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034B1 - Car seat control apparatus - Google Patents
Car seat control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5034B1 KR101875034B1 KR1020160169667A KR20160169667A KR101875034B1 KR 101875034 B1 KR101875034 B1 KR 101875034B1 KR 1020160169667 A KR1020160169667 A KR 1020160169667A KR 20160169667 A KR20160169667 A KR 20160169667A KR 101875034 B1 KR101875034 B1 KR 1018750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ing motor
- seat
- seat cushion
- driving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56—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the occupant to get in or out of the vehicle, e.g. stowing a seat forwar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60N2/0021—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 B60N2/0024—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for identifying, categorising or investigation of the occupant or object on the seat
- B60N2/0025—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for identifying, categorising or investigation of the occupant or object on the seat by using weight measur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 B60N2/023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4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handicapped pers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 B60N2002/0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제어장치는, 내부에 무게감지센서가 장착되고 측면에 제어버튼이 구비되며 시트등받이와는 분리되어 구비되는 시트쿠션과, 상기 시트쿠션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쿠션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시트등받이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제1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전후 이동하는 시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시트 쿠션의 하부와 구동축이 결합되어 상기 시트쿠션의 회전 구동을 위해 구비되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부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nd a seat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cushion having a weight detection sensor mounted therein, a control button provided on a side surface thereof and separated from a seat back, A seat fram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ushion and guiding the back and forth movement of the seat cushion; a seat frame coupled to the seat back and moving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rail by driving the first driving motor; A second driving motor provided above the seat frame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and a driving shaft to rotate the seat cush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driving motor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승하차시에 시트를 후진 및 회전시켜 승차 및 하차 편리성을 개선한 차량용 시트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t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improves the convenience of getting on and off the seat by reversing and rotating the seat when a driver or a passenger gets on and off.
산업이 고도화되고 사회가 고령화되면서 노약자와 교통사고, 산업재해 등으로 인한 후천적 장애인들이 급증하고 있다. 이들의 독립적인 생활을 보장해 주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생활에 필요한 이동수단이 필수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하지만 보편적인 이동수단인 자동차의 경우 이들이 주변의 도움 없이 탑승하기는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As the industry becomes more sophisticated and the society ages, the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re suffering from aged persons, traffic accidents, industrial accidents, etc. is rapidly increasing. In order to guarantee their independence, essential means of life should be provided. However, in the case of automobiles as a universal means of transportation, they have a structure that is difficult to ride without the help of the surrounding people.
일반적으로, 국내 및 해외 자동차 회사들은 장애인을 위한 특수 자동차를 생산하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은 장애인을 위한 주행 보조 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장애인의 승차 및 하차와 관련된 차량의 외부에서 특장차 개념으로 양산차를 개조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주문 제작을 할 수 밖에 없어 가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general, domestic and foreign automobile manufacturers produce special vehicles for the disabled, but most of them are equipped with driving aids for the disabl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ethod of modifying the mass-produced vehicle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related to the riding and getting off of the handicapped person is used, and the price is high because it can not be made to order.
또한 장애인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동시트 시스템은 차량의 구조변경 및 넓은 범위의 회전 작동으로 인해 일반인에게 적용하기에는 불필요한 요소가 많다. 따라서 일반인이 사용하는 일반 자동차의 경우에도 장애인 및 일반인이 편리하게 승하차 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seat system used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has many unnecessary elements to be applied to the general public due to a structural change of the vehicle and a wide range of rotation operation. 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a general car used by a general public,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capable of getting on and off conveniently by the disabled and the general public.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seat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overcoming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탑승자의 승차 및 하차시에 탑승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편리하게 이용가능한 차량용 시트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seat control apparatus which can be conveniently used while minimizing the movement of an occupant when a passenger gets on and off.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제어장치는, 내부에 무게감지센서가 장착되고 측면에 제어버튼이 구비되며 시트등받이와는 분리되어 구비되는 시트쿠션과, 상기 시트쿠션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쿠션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시트등받이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제1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전후 이동하는 시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시트 쿠션의 하부와 구동축이 결합되어 상기 시트쿠션의 회전 구동을 위해 구비되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t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weight detection sensor, a control button on a side thereof, and a seat back A seat cush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and guiding a back and forth movement of the seat cushion; a seat frame coupled to the seat back and moving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rail, ; A second driving motor provided above the seat frame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and a driving shaft to rotate the seat cush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driving motor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상기 제2구동모터는 상기 시트쿠션의 하부와 볼 베어링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motor may have a ball bearing coupling structure with a low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고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도어가 열리는 경우에, 상기 제1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시트쿠션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일정거리 후진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제2구동모터를 구동함에 의해 상기 시트쿠션이 상기 시트등받이와는 별도로 도어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구동모터 구동이후,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구동모터 및 상기 제1구동모터를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상기 시트쿠션을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drives the first driving motor to cause the seat cushion to move back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guide rail when the door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is detected through the weight detection sensor and the vehicle is turned off And then, by driving the second driving motor, the seat cushion is controlled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oor direction separately from the seat back, and after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motor, a predetermined weight is detected through the weight sensing sensor The second driving motor and the first driving motor are sequentially driven to restore the seat cushion to the original stat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지 않고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도어가 열리는 경우에, 상기 제1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시트쿠션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일정거리 후진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제2구동모터를 구동함에 의해 상기 시트쿠션이 상기 시트등받이와는 별도로 도어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구동모터 구동이후,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2구동모터 및 상기 제1구동모터를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상기 시트쿠션을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rive the first driving motor so that the seat cushion is moved back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guide rail when the door is opened in a state that the weight is not detected through the weight detection sensor and the vehicle is not started And then driving the second driving motor to control the seat cushion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oor direction separately from the seat back, and after the second driving motor is driven, The second driving motor and the first driving motor are sequentially driven to return the seat cushion to the original stat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고, 상기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어버튼이 눌려지는 경우에, 상기 제1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시트쿠션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일정거리 후진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제2구동모터를 구동함에 의해 상기 시트쿠션이 상기 시트등받이와는 별도로 도어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구동모터 구동이후,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구동모터 및 상기 제1구동모터를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상기 시트쿠션을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driving motor so that the seat cushion moves along the guide rail when the control button is pressed while a predetermined weight is detected through the weight detection sensor and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The seat cushion is controlled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oor direction separately from the seat back by driving the second driving motor, and after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motor, When the predetermined weight is not detected, the second driving motor and the first driving motor may be sequentially driven to restore the seat cushion to the original stat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어버튼이 눌려지는 경우에, 상기 제1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시트쿠션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일정거리 후진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제2구동모터를 구동함에 의해 상기 시트쿠션이 상기 시트등받이와는 별도로 도어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구동모터 구동이후,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2구동모터 및 상기 제1구동모터를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상기 시트쿠션을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rive the first driving motor to cause the seat cushion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when the control button is pressed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is not detected through the weight detection sensor and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The seat cushion is controlled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oor direction separately from the seat back by driving the second driving motor, and after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motor, The second driving motor and the first driving motor may be sequentially driven to restore the seat cushion to the original state.
본 발명에 따르면, 장애인을 포함하여 일반인의 승차 및 하차가 편리하게 되며, 탑승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도 편리하게 이용가능하고, 하차시 탑승자의 신발이 도어하단부와의 접촉이 최소화되어 차량청결유지에도 도움이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ride and get off the general public including the disabled, minimize the movement of the occupant, and conveniently use, and minimize the contact of the occupant's shoes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when getting off.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시트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차량용 시트의 후진이동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차량용 시트의 후진이동후에 시트쿠션이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seat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seat of Fig. 2 in a backward movemen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cushion is rotated after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vehicle seat of Fig. 3;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out intending to intend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시트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차량용 시트의 후진이동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차량용 시트의 후진이동 후에 시트쿠션이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seat of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cushion is rotated after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vehicle seat.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제어장치(100)는, 시트쿠션(110), 가이드 레일(130), 시트프레임(140), 제1구동모터(135), 제2구동모터(150),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1 to 4, a vehicle
상기 시트쿠션(110)은 상부시트(112)와 하부시트(114)가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무게감지센서(116)가 장착되고 측면에 제어버튼(115)이 구비되며 시트등받이(120)와는 분리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시트쿠션(110)은 상기 시트등받이(120)와는 독립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가이드 레일(130)은 상기 시트쿠션(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쿠션(11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2개의 가이드 레일이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시트프레임(140)은 후단부분에 상기 시트등받이(120)의 하단부분이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130) 상에 설치되어 제1구동모터(135)의 구동에 따라 전후 이동하게 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제1구동모터(135)는 슬라이드 모터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여 상기 시트프레임(140)을 전 후 이동시키게 된다.The
상기 제2구동모터(150)는 스테핑 모터로 구비되며, 상기 시트프레임(140)의 상부에 형성된 장착홈에 장착되며, 상기 시트 쿠션(110)의 하부와 구동축이 결합되어 상기 시트쿠션(110)의 회전 구동을 위해 구비되게 된다. 즉 상기 제2구동모터(150)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며, 상기 제2구동모터(1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시트쿠션(110)이 회전하게 된다.The second driving
상기 제2구동모터(150)는 상기 시트쿠션(110)의 하부와 볼 베어링(155)을 이용한 볼 베어링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트쿠션(110)이 회전하는 경우 접촉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원활한 회전이 가능해지게 된다.Th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구동모터(135) 및 상기 제2구동모터(150)의 동작제어를 통해 상기 시트쿠션(110)을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동하여 동작하거나 차량의 ECU에 포함되어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of a vehicle or may be included in an ECU of the vehicle to perform control.
상기 제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110)이 기본상태인 원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탑승자가 하차하고자 하는 경우에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unit operates as follows when a passenger wants to get off the
우선 운행이 완료된 상태에서 탑승자의 하차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116)를 통해 일정 무게(예를 들면, 일반적인 사람 몸무게 또는 미리 정해진 무게)가 감지되고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도어가 열리는 경우 등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탑승자가 하차할 것이라고 감지하게 된다. In order to detect the getting off of the occupant in the state where the running is completed, the controller detects a certain weight (for example, a general person's weight or a predetermined weight) through the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모터(135)를 구동하여 상기 시트쿠션(110)이 상기 가이드 레일(130)을 따라 일정거리 후진하도록 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구동모터(150)를 구동함에 의해 상기 시트쿠션(110)이 상기 시트등받이(120)와는 별도로 도어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탑승자의 하차를 편리하게 한다.3, the control unit drives the
상기 제2구동모터(150) 구동이후, 일정시간이 지나 상기 무게감지센서(116)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탑승자가 하차를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2구동모터(150) 및 상기 제1구동모터(135)를 순차적 또는 동시에 구동시켜 상기 시트쿠션(110)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상태인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If a certain weight is not detected through the
다음으로, 탑승자가 승차하고자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Next, when the passenger wishes to ride, the following operation is performed.
상기 제어부는, 도 2의 기본상태에서 우선 승차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무게감지센서(116)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지 않고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도어가 열리는 경우에 탑승자가 승차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2, when the door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weight is not detected through the
이 경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모터(135)를 구동하여 상기 시트쿠션(110)이 상기 가이드 레일(130)을 따라 일정거리 후진하도록 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구동모터(150)를 구동함에 의해 상기 시트쿠션(110)이 상기 시트등받이(120)와는 별도로 도어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탑승자의 승차를 편리하게 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the
상기 제2구동모터(150) 구동이후, 상기 무게감지센서(116)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2구동모터(150) 및 상기 제1구동모터(135)를 순차적 또는 동시에 구동시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상태인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The
위의 경우는 제어부에서 승차 및 하차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한 것이다. In the above case,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detects the riding and getting off of the vehicle, and operates.
이외에 상기 승차 동작 및 하차동작을 상기 제어버튼을 통해 시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start the riding operation and the getting off operation through the control button.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우선 운행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무게감지센서(116)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고, 상기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어버튼(하차버튼)(115)이 눌려지는 경우에 동작을 수행한다.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button (115) is depressed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is detected through the weight detection sensor (116) The operation is performed.
즉 상기 제어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모터(135)를 구동하여 상기 시트쿠션(110)이 상기 가이드 레일(130)을 따라 일정거리 후진하도록 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구동모터(150)를 구동함에 의해 상기 시트쿠션(110)이 상기 시트등받이(120)와는 별도로 도어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탑승자의 하차를 편리하게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ler drives the
상기 제2구동모터(150) 구동이후, 일정시간이 지나 상기 무게감지센서(116)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탑승자가 하차를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2구동모터(150) 및 상기 제1구동모터(135)를 순차적 또는 동시에 구동시켜 상기 시트쿠션(110)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상태인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If a certain weight is not detected through the
다음으로, 탑승자가 승차하고자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Next, when the passenger wishes to ride, the following operation is performed.
상기 제어부는, 도 2의 기본상태에서 우선 승차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무게감지센서(116)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지 않고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어버튼(승차버튼)(115)이 눌려지는 경우에, 동작을 시작한다. 2, in a state where a predetermined weight is not sensed through the
즉 상기 제어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모터(135)를 구동하여 상기 시트쿠션(110)이 상기 가이드 레일(130)을 따라 일정거리 후진하도록 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구동모터(150)를 구동함에 의해 상기 시트쿠션(110)이 상기 시트등받이(120)와는 별도로 도어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탑승자의 승차를 편리하게 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ler drives the
상기 제2구동모터(150) 구동이후, 상기 무게감지센서(116)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2구동모터(150) 및 상기 제1구동모터(135)를 순차적 또는 동시에 구동시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상태인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장애인을 포함하여 일반인의 승차 및 하차가 편리하게 되며, 하차시 탑승자의 신발이 도어하단부와의 접촉이 최소화되어 차량청결유지에도 도움이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venient for a general person including a disabled person to get on and off, and the contact of the occupant's shoes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at the time of getting off is minimized.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basic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시트쿠션 120 : 시트 등받이
130 : 가이드 레일 135 : 제1구동모터
140 : 시트프레임 150 : 제2구동모터110: Seat cushion 120: Seat back
130: Guide rail 135: First drive motor
140: seat frame 150: second drive motor
Claims (6)
내부에 무게감지센서가 장착되고 측면에 제어버튼이 구비되며 시트등받이와는 분리되어 구비되는 시트쿠션과,
상기 시트쿠션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쿠션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시트등받이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제1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전후 이동하는 시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시트 쿠션의 하부와 구동축이 결합되어 상기 시트쿠션의 회전 구동을 위해 구비되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고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도어가 열리는 경우에, 상기 제1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시트쿠션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일정거리 후진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제2구동모터를 구동함에 의해 상기 시트쿠션이 상기 시트등받이와는 별도로 도어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구동모터 구동이후,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구동모터 및 상기 제1구동모터를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상기 시트쿠션을 원상태로 복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제어장치.A vehicle seat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seat cushion provided with a weight detection sensor therein, a control button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at cushion,
A guide rail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to guide the back and forth movement of the seat cushion,
A seat frame to which the seat back is coupled and which is moved back and forth along with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motor on the guide rail;
A second driving motor provided above the seat frame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and a driving shaft to rotate the seat cush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drive motor and the second drive motor,
The control unit drives the first driving motor to cause the seat cushion to move back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guide rail when the door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is detected through the weight detection sensor and the vehicle is turned off , And then driving the second drive motor to control the seat cushion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oor direction separately from the seat back,
The second driving motor and the first driving motor are sequentially driven to return the seat cushion to the original state when a predetermined weight is not detected through the weight detection sensor after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motor. The vehicle seat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상기 제2구동모터는 상기 시트쿠션의 하부와 볼 베어링 결합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제어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drive motor has a ball bearing coupling structure with a low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지 않고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도어가 열리는 경우에, 상기 제1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시트쿠션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일정거리 후진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제2구동모터를 구동함에 의해 상기 시트쿠션이 상기 시트등받이와는 별도로 도어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구동모터 구동이후,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2구동모터 및 상기 제1구동모터를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상기 시트쿠션을 원상태로 복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제어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may drive the first driving motor so that the seat cushion is moved back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guide rail when the door is opened in a state that the weight is not detected through the weight detection sensor and the vehicle is not started And then driving the second driving motor to control the seat cushion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oor direction separately from the seat back,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and the first driving motor are sequentially driven to return the seat cushion to the original state when a predetermined weight is detected through the weight detection sensor after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motor Seat control for vehicle.
내부에 무게감지센서가 장착되고 측면에 제어버튼이 구비되며 시트등받이와는 분리되어 구비되는 시트쿠션과,
상기 시트쿠션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쿠션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시트등받이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제1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전후 이동하는 시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시트 쿠션의 하부와 구동축이 결합되어 상기 시트쿠션의 회전 구동을 위해 구비되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고, 상기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어버튼이 눌려지는 경우에, 상기 제1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시트쿠션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일정거리 후진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제2구동모터를 구동함에 의해 상기 시트쿠션이 상기 시트등받이와는 별도로 도어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구동모터 구동이후,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구동모터 및 상기 제1구동모터를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상기 시트쿠션을 원상태로 복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제어장치.A vehicle seat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seat cushion provided with a weight detection sensor therein, a control button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at cushion,
A guide rail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to guide the back and forth movement of the seat cushion,
A seat frame to which the seat back is coupled and which is moved back and forth along with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motor on the guide rail;
A second driving motor provided above the seat frame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and a driving shaft to rotate the seat cush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drive motor and the second drive moto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driving motor so that the seat cushion moves along the guide rail when the control button is pressed while a predetermined weight is detected through the weight detection sensor and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Controls the seat cushion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oor direction separately from the seat back by driving the second driving motor,
The second driving motor and the first driving motor are sequentially driven to return the seat cushion to the original state when a predetermined weight is not detected through the weight detection sensor after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motor. The vehicle seat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어버튼이 눌려지는 경우에, 상기 제1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시트쿠션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일정거리 후진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제2구동모터를 구동함에 의해 상기 시트쿠션이 상기 시트등받이와는 별도로 도어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구동모터 구동이후,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일정 무게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2구동모터 및 상기 제1구동모터를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상기 시트쿠션을 원상태로 복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제어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may drive the first driving motor to cause the seat cushion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when the control button is pressed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is not detected through the weight detection sensor and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at cushion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oor direction separately from the seat back by driving the second driving motor,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and the first driving motor are sequentially driven to return the seat cushion to the original state when a predetermined weight is detected through the weight detection sensor after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motor Seat control for vehic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9667A KR101875034B1 (en) | 2016-12-13 | 2016-12-13 | Car seat control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9667A KR101875034B1 (en) | 2016-12-13 | 2016-12-13 | Car seat control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8077A KR20180068077A (en) | 2018-06-21 |
KR101875034B1 true KR101875034B1 (en) | 2018-07-05 |
Family
ID=62806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9667A Active KR101875034B1 (en) | 2016-12-13 | 2016-12-13 | Car seat control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503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7175B1 (en) * | 2020-12-09 | 2022-07-05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Smart motion seat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14650B2 (en) * | 2000-02-08 | 2009-01-28 | トヨタ車体株式会社 | Rotating seat for vehicle |
-
2016
- 2016-12-13 KR KR1020160169667A patent/KR10187503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14650B2 (en) * | 2000-02-08 | 2009-01-28 | トヨタ車体株式会社 | Rotating seat for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8077A (en) | 2018-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437404B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rear door of a vehicle | |
CN101076466B (en) | Automatic driving position adjust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 |
JP4985164B2 (en) | Parking assistance device and program for parking assistance device | |
US7963598B2 (en) | Head rest control systems | |
CN103287342A (en) | Automobile rearview mirror intelligent control device | |
KR101996812B1 (en) | Sliding armrest | |
JP4810822B2 (en) | Headrest control device | |
KR101875034B1 (en) | Car seat control apparatus | |
JP2844248B2 (en) | Power rotary seat control method and power rotary seat control device | |
JPH11236783A (en) | Opening / closing control device of sliding door for automobile | |
CN104139711B (en) | Backing-up control method, driving force control unit, driving force control system, driving force control method and vehicle | |
CN106585433B (en) | A kind of automotive seat and seat stearing control method | |
CN110861543B (en) | Vehicle seat control method and device | |
JP2011116145A (en) | Automobile antitheft device | |
JP2015096367A (en) | On-vehicle device operation control system | |
JPS61207237A (en) | Rotary car seat | |
JP3832060B2 (en) | Vehicle control device | |
JP7713356B2 (en) | Seat Control Device | |
JPH07125616A (en) | Brake pedal structure for vehicle | |
KR101916546B1 (en) | Apparatus and system for prevention door opening using blind spot detection unit in vehicle | |
JP2542578Y2 (en) | Moving device for passenger seat of two-door car | |
JP4865266B2 (en) | Power window device | |
JPH0330529B2 (en) | ||
JP2004217183A (en) | Gripping device for getting on/off | |
JP2008290668A (en) | Driver suppor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