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5096B1 - Broomstick for cleaning - Google Patents

Broomstick for clea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096B1
KR101875096B1 KR1020160101082A KR20160101082A KR101875096B1 KR 101875096 B1 KR101875096 B1 KR 101875096B1 KR 1020160101082 A KR1020160101082 A KR 1020160101082A KR 20160101082 A KR20160101082 A KR 20160101082A KR 101875096 B1 KR101875096 B1 KR 101875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housing
comb
connecting rod
r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0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17368A (en
Inventor
권영일
Original Assignee
권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일 filed Critical 권영일
Priority to KR1020160101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096B1/en
Priority to PCT/KR2017/008477 priority patent/WO2018030724A1/en
Publication of KR20180017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3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09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5Brushes with a feature for storage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2Broom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용 빗자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는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는 관 형상의 하우징,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하우징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고리형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중앙봉, 하우징 내부의 고리형 공간부에 삽입 및 고정되어 청소 대상물을 쓸어내는 복수의 빗살부재 및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부를 폐쇄하도록 하우징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봉과 연통되어 이어지는 중공의 연결봉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팅부재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broom.
A cleaning b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ular housing having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pened; a central rod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housing to form an annular space between the housing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 plurality of comb teeth members which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mold space to sweep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a connecting rod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close the opened upper end of the housing and which has a hollow connecting rod communicating with the center rod, Respectively.

Description

청소용 빗자루{Broomstick for cleaning}Cleaning Broom {Broomstick for cleaning}

본 발명은 청소용 빗자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청소용 빗자루의 제조 기술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broo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nufacturing technique of a cleaning broom.

청소용 빗자루는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보통의 빗자루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자루부와, 자루부의 하단에 대상물을 쓸어 내기 위해 빗살부재들이 다발로 묶여 있는 빗살부 및 자루부와 빗살부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빗자루의 구성은 위와 같이 매우 간단한 편이지만 빗살부재를 자루부에 결합시키는 구성이 견고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The cleaning broom has a very simple configuration. That is, the ordinary broom generally comprises a bag portion for the user to hold by hand, and a comb portion for combing the comb portion and the comb portion to which the comb elements are bundled in a bundle for sweeping the object at the lower end of the bag portion . The structure of the broom is very simple as described above, but the structure for bonding the comb member to the bag portion is often not robust.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기존의 청소용 빗자루들이 나타나 있는 사진이다. 도 1의 사진에서 가장 좌측의 빗자루는 빗살부재가 일렬로 넓게 퍼져 있는 형태로서 빗살부재들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구성이다. 가장 우측에 있는 빗자루는 복수의 빗살부재를 자루의 둘레에 배치한 상태에서 끈으로 빗살부재들을 묶어서 고정시킨 형태로서, 빗살부재들이 다발로부터 쉽게 이탈해서 견고하지 못하다.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isting cleaning broom. In the photograph of FIG. 1, the leftmost broom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mb members are widely spread in a line, and it is relatively easy to firmly fix the comb members. The broom on the rightmost side i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comb members are arranged around a bag and the comb members are bundled and fixed by a string, and the comb members are easily separated from the bundle and are not rigid.

공업용 제품으로 만들어지고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형태는 좌측의 2번째 배치된 빗자루이다. 이 빗자루의 경우 자루의 단부에 오목한 소켓(파란색 부분)이 결합되어 있고, 빗살부재들은 소켓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빗살부재들을 소켓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빗살부재들을 소켓에 삽입한 상태에서 아래로부터 접착제를 소켓의 내부쪽으로 주입한다. 그러나 소켓의 상부가 막혀 있기 때문에 제조자는 빗살부재들이 소켓의 내측 상부 끝까지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그리고 빗살부재의 상단부들이 서로간에 정확하게 접합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The most widely used form for industrial use is the second placed broom on the left. In the case of this broom, a concave socket (blue part)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bag, and the comb members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socket. In order to fix the comb teeth members to the socket, the inserting members are inserted into the socket and the adhesive is injected from the bottom into the inside of the socket. However,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socket is clogged, the manufacturer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grasp whether the comb members are correctly inserted to the inner upper end of the socket and whether or not the upper ends of the comb member are correctly joined to each other.

그리고 빗살부재들 중에서 상부까지 깊숙하게 삽입이 안된 빗살부재는 다발에서 쉽게 빠져 버리고, 다발에서 몇 개의 빗살부재가 빠져나가면 다발 전체가 헐거워져서 다른 빗살부재들의 이탈을 가속화시킨다. 내구성이 떨어지고 품질에 문제가 생기는 원인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빗살부재들을 별도로 끼우기 위한 구성들이 마련되고 있지만 구성이 복잡해지고, 제조공정도 함께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comb-like member, which is not inserted deeply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like members, easily slips out of the bundle, and when several comb-like members are escaped from the bundle, the entire bundle is loosened to accelerate the disengagement of the other comb- It is a cause of poor durability and quality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are constitutions for separately inserting the comb teeth members, but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becomes complicated.

또한 정교한 구성을 채택하기 위해서는 빗살부재들이 모두 동일한 굵기와 사이즈로 제조되어야 하므로 싸리나무나 코코넛 나무 등의 줄기와 같은 자연 재료들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몰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공업용 플라스틱 빗살부재를 사용해야 하는 재료 선택의 한계도 있다. Further, in order to adopt a sophisticated configuration, the comb teeth members must be manufactur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nd size, an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industrial tooth comb material manufactured using a mold rather than using natural materials such as stem or coconut tree There are also limitations of choice.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자루 중에는 빗살부재들을 넓게 펼쳐서 한 번에 넓은 영역을 쓸거나 또는 빗살부재들을 좁게 모아서 모서리 등의 좁은 영역을 쓸 수 있도록 빗살부의 형상이 변경가능한 형태가 있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된 빗자루는 본 출원인이 개발한 것이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re is a form in which the shape of the comb teeth can be changed so that the comb teeth are spread widely so as to sweep a large area at a time or narrowly gather the comb teeth to use a narrow area such as a corner. For reference, the broom shown in Fig. 2 was developed by the present applicant.

도 2를 참고하면, 빗살부재들(1)은 오목한 소켓(2)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밴드(3,4)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자루(5)가 소켓(2)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면 하부의 지지판(6)이 빗살부재(1)를 밀어내서 빗살부재들이 넓게 퍼지게 되고, 지지판(6)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빗살부재(1)들이 모아져서 좁아지게 된다. 2, the comb teeth members 1 are fixed by the bands 3 and 4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 the recessed socket 2. And the bag (5) The lower support plate 6 pushes the comb tooth member 1 so that the comb tooth members spread widely and when the support plate 6 moves downward, the comb tooth members 1 are gathered and become narrow .

위와 같은 형태의 빗자루를 제조할 때에는 먼저 자루(5)를 소켓(2)에 끼운다. 그리고 빗살부재(1)들을 자루(5)의 주변에 배치하면서 빗살부재(1)들이 소켓(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소켓(2)의 내부 상면에는 미리 접착제를 발라 놓는다. 그리고 빗살부재(1)들을 소켓(2)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빗자루를 뒤집어서 빗살부재가 위로 올라오게 한 후, 빗살부재들을 헤집어서 빗살부재 상단부(소켓쪽)로 접착제를 도포한다. 또는 미리 접착제를 빗살부재에 도포한 후 삽입한다. 앞에서 언급한 것과 마찬가지로 제조자는 빗살부재(1)들이 소켓(2)의 끝까지 삽입되었는지도 정확하게 파악이 안 되고, 접착제들이 빗살부재(1)의 상단부까지 정확하게 침투되었는지도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When manufacturing the above-described broom, the bag 5 is inserted into the socket 2 first. Then, the comb teeth (1) are inserted into the socket (2) while the comb teeth (1) are arranged around the bag (5).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et 2 is coated with an adhesive in advance. Then, in a state where the comb teeth members 1 are inserted into the socket 2, the comb teeth are turned upside down so that the comb teeth members come up, and then the comb teeth are smeared and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comb tooth upper part (socket side). Alternatively,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comb member in advance and then inserted. The manufacture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grasp whether the comb teeth members 1 are inserted to the end of the socket 2 and whether or not the adhesives have penetrated accurately to the upper end of the comb tooth member 1. [

이러한 문제점은 빗살부재의 결합력을 보증할 수 없게 되고,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결과로 나타나기 십상이다. Such a problem can not guarantee the bonding force of the comb member, and is a result of a decrease in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빗살부재와 자루의 견고한 결합이 보장되어 내구성이 강화되며, 제조 공정이 용이하여 경제성과 양산성이 향상된 청소용 빗자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ing broom having improved combability and firmness of a comb to enhance durability and easy manufacturing process, thereby improving economy and mass productiv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는,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는 관 형상의 하우징;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고리형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중앙봉;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고리형 공간부에 삽입 및 고정되어 청소 대상물을 쓸어내는 복수의 빗살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중앙봉과 연통되어 이어지는 중공의 연결봉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팅부재;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eaning broom including: a tubular housing having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pened; A central rod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housing to form an annular space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A plurality of comb teeth members inserted and fixed in the annular space portion inside the housing to sweep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a connecting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close the open upper end of the housing and having a hollow connecting rod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rod.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과 중앙봉에 끼워져 결합되는 봉 형상의 자루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bar-shaped bag which is elongated in one direction so as to be held by a user and which is engaged with the connecting rod and the central r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빗살부재들이 상기 자루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자세와, 상기 자루와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자세 사이에서 상기 빗살부재들의 배치 각도가 조절가능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comb teeth members is adjustable between a first posture in which the comb tooth members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bag and a second posture in which the comb teeth are crossed with the bag.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루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자루의 단면적 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지지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자루는 상기 연결봉과 중앙봉에 끼워지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자루가 상기 빗살부재의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빗살부재는 상기 제1자세로, 상기 자루가 상기 빗살부재의 상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빗살부재는 상기 지지판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제2자세로 자세 변경된다. For examp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bag and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wid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bag, the bag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rod and the central rod, When the bag is mov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 tooth member, the comb tooth member is moved to the first posture, and when the bag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 tooth member, the comb tooth member is pushed outward by the support plate,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의 수나사산의 상부에는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조임부가 형성되며,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루에 끼워져 상기 연결봉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산으로부터 연장되며 내경이 상기 조임부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는 가압부가 마련된 결합체를 더 구비하여, 상기 결합체가 상기 연결봉에 나사체결될 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조임부를 상기 자루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결봉이 상기 자루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The connection rod has a male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and a screw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le thread of the connecting rod so that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he connecting rod is formed into a hollow tubular shape and is screwed to the connecting rod,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body having a female thread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extending from the female thread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narrower than that of the throttling portion so that when the coupling body is screwed to the coupling rod, So that the connecting rod is tightly coupled to the ba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판의 후면에는 중공형의 돌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자루에 끼워지며,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봉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봉과 상기 지지판은 나사체결에 의하여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llow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protrusion is fitted into the bag, and a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 female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rod, And the support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screwing.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봉이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게 하도록, 상기 중앙봉의 상부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복수의 거치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거치대 사이는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거치대가 끼워지는 홈부가 형성된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plurality of cradles extending along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ral rod so that the central rod is supported by the housing, . More specifical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cradle is fitted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는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과 조건에 적합하게 빗살부재들이 넓게 펼쳐지는 넓은 모드와 빗살부재들이 모아지는 좁은 모드 사이에서 모드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청소를 효과적으로 수월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The cleaning b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mode between the wide mode in which the comb members are spread widely and the narrow mode in which the comb members are gathered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 and condition to be cleaned, There is an advantage.

특히 본 발명에서는 빗자루의 내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빗살부재와 자루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였다. 이렇게 변경된 구조를 통해 제조자는 빗살부재와 자루, 빗살부재들 사이를 상호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또한 견고하게 결합되었는지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어서 제품의 하자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in which the comb between the comb member and the bag,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urability of the broom, can be firmly adopted. Through such a modified structure, the manufacturer can firmly connect the comb teeth, the comb teeth, and the comb teeth members to each other and visually confirm whether they a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thereby reducing defects in the product.

이렇게 빗자루의 제조 과정에서 빗살부재의 결합 여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빗자루의 양산시에도 제품의 하자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By changing the structure so as to visually confirm whether or not the comb member is engag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room, the defect rate of the product can be drastically reduced even in the case of mass production of the broom.

도 1은 종래의 청소용 빗자루가 나타나 있는 사진이다.
도 2는 빗살부의 각도가 변경가능한 청소용 빗자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가 결합된 상태에서 주요 부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청소용 빗자루의 좁은 모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청소용 빗자루가 넓은 모드 상태로 자세 변경한 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연결봉과 결합체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로서, 커넥터들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커넥터들이 나사체결을 통해 결합된 후의 상태이다.
도 8 내지 도 16은 빗자루 제조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1 is a photograph showing a conventional cleaning broom.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leaning broom in which the angle of the comb portion is changeable.
FIG. 3A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in a state in which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narrow mode state of a cleaning b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after the cleaning broom shown in Fig. 4 is changed to a wider mode.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ing rod and the coupling member, which is a state before the connectors are coupled.
Fig. 7 is a state after the connectors are coupled by screwing in the state of Fig. 6;
8 to 16 are photograph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broom manufacturing proces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leaning b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가 결합된 상태에서 주요 부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청소용 빗자루의 좁은 모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청소용 빗자루가 넓은 모드 상태로 자세 변경한 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FIG. 3A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in a state where FIG. 4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the cleaning broom in a narrow mode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after the cleaning broom shown in FIG. 4 is changed in a wide mode state.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빗자루(100)는 자루(10)와 빗살부(50) 및 변환유닛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cleaning broo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g 10, a comb 50, and a conversion unit.

자루(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자루(10)의 길이는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도로, 마당, 광장 등과 같은 실외에서 사용할 목적인 경우 자루가 길게 형성되지만, 실내용인 경우 사람의 허리 높이 정도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자루(10)는 제1실시예와 같이 보통 나무 재질로 제조되지만,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자루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연결봉(42)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자루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실내 공간에서 사용될 때에는 별도의 자루가 필요없이 연결봉(42)으로 자루를 대체할 수도 있다. The bag 10 is formed into a long bar shape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bag 10 can be held by the user's hand. The length of the bag 10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 For the purpose of outdoor use such as a road, a yard, or a square, a bag is formed long, but when it is used for an indoor space, the bag 10 is relatively short. Although the bag 10 is made of a regular wood material as in the first embodiment, it may be made of a hollow material having a hollow interior using a plastic material.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g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ing rod 42 to be described later can serve as a bag that can be held by the user, the bag can be replaced with the connecting rod 42 without using a separate bag when used in an indoor space.

빗살부(50)는 청소 대상물을 쓸어 내는 부분으로서 복수의 빗살부재(51)들이 다발을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빗살부재(51)는 수십Cm의 길이와 수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얇고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빗살부재(51)는 자루(10)에 결합된다. The comb teeth (50)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mb teeth (51) are bundled as a sweeping object. The comb tooth member 51 has a length of several tens of cm and a thickness of about several millimeters, and is formed to be thin and long. A plurality of comb teeth members (51) are coupled to the bag (10).

기존의 빗살부재(51)는 싸리나무, 플라스틱, 대나무 등으로 만들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재료들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코코넛 나무가지를 사용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The conventional combs 51 are made of sycamore wood, plastic, bamboo and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materials can be used, but they are characterized in that coconut tree branches are used.

코코넛 나무를 사용하는데에는 2가지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코코넛 나무는 다른 종류의 나무에 비하여 내마모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탄성이 우수하여 빗살부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즉, 싸리나무나 대나무 재질의 경우 강도와 내마모성이 떨어져서 일정 시간 사용하면 지면과 맞닿는 부분이 금방 닳아서 사용년한이 짧은 문제가 있었으나, 코코넛 나무는 내마모성이 높아 충분히 오랜 기간 사용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There are two advantages to using coconut trees. Above all, coconut trees are more resistant to abrasion than other kinds of trees, and are excellent in elasticity and suitable for use as combs. That is, in case of bamboo or bamboo material, the strength and abrasion resistance of the bamboo material deteriorate. Therefore, when the bamboo material is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portion of the bamboo material abutting on the ground is worn out shortly, which is short in use. However, the coconut tree has a high abrasion resistance and can be used for a long time.

또한 코코넛 나무는 다른 나무들에 비하여 탄성이 우수하다. 빗살부재는 잘 휘어지면서도 일정 정도 이상의 탄성적 긴장력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사용자가 빗자루를 지면에 접촉시켜 누르면 빗살부재들이 휘어지면서 지면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며, 빗살부재들은 가압된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해 지면을 누르게 되므로 처리 대상물을 잘 쓸어낼 수 있다. 그러나 빗살부재의 강도가 너무 강하면 잘 휘어지지 않고 반발하게 되므로 청소 작업에 힘이 들고 청소 효율도 떨어진다. 코코넛 나무 재질은 내모성과 탄성에 있어서 빗살부재(51)로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Coconut trees are also more elastic than other trees. The comb member should be able to maintain an elastic tension greater than a certain level while being warped. That is, when the user touches the broom against the ground, the comb teeth are bent and the contact area with the ground surface is widened, and the comb teeth are pressed by the elastic force in the pressed state. However, if the strength of the comb tooth member is too strong, it will not bend well and will repel, which makes the cleaning work strong and the cleaning efficiency low. The coconut wood material has optimum conditions as the comb tooth member 51 in resistance to abrasion and elasticity.

그리고, 코코넛 나무는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재배되기 때문에 플라스틱은 물론 대나무, 싸리나무 등에 비하여 경제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이점들이 본 발명에서는 빗살부재로서 코코넛 나무 재질을 사용하는 이유이다. Since coconut trees are cultivated extensively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such as the Philippines and Indonesia, they can be economically provided compared to plastic, bamboo, and siberian trees. The above-mentioned advantages are the reason why the coconut wood material is used as the comb tooth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기존의 빗자루는 빗살부재들을 자루의 하단에 단순히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완성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빗살부(50)가 넓게 펼쳐지는 넓은 모드와, 좁게 모아지는 좁은 모드 사이에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변환유닛을 구비한다. Although the conventional broom is completed by merely bonding comb members to the lower end of the bag,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mportant feature is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ture between the wide mode in which the comb portion 50 is spread widely and the narrow mode in which the comb portion is narrowly narrowed .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rsion unit is provided for this purpose.

변환유닛은 빗살부재(51)들의 하단부가 자루(10)의 중심쪽으로 모이게 하는 제1자세와 빗살부재(51)들의 하단부가 자루(1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는 제2자세 사이에서 빗살부재(51)들의 자세를 변경가능하게 한다. The conversion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posture in which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comb tooth members 51 are coll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bag 10 and the second posture in which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comb tooth members 51 are widened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bag 10, Thereby enabling the posture of the members 51 to be changed.

본 실시예에서 변환유닛은 지지판(21), 하우징(30), 중앙봉(35), 커넥팅부재(40) 및 결합체(47)로 이루어진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version unit comprises a support plate 21, a housing 30, a central rod 35, a connecting member 40, and a coupling body 47.

지지판(21)은 자루(1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지지판(21)의 횡단면적은 자루(10)의 횡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판(21)은 원판 형태 또는 바람직하게는 고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판(21)의 반경은 자루(10)보다 크므로 지지판(21)이 자루(10)에 대하여 돌출되게 설치된다. 다만, 지지판의 형태는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을 포함하여 다각형 형상이나, 타원형 등이 될 수도 있다. The support plate (21)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ag (10).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plate 21 is formed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ag 10.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plate 21 is formed in a disc shape or preferably in a corrugated shape. Since the radius of the support plate 21 is larger than that of the bag 10, the support plate 21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bag 10. However, the shape of the support plate is not limited to a circular shape, but may be a polygonal shape including a rectangle, an elliptical shape, or the like.

그리고 지지판(21)의 후면에는 중공형의 돌출부(27)가 볼록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중공형이란 돌출부의 전면과 후면이 모두 뚫려 있는 관 형상은 물론, 지지판(21)에 의하여 전면은 막혀 있는 형태로 내부에 오목하게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27)는 오목한 홈부로 형성된다. 이 돌출부(27)에 자루(10)가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지지판(21)과 자루(10)가 상호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27)의 외주면에는 나사산(28)이 형성된다. A hollow protrusion 27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1 so as to be convex. Here, the hollow shape includes not only a tubular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rotruding portion are both open, but also a concave groove is formed in the inside in a form that the front surface is closed by the support plate 21. [ In this embodiment, the projecting portion 27 is formed as a concave groove portion. The bag 10 is fitted and fixed to the projecting portion 27 so that the support plate 21 and the bag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thread 28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jection 27.

하우징(30)은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면과 하면이 모두 개구되어 있다. 외주면 상부에는 수나사산(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30)의 상단에는 홈부(32)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32)는 하우징(30) 상부에 90° 각도 간격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The housing 30 has a hollow tube shape, and bot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re opened. A male thread 3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ce. A groove 32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30 in a concave shape. The groove portions 32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housing 30 at an angular interval of 90 [deg.].

하우징(30)의 내부에는 중앙봉(35)이 배치된다. 중앙봉(35)은 관 형상으로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되, 직경이 하우징(30)에 비하여 훨씬 작다. 본 실시예에서 중앙봉(35)은 하우징(30)과 동축 상에 배치되어, 중앙봉(35)의 외주면과 하우징(30)의 내주면 사이에 고리형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 공간부에는 빗살부재(51)들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A central rod 35 is disposed in the housing 30. The central rod 35 is hollow and tubular in shape, and its diameter is much smaller than the housing 30. In this embodiment, the central rod 35 is disposed coaxially with the housing 30, and an annular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rod 35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30. The comb tooth members 51 are inserted and fixed to the space portion.

중앙봉(35)은 하우징(3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봉(35)을 하우징(30)에 고정하기 위하여 중앙봉(35)의 상부에 거치대(36)가 마련된다. 예컨대, 거치대(36)는 중앙봉(35)의 상단의 4지점으로부터 각각 반경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거치대(36)의 단부는 하우징(30)의 각 홈부(32)에 끼워짐으로써 중앙봉(35)이 하우징(30)에 지지될 수 있다. The central rod 35 is fixed to the housing 30. In this embodiment, a holder 36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ral rod 35 to fix the central rod 35 to the housing 30. For example, the cradle 36 extends horizontally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four points on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rod 35, respectively. The ends of the holder 36 are fitted into the respective groove portions 32 of the housing 30 so that the center bar 35 can be supported by the housing 30.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과 중앙봉이 별도의 부재로 제작되어 조립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과 중앙봉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중앙봉(35)이 하우징(30)에 장착되더라도 거치대(36) 이외의 부분에서는 하우징(30)의 상단은 개구된 상태를 유지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and the central rod are described as being assembled and assembled as separate members. However, in other embodiments, the housing and the central rod may be integrally formed. Even when the central rod 35 is mounted on the housing 30,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30 remains open at portions other than the holder 36.

그리고 중앙봉(35)의 내주면 하부에는 암나사산(37)이 형성된다. 이 암나사산(37)은 지지판(21)의 돌출부(27)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8)과 나사체결되어 자루(10)를 위치 고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중앙봉(30)의 하단부 내경은 자루(10) 보다 크게 형성되고 이 내주면에 암나사산(37)이 형성되고, 자루(10)의 하단부에는 지지판(21)의 돌출부(27)가 끼워지는데 이 돌출부(27)의 외주면에 나사산(28)이 형성된다. 지지판(21)이 중앙봉(35)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지지판(21)과 결합되어 있는 자루(10)는 위치고정된다. 물론 나사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자루(10)는 다시 중앙봉(35)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다. 다만 지지판(21)과 중앙봉(35) 사이의 결합은 나사체결 방식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판(21)과 중앙봉(35)을 상호 견고하게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봉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뿐만 아니라, 구조적 변경을 통해 중앙봉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을 형성하고 돌출부에 고리형의 부재를 설치하여 그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A female thread 37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entral rod 35. The female thread 37 is threaded with a thread 28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jection 27 of the support plate 21 so that the bag 10 can be fixedly and positionally coupled. That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central rod 3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at of the bag 10, the female thread 37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the projecting portion 27 of the support plate 21 is 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bag 10 A thread 28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jection 27. The support plate 21 is screwed to the central rod 35 so that the bag 10 coupled with the support plate 21 is fixed in position. Of course, by releasing the thread engagement, the bag 10 is again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rod 35. However, the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plate 21 and the central rod 35 is not limited to the screw coupling method, and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employed, which can firmly couple or separate the support plate 21 and the central rod 35 . In addition to a structure in which male thread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and female threads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rod, male thread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rod through structural modification, annular members are provided on the projecting portions, .

한편, 커넥팅부재(40)는 덮개(41)와 연결봉(42)을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member 40 has a lid 41 and a connecting rod 42.

덮개(41)는 하우징(30)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도록 하우징(3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4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43)이 형성되어 하우징(30)의 외주면의 수나사산(31)과 나사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41)와 하우징(30)이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기계적 구성을 이용하여 두 개의 부재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cover 4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op of the housing 30 to close the open top surface of the housing 30. [ In the present embodiment, female threads 43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41 and are screwed to the male thread 31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30. In this embodiment, the lid 41 and the housing 30 are coupled in a screw-tight manner, but in other embodiments, the two members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using a different mechanical configuration.

연결봉(42)은 중공형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면이 개구되며, 덮개(41)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하우징(30) 내부에는 중앙봉(35)이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연결봉(42)은 중앙봉(35)과 상호 연통되어 이어진다. 연결봉(42)의 중앙 외주면에는 수나사산(44)이 형성된다. 수나사산(44)의 상부에는 조임부(45)가 형성된다. 조임부(45)는 연결봉(42)의 상부를 형성하는데,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조임부(45)에는 길이방향(자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46)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 슬릿(46)은 조임부(45)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된다. The connecting rod 42 has a hollow tube shape and is open 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41. Since the central rod 35 is disposed coaxially in the housing 30, the connecting rod 42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entral rod 35. A male thread 44 is formed on the centr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42. A throttle portion 45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le thread 44. The throttle portion 45 forms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42, and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in such a manner that its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A slit 46 is formed in the tightening portion 45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g). A plurality of slits 46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ghtening portion 45.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봉(42)에 결합되는 결합체(47)를 구비한다. 결합체(47)는 전체적으로 하우징(30), 중앙봉(35), 커넥팅부재(40)를 자루(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하우징(30)과 중앙봉(35)은 상호 결합되며, 중앙봉(35)이 자루(10)에 끼워진다. 그리고 커넥팅부재(40)의 덮개(41)가 하우징(30)에 결합되고, 연결봉(42)은 자루(10)에 끼워진다. 즉, 하우징(30), 중앙봉(35) 및 커넥팅부재(40)는 모두 결합되어 있고, 결합된 전체가 자루(10)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다. 결합체(47)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자루(10)에 끼워지되 연결봉(42)에 나사체결되면서 연결봉(42)을 자루(10)에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결합체(47)의 하단 내주면에는 암나사산(48)이 형성되어 연결봉(42)의 수나사산(44)에 나사체결 및 분리가능하다. 그리고 결합체(47)에는 암나사산(48)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가압부(49)가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a coupling body 47 is provided which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rod 42. The joining body 47 is for fixing the housing 30, the central rod 35 and the connecting member 40 to the bag 10 as a whole. That is, the housing 30 and the central rod 35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central rod 35 is fitted into the bag 10. And the lid 41 of the connecting member 40 is engaged with the housing 30 and the connecting rod 42 is fitted into the bag 10. That is, the housing 30, the central rod 35, and the connecting member 40 are all engaged, and the combined whole is fitted into the bag 10 and is slidable. The coupling body 47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is fitted in the bag 10 and is screwed to the connecting rod 42 and fixes and fixes the connecting rod 42 to the bag 10. More specifically, a female thread 48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body 47 so that the male thread 44 of the connecting rod 42 can be screwed and separated. A pressing portion 49 extending upward from the female thread 48 is formed in the coupling body 47.

도6 및 도 7을 참고하면, 연결봉(42)의 조임부(45)는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도면에서 점선 k로 표시된 두께로부터 점선 p로 표시된 두께까지 점차 작아진다. 그리고 결합체(47)의 가압부(49)의 내경은 점선 k와 점선 p로 표시된 두께 사이에서 형성되거나, 또는 점선 p로 표시된 두께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임부(45)가 시작하는 부분은 부드럽게 곡선으로 처리되어 있다. 6 and 7, the tightening portion 45 of the connecting rod 42 is tapered so that i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thicknes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k to the thicknes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p in the draw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pressing portion 49 of the coupling body 47 may be formed between the thicknes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k and the thicknes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p, or may be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p. The portion where the throttle portion 45 starts is smoothly curved.

따라서,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42)과 결합체(47)가 상호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결합체(47)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연결봉(42)에 나사체결하면 도 7과 같이 결합된다. 이 과정에서, 결합체(47)의 가압부(49)가 연결봉(42)의 조임부(45)를 강하게 압착시킨다. 즉, 결합체(47)의 가압부(49)의 내경은 연결봉(42)의 조임부(45)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연결봉(42)과 결합체(47)가 나사체결되는 과정에서 가압부(49)가 조임부(45)에 억지끼움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결봉(42)은 결합체(47)에 의해 가압되어 자루(10)의 외주면에 완전하게 밀착됨으로써 연결봉(42)은 자루(1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특히, 연결봉(42)의 조임부(45)에 형성되어 벌어져 있던 슬릿(46)은 결합체의 가압에 의하여 닫히면서 연결봉을 자루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결합시킬 수 있다. 역으로, 연결봉(42)과 결합체(47)의 결합을 해제하면 가압부(49)의 가압력이 해제됨으로써 연결봉(42)과 자루(10) 사이의 밀착력이 떨어지므로 연결봉(42)과 자루(10)는 다시 상대이동 가능하다. 6, when the connecting rod 42 and the connecting body 47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connecting body 47 is moved downward and screwed into the connecting rod 42, as shown in FIG. In this process, the pressing portion 49 of the coupling body 47 presses the tightening portion 45 of the connecting rod 42 strongly. That is, since the inner diameter of the pressing portion 49 of the coupling body 47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hrottling portion 45 of the connecting rod 42, in the process of screwing the connecting rod 42 and the coupling body 47, Is prevented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tightening portion 45. The connecting rod 42 is pressed by the coupling body 47 and is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g 10 so that the connecting rod 42 is firmly coupled to the bag 10. Particularly, the slit 46 formed in the throttle portion 45 of the connecting rod 42 is closed by the urging of the coupling member, so that the connecting rod can be firmly and tightly coupled to the bag. Conversely,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rod 42 and the coupling body 47 is released,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portion 49 is released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rod 42 and the bag 10 is weakened. ) Are again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빗자루(100)에서는 빗살부재(51)들이 제1자세와 제2자세 사이에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In the broo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comb teeth 51 can change their postur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즉, 자루(10)를 빗살부재(51)의 중앙부 정도로 하강시키면 지지판(21)과 빗살부재(51) 사이의 간섭이 적어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살부재(51)는 자루(10)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1자세, 즉 좁은 모드로 자세 변경된다. 좁은 모드에서 빗살부재(51)들은 도면상의 d1 정도의 길이로 퍼지게 된다(원을 가정한다면 직경이 d1이 된다). That is, when the bag 10 is lower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comb tooth member 51,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support plate 21 and the comb tooth member 51 is reduced. As shown in the figure, And is changed to the first posture, that is, the narrow mode. In the narrow mode, the comb tooth members 51 are spread in a length of about d1 in the drawing (assuming a circle is a diameter d1).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봉(42)과 결합체(47)를 분리한 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10)를 빗살부재(51)의 상단부로 이동시키면 지지판(21)이 빗사부재(51)들을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빗살부재(51)들은 자루(10)의 배치방향에 대하여 상당한 각도를 형성하면서 교차된다. 즉 빗살부재(51)들이 넓게 벌어지면서 제2자세인 넓은 모드로 변경된다. 빗살부재(51)들은 도면상의 d2의 길이로 퍼지게 된다(원으로 가정하면 d2의 직경을 가진다). 물론 좁은 모드에서의 d1보다 넓은 모드에서의 d2의 길이가 훨씬 길다. When the bag 10 is moved to the upper end of the comb tooth member 51 as shown in the figure after the connecting rod 42 and the coupling member 47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omb teeth members 51 are intersected while forming a considerable angl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gs 10 are arranged. In other words, the comb tooth members 51 are widened to be changed to a wide mode in the second posture. The comb tooth members 51 are spread over the length of d2 in the figure (assuming a circle has a diameter of d2). Of course, the length of d2 in the wider mode than the d1 in the narrow mode is much longer.

넓은 모드로 변경된 후, 연결봉(42)과 결합체(47)를 다시 결합시키면, 연결봉(42)이 자루(10)에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빗자루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넓은 모드에서는 지지판(21)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려난 빗살부재(51)들이 탄성적으로 원위치로 복원되고자 하므로, 빗살부재(51)들은 지지판(21)을 가압한다. 따라서, 넓은 모드에서는 자루(10)와 변환유닛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넓은 모드에서 중앙봉(35)의 암나사산(37)과 지지판(21) 돌출부(27)의 수나사산(28)을 상호 나사체결시켜 더욱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 After the connection mode is changed to the wide mode, when the connecting rod 42 and the coupling body 47 are coupled again, the connecting rod 42 is firmly coupled to the bag 10, so that a broom can be used. Further, in the wide mode, the comb tooth members 51 pushed outward by the support plate 21 are resiliently restor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so that the comb teeth members 51 press the support plate 21. Therefore, in the wide mode, the bag 10 and the conversion unit need to be more firmly coupl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ide mode, the female thread 37 of the central rod 35 and the male thread 28 of the projection 27 of the support plate 21 are screwed to each other to be more firmly engaged.

다만, 넓은 모드에서는 지지판(21)을 완전히 위로 끌어올려 중앙봉(35)과 결합시킬 수도 있지만, 일정 정도만 끌어올릴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중앙봉(35)과 지지판(21)이 상호 결합되지는 않는다. 즉, 사용자는 지지판(21)의 위치를 변경하여 빗살부재(51)들이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wide mode, the support plate 21 may be pulled up completely to engage with the central rod 35, but it may be lifted to a certain extent. In this case, the central rod 35 and the support plate 21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That is, the user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21 to adjust the angle at which the comb teeth members 51 exten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빗자루(100)는 빗살부재(51)가 자루(10)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각도를 넓게 형성하면서 교차되게 배치됨으로써 좁은 모드와 넓은 모드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roo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uch that the comb tooth member 51 is disposed parallel to the bag 10, or alternately arranged with a wide angle, thereby changing the posture in a narrow mode and a wide mode have.

좁은 모서리를 쓸거나 힘을 많이 주어서 비질을 해야하는 경우라면 좁은 모드로 빗자루를 사용하며, 낙엽을 쓰는 경우와 같이 힘을 많이 들이지 않고 한 번에 넓은 영역을 쓸고자 하는 경우에는 넓은 모드로 자세를 변경하여 사용한다. 즉, 청소해야할 대상의 상태나 영역의 특성에 따라 좁은 모드와 넓은 모드 사이에서 빗살부재들의 자세를 변경하여 효율적으로 청소를 할 수 있다. If you need to sweep a narrow corner or give a lot of force, use a broom in a narrow mode. If you want to sweep a large area at once without using too much force, such as when you use leaves, change the posture to wide mode . That is,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lean by changing the posture of the comb members between the narrow mode and the wide mode.

특히, 본 발명에서는 빗살부재들의 자세를 변경하기 위하여, 매우 간단한 구성을 택하고 있다는 데 특징이 있다. 빗자루와 같은 생활필수품의 경우 기능이 아무리 좋다고 하여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과다한 생산비가 투입된다면 실용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는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빗자루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 비용을 획기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very simple configuration is adopted in order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comb teeth members. In the case of everyday necessities such as broomsticks, even if the function is good, it is impractical if an excessive production cost is put in order to implement the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ttitude of the broom with a very simple structure, and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drastically reduced.

기존에 빗자루를 넓은 모드와 좁은 모드로 변경할 수 있는 빗자루의 경우 그 구성이 너무 복잡하여, 경제적인 제조가 불가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내구성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구조가 복잡하다는 것은 부품수의 증대는 물론, 조립비용도 증대시키며, 부품들 사이의 결합구조도 늘어나므로 비용과 내구성에서 바람직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통해 기능, 경제성, 내구성을 모두 만족시킨다는 점에서 실용적 의의가 크다고 할 것이다. 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a broom capable of changing the broom into a wide mode and a narrow mode, the configuration thereof is too complicated, so that not only economical manufacturing is possible but also durability is deteriorated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That is, the complicated structure increases not only the number of components but also the cost of assembly, and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omponents also increases, which is not desirable in terms of cost and dur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is of great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satisfies all functions, economy, and durability through a simple configuration.

더욱이, 빗살부재의 자세를 변경하는데 있어서 매우 간단한 구조를 채용하여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우수하여, 생활 필수품으로서 매우 실용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Moreover, the structure of the comb tooth is changed by a very simple structure, which is economical as well a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is very practical as a necessity for life.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빗살부를 좁게 또는 넓게 자세변경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빗살부의 넓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채용하면서도 빗자루의 제조가 용이하다는 점에 있다. 빗자루 제조의 간편성은 빗자루의 구조로부터 나온다. 본 발명에 따른 빗자루의 제조과정, 특히 가장 문제가 되는 빗살부재(51)와 자루(10)를 통합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 portion can be changed in a narrow or wide posture. Another importan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a broom while employing a structure for adjusting the area of the comb. The simplicity of manufacturing the broom comes from the structure of the broom.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b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comb tooth 51 and the bag 10 which are the most problematic, will be described.

빗자루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재료, 즉 자루(10), 복수의 빗살부재(51), 지지판(21), 하우징(30), 중앙봉(35), 커넥팅부재(40)을 준비한다. 하우징(30)과 중앙봉(35)은 일체로 성형하여 하나의 부재로 사용하는 것이 조립의 관점에서는 간편하다. A bag 10, a plurality of comb teeth 51, a support plate 21, a housing 30, a central rod 35 and a connecting member 40 are prepared. It is easy to assemble the housing 30 and the central rod 35 integrally and use it as one member from the standpoint of assembly.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서 실제 빗자루를 제작하는 과정을 사진으로 촬영한 것이다. 이하 빗자루 제조과정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8 내지 도 15의 도면은 사진인 바 참고번호를 기입하지 않았는 바, 앞의 도 3a 내지 도 7의 도면을 함께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8 to 15 are photographs of a process of manufacturing an actual b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broom manufactur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drawings in FIGS. 8 to 15 do not includ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rawings of FIGS. 3A to 7 will be referred to together.

도 8과 같이 중앙봉(35)을 세워놓은 후, 도 9와 같이 중앙봉(35)이 하우징(30) 내부에 동축적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중앙봉(35)을 하우징(30)에 고정한다. 물론 중앙봉(35)과 하우징(30)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라면 위 과정은 불필요하다.The central rod 35 is fixed to the housing 30 such that the central rod 35 is coaxially disposed inside the housing 30 as shown in FIG. 9 after the central rod 35 is set up as shown in FIG. The above process is unnecessary if the central rod 35 and the housing 30 are integrally formed.

이렇게 하우징(30)과 중앙봉(35)을 결합시키면, 고리형의 중앙붕(35)의 둘레를 따라 공간부가 형성된다. 공간부는 거치대(36)가 지나가는 부분만 제외하고 상면과 하면이 모두 뚫려 있어서 개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0의 사진과 같이 빗살부재(51)들을 공간부에 삽입시키면, 최종적으로 도 11의 사진과 같이 빗살부재(51)가 공간부에 빽빽하게 설치된다. 보다 확실하게 빗살부재가 삽입되도록, 빗자루를 뒤집어서 하우징의 상면을 바닥에 몇 번 두드려서 다짐한다. 빗살부재 삽입이 완료되면 도 12의 사진과 같은 상태가 된다. 도 12의 사진은 도 11의 상태에서 하우징이 위로 오도록 뒤집은 상태이다. 도 12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자는 빗살부재(51)들이 공간부에 빠짐없이 빽빽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여분의 공간이 남아 있다면 빗살부재를 더 집어 넣고 다진 후에 공간부의 상단에서 다시 확인을 할 수 있다. When the housing 30 and the central rod 35 are thus engaged, a space portion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annular central roof 35. The space portion is opened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holder (36) passes, bot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re pierced. In this state, when the comb tooth members 51 are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as shown in FIG. 10, finally, the comb tooth member 51 is closely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as shown in FIG. The broom is turned ov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is knocked on the floor several times so as to more surely insert the comb tooth member. When insertion of the comb tooth member is completed, the state shown in FIG. 12 is obtained. 12 is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is turned upside down in the state of FIG. As shown in the photograph of FIG. 12, the manufacturer can visually confirm whether or not the comb tooth members 51 are inserted tightly and densely in the space portion. If there is extra space remaining, it can be inserted again and then checked again at the top of the space.

빗살부재의 삽입이 끝나면 접착제를 빗살부재(51)의 상부로부터 도포하여 빗살부재(51)들끼리 상호 접착되도록 한다. 위에서 하부로 흘리는 것이므로 접착제가 잘 스며드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접착제의 도포가 완료되면 커넥팅부재(40)의 덮개(41)를 하우징(30)에 나사결합시키면 도 13의 상태가 된다. When the insertion of the comb member is completed, an adhesive is a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 member 51 to make the comb members 51 adhere to each other. Since it flows from the top to the bottom, it can be confirmed whether the adhesive penetrates well. When the application of the adhesive is completed, the lid 41 of the connecting member 40 is screwed to the housing 30, and the state shown in Fig. 13 is obtained.

그리고 결합체(47)를 연결봉(42)에 나사체결하면 도 14와 같은 상태가 되어 빗자루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14의 상태에서도 빗자루로서 충분히 기능한다. 도 14의 상태는 자루(10)와 지지판(21)을 끼우지 않은 상태인데, 사용자는 연결봉(42)을 손잡이로 활용하여 빗자루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빗자루를 매우 견고하게 만들 수 있도록 빗자루의 구조를 개선한 데에도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최선 실시예는 위의 구조에 더하여 빗살부의 넓이를 가변할 수 있는 형태이지만, 빗살부의 확장 기능은 없어도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조가 용이한 위와 같은 구성의 빗자루도 본 발명의 일 예라고 할 것이다. Then, when the coupling member 47 is screwed to the connecting rod 42, the state shown in FIG. 14 is obtained and the assembly of the broom is completed. And functions sufficiently as a broom even in the state shown in Fig. The state shown in FIG. 14 is a state in which the bag 10 and the support plate 21 are not sandwiched. The user can utilize the connecting rod 42 as a broom as a broom.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broom is improved so as to make the broom very robust.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 capable of varying the area of the comb teeth in addition to the above structure, but it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structure having the solid structure without the expanding function of the comb teeth and having the above- something to do.

또한 도 14의 상태에서 별도의 자루를 연결봉 및 중앙봉에 삽입시켜 결합하면 길이가 더 긴 빗자루를 완성할 수 있으며, 이 때에도 빗살부의 넓이 가변 기능은 없다. 단지 사용자가 일어선 채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길이만 늘린 것이다. 이러한 형태도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state of FIG. 14, when a separate bag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rod and the central rod and combined, the broom having a longer length can be completed. In this case, there is no function of varying the width of the comb. It only increases the length so that the user can clean it while still at work. This form also belongs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마지막으로 자루를 설치하고 자루의 하단부에 지지판을 설치하게 되면 본 발명의 베스트 형태로서 빗살부의 넓이를 가변할 수 있는 형태가 된다. 도 15의 사진에는 자루와 함께 지지판을 설치한 경우가 나타나 있다. 도 15의 사진을 참고하면 자루를 최대한 하방으로 삽입시켜 지지판이 빗살부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하였다. 이 상태에서 자루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도 16의 상태가 된다. Finally, when a bag is installed and a support plate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bag, the best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ape that can vary the area of the comb. 15 shows a case in which a support plate is provided together with a bag. Referring to the photograph of FIG. 15, the bag was inserted as far downward as possible so that the support plate protruded downward from the comb. In this state, when the bag is moved upward, the state shown in FIG. 16 is obtained.

위 조립과정에서 종래와 가장 다른 점은 빗살부재(51)들을 고정시키는 과정이다. 앞의 도 2의 종래기술에서 빗살부재(1)들을 소켓(2) 내부에 삽입하는 것과, 본 발명에서 빗살부재(51)들을 하우징(30)에 삽입하는 것은 서로 동일한 과정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30)과 덮개(41)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하우징(30)의 상면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것은 빗살부재(51)들이 하우징(30)의 공간부에 빽빽이 삽입되어 있는지를 하우징(30)의 상단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도 2와 같이 상부가 막혀 있는 소켓(2)에 빗살부재(1)를 삽입하면 빗살부재들이 빈 공간없이 빽빽하게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 빗살부재들은 하부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거칠고 딱딱하므로 빗살부재들을 헤집어서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The most different point from the prior art in the above assembling process is the process of fixing the comb teeth members 51. In the prior art of FIG. 2, inserting the comb teeth 1 into the socket 2 and inserting the comb teeth 51 into the housing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garded as the same process. However, since the housing 30 and the lid 4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0 is kept open. This means that whether or not the comb teeth members 51 are closely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housing 30 can be visually confi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30.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mb tooth 1 is inserted into the socket 2 with the upper part closed as shown in FIG. 2, it can not be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comb tooth parts are inserted tightly without the empty space. The comb teeth are elongated to the bottom and are rough and hard so it is impossible to check the comb teeth.

마찬가지로 접착제를 도포할 때도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30)의 개방된 상면으로부터 도포할 수 있다. 빗살부재들이 상호 접착되어야 하는 상부에 직접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소켓(2)은 상단면이 막혀 있으므로 접착제를 위에서 도포할 수 없다. 따라서 처음에 빗살부재들의 상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로 삽입을 하던지 소켓(2) 내면에 접착제를 미리 발라 놓아야 한다. 접착제를 빗살부재에 미리 도포하게 되면 소켓에 완전히 삽입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다른 빗살부재에 접착되어 버려서 오히려 제조가 곤란해지기도 한다. 빗살부재들의 상단부끼리 접착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데 이를 확인할 수 없다. Likewise, when applying an adhesi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rom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0. It is possible to apply the adhesive directly to the upper portion where the comb teeth members are to be adhered to each other. However, as shown in Fig. 2, since the top surface of the socket 2 is clogged, the adhesive can not be applied from abo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sert the adhesive in the state where the adhesive agent is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mb tooth members first, or to apply the adhesiv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et 2 in advance. If the adhesive is previously applied to the comb member, the adhesive is adhered to the other comb member in a state in which it is not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socket,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nufacture. It is most ideal that the upper ends of the comb teeth members are bonded to each other, but this can not be confirmed.

정리하면, 도 2의 종래기술과 본 발명을 비교할 때, 종래에는 소켓이 상부가 막혀 있는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하우징(30)에 분리가능하게 덮개(41)를 결합시키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단순한 것 같지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조과정에서 큰 차이를 발생시킨다. 2, the socket is integrally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art is clos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4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ventional housing 30, Respectively. This difference seems simple, but it makes a big differenc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빗자루의 내구성은 빗살부재와 자루가 얼마나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는가로 판가름된다. 빗자루는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The durability of the broom is determined by how firmly the comb and the bag are joined together. The broom is made of a very simple structure.

본 발명에서는 빗살부재와 자루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위와 같이 하우징과 덮개를 상호 분리하는 구성을 채택하였다. 제조자가 작업의 과정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실제 제품의 내구성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없다면, 작업에 오류가 있을 때 이를 고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기 때문이다. 또한 하우징과 덮개를 상호 분리함으로써 접착제를 상부에 서 도포할 수 있어서 작업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mb tooth and the bag, a configuration is adopted in which the housing and the cov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is is because it allows the manufacturer to visually confirm the process of the work to ensure the durability of the actual product. If the operator can not visually confirm, there is an opportunity to fix it if there is an error in the job. Further, since the housing and the cover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adhesive can be applied from above,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operation is easy.

본 발명은 구조의 변경을 통해, 작업의 용이성, 작업 결과를 육안 확인 가능성을 높였고, 결과적으로 제품의 내구성과 견고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구조적으로는 간단할 수 있지만 공업적 양산성을 고려하면 실제적으로는 매우 큰 변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easiness of operation and the possibility of visual confirmation of the operation result through the modification of the structure, and as a result, the durability and robustness of the product can be ensured. This change can be structurally simple, but it is actually a very big change considering the industrial productivity.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may be made therein. It will b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청소용 빗자루 10 ... 자루
21 ... 지지판 27 ... 돌출부
28 ... 나사산 30 ... 하우징
35 ... 중앙봉 36 ... 거치대
32 ... 제1체결부 33 ... 조임부
40 ... 커넥팅부재 41 ... 덮개
42 ... 연결봉 45 ... 조임부
47 ... 결합체 49 ... 가압부
50 ... 빗살부 51 ... 빗살부재
100 ... cleaning broom 10 ... sack
21 ... support plate 27 ... protrusion
28 ... thread 30 ... housing
35 ... central rod 36 ... cradle
32 ... First fastening part 33 ... Fastening part
40 ... connecting member 41 ... cover
42 ... connecting rod 45 ... throttle
47 ... combination body 49 ... pressing portion
50 ... comb tooth part 51 ... comb tooth member

Claims (8)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는 관 형상의 하우징;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단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고리형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중앙봉;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고리형 공간부에 삽입되고,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청소 대상물을 쓸어내는 복수의 빗살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중앙봉과 연통되어 이어지는 중공의 연결봉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팅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A tubular housing having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pened;
A central rod which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which is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housing to form an annular space portion at least partially opened at an upper end thereof so that an adhesive can be inject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 plurality of comb teeth members inserted into the annular space portion inside the housing and fixed by an adhesive to sweep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And a connecting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close an open upper end of the housing and having a hollow connecting rod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rod.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과 중앙봉에 끼워져 결합되는 봉 형상의 자루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eaning broom further comprises a rod-shaped bag which is elongated in one direction so as to be held by a user and is engaged with the connecting rod and the central r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부재들이 상기 자루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자세와, 상기 자루와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자세 사이에서 상기 빗살부재들의 배치 각도가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ngle of arrangement of the comb teeth members is adjustable between a first posture in which the comb tooth members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bag and a second posture in which the comb teeth are crossed with the ba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자루의 단면적 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지지판을 구비하며,
상기 자루는 상기 연결봉과 중앙봉에 끼워지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자루가 상기 빗살부재의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빗살부재는 상기 제1자세로, 상기 자루가 상기 빗살부재의 상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빗살부재는 상기 지지판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제2자세로 자세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The method of claim 3,
And a support plat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bag and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wid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bag,
Wherein the bag is fitted in the connecting rod and the central rod and is movably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bag is mov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 tooth member, the comb tooth member is moved to the first posture, and when the bag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 tooth member, the comb tooth member is pushed outward by the support plate, And the posture is changed to the postu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의 수나사산의 상부에는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조임부가 형성되며,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루에 끼워져 상기 연결봉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산으로부터 연장되며 내경이 상기 조임부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는 가압부가 마련된 결합체를 더 구비하여,
상기 결합체가 상기 연결봉에 나사체결될 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조임부를 상기 자루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결봉이 상기 자루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5. The method of claim 4,
A screw threa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to form a male screw thread,
And a coupling member having a hollow tubular shape and being fitted in the bag and screwed to the connecting rod, the coupling member being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with a female screw thread and extending from the female thread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narrower than the tightening portion,
Wherein when the coupling body is screwed to the connecting rod, the pressing portion presses the throttle portion toward the bag so that the connecting rod is tightly coupled to the ba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후면에는 중공형의 돌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자루에 끼워지며,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봉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봉과 상기 지지판은 나사체결에 의하여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5. The method of claim 4,
A hollow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is fitted into the bag, a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 female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rod,
Wherein the central rod and the support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screw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봉이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게 하도록, 상기 중앙봉의 상부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복수의 거치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거치대 사이는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radles extending radially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central rod and mounted to the housing such that the central rod is supported by the housing,
And the space between the cradles is open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거치대가 끼워지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빗자루.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receive the holder.
KR1020160101082A 2016-08-09 2016-08-09 Broomstick for cleaning Active KR1018750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082A KR101875096B1 (en) 2016-08-09 2016-08-09 Broomstick for cleaning
PCT/KR2017/008477 WO2018030724A1 (en) 2016-08-09 2017-08-07 Cleaning b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082A KR101875096B1 (en) 2016-08-09 2016-08-09 Broomstick for clea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368A KR20180017368A (en) 2018-02-21
KR101875096B1 true KR101875096B1 (en) 2018-08-02

Family

ID=6116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082A Active KR101875096B1 (en) 2016-08-09 2016-08-09 Broomstick for cleaning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5096B1 (en)
WO (1) WO2018030724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652A1 (en) 2021-06-23 2022-12-29 마음담은협동조합 Cleaning broom having replaceable brist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7951A1 (en) * 2019-12-13 2021-06-17 마음담은협동조합 Cleaning broom having easy-to-assemble coupling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902A (en) 2000-10-24 2002-05-08 Junko Yamada Cleaning broom
KR101205981B1 (en) 2011-07-08 2012-11-28 김태수 Bamboo broomsti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66078B1 (en) 2013-07-23 2015-11-05 권영일 Broomstick for clean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0929A3 (en) * 1983-06-30 1987-04-08 Jackie André De Ruyter Body for a broom with artificial bristles
KR920000166Y1 (en) * 1988-10-20 1992-01-15 노재달 Prefabricated base with double chair
KR920000154Y1 (en) * 1989-11-15 1992-0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Leakage detection device of junction surface of blowhole and blowpipe
FR2655525B1 (en) * 1989-12-08 1992-01-31 Leroy Henri BROOM, PARTICULARLY FOR WAYS.
KR20100004607U (en) * 2008-10-27 2010-05-07 송효숙 Broom
KR20120031570A (en) * 2010-09-27 2012-04-04 성다빈 Folder type broom
US9622567B2 (en) * 2013-09-24 2017-04-18 Yungil Kwon Cleaning broo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902A (en) 2000-10-24 2002-05-08 Junko Yamada Cleaning broom
KR101205981B1 (en) 2011-07-08 2012-11-28 김태수 Bamboo broomsti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66078B1 (en) 2013-07-23 2015-11-05 권영일 Broomstick for clean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652A1 (en) 2021-06-23 2022-12-29 마음담은협동조합 Cleaning broom having replaceable brist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0724A1 (en) 2018-02-15
KR20180017368A (en)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2090B1 (en) Interdental brush
US8794247B2 (en) Applicator device, in particular for a mascara applicator, cosmetics applicator, in particular mascara applicator comprising an applicator device, and application unit comprising the applicator device
KR101369028B1 (en) Cleaning device
US20050015905A1 (en) Broom, method, and broom display
PL181366B1 (en) Toothbrush
KR101875096B1 (en) Broomstick for cleaning
KR101571211B1 (en) Broomstick for cleaning
KR102795068B1 (en) Cosmetic brush
KR102594324B1 (en) Cosmetic brush
CN213419597U (en) Extension rod connecting structure
KR20100118498A (en) Method of manufacturing material sheet for rotating toothbrush
KR101771856B1 (en) Tooth-pick with tooth-brush
KR101566078B1 (en) Broomstick for cleaning
KR102143857B1 (en) Toothbrush manufacturing method
KR101573039B1 (en) An assembly oudoor broom of outdoor type
KR101205981B1 (en) Bamboo broomsti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88098B1 (en) Broom
KR200309482Y1 (en) a broom
KR20040011987A (en) Make-up brush
JP7520408B1 (en) Makeup brushes
CN109480722B (en) Broom connector
US3328824A (en) Broom and handle attaching means therefor
KR101775121B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hair brush
KR20210075713A (en) Broom for cleaning with fastening structure for easy assembly
JP3169531U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