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5020B1 -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 Google Patents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020B1
KR101875020B1 KR1020110052120A KR20110052120A KR101875020B1 KR 101875020 B1 KR101875020 B1 KR 101875020B1 KR 1020110052120 A KR1020110052120 A KR 1020110052120A KR 20110052120 A KR20110052120 A KR 20110052120A KR 101875020 B1 KR101875020 B1 KR 101875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tterns
pattern
opening
electrode patter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3474A (ko
Inventor
송원선
김성철
송문봉
이소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2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020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02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전용량식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전극 형성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연결패턴들; 상기 기판 상의 라우팅 배선 형성부에서 상기 제 1 연결패턴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 상기 복수의 제 1 연결패턴들의 각각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 1 연결패턴이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제 1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 2 전극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제 2 전극열들은 상기 절연층에 의해 서로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연결패턴들의 각각은 상기 제 1 전극열의 서로 인접한 제 1 전극패턴들을 접속시키며, 상기 제 2 전극열의 각각은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제 2 전극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패턴들의 각각은 제 1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전극패턴들의 각각은 제 2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NEL}
본 발명은 정정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발광 디스플레이(Electroluminescent Display)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응답속도가 빠르고, 소비전력이 낮으며, 색재현율이 뛰어나 주목받아 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TV, 컴퓨터용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냉장고의 표시부,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등 다양한 전자제품에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표시장치들은 키보드, 마우스,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그러나, 키보드와 마우스 등과 같은 별도의 입력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사용법을 익혀야 하고 공간을 차지하는 등의 불편을 초래하여 사용자의 불만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편리하면서도 간단하고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입력장치에 대한 요구가 날로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사용자가 손이나 펜 등으로 화면과 직접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이 제안되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간단하고, 오작동이 적으며, 별도의 입력기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입력이 가능할 뿐아니라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을 통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는 편리성 때문에 다양한 표시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터치 스크린 패널이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 구동을 위해 소스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로부터 공급되는 출력 데이터의 전압레벨 변화로 인해 노이즈가 발생되며, 이 노이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전극에 유기되어 터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터치 스크린 패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정전용량의 크기를 증가시켜 터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전용량식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장치 구동시 표시장치의 소스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로부터 공급되는 출력 데이터의 전압레벨 변화로 인해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전극들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줄이고, 터치 전극들의 저항값을 줄일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 전극의 개구부에 의한 시인성의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전극 형성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연결패턴들; 상기 기판 상의 라우팅 배선 형성부에서 상기 제 1 연결패턴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 상기 복수의 제 1 연결패턴들의 각각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 1 연결패턴이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제 1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 2 전극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제 2 전극열들은 상기 절연층에 의해 서로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연결패턴들의 각각은 상기 제 1 전극열의 서로 인접한 제 1 전극패턴들을 접속시키며, 상기 제 2 전극열의 각각은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제 2 전극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패턴들의 각각은 제 1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전극패턴들의 각각은 제 2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측면은 각각 굴곡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1 전극패턴의 굴곡부와 상기 제 2 전극패턴의 굴곡부는 서로 마주보며, 서로 접촉하지 않으면서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굴곡부는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다각형 또는 물결형을 갖거나, 또는 이들이 결함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전극패턴의 제 1 개구부에는 상기 제 1 전극패턴과 접촉하지 않도록 제 1 더미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패턴의 제 2 개구부에는 제 2 전극패턴과 접촉하지 않도록 제 2 더미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개구부는 상기 제 1 전극패턴 면적의 40%~60%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개구부는 상기 제 2 전극패턴 면적의 40%~60%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더미패턴은 상기 제 1 개구부 면적의 40%~70%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더미패턴은 상기 제 2 개구 면적의 40%~70%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 상기 제 1 연결패턴 및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패턴들은 동일 재료로 형성되며, ITO, IZO, GZO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의하면, 서로 마주보는 제 1 전극패턴의 측면과 제 2 전극패턴들 측면의 길이를 연장시켜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시 상호 정전용량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표시장치 구동시 소스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로부터 공급되는 출력 데이터의 전압레벨 변화로 인해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에 발생되는 노이즈와 저항값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개구부에 더미패턴을 형성함으로써 개구부에 의해 제 1 연결패턴이 시인되는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I-I'선 및 II-II'선을 따라 취한 서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들로서, 도 2a는 제 1 예의 단면도, 도 2b는 제 2 예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3a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의 측면형상이 3각형 형상인 경우의 예를, 도 3b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의 측면형상이 4각형 형상인 경우의 예를, 도 3c는 제 1 및 제 2 전극패들(131, 136)턴의 측면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의 예를, 도 3d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의 측면형상이 물결파 형상인 경우의 예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의 개구부의 개구율에 따른 전극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전극패턴의 개구율에 따라 측정된 노이즈 전압과 저항의 변화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전극패턴의 개구부에 더미패턴이 형성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더미패턴 점유율에 따라 나타나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노이즈 값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우선,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평면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I-I'선 및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다른 예의 터치 스크린 패널의 I-I'선 및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전극 형성부(A), 라우팅 배선 형성부(B) 및 패드 형성부(C)를 포함한다.
전극 형성부(A)는 제 1 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 1 전극열들(130)과, 상기 제 1 전극열들(130)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전극열들(135)을 포함한다.
제 1 전극열들(130)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전극패턴들(131)과, 이웃하는 제 1 전극패턴들(131)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 1 연결패턴들(110)을 포함한다. 제 1 전극패턴들(131)의 각각은 개구부(131H)를 구비한다. 또한, 제 1 전극패턴(131)의 개구부(131H) 내에는 제 1 더미패턴(131D)이 제 1 전극패턴(131)과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형성된다. 제 1 전극패턴(131)의 측면은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꼴, 다각형, 물결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전극열들(135)의 각각은 복수의 제 2 전극패턴들(136)과, 이웃하는 제 2 전극패턴들(136)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 2 연결패턴(137)을 포함한다. 제 2 전극패턴들(136)은 제 1 전극패턴들(131)과는 달리 제 2 연결패턴(137)과 일체로 형성된다. 제 2 전극패턴들(136)의 각각은 개구부(136H)를 구비한다. 또한, 제 2 전극패턴(136)의 개구부(136H) 내에는 제 2 더미패턴(136D)이 제 2 전극패턴(136)과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형성된다. 제 2 전극패턴(136)의 외형은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꼴, 다각형, 물결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 형성부(A)의 제 1 전극열(130)과 제 2 전극열(135)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과, 제 1 및 제 2 연결패턴들(110, 137)은 모두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며,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ZO(Gallium-Doped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더미 패턴(131D, 136D) 또한 ITO, IZO, G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제 1 연결패턴들(110)은 제 1 전극패턴들(131)과 다른 층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제 1 전극패턴들(131)을 서로 접속시키는 반면, 제 2 연결패턴들(137)은 제 2 전극패턴들(136)과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제 1 연결패턴들(110)은 제 1 전극패턴들(131)과 일체로 형성되고, 제 2 연결패턴들(137)은 제 2 전극패턴들(136)과 다른 층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 2 전극패턴들(136)을 서로 접속시키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라우팅 배선 형성부(B)는 전극 형성부(A)의 외곽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130)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112)과 복수의 제 2 전극열들(135)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114)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112, 114)의 각각은 ITO, IZO, G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하부층(112a, 114a)과, 상기 하부층(112a, 114a) 상에 형성되며, Al, AlNd, Mo, MoTi, Cu, Cr과 같은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상부층(112b, 114b)의 이중층으로 형성된다. 라우팅 배선 형성부(B)는 또한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112, 114)을 보호하도록 그 상부에 형성되는 절연층(12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112, 114)가 이중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112, 114)의 각각은 Al, AlNd, Mo, MoTi, Cu, Cr과 같은 금속물질의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패드 형성부(C)는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112)을 통해 복수의 제 1 전극열들(130)과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제 1 패드들(116)과,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114)을 통해 복수의 제 2 전극열들(135)과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제 2 패드들(118)로 이루어 진다. 제 1 및 제 2 패드들(116, 118)의 각각은 ITO, IZO, G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층(116a, 118a)과, 상기 제 1 층(116a, 118a) 상에 형성되며, Al, AlNd, Mo, MoTi, Cu, Cr과 같은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제 2 층(116b, 118b)과, 제 2 층(116b, 118b) 상에 형성되며 ITO, IZO, G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3 층(116c, 118c)의 3중층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제 1 및 제 2 패드들(116, 118)이 3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 1 및 제 2 패드들(116, 118)은 최상위층인 3층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2층 구조(116a, 116b; 118a, 118b)로만 형성하거나, 금속물질의 단일층 구조(116b, 118b)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제 1 및 제 2 패드들(116, 118)이 3층 구조로 형성될 경우, 최상위 층이 경도가 높은 ITO 등의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므로 터치 스크린 패널 형성 후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후속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는 기판(100) 상에 제 1 연결패턴들(110)과,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112, 114)과, 제 1 및 제 2 패드(116, 118)가 형성되고, 이들이 형성된 기판(100) 상에 절연층(120)이 형성된다. 절연층(12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결패턴들(110) 각각의 일부분들을 노출시키는 제 1 및 제 2 콘택홀들(120a, 120b)과, 제 1 라우팅 배선들(112)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114)의 각각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 3 콘택홀(120c)과, 제 1 패드(116)의 제 2 층(116b)과 제 2 패드(118)의 제 2 층(118b) 각각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 4 콘택홀(120d)을 포함한다.
도 2a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연결패턴들(110)과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112, 114)이 형성된 기판(100)의 전면 상에 제 1 내지 제 4 콘택홀(120a, 120b, 120c, 120d)을 갖는 절연층(120)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절연층(12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형성부(A)에서 제 1 및 제 2 전극열(130, 135)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제 1 전극열(130)을 구성하는 제 1 전극패턴(131a)과 제 2 전극열(135)을 구성하는 제 2 연결패턴(137)의 교차부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절연층(120)의 재료로는 질화실리콘(SiNx)이 이용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콘택홀들(120a, 120b, 120c, 120d)이 형성된 절연층(120) 상에는 복수의 제 1 전극패턴들(131)로 구성되며 제 1 방향(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전극열들(130)이 형성되고, 복수의 제 2 전극패턴들(136)로 구성되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전극열들(135)이 형성된다.
제 1 전극열(130)을 구성하는 제 1 전극패턴들(131)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터치 센싱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서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서로 이웃하는 제 1 전극패턴들(131)들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콘택홀들(120a, 120b)을 통해 노출된 절연층(120) 하부의 제 1 연결패턴(110)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그러나, 서로 이웃하는 제 1 전극패턴들(131)들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제 1 연결패턴(110)에 의해 서로 접속될 수도 있다.
한편, 전극 형성부(A)의 최외각에 위치된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은 제 3 콘택홀(120c)을 통해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112, 114)에 각각 접속된다. 이와 달리, 전극 형성부(A)의 최외각에 위치된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의 각각은 개구부를 통해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112, 114)에 각각 접속될 수도 있다.
또한, 패드 형성부(C)의 제 1 및 제 2 전극패드들(116, 118)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콘택홀들(120d)을 통해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112, 114)에 각각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최상위층에 ITO 등의 투명 도전성 물질을 이용한 제 1 전극패턴들(131), 제 2 전극패턴들(136) 및 제 2 연결패턴들(137)이 형성되고, ITO는 경도가 높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 패널의 기판(100)의 다른 면에 표시장치를 형성하기 위한 후공정에서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양호한 품질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에 대해 도 3a 내지 도 3d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3a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의 측면형상이 3각형 형상인 경우의 예를, 도 3b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의 측면형상이 4각형 형상인 경우의 예를, 도 3c는 제 1 및 제 2 전극패들(131, 136)턴의 측면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의 예를, 도 3d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의 측면형상이 물결파 형상인 경우의 예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가지 형상의 예만을 보여주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의 측면형상은 상술한 형상외에도 다각형, 포물형, 또는 이들 형상이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는 측면의 길이가 직선인 경우보다 길게 형성되는 경우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적용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본질적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제 1 전극패턴들(131)과 제 2 전극패턴들(136)의 측면형상이 3각형, 4각형, 사다리꼴, 물결형상 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마주보는 면이 직선으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 훨씬 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제 1 전극패턴(131)의 측면과 과 제 2 전극패턴들(136) 측면의 길이가 길어지면 터치 스크린 패널 구동시 상호 정전용량의 크기도 증가되므로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1 전극패턴들(131)의 각각은 제 1 개구부(131H)를 포함하고, 제 2 전극패턴들(136)의 각각은 제 2 개구부(136H)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개구부(131H) 내에는 제 1 더미패턴(131D)이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제 2 개구부(136H) 내에는 제 2 더미패턴(136D)이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에 개구부들(131H, 136H)을 형성할 경우, 전극의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표시장치 구동시 소스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로부터 공급되는 출력 데이터의 전압레벨 변화로 인한 노이즈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에 의한 노이즈 저감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의 개구부의 개구율에 따른 전극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전극패턴의 개구율에 따라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에 발생하는 노이즈 전압과 저항을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서는 편의상 제 1 및 제 2 전극패턴(131, 136)을 형성하는 전극패턴의 형상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그 형상에 따라 S1, S2, S3으로 표시하였고, 개구부는 H로 표시하였다.
우선, 노이즈 전압과 저항측정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로 20mm, 세로 20mm의 크기를 갖는 3개의 샘플 전극패턴(S1, S2, S3)을 준비한다. 3개의 샘플 전극패턴(S1, S2, S3)은 개구부(H)의 면적을 각 전극패턴(S1, S2, S3)의 전체 면적의 0%, 25%, 50%로 하여 제작된 것으로, 0%, 25%, 50%의 개구율을 갖는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제작된 샘플전극들을 각각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으로 구성한 후, 이 터치 스크린 패널을 표시장치에 적용한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 패널을 3.3V로 구동시킨 후,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제 1 내지 제 3 샘플 전극패턴(S1, S2, S3)에 해당하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노이즈 전압값과 저항값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측정된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노이즈 전압값과 저항값을 도 5a 및 도 5b에 그래프로 나타냈다. 도 5a에서 노이즈 전압값은 터치 스크린의 액티브 영역을 9등분한 상태에서 가운데 영역을 먼저 측정하고, 4개의 모서리 영역을 나중에 각각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한 것이다.
도 5a는 표시장치가 블랙계조일 경우와 화이트 계조일 경우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개구율에 따른 노이즈 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블랙계조일 경우와 화이트 계조일 경우 모두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개구율이 증가함에 따라 노이즈 전압은 점차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5b는 개구율에 따른 제 1 전극패턴과 제 2 전극패턴의 저항변화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개구율이 약 75% 이상인 경우 전극패턴들의 저항값이 급격히 상승함을 보여주고 있다.
도 5a 및 도 5b로부터 개구율이 증가할 수록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의 노이즈는 감소하지만 저항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의 개구율을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개구율에 따른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노이즈와 저항을 고려한다면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의 개구율은 약 40%~약 60%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이 개구부(131H, 136H)를 구비하는 경우, 표시장치로 인해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에 발생되는 노이즈와 저항값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이 개구부(131H, 136H)를 구비하는 경우, 개구부(131H, 136H)로 인해 절연층(120) 하부에 형성된 제 1 연결패턴(110)이 눈에 보이게 되는 시인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 1 연결패턴(110)이 시인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도 6은 제 1 연결패턴의 시인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험예로 제작한 전극패턴의 개구부에 더미패턴을 형성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개구율이 50%인 샘플 전극패턴들(S1, S2, S3, S4, S5)의 개구부(H)에 개구부(H) 면적의 0%, 11%, 22%, 44%, 64% 인더미패턴들(D)을 형성한 5개의 샘플 전극패턴(S1, S2, S3, S4, S5)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더미패턴이 형성된 경우 전극패턴에 발생하는 노이즈 값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노이즈 측정은 도 5a와 관련하여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제 1 샘플 전극패턴(S1)으로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을 형성한 후 터치 스크린 패널을 3.3V로 구동시킨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 패널의 액티브 영역을 9등분하고, 그 상태에서 오실로스코프의 프로브로 가운데 영역의 전극패턴을 접촉하여 노이즈의 전압값을 측정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액티브 영역의 4개 모서리 영역의 노이즈값을 각각 측정한 후, 앞서 구한 가운데 영역의 노이즈값과 합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하면 제 1 샘플 전극패턴으로 형성한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제 1 노이즈값이 구해진다. 제 2 내지 제 5 샘플 전극패턴(S2, S3, S4, S5)으로 형성한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제 2 내지 제 5 노이즈값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1 내지 제 5 샘플 전극패턴(S1, S2, S3, S4, S5)으로 형성한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노이즈 값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에서, S1~S5는 제 1 내지 제 5 샘플 전극패턴(S1, S2, S3, S4, S5)으로 형성한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노이즈 값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이즈값은 더미패턴(D)이 없는 경우 가장 작은 값으로 측정되었으나, 더미패턴(D)이 형성되었을 때에는 더미 패턴(D)의 크기가 22% 이상에서 그 크기가 증가할 수록 노이즈값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더미패턴이 없을 경우 하부의 제 1 연결패턴(110)이 시인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시인성 문제와 노이즈 문제를 모두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더미패턴의 면적을 개구부 면적의 40%~70%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마주보는 제 1 전극패턴의 측면과 제 2 전극패턴들 측면의 길이를 연장시켜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시 상호 정전용량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표시장치 구동시 소스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로부터 공급되는 출력 데이터의 전압레벨 변화로 인해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에 발생되는 노이즈와 저항값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전기영동 표시장치 등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기판은 상기 표시장치의 기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기판 110 : 제 1 연결패턴
112 : 제 1 라우팅 배선 114 : 제 2 라우팅 배선
116 : 제 1 패드 118 : 제 2 패드
120 : 절연층 120a, 120b, 120c, 120d : 콘택홀
130 : 제 1 전극열 131 : 제 1 전극패턴
131D, 136D : 더미패턴 131H, 136H : 개구부
135 : 제 2 전극열 136 : 제 2 전극패턴
137 : 제 2 연결패턴 A : 전극 형성부
B : 라우팅 배선 형성부 C : 패드 형성부

Claims (8)

  1.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전극 형성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연결패턴들;
    상기 기판 상의 라우팅 배선 형성부에서 상기 제 1 연결패턴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
    상기 복수의 제 1 연결패턴들의 각각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 1 연결패턴이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제 1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 2 전극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제 2 전극열들은 상기 절연층에 의해 서로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연결패턴들의 각각은 상기 제 1 전극열의 서로 인접한 제 1 전극패턴들을 접속시키며,
    상기 제 2 전극열의 각각은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제 2 전극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패턴들의 각각은 하나의 제 1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전극패턴들의 각각은 하나의 제 2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패턴의 제 1 개구부에는 상기 제 1 전극패턴과 접촉하지 않도록 제 1 더미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패턴의 제 2 개구부에는 상기 제 2 전극패턴과 접촉하지 않도록 제 2 더미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개구부는 상기 제 1 전극패턴 면적의 40%~60%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개구부는 상기 제 2 전극패턴 면적의 40%~60%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측면은 각각 굴곡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패턴의 굴곡부와 상기 제 2 전극패턴의 굴곡부는 서로 마주보며, 서로 접촉하지 않으면서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다각형 또는 물결형을 갖거나, 또는 이들이 결함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패턴은 상기 제 1 개구부 면적의 40%~70%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더미패턴은 상기 제 2 개구부면적의 40%~70%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 상기 제 1 연결패턴 및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패턴들은 동일 재료로 형성되며, ITO, IZO, GZO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110052120A 2011-05-31 2011-05-31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Active KR101875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120A KR101875020B1 (ko) 2011-05-31 2011-05-31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120A KR101875020B1 (ko) 2011-05-31 2011-05-31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474A KR20120133474A (ko) 2012-12-11
KR101875020B1 true KR101875020B1 (ko) 2018-07-06

Family

ID=47516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120A Active KR101875020B1 (ko) 2011-05-31 2011-05-31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818B1 (ko) * 2013-08-06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표시 패널
CN104238816A (zh) * 2014-09-04 2014-12-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KR102313216B1 (ko) 2015-04-15 2021-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0269B1 (ko) 2015-07-06 2017-06-08 주식회사 지2터치 고 분해능을 갖는 터치 패널
CN105511650A (zh) * 2016-01-27 2016-04-20 深圳市亚米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单层互电容触控板
CN105786256A (zh) * 2016-03-21 2016-07-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基板及显示装置
KR20180090936A (ko) 2017-02-03 2018-08-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32650B1 (ko) 2017-05-15 2018-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1704B1 (ko) 2017-09-29 2022-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412094B1 (ko) * 2017-09-29 2022-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413395B1 (ko) * 2017-12-01 2022-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KR102546769B1 (ko) * 2018-06-08 2023-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KR102395265B1 (ko) * 2018-08-29 2022-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79891B1 (ko) * 2018-08-29 2019-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0493B1 (ko) * 2018-09-14 2023-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521062B1 (ko) * 2019-05-13 2023-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3868B1 (ko) * 2021-02-05 2022-10-14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7259A1 (en) * 2007-05-11 2008-11-13 Sense Pad Tech Co., Ltd Capacitive type touch panel
KR20090037802A (ko) * 2007-10-12 2009-04-16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KR20090092695A (ko) * 2008-02-27 2009-09-0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표시 패널
JP2010033478A (ja) * 2008-07-31 2010-02-12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KR20100095886A (ko) * 2009-02-23 2010-09-01 (주)이엔에이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JP2011513846A (ja) * 2008-02-28 2011-04-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タッチスクリーンセンサ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7259A1 (en) * 2007-05-11 2008-11-13 Sense Pad Tech Co., Ltd Capacitive type touch panel
KR20090037802A (ko) * 2007-10-12 2009-04-16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KR20090092695A (ko) * 2008-02-27 2009-09-0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표시 패널
JP2011513846A (ja) * 2008-02-28 2011-04-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タッチスクリーンセンサ
JP2010033478A (ja) * 2008-07-31 2010-02-12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KR20100095886A (ko) * 2009-02-23 2010-09-01 (주)이엔에이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474A (ko) 201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020B1 (ko)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US12169607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200333918A1 (en) Flexible touch display panel
KR10169161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448251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9195348B2 (en)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panel
KR101790977B1 (ko) 액정표시장치
TWI780362B (zh) 觸控面板及觸控顯示裝置
KR101323004B1 (ko)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322998B1 (ko)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US9268453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CN101414070B (zh) 触控电极层及显示面板
KR101818258B1 (ko) 표시장치용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539330B1 (ko) 표시장치용 표시패널
US11294519B2 (en) Touch panel
CN109491544B (zh) 一种触控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160088533A (ko) 터치 센서
KR20200108148A (ko) 표시 장치
US20210271347A1 (en) Touch display devices
US9921701B2 (en) Touchscreen panel
CN109766024A (zh) 一种触控面板及显示装置
KR101853025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CN103941494B (zh) 液晶显示装置
TWI401489B (zh) 電容式觸控基板結構及電容式觸控面板結構
US9401712B2 (en) Touch panel substrate with first grid electrodes and second grid electr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5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5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7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9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2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9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