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346B1 - Fishing float having buoyancy control and luminous function - Google Patents
Fishing float having buoyancy control and luminous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9346B1 KR101879346B1 KR1020170111071A KR20170111071A KR101879346B1 KR 101879346 B1 KR101879346 B1 KR 101879346B1 KR 1020170111071 A KR1020170111071 A KR 1020170111071A KR 20170111071 A KR20170111071 A KR 20170111071A KR 101879346 B1 KR101879346 B1 KR 1018793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oyancy
- light emitting
- upper body
- switch
- 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4
- 235000019504 cigaret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89 div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 H05B37/0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상부몸체를 가압조절하여 부력을 단계별로 손쉽게 조절하며 야간낚시시 시인성을 높이기 위한 발광기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goggle having a buoyancy control and a light emitting function. The fishing goggle has a buoyancy control and a light emission function for effectively controlling a light emitting function for increasing visibility during night fishing, It is about a fishing rod.
일반적으로 낚시찌는 식별가능한 다양한 크기와 색상으로서 부력을 갖는 몸체의 하부에 무게추가 형성되게 하여 수면에 자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 그 중심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게 하여 통공 상부로부터 낚시줄을 관통시켜 낚시찌를 관통한 낚시줄 단부에 바늘을 묶어 주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a fishing rod is formed to be able to stand on the water surface in such a manner that a weight is additionally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a body having a buoyancy as various sizes and colors to be identified, and a through hole penetrating vertically is formed at its center portion, So that a needle is tied to the end portion of the fishing line passing through the fishing tackle.
또한 낚시찌는 크게 찌매듭과 수중찌를 통하여 미리 주어진 수심층을 공략하는 반유동용과 찌매듭없이 다양한 수심층을 공략하는 전유동용으로 구분되고 또 몸체 내에는 케미컬라이트등 발광체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여 야간에도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fishing rod is divided into half-flow for exploiting the water depth layer given beforehand through the fishbone and aqueduct, and full-motion for the purpose of exploiting a variety of water depth layers without a platelet. In addition, space for installing a chemical light, such as chemical light, To enjoy.
이러한 모든 종류의 구멍찌는 기본적으로 물고기가 바늘에 끼워진 미끼를 흡입하게 되면 그로 인한 낚시줄의 당김으로 잠수하도록 하여 구멍찌의 잠수로 어신을 감지하여 챔질을 하도록 구성된다.All of these types of holes are basically constructed so that when a fish sucks a bait inserted in a needle, it is submerged by the pulling of the fishing line, and the fish is sensed by diving of the hole to be a fish.
그러나 물고기는 어종이나 크기에 따라 입질의 세기가 다르고 또 크기가 같은 동일 어종이라 하더라도 낚시 당일의 조류의 흐름이나 물색 그리고 계절등 주변여건에 따라 입질의 세기를 달리 하므로 입질이 미약할 경우 낚시꾼이 집중을 하여 구멍찌를 주시한다 하더라도 입질유무를 확인하기 어렵고 또 파도가 칠 경우에는 더더욱 입질유무를 확인하기 어려우며, 더 나아가 강한 입질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구멍찌가 조류를 따라 진행하여 낚시꾼과의 거리가 멀어질 경우에는 입질여부를 곧바로 인지하지 못해 헛챔질로 이어지게 되므로 그만큼 어획량 감소를 가져오게 됨은 물론 손맛을 볼 기회가 줄어들어 낚시에 대한 흥미를 반감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However, even if fish of the same species are of the same size and different strength depending on the species and size of the fish, the strength of the fish varies depending on the current conditions such as the flow of birds on the fishing day and the seasons. It i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fish is being worn even if the fish catches the fish, and it i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fish is wet when the waves are applied. Further, if the fish catches the fish, It does not immediately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fish are being nourished, which leads to stagnation, which leads to a decrease in the amount of catch, as well as a decrease in the chance of catching fish, thereby reducing the interest in fishing.
그래서 종래에는 국내등록특허 제10-1125560호(낚시용 구멍찌)와 국내등록특허 제10-1003742호(낚시찌)가 공개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멍찌 또는 낚시찌는 낚시를 할 때 조석현상으로 인한 수심, 조속, 풍속의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변화하는 현장상황에 맞게 반원구술, 구멍찌, 완충고무, 중량추(수중찌)등을 원줄에서 분리하고 현장상황에 적절한 구멍찌와 중량추를 선택하여 소품과 함께 다시 원줄에 꿰고 매듭을 완성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작업시간의 소비와 불편함이 따르고 또한 다수의 구멍찌와 중량추(수중찌)를 구매해야 하는 부담감도 큰 문제점이 있다. Thus, in the prior art, Korean Patent No. 10-1125560 (fishing hook) and Korean Patent No. 10-1003742 (fishing hook) have been disclosed. However, the conventional hole or fishing hook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when fishing, To cope with changes in water depth, speed, and wind speed, it is necessary to separate semicircular dictation, hole, buffer rubber, weight weight (water chain) It is necessary to finish the knot again by inserting it into the original line. In order to do so, consumption of working time and inconvenience are accompanied,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burden of purchasing a large number of holes and weight pieces (aqueduct) is great.
한편, 낚시찌를 사용하여 야간에 낚시를 할 경우에는 낚시찌의 움직임보다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화학적 반응에 의해 발광하는 케미컬라이트(Chemical light)를 낚시찌에 꽂아서 사용하게 되는 바, 상기 케미컬라이트는 빛의 휘도(輝度)나 광량이 부족하여 다소 떨어진 거리에서는 시인성이 저하됨은 물론, 사용수명이 8 ~ 10시간 정도로 매우 짧은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fishing is performed at night by using a fishing rod, a chemical light that emits light by a chemical reaction is usually inserted into a fishing rod so that the fishing light can be grasped more easily than the motion of a fishing ro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visibility is deteriorated at a somewhat distant distance due to insufficient brightness and light quantity, and the service life is very short as about 8 to 10 hou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부몸체 내부에 설치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하부가 탄성지지되게 상부몸체를 설치하며, 상부몸체의 회전조작으로 내부의 부력을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중부몸체에 서로 다른 높이로 다수 형성되는 부력조절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부력조절돌기를 상부몸체에 형성하여 내부 부력의 단계별 조절을 통해 낚시터의 여건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가능한 동시에 특정위치로 상부몸체를 회전조절한 후 가압하면 상부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발광부의 점등 및 소등이 손쉽게 제어될 수 있는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pper body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spring provided inside a lower body, The buoyancy adjusting protrusion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buoyancy adjusting grooves formed at a plurality of heights at different heights are formed on the upper body so that the buoyancy adjusting protrusions can be appropriately responded to the conditions of the fishing boat through the stepwise adjustment of the internal buoyancy, And has a buoyancy control and a light emitting function that can be easily controlled to turn on and off the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inside the upper body when the post pressure is applied.
본 발명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는 상부 개방형이며 중앙부로 원줄이 관통되는 원줄관통돌부(100)가 소정높이 원통형으로 돌출되어 내측 하단부 중앙으로 형성되고, 내측 중공부 공간에 탄성스프링(11)과 탄성스프링(11)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링형상의 스프링받침부(12)가 내부 하측으로 설치되는 하부몸체(10);The fishing cigarette having the buoyancy control and the light emi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pper opening type, a circular-
상,하부 개방형으로 하부가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부 내측으로 나사결합되며 상부측 내주연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다수의 부력변환홈(21)이 형성되는 중부몸체(20);And a plurality of buoyancy conversion grooves (21) which are screw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upper portion and have different heights, 20);
하부 개방형으로 중앙부에 원줄이 통과되도록 내측 중앙부에 하부로 연장된 돌출파이프(32)가 형성되며 상기 중부몸체(20)의 상부 내측으로 설치되면서 하단이 상기 탄성스프링(11)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상부 가압 회전에 의해 상기 각 부력변환홈(21)에 선택적으로 결착되어 내부의 부력을 단계별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하부 외측면에 부력변환돌기(31)가 형성되는 상부몸체(30);A
상기 상부몸체(30)를 정해진 위치에 회전 후 상부 가압시 하부몸체(10)의 내부 일측 하부에 형성된 스위치받침편(104)에 하단이 가압되어 발광 또는 소등되도록 상기 상부몸체(30)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발광부(40);When the
상단은 상기 상부몸체(30)의 돌출파이프(32) 하단에 설치되며 하단은 원줄관통돌부(100)의 중앙부로 내삽되는 연결파이프(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necting
본 발명은 상부몸체의 간단한 회전조작으로 원하는 내부의 부력을 단계적으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낚시찌 하나만 갖고도 다양한 수심과 환경을 갖는 낚시터에 대응 가능하여 많은 수의 찌와 봉돌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채비교체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동시에 상부몸체를 특정위치에 회전조절 후 가압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발광부를 점등 또는 소등시킬 수 있어 밤낚시 도중 점등과 소등을 위해 배터리를 결합 및 분리시켜야 하는 불필요한 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낚시인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며 필요시에만 발광부를 손쉽게 점등시켜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buoyancy of a desired internal buoyancy can be easily and stepwise adjusted by a simple rotation operation of the upper body,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 fishing boat having various depths and environments even with only one fishing boa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can be turned on or off by a simple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upper body to a specific position and then pressing the light emitting unit. Thus, unnecessary work is required to combine and separate the batteries for lighting and turning off during night fishing It is convenient for the fishermen and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battery by easily lighting the light emitting unit only when necessary.
또한 하나의 낚시찌로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어 주야겸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낚시찌의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both the buoyancy control and the light emission function with a single fishing rod, and thus it can be conveniently used for both day and night, thereby reducing the purchase cost of the fishing r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의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의 하부몸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의 하부몸체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의 중부몸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의 상부몸체 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shing tackle having buoyancy control and light emi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shing tackle having buoyancy control and light emission fun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separation of a fishing boat having a buoyancy control and a light emi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ower body of a fishing cigarette having buoyancy control and light emi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plan view of a fishing tackle having buoyancy control and light emi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iddle body of a fishing rod having buoyancy control and light emi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pper body of a fishing tackle having buoyancy control and light emi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의 분리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의 하부몸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의 하부몸체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의 중부몸체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의 상부몸체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shing rod having a buoyancy control and a light emi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 fishing rod having a buoyancy control and a light emi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ower part of a fishing cigarette having a buoyancy control and a light emi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ottom view of a lower part of a fishing cigarette having a buoyancy control and a light emi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iddle part of a fishing cigarette having a buoyancy control and light emi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an upper body of a fishing cigarette having a buoyancy control and a light emi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개방형이며 중앙부로 원줄이 관통되는 원줄관통돌부(100)가 소정높이 원통형으로 돌출되어 내측 하단부 중앙으로 형성되고, 내측 중공부 공간에 탄성스프링(11)과 탄성스프링(11)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링형상의 스프링받침부(12)가 내부 하측으로 설치되는 하부몸체(10);As shown in FIGS. 1 to 3, the fishing cigarette having the buoyancy control and light emi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s a center of the lower inner side by protruding in a cylindrical shape at a predetermined height, A
상,하부 개방형으로 하부가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부 내측으로 나사결합되며 상부측 내주연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다수의 부력변환홈(21)이 형성되는 중부몸체(20);And a plurality of buoyancy conversion grooves (21) which are screw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upper portion and have different heights, 20);
하부 개방형으로 중앙부에 원줄이 통과되도록 내측 중앙부에 하부로 연장된 돌출파이프(32)가 형성되며 상기 중부몸체(20)의 상부 내측으로 설치되면서 하단이 상기 탄성스프링(11)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상부 가압 회전에 의해 상기 각 부력변환홈(21)에 선택적으로 결착되어 내부의 부력을 단계별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하부 외측면에 부력변환돌기(31)가 형성되는 상부몸체(30);A
상기 상부몸체(30)를 정해진 위치에 회전 후 상부 가압시 하부몸체(10)의 내부 일측 하부에 형성된 스위치받침편(104)에 하단이 가압되어 발광 또는 소등되도록 상기 상부몸체(30)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발광부(40);When the
상단은 상기 상부몸체(30)의 돌출파이프(32) 하단에 설치되며 하단은 원줄관통돌부(100)의 중앙부로 내삽되는 연결파이프(50)로 구성된다.And the upper end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projecting
상기 하부몸체(1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측으로 중공부 공간을 갖는 반구형상으로 중앙부는 관통되어 원줄이 통과될 수 있게 원줄관통돌부(100)가 원통형으로 소정높이 돌출되어 하부몸체(10)의 내측 하단부 중앙에 형성된다.The
상기 하부몸체(10)의 내측으로는 상부몸체(3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11)이 수용되며, 탄성스프링(11)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링형상을 갖는 스프링받침대(120)가 하부몸체(10)의 내주연 하부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된 다수의 지지돌기(102) 상부에 안착되어 상측으로는 탄성스프링(11)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An
상기 스프링받침대(120)의 상부면에는 상부에 안착된 탄성스프링(1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단으로 소정높이 돌출된 스프링이탈방지턱(122)이 형성되어 탄성스프링(11)의 하단이 스프링받침대(120)의 상단에서 스프링이탈방지턱(122)의 내측으로 설치될 수 있게 한다.A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10)의 내부에는 하단부 일측이며 상기 원줄관통돌부(100)의 외측 일정구간에 발광부(40)를 발광 또는 소등시키기 위한 스위치받침편(104)이 고정되어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상기 중부몸체(20)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부 내측으로 하부가 나사결합되어 설치된다.The
이때, 상기 중부몸체(20)가 하부몸체(10)의 상부 내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하부몸체(10)의 내측으로 설치된 탄성스프링은 중부몸체(20)의 하부 내측으로 수용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하부몸체(10)와 중부몸체(20)의 사이 결합부위에는 밀폐력을 높여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하부몸체(10)의 상단 내측으로 형성되는 하부몸체오링홈(105)으로 오링(15)이 설치된다.In order to increase the sealing force between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부몸체(20)에는 상부측에 내측을 향해 직경이 축소된 중부몸체내측단턱(200)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중부몸체내측단턱(200)에는 상부측 내주연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동일각도)으로 이격되며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다수의 부력변환홈(21)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이때, 다수의 부력변환홈(21)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되,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부력변환홈(21)간에는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상기 상부몸체(30)는 하부 개방형이며 내측으로 중공부 공간을 갖는 반구형상으로 하부가 상기 중공몸체(2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면서 하단이 상기 중부몸체(20)의 내측으로 수용된 탄성스프링(11)에 의해 탄성지지된다.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30)에는 하부에 상기 중부몸체내측단턱(200)과 대응되는 플랜지부(302)가 형성되어 중부몸체(20)에 결합된 상부몸체(30)의 상부이탈을 막아주며, 상기 플랜지부(302)의 하단에는 탄성스프링(11)의 가압 및 가압해제시 탄성스프링의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이탈방지턱(303)이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탄성스프링(11)의 상단이 상부몸체(30)의 하단에서 스프링이탈방지턱(303)의 내측으로 설치되면서 탄성스프링(11)의 상단이 스프링이탈방지턱(303)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한다.7, the
이때, 상기 플랜지부(302)의 외주연 중앙부에는 밀폐력을 높여 낚시찌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링수용홈(306)이 형성되어 오링수용홈(306)으로 오링(36)이 설치되면서 내부공간이 효과적으로 밀폐될 수 있게 한다.At this time, an O-
상기 상부몸체(30)에는 상부 가압회전에 의해 낚시찌 내부의 부력을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부측 외주연이며, 상기 플랜지부(302)의 상측단으로 각 부력변환홈(21)에 선택적으로 결착될 수 있는 부력변환돌기(31)가 돌출되어 형성되되, 부력변환돌기(31)의 상단높이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다수의 부력변환홈(21) 중 상단높이가 가장 높게 형성되는 부력변환홈(21)과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여 다수의 부력변환홈(21) 높이에 모두 대응하여 부력변환돌기(31)가 결착될 수 있게 한다.The
따라서, 하단이 탄성스프링(11)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상부몸체(30)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하강시키면 어느 한 부력변환홈(21)에 결착되어 있던 부력변환돌기(31)가 부력변환홈(21)에서 하강하면서 부력변환홈에서 분리되므로 상부몸체(30)가 회전 조절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고, 이때 상부몸체(30)를 일정각도 회전시킨 후 원하는 위치에서 상부 가압을 해제하면 상부몸체(30)가 상승되면서 부력변환돌기(31)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부력변환홈(21)으로 결착되므로 부력변환돌기(31)가 결착되는 부력변환홈(21)의 높이에 따라 중부몸체(20)에 결합되는 상부몸체(30)의 결합높이가 달라지면서 낚시찌 내부의 부력을 단계별로 변환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이때, 상기 부력변환돌기(31)는 상부몸체의 외측면 일측으로 단일 또는 상부몸체의 외측면 일측과 마주하는 방향의 타측으로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부몸체(30)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확인하면서 부력의 조절이 손쉽고 편리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몸체의 상부 외측면에 상기 부력변환돌기(31)와 동일한 수직선상으로 "▼"형상의 위치표시부(310)가 인쇄되어 형성되고, 중부몸체(20)의 외측면 둘레에는 각 부력변환홈(21)과 대응되도록 동일각도의 위치에 다수의 부력표시문자(210)가 인쇄되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다수의 부력표시문자(210)는 일예로 G2, G3, G4, 0ㅀ,3B, 5B 등의 문자로 각 부력변환홈(21)과 동일각도 위치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위치표시부(310)의 위치를 보면서 원하는 부력표시문자(210)의 위치에 위치표시부(310)를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낚시찌의 부력을 사용자가 원하는 부력으로 손쉽게 변환시킬수 있게 된다.The plurality of
상기 상부몸체(30)의 내측으로는 중앙부에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로 원줄이 관통되도록 내부 중공형의 돌출파이프(32)가 형성된다.An inner hollow protruding
상기 발광부(40)는 상부몸체(30)의 상부 가압에 의해 발광 또는 소등될 수 있도록 상부몸체(30)의 내측에서 상기 돌출파이프(32)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발광부하우징(41)과, 상기 발광부하우징(41)의 상단으로 설치되는 제1,2LED램프(42A,42B)와, 상기 발광부하우징(41)의 내부 일측으로 관통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2램프(42A,42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2LED램프(42A,42B)를 발광 또는 소등시키는 on/off 스위치편(43)과, 상기 발광부하우징(41)에 교체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on/off 스위치편(43) 및 제1,2LED램프(42A,42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1,2배터리(42A,42B)로 구성된다.The
상기 on/off 스위치편(43)은 하부가 상기 발광부하우징(41) 보다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발광부(40)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고자 할때 상기 상부몸체(20)를 회전시켜 on/off 스위치편(43)이 하부몸체(10)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받침편(104)의 상측으로 위치시킨 후 상부몸체(20)를 가압시키면 상부몸체(20)가 하강하면서 on/off 스위치편(43)의 하부가 스위치받침편(104)의 상단에 의해 가압되어 발광부의 전원이 온상태가 되어 상기 제1,2LED램프(42A,42B)를 점등시키고 제1,2LED램프(42A,42B)가 점등된 상태에서 다시 한번 상부몸체(20)를 가압시키면 on/off 스위치편(43)의 하부가 스위치받침편(104)에 상단에 가압되면서 전원이 오프상태가되어 제1,2LED램프(42A,42B)를 소등시키게 된다.The on / off
한편, 상기 발광부(40)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할 수 있는 on/off 스위치편(43)을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받침편(104)과 동일한 수직선상으로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부몸체(30)의 하부 외측면에는 on/off 스위치편(43)과 동일한 수평선상이며, on/off 스위치편(43)과 인접되는 상부몸체(30)의 외측면 위치에 "●"또는"★"등으로 된 발광표시부(300)가 인쇄되어 형성되고, 상기 중부몸체(20)에는 상기 스위치받침편(104)과 동일한 수직성상이며 상기 발광표시부(300)와 동일한 수평선상으로 형성되는 관통공(22)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n on / off
즉, 상기 발광표시부(300)가 관통공(22)에 내에 위치된 상태는 상기 on/off 스위치편(43)이 상기 스위치받침편(104)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임을 나타내므로 사용자는 발광부(40)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할 수 있는 상부몸체(10)의 회전위치를 발광표시부(300)와 관통공(22)에 의해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state where the light emitting
상기 관통공(22)에는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외측이 투명창(220)으로 형성된다.The through hole (22) is formed with a transparent window (220) on the outer side in order to block water from flowing into the through hole (22).
한편, 부력조절을 위해 상부몸체(30)의 가압시에는 on/off 스위치편(43)의 하부가 스위치받침편(104)에 가압되어 전원이 on/off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on/off 스위치편(43)과 상단과 스위치받침편(104)의 하단 사이거리는 상기 부력변환돌기(31)의 형성높이보다 높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 연결파이프(50)는 내부로 원줄이 관통되도록 내부 중공형으로 상단은 상기 상부몸체(30)에 형성된 돌출파이프(32)의 하단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하단은 하부몸체(10)에 형성된 원줄관통돌부(100)의 중앙부로 내삽되게 상부몸체(30)와 하부몸체(10)의 내부 중앙부로 수직 설치되어 원줄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낚시찌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 상기 보조파이프(40)와 원줄관통돌부(100)의 사이를 오링을 통해 밀폐시켜 낚시찌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하부몸체(10)의 외측 하단부 중앙인 상기 원줄관통돌부(100)의 내측 중앙부로 하부가 개방된 오링수용홈(140)이 형성되어 오링수용홈(140)의 내측 상단으로 설치되는 오링(13)에 의해 보조파이프(40)와 원줄관통돌부(100)의 사이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킨다.4, in order to seal the space between the
상기 오링수용홈(140)에는 상부몸체(30)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연결파이프(50)에 의해 오링(13)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앙부가 관통되고 상기 오링수용홈(140)과 대응되는 직경인 상부 원통형의 오링고정부(140)가 오링수용홈(140)으로 설치되어 오링(13)이 오링수용홈(140) 내에서 유동없이 고정력있게 설치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O-
상기와 같이 내측으로 스위치받침편(104)과 스프링받침부(12), 탄성스프링(11)이 설치되는 하부몸체(10)의 상측으로 중부몸체(20)가 나사결합되고, 내측으로 발광부(40)와 연결파이프(50)가 설치된 상부몸체(20)가 상기 중부몸체(20)의 상측으로 탄성스프링(11)에 의해 탄성지지되게 조립되는 낚시찌의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사용자가 야간낚시를 할경우를 예를 들면, 먼저 발광부(40)를 점등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상부몸체(30)를 상부에서 가압시키면 상부몸체(30)가 하강하면서 부력변환돌기(31)가 부력변환홈(21)에서 분리되어 상부몸체(30)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발광표시부(300)가 관통공(22) 내로 위치되게 상부몸체(30)를 회전시킨 다음 가압을 해제하면 상부몸체(30)가 상승하면서 부력변환돌기(31)는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부력변환홈(21)으로 결착되어 위치가 고정된 상태가 되고, 발광부(40)의 on/off 스위치편(43)은 상부몸체(30)의 회전조절에 의해 하부몸체(10)의 내측에 고정된 스위치받침편(104)과 동일한 수직선상으로 위치된 상태가 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상기 발광표시부(300)를 관통공(22) 내로 위치시킨 후에는 사용자가 상부몸체(30)를 가압하여 발광부(40)가 함께 하강되게 하여 on/off 스위치편(43)의 하부가 상기 스위치받침편(104)에 가압되면서 전원이 온상태가 되어 on/off 스위치편(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2LED램프(42A,42B)가 점등되게 한다.After the light emitting
이때, 상기 발광부(40)가 점등된 상태에서 상부몸체(30)를 한번더 가압시키면 on/off 스위치편(43)의 하부가 상기 스위치받침편(104)에 가압되면서 전원이 오프상태가 되어 제1,2LED램프(42A,42B)가 소등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상기 제1,2LED램프가 점등 또는 소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낚시찌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부몸체(30)를 가압하고 상부몸체(30)에 표시된 위치표시부(310)가 중부몸체(20)에 표시된 부력표시문자(210)의 원하는 위치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상부몸체(30)를 회전시킨 후 가압을 해제시켜 부력변환돌기(31)가 부력변환홈(21)에 결착되면서 부력변환홈(21)의 형성 높이에 의해 상부몸체(30)의 높이가 변경되므로 낚시찌 내부의 부력이 조절되게 한다.In order to control the buoyancy of the fishing rod in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LED lamps are turned on or off, the
10-하부몸체
11-탄성스프릉
12-스프링받침부
100-원줄관통돌부
20-중부몸체
21-부력변환홈
30-상부몸체
31-부력변환돌기
31-돌출파이프
40-발광부
41-발광부하우징
42A-제1LED램프
42B-제2LED램프
43-on/off 스위치편
44A-제1배터리
44B-제2배터리
50-연결파이프10- Lower body
11 - Elastic soup
12-spring bearing portion
100-
20-center body
21-Buoyancy conversion groove
30-upper body
31-buoyancy conversion projection
31-Extruded pipe
40-
41- Light emitting housing
42A-first LED lamp
42B-second LED lamp
43-on / off switch
44A-first battery
44B - Second battery
50-connection pipe
Claims (8)
상,하부 개방형으로 하부가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부 내측으로 나사결합되며 상부측 내주연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다수의 부력변환홈(21)이 형성되는 중부몸체(20);
하부 개방형으로 중앙부에 원줄이 통과되도록 내측 중앙부에 하부로 연장된 돌출파이프(32)가 형성되며 상기 중부몸체(20)의 상부 내측으로 설치되면서 하단이 상기 탄성스프링(11)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상부 가압 회전에 의해 상기 각 부력변환홈(21)에 선택적으로 결착되어 내부의 부력을 단계별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하부 외측면에 부력변환돌기(31)가 형성되는 상부몸체(30);
상기 상부몸체(30)를 정해진 위치에 회전 후 상부 가압시 하부몸체(10)의 내부 일측 하부에 형성된 스위치받침편(104)에 하단이 가압되어 발광 또는 소등되도록 상기 상부몸체(30)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발광부(40);
상단은 상기 상부몸체(30)의 돌출파이프(32) 하단에 설치되며 하단은 원줄관통돌부(100)의 중앙부로 내삽되는 연결파이프(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A through-hole penetrating protrusion (100) having an upper opening and a through-hole at a center is protru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lower end. The elastic spring (11) and the elastic spring A lower body 10 in which a ring-shaped spring bearing portion 12 is installed in an inner lower side;
And a plurality of buoyancy conversion grooves (21) which are screw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upper portion and have different heights, 20);
A protruding pipe 32 extending downward is formed at an inner center portion so as to allow a center line to pass therethrough and a lower end thereof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spring 11 while being install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middle body 20, An upper body (30) selectively coupled to the respective buoyancy conversion grooves (21) by upper pressure rotation to form buoyancy conversion protrusions (31) on the lower outer side so as to convert buoyancy of the buoyancy in stages;
When the upper body 30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n the upper body 30 is pressurized, the lower end of the lower body is pressed against the switch receiving part 104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ody 10, A light emitting portion 40 to be installed;
And a connecting pipe (5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pipe (32) of the upper body (30) and having a lower end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rounding through- bobber.
상기 스프링받침부(12)는 하부몸체(10)의 내주연 하측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의 지지돌기(102)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ring support part (12) is mounted on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102)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lower side of the lower body (10).
상기 하부몸체(10)에는 상기 원줄관통돌부(100)와 연결파이프(50)의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원줄관통돌부(100)의 내측 중앙부에 하부가 개방된 오링수용홈(140)이 형성되어 오링수용홈(140)의 내측 상단으로 오링(13)이 수용되고, 상기 오링수용홈(140)에는 상기 오링(13)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중앙부가 관통되며 상부 원통형의 오링고정부(14)가 오링수용홈(140)의 하측에서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O-ring receiving groove 140 is formed in the lower body 1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O-ring receiving groove 140 is opened at an inner center portion of the rounding through protrusion 100 so as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rounding through- An O-ring 13 is accommodated in an inner upper end of the O-ring receiving groove 140. A center portion of the O-ring 13 is inserted into the O-ring receiving groove 140 to prevent the O- ) Is fitted in the lower side of the O-ring receiving groove (140).
상기 발광부(40)는 상기 돌출파이프(32)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발광부하우징(41)과, 상기 발광부하우징(41)의 상단으로 설치되는 2개의 제1,2LED램프(42A,42B)와 상기 제1,2LED램프(42A,42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발광부하우징(41)내의 일측으로 수직연장되어 수용되되, 하단부가 발광부하우징(41)의 하단보다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10)의 내부의 스위치받침편(104)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 후 상부몸체(30)의 가압시 스위치받침대(120)의 하단부 가압에 의해 on/off 되면서 상기 제1,2LED램프(42A,42B)를 발광 또는 소등시키는 on/off 스위치편(43)과, 상기 발광부하우징(41)내의 타측으로 수용되며 상기 on/off 스위치편(43) 및 제1,2LED램프(42A,42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1,2배터리(44A,44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emitting unit 40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housing 41 installed through the protruding pipe 32 and two first and second LED lamps 42A and 42B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housing 41. [ And the first and second LED lamps 42A and 42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ED lamps 42A and 42B. The first and second LED lamps 42A and 42B are vertically extended to one side of the light emitting unit housing 41, The switch body 120 is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switch receiving part 104 inside the lower body 10 and is turned on / off by pressing the lower end of the switch pedestal 120 when the upper body 30 is pressed. OFF switch piece 43 and the first and second LED lamps 42A and 42B, which are housed in the other side of the light emitting housing 41, And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44A and 44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44A and 44B, respectively. The float.
상기 on/off 스위치편(43)을 상기 스위치받침편(104)과 동일한 수직선상으로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부몸체(30)의 하부 외측면에는 on/off 스위치편(43)과 동일한 수평선상이며 on/off 스위치편(43)과 인접되는 위치에 발광표시부(300)가 인쇄되어 형성되고, 상기 중부몸체(20)에는 상기 스위치받침편(104)과 동일한 수직선상이며 상기 발광표시부(300)와 동일한 수평선상으로 형성되되 외측면에 투명창(220)이 설치된 관통공(22)이 형성되어 on/off 스위치편(43)의 작동위치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The method of claim 4,
In order to easily position the on / off switch piece 43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at of the switch receiving piece 104, on the lower outer side of the upper body 30, And the light emitting display 300 is print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n / off switch piece 43. The light emitting display 300 is formed on the center body 20 i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switch supporting piece 104, And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on / off switch piece (43) can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by forming a through hole (22) having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at of the on / off switch piece (43) .
상기 상부몸체(30)의 하단과 스프링받침대(12)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스프링(1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이탈방지턱(303,122)이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spring release preventing jaws 303 and 122 protrude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30 and the upper end of the spring receiving unit 12 to prevent the elastic spring 11 from being separated. .
상기 상부몸체(30)의 하부이며 상기 부력변환돌기(31)의 하부측에는 상기 중부몸체(20)의 내주연으로 형성되는 중부몸체내측단턱(200)과 대응되는 플랜지부(302)가 확장되어 형성되며, 플랜지부(302)의 중앙부 둘레에는 상부몸체(30)와 중부몸체(20)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36)이 설치되도록 오링수용홈(30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lange portion 302 corresponding to the middle body inner edge 200 formed as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middle body 2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30 and below the buoyancy conversion projection 31, And an O-ring receiving groove 306 is formed arou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302 so that an O-ring 36 for preventing water from flowing between the upper body 30 and the middle body 20 is provided. A fishing tackle with buoyancy control and luminescent function.
상기 상부몸체(30)의 부력조절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상부몸체(30)의 상부 외측면에 상기 부력변환돌기(31)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310)가 부력변환돌기(31)와 동일한 수직선상으로 인쇄되어 형성되고, 상기 중부몸체(20)의 외측면 둘레에는 각 부력변환홈(21)과 동일 위치에 다수의 부력표시문자(210)가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easily adjust the buoyancy of the upper body 30, the position indicator 310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buoyancy conversion protrusion 31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upper body 30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buoyancy conversion projection 31 And a plurality of buoyancy display characters (210) are pri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ral body (20) at the same position as the buoyancy conversion grooves (21). A fishing tackle with a luminous functio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1071A KR101879346B1 (en) | 2017-08-31 | 2017-08-31 | Fishing float having buoyancy control and luminous function |
CN201810968979.XA CN109418237A (en) | 2017-08-31 | 2018-08-23 | The float for fishing for having the function of buoyancy adjustment and light-emitting function |
JP2018162003A JP6587079B2 (en) | 2017-08-31 | 2018-08-30 | Fishing uki with buoyancy control function and light emission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1071A KR101879346B1 (en) | 2017-08-31 | 2017-08-31 | Fishing float having buoyancy control and luminous fun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9346B1 true KR101879346B1 (en) | 2018-07-17 |
Family
ID=6304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1071A Expired - Fee Related KR101879346B1 (en) | 2017-08-31 | 2017-08-31 | Fishing float having buoyancy control and luminous function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587079B2 (en) |
KR (1) | KR101879346B1 (en) |
CN (1) | CN109418237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6570B1 (en) * | 2019-11-27 | 2020-12-30 | 대한민국 | Long-line fishing gear with light-emitting float |
WO2021107227A1 (en) * | 2019-11-29 | 2021-06-03 | 주식회사 다비전 | Hole float for sea fishing |
KR200496149Y1 (en) | 2020-06-23 | 2022-11-16 | 주식회사 바낙스 | Line memory device of a reel for fishing rod |
KR20240034541A (en) | 2022-09-07 | 2024-03-14 | 황의용 | Mathod For Manufacturing A Floa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195313A (en) * | 2019-05-31 | 2020-12-10 |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 Fishing bobber |
WO2024197567A1 (en) * | 2023-03-28 | 2024-10-03 | 连鋐科技股份有限公司 | Wireless fishing monit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5824U (en) * | 2007-12-10 | 2009-06-15 | 최상용 | Luminous float |
KR101505087B1 (en) * | 2014-06-25 | 2015-03-25 | 김재권 | A float having Buoyancy control function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94680U (en) * | 1981-06-08 | 1982-12-09 | ||
JPH08154549A (en) * | 1994-12-02 | 1996-06-18 | Sagou Tekkosho:Kk | Fishing float |
JP2001078636A (en) * | 1999-09-14 | 2001-03-27 | Masaji Nishikawa | Electric float for fishing |
JP2001086909A (en) * | 1999-09-21 | 2001-04-03 | Kenichi Tashiro | Float with lighting |
KR100776777B1 (en) * | 2005-07-04 | 2007-11-28 | 주식회사 원도하이텍 | Fishing Multi Bobber |
US7225580B1 (en) * | 2005-12-24 | 2007-06-05 | Jason Chou | Fishing bobber having light device |
KR20090008782A (en) * | 2007-07-19 | 2009-01-22 | 류지현 | Luminous bobber |
CN201479754U (en) * | 2009-08-13 | 2010-05-26 | 李新民 | Float of adjustable buoyance |
KR20110003876U (en) * | 2009-10-14 | 2011-04-20 | 김재권 | Intergral float |
CN203735298U (en) * | 2014-03-17 | 2014-07-30 |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 Photoelectric float |
CN205250168U (en) * | 2015-12-30 | 2016-05-25 | 徐永胜 | Pass light float and luminous float |
-
2017
- 2017-08-31 KR KR1020170111071A patent/KR10187934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8
- 2018-08-23 CN CN201810968979.XA patent/CN109418237A/en not_active Withdrawn
- 2018-08-30 JP JP2018162003A patent/JP658707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5824U (en) * | 2007-12-10 | 2009-06-15 | 최상용 | Luminous float |
KR101505087B1 (en) * | 2014-06-25 | 2015-03-25 | 김재권 | A float having Buoyancy control functio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6570B1 (en) * | 2019-11-27 | 2020-12-30 | 대한민국 | Long-line fishing gear with light-emitting float |
WO2021107227A1 (en) * | 2019-11-29 | 2021-06-03 | 주식회사 다비전 | Hole float for sea fishing |
KR200496149Y1 (en) | 2020-06-23 | 2022-11-16 | 주식회사 바낙스 | Line memory device of a reel for fishing rod |
KR20240034541A (en) | 2022-09-07 | 2024-03-14 | 황의용 | Mathod For Manufacturing A Floa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418237A (en) | 2019-03-05 |
JP2019041765A (en) | 2019-03-22 |
JP6587079B2 (en) | 2019-10-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9346B1 (en) | Fishing float having buoyancy control and luminous function | |
US3476929A (en) | Illuminated camp mast | |
US4827655A (en) | Illuminable fishing float | |
US20060176686A1 (en) | Submersible lighting device | |
US5362267A (en) | Solar powered buoy | |
US7244038B2 (en) | Illuminable decorative floating device | |
US4291484A (en) | Illuminated fishing float | |
US20110065342A1 (en) | Lighted Dive Buoy | |
US11147263B2 (en) | Fishing light | |
KR20170004014U (en) | Led light emitting chemilight for fishing with improved use | |
US20150257375A1 (en) | Bait lighting and fish attracting bobber | |
JP2007280686A (en) | Water lighting equipment | |
US20050155272A1 (en) | Fishing float for positioning, detecting fish catch and lighting | |
US4010567A (en) | Illuminated fishing float | |
US7121678B1 (en) | Portable emergency light | |
JP4669579B1 (en) | LED luminous body and illumination method thereof | |
KR200480125Y1 (en) | A lighting have position indicating function | |
KR200472974Y1 (en) | Lighting fixtures inside of yellow hemp clothing sailboat | |
US4187533A (en) | Submersible fishing lamp assembly | |
KR102196570B1 (en) | Long-line fishing gear with light-emitting float | |
KR101016942B1 (en) | LED lighting fixture | |
JP3297803B2 (en) | Lighted float | |
KR102340375B1 (en) | Remotely lighting-controlable flowerpot supporting board | |
US9603349B2 (en) | Submersible shrimp light | |
KR102801081B1 (en) | Solar underwater ligh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2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