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83887B1 -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887B1
KR101883887B1 KR1020160050008A KR20160050008A KR101883887B1 KR 101883887 B1 KR101883887 B1 KR 101883887B1 KR 1020160050008 A KR1020160050008 A KR 1020160050008A KR 20160050008 A KR20160050008 A KR 20160050008A KR 101883887 B1 KR101883887 B1 KR 101883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inclined surface
fixing member
cradle
slid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508A (ko
Inventor
김오영
Original Assignee
(유)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석진 filed Critical (유)석진
Priority to KR1020160050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88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8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되는 바닥면의 기울기와 상관없이 거푸집을 수평상태로 조절해 줄 수 있는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는 시공 바닥면에 지지되는 수직부(110)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연장되어 거푸집 패널(1)의 하부를 지지하는 수평부(120)와, 상기 수평부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부(140)를 구비한 거치대(100); 시공 바닥면에 고정되며 일측에 경사면(210)이 형성된 바닥고정부재(300); 상기 경사면(210)과 마주하는 경사면(310)을 가지며 상기 레일부(140)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된 슬라이딩부재(200);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바닥고정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도록 슬라이딩부재를 바닥고정부재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Horizontal adjusting apparatus of form for concrete}
본 발명은 콘크리트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되는 바닥면의 기울기와 상관없이 거푸집을 수평상태로 조절해 줄 수 있는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철근골조의 외측에 다수의 거푸집 패널을 마주보게 설치하고 상기 마주본 상태의 거푸집 패널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게 되며, 상기 거푸집 패널들은 별도의 연결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용 거푸집은 수평조절기능이 없어서 수평상태가 아닌 경사진 바닥면에 설치될 경우에 완성된 콘크리트용 거푸집은 바닥면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용 거푸집이 수평도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거푸집 자체의 강도가 취약해짐은 물론,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직 및 수평도가 떨어져 정밀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수 없게 된다.
아울러, 콘크리트 구조물 자체의 안정화에 커다란 지장을 초래하게 되고,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주변공사도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 제1001650호를 제안된 콘크리트용 거푸집이 알려져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용 거푸집은 시공 바닥면에 마주보도록 나란하게 거푸집 패널(1)의 하부를 지지하는 레일형상의 거치대(10)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10)는 하부에 거치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부(12)에 끼워진 상태로 시공 바닥면에 고정되며 자체적으로 신장되면서 거치대(10)를 부분적으로 승강시키는 높낮이조절부재(30)와, 상기 높낮이조절부재(30)를 통해 거치대(10)가 시공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경우에 상기 이격공간을 커버해 주는 보조패널(40)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높낮이조절부재(30)는 시공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바닥에 고정되는 바닥고정부(31)와, 상기 바닥고정부(31)에 수직으로 돌출된 수직나사부(32)와, 상기 수직나사부(32)에 체결되어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승강량이 조절되는 승강부재(33)와, 상기 승강부재(33)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거치대(10)의 레일부(12)에 끼워져 승강부재(33)와 함께 동반승강하는 끼움부재(34)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의 경사진 지면상에 설치되어 거치대(10)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작업자는 거치대(10)가 수평이 될 때까지 낮은 쪽에 있는 승강부재(33)를 일방향(승강부재(33)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부재(33)가 수직나사부(32)를 따라 승강하게 되는데, 승강부재(33)와 연결된 끼움부재(34)가 승강부재(33)와 함께 상승하면서 거치대(10)를 부분적으로 밀어 올리는 것이다. 그 결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의 수평상태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거푸집을 해체시킬 때에는 높낮이조절부재(30)의 바닥고정부(31)에 고정된 못과 같은 고정부재를 제거한 다음 승강부재(33)를 타측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승강부재(33)가 수직나사부(32)로 체결이 진행되면서 바닥고정부(31)가 시공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높낮이조절부재(30)를 거치대(10)의 레일부(12)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높낮이조절부재(30)가 레일부(12)로부터 분리되면, 작업자는 거치대(10)를 바깥쪽으로 잡아당겨 거치대(1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용 거푸집은 작업자가 승강부재(33)를 일일이 손으로 잡고 회전시켜 주어야 하므로 작업속도가 매우 느릴 뿐만 아니라, 승강부재(33)에 매우 큰 수직 하중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임을 감안할 때 작업자가 매우 큰 회전력을 승강부재(33)에 가해야 하므로 작업성 또한 매우 불량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거치대(10)의 수직부(11)에는 높낮이조절부재(30)를 통해 거치대(10)가 시공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경우에 보조패널(40)이 상기 이격공간을 커버해 줄 수 있도록, 상기 보조패널(40)의 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롯홀(41)이 가공되고 상기 거치대(10)의 수직부(11)에는 상기 슬롯홀(41)을 통해 보조패널(40)을 연결하는 연결핀(50)이 고정되어야 하므로 거치대(10) 하부의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성도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높낮이 조절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 바닥면에 나란하게 마주보도록 거푸집 패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레일형상의 거치대의 하부구조가 단순하고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는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는 시공 바닥면에 지지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연장되어 거푸집 패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부를 구비한 거치대; 시공 바닥면에 고정부재에 의해서 위치고정되도록 고정공을 관통형성한 돌출편을 갖추고,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바닥고정부재; 상기 경사면과 마주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사이를 연결하는 네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부의 일부구간이 절취된 절취부를 통하여 상기 상부몸체가 레일부에 끼워지는 슬라이딩부재 ;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바닥고정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도록 슬라이딩부재를 시공바닥면에 위치고정된 바닥고정부재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바닥고정부재와 슬라이딩부재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관통볼트와, 상기 관통볼트에 체결되는 조임너트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고정부재와 슬라이딩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볼트가 유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상하부가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지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고정부재의 경사면과 슬라이딩부재의 경사면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며, 상기 거치대의 수직부 전면에는 거치대가 시공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경우에 시공면 바닥에 밀착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거치대 하단과 시공 바닥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커버해 주는 보조패널이 위치되며,상기 거치대의 수직부 전면에는 상기 시공바닥면에 하부단이 접하는 보조패널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가이드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시공 바닥면에 바닥고정부재가 고정되고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부재가 슬라이딩부재를 바닥고정부재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슬라이딩부재가 바닥고정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일일이 승강부재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켜 주지 않아도 되므로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거푸집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거치대의 수직부 전면에 보조패널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가이드편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보조패널의 전면에 슬롯홀을 가공하고 연결핀을 고정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거치대 하부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제작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용 거푸집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a 및 3b는 종래의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이 조절되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슬라이딩부재와 바닥고정부재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단면도.
도 7a 및 7b는 각각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를 통해 거푸집의 수평이 조절되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는 시공 바닥면에 마주보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어 거푸집 패널(1)의 하부를 지지하는 레일형상의 거치대(100)를 구비한다.
상기 거치대(100)는 수직부(110)와, 수직부(110)의 상단으로부터 거푸집 패널(1)의 바깥쪽을 향해 수평연장된 수평부(120)로 이루어진 기역자 형상의 채널로서, 상기 수평부(120)의 상단 양측에 거치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형성된 벽면(130)을 가진다. 상기 거푸집 패널(1)들은 상기 벽면(130)에 지지되어 수직으로 세워진다.
상기 수평부(120)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부(140)는 거치대(100)의 수평부(120)의 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된 후 수직부(110)측으로 수평절곡된 일측(141)과, 상기 일측(141)과 동일 높이의 수직부(110)로부터 수평부(120)의 단부를 향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타측(1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레일부(140)에는 슬라이딩부재(200)가 레일부(14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레일부(140)의 일측은 상기 레일부(140)로 끼워지는 슬라이딩부재(200)의 끼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부구간이 절취된 절취부(143)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부재(200)는 상기 거치대(100)의 레일부(140)와 결합되는 상부몸체(200a)와 후술하는 바닥고정부재(300)와 결합되는 하부몸체(200b)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네크부(200c)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몸체(200a)는 상기 절취부를 통하여 레일부에 삽입배치되어 상기 레일부와 끼움결합되고, 상기 상,하부몸체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크기를 갖는 네크부(200c)는 상기 레일부(140)의 일측(141)과 타측(142)사이에 형성되는 절개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부재(200)의 전방 하부의 시공 바닥면에는 바닥고정부재(300)가 고정되고, 상기 바닥고정부재(300)에는 고정부재(319a)에 의해서 시공바닥면에 위치고정되도록 하부단 일측에 고정공을 관통형성한 돌출편(3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고정부재(300)와 슬라이딩부재(200)는 서로 대면하는 경사면(210,310)을 구비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재(200)가 바닥고정부재(300)측으로 가압되면 슬라이딩부재(200)의 경사면(210)과 바닥고정부재(300)의 경사면(310)이 밀착되면서 슬라이딩부재(200)가 바닥고정부재(300)의 경사면(310)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한편, 슬라이딩부재(200)가 바닥고정부재(300)의 경사면(310)을 타고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바닥고정부재(300)의 경사면(310)과 슬라이딩부재(200)의 경사면(210)은 암수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고정부재(300)의 경사면(310) 양측을 따라 가이드 홈부(320)가 형성되고 슬라이딩부재(200)의 경사면(210) 양측을 따라 상기 가이드 홈부(320)에 맞물리는 가이드 돌부(220)가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상기 가이드 홈부(320)와 가이드 돌부(220)의 형성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부재(200)를 바닥고정부재(300)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400)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부재(400)는 바닥고정부재(300)와 슬라이딩부재(200)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관통볼트(410)와, 상기 관통볼트(410)에 체결되는 조임너트(4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닥고정부재(300)와 슬라이딩부재(200)의 내부에는 각각 관통볼트(410)가 유동할 수 있도록 공간부(230,330)가 형성되어야 하는데, 상기 공간부(230,330)는 경사면(210,310)을 향해 점진적으로 상하부가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조임너트(420)의 조임이 진행됨에 따라서 슬라이딩부재(200)가 시공바닥면에 고정된 바닥고정부재(300)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슬라이딩부재(200)가 상부의 거푸집 패널(1)을 밀어 올리면서 거푸집의 수평상태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간부(230,330)가 경사면(210,310)을 향해 점진적으로 상하부가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경사면(210,310)의 반대측에 위치하여 관통볼트(410)가 배치되는 관통부(240,340)의 상하방향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관통볼트(410)가 관통배치되는 관통부(240,340)에 상하방향으로 큰 유격이 존재할 경우 조임너트(420)의 체결이 완료된 이후에 자칫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슬라이딩부재(200) 또는 관통볼트(410)가 상하로 유동되면서 셋팅된 거푸집의 높낮이가 변경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거치대(100)의 수직부(110) 전면에는 거치대(100)가 시공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경우에 거치대(100) 하단과 시공 바닥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커버해 주는 보조패널(40)이 위치된다. 상기 보조패널(40)은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막아준다.
이 경우 상기 거치대(100)의 수직부(110) 전면에는 상기 보조패널(40)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가이드편(15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편(150)은 수직부(110) 전면에 돌출된 하향플랜지가 적당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패널(40)은 상기 거치대(100)를 따라 승강하지 않고 항상 시공면 바닥에 밀착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를 통해 거푸집의 수평상태가 조절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이 경사진 지면상에 설치되어 거치대(1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작업자는 낮은 쪽에 위치된 슬라이딩부재(200)를 전방에 고정된 바닥고정부재(300)에 밀착이동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관통볼트(410)에 조임너트(420)를 체결한 다음 거치대(100)가 수평이 될 때까지 조임너트(420)를 조여준다.
이렇게 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평상태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조임수단(140)은 관통볼트(141)와 조임너트(142)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거푸집의 수평상태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거치대(100)가 상승되면, 거치대(100)와 시공 바닥면 사이는 이격되나, 거치대(100)의 상승과는 별개로 보조패널(40)은 항상 시공 바닥면에 하부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거푸집 시공 이후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거치대(100)의 하부와 시공 바닥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거푸집 패널 40...보조패널
100...거치대 110...수직부
120...수평부 140...레일부
150...가이드편 200...슬라이딩부재
210,310...경사면 230,230...공간부
300...바닥고정부재 400...가압부재
410...관통볼트 420...조임너트

Claims (6)

  1. 시공 바닥면에 지지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연장되어 거푸집 패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부를 구비한 거치대;
    시공 바닥면에 고정부재에 의해서 위치고정되도록 고정공을 관통형성한 돌출편을 갖추고,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바닥고정부재;
    상기 경사면과 마주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사이를 연결하는 네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부의 일부구간이 절취된 절취부를 통하여 상기 상부몸체가 레일부에 끼워지는 슬라이딩부재 ;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바닥고정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도록 슬라이딩부재를 시공바닥면에 위치고정된 바닥고정부재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바닥고정부재와 슬라이딩부재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관통볼트와,
    상기 관통볼트에 체결되는 조임너트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고정부재와 슬라이딩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볼트가 유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상하부가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지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고정부재의 경사면과 슬라이딩부재의 경사면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며,
    상기 거치대의 수직부 전면에는 거치대가 시공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경우에 시공면 바닥에 밀착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거치대 하단과 시공 바닥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커버해 주는 보조패널이 위치되며,
    상기 거치대의 수직부 전면에는 상기 시공바닥면에 하부단이 접하는 보조패널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가이드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50008A 2016-04-25 2016-04-25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 Active KR101883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008A KR101883887B1 (ko) 2016-04-25 2016-04-25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008A KR101883887B1 (ko) 2016-04-25 2016-04-25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508A KR20170121508A (ko) 2017-11-02
KR101883887B1 true KR101883887B1 (ko) 2018-08-01

Family

ID=60383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008A Active KR101883887B1 (ko) 2016-04-25 2016-04-25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449A (ko) * 2020-08-10 2022-02-17 류기연 갱폼의 레벨조정이 가능한 갱폼 거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6646A (zh) * 2018-03-21 2018-07-24 昌宜(天津)模板租赁有限公司 一种新型可调节背楞支架
CN119897932A (zh) * 2025-04-01 2025-04-29 安徽建工水利开发投资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中小型涵闸用混凝土预制件浇筑模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607Y1 (ko) * 2005-06-15 2005-09-02 노봉석 거푸집 수평 조절장치
KR200399025Y1 (ko) * 2005-08-09 2005-10-18 정희성 무대용 테이블의 수평 조절구
KR101001650B1 (ko) * 2008-05-14 2011-01-04 주식회사 한반도 콘크리트용 거푸집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2929A (ja) * 1996-05-13 1997-11-25 Kumagai Gumi Co Ltd コンクリート型枠の高さ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607Y1 (ko) * 2005-06-15 2005-09-02 노봉석 거푸집 수평 조절장치
KR200399025Y1 (ko) * 2005-08-09 2005-10-18 정희성 무대용 테이블의 수평 조절구
KR101001650B1 (ko) * 2008-05-14 2011-01-04 주식회사 한반도 콘크리트용 거푸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449A (ko) * 2020-08-10 2022-02-17 류기연 갱폼의 레벨조정이 가능한 갱폼 거치장치
KR102486335B1 (ko) * 2020-08-10 2023-01-09 추광수 갱폼의 레벨조정이 가능한 갱폼 거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508A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887B1 (ko)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
US20100044548A1 (en) Prop head for ceiling formwork
KR101617441B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101142839B1 (ko)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KR102457474B1 (ko)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KR20160015772A (ko)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
KR102027572B1 (ko) 거푸집용 안전 난간대 체결장치
KR20180107404A (ko) 2중 프롭헤드가 구비된 서포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83355B1 (ko) 조립식 발판 난간대
KR101568411B1 (ko) 거푸집 고정장치
JP7021067B2 (ja) アンカーボルト支持装置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CN210315967U (zh) 预制件安装结构
KR101969434B1 (ko) 갱폼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83777Y1 (ko) 합벽지지대
KR20150000448U (ko) 용접 변형 방지 장치
KR101062157B1 (ko) 서포트 장치
KR101673907B1 (ko) 건축물 슬라브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US6619885B2 (en) Telescopic tunnel form
KR102792473B1 (ko) 거푸집 수평 조절장치
KR20170124311A (ko) 거푸집용 발판브라켓
KR20230064122A (ko) 난간용 판유리 고정 클램프
KR20190004153A (ko) 돌출발코니용 갱폼
KR100745024B1 (ko)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KR101567727B1 (ko) 수직벽체 거푸집 지지장치
KR20160047233A (ko) 레벨러를 구비한 일체형 파티션 및 레벨러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