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453B1 -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Google Patents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4453B1 KR101884453B1 KR1020160071951A KR20160071951A KR101884453B1 KR 101884453 B1 KR101884453 B1 KR 101884453B1 KR 1020160071951 A KR1020160071951 A KR 1020160071951A KR 20160071951 A KR20160071951 A KR 20160071951A KR 101884453 B1 KR101884453 B1 KR 1018844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ab
- core
- basement
- concrete
- core wa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306 turnover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8—Dowels, i.e. members adapted to penetrate the surfaces of two parts and to take the shear stresses
- E04B1/483—Shear dowels to be embedded in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준층 슬래브를 기준으로 지하층과 지상층의 시공이 병행되는 역타 공법에서 지하층 코어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a) 일정 깊이 터파기 후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 형성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b) 코어 벽체 위치의 슬래브 거푸집 상면에 코어 내부 지하층 슬래브와 외부 지하층 슬래브의 경계부를 이격시키고, 토압을 전달하기 위해 코어 벽체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필러부재를 설치하는 한편,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 형성을 위하여 슬래브 거푸집 상부에 슬래브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c)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층 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 (d) 상기 (a) 내지 (c) 단계를 반복하여 지하층 슬래브를 하향으로 최하층까지 순차적으로 역타 시공하는 단계; 및 (e) 지하층 코어 벽체의 철근 및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코어 벽체를 순타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의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역타 공법의 공정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필러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필러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이음철근이 구비된 필러부재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7은 타설막이가 구비된 필러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보조플레이트가 구비된 필러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필러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지지용 콘크리트가 타설된 지하층 코어 벽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종래 역타 공법에서 지하 1층 슬래브와 지하 1층 코어 벽체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12는 타설구 형성부재가 구비된 지하 1층 슬래브와 코어 벽체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13은 타설구가 형성된 지하 1층 슬래브와 코어 벽체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지지빔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하는 가설빔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6은 도 15에서 슬래브 거푸집과 가설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측면판이 구비된 가설빔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서 가설빔과 결합용 덧댐판의 분리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9는 양중용 러그가 결합된 가설빔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0은 도 19에서 슬래브 거푸집과 가설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보호캡이 구비된 가설빔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2는 보호캡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3은 보호캡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4는 가설빔을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의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1a, 1b: 지하층 슬래브 2: 슬래브 거푸집
3: 코어 벽체 3': 지하 1층 코어 벽체
31: 타설구 32: 타설구 형성부재
4: 필러부재 41: 지지플레이트
42: 연결부재 43: 정착부재
44: 이음철근 45: 타설막이
46: 보조플레이트 47: 지지부재
48: 지지용 콘크리트 5: 지지빔
6: 가설빔 61: 양중용 러그
62: 보호캡 621: 삽입홈
622: 당김 손잡이 7: 결합용 덧댐판
71: 측면판 72: 관통공
C: 콘크리트 ST: 가설 스트럿
W: 양중로프
Claims (15)
- 기준층 슬래브(1')를 기준으로 지하층과 지상층의 시공이 병행되는 역타 공법에서 지하층 코어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a) 일정 깊이 터파기 후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1a, 1b) 형성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2)을 설치하는 단계;
(b) 코어 벽체(3) 위치의 슬래브 거푸집(2) 상면에 코어 내부 지하층 슬래브(1b)와 외부 지하층 슬래브(1a)의 경계부를 이격시키고, 토압을 전달하기 위해 코어 벽체(3)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필러부재(4)를 설치하는 한편,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1a, 1b) 형성을 위하여 슬래브 거푸집(2) 상부에 슬래브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c) 코어 내부 및 외부의 지하층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층 슬래브(1a, 1b)를 시공하는 단계;
(d) 상기 (a) 내지 (c) 단계를 반복하여 지하층 슬래브(1a, 1b)를 하향으로 최하층까지 순차적으로 역타 시공하는 단계; 및
(e) 지하층 코어 벽체(3)의 철근 및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코어 벽체(3)를 순타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제1항에서,
상기 필러부재(4)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1);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1) 사이에 결합되어 횡하중을 전달하는 복수의 연결부재(42);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41)의 후면에 결합되어 후방의 슬래브 콘크리트 내에 정착되는 정착부재(4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제2항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41)는 상단의 높이가 슬래브 상면 높이보다 일정 길이 낮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41)의 상부에는 이음철근(44)이 필러부재(4)의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제3항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41)의 상부에는 타설막이(45)가 구비되고, 상기 이음철근(44)은 타설막이(45)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제2항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1) 사이에는 보조플레이트(46)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42)는 보조플레이트(46)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제2항에서,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42) 상부에는 필러부재(4)의 길이 방향으로 지지부재(47)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제2항에서,
상기 (c)단계에서, 지지플레이트(41) 사이의 일부 구간에 일정 폭으로 지지용 콘크리트(48)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제1항에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기준층 슬래브(1') 바로 하부의 지하 1층 슬래브(1")와 지하 1층 코어 벽체(3')가 선시공되되, 상기 지하 1층 코어 벽체(3')는 지하 1층 슬래브(1")의 상면 레벨까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제8항에서,
상기 지하 1층 슬래브(1")의 콘크리트 타설 전에 슬래브 거푸집(2) 상부에는 후타설되는 하부 코어 벽체(3)의 콘크리트 타설용 타설구(31)를 형성하기 위한 타설구 형성부재(32)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제8항에서,
상기 지하 1층 슬래브(1")의 하부에는 상부 코어 벽체(3)의 시공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빔(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제10항에서,
상기 지지빔(5)은 코어 벽체(3) 내에 매립 가능하도록 코어 벽체(3)의 폭보다 폭이 좁은 래티스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제1항에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슬래브 거푸집(2)의 하부에는 슬래브 거푸집(2)을 지지하기 위한 가설빔(6)이 설치되되, 상기 슬래브 거푸집(2)과 가설빔(6) 사이에는 가설빔(6)의 상부플랜지 상면을 덮는 것으로 상기 슬래브 거푸집(2)이 용접 결합되는 결합용 덧댐판(7)이 구비되고, 상기 가설빔(6)은 (c) 단계 또는 (d) 단계 이후에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제12항에서,
상기 결합용 덧댐판(7)의 양측단에는 하부로 일정 길이 수직 절곡 형성되는 측면판(7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제13항에서,
상기 가설빔(6)의 상면에는 결합용 덧댐판(7)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양중용 러그(61)가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어, 상기 가설빔(6)의 해체시 지하층 슬래브(1a, 1b) 상부에서 가설빔 철거장비의 양중로프를 상기 양중용 러그(61)에 결합하여 가설빔(6)을 지하층 슬래브(1a, 1b) 하부로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제14항에서,
상기 양중용 러그(61)의 상부에는 보호캡(62)이 결합되되, 상기 보호캡(62)은 (c) 단계에서 지하층 슬래브(1a, 1b)의 콘크리트 타설 후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1951A KR101884453B1 (ko) | 2016-06-09 | 2016-06-09 |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1951A KR101884453B1 (ko) | 2016-06-09 | 2016-06-09 |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9741A KR20170139741A (ko) | 2017-12-20 |
KR101884453B1 true KR101884453B1 (ko) | 2018-08-02 |
Family
ID=60931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1951A Active KR101884453B1 (ko) | 2016-06-09 | 2016-06-09 |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445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5321B1 (ko) * | 2021-09-17 | 2023-05-26 | (주)하나 | 지하 구조물의 탑다운 시공용 들름 거더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7565B1 (ko) | 2012-02-13 | 2013-05-24 |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 지하 역타 시공시 코어부 구조물 시공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103260A (ko) * | 2007-05-23 | 2008-11-27 | 주식회사 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 분리타설을 위한 철근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역타 지지구조 |
KR101242017B1 (ko) * | 2011-03-18 | 2013-03-18 |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 코어내부 격자형 인방보와 우선시공되는 지상층 코어부를 이용한 지상 및 지하구조물 병행 구축공법 |
KR20140110526A (ko) * | 2013-03-08 | 2014-09-17 | 황기수 | 지하구조물 외벽의 매입슬래브에 사용되는 고정커플러와 이를 이용한 매입슬래브 시공방법 |
-
2016
- 2016-06-09 KR KR1020160071951A patent/KR10188445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7565B1 (ko) | 2012-02-13 | 2013-05-24 |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 지하 역타 시공시 코어부 구조물 시공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9741A (ko) | 2017-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7680B1 (ko) | 구조적 강성이 보강된 조립식 pc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740919B1 (ko) | 돌출된 연결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와 그 제조방법 | |
KR101388521B1 (ko) | 지지말뚝이 설치된 교량의 교각기초 하부에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방법 | |
KR101780370B1 (ko) | 소켓슈와 앵커부재로 이루어진 전단연결재를 이용한 합성구조체 | |
KR102210345B1 (ko) | 주열식벽체를 이용하여 탑다운 방식으로 제작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JP6855296B2 (ja) | 建物基礎部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KR20130105147A (ko) | 강합성 지하차도 시공 공법 | |
KR101600845B1 (ko) | 건축용 수평구조프레임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건축물의 시공방법 | |
CN110499779B (zh) | 一种与地铁车站共用侧墙的风道结构施工方法 | |
JP4881555B2 (ja) |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 |
KR20190022132A (ko) | 각형강관과 합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활용한 pc 탑다운공법 | |
KR101169462B1 (ko) | 포스트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역타설 시공방법 | |
KR101415694B1 (ko) | 부력방지 앵커가 설치된 기존 구조물의 하부에 신규 지하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 |
CN103590841A (zh) | 一种暗挖地下洞室初期支护的支撑方法 | |
JP7225356B2 (ja) |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用プレスバーおよびストラット | |
KR101296857B1 (ko) | 토압 지지력이 강화된 바닥보를 구비하는 지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JP5764245B2 (ja) |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地下構造物 | |
KR101884453B1 (ko) |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
KR100640244B1 (ko) | 테두리보가 생략된 이렉션 파일을 이용한 지하층의슬래브-외벽 동시 타설 구축방법 | |
JP2004027609A (ja) | 地中構造物の施工方法および地中構造物 | |
KR101534641B1 (ko) | 건축물 지하 시공 방법 | |
JP2021134522A (ja) | 地下構造体施工方法 | |
KR101288602B1 (ko) | 결속밴드로 머리가 연결된 기성 콘크리트 말뚝을 이용한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1545713B1 (ko) | 합성형 강가시설 차수벽체 및 그 시공 방법 | |
JP2014095282A (ja) | 大スパンコンクリート床版型枠および該床版型枠を用いた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