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5519B1 - 다채널 송수신 모듈 - Google Patents

다채널 송수신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519B1
KR101875519B1 KR1020160157969A KR20160157969A KR101875519B1 KR 101875519 B1 KR101875519 B1 KR 101875519B1 KR 1020160157969 A KR1020160157969 A KR 1020160157969A KR 20160157969 A KR20160157969 A KR 20160157969A KR 101875519 B1 KR101875519 B1 KR 101875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cket
guide
plat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598A (ko
Inventor
양계모
손정권
한세영
소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옵토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옵토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옵토웰
Priority to KR1020160157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519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5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02B6/4236Fixing or mounting methods of the aligned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46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by wave or beam interference
    • G02B6/29361Interference filters, e.g. multilayer coatings, thin film filters, dichroic splitters or mirrors based on multilayers, WDM filters
    • G02B6/29362Serial cascade of filters or filtering operations, e.g. for a large number of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80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 H04B10/801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using optical interconnects, e.g. light coupled isolators,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채널 송수신 모듈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부에 내장된 복수개의 광라인부가 개별적으로 삽입되고, 광신호의 직진성을 유도하는 유도부와, 유도부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전송부와, 전송부와 커넥터에 의해 접속되고 영상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를 갖는 주기판부를 포함하여, 조립성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채널 송수신 모듈{MULTI-CHANNEL TRANSMISSION AND RECEIVING MODULE}
본 발명은 다채널 송수신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성 및 생산성을 개선하고, 손상된 부품만을 선별적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어서 유지 비용을 절감하는 다채널 송수신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거리 통신에 널리 사용중인 광섬유 기반 신호 전송방식은 광대역 및 전자기 간섭에 무관한 동작 등의 장점으로 인해, 고속 및 고밀도의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는 고화질 디지털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를 비롯한 대용량 디지털 미티어 전송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광섬유 기반 신호 전송방식은 단일의 인쇄회로기판에 구동 가능한 모든 칩이 장착되므로, 이들을 동시에 광정렬 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단일 인쇄회로기판에 모든 구동 소자가 실장되면 개별 광신호에 대한 신뢰성 평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23199호(2015.03.05. 공개, 발명의 명칭 : 광섬유 유닛을 구비한 HDMI 케이블)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성 및 생산성을 개선하고, 손상된 부품만을 선별적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어서 유지 비용을 절감하는 다채널 송수신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은: 케이블부에 내장된 복수개의 광라인부가 개별적으로 삽입되고, 광신호의 직진성을 유도하는 유도부; 상기 유도부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전송부; 및 상기 전송부와 커넥터에 의해 접속되고 영상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를 갖는 주기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은: 케이블부에 내장된 복수개의 광라인부가 개별적으로 삽입되고, 광신호의 직진성을 유도하는 유도부; 상기 유도부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전송부; 상기 전송부와 커넥터에 의해 접속되고 영상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를 갖는 주기판부; 및 상기 케이블부에 내장된 복수개의 신호라인부가 개별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주기판부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라인부의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소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은: 케이블부에 내장된 복수개의 광라인부가 개별적으로 삽입되고, 광신호의 직진성을 유도하는 유도부; 상기 유도부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전송부; 상기 전송부와 커넥터에 의해 접속되고 영상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를 갖는 주기판부; 상기 케이블부에 내장된 복수개의 신호라인부가 개별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주기판부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라인부의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소켓부; 상기 유도부와, 상기 전송부와, 상기 주기판부와, 상기 소켓부가 내장되고, 상기 케이블부가 삽입되는 커버부; 및 상기 주기판부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영상수단과 연결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부는 유도하우징부; 상기 유도하우징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라인부가 각각 연결되어 광신호가 전송되는 유도관부; 및 상기 유도하우징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도관부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정렬하는 유도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렌즈부는 상기 유도하우징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렌즈부는 상기 유도하우징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송부는 상기 유도부에 장착되고, 상기 주기판부와 연결되는 전송기판부; 상기 전송기판부에 표면실장되고, 광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전송소자부; 및 상기 전송기판부에 결합되어 열을 방출하는 전송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송기판부는 상기 유도부에 장착되는 경성기판부; 및 상기 경성기판부에 연결되고, 상기 주기판부와 접속되도록 휘어지는 연성기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송기판부는 구획된 상기 유도관부와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송기판부 각각에 상기 전송소자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상기 전송기판부에는 구획된 상기 유도관부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상기 전송소자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부는 상기 신호라인부가 삽입되어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는 복수개의 소켓삽입부; 및 상기 소켓삽입부가 장착되고, 상기 주기판부와 연결되며, 상기 신호라인부의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회로가 내장되는 소켓기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기판부는 상기 소켓삽입부가 장착되는 소켓경성부; 및 상기 소켓경성부에 연결되고, 상기 주기판부와 접속되도록 휘어지는 소켓연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부는 상기 소켓기판부에 장착되고, 외부전원을 입력받는 소켓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은 부품간의 용접이 삭제됨으로써, 조립성이 개선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은 부품들이 조립됨으로써, 오류가 발생하는 부품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은 전송부가 유도부에 장착되어 광정렬 테스트를 실시하기 전에 신뢰성 평가를 진행함으로써, 불량 부품의 조립을 억제하여 높은 수율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은 전송기판부에 연성기판부가 포함되어 주기판부와의 결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은 각각의 광라인부가 개별적으로 유도부에 장착됨으로써, 오류 발생시 각각의 광라인부와 대응되는 전송소자부를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은 각각의 신호라인부가 개별적으로 소켓삽입부에 장착됨으로써, 오류 발생시 각각의 신호라인부와 대응되는 소켓삽입부를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에서 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에서 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에서 전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에서 구획된 전송기판부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에서 단일화된 전송기판부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에서 소켓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이 포함된 케이블부가 입력부와 출력부를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1)은 유도부(10)와, 전송부(20)와, 주기판부(30)를 포함한다.
유도부(10)에는 케이블부(100)에 내장된 복수개의 광라인부(101)가 개별적으로 삽입된다. 유도부(10)는 광라인부(101)를 통해 이송되는 광신호가 직진성을 유지하도록 안내한다. 일 예로, 케이블부(100)는 광섬유를 이용하여 광신호를 전달하는 4개의 광라인부(101)가 포함될 수 있으며, 각각의 광라인부(101)가 개별적으로 유도부(10)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각각의 광라인부(101) 단부에는 별도의 접속수단이 형성되어 유도부(10)에 탈부착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광라인부(101)는 개별적으로 구획되거나, 별도의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송부(20)는 유도부(10)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일 예로, 전송부(20)는 유도부(10)에 장착되고, 유도부(10)로 광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 외, 전송부(20)는 유도부(10)에 장착되고, 유도부(10)에서 전송된 광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주기판부(30)는 전송부(20)와 커넥터에 의해 접속되고, 영상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를 갖는다. 일 예로, 주기판부(30)와 전송부(20)는 집커넥터(zip connector) 방식으로 결합되어 용접 공정이 삭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1)은 소켓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켓부(40)에는 케이블부(100)에 내장된 복수개의 신호라인부(102)가 개별적으로 접속되고, 주기판부(30)에 연결되어 신호라인부(102)의 전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케이블부(100)에는 복수개의 광라인부(101) 외에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복수개의 신호라인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신호라인부(102)는 도체 및 도체를 피복하는 절연층으로 각각 이루어지고, 일부는 전원을 공급하는데 사용되고, 나머지는 제어신호를 전송하거나 접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소켓부(40)와 주기판부(30)는 집커넥터(zip connector) 방식으로 결합되어 용접 공정이 삭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1)은 커버부(50)와 단자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50)는 조립 가능한 형상을 하며, 커버부(50)에는 유도부(10)와, 전송부(20)와, 주기판부(30)와, 소켓부(40)가 내장될 수 있다. 커버부(50)의 일단부에는 케이블부(100)가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유도부(10)와, 전송부(20)와, 주기판부(30)와, 소켓부(40)는 커버부(50)의 내측에 장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부(10)와, 전송부(20)와, 주기판부(30)와, 소켓부(40)는 커버부(50)에 접합될 수 있다. 그 외,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품들이 커버부(50)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단자부(60)는 주기판부(30)에 연결되고, 커버부(50)를 관통하여 영상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수단으로는 모니터, 텔레비전, 옥상광고판 등이 될 수 있다.
커버부(50)는 커버용기부(51)와 커버덮개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용기부(51)는 상측이 개구된 용기 형상을 한다. 커버용기부(51)에는 유도부(10), 전송부(20), 주기판부(30), 소켓부(40)가 내장될 수 있다. 커버덮개부(52)는 커버용기부(51)에 나사 결합되어 커버용기부(51)의 개구된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에서 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에서 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유도부(10)는 유도하우징부(11)와, 유도관부(12)와, 유도렌즈부(13)를 포함한다.
유도하우징부(11)는 플라스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 예로, 유도하우징부(11)는 하우징몸체부(111)와, 하우징몸체부(111)에서 연장되어 전송부(20)가 장착되는 하우징결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관부(12)는 유도하우징부(11)에 형성되고, 광라인부(101)가 각각 연결되어 광신호가 전송된다. 일 예로, 하우징몸체부(111)에는 각각의 광라인부(101)에 대응되는 유도관부(12)가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광라인부(101)는 각각의 유도관부(12)에 삽입되고, 유도관부(12)를 통해 각각의 광신호가 안내될 수 있다. 그 외, 1개의 유도관부(12)가 형성되는 하우징몸체부(111)가 서로 연결되어 복수개의 광라인부(101)를 안내할 수 있다.
유도렌즈부(13)는 유도하우징부(11)에 형성되고, 유도관부(12)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정렬한다. 일 예로, 유도렌즈부(13)는 유도관부(12)와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하우징결합부(112)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유도렌즈부(13)는 유도하우징부(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도부(10)는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그 외, 유도렌즈부(13)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고, 유도하우징부(11)에 장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에서 전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부(20)는 전송기판부(21)와, 전송소자부(22)와, 전송방열부(23)를 포함한다.
전송기판부(21)는 유도부(10)에 장착되고, 주기판부(30)와 연결된다. 일 예로, 전송기판부(21)는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회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송소자부(22)는 전송기판부(21)에 표면실장되고, 광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일 예로, 전송소자부(22)로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구분되어 장착될 수 있다. 발광소자는 광신호를 생성하고, 수광소자는 광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만일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동시에 장착되는 경우, 광신호의 송신 및 수신이 혼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송수자부(22)에는 에폭시층이 경화될 수 있다. 에폭시층은 전송소자부(22)를 커버하여 전송소자부(22)를 보호할 수 있다.
전송방열부(23)는 전송기판부(21)에 결합되어 열을 방출한다. 일 예로, 전송소자부(22)가 표면실장된 전송기판부(21)가 유도하우징부(11)에 장착된 후, 전송방열부(23)가 전송기판부(21)에 결합될 수 있다. 전송방열부(23)는 열전도가 가능한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기판부(21)는 경성기판부(211)와 연성기판부(212)를 포함한다. 경성기판부(211)는 형상 변형이 제한적인 경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연성기판부(212)는 형상 변형이 자유로운 연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경성기판부(211)는 유도부(10)에 장착된다. 일 예로, 경성기판부(211)는 하우징결합부(112)의 내측에 접합될 수 있다. 그 외, 경성기판부(211)는 다양한 결합방식으로 하우징결합부(112)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연성기판부(212)는 경성기판부(211)에 연결되고, 주기판부(30)와 접속된다. 일 예로, 연성기판부(212)는 경성기판부(211)와 전기신호가 송수신되도록 연결되고, 단부에 집커넥터가 형성되어 주기판부(30)와 접속될 수 있다.
연성기판부(212)는 경성기판부(211)의 상측에 연결되고, 연성기판부(212)에 전송소자부(22)가 실장될 수 있다. 그 외, 연성기판부(212)가 경성기판부(211)의 하측 또는 측면에 연결되고, 경성기판부(211)에 전송소자부(22)가 실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에서 구획된 전송기판부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송기판부(21)는 구획된 유도관부(12)와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전송기판부(21) 각각에 전송소자부(22)가 장착된다.
일 예로, 유도하우징부(11)에는 4개의 유도관부(12)가 형성되고, 4개의 전송기판부(21)가 각각의 유도관부(12)와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전송방열부(23)는 4개의 전송기판부(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전송기판부(21)에 에폭시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에서 단일화된 전송기판부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 도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전송기판부(21)에는 구획된 유도관부(12)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전송소자부(22)가 장착된다.
일 예로, 유도하우징부(11)에는 4개의 유도관부(12)가 형성되고, 하나의 전송기판부(21)에는 4개의 전송소자부(22)가 표면실장되어 각각의 유도관부(12)와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전송방열부(23)는 하나의 전송기판부(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에폭시층은 하나의 전송기판부(21)에 장착되는 전송소자부(22)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에서 소켓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부(40)는 소켓삽입부(41)와, 소켓기판부(42)를 포함한다.
소켓삽입부(41)는 신호라인부(102)가 삽입되어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일 예로, 7개의 소켓삽입부(41)에는 케이블부(100)에 내장된 7개의 신호라인부(102)가 각각 개별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신호라인부(102)의 개수에 따라 소켓삽입부(41)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각각의 신호라인부(102) 단부에는 별도의 접속수단이 형성되어 소켓삽입부(41)에 탈부착될 수 있다. 한편, 소켓삽입부(41)는 개별 배치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신호라인부(102)는 분리되거나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소켓삽입부(41)에 삽입될 수 있다.
소켓기판부(42)에는 소켓삽입부(41)가 장착된다. 이러한 소켓기판부(42)는 신호라인부(102)의 전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회로가 내장되고, 주기판부(30)에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기판부(42)는 소켓경성부(421)와 소켓연성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경성부(421)는 형상 변형이 제한적인 경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소켓연성부(422)는 형상 변형이 자유로운 연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소켓경성부(421)는 커버용기부(51)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소켓경성부(421)는 교체 가능하도록 커버용기부(51)에 조립될 수 있다. 소켓연성부(422)는 소켓경성부(421)와 전기신호가 송수신되도록 연결되고, 단부에 집커넥터가 형성되어 주기판부(30)와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소켓기판부(42)는 연성재질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부(40)는 소켓단자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켓단자부(43)는 소켓기판부(42)에 장착되고, 외부전원을 입력받는다. 일 예로, 소켓단자부(43)는 커버용기부(51)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전원공급수단과 접속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이 포함된 케이블부가 입력부와 출력부를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8을 참조하면, 케이블부(100)의 양단부에 다채널 송수신 모듈(1)이 장착되어 영상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다채널 송수신 모듈(1) 중 어느 하나는 입력부(200)와 접속되고, 다채널 송수신 모듈(1) 중 다른 하나는 출력부(300)와 접속된다. 일 예로, 입력부(200)는 영상신호를 입력하는 컴퓨터 또는 셋톱박스 등이 될 수 있다. 출력부(300)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다채널 송수신 모듈(1) 중 어느 하나는 입력부(200)와 연결되어 광신호를 송신하고, 다채널 송수신 모듈(1) 중 다른 하나는 광라인부(101)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출력부(3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에 대한 조립 및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개의 유도관부(12)가 형성되는 유도하우징부(11)를 제작하고, 유도하우징부(11)에 전송부(20)를 장착한다. 이때, 전송부(20)는 유도하우징부(11)에 장착되는 전송기판부(21)와, 전송기판부(21)에 표면실장되고 광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각종 소자들을 포함하는 전송소자부(22)를 포함한다.
유도하우징부(11)에 전송기판부(21)가 장착되면, 광정렬 검사를 실시하여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광정렬 검사가 완료되면, 전송기판부(21)에 추가적으로 전송방열부(23)를 장착하여 전송기판부(21)에서 생성된 열을 방출시킬 수 있다.
한편, 케이블부(100)의 양단부에 커버용기부(51)를 장착하고, 커버용기부(51)의 내부에 유도부(10)와, 전송부(20)와, 주기판부(30)와, 소켓부(40)를 장착한다. 일 예로, 전송기판부(21)가 장착된 유도하우징부(11)를 커버용기부(51)에 조립하고, 주기판부(30)를 커버용기부(51)의 단부에 형성되는 단자부(60)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소켓기판부(42)를 커버용기부(51)에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전송기판부(21)와 소켓기판부(42)를 주기판부(30)에 접속할 수 있다.
유도부(10)와, 전송부(20)와, 주기판부(30)와, 소켓부(40)의 장착이 완료되면, 케이블부(100)에서 복수개의 광라인부(101)를 유도하우징부(11)에 각각 연결하고, 복수개의 신호라인부(102)를 소켓삽입부(41)에 연결한다.
광라인부(101)와 신호라인부(102)의 조립이 완료되면, 커버용기부(51)에 커버덮개부(52)를 조립하여, 유도부(10)와, 전송부(20)와, 주기판부(30)와, 소켓부(40)를 보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채널 송수신 모듈(1) 조립이 완료되면, 케이블부(100)의 일단부를 입력부(200)에 연결하고, 케이블부(100)의 타단부를 출력부(300)에 연결한다. 이로 인해, 입력부(200)에서 생성된 영상신호가 케이블부(100)를 통해 출력부(300)로 전달되어 출력부(300)에서 영상신호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1)은 부품간의 용접이 삭제됨으로써, 조립성이 개선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1)은 부품들이 조립됨으로써, 오류가 발생하는 부품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1)은 전송부(20)가 유도부(10)에 장착되어 광정렬 테스트를 실시하기 전에 신뢰성 평가를 진행함으로써, 불량 부품의 조립을 억제하여 높은 수율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1)은 전송기판부(21)에 연성기판부(211)가 포함되어 주기판부(30)와의 결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1)은 각각의 광라인부(101)가 개별적으로 유도부(10)에 장착됨으로써, 오류 발생시 각각의 광라인부(101)와 대응되는 전송소자부(22)를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송수신 모듈(1)은 각각의 신호라인부(102)가 개별적으로 소켓삽입부(41)에 장착됨으로써, 오류 발생시 각각의 신호라인부(102)와 대응되는 소켓삽입부(41) 또는 소켓삽입부(41)와 접속되는 소켓기판부(42)를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유도부 11 : 유도하우징부
12 : 유도관부 13 : 유도렌즈부
20 : 전송부 21 : 전송기판부
22 : 전송소자부 23 : 전송방열부
30 : 주기판부 40 : 소켓부
41 : 소켓삽입부 42 : 소켓기판부
43 : 소켓단자부 50 : 커버부
60 : 단자부 100 : 케이블부
101 : 광라인부 102 : 신호라인부
200 : 입력부 300 : 출력부

Claims (13)

  1. 삭제
  2. 케이블부에 내장된 복수개의 광라인부가 개별적으로 삽입되고, 광신호의 직진성을 유도하는 유도부;
    상기 유도부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전송부;
    상기 전송부와 커넥터에 의해 접속되고 영상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를 갖는 주기판부; 및
    상기 케이블부에 내장된 복수개의 신호라인부가 개별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주기판부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라인부의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소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부는
    상기 신호라인부가 삽입되어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는 복수개의 소켓삽입부;
    상기 소켓삽입부가 장착되고, 상기 주기판부와 연결되며, 상기 신호라인부의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회로가 내장되는 소켓기판부; 및
    상기 소켓기판부에 장착되고, 외부전원을 입력받는 소켓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기판부는
    상기 소켓삽입부가 장착되는 소켓경성부; 및
    상기 소켓경성부에 연결되고, 상기 주기판부와 접속되도록 휘어지는 소켓연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수신 모듈.
  3. 케이블부에 내장된 복수개의 광라인부가 개별적으로 삽입되고, 광신호의 직진성을 유도하는 유도부;
    상기 유도부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전송부;
    상기 전송부와 커넥터에 의해 접속되고 영상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를 갖는 주기판부;
    상기 케이블부에 내장된 복수개의 신호라인부가 개별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주기판부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라인부의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소켓부;
    상기 유도부와, 상기 전송부와, 상기 주기판부와, 상기 소켓부가 내장되고, 상기 케이블부가 삽입되는 커버부; 및
    상기 주기판부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영상수단과 연결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부는
    상기 신호라인부가 삽입되어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는 복수개의 소켓삽입부;
    상기 소켓삽입부가 장착되고, 상기 주기판부와 연결되며, 상기 신호라인부의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회로가 내장되는 소켓기판부; 및
    상기 소켓기판부에 장착되고, 외부전원을 입력받는 소켓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기판부는
    상기 소켓삽입부가 장착되는 소켓경성부; 및
    상기 소켓경성부에 연결되고, 상기 주기판부와 접속되도록 휘어지는 소켓연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수신 모듈.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유도하우징부;
    상기 유도하우징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라인부가 각각 연결되어 광신호가 전송되는 유도관부; 및
    상기 유도하우징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도관부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정렬하는 유도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수신 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렌즈부는 상기 유도하우징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수신 모듈.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렌즈부는 상기 유도하우징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수신 모듈.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유도부에 장착되고, 상기 주기판부와 연결되는 전송기판부;
    상기 전송기판부에 표면실장되고, 광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전송소자부; 및
    상기 전송기판부에 결합되어 열을 방출하는 전송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수신 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기판부는
    상기 유도부에 장착되는 경성기판부; 및
    상기 경성기판부에 연결되고, 상기 주기판부와 접속되도록 휘어지는 연성기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수신 모듈.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기판부는 구획된 상기 유도부와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송기판부 각각에 상기 전송소자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수신 모듈.
  10. 제 7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전송기판부에는 구획된 상기 유도부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상기 전송소자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송수신 모듈.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60157969A 2016-11-25 2016-11-25 다채널 송수신 모듈 Active KR101875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969A KR101875519B1 (ko) 2016-11-25 2016-11-25 다채널 송수신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969A KR101875519B1 (ko) 2016-11-25 2016-11-25 다채널 송수신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598A KR20180059598A (ko) 2018-06-05
KR101875519B1 true KR101875519B1 (ko) 2018-07-10

Family

ID=62635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969A Active KR101875519B1 (ko) 2016-11-25 2016-11-25 다채널 송수신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51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4485A (ja) * 2001-01-22 2002-07-31 Canon Inc 面型光素子、面型光素子実装体、その作製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配線装置
JP2010237640A (ja) * 2009-03-13 2010-10-21 Fujikura Ltd 光モジュールおよびモジュール付きケーブル
JP2013041058A (ja) * 2011-08-12 2013-02-28 Hitachi Cable Ltd 光モジュール及び光モジュール付きケーブル
KR101361069B1 (ko) * 2012-09-19 2014-02-11 주식회사 옵토웰 광 서브어셈블리
KR20150023199A (ko) * 2013-08-22 2015-03-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섬유 유닛을 구비한 hdmi 케이블
JP2015197652A (ja) * 2014-04-03 2015-11-09 日立金属株式会社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及び光通信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4485A (ja) * 2001-01-22 2002-07-31 Canon Inc 面型光素子、面型光素子実装体、その作製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配線装置
JP2010237640A (ja) * 2009-03-13 2010-10-21 Fujikura Ltd 光モジュールおよびモジュール付きケーブル
JP2013041058A (ja) * 2011-08-12 2013-02-28 Hitachi Cable Ltd 光モジュール及び光モジュール付きケーブル
KR101361069B1 (ko) * 2012-09-19 2014-02-11 주식회사 옵토웰 광 서브어셈블리
KR20150023199A (ko) * 2013-08-22 2015-03-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섬유 유닛을 구비한 hdmi 케이블
JP2015197652A (ja) * 2014-04-03 2015-11-09 日立金属株式会社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及び光通信モジュール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214485호(2002.07.31.)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598A (ko)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2812B2 (en) Endoscope
JP3979300B2 (ja) デジタルビデオ信号伝送用インターフェースモジュール
US9128257B2 (en)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with a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n acute angle connection
US8238359B2 (en) Communication modul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N101268395B (zh) 模块化光学设备管壳
US20090290619A1 (en) Transceiver module with dual printed circuit boards
US8936399B2 (en) Receptacle-type bi-directional optical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10025049B2 (en) Optoelectrical connector module
US11314025B2 (en) Optical transceiver
US9651745B2 (en) Optical connector module for aligning optical connectors to optical connecting seat
KR20000025095A (ko) 광 커넥터 모듈
US8867231B2 (en) Electronic module packages and assemblies for electrical systems
JP4550159B2 (ja) 光モジュール
JP2006030868A (ja) 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基板
KR20190013493A (ko) 광전기 복합케이블
US9016959B2 (en) Opto-electronic module with patchcords
KR101844298B1 (ko) 다채널 송수신 모듈
US7438484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multi form-factor pluggable transceiver, and dat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or
EP1202095B1 (en) Electro-optical connection module
CN103248425A (zh) 传送方法和传送系统
KR101875519B1 (ko) 다채널 송수신 모듈
US20090232511A1 (en) Optical Micro-Connector
KR100869701B1 (ko) 광 트랜시이버
US20190364672A1 (en) Bi-directional optical sub assembly connecting structure
US20170176699A1 (en) Optical Multichannel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Module, In Particular for High-Bitrate Digital Optical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