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82978B1 - 양초 난로 - Google Patents

양초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978B1
KR101882978B1 KR1020160138324A KR20160138324A KR101882978B1 KR 101882978 B1 KR101882978 B1 KR 101882978B1 KR 1020160138324 A KR1020160138324 A KR 1020160138324A KR 20160138324 A KR20160138324 A KR 20160138324A KR 101882978 B1 KR101882978 B1 KR 101882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main body
heat
upper cover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4601A (ko
Inventor
안성우
Original Assignee
안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우 filed Critical 안성우
Priority to KR1020160138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978B1/ko
Publication of KR20180044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97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1Free-standing fireplaces, e.g. for mobile homes ; Fireplaces convertible into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3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56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solid heat storag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초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부분을 용이하게 조립 분해가 가능하여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내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양초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외력에 의해 양초가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 양초의 열기에 의해 난방을 할 수 있으며, 건조한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 적절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양초 난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되는 상부 커버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착탈되되 내부에 양초가 수용되는 하부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커버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통공과,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플랜지의 하부에 형성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초 난로{a candle heater}
본 발명은 양초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부분을 용이하게 조립 분해가 가능하여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내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양초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외력에 의해 양초가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 양초의 열기에 의해 난방을 할 수 있으며, 건조한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 적절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양초 난로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 단순히 불을 밝히는 의도로서만 양초가 사용되어 오던 것과는 달리 근래에는 향초를 사용하여 심리적 안정효과를 갖는 아로마틱 쎄라피(aromatic therapy)가 증가하고, 또한 시각적으로도 다양한 심미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향초용기가 개발되어 왔다.
또한, 향초의 보급 및 사용증가에 따라, 바람 등에도 꺼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향초의 보급에 따라 향초용기의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나, 향초용기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향초를 사용함으로 인해 주변의 냄새를 제거하면서, 은은한 향에 의한 심리적 안정효과와 시각적인 심미감을 갖도록 하고, 시각적 효과와 안정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향초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향초의 부주의한 사용으로 사소한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 실용신안 제20-2016-0003307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디퓨져 기능이 결합된 안전양초용기에 있어서, 공기 출입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잠금휠(11)과 공기를 차단할 수 있는 상단차단부(12)와 측면차단부(13)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차단부로 구성된 조절부(10)와; 초고정부(21)를 놓을 수 있는 구멍이 있는 양초받침랙(22)과 내부를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23)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반사판 설치부와 모형부(25) 및 개폐부(27)로 구성된 수용부(20)와; 촛농을 받거나 디퓨져 용기를 놓을 수 있는 용기부(31)로 구성된 받침부(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3307호에 기재된 기술은 향초 등을 사용하는 용기로서 화재에 대한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화재의 예방에만 국한되어 있을 뿐, 다른 기능이 없어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와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커버의 내측에 양초를 수납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 커버에는 양초의 열기에 의해 가열되는 축열부가 구비되어 양초의 열기를 장시간 고르게 공급할 수 있으며, 각 부분을 용이하게 조립 분리할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양초 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초가 수납되는 하부 커버의 내측에 격자 형태 또는 동심원 형태의 격판을 구비하여 다수의 양초를 각각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하여 외력에 의해 양초가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 양초가 꺼지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양초 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축열부가 형성되는 상부 커버의 상부에 내부에 물을 수용하여 양초로부터 전달되는 열기로 물을 기화시키는 가습부를 구비함으로써, 건조한 실내에 수분을 공급하여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양초 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되는 상부 커버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착탈되되 내부에 양초가 수용되는 하부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커버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통공과,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플랜지의 하부에 형성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의 내측에는 양초의 열기를 통공의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은 양초의 열기가 이동하는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의 상부에 형성되어 열기를 통공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는 상부로 갈수록 삽입부와 이격되어 본체의 상부 내주면을 가압하는 가압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의 하부에는 양초로부터 전달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되는 축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물 수용부의 내주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통공이 형성되는 넘침방지판이 구비되는 가습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커버의 내측에는 격자 형상 또는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초를 고정하기 위한 격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의 중심부는 고깔형상으로 본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와 하부는 원통형상의 연통부와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 일측에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와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커버의 내측에 양초를 수납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 커버에는 양초의 열기에 의해 가열되는 축열부가 구비되어 양초의 열기를 장시간 고르게 공급할 수 있으며, 각 부분을 용이하게 조립 분리할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양초가 수납되는 하부 커버의 내측에 격자 형태 또는 동심원 형태의 격판을 구비하여 다수의 양초를 각각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하여 외력에 의해 양초가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 양초가 꺼지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열부가 형성되는 상부 커버의 상부에 내부에 물을 수용하여 양초로부터 전달되는 열기로 물을 기화시키는 가습부를 구비함으로써, 건조한 실내에 수분을 공급하여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전양초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안전양초용기에서 랙 부분에 초가 위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초 난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초 난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초 난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초 난로의 가이드판 및 축열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양초 난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양초 난로의 하부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양초 난로의 하부 커버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초 난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초 난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초 난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초 난로의 가이드판 및 축열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양초 난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양초 난로의 하부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양초 난로의 하부 커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양초를 수용하여 주변의 분위기를 좋게 할 뿐만 아니라 난방효과도 있는 양초 난로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착탈되는 상부 커버(300)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착탈되는 하부 커버(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금속재질의 판을 가공하여 중심부는 고깔형상으로 본체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여 열기를 상부로 가이드하는 연통부(130)와 내부에 양초가 수용되는 수용부(1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110)의 일측에는 본체(1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창(115)이 형성되어 양초에서 발생되는 빛이 외부로 조사되게 되어 주변의 분위기를 좋게 한다.
물론, 상기 창(115)에는 투명한 도어(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투명한 도어를 구비함으로써, 양초에서 발생되는 빛은 안정적으로 외부로 조사할 수 있으며, 열기는 창(115)이 아닌 상부커버(200)로 모두 배출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커버(200)는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부(120)의 하부로 착탈되며, 상기 하부 커버(200)의 내부에는 양초를 수용하여 양초에서 발생되는 빛을 통하여 주변의 분위기를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양초에서 발생되는 열기로 어느 정도 주변을 난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커버(3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는 밀폐되고, 하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는데, 일측에는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342)와 연통되도록 통공(340))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플랜지(350)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350)의 하부에는 삽입부(330)가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330)는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통부(130)의 상부로 삽입되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플랜지(350)가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통부(130)의 상부에 걸리게 되어 상부 커버(300)가 본체(100)의 상부에 거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330)의 측면에는 가압편(332)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압편(332)은 삽입부(330)의 측면을 'ㄷ'자 형상으로 절개하여 외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되, 상기 가압편(332)은 상부로 갈수록 삽입부(330)와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330)가 연통부(130)의 내측에 삽입될 때, 상기 가압편(332)이 연통부(130)의 내주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어 상부 커버(300)가 본체(10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300)의 내부와 본체(100)의 내부는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된 양초로부터 발생되는 열기는 상기 연통부(130)와 상부 커버(300)의 통공(34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난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커버(300)의 내측에는 양초로부터 발생되어 상부로 이동하는 열기를 통공(340)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판(310)이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판(3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기가 이동하는 가이드공(312)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312)의 상부에는 가이드공(312)을 통과한 열기를 상기 통공(340)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경사부(314)가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된 양초에서 발생된 열기는 보다 안정적으로 통공(340)을 통하여 상부로 배출되게 되고, 일시적으로 정체되게 됨으로써, 열기를 자연스럽게 배출하도록 하고, 본체(100)와 상부커버(300)를 가열하여 복사열로 인하여 안정적인 난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310)의 하부에는 축열부(32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축열부(320)는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재질을 사용하여 매쉬 형상으로 형성하여, 양초로부터 전달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되어 열기를 보존하게 됨으로써, 상기 축열부(320)에 보존된 열기에 의해 난방효율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커버(300)의 상부에는 가습부(400)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상기 가습부(40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물 수용부(410)와 상기 물 수용부(4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부(4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440)는 상기 물 수용부(41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440)에는 상부 커버(300)의 상부가 삽입 고정됨으로서, 가습부(400)가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그래서, 양초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상부 커버(300)의 통공(340)을 통하여 배출되기도 하지만, 일부는 상부 커버(300)의 상부로 전달되며, 이렇게 상부로 전달된 열기는 가습부(400)로 전달되어 물 수용부(41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게 됨으로써, 물을 기화시켜 건조한 공기의 습도를 높여주게 된다.
한편, 상기 물 수용부(410)의 내주면에는 걸림턱(420)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420)의 상부에는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넘침방지판(430)이 구비되는데, 상기 넘침방지판(430)은 일정간격으로 상하 관통하는 통공(432)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물 수용부(41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외력에 의해 흔들리더라도 상기 넘침방지판(430)에 의해 물 수용부(410)의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통공(432)을 통하여 기화된 습기가 용이하게 공기 중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커버(200)는 내부에 양초가 수용되는 양초 수용부(210)와 상기 양초 수용부(21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플랜지(230)로 이루어지는데, 양초는 필요에 따라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고, 다수 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양초 수용부(2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양초는 외력이 작용할 경우 쉽게 넘어지게 되어, 꺼지거나 화재로 번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200)의 양초 수용부(210)의 내측에 격판(220)을 구비하게 된다.
즉, 상기 격판(220)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각 격자 형상은 양초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양초가 상기 격판(220)을 형성하는 격자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양초가 넘어지지 않게 하여, 양초가 꺼지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초 수용부(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판(220)의 형상을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하여 각 양초를 고정하여 외력에 의해 넘어지지 않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초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부분을 용이하게 조립 분해가 가능하여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내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양초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외력에 의해 양초가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 양초의 열기에 의해 난방을 할 수 있으며, 건조한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 적절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양초 난로에 관한 것이다.
100 : 본체 110 : 본체부
115 : 창 120 : 수용부
130 : 연통부 200 : 하부 커버
210 : 양초 수용부 220 : 격판
230,350 : 플랜지 300 : 상부커버
310 : 가이드판 312 : 가이드공
314 : 경사부 320 : 축열부
330 : 삽입부 332 : 가압편
340,432 : 통공 342 : 공간부
400 : 가습부 410 : 물 수용부
420 : 걸림턱 430 : 넘침방지부
440 : 고정부

Claims (9)

  1.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되는 상부 커버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착탈되되 내부에 양초가 수용되는 하부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커버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통공과,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플랜지의 하부에 형성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난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의 내측에는 양초의 열기를 통공의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난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양초의 열기가 이동하는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의 상부에 형성되어 열기를 통공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난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의 하부에는 양초로부터 전달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되는 축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난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의 상부에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 수용부와,
    상기 물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 커버의 상부가 삽입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가습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난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 수용부의 내주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통공이 형성되는 넘침방지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난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의 내측에는 격자형상 또는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초를 고정하기 위한 격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난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중심부는 고깔형상으로 본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와 하부는 원통형상의 연통부와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 일측에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난로.
KR1020160138324A 2016-10-24 2016-10-24 양초 난로 Active KR101882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324A KR101882978B1 (ko) 2016-10-24 2016-10-24 양초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324A KR101882978B1 (ko) 2016-10-24 2016-10-24 양초 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601A KR20180044601A (ko) 2018-05-03
KR101882978B1 true KR101882978B1 (ko) 2018-07-27

Family

ID=62244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324A Active KR101882978B1 (ko) 2016-10-24 2016-10-24 양초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9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265A (ko) * 2019-10-18 2021-04-28 엄태경 무전원 향초 받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571Y1 (ko) 2004-02-05 2004-04-29 황광선 휴대용 가열기구
KR101570237B1 (ko) * 2014-12-08 2015-11-18 황인호 양초 난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992U (ko) * 2007-06-01 2008-12-04 황종수 양초보호대
KR200481947Y1 (ko) * 2015-03-18 2016-11-29 주식회사 베지테리언부처코리아 디퓨져 기능이 결합된 안전양초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571Y1 (ko) 2004-02-05 2004-04-29 황광선 휴대용 가열기구
KR101570237B1 (ko) * 2014-12-08 2015-11-18 황인호 양초 난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265A (ko) * 2019-10-18 2021-04-28 엄태경 무전원 향초 받침대
KR102411679B1 (ko) 2019-10-18 2022-06-21 엄태경 무전원 향초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601A (ko)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8445A (en) Material vapor generator with heat accelerated vapor release
US8385730B2 (en) Air care unit allowing for customization of fragrance strength and character
CA2640287C (en) Fragrance emanation system
JP4633797B2 (ja) 揮発物質拡散装置
CA2707893C (en) Electric fragrance diffuser
US10610612B2 (en) Scent dispersion device
US6106786A (en) Aroma apparatus
CA2481487C (en) Electrical evaporator including fan and louver structure
JP2004534616A (ja) 油の気化および拡散用器具
US10948204B2 (en) Humidifier capable of releasing natural negative ions
JPH01131665A (ja) 芳香拡散装置
US20120183280A1 (en) Fragrance producing lighting device
US20200038540A1 (en) Rotatable aromatherapy lamp
KR20030001377A (ko) 등불 겸용 공기 청정기
ITMI20002877A1 (it) Sistema di emanazione di liquidi a base di stoppino con caratteristiche di miniaturizzazione e a prova di bambino
US4216176A (en) Humidifier
JP2019132578A (ja) 空気処理装置
KR101882978B1 (ko) 양초 난로
US5741444A (en) Humidor and method
US5850839A (en) Cigar aromatizing device
KR101421096B1 (ko) 자연 기화식 가습기
KR101725924B1 (ko)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US20090136390A1 (en) Incandescent aroma lamp
CN213345556U (zh) 带香薰功能的烘鞋器
KR200164576Y1 (ko) 조명을 겸한 원적외선 가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