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014B1 - 내진 보강 구조체 - Google Patents
내진 보강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7014B1 KR101877014B1 KR1020180010263A KR20180010263A KR101877014B1 KR 101877014 B1 KR101877014 B1 KR 101877014B1 KR 1020180010263 A KR1020180010263 A KR 1020180010263A KR 20180010263 A KR20180010263 A KR 20180010263A KR 101877014 B1 KR101877014 B1 KR 1018770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ing member
- coupling
- plate
- earthquake
- cor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보강 구조체가 건축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보강 구조체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코너보강부재가 추가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200: 내진부재어셈블리 210: 제1보강부재
212: 제1결합부 214: 제1완충부
216: 제1연결부 220: 제2보강부재
222: 제2결합부 224: 제2완충부
226: 제2연결부 230: 제3보강부재
232: 고정부 234: 텐션부
236: 결속부 300: 코너보강부재
H: 결합공 S: 내진보상공간
Claims (3)
- 건축 구조물의 창문 공간이나 출입 공간과 같은 개구공간의 내측 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간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볼트 방식으로 고정되어 개구공간을 지지하는 강판부재; 수평한 판 형상의 제1결합부와, 제1결합부의 일단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판 형상의 제1완충부와, 제1완충부의 하단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판 형상의 제1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제1결합부와 제1연결부에는 볼트 결합을 위한 다수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제1보강부재; 상기 제1보강부재와 제1연결부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수직한 판 형상의 제2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일단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판 형상의 제2완충부와, 제2완충부의 상단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1연결부와 밀착되는 판 형상의 제2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제2결합부와 제2연결부에는 볼트 결합을 위한 다수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제2보강부재; 및 상기 강판부재에 면접되어 볼트 결합되는 수평한 판 형상의 고정부와, 고정부의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일체로 형성된 텐션부와, 텐션부의 하단부에서 고정부와 평행하게 수평으로 연장되고 제1보강부재의 제1결합부 또는 제2보강부재의 제2결합부에 면접되어 볼트 결합되는 결속부로 이루어지고, 고정부와 결속부에는 볼트 결합을 위한 다수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구성을 갖는 제3보강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개구공간의 내측면에 강판부재를 대고 볼트 방식으로 고정한 다음, 상기 제1보강부재와 제2보강부재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면접되게 놓은 상태에서 결합공을 통해 볼트 체결 방식으로 서로 고정되게 연결하여 제1보강부재는 제1연결부를 기준으로 제1완충부에 의해 좌우 방향(수평 방향)으로 텐션을 갖고 제2보강부재는 제2연결부를 기준으로 제2완충부에 의해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텐션을 갖게 설치하고, 제1보강부재의 제1결합부의 외면에는 제3보강부재의 텐션부가 제1결합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놓이도록 결속부를 대고 결합공을 통해 볼트 체결 방식으로 서로 고정되게 연결하여 텐션부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텐션을 갖게 설치하며, 제2보강부재의 제2결합부의 외면에는 제3보강부재의 텐션부가 제2결합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놓이도록 결속부를 대고 결합공을 통해 볼트 체결 방식으로 서로 고정되게 연결하여 텐션부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텐션을 갖게 설치하여 내진부재어셈블리를 조립한 후, 조립된 내진부재어셈블리를 개구공간의 내측 코너 부분에 놓고 제1보강부재 및 제2보강부재에 각각 설치된 제3보강부재의 고정부를 대응되는 강판부재에 결합공을 통해 볼트 체결 방식으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구성되며,
상기 내진부재어셈블리를 개구공간의 내측 코너 부분에 설치할 때 제1보강부재의 제1완충부와 제2보강부재의 제2완충부가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코너의 모서리 부분과 내진부재어셈블리 사이에는 내진보상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강판부재는 단부가 내진보상공간 내에서 개구공간의 내측면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제1보강부재와 제2보강부재가 지진동에 의해 이동할 때 서로 간섭되지 않고 완충력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진보상공간에는 코너보강부재가 추가로 설치되되,
상기 코너보강부재는 제1완충부 및 제2완충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변형부와, 변형부의 일단부에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코너의 모서리 부분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코너지지부와, 변형부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완충부 및 제2완충부에 고정되는 밀착부로 구성되어, 지진에 의해 지진동이 발생할 때 변형부가 변형 및 복원되면서 진동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보강 구조체.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0263A KR101877014B1 (ko) | 2018-01-26 | 2018-01-26 | 내진 보강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0263A KR101877014B1 (ko) | 2018-01-26 | 2018-01-26 | 내진 보강 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7014B1 true KR101877014B1 (ko) | 2018-07-11 |
Family
ID=6291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0263A Active KR101877014B1 (ko) | 2018-01-26 | 2018-01-26 | 내진 보강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7014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4538B1 (ko) * | 2020-11-03 | 2021-01-20 | (주)베셀 | 물탱크의 둘레 모서리부 보강장치 |
KR102221890B1 (ko) | 2019-09-02 | 2021-03-02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건물의 내진보강을 위한 조립형 끼움골조 |
KR20230026683A (ko) * | 2021-08-18 | 2023-02-27 | 태야건설 주식회사 | 건축구조용 긴장댐퍼 설치공법 |
KR102687142B1 (ko) * | 2024-02-07 | 2024-07-22 |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 건축물 슬래브의 보강공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6022B1 (ko) * | 2000-01-20 | 2003-06-02 | 가부시키가이샤 닛뽄 에이세이 센터 | 내진용 보강구 |
JP2004150154A (ja) * | 2002-10-31 | 2004-05-27 | Jsk Kk | 建築物耐震用連結補強金具 |
KR200380425Y1 (ko) * | 2005-01-14 | 2005-03-31 | 남상익 | 건축용 보강금구 |
US20060137292A1 (en) * | 2002-12-02 | 2006-06-29 | Nakamura Bussan Co., Ltd. | Reinforcing structure for building and reinforcing member for the structure |
KR20110049064A (ko) * | 2009-11-04 | 2011-05-12 | 주식회사 기주건설 |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내진 보강공법 |
JP2012082668A (ja) * | 2010-02-16 | 2012-04-26 | Norimine Okura | 締結具 |
KR20140004461A (ko) * | 2012-07-03 | 2014-01-13 | (주)다음기술단 | 확장된 통로를 갖는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력 및 부모멘트 보강 장치 |
-
2018
- 2018-01-26 KR KR1020180010263A patent/KR10187701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6022B1 (ko) * | 2000-01-20 | 2003-06-02 | 가부시키가이샤 닛뽄 에이세이 센터 | 내진용 보강구 |
JP2004150154A (ja) * | 2002-10-31 | 2004-05-27 | Jsk Kk | 建築物耐震用連結補強金具 |
US20060137292A1 (en) * | 2002-12-02 | 2006-06-29 | Nakamura Bussan Co., Ltd. | Reinforcing structure for building and reinforcing member for the structure |
KR200380425Y1 (ko) * | 2005-01-14 | 2005-03-31 | 남상익 | 건축용 보강금구 |
KR20110049064A (ko) * | 2009-11-04 | 2011-05-12 | 주식회사 기주건설 |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내진 보강공법 |
JP2012082668A (ja) * | 2010-02-16 | 2012-04-26 | Norimine Okura | 締結具 |
KR20140004461A (ko) * | 2012-07-03 | 2014-01-13 | (주)다음기술단 | 확장된 통로를 갖는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력 및 부모멘트 보강 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1890B1 (ko) | 2019-09-02 | 2021-03-02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건물의 내진보강을 위한 조립형 끼움골조 |
KR102204538B1 (ko) * | 2020-11-03 | 2021-01-20 | (주)베셀 | 물탱크의 둘레 모서리부 보강장치 |
KR20230026683A (ko) * | 2021-08-18 | 2023-02-27 | 태야건설 주식회사 | 건축구조용 긴장댐퍼 설치공법 |
KR102540103B1 (ko) * | 2021-08-18 | 2023-06-05 | 태야건설 주식회사 | 건축구조용 긴장댐퍼 설치공법 |
KR102687142B1 (ko) * | 2024-02-07 | 2024-07-22 |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 건축물 슬래브의 보강공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7014B1 (ko) | 내진 보강 구조체 | |
KR100927737B1 (ko) | 건축 구조물의 내진보강 복합장치 및 내진 보강구조 | |
KR101297416B1 (ko) | 외부 부착형 제진 댐퍼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2105165B1 (ko) | 이중완충구조를 갖는 패널조립체 | |
KR102228485B1 (ko) | 내진용 외장재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2337992B1 (ko) | 건축물용 내진패널 | |
KR102422117B1 (ko) | 내진부착형클립을 갖는 패널조립체 | |
KR100995937B1 (ko) | 철근콘크리트건축물의 내진 보강구조 | |
KR20180010833A (ko) | 헌치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내진 보강 접합부 | |
KR101372087B1 (ko) | 단위 모듈러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철골구조물 보강방법 | |
KR101489848B1 (ko) |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철골프레임에 프리텐션을 도입한 개구부 내진보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867074B1 (ko) | 필로티 구조 건물의 내진 보강구조 | |
KR101648149B1 (ko) | 보강프레임과 방진패드를 이용한 내진보강구조 | |
KR101034789B1 (ko) | 건축물의 제진용 헌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제진 링크 | |
KR102125691B1 (ko) | 감쇠성능이 향상된 좌굴방지 브레이스 | |
KR101827200B1 (ko) | 상부의 단절된 구간에 에너지 소산수단이 설치된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존 건물의 내진보강방법 | |
KR101866864B1 (ko) | 소방용 배관의 내진 클램핑장치 | |
KR20190079423A (ko) | 내진 보강용 댐퍼 | |
JP4902239B2 (ja) | 建築物の壁面構造およびこの壁面構造に使用される制震パネル | |
KR101912711B1 (ko) | 내진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 |
JP5590994B2 (ja) | 弾塑性ブレースを用いた防震工法及び防震構造 | |
KR102222979B1 (ko) | 제진(制震) 장치 | |
KR102493089B1 (ko) | 건축물용 내진패널 | |
JP4825087B2 (ja) |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 | |
KR101403660B1 (ko) |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1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