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285B1 - Fire extinguisher combined use as lamp - Google Patents
Fire extinguisher combined use as lam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1285B1 KR101881285B1 KR1020160032850A KR20160032850A KR101881285B1 KR 101881285 B1 KR101881285 B1 KR 101881285B1 KR 1020160032850 A KR1020160032850 A KR 1020160032850A KR 20160032850 A KR20160032850 A KR 20160032850A KR 101881285 B1 KR101881285 B1 KR 1018812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mp
- fire
- housing
- inner housing
- fire extinguish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28—Liquid extinguishing substan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3—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mach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에 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연결선이 내장되어 길게 연장된 중공형의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소화약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소화약제 수용 공간에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을 구비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타단에 구비되는 엔드캡, 상기 내부 하우징의 램프가 구비된 일단에 상기 램프를 둘러싸며,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역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램프캡,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단에 상기 램프캡과의 사이에 상기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램프캡 측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소화기 겸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캠핑, 산악 등반 등의 상황에서 텐트나 천막 등의 내부에서 화재 발생시, 램프의 설치 위치에서 열과 연기 등을 감지하여 소화약제를 방출함으로써, 화재에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a hollow internal housing having a lamp at one end and a power connection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amp, An outer housing having a fire extinguishing liquid or a fire extinguishing powder in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accommodating space, an end cap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and a lamp having a lamp therein, A lamp cap provided in an inverted funnel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lamp cap is increased, a discharge space through which the digestive liquid or fire extinguishing powder can be discharged between the lamp cap and one end of the outer housing is formed, And a lamp housing for a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occurs inside a tent or a tent in a camping, mountain climbing, or the like,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ensed by detecting heat and smoke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amp so that the fire can be positively and effectively counteracted It is effective.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화기 겸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캠핑, 산악 등반 등의 상황에서 텐트나 천막 등의 내부에서 화재 발생시, 램프의 설치 위치에서 열과 연기 등을 감지하여 소화약제를 방출함으로써, 화재에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소화기 겸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er lamp,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which can detect fire and smoke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a lamp when a fire occurs inside a tent or a tent in a camping, mountain climb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extinguisher combined with a fire extinguisher.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주5일 근무가 일반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남는 시간을 활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레저 활동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야외에서 캠핑활동을 하거나 낚시, 등산 등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As the level of living has improved recently and the five-day work week has become common, various leisure activities have been activated to utilize the time remaining for many people. As a result, the number of people enjoying outdoor camping activities, fishing, and mountain climbing is increasing to be.
또한, 전 세계적인 경기의 불황으로 인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레저를 즐기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추세이며, 이로 인하여 팬션이나 콘도보다 저렴하고 많은 경험을 할 수 있는 텐트를 치는 캠핑을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Also, due to the global recession, more and more people are going to enjoy leisure at affordable prices, and as a result, more and more people are camping in tents that are cheaper and more experienced than pensions or condominiums.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낚시나 캠핑등 다양한 레저 활동하기 위하여는 많은 레저용품 들을 준비하여야 하며, 이러한 레저용품 중 야간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야외용 랜턴이 있다. 야외용 랜턴은 종래에는 가솔린 또는 부탄가스 등의 연료를 연소시키는 방식의 랜턴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종래의 연소 방식 캠핑 랜턴은 초기 작동 시에 연료통에 압력을 주는 가압 과정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연료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 화재의 위험도 있는 문제가 있다.Generally, in order to perform various leisure activities such as fishing and camping in the outdoor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lot of leisure goods, and among these leisure products, there is an outdoor lantern which is indispensably used at night. The lantern for the outdoor has conventionally been mainly used as a lantern for burning fuel such as gasoline or butane gas. 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combustion type camping lantern requires a pressurizing process to pressurize the fuel cell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It is inconvenient, requires separate fuel and, in some cases, there is a risk of fire.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연소 방식 랜턴을 대체하기 위해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식 랜턴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식 랜턴은 일반적으로, 배터리가 수납되는 본체와,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는 반사경 및 반사경 내부에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하여 발광하는 전구와 전구를 고정하고 전구와 반사경을 보호하는 유리와 캡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ly, an electric lantern using a battery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o replace such a conventional combustion type lantern. Such an electric lantern generally includes a body in which a battery is housed, a reflector coupled to the front of the body, And a glass and a cap which fix the bulb and the bulb which are installed and are emitted from the battery by electricity and protect the bulb and the reflector.
도 1에는 종래 전기식 랜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전기식 랜턴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lectric lanter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lectric lanter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랜턴(100)은 몸체부(110)와, 전구(120)와, 커버부(130)와, 전원 연결선(140)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몸체부(110)는 몸체(111)와, 전원 및 밝기 조절 스위치(112)와, 커버 결합부(114)와, 소켓(115)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몸체(111)는 대체로 통형상으로서 지면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편평한 바닥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몸체(111)의 내부에는 재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가 구비되며, 몸체(111)의 측면에는 전원 연결선(140)이 분리가능 하게 연결될 수 있는 연결구(113)가 마련된다.The
전원 및 밝기 조절 스위치(112)는 몸체(111)의 측면에 위치하며, 조절 스위치(112)를 이용하여 이용자는 랜턴(100)의 온/오프 및 밝기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몸체(111)의 내부에는 조절 스위치(112)의 조작에 따라 전구(120)의 상태를 제어하는 각종 회로 구성이 구비된다.The power and
커버 결합부(114)는 몸체(111)의 상부에 기둥형태로 형성되며, 커버 결합부(114)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소켓(115)은 커버 결합부(114)의 상단에 위치한다. 소켓(115)에 전구(120)가 분리가능 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커버부(130)는 전구(120)를 보호하도록 몸체부(110)에 분리가능 하게 결합된다. 광투과창(131)과, 결합부(132)와, 상부 마감부(133)를 구비하며, 광투과창(131)은 원통형상으로서 전구(120)로부터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킨다. The cover
또한, 결합부(132)는 광투과창(131)의 하단에 고정되고, 결합부(132)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서, 몸체부(110)의 커버결합부(114)에 결합되며, 상부 마감부(133)는 광투과창(131)의 상단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한편, 산악 등반, 캠핑 등과 같은 야외 활동 시 여름철에는 모기나 벼룩 등 각종 벌레에 물리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캠핑을 하기 위한 텐트의 내부와 주위에 별도로 모기향을 피우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모기향을 피워 벌레를 퇴치하는 방법은 인체에 유해한 모기향으로 인해 취침시 주의가 필요하며, 부주의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이 높은 실정이다. 또한, 텐트나 천막 내부에서 취사를 위해 버너를 사용하거나, 불을 피우게 될 경우에도 열과 화재에 약한 섬유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텐트나 천막의 재질로 인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when outdoor activities such as mountain climbing and camping are carried out in summer, various insects such as mosquitoes and fleas may be bitten. In order to prevent this, there is a case where the inside of the tent for camping and the surrounding area are separately smoked. However, such a method of eradicating insects by using a mosquito repellent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sleep at the time of sleeping due to a moxibustion which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there is a high risk of fire due to carelessness. In addition, there is a high risk of fire due to the use of a burner for cooking in a tent or a tent or a material of a tent or a tent made of fibers or plastics which is weak against heat and fire even when a fire occurs.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전기식 랜턴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산악 등반, 캠핑 등의 야외 활동 시, 천막이나 텐트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에 대해서 화재에 적극적이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소화기 겸용 램프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a fire extinguisher lamp that can actively and promptly cope with a fire that may occur in a tent or a tent while outdoor activities such as mountain climbing and camping are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the merits of the electric lantern described above Is emerging.
본 발명의 목적은 캠핑, 산악 등반 등의 상황에서 텐트나 천막 등의 내부에서 화재 발생시, 램프의 설치 위치에서 열과 연기 등을 감지하여 소화약제를 방출함으로써, 화재에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소화기 겸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re extinguishing system that can detect fire and smoke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a lamp when a fire occurs inside a tent or a tent in a camping or mountain climbing, And a fire extinguisher combined lamp.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는 일단에 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연결선이 내장되어 길게 연장된 중공형의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소화약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소화약제 수용 공간에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을 구비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타단에 구비되는 엔드캡, 상기 내부 하우징의 램프가 구비된 일단에 상기 램프를 둘러싸며,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역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램프캡,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단에 상기 램프캡과의 사이에 상기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램프캡 측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fire extinguisher lamp comprising a lamp, a hollow inner housing having a power connection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amp, And an end cap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wherein the inner housing is provided with a lamp of the inner housing, A lamp cap enclosing the lamp at one end and having an inverted funnel shape having a larger diameter toward an end thereof, and a discharge space through which the digestive liquid or fire extinguishing powder can be discharged between the lamp cap and one end of the outer housing And includes a guide housing having a shape that entirely surrounds the side of the lamp cap .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는 일단에 LED 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LED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연결선이 내장되어 길게 연장된 중공형의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소화약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소화약제 수용 공간에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을 구비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타단에 구비되는 엔드캡, 상기 내부 하우징의 LED 램프가 구비된 일단에 상기 LED 램프를 둘러싸며,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역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램프캡,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단에 상기 램프캡과의 사이에 상기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램프캡 측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e extinguisher lamp having an LED lamp at one end thereof, a hollow inner housing having a power connection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D lamp, And an end cap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wherein the outer housing has a structure for form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xtinguishing agent, A lamp cap disposed at one end of the LED lamp and having an inverted funnel shape surrounding the LED lamp and having a larger diameter toward an end thereof, and a fire extinguisher or fire extinguisher between the lamp cap and the lamp cap is discharged to one end of the outer housing Which is formed in a shape that encloses the side of the lamp cap as a whole, It consists in a housing.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는 일단에 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연결선이 내장되어 길게 연장된 중공형의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소화약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소화약제 수용 공간에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을 구비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타단에 구비되는 엔드캡, 상기 내부 하우징의 램프가 구비된 일단에 상기 램프를 둘러싸며,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역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램프캡,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단에 상기 램프캡과의 사이에 상기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램프캡 측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화재연기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화재발생시, 화재연기를 감지하고 상기 소화약제 수용 공간에 구비된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이 상기 배출공간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e extinguisher lamp having a lamp, a hollow inner housing having a power connection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amp, And an end cap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The inner cap and the outer cap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ipe, A lamp cap disposed at one end of the lamp housing and having an inverted funnel shape having a larger diameter toward an end thereof, and a discharge space for discharging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or fire extinguishing powder between the lamp cap and one end of the outer housing, And a guide housing provided in a shape that totally encloses the side of the lamp cap It consists in hereinafter, wherein the guide housing is to be provided with a fire smoke detection sensor detects a fire, the fire smoke and extinguishing liquid or extinguishing powder, comprising a receiving space the extinguishing agen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spac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는 일단에 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연결선이 내장되어 길게 연장된 중공형의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소화약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소화약제 수용 공간에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을 구비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타단에 구비되는 엔드캡, 상기 내부 하우징의 램프가 구비된 일단에 상기 램프를 둘러싸며,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역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램프캡,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단에 상기 램프캡과의 사이에 상기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램프캡 측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엔드캡 또는 상기 외부 하우징에는 화재발생시 상기 소화약제 수용 공간에 구비된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을 상기 배출공간을 통해 배출시키도록 하는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e extinguisher lamp having a lamp, a hollow inner housing having a power connection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amp, And an end cap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The inner cap and the outer cap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ipe, A lamp cap disposed at one end of the lamp housing and having an inverted funnel shape having a larger diameter toward an end thereof, and a discharge space for discharging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or fire extinguishing powder between the lamp cap and one end of the outer housing, And a guide housing provided in a shape that totally encloses the side of the lamp cap Is also, and configuration that the end cap or the outer housing is a switch for so as to discharge the extinguishing liquid or extinguishing powder provided in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receiving space through said discharge space is provided.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는 일단에 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연결선이 내장되어 길게 연장된 중공형의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소화약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소화약제 수용 공간에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을 구비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타단에 구비되는 엔드캡, 상기 내부 하우징의 램프가 구비된 일단에 상기 램프를 둘러싸며,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역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램프캡,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단에 상기 램프캡과의 사이에 상기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램프캡 측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삽입되거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것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이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삽입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배출공간이 밀봉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이 상기 외부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배출공간이 개방되는 구조인 것으로 구성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e extinguisher lamp having a lamp, a hollow inner housing having a power connection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amp, And an end cap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The inner cap and the outer cap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ipe, A lamp cap disposed at one end of the lamp housing and having an inverted funnel shape having a larger diameter toward an end thereof, and a discharge space for discharging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or fire extinguishing powder between the lamp cap and one end of the outer housing, And a guide housing provided in a shape that totally encloses the side of the lamp cap The inner housing is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outer housing or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protruded. When the inner housing is entirely inserted into the outer housing, And a discharge space of the guide housing is opened when the inner housing is protru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housing.
상기 내부 하우징의 램프가 구비된 일단 주변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소화약제 수용 공간을 개폐하여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배출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소화약제 수용 공간 개폐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inner housing having the lamp may be formed with an extinguishing agent accommodating space opening / closing part for opening / closing the extinguishing agent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housing and discharging extinguishing liquid or extinguishing powder to the discharge space of the guide housing.
상기 엔드캡의 선단은 상기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을 모두 마감하며 결합되고, 후단에는 상기 소화기 겸용 램프를 텐트나 천막에 장착할 수 있는 후크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end of the end cap may be coupled to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and a hook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end cap to mount the fire extinguisher lamp in a tent or a tent.
상기 엔드캡의 내부에는 상기 소화기 겸용 램프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The end cap may be provided with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necessary for the fire extinguisher lamp.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대용량 배터리 및 상기 램프를 제외하고, 상기 소화기 겸용 램프에 구비될 수 있는 센서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저용량 배터리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large-capacity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amp, and a low-capacity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a sensor, which may be provided in the fire extinguisher lamp, except for the lamp.
상기 엔드캡의 외측면에는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충전하기 위한 외부충전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An external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cap.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열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여 화재발생시, 화재연기를 감지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이 상기 배출공간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guide housing further includes a heat sensing sensor to detect fire smoke when a fire occurs, and fire extinguishing liquid or fire extinguished powder contained in the outer housing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space.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화재 알람 경보기를 구비하며 화재발생시, 상기 알람 화재 경보기가 구동될 수 있다.The guide housing has a fire alarm alarm, and when the fire is generated, the alarm fire alarm can be driven.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화재 알람 경보기의 오작동 시,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오작동 정지 스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malfunction stop switch that can stop the operation when the fire alarm alarm is malfunctioning.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는 상기 램프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A switch for controlling the on-off state of the lamp may be formed on the guide housing.
상기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은 인산 암모늄, 중탄산 암모늄, 탄산칼륨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gester or fire extinguishing powder may contain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monium phosphate, ammonium bicarbonate, potassium carbonate and calcium carbonate.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는 캠핑, 산악 등반 등의 상황에서 텐트나 천막 등의 내부에서 화재 발생시, 램프의 설치 위치에서 열과 연기 등을 감지하여 소화약제를 방출함으로써, 화재에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heat and smoke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amp when a fire occurs inside a tent or a tent in a camping, mountain climbing, or the like, and emits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to actively and effectively cope with the fire There is an effect to be able to.
도 1은 종래 전기식 랜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전기식 랜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의 내부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의 모습을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의 내부 하우징과 회로 기판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lectric lanter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lectric lanter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er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er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er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ecomposition state of a fire extinguisher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such as a circuit inside the fire extinguisher l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ner housing and a circuit board of a fire extinguisher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values are only examples.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의 하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의 정면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er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er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er combined lam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shown.
또한,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ecomposition state of a fire extinguisher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소화기 겸용 램프(100)는 일단에 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연결선(132)이 내장되어 길게 연장된 중공형의 내부 하우징(131),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소화약제 수용 공간(122)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소화약제 수용 공간(122)에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을 구비하는 외부 하우징(121), 상기 내부 하우징(131)과 외부 하우징(121)의 타단에 구비되는 엔드캡(110), 상기 내부 하우징(131)의 램프가 구비된 일단에 상기 램프를 둘러싸며,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역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램프캡(134), 상기 외부 하우징(121)의 일단에 상기 램프캡(134)과의 사이에 상기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간(143)을 형성하며 상기 램프캡 측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하우징(140)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여기서, 가이드 하우징(140)은 내측 가이드(142)와 외측 가이드(141)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재연기 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 화재발생시 상기 소화약제 수용 공간(122)에 구비된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을 상기 배출공간을 통해 배출시키도록 하는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회로(도시하지 않음), 열감지 센서(도시하지 않음) 등의 구성요소를 상기 내측 가이드(142)와 외측 가이드(141) 사이에 구비할 수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100)는 내부 하우징(131)의 일단에 램프를 구비하여, 캠핑이나 산악 등반 등의 상황에서 야외용 랜턴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텐트나 천막 내에서 램프의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텐트나 천막 내부의 높은 위치에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100)를 장착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만일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100)는 텐트나 천막 등의 내부에서 화재 발생시, 외부 하우징(121)의 상기 소화약제 수용 공간(122)에 구비된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140)의 배출공간(143)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텐트나 천막 내부의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a fire occurs inside a tent or a tent, a fire extinguisher or fire extinguishing powder provided in the extinguishing
이때, 상기 가이드 하우징(140)의 배출공간(143)을 통해 배출되는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은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역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램프캡(134)의 외측면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므로, 텐트나 천막 내부의 넓은 범위에 균일하게 분산되며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텐트나 천막 내부 공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이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텐트나 천막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tinguishing liquid or fire extinguishing powder discharged through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100)는 가이드 하우징(140)에 화재연기 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화재발생시, 화재연기를 감지하고 상기 소화약제 수용 공간(122)에 구비된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이 상기 배출공간(143)을 통해 배출되도록 가이드 하우징(140) 내부에 상기 외부 하우징(121)의 상기 소화약제 수용 공간(122)을 개폐할 수 있는 회로와 개폐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가이드 하우징(140)은 상기 화재연기 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 이외에 열감지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함으로써, 텐트나 천막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100)는 상기 엔드캡(110) 또는 상기 외부 하우징(121)의 외주면에는 화재발생시 상기 소화약제 수용 공간(122)에 구비된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을 상기 배출공간(143)을 통해 배출시키도록 하는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먼저 적극적으로 상기 소화기 겸용 램프(100)를 사용하여 텐트나 천막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진압할 수 도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100)는 상기 내부 하우징(131)을 상기 외부 하우징(121)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삽입되거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것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131)이 상기 외부 하우징(121)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삽입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140)의 배출공간(143)이 밀봉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131)이 상기 외부 하우징(12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140)의 배출공간(143)이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100)는 평상시에는 내부 하우징(131)이 외부 하우징(121)에 삽입된 상태로 존재함으로써, 상기 외부 하우징(121)의 소화약제 수용 공간(122)과 상기 가이드 하우징(140)의 배출공간(143)이 모두 폐쇄되어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텐트나 천막 등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상기 내부 하우징(131)이 외부 하우징(12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됨으로써, 상기 외부 하우징(121)의 소화약제 수용 공간(122)과 상기 가이드 하우징(140)의 배출공간(143)을 모두 개방함으로써, 소화약제 수용 공간(122)의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140)의 배출공간(143)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도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상기 내부 하우징(131)의 램프가 구비된 일단 주변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부 하우징(121)의 소화약제 수용 공간(122)을 개폐하여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140)의 배출공간(143)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소화약제 수용 공간 개폐부(133)를 형성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상기 소화약제 수용 공간(122)의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140)의 배출공간(143)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상기 내부 하우징(131)의 일단에 구비되는 램프 백열전구, 삼파장 전구, 및 LED 램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램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LED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A lam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lamp incandescent lamp, a three-wavelength lamp, and an LED lamp provided at one end of the
상기 엔드캡(110)의 선단은 상기 내부 하우징(131)과 외부 하우징(121)을 모두 마감하며 결합되고, 후단에는 상기 소화기 겸용 램프를 텐트나 천막에 장착할 수 있는 후크부(111)가 형성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The front end of the
또한, 상기 엔드캡(110)의 내부에는 상기 소화기 겸용 램프(1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11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수단(112)은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대용량 배터리(도시하지 않음) 및 상기 램프를 제외하고, 상기 소화기 겸용 램프에 구비될 수 있는 센서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저용량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를 각각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캡(11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전원공급수단(112)을 충전하기 위한 외부충전단자(1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가이드 하우징(140)은 화재 알람 경보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며 화재발생시, 화재 연기나 열을 감지하여 상기 알람 화재 경보기가 구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또한, 상기 가이드 하우징(140)은 상기 화재 알람 경보기의 오작동 시,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오작동 정지 스위치(141a)를 형성함으로써, 심각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 상기 화재 알람 경보기가 작동할 경우, 사용자가 먼저 신속하게 상기 오작동 정지 스위치(141a)를 이용하여, 화재 알람 경보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가이드 하우징(140)에는 상기 램프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함으로써, 화재 등이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사용자가 상기 소화기 겸용 램프(100)를 편리하게 랜턴이나 램프의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 switch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n-off state of the lamp is formed in the
상기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은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약제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에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 또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에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는 예를 들어, 화재 진압 시, 우수한 화재 진압 성능을 나타내도록 하면서 동시에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낮은 첨가제로서 인산 암모늄, 중탄산 암모늄, 탄산칼륨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or fire extinguishing powd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fire extinguishing agent capable of extinguishing a fire, and the additives which can be contained in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or fire extinguishing powder are also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additive which can be contained in the digestive juices or the digestive powders is, for example, a group consisting of ammonium phosphate, ammonium bicarbonate, potassium carbonate and calcium carbonate as additives having a low harmful effect on the human body while exhibiting excellent fire-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의 내부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의 모습을 나타낸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의 내부 하우징과 회로 기판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components such as circuits inside a fire extinguisher lam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housing of a fire extinguisher lam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a circuit board is show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겸용 램프(100)는 엔드캡(110)의 내부에 상기 소화기 겸용 램프(100)에 전체적으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112)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수단(112)은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대용량 배터리(112a) 및 상기 램프를 제외하고 상기 소화기 겸용 램프에 구비될 수 있는 센서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저용량 배터리(112b)를 각각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전원공급수단(112a, 112b)을 충전하기 위한 외부충전단자(113) 및 상기 전원공급수단(112)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는 충전모듈(114)이 각각 엔드캡 기판(115)기판상에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여기서, 상기 대용량 배터리(112a)의 사용전압은 7 내지 12V이고, 용량은 1700 내지 2500mah이며, 상기 저용량 배터리(112b)의 사용전압은 1 내지 5 V 이고, 용량은 600 내지 1000mah일 수 있다. 전원공급수단(112)을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사용전압과 용량을 가진 각각의 전원공급수단(112a, 112b)으로 구성함으로써, 소화기 겸용 램프(100)의 램프와 각종 센서 등에 원활하게 서로 다른 용량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소화기 겸용 램프(100)의 설계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Here, the used voltage of the
한편, 내부 하우징(131) 내부의 전원연결선(132)에는 내부 하우징(131) 내부에서부터 빛을 생성하여 상기 내부 하우징(131) 일단에 구비되는 램프의 빛을 더욱 보강할 수 있도록, 소형 LED 조명(132a)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ED 조명(132a)은 0.1 내지 0.4w의 LED 조명으로서 전체적으로 18 내지 23 lux 정도 세기의 빛을 낼 수 있도록, 상기 LED 조명(132a)의 개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mall LED lamp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power
상기 가이드 하우징(140)의 내부에는 수평하게 설치된 가이드 하우징 기판(143)상에 화재연기 감지센서(144), 화재 알람 경보기(145) 및 상기 화재 알람 경보기(145)의 오작동시 작동을 정지시키는 오작동 정지 스위치(141a)와 연결된 오작동 정지 회로(14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오작동 정지 회로(146)는 상기 램프와 소형 LED 조명(132a)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제어하는 회로를 함께 형성할 수 있다.A
상기 화재연기 감지센서(144)의 용량은 대략 30 내지 35 μA이고, 상기 화재 알람 경보기(145)의 용량은 대략 30 내지 35 mA이며, 상기 화재 알람 경보기(145)는 화재 시 대략 12 내지 18 dB의 알람 소리를 발생시켜 화재발생을 알리도록 할 수 있다.The capacity of the
또한, 상기 가이드 하우징(140)의 내측 가이드(142)에 램프캡(134)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내측 가이드(142)와 램프캡(134)의 사이의 하단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이격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이격 공간부를 밀봉한 다음, 상기 이격 공간부에 상기 상기 화재연기 감지센서(144)로 연기가 전달될 수 있도록, 연기 흡입구(140a)를 별도로 형성한 구조로 상기 내측 가이드(142)와 램프캡(134)을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한편, 상기 소화기 겸용 램프(100)에서 외부 하우징(121)의 소화약제 수용 공간(122)을 개폐하여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140)의 배출공간(143)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소화약제 수용 공간 개폐부(133)는 상기 내부 하우징(131)과 후크 결합구조(133a)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agen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소화기 겸용 램프
110: 엔드캡
121: 외부 하우징
122: 소화 약제 수용공간
131: 내부 하우징
132: 전원연결선
134: 램프 캡
141: 외측 가이드
142: 내측 가이드100: Combined fire extinguisher lamp
110: end cap
121: outer housing
122: Extinguishing agent space
131: inner housing
132: Power connector
134: Lamp cap
141: outer guide
142: Inner guide
Claims (15)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소화약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소화약제 수용 공간에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을 구비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타단에 구비되는 엔드캡;
상기 내부 하우징의 램프가 구비된 일단에 상기 램프를 둘러싸며,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역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램프캡;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단에 상기 램프캡과의 사이에 상기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램프캡 측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삽입되거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것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이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삽입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배출공간이 밀봉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이 상기 외부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배출공간이 개방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의 램프가 구비된 일단 주변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소화약제 수용 공간을 개폐하여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배출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소화약제 수용 공간 개폐부가 형성되되,
상기 소화 약제 수용 공간 개폐부는 상기 내부 하우징과 후크 결합구조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형성되는 구조의 소화기 겸용 램프.
A hollow inner housing having a lamp at one end and a power connection cab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amp, the hollow inner housing being elongated;
An outer housing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xtinguishing agent and having a fire extinguishing liquid or fire extinguishing powder in the extinguishing agent receiving space;
An end cap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A lamp cap enclosing the lamp at one end of the inner housing and having an inverted funnel shape having a larger diameter toward the end;
A guide housing formed at one end of the outer housing with a discharge space between the lamp cap and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or fire extinguisher,
/ RTI >
The inner housing may be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outer housing or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protruded. When the inner housing is entirely inserted into the outer housing, Wherein when the inner housing is extended and protru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housing, the discharge space of the guide housing is opened,
Wherein the extinguished medicament accommodating space opening / clos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xtinguishing medicament accommodating space of the outer housing and discharging the extinguishing liquid or extinguishing powder to the discharge space of the guide housing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accommodating space opening / closing part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inner housing by a hook-joining structure.
상기 엔드캡의 선단은 상기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을 모두 마감하며 결합되고, 후단에는 상기 소화기 겸용 램프를 텐트나 천막에 장착할 수 있는 후크부가 형성되어 있는 소화기 겸용 램프.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tip end of the end cap is coupled to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at both ends thereof and a hook portion capable of mounting the fire extinguisher lamp to a tent or a tent is formed at a rear end thereof.
상기 엔드캡의 내부에는 상기 소화기 겸용 램프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소화기 겸용 램프.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e extinguisher lamp is provided in the end cap.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대용량 배터리 및 상기 램프를 제외하고, 상기 소화기 겸용 램프에 구비될 수 있는 센서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저용량 배터리를 각각 포함하는 소화기 겸용 램프.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ower supply means includes a large capacity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amp, and a low capacity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a sensor, etc., except for the lamp, which can be provided in the fire extinguisher lamp.
상기 엔드캡의 외측면에는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충전하기 위한 외부충전단자가 형성되는 소화기 겸용 램프.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n external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power supply means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nd cap.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열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여 화재발생시, 화재연기를 감지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이 상기 배출공간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소화기 겸용 램프.
9. The method of claim 8,
The guide housing further includes a heat sensing sensor to detect fire smoke when a fire occurs and to discharge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or fire extinguishing powder contained in the outer housing through the discharge space.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화재 알람 경보기를 구비하며 화재발생시, 상기 화재 알람 경보기가 구동되는 소화기 겸용 램프.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guide housing has a fire alarm alarm and, when a fire occurs, the fire alarm alarm is driven.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화재 알람 경보기의 오작동 시,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오작동 정지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는 소화기 겸용 램프.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guide housing is provided with a malfunction stop switch capable of stopping the operation when the fire alarm alarm is malfunctioning.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는 상기 램프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는 소화기 겸용 램프.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guide housing is provided with a switch for controlling an on-off state of the lamp.
상기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은 인산 암모늄, 중탄산 암모늄, 탄산칼륨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소화기 겸용 램프.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or fire extinguishing powder comprises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monium phosphate, ammonium bicarbonate, potassium carbonate and calcium carbon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2850A KR101881285B1 (en) | 2016-03-18 | 2016-03-18 | Fire extinguisher combined use as lam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2850A KR101881285B1 (en) | 2016-03-18 | 2016-03-18 | Fire extinguisher combined use as lamp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9172A KR20170109172A (en) | 2017-09-28 |
KR101881285B1 true KR101881285B1 (en) | 2018-07-27 |
Family
ID=60035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2850A Active KR101881285B1 (en) | 2016-03-18 | 2016-03-18 | Fire extinguisher combined use as lam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128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20742A (en) * | 2020-03-27 | 2021-10-07 | 배현규 | Portable Spingkler |
KR20230123666A (en) | 2022-02-17 | 2023-08-24 | 일상코리아 주식회사 | Portable lighting that combined of a diffuser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90U (en) * | 1993-06-08 | 1995-01-06 | 株式会社間組 | Automatic fire extinguisher |
KR20040105036A (en) * | 2003-06-04 | 2004-12-14 | (주) 에프에스티 | An automatic extinguishing system of a fire extinguisher to be mounted in the illuminating apparatus |
KR20100005605U (en) * | 2008-11-24 | 2010-06-03 | 조현철 | Fighting Method Non utility generation lighting use of laser |
KR20110095058A (en) * | 2010-02-18 | 2011-08-24 | 오승철 | Fire extinguisher set for disaster prevention portable LED lantern |
KR101137413B1 (en) | 2010-08-10 | 2012-04-20 | 홍석훈 | The Field Lantern |
KR20150114758A (en) | 2014-04-02 | 2015-10-13 | 캠푸드 주식회사 | Camping lantern |
-
2016
- 2016-03-18 KR KR1020160032850A patent/KR101881285B1/en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20742A (en) * | 2020-03-27 | 2021-10-07 | 배현규 | Portable Spingkler |
KR102420358B1 (en) * | 2020-03-27 | 2022-07-13 | 배현규 | Portable Spingkler |
KR20230123666A (en) | 2022-02-17 | 2023-08-24 | 일상코리아 주식회사 | Portable lighting that combined of a diffus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9172A (en) | 2017-09-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49510B2 (en) | Electronic cigarette | |
CN106163308B (en) | Packet is recharged for electronic cigarette | |
ES2555410T3 (en) | Portable atomizer of oral aspiration type and control method | |
US20180199563A1 (en) | Mosquitocidal lamp with alarm function | |
WO2016082121A1 (en) |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hookah | |
WO2015149403A1 (en) | Electronic cigarette | |
CN1074526A (en) | Laser cigarette lighter | |
KR101881285B1 (en) | Fire extinguisher combined use as lamp | |
JP5971540B2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 |
US20190181595A1 (en) | Support lighting for electrical power systems | |
CN111790090B (en) | Interactiv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simulating flames | |
KR101137413B1 (en) | The Field Lantern | |
US20210112876A1 (en) | Electronic cigarette with breathing sensing function | |
KR20220148064A (en) | camping lamp included gas leak alarm | |
US20050195595A1 (en) | Flashlight with wave spring electrical connection | |
US20070042305A1 (en) | Battery powered cigarette lighter and process for using the same | |
WO2019174632A1 (en) | Laser cigarette lighter | |
JP4776493B2 (en) | Junction with emergency light | |
CN218898324U (en) | Power supply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101248511B1 (en) | Portable lamp | |
US20080232110A1 (en) | Illuminating device having enhanced light gathering effect | |
KR101605396B1 (en) | led illumination lamp | |
KR200465627Y1 (en) | ㄱ type flashlight with zoom function | |
CN103461301B (en) | Smog-control mosquito luring killer | |
JP7529324B2 (en) | A complex lighting device with a scented mist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3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9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4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9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7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