플레이트
42: 연결부재 43: 정착부재
44: 이음철근 45: 타설막이
46: 보조플레이트 47: 지지부재
48: 지지용 콘크리트 5: 지지빔
6: 가설빔 61: 양중용 러그
62: 보호캡 621: 삽입홈
622: 당김 손잡이 7: 결합용 덧댐판
71: 측면판 72: 관통공
C: 콘크리트 ST: 가설 스트럿
W: 양중로프

Claims (15)

  1. 기준층 슬래브(1')를 기준으로 지하층과 지상층의 시공이 병행되는 역타 공법에서 지하층 코어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a) 일정 깊이 터파기 후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1a, 1b) 형성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2)을 설치하는 단계;
    (b) 코어 벽체(3) 위치의 슬래브 거푸집(2) 상면에 코어 내부 지하층 슬래브(1b)와 외부 지하층 슬래브(1a)의 경계부를 이격시키고, 토압을 전달하기 위해 코어 벽체(3)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필러부재(4)를 설치하는 한편,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1a, 1b) 형성을 위하여 슬래브 거푸집(2) 상부에 슬래브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c)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층 슬래브(1a, 1b)를 시공하는 단계;
    (d) 상기 (a) 내지 (c) 단계를 반복하여 지하층 슬래브(1a, 1b)를 하향으로 최하층까지 순차적으로 역타 시공하는 단계; 및
    (e) 지하층 코어 벽체(3)의 철근 및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코어 벽체(3)를 순타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2. 제1항에서,
    상기 필러부재(4)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1);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1) 사이에 결합되어 횡하중을 전달하는 복수의 연결부재(42);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41)의 후면에 결합되어 후방의 슬래브 콘크리트 내에 정착되는 정착부재(4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3. 제2항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41)는 상단의 높이가 슬래브 상면 높이보다 일정 길이 낮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41)의 상부에는 이음철근(44)이 필러부재(4)의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4. 제3항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41)의 상부에는 타설막이(45)가 구비되고, 상기 이음철근(44)은 타설막이(45)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5. 제2항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1) 사이에는 보조플레이트(46)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42)는 보조플레이트(46)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6. 제2항에서,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42) 상부에는 필러부재(4)의 길이 방향으로 지지부재(47)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7. 제2항에서,
    상기 (c)단계에서, 지지플레이트(41) 사이의 일부 구간에 일정 폭으로 지지용 콘크리트(48)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8. 제1항에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기준층 슬래브(1') 바로 하부의 지하 1층 슬래브(1")와 지하 1층 코어 벽체(3')가 선시공되되, 상기 지하 1층 코어 벽체(3')는 지하 1층 슬래브(1")의 상면 레벨까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9. 제8항에서,
    상기 지하 1층 슬래브(1")의 콘크리트 타설 전에 슬래브 거푸집(2) 상부에는 후타설되는 하부 코어 벽체(3)의 콘크리트 타설용 타설구(31)를 형성하기 위한 타설구 형성부재(32)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10. 제8항에서,
    상기 지하 1층 슬래브(1")의 하부에는 상부 코어 벽체(3)의 시공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빔(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11. 제10항에서,
    상기 지지빔(5)은 코어 벽체(3) 내에 매립 가능하도록 코어 벽체(3)의 폭보다 폭이 좁은 래티스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12. 제1항에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슬래브 거푸집(2)의 하부에는 슬래브 거푸집(2)을 지지하기 위한 가설빔(6)이 설치되되, 상기 슬래브 거푸집(2)과 가설빔(6) 사이에는 가설빔(6)의 상부플랜지 상면을 덮는 것으로 상기 슬래브 거푸집(2)이 용접 결합되는 결합용 덧댐판(7)이 구비되고, 상기 가설빔(6)은 (c) 단계 또는 (d) 단계 이후에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13. 제12항에서,
    상기 결합용 덧댐판(7)의 양측단에는 하부로 일정 길이 수직 절곡 형성되는 측면판(7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14. 제13항에서,
    상기 가설빔(6)의 상면에는 결합용 덧댐판(7)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양중용 러그(61)가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어, 상기 가설빔(6)의 해체시 지하층 슬래브(1a, 1b) 상부에서 가설빔 철거장비의 양중로프를 상기 양중용 러그(61)에 결합하여 가설빔(6)을 지하층 슬래브(1a, 1b) 하부로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15. 제14항에서,
    상기 양중용 러그(61)의 상부에는 보호캡(62)이 결합되되, 상기 보호캡(62)은 (c) 단계에서 지하층 슬래브(1a, 1b)의 콘크리트 타설 후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KR1020160071951A 2016-06-09 2016-06-09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Active KR101884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951A KR101884453B1 (ko) 2016-06-09 2016-06-09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951A KR101884453B1 (ko) 2016-06-09 2016-06-09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741A KR20170139741A (ko) 2017-12-20
KR101884453B1 true KR101884453B1 (ko) 2018-08-02

Family

ID=60931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951A Active KR101884453B1 (ko) 2016-06-09 2016-06-09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4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321B1 (ko) * 2021-09-17 2023-05-26 (주)하나 지하 구조물의 탑다운 시공용 들름 거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565B1 (ko) 2012-02-13 2013-05-24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지하 역타 시공시 코어부 구조물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3260A (ko) * 2007-05-23 2008-11-27 주식회사 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분리타설을 위한 철근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역타 지지구조
KR101242017B1 (ko) * 2011-03-18 2013-03-18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코어내부 격자형 인방보와 우선시공되는 지상층 코어부를 이용한 지상 및 지하구조물 병행 구축공법
KR20140110526A (ko) * 2013-03-08 2014-09-17 황기수 지하구조물 외벽의 매입슬래브에 사용되는 고정커플러와 이를 이용한 매입슬래브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565B1 (ko) 2012-02-13 2013-05-24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지하 역타 시공시 코어부 구조물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741A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680B1 (ko) 구조적 강성이 보강된 조립식 pc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740919B1 (ko) 돌출된 연결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와 그 제조방법
KR101388521B1 (ko) 지지말뚝이 설치된 교량의 교각기초 하부에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방법
KR101780370B1 (ko) 소켓슈와 앵커부재로 이루어진 전단연결재를 이용한 합성구조체
KR102210345B1 (ko) 주열식벽체를 이용하여 탑다운 방식으로 제작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6855296B2 (ja) 建物基礎部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30105147A (ko) 강합성 지하차도 시공 공법
KR101600845B1 (ko) 건축용 수평구조프레임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건축물의 시공방법
CN110499779B (zh) 一种与地铁车站共用侧墙的风道结构施工方法
JP4881555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KR20190022132A (ko) 각형강관과 합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활용한 pc 탑다운공법
KR101169462B1 (ko) 포스트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역타설 시공방법
KR101415694B1 (ko) 부력방지 앵커가 설치된 기존 구조물의 하부에 신규 지하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CN103590841A (zh) 一种暗挖地下洞室初期支护的支撑方法
JP7225356B2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用プレスバーおよびストラット
KR101296857B1 (ko) 토압 지지력이 강화된 바닥보를 구비하는 지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5764245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地下構造物
KR101884453B1 (ko)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KR100640244B1 (ko) 테두리보가 생략된 이렉션 파일을 이용한 지하층의슬래브-외벽 동시 타설 구축방법
JP2004027609A (ja) 地中構造物の施工方法および地中構造物
KR101534641B1 (ko) 건축물 지하 시공 방법
JP2021134522A (ja) 地下構造体施工方法
KR101288602B1 (ko) 결속밴드로 머리가 연결된 기성 콘크리트 말뚝을 이용한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545713B1 (ko) 합성형 강가시설 차수벽체 및 그 시공 방법
JP2014095282A (ja) 大スパンコンクリート床版型枠および該床版型枠を用いた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