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9876B1 - 낚시용 신발 및 신발창 - Google Patents

낚시용 신발 및 신발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876B1
KR101879876B1 KR1020120062453A KR20120062453A KR101879876B1 KR 101879876 B1 KR101879876 B1 KR 101879876B1 KR 1020120062453 A KR1020120062453 A KR 1020120062453A KR 20120062453 A KR20120062453 A KR 20120062453A KR 101879876 B1 KR101879876 B1 KR 101879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lit
shoe
slits
reg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553A (ko
Inventor
다쯔히로 고마쯔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7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87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장기에 걸쳐 미끄럼 방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내구성이 우수한 낚시용 신발 및 신발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낚시용 신발(1)은, 신발 본체(2)의 저면에 신발창(10)을 피착하고 있고, 신발창(10)의 표면에, 길이 방향 슬릿(11)과 가로 방향 슬릿(13)을 크로스하도록 형성한다. 각 슬릿(11, 13)은, 신발창의 측면(10b)에 이르지 않게 형성되는 동시에, 각 슬릿에 의해 폐쇄된 영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신발 및 신발창{SHOES AND SHOE BOTTOM FOR FISHING}
본 발명은, 주로 낚시질을 할 때에 사용되는 낚시용 신발 및 그러한 낚시용 신발에 대하여 피착 가능한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계류 낚시나 갯바위 낚시 등에 사용되는 낚시용 신발은, 젖은 부분이나 바위가 많은 곳 등, 미끄러지기 쉬운 부분을 보행했을 때, 미끄러지기 어렵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신발창에 펠트제의 밑창(펠트 밑창)을 피착한 것이 알려져 있고, 상기 펠트 밑창의 표면(지면과 접지하는 면)에, 폭 방향 및/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슬릿)을 형성함으로써, 밑창 부분을 굴곡 변형되기 쉽게 하여, 발판이 나쁜 곳을 보행해도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38614
상기한 바와 같은 펠트 밑창을 피착한 낚시용 신발은, 폭 방향 및/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신발창의 측면에 이르는 영역까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의 홈과 홈 사이의 영역(홈끼리 구획된 영역)이, 측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위되기 쉬워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 즉, 상기한 홈이 신발창의 주연부터 측면에 이르는 영역까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측면 부분이 변형되기 쉬워져, 바위가 많은 곳 등의 요철을 감싸도록 변형되어 높은 그립력이 얻어지지만, 깎이기 쉽고, 이에 의해 신발창의 주연부가 무뎌져, 조기에 미끄러지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홈을,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격자 형상으로 형성하면, 홈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마다(블록마다) 변위되어 미끄럼 방지 효과는 높지만, 블록 부분이 찢어지기 쉬워, 내구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장기에 걸쳐 미끄럼 방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내구성이 우수한 낚시용 신발 및 신발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신발은, 신발 본체의 저면에 신발창을 피착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 표면에, 길이 방향 슬릿과 가로 방향 슬릿을 크로스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각 슬릿은, 신발창의 측면에 이르지 않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각 슬릿에 의해 폐쇄된 영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낚시용 신발에 의하면, 신발창 표면에, 길이 방향 슬릿과 가로 방향 슬릿이 크로스하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신발창 표면이 변형되기 쉬워져, 바위가 많은 곳과 같은 요철 부분을 보행해도, 그 표면 형상을 따라 추종되기 쉬워져, 미끄럼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 경우, 각 슬릿은, 각 슬릿에 의해 폐쇄된 영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체중이 가해졌을 때, 블록 단위로 변형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신발창 표면이 변형, 파괴되거나, 찢어짐 등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한 구조로 된다.
또한, 표면이 미끄러지기 쉬운 부분을 보행해도, 크로스한 길이 방향 슬릿과 가로 방향 슬릿이 변형되어 그립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미끄럼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각 슬릿은, 신발창의 측면에 이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측부 영역에 힘이 가해져도 측면 부분이 크게 변위되거나 깎여 마모되거나 하지 않고, 이에 의해 측부 영역에서 깎이거나 파괴가 발생하는 일이 없게 되어, 장기에 걸쳐 미끄럼 억제 효과가 얻어지는 동시에, 내구성의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길이 방향 슬릿과 가로 방향 슬릿이 형성된 신발창은, 그 자체가, 단체 구조로서 여러 타입의 신발 본체의 저면에 피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기에 걸쳐 미끄럼 방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내구성이 우수한 구조의 낚시용 신발 및 신발창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신발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신발의 신발창의 이면도.
도 3은 본 발명과의 비교예를 나타낸 슬릿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신발창의 이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신발창의 이면도, (b)는 보행 시에 있어서의 신발창의 굴곡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신발창의 이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신발 및 신발창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은, 낚시용 신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신발의 신발창의 이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신발(1)은, 쇼트 부츠 타입으로서 구성되어 있고,낚시하는 사람의 발 부분을 덮는 신발 본체(2)와, 신발 본체(2)의 이면(저면)에 대하여 접착, 재봉 등에 의해 피착(고정)되는 신발창(1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낚시용 신발로서, 쇼트 부츠 타입 이외에도, 롱 부츠 타입이나 단화 타입(운동화 타입)에 적용해도 좋다.
상기 신발 본체(2)는, 고무 등의 소재로 일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신발창(10)은, 미끄러지기 어렵고 굴곡성이 우수한 소재, 예를 들어 펠트 등의 섬유 소재, 혹은 고무(합성 고무), 우레탄, EVA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신발 본체(2)에 대해서는, 특정한 형상이나 소재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합성 수지나 섬유재 등을 조합하여 봉제하는 등, 적절히 변형될 수 있고, 방수성을 갖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발창(10)은, 소정의 두께 T를 갖고 있으며, 신발 본체(2)에 대하여 미리 피착된 것이어도 좋고, 단체로서 제조, 판매되거나 하여, 여러 신발 본체의 이면에 피착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신발 본체(2)와 신발창(10)의 피착 방법이나, 양자간의 구체적인 접합 구조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신발 본체(2)의 내부에 안창(이너 밑창)이나 쿠션재 등이 개재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신발창(1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슬릿(길이 방향 슬릿과 폭 방향 슬릿)이 형성되지만, 그 두께 T는, 충분한 쿠션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펠트 밑창을 피착한 것이면, 펠트 밑창 부분에서 10 내지 25mm의 것이면 된다. 또한, 이러한 펠트 밑창에 슬릿을 형성하는 경우, 각 슬릿은, 효과적인 미끄럼 방지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두께 T에 대하여 50 내지 100%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신발창(10)의 표면(저면)(10a)에는, 길이 방향 슬릿(11)과 가로 방향 슬릿(13)이 크로스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길이 방향 슬릿이란, 신발창(10)의 길이 방향(중심 축선) X를 따른 방향을 의미하고 있으며, 가로 방향 슬릿이란, 길이 방향 X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 Y를 의미하고 있다. 또한, 양쪽 슬릿의 크로스 상태는, 양쪽 슬릿이 직교하는 상태에서 X 방향 또는 Y 방향에 대하여 경사(±30° 이내)져도 좋고, 또는 각각의 슬릿이 직교하지 않고 X 방향 또는 Y 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30° 이내)져 있어도 좋다.
이러한 길이 방향 슬릿(11)과 가로 방향 슬릿(13)은, 서로 크로스하도록 형성되지만, 신발창 표면에 형성되는 모든 슬릿이 크로스하지 않아도 좋다. 즉, 부분적으로 교차하지 않는 길이 방향 슬릿이나 가로 방향 슬릿 등이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각 슬릿(11, 13)은, 신발창(10)의 측면(10b)에 이르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즉, 각 슬릿(11, 13)은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지만, 그 절입은 신발창(10)의 측면(10b)에는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슬릿(11, 13)은, 1개의 길이 방향 슬릿(11)에 대하여 복수의 가로 방향 슬릿이 교차하거나, 1개의 가로 방향 슬릿(13)에 대하여 복수의 길이 방향 슬릿이 교차하고 있어도 좋지만, 각 슬릿(11, 13)에 의해 폐쇄된 영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슬릿(11A)과 가로 방향 슬릿(13A)에 의해, 폐쇄된 영역(사선으로 나타내는 각 슬릿으로 둘러싸인 영역)(A)이 존재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슬릿(11)과 가로 방향 슬릿(13)은, 1개소에서 크로스한 「+」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러한 「+」 형상으로 형성된 슬릿군이 저면(10a)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점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신발창(10)을 피착한 낚시용 신발(1)에 의하면, 신발창의 표면에, 길이 방향 슬릿(11)과 가로 방향 슬릿(13)이 크로스하도록 점재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신발창 표면 전체가 변형되기 쉬워져, 바위가 많은 곳과 같은 요철 부분을 보행해도, 그 표면 형상을 따라 추종되기 쉬워져, 미끄럼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 경우, 각 슬릿(11, 13)은, 각 슬릿에 의해 폐쇄된 영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체중이 가해졌을 때, 블록 단위로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신발창 표면이 변형, 파괴되거나, 찢어짐 등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한 구조로 된다.
또한, 표면이 미끄러지기 쉬운 부분을 보행해도, 크로스한 길이 방향 슬릿과 가로 방향 슬릿이 변형되어 그립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미끄럼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각 슬릿(11, 13)은, 신발창(10)의 측면(10b)에 이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측부 영역에 힘이 가해져도 측면 영역이 크게 변위되거나 깎여 마모되거나 하지 않고, 이에 의해, 측부 영역에서, 깎이거나 파괴가 발생하는 일이 없게 되어, 장기에 걸쳐 미끄럼 억제 효과가 얻어지는 동시에, 내구성의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크로스하는 각 슬릿(11, 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창(10)의 주연(10c)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슬릿을 측면(10b)에 형성하지 않도록(노출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측부 영역에 힘이 가해져도 측면 영역이 크게 변위되거나 깎이는 일은 없게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이면의 외주 영역 R(도트가 있는 영역)에 슬릿을 형성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신발창 이면의 주연의 경도가 유지되게 된다. 이로 인해, 특히 바위가 많은 곳 등에서는, 보행 시에 밸런스를 무너뜨려도, 딛기 쉬워져, 미끄럼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 슬릿(11, 13)을 형성하는 영역에 대해서는, 측면(10b)에 노출시키지 않는 것이면 되지만, 신발창 이면의 주연 경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주연(10c)으로부터 그 거리 L이 5mm 이상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신발창 부분의 이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제로 낚시용 신발를 신었을 때, 그 발바닥의 무지구부(A1) 및 소지구부(A2)에 대응하는 부분의 신발창에, 슬릿(11, 13)의 크로스 부분이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크로스하는 슬릿은, 상기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신발창에 다수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그 중의 일부가, 상기 무지구부(A1) 및 소지구부(A2)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통상, 낚시 장소에 있어서의 바위, 모래가 있는 곳(요철면)이나 미끄러지기 쉬운 장소에서는, 보행할 때에 발바닥의 감각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는, 무지구부, 소지구부, 발뒤꿈치부에 가해지는 하중 밸런스를 조정하여 발바닥의 어느 위치에 무게 중심을 위치시킬지로, 안정된 자세가 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신발창(10)의 무지구부(A1) 및 소지구부(A2)에 대응하는 부분에, 슬릿(11, 13)의 크로스 부분을 위치시킴으로써, 무지구부 및 소지구부의 발바닥이, 돌이나 모래의 요철에 따라 변형되기 쉬워져, 이러한 요철을 감싸는 상태, 혹은 요철을 따르는 상태로 적정한 위치에 무게 중심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미끄러지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슬릿(11, 13)에 대해서는, 복수 개소에서 크로스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길이 방향 슬릿(11)에 대하여, 중앙에서 크로스하는 가로 방향 슬릿(13)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양측에 짧은 길이의 가로 방향 슬릿(13a)을 크로스시키거나, 가로 방향 슬릿(13)에 대하여, 중앙에서 크로스하는 길이 방향 슬릿(11)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양측에 짧은 길이의 길이 방향 슬릿(11a)을 크로스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긴 슬릿(11, 13) 및 짧은 슬릿(11a, 13a)을 조합하여 크로스시킴으로써, 슬릿을 형성한 주변 영역을 변형시키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에서 긴 슬릿(11, 13)끼리 크로스시키고, 단부측에서 짧은 슬릿(11a, 13a)을 크로스시킴으로써, 중심 영역을 변형시키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의 슬릿을 신발창(10)의 무지구부(A1) 및 소지구부(A2)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함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미끄러지기 어려운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신발창의 이면도이고, (b)는 보행 시에 있어서의 신발창의 굴곡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가로 방향 슬릿(13, 13b 내지 13g)을 형성하고, 각각의 가로 방향 슬릿에, 복수의 길이 방향 슬릿(11, 11b 내지 11d)을 크로스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후술하는 범위 R1에 형성되는 가로 방향 슬릿을 부호 13로 나타내고, 그 양쪽 사이드에 형성되는 가로 방향 슬릿을 부호 13b, 13c…로 나타내고, 중앙 위치에 형성되는 길이 방향 슬릿을 부호 11로 나타내고, 그 양쪽 사이드에 형성되는 길이 방향 슬릿을 부호 11b, 11c…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신발창(10)에 복수의 길이 방향 슬릿을 형성하는 경우, 중앙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11)의 길이를, 측연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11b, 11c, 11d)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길이 방향의 중심 영역(중심축)이 변형되기 쉬워져, 발바닥의 중심축에서 돌이나 바위 등을 받기 쉬워, 무리한 자세에서도 안정되게 보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슬릿을 복수 형성하는 경우, 신발창 전체를 고려하여 중심축 영역이 가장 변형되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으면 되고, 측연부 영역에, 부분적으로 긴 길이 방향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무지구부(A1) 및 소지구부(A2)가 위치하는 길이 방향의 범위 R1 내에, 가로 방향 슬릿(13)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에 가로 방향 슬릿(13)을 형성해 둠으로써,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과장하여 도시함), 보행 시에 있어서, 특히 발바닥의 변형이 필요한 부위를 변형시킬 수 있어, 보행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돌, 바위 등의 요철 표면에의 발바닥 변형의 추종성이 향상되어, 미끄러지기 어려워 안정되게 보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범위 R1 내에 형성되는 가로 방향 슬릿(13)에 대해서는, 신발창에서 굴곡되기 쉽도록, 길이를 가장 길게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신발창 부분의 이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가로 방향 슬릿(13, 13b 내지 13m)에 대하여, 각각 복수의 길이 방향 슬릿(11, 11b)을 크로스하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무지구부(A1) 및 소지구부(A2)가 위치하는 길이 방향의 범위 R1 내에 가로 방향 슬릿(13)을 형성하고, 이 가로 방향 슬릿(13)의 길이를, 그 이외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가로 방향 슬릿(13b 내지 13m)보다 길게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상기한 범위 R1에 있어서의 굴곡성(변형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보행성의 향상 및 미끄러지기 어려워 안정된 보행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신발창 이면에 형성되는 슬릿의 구성에 특징이 있고,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신발창의 구성이나 재질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경질부나 연질부가 형성되어 있거나, 요철(스파이크 핀도 포함한다)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형성되는 슬릿의 폭에 대해서도, 적절히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1: 낚시용 신발
2: 신발 본체
10: 신발창
11, 11a 내지 11d: 길이 방향 슬릿
13, 13a 내지 13m: 가로 방향 슬릿
A1: 무지구부
A2: 소지구부

Claims (12)

  1. 신발 본체의 저면에 신발창을 피착한 낚시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 표면에, 길이 방향 슬릿과 가로 방향 슬릿을 크로스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각 슬릿은, 신발창의 측면에 이르지 않게 형성되는 동시에, 각 슬릿에 의해 폐쇄된 영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한 슬릿은 신발창의 저면에 점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슬릿은, 신발창의 주연으로부터 5mm 이상 이격된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신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슬릿과 가로 방향 슬릿이 크로스한 부분은, 신발창의 무지구부 및 소지구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신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슬릿은, 신발창의 중앙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신발창의 측연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신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 슬릿은, 무지구와 소지구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그 이외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신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슬릿과 가로 방향 슬릿은, 복수 개소에서 크로스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신발.
  7. 신발 본체의 저면에 피착되는 신발창이며,
    상기 신발창 표면에, 길이 방향 슬릿과 가로 방향 슬릿을 크로스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각 슬릿은, 신발창의 측면에 이르지 않게 형성되는 동시에, 각 슬릿에 의해 폐쇄된 영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한 슬릿은 신발창의 저면에 점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슬릿은, 신발창의 주연으로부터 5mm 이상 이격된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슬릿과 가로 방향 슬릿이 크로스한 부분은, 신발창의 무지구부 및 소지구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슬릿은, 신발창의 중앙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신발창의 측연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 슬릿은, 무지구와 소지구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그 이외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슬릿과 가로 방향 슬릿은, 복수 개소에서 크로스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KR1020120062453A 2011-10-28 2012-06-12 낚시용 신발 및 신발창 Expired - Fee Related KR101879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36677A JP5782359B2 (ja) 2011-10-28 2011-10-28 釣用靴、及び靴底
JPJP-P-2011-236677 2011-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553A KR20130047553A (ko) 2013-05-08
KR101879876B1 true KR101879876B1 (ko) 2018-07-18

Family

ID=48196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453A Expired - Fee Related KR101879876B1 (ko) 2011-10-28 2012-06-12 낚시용 신발 및 신발창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82359B2 (ko)
KR (1) KR101879876B1 (ko)
CN (1) CN1030825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5365B2 (ja) * 2013-03-04 2017-06-07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乾式防水シール材
US10070688B2 (en) * 2015-08-14 2018-09-11 Nike, Inc. Sole structures with regionally applied auxetic openings and sip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4986A (en) * 1936-06-13 1938-07-26 Us Rubber Prod Inc Rubber sole and heel
GB1107417A (en) * 1964-08-06 1968-03-27 Ind Lemm & Co Gmbh Soles for sports shoes
JP2002085106A (ja) * 2000-09-14 2002-03-26 Otsuka Seika Kk 防滑性の靴底及びこの靴底を装着した防滑性の靴
JP2002238614A (ja) * 2001-02-13 2002-08-27 Shimano Inc 魚釣用ブーツ
KR20060110756A (ko) * 2005-04-19 2006-10-2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신발 바닥재 및 낚시용 신발
KR20110109838A (ko) * 2010-03-30 2011-10-06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시용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0741A (en) * 1916-11-01 1917-11-29 Myron Burdett Hammon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ose Suspenders.
DE2216872C3 (de) * 1972-04-07 1982-04-08 Adidas Sportschuhfabriken Adi Dassler Kg, 8522 Herzogenaurach Laufsohle aus biegeelastischem Kunststoff für Sportschuhe
JPH06436A (ja) * 1992-06-23 1994-01-11 Konica Corp 塗布方法及び装置
CN2488330Y (zh) * 2001-06-28 2002-05-01 朱望泉 防滑垫
CN2917353Y (zh) * 2006-06-05 2007-07-04 丁国南 一种止滑橡胶鞋底
CN201219549Y (zh) * 2008-03-11 2009-04-15 万贤能 一种防滑鞋大底
US8424225B2 (en) * 2009-11-30 2013-04-23 Nike, Inc. Channeled sole for an article of footwea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4986A (en) * 1936-06-13 1938-07-26 Us Rubber Prod Inc Rubber sole and heel
GB1107417A (en) * 1964-08-06 1968-03-27 Ind Lemm & Co Gmbh Soles for sports shoes
JP2002085106A (ja) * 2000-09-14 2002-03-26 Otsuka Seika Kk 防滑性の靴底及びこの靴底を装着した防滑性の靴
JP2002238614A (ja) * 2001-02-13 2002-08-27 Shimano Inc 魚釣用ブーツ
KR20060110756A (ko) * 2005-04-19 2006-10-2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신발 바닥재 및 낚시용 신발
KR20110109838A (ko) * 2010-03-30 2011-10-06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시용 신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6004362(PDF 첨부) *
독일 특허공개공보 GB1107417(1968.03.27.)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94185A (ja) 2013-05-20
CN103082569B (zh) 2015-07-01
CN103082569A (zh) 2013-05-08
KR20130047553A (ko) 2013-05-08
JP5782359B2 (ja)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239184B2 (en) Sole structure with bottom-loaded compression
US7204044B2 (en) Sole for article of footwear for granular surfaces
US7047672B2 (en) Sole for article of footwear for sand surfaces
AU2008362408B2 (en) Shoe sole of athletic shoe with high running efficiency
US9526298B2 (en) Footwear with improved sole assembly
US10448705B2 (en) Shoe sole with improved grip capacity
JP5601593B2 (ja) 衝撃分散機能と転がり歩行機能を有する履物の中敷き
JP2012020136A (ja) 改善されたソールを有する靴
US10244823B2 (en) Shoe heel cup protection device
US20240057723A1 (en) Footwear trac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853519B (zh) 鞋底部件及钓鱼用鞋
KR101879876B1 (ko) 낚시용 신발 및 신발창
CN102204733B (zh) 钓鱼用鞋的防滑结构
KR101838296B1 (ko) 낚시용 신발
KR101223095B1 (ko) 탈부착식 밑창이 구비된 낚시화
JP2002238614A (ja) 魚釣用ブーツ
JP6903722B2 (ja) ソ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ゴルフシューズ
JP5254929B2 (ja) 釣用ブーツ
JP2008005766A (ja) 釣り用靴
JP5255010B2 (ja) 釣用靴
CN116725286A (zh) 鞋底及具备该鞋底的鞋
JP2002177003A (ja) 魚釣用ブーツ
JP2011177258A (ja) 釣用靴
JP2011229444A (ja) 釣用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1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6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