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061B1 - Heat plate for h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Heat plate for hea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5061B1 KR101875061B1 KR1020160047829A KR20160047829A KR101875061B1 KR 101875061 B1 KR101875061 B1 KR 101875061B1 KR 1020160047829 A KR1020160047829 A KR 1020160047829A KR 20160047829 A KR20160047829 A KR 20160047829A KR 101875061 B1 KR101875061 B1 KR 1018750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 heating
- long axis
- support portion
-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9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191 radiation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26 magnetic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4—Coil arrangements having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2—Induction heating
- H05B2206/022—Special supports for the induction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장치에 장착되는 히팅판에 관한 것으로서, 히팅판과 상기 히팅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가열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히팅판은 평면상에 장축 코일지지부를 방사상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장축 코일지지부와 장축 코일지지부의 사이에는 장축 코일지지부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단축 코일지지부를 형성하되, 상기 코일지지부는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코일 장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코일 장착홈의 단면적은 적층되는 히팅코일의 표면적을 확대할 수 있도록 상기 히팅코일의 단면적 지름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 플레이트와 지지부의 사이에는 공기 통로를 형성하여 가열장치의 작동시 피가열체의 복사열 전도에 의한 상부 플레이트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과열에 따른 내충격성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열장치의 내부 구성요소들이 열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heating plate includes a heating plate and an upper plat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plate. The heating plate has a long axis coil support portion in a radial shape on a plane Wherein a coil supporting portion having a length shorter than that of the long axis coil suppor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long axis coil supporting portion and the long axis coil supporting portion, wherein the coil supporting portion has a coil mounting groove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Sectional area may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heating coil so as to enlarge the surface area of the heating coils stack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support portion to prevent the upper plate from being overheated by radiant heat conduction of the heating target during operation of the heating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heating device from being damaged by heat.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 난방, 의료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장치의 사용시 열을 제공받은 피가열체에서 전달되는 복사열에 의한 상부 플레이트와 내부 전자기기들이 파손되거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히팅코일의 방열과 자기장 형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가열장치의 히팅판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apparatus used for cooking, heating, medical care, and the lik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apparatus, And a heating plate of a heating device that can maximize the heat radiation and the magnetic field formation of the heating coil.
일반적으로 가열장치는 용도에 따라서 음식을 요리하는 조리기기, 실내의 온도를 높여주는 난방기기,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료기기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덕션 렌지에 적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Generally, a heating device is applied variously to a cooking device for cooking food, a heating device for raising the temperature of a room, and a medical device used for a therapeutic purpose according to the purpose. He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 will explain it.
인덕션 렌지(Induction range)는 전자유도 가열 방식(Induction geating)이란 고효율 자력선 유도기술을 응용한 것으로, 인덕션 렌지 내측의 유도가열코일에 교류 전류를 통하면 자력선(자기장)이 발생하고, 자력선 중심에 무수한 와류전류(Eddy current)가 발생하여 금속이 갖는 전기저항에 의해 피가열체 자체가 발열하여 조리하는 직접가열 방식이다.Induction range is the application of high efficiency magnetic flux induction technology. Induction heating induces magnetic flux lines (magnetic field) when an alternating current is applied to induction heating coils inside induction ranges, Eddy current is generated and the object to be heated is heated and cooked by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metal.
이러한 인덕션 렌지는 불꽃이나 유해가스 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이 없으며,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할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의 발생이 없고, 실내 산소의 소모가 적어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용기를 가열하는 도중에 그릴에 손이 닿아도 화상의 우려가 없으며 불꽃이 없기 때문에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이 없는 장점을 지지고 있다.These induction ranges do not cause fire because there is no flame or harmful gas, and there is no danger of fire, and there is no inevitable carbon monoxide generated when gas is used as a heat source. There is no fear of burning even when the grill touches the hand while heating the container, and there is no risk of fire and explosion because there is no flame.
다음으로 도시된 도 1은 종래의 인덕션 렌지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인덕션 렌지(1)는 본체(3)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고 냄비 등의 피가열체가 놓이며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5)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5)의 하부에 장착되고 고주파 자장을 발생시켜 피가열체에 유도전류를 생성시켜 발열시키는 히팅코일(7) 및 상기 히팅코일(7)의 하부나 일 측에 배치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전자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1 shows a conventional induction cooking stove. The induction cooking stove 1 includes a
즉 상기 인덕션 렌지(1)는 본체(3)의 내부로 가열판(6)을 설치한 후, 상기 가열판(6)에 히팅코일(7)을 나선형 형상으로 감은 다음, 상기 히팅코일(7)의 상부에 상부 플레이트(5)를 장착한 것이다.That is, the induction cooking appliance 1 is provided with a
그리고 상기 인덕션 렌지(1)를 통해 피가열체를 가열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5)의 상부로 피가열체를 안착시킨 후, 상기 히팅코일(7)에 전원을 인가하면 된다. When the heating target is to be heated through the induction cooking stove 1, the heating target is placed on the
이와 함께 상기 히팅코일(7)은 인근 공간에 자력선을 형성하고 상부 플레이트(5)의 상부에 놓인 피가열체는 자기장의 영향으로 형성되는 유도전류에 의하여 가열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그러나 종래의 인덕션 렌지(1)는 히팅코일(7)에 의해 열을 제공받은 피가열체의 복사열이 상판 플레이트(5)에 전도됨에 따라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5)가 과열되고 피가열체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induction cooking stove 1, as the radiant heat of the heating target provided with heat by the
좀 더 보충설명하면, 종래의 인덕션 렌지(1)에 장착되는 상부 플레이트(5)는 가장자리 부분과 하부가 본체(3)에 차단되고 열 전달면적이 작아서 피가열체의 열이 상부 플레이트(5)에 쉽게 도달되어 가열되는 반면 상기 상부 플레이트(5)에 전도된 복사열을 배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The
특히, 업소용 인덕션 렌지(1)의 경우에는 가정용 인덕션 렌지(1)에 비하여 상부 플레이트(5)의 상부에 무거운 피가열체가 안착됨으로써 상기 상부 플레이트(5)가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industrial induction cooking range 1, there is a problem that the
그리고 상기 상판 플레이트(5)에 전달된 복사열은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내부에 장착되는 히팅코일(7) 및 내부 부품들을 과열 및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radiant heat transferred to the
즉 피가열체의 복사열은 상판 플레이트(5)에 전달된 후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내부에 장착되는 히팅코일(7) 및 내부 부품들까지 전달됨으로써 상기 부품들이 열에 의하여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과열에 의한 화재의 위험성이 있었다. That is, the radiant heat of the heating target is transmitted to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 플레이트와 지지부의 사이에 공기 통로를 형성하여 가열장치의 작동시 피가열체의 복사열 전도에 의한 상부 플레이트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열장치의 히팅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assage between an upper plate and a support to prevent overheating of the upper plate due to radiant heat conduction And a heating plate of a heating device.
또한 히팅코일이 감기는 코일지지부의 코일 장착홈을 상기 히팅코일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여 히팅코일의 자기장 형성과 방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열장치의 히팅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ing plate of a hea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a magnetic field of a heating coil and a heat dissipation effect by forming a coil mounting groove of a coil support portion in which a heating coil is wound to be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heating coil.
또한 히팅코일이 감기는 코일 장착홈의 내면에 간격을 두고 코일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히팅코일을 고정하면서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히팅코일의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열장치의 히팅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d a coil fix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il mounting groove on which the heating coil is wound to fix the heating coil to allow heat of the heating coil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space formed therebetwee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lat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히팅판은 히팅판과 상기 히팅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가열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히팅판은 평면상에 장축 코일지지부를 방사상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장축 코일지지부와 장축 코일지지부의 사이에는 장축 코일지지부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단축 코일지지부를 형성하되, 상기 코일지지부는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코일 장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코일 장착홈의 단면적은 적층되는 히팅코일의 표면적을 확대할 수 있도록 상기 히팅코일의 단면적 지름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The heating plate of th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eating plate and an upper plat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plate, wherein the heating plate has a long axis coil support portion formed in a radial shape on a plane And a coil supporting portion having a length shorter than that of the long axis coil suppor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long axis coil supporting portion and the long axis coil supporting portion, wherein the coil supporting portion has a coil mounting groove formed at an upper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ectional area of the heating coil so as to enlarge the surface area of the heating coil to be stacked.
그리고 상기 코일 장착홈의 내측면은 히팅코일을 경사지게 적층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surface of the coil mounting groove may be inclined so that the heating coil may be inclined.
또한 상기 코일 장착홈의 내측면은 히팅코일을 분리적층할 수 있도록 단턱부 또는 곡선부가 연속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il mounting groove may be continuously formed with a step or a curved portion so that the heating coil can be separated and laminated.
여기서 상기 코일 장착홈을 구성하는 내측면과 외측면에는 히팅코일의 고정과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상기 히팅코일의 열을 배출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코일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A coil fix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and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coil mounting groove at intervals to allow the heat of the heating coil to be discharged through a space formed between fixing of the heating coil.
그리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코일지지부는 사이에 공기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다. The upper plate and the coil support may be spaced apart to form an air passage between them.
또한 상기 장축 코일지지부와 단축 코일지지부는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코일지지부의 사이에 공기 순환부를 형성할 수 있다. The long axis coil support portion and the single axis coil support portion are formed to protru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n air circulation portion between the coil support portions.
상기 히팅판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공이 구비된 고정부를 형성하고, 일 측면에는 지지부에 감기는 히팅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를 형성할 수 있다. A fixing part having a coupling hole at an interval around the periphery of the heating plate is formed and a cable fixing part for fixing a cab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coil wound on the supporting part can be formed on one si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 플레이트와 지지부의 사이에는 공기 통로를 형성하여 가열장치의 작동시 피가열체의 복사열 전도에 의한 상부 플레이트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과열에 따른 내충격성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열장치의 내부 구성요소들이 열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support portion to prevent the upper plate from being overheated by radiant heat conduction of the heating target during operation of the heating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heating device from being damaged by heat.
또한 히팅코일이 감기는 코일지지부의 코일 장착홈을 상기 히팅코일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여 히팅코일의 자기장 형성과 방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작업시간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coil mounting groove of the coil support portion in which the heating coil is wound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ting coil, the magnetic field of the heating coil can be improved and the heat radiation effect can be improved, It is effective.
도 1은 종래의 인덕션 렌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인덕션 렌지의 내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히팅판이 적용된 인덕션 렌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상부 플레이트를 제외한 인덕션 렌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 - 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히팅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 - B선 단면도.
도 8(a) 내지 8(c)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히팅판을 구성하는 코일지지부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히팅판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induction cooking stove.
2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onventional induction cooking stov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induction cooking stove to which a heating plate of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plan view of an induction cooking stove except the upper plate of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a heating plate of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 - B in FIG.
8 (a) to 8 (c) show an embodiment of a coil support constituting a heating plate of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partially enlarged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eating plate of th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히팅판이 적용된 인덕션 렌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상부 플레이트를 제외한 인덕션 렌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 - 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히팅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 - B선 단면도이고, 도 8(a) 내지 8(c)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히팅판을 구성하는 코일지지부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induction cooking stove to which a heating plate of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duction cooking st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of a heating plate of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 to 8 (c)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il support constituting a heating plate of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먼저, 본원발명인 가열장치(100)는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히팅판과 상기 히팅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가열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First, the
즉, 상기 가열장치(100)는 음식을 요리하는 조리기기, 실내의 온도를 높여주는 난방기기,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료기기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덕션 렌지에 적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at is,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장치(100)는 내부에 구성요소의 장착을 위하여 수용공간(112)이 형성되고 일 측에는 조작부(600)가 설치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장착되고 냄비 등의 피가열체가 놓이는 유리, 사기,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300)와,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 장착되는 히팅판(200)과, 상기 히팅판(200)에 나선형으로 감기고 고주파 자장을 발생시켜 용기에 유도전류를 생성시켜 발열시키는 히팅코일(400)과 상기 히팅코일(400)의 하부나 일 측에 배치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전자회로(500) 및 상기 히팅판(200)의 하부에 적어도 두 개 이상장착되고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700) 등으로 구성된다. A
즉, 본원발명인 히팅판(200)은 가열장치(100)의 사용시 피가열체의 복사열 전도에 상부 플레이트(300)의 과열에 따른 내부 전자기기들이 파손되거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히팅코일(400)의 방열과 자기장 형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That is, the
이를 위하여, 상기 히팅판(200)은 고정부(210), 장축 코일지지부(220), 공기 순환부(230), 케이블 고정부(240), 단축 코일지지부(250)가 일체 또는 분리형성된다. The
이때 상기 히팅판(200)의 형상은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그리고 상기 히팅판(200)은 평면상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여기서는 외부공기와 내부공기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즉 상기 히팅판(200)은 장축 코일지지부(220)와 단축 코일지지부(250)를 제외한 부분을 중공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That is, the
그리고 상기 히팅판(200)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부(210)가 형성된다. A
즉 상기 고정부(210)는 히팅판(20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본체(110)에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구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212)이 형성된다.That is, the
상기 장축 코일지지부(220)는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며 히팅판(200)의 평면상에 방사상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long
그리고 상기 장축 코일지지부(220)는 상면(222)이 상부 플레이트(300)의 저면과 근접되며, 상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코일 장착홈(224)이 형성되고, 내부 또는 하부에는 코어 장착홈(226)이 형성된다. A
다음으로 상기 코일 장착홈(224)은 히팅코일(400)이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적층될 수 있도록 장축 코일 지지부(220)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배치되면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이때 상기 코일 장착홈(224)의 폭과 높이는 적층되는 히팅코일(400)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It is noted that the width and height of the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코일 장착홈(224)의 폭은 적층되는 히팅코일(400)의 표면적을 확대할 수 있도록 상기 히팅코일(400)의 단면적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즉 상기 코일 장착홈(224)은 히팅코일(400)의 지름보다 크게 폭을 크게 형성하여 내부에 적층되는 히팅코일(400)의 표면적을 확대시켜 자기장을 극대화시킴은 물론이고 방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종래의 코일 장착홈에 장착되는 히팅코일은 수직으로 적층됨에 따라서 자기장의 면적이 작고 열을 배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반면, 본원발명은 코일 장착홈(224)에 적층되는 히팅코일(400)의 중심을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배치시켜 자기장의 면적은 확대시키면서도 외부와 연통되는 노출면적의 확대에 따라 방열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In detail, the heating coil mounted in the conventional coil mounting groove has a small magnetic field area and is difficult to discharge heat as vertically stacked.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coil, which is stacked on the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코일 장착홈(224)은 도시된 7과 8과 같이 형성되는데, 먼저, 도시된 도 8의 코일 장착홈(224)은 내측면(224a)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히팅코일(400)을 경사지게 적층할 수 있도록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The
즉 상기 코일 장착홈(224)은 히팅코일(400)이 감기는 방향의 내측면(224a)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코일 장착홈(224)에 히팅코일(400)의 적층시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그리고 도시된 도 8(a) 내지 8(c)의 코일 장착홈(224)은 내측면(224a)에 히팅코일(400)을 분리적층할 수 있도록 단턱부(224b) 또는 곡선부(224c) 또는 연속경사부(224d)가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The
즉 상기 코일 장착홈(224)은 히팅코일(400)을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및 지지함은 물론이고 상기 히팅코일(400)의 자기장 극대화 및 방열효과를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또한 상기 코어 장착홈(226)은 고주파에서 와전류손실을 막기 위해 분말형태로 압축시켜 만든 페라이트 코어가 장착될 수 있도록 측단면도상 "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Further, the
즉 상기 코어 장착홈(226)은 페라이트 코어가 끼움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 및 하부를 " ㄴ "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That is, the
상기 공기 순환부(230)는 장축 코일지지부(220)와 장축 코일지지부(220) 또는 장축 코일지지부(220)와 단축 코일지지부(250)의 사이에 형성된다. The
즉 상기 공기 순환부(230)는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장축 코일지지부(220)와 장축 코일지지부(220) 또는 장축 코일지지부(220)와 단축 코일지지부(250)의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히팅판(200)의 내부에 공급하고, 상기 히팅판(20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상기 케이블 고정부(240)는 히팅판(200)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히팅코일(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520)을 고정하게 된다. The
여기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240)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240)는 평면상 "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즉 상기 케이블 고정부(240)는 마감고정부(210)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520)을 히팅판(200)의 하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시킨 후 히팅코일(4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이때 상기 케이블(520)을 히팅판(200)의 하부로 안내한 것은 상부 플레이트(300)의 열이 케이블(5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히팅코일(400)과 원활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The guide of the
상기 단축 코일지지부(250)는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며, 장축 코일지지부(220)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고, 내측 끝단에는 장축 코일지지부(220)의 측면과 연결되는 지지 연결부(260)가 일체로 형성된다. The
즉 상기 단축 코일지지부(250)는 장축 코일지지부(220)와 마찬가지로 상면(252)은 상부 플레이트(300)의 저면과 근접되며 상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코일 장착홈(254)이 형성되는 것이다. That is, the
여기서 상기 단축 코일지지부(250)의 상부 높이는 장축 코일지지부(22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부 플레이트(300)를 통해 전달되는 열이 마감고정부(210)를 거쳐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공기 순환부(230)를 형성하여 열을 순환시키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를 통해 전달되는 열이 어느 한 쪽에 집중하여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upper end of the uniaxial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단축 코일지지부(250)는 페라이트 코어가 장착되는 장축 코일지지부(220)와 상이하게 상부 플레이트(300)에서 전달되는 복사열을 흡수한 후 지지 연결부(260)와 함께 바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그리고 상기 단축 코일지지부(250)의 코일 장착홈(254)은 장축 코일지지부(220)의 코일 장착홈(224)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여기서 상기 코일 장착홈(254)은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The
즉 상기 코일 장착홈(254)은 히팅코일(400)이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적층될 수 있도록 단축 코일 지지부(250)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배치되면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코일 장착홈(254)의 폭은 적층되는 히팅코일(400)의 표면적을 확대할 수 있도록 상기 히팅코일(400)의 단면적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The width of the
즉 상기 코일 장착홈(254)은 히팅코일(400)의 지름보다 크게 폭을 크게 형성하여 내부에 적층되는 히팅코일(400)의 표면적을 확대시켜 자기장을 극대화시킴은 물론이고 방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코일 장착홈(254)은 도시된 7과 8과 같이 형성되는데, 먼저, 도시된 도 8의 코일 장착홈(254)은 내측면(254a)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히팅코일(400)을 경사지게 적층할 수 있도록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The
그리고 도시된 도 8(a) 내지 8(c)의 코일 장착홈(254)은 내측면(254a)에 히팅코일(400)을 분리적층할 수 있도록 단턱부(254b) 또는 곡선부(254c) 또는 연속경사부(254d)가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The
다음으로 상기 가열장치의 히팅판은 도시된 도 9 및 10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Next, the heating plate of the heating apparatus can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s. 9 and 10.
먼저 도시된 도 9의 가열장치의 히팅판은 장축 코일지지부(220)와 단축 코일지지부(250)를 고정 장축 코일지지부재(272)와 코일 장착부재(276)로 분리구성한 것이다. The heating plate of th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 9 is constructed by separating the long axis
그리고 상기 장축 코일지지부(220)와 단축 코일지지부(250)는 내부에 장착공간(274)이 형성되는 고정 장축 코일지지부재(272)와 상기 장착공간(27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는 일정간격을 코일 장착홈(278)이 형성되는 코일 장착부재(276)로 구성된다. The long
즉 상기 장축 코일지지부(220)와 단축 코일지지부(250)는 상부 플레이트(300)와 열 접촉이 넓은 코일 장착부재(276)의 손상시 해당되는 구성만을 교체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long axis
이때 상기 고정 장축 코일지지부재(272)와 코일 장착부재(276)는 공지된 끼움 결합구조나 슬라이딩 결합구조를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t this time, the fixed long axis
그리고 도시된 도 10의 가열장치의 히팅판은 장축 코일지지부(220)와 단축 코일지지부(250)를 구성하는 코일 장착홈(224, 254)에 히팅코일(400)을 고정하고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히팅코일(400)의 열을 배출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탄성을 가지는 코일 고정돌기(280)가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The heating plate of th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 10 has a heating coil 400 fixed to the
즉 상기 가열장치의 히팅판은 코일 장착홈(224, 254)에 형성되는 코일 고정돌기(280)를 통해 히팅코일(400)의 지름이 작아져도 고정하고 사이에 형성된 공간(S)을 통해 상기 히팅코일(400)의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heating plate of the heating device is fixed through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열장치의 히팅판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히팅판(200)은 일체로 제작되고 설명 편의를 위하여 단계적으로 형성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An embodiment of the heating plate of the heat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Hereinafter, the
먼저, 중공형상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가장자리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공(212)이 형성된 고정부(210)가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평면상 "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블 고정부(240)가 형성되는 히팅판(200)을 형성한다. First, a fixing
그리고 상기 히팅판(200)의 평면상에 상면(222)은 상부 플레이트(300)의 저면과 근접될 수 있도록 수평형성되며, 상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코일 장착홈(224)이 형성되고, 내부 및 하부에는 코어 장착홈(226)이 형성되는 장축 코일지지부(220)를 방사상 형상으로 형성한다. A
이때 상기 코일 장착홈(224)의 내측면(224a)은 히팅코일(400)을 경사지게 적층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한다. At this time, the
다음으로 상기 장축 코일지지부(220)와 장축 코일지지부(220)의 사이로 장축 코일지지부(220)와 마찬가지로 상면(252)은 상부 플레이트(300)의 저면과 근접될 수 있도록 수평형성되며, 상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코일 장착홈(254)이 형성되는 단축 코일지지부(250)를 형성하면 히팅판(200)은 완성되는 것이다. Like the long
이때 상기 코일 장착홈(254)의 내측면(254a)은 장축 코일지지부(220)의 코일 장착홈(224)와 대응하여 히팅코일(400)을 경사지게 적층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한다. The
그리고 상기 히팅판(200)이 장착되는 인덕션 렌지(100)에 적용되는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먼저, 상기 히팅판(200)에 나선형으로 감기고 고주파 자장을 발생시켜 피가열체에 유도전류를 생성시켜 발열시키는 히팅코일(400)을 장착한다. First, a heating coil 400 is wound around the
그리고 내부에 구성요소의 장착을 위하여 수용공간(112)이 형성되는 본체(110)를 형성한 후 상기 본체(110)의 일 측과 반대 측에 조작부(600)와 두 개 이상의 송풍팬(700)을 각각 장착한다. After the
다음으로 상기 송풍팬(700)이 장착되는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으로 히팅코일(400)이 장착되는 히팅판(20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히팅판(200)은 인덕션 렌지(100)에 장착시 상부 플레이트(300)와 지지부(220, 250)의 사이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도록 설치한다. The
여기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저면과 지지부(220, 250)의 상면(222,252)에 공기 통로를 형성한 것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여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히팅코일(400)을 통한 유도전류가 피가열체로 전달시 약해지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air passag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일 측으로 히팅코일(4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자회로(500)를 장착한 후 상기 본체(110)의 상부로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300)를 장착하면 인덕션 렌지(10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When an
여기서 인덕션 렌지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Here, the assembly order of the induction ranges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above.
다음으로 상기 인덕션 렌지(100)를 통하여 피가열체를 가열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에 피가열체를 안착시킨 후 조작부(600)를 작동시키면 된다. Next, in order to heat the heating target through the
다음으로 상기 전자회로(500)는 히팅코일(4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히팅코일(400)은 인근 공간에 자력선을 형성하며 상부 플레이트(300)의 상부에 놓인 피가열체는 자기장의 영향으로 형성되는 유도전류에 의하여 가열된다. Next, the
이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상부에 놓인 피가열체에 자기장을 공급하는 히팅코일(400)은 서로 다른 선상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공급함으로써 자기장을 극대화시키면서도 노출면적의 확대에 따라 방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heating coil 400 for supplying a magnetic field to the heated body placed on the
또한 상기 피가열체를 통해 상부 플레이트(300)에 전달되는 복사열은 공기 순환부(23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공기통로를 통해 히팅판(200)의 외부로 전달될 뿐만 아니라 상기 장축 코일지지부(220)의 상면(222)과 단축 코일지지부(250)의 상면(252)에 전달된 후 하부로 이동하여 송풍팬(70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The radiant heat transferred to the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가열장치의 히팅판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nd constructions.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
100 : 가열장치, 110 : 본체,
112 : 수용공간, 200 : 히팅판,
210 : 고정부, 220 : 장축 코일지지부,
222 : 상면, 224 : 코일 장착홈,
226 : 코어 장착홈, 230 : 공기 순환부,
240 : 케이블 고정부, 250 : 단축 코일지지부,
252 : 상면, 254 : 코일 장착홈,
260 : 지지 연결부, 300 : 상부 플레이트,
400 : 히팅코일, 500 : 전자회로,
600 : 조작부, 700 : 송풍팬.100: heating device, 110: main body,
112: accommodation space, 200: heating plate,
210: fixing part, 220: long axis coil supporting part,
222: upper surface, 224: coil mounting groove,
226: core mounting groove, 230: air circulation part,
240: Cable fixing part, 250: Single axis coil supporting part,
252: upper surface, 254: coil mounting groove,
260: support connection part, 300: upper plate,
400: heating coil, 500: electronic circuit,
600: operating part, 700: blowing fan.
Claims (7)
상기 코일지지부는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코일 장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코일 장착홈의 단면적은 적층되는 히팅코일의 표면적을 확대할 수 있도록 상기 히팅코일의 단면적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코일지지부는 사이에 공기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장축 코일지지부와 단축 코일지지부는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축 코일지지부와 장축 코일지지부 또는 장축 코일지지부와 단축 코일지지부의 사이에 공기 순환부를 형성하며,
상기 히팅판의 하부에는 상기 히팅판에서 발생되는 복사열이 상기 공기 통로와 공기 순환부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의 히팅판.A heating device comprising a heating plate and an upper plat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plate, wherein the heating plate has a planar long axis coil support portion formed in a radial shape, and between the long axis coil support portion and the long axis coil support portion Wherein a short axis coil support portion having a shorter length than the long axis coil support portion is formed,
Wherein a coil mounting groove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il supporting portion and a sectional area of the coil mounting groove is larger than a cross sectional area of the heating coil to enlarge the surface area of the heating coil,
Wherein the upper plate and the coil supporter are mounted with an interval therebetween so as to form an air passage,
The long axis coil support portion and the short axis coil support portion are protru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n air circulation portion between the long axis coil support portion and the long axis coil support portion or between the long axis coil support portion and the single axis coil support portion,
Wherein at least one blowing fan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eating plate so that radiant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plat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passage and the air circulation unit.
상기 코일 장착홈의 내측면은 히팅코일을 경사지게 적층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의 히팅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coil mounting groove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heating coil can be inclined.
상기 코일 장착홈의 내측면은 히팅코일을 분리적층할 수 있도록 단턱부 또는 곡선부가 연속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의 히팅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il mounting groove is continuously formed with a step or a curved portion so as to separate and laminate the heating coil.
상기 코일 장착홈을 구성하는 내측면과 외측면에는 히팅코일의 고정과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상기 히팅코일의 열을 배출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코일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의 히팅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il fix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and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coil mounting groove so as to allow the heat of the heating coil to be discharged through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xing and the fixing of the heating coil. Of the heating plate.
상기 히팅판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공이 구비된 고정부를 형성하고, 일 측면에는 지지부에 감기는 히팅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의 히팅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able fixing part for fixing a cab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coil wound on the supporting par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art, Of the heating pl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7829A KR101875061B1 (en) | 2016-04-19 | 2016-04-19 | Heat plate for he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7829A KR101875061B1 (en) | 2016-04-19 | 2016-04-19 | Heat plate for heat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9586A KR20170119586A (en) | 2017-10-27 |
KR101875061B1 true KR101875061B1 (en) | 2018-07-05 |
Family
ID=6030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7829A Active KR101875061B1 (en) | 2016-04-19 | 2016-04-19 | Heat plate for hea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5061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5246B1 (en) * | 2004-07-13 | 2006-03-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usehold electric cooktop |
JP2011113916A (en) * | 2009-11-30 | 2011-06-09 | Toshiba Corp | Induction cooking device |
KR101534510B1 (en) * | 2014-12-04 | 2015-07-07 | (주)피스월드 | Induction heating plate |
-
2016
- 2016-04-19 KR KR1020160047829A patent/KR10187506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5246B1 (en) * | 2004-07-13 | 2006-03-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usehold electric cooktop |
JP2011113916A (en) * | 2009-11-30 | 2011-06-09 | Toshiba Corp | Induction cooking device |
KR101534510B1 (en) * | 2014-12-04 | 2015-07-07 | (주)피스월드 | Induction heating plat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9586A (en) | 2017-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00270288A1 (en) | Device for heating food using induction and device for transmitting energy | |
US11743978B2 (en) | Induction heater for a cook top | |
JP5402358B2 (en) | Induction heating cooker, method of attaching the same, and kitchen apparatus using the same | |
EP3651549A1 (en) |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insulation structure | |
WO2020029514A1 (en) | Heating appliance | |
US11438975B2 (en) | Cooking appliance | |
KR101875061B1 (en) | Heat plate for heating apparatus | |
KR102187884B1 (en) | Working coil base | |
KR101591064B1 (en) | Induction type heater | |
US11503678B2 (en) | Cooking applianc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oking appliance device | |
JP2009123603A (en) | Induction heating cooker | |
JP2009302072A (en) | Induction heating cooker | |
JP2010055791A (en) | Induction heating cooker | |
JP5550491B2 (en) | Electromagnetic cooker | |
KR102212714B1 (en) | Portable induction with magnetic field shielding case | |
JP2011243469A (en) | Induction heating cooker | |
US11796181B2 (en) | Electric range | |
KR102142414B1 (en) | Working coil assembly of cooking apparatus | |
JP2004342346A (en) | Induction heating cooker | |
US20220167468A1 (en) | Electric range | |
CN113597034B (en) | Magnetic strip, magnetic strip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ic heating device | |
CN221227769U (en) | Coil panel and cooking device | |
JP2005122963A (en) | Induction heating cooker | |
JP2011113916A (en) | Induction cooking device | |
US20230180355A1 (en) | Combined inductor shield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