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4589B1 - 알루미늄 솥 제조방법 및 그 솥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솥 제조방법 및 그 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589B1
KR101874589B1 KR1020160159505A KR20160159505A KR101874589B1 KR 101874589 B1 KR101874589 B1 KR 101874589B1 KR 1020160159505 A KR1020160159505 A KR 1020160159505A KR 20160159505 A KR20160159505 A KR 20160159505A KR 101874589 B1 KR101874589 B1 KR 101874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pot body
aluminum
engaging groove
hydraulic pr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0241A (ko
Inventor
김성영
Original Assignee
김성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영 filed Critical 김성영
Priority to KR1020160159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589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58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 B21D51/2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pots, e.g. for coo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하여 유압프레스 금형으로 솥 몸체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솥 몸체 외주면 형성되는 솥전 위치에 결합홈을 형성하는 단계;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하여 유압프레스로 중앙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링 형상의 솥전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솥전의 개방부 내주면이 솥 몸체 결합홈과 대응되도록 끼운 후 솥전 상부와 하부에서 유압프레스로 압착시켜 솥전의 개방부 내주면이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솥 몸체의 결합홈에 끼워져 고정된 솥전 저면의 결합홈 연결부를 용착하는 단계; 상기 솥전 상부 외면과 솥전 상부의 솥 몸체 외면을 세라믹 코팅하여 솥전의 유압프레스 가압홈을 메우고 솥 내 외면을 세라믹 코팅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은 솥 몸체와 솥전을 알루미늄 판을 이용하여 프레스 금형으로 성형함으로 제작이 간편하고, 기존의 무거워 취급이 불편했던 무쇠 솥을 경량화시켜 취급이 간편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동시에 솥밥 맛의 특징을 그대로 살릴 수 있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루미늄 솥 제조방법 및 그 솥{The kettle and Manufacturing method aluminum kettle}
본 발명은 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쇠 솥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알루미늄으로 솥의 몸체를 형성한 후 솥의 몸체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솥전을 끼워 고정함으로 기존의 솥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동시에 경량화하여 사용이 편리하게 한 알루미늄 솥 제조방법 및 그 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솥은 무쇠 솥, 알루미늄 솥, 스텐레스 솥, 양은 솥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무쇠 솥 밥은 밥이 찰기가 있으며 밥맛이 좋고 솥에서 철분 성분이 우러나와 빈혈을 예방해 주는 효과가 있는 등 조상들의 지혜가 담뿍 배어 있다. 그러나 현대인은 밥을 그때그때 지어 먹지 않게 됨으로 무쇠 솥을 항상 사용하지 않아 녹이 발생되고, 취급시 무거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사용하기 간편한 전기 압력밥 솥을 사용하기를 선호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어 왔던 알루미늄 솥은 주강 및 알루미늄을 녹여 주조한 것으로써 솥전이 솥 몸체와 일체로 구성되어 솥전이 솥 몸체로부터 떨어지는 문제점은 없었다.
그러나 주조로 제작되는 무쇠 솥과 알루미늄 솥은 그 제조 공정이 번거롭고 불편하면서 작업환경이 열악하여 현재 생산이 거의 중단된 실정이다.
또한 무쇠 솥은 무거우면서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쉽게 깨어지는 단점이 있고, 알루미늄 솥은 가벼우면서 깨지는 문제점은 없으나 재질의 특성상 쉽게 쭈그러지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 무쇠 솥과 알루미늄 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질의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솥을 만들기 위한 노력과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연질의 금속판재 및 알루미늄판을 이용하여 솥을 만들기 위해서는 솥의 몸체와 솥전을 각각 분리하여 제작한 다음 몸체 외주면에 끼워 열처리 또는 스폿(Spot) 용접으로 고정하거나 상단부를 말아 고정되게 한 것으로써 솥을 가열하면 열 변형에 의하여 솥전이 솥 몸체와 분리되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에 의하여 실용화를 하지 못하였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3063호(등록일자: 2003년04월29일)의 솥전이 일체로 형성된 솥(이하 '선행기술 ' 이라한다)은 주조에 의해 제조되는 무쇠 솥 및 알루미늄 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솥 몸체와 솥전을 각각 제작하여 열처리 등의 방법으로 접합 고정할 때 열변형으로 솥 몸체와 솥전이 분리되어 떨어지고, 내용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의 금속판재(철판)를 가공하여 구성되는 솥 몸체(2)의 상부를 내측으로 오므려 기울기(α)를 갖도록 하면서 그 끝 지점에 대하여 수평이거나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절곡부(8)에 의한 넘침 방지턱(7)을 구성하고, 상기 제1절곡부(8)에서 연장된 절곡 끝부분(10)을 다시 굽혀 제1절곡부(8)와 밀착되게 제2절곡부(9)를 형성하면서 상기 기울기(α)와 동일한 기울기(β)를 갖도록 굽힘 가공하여 솥전 지지체(6)를 구성하며, 상기 솥전 지지체(6)에 연장하여 둥글게 형성된 제3절곡부(11)의 바깥으로 폭이 넓고 끝부분이 아래로 경사진 솥전(3)을 일체 구성한 것이 개시되었다.
상기와 같이 제작되는 솥의 몸체와 솥전을 일체로 형성하기 위해 동일한 두께를 사용해야 함으로 솥 몸체가 얇게 형성되어 솥이라기보다는 남비로 이루어진 솥이라할 것이다.
일반적인 솥은 3㎜ 이상의 두께를 가져야 밥을 지을때 열전도의 특성을 갖는데 솥 두께가 양은 남비와 같이 두께가 얇을 경우 쉽게 끓고 쉽게 식는 문제점으로 무쇠 솥의 특성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선행기술의 경우 솥전과 솥 몸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가 외향으로 절곡되어 솥전이 형성됨으로 솥전이 분리되는 현상은 없으나 예를 들어 3㎜이상의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할 경우 절곡되어 솥전까지는 이루는 부분이 6㎜의 두께를 가지게 되나 실제 솥의 두께는 3㎜이므로 솥이 투박하고 작업 공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306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알루미늄판을 이용하여 솥을 성형하되 솥의 몸체와 솥전을 각각 분리하여 제작한 다음 몸체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솥전을 유압프레스로 가압하여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 결합한 다음 저면의 솥전과 결합홈의 연결부를 용착 함으로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사용시 솥전이 솥 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은 솥 몸체와 솥전을 알루미늄 판을 이용하여 프레스 금형으로 성형함으로 제작이 간편하고, 전통솥에서 요구되는 두께를 갖는 반면에 무게는 경량화시켜 취급이 편리한 솥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루미늄 판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알루미늄 솥을 사용하더라도 인체에 무해하도록 외면에 세라믹 코팅한 것으로 이하의 설명명에서는 편의상 알루미늄 판재라 칭한다.
본 발명의 솥 제조 공정은,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하여 유압프레스 금형으로 솥 몸체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솥 몸체 외주면 형성되는 솥전 위치에 결합홈을 형성하는 단계;
알루미늄 판재를 유압프레스로 중앙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링 형상의 솥전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솥전의 개방부 내주면이 솥 몸체 결합홈과 대응되도록 끼운 후 솥전 상부와 하부에서 유압프레스로 압착시켜 솥전의 개방부 내주면이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된 솥전의 개방부 내주면이 솥 몸체 결합홈과 대응되도록 끼운 후 솥전 상부와 하부에서 유압프레스로 압착시켜 솥전의 개방부 내주면이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실시한 후 상기 솥 몸체의 결합홈에 끼워져 고정된 솥전 저면의 결합홈 연결부를 용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솥전 저면의 결합홈 연결부를 용착하는 단계를 실시한 후 솥전 상부 외면과 솥전 상부의 솥 몸체 외면을 코팅하여 솥전의 유압프레스 가압홈을 메우고 솥 내외면에 세라믹코팅하는 단계;로 솥을 성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솥전을 솥 몸체의 결합홈에 결합하기 위해 유압프레스로 가압시 발생된 솥전 상부 가압홈에 별도의 금속을 메워 띠 형상을 갖는 투컬러의 솥전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몸체와 솥전을 알루미늄 판을 이용하여 프레스 금형으로 성형함으로 제작이 간편하고, 솥의 무게를 경량화시켜 취급이 편리하며 사용시 녹이 발생하지 않는 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판을 이용하여 솥을 성형하되 솥의 몸체와 솥전을 각각 분리하여 제작한 다음 몸체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솥전을 유압프레스로 가압하여 끼워 결합한 후 저면의 솥전과 결합홈의 연결부를 용착함으로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사용시 솥전이 솥 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본 발명은 솥 몸체와 솥전을 알루미늄 판을 이용하여 프레스 금형으로 성형함으로 제작이 간편하고, 기존의 무거워 취급이 불편했던 무쇠 솥을 경량화시켜 취급이 간편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동시에 솥밥 맛의 특징을 그대로 살릴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솥전이 일체로 형성된 솥을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솥전이 솥 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솥전이 솥 몸체의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솥 몸체에 솥전을 결합하여 솥을 제작하는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솥 제작공정도에 따라 제작된 솥을 나타낸 제품 사진이며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솥 제품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솥전이 솥 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솥전이 솥 몸체의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하기 위해서는 먼저 솥(20)을 제작할 수 있는 원재료인 알루미늄 금속 패널을 준비한다.
상기 알루미늄 금속 패널은 3∼6㎜의 두께를 갖고, 재질은 순수 알루미늄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준비된 알루미늄 금속판을 솥 몸체 형상의 금형을 갖는 유압프레스로 가압하여 솥 몸체(21)를 성형한다.
상기 솥 몸체(21)를 성형한 후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 금속판을 이용하여 솥전(30)을 유압프레스 금형으로 성형한다.
또한 상기 성형된 솥 몸체(21)의 솥전(30)이 설치되는 위치의 외주면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기 성형된 솥전(30)을 결합홈(31)에 유압프레스(60)로 가압하여 끼워 결합한다.
이때 솥전(30) 내주면이 솥 몸체(21)의 결합홈(22)에 끼워질 때 유아프레스(60)로 가압하면 솥전(30)의 내주면이 안쪽으로 늘어나면서 결합홈(22)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견고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솥전(30)이 솥 몸체(21)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22)에 끼워져 결합된 후에는 솥전(30)과 결합홈(22)이 끼워진 저면의 연결부를 용착하여 솥전이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본 발명은 솥 몸체(21)와 솥전(30)을 각각 형성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솥 몸체의 두께를 6㎜이상의 알루미늄 판재로 사용하여 무쇠 솥의 특징을 가질 수 있으나, 취급이 간편하고 솥의 특징을 살릴 수 있도록 알루미늄 금속 판재의 두께를 3∼6㎜의 것을 사용한다.
도 2는 솥전이 솥 몸체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3은 솥전이 솥 몸체의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4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솥 몸체에 솥전을 결합하여 솥을 제작하는 공정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4에 따른 본 발명의 솥 제조공정을 단계별 공정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솥 몸체성형 단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알루미늄 판재는 순수 알루미늄재로서 판재 형태로 가공된 것을 사용하며, 사전에 솥 1개를 성형할 수 있는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준비된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하여 유압프레스 금형으로 솥 몸체를 성형한다.
상기와 같이 유압 프레스로 솥 몸체(21)를 성형한 후에는 솥 입구가 되는 테두리를 가공한 다음 솥전(30)이 형성되는 위치에 결합홈(22)을 형성한다.
상기 솥전(30)이 결합되는 결합홈(22)은 단면상 "ㄷ"형으로 홈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홈(22)은 입구는 좁고 내측은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같이 가공하기 위해서는 작업시간과 가공공정이 복잡한 관계로 "ㄷ"형으로 홈을 형성한다.
제2공정: 솥전 성형 단계
상기 준비된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하여 유압프레스로 중앙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링 형상의 솥전(30)을 성형한다.
이때 솥전(30)은 솥 몸체(21)와 결합되는 주변부는 수평 형상을 이루고, 그외 바같쪽으로 기울기가 형성되도록 성형한다.
즉, 솥전(30)은 결합홈(22)과 결합되는 연결부로부터 외향으로 10∼20㎜까지는 수평을 유지하고 그 이후의 솥전은 말단부가 하향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성형된다.
상기 솥전(30)의 형상 모양은 종래의 무쇠솥 솥전과 동일하게 성형한다.
상기 성형되는 솥전(30)은 중앙부에는 솥 몸체(21)가 끼워지도록 개방부(32)를 형성되어전체적인 형상 모양이 도넛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3공정: 솥 몸체와 솥전 결합 단계
상기와 같이 솥 몸체(21)와 솥전(30)을 각각 성형한 후에는 이를 결합한다.
상기 성형된 솥 몸체(21)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22)에 대응되도록 상기 성형된 솥전(30)의 개방부(32) 내주면이 솥 몸체(21)의 결합홈(22)과 대응되도록 끼운다.
상기와 같이 솥전(30)을 결합홈(2네2)에 대응시킨 후 결합홈(22)과 대응된 부분의 솥전 상부와 하부에서 유압프레스(60)로 가압시켜 솥전(30)의 개방부(32) 내주면이 결합홈(22)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솥전(30)의 개방부(32) 내주면은 유압프레스(60)에 의해 가압되는 순간 내측으로 늘어나면서 결합홈(22)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솥 몸체(21)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22)에 솥전(30)을 억지 끼움방식으로 결합하면 결합홈에 솥전 개방부 내주면이 빈틈없이 충진되듯이 채워져 결합됨으로 차후 밥을 짓기 위해 열을 가하더라도 솥전(30)이 결합홈(22)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즉, 솥 몸체(21)의 재질과 솥전(30)의 재질 및 두께가 동일함으로 밥을 지을때 열이 가해지더라도 열에 의한 팽창은 동일한 팽창계수로 늘었다 줄었다 함으로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솥은 본 공정에서 솥전(30)을 결합홈(22)에 대응시킨 후 결합홈(22)과 대응된 부분의 솥전 상부와 하부에서 유압프레스(60)로 가압시켜 솥전(30)의 개방부(32) 내주면이 결합홈(22)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알루미늄 솥을 제조할 수 있데된다.
상기와 같이 솥 몸체(21)의 결합홈(22)에 솥전(30)을 끼워 결합 하는 고정을 실시한 후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서 솥전(30) 저면의 결합홈에 끼워진 연결부를 용착하여 용접부(50)를 형성함으로 만에 하나 결합홈(22)에서 솥전(30)이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정을 더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용접부(50)는 솥전(30) 저면의 결합홈(22)에 끼워진 연결부 전체를 용접할 수도 있고 군데군데 일정간격으로 용접할 수도 있다.
본 공정에서 솥전(30) 저면의 결합홈에 끼워진 연결부를 용착하여 용접부(50)를 형성하는 것은 필요에 따라서 별도로 실시된다.
제4공정: 세라믹코팅 단계
상기 솥 몸체(21)의 결합홈(22)에 끼워져 고정된 솥전(30) 저면의 결합홈(22) 연결부를 용착한 후에는 상기 솥전(30) 상 하부 외면과 솥전 상부의 솥 몸체 내 외면을 코팅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솥(20)의 내면과 외면을 세라믹 코팅하여 코팅부(40)를 형성하면 솥의 몸체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졌다 하더라고 세라믹코팅에 의해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솥 몸체(21)의 내 외면과 솥전(30) 상 하부를 세라믹코팅부(40)을 형성하면 결합홈(22)에 솥전(30)을 결합하기 위해 가압하여 발생된 유압프레스 자국인 가압홈(31)이 메워진다.
상기와 같이 세라믹코팅을 완료한 후 건조하면 솥이 완성된다.
상기 솥을 세라믹으로 코팅하는 방법은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코팅을 실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솥 제작공정도에 따라 제작된 솥을 나타낸 제품 사진을 도면 대용으로 예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솥 제품의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서, 솥 몸체(21)와 솥전(30)을 결합시 솥전(30)을 결합홈(22)에 대응시킨 후 결합홈과 대응된 부분의 솥전 상부와 하부에서 유압프레스로 가압시켜 솥전의 개방부 내주면이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결합된 솥전의 상부면과 저부면에 유압프레스(60) 자국인 가압홈(31)이 발생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투톤(투컬러)의 띠 모양(33)의 무늬를 발생할 수 있다.
즉, 솥전(30) 상부에 형성된 유압프레스(60)의 자국인 가압홈(31)에 스텐레스 또는 동(구리) 철사 등의 색상이 다른 재료를 끼워 고정한 후 연마하면 본래의 솥색인 솥전 상부에 다른 색상을 갖는 띠 모양(33)의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세라믹 코팅시 솥전의 가압홈(31)에 끼워져 고정된 또 다른 금속 띠 모양(33)부에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사전에 조치를 취한 후 코팅작업을 한다.
20:솥 21:솥 몸체
22:결합홈 30:솥전
31:가압홈 32:개방부
33:띠 모양 40:코팅부
50:용접부 60:유압프레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하여 유압프레스 금형으로 솥 몸체를 성형하고 이의 내 외면에 세라믹코팅하여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솥 제조방법에 있어서,
    3∼6㎜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하여 유압프레스 성형된 솥 몸체 외주면 형성되는 솥전 위치에 단면상 "ㄷ"자형 결합홈을 형성하는 단계;
    3∼6㎜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하여 유압프레스로 중앙부에 개방부를 형성하되, 솥전은 결합홈과 결합되는 연결부로부터 외향으로 10∼20㎜까지는 수평을 유지하고 그 이후의 솥전은 말단부가 하향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형상의 솥전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솥전의 개방부 내주면이 솥 몸체 결합홈과 대응되도록 끼운 후 솥전 상부와 하부에서 유압프레스로 압착시켜 솥전의 개방부 내주면이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솥 몸체의 결합홈에 끼워져 고정된 솥전 저면의 결합홈 연결부를 용착하는 단계;
    상기 결합홈 연결부를 용착후 솥전 상부 외면과 솥전 상부의 솥 몸체 외면을 세라믹 코팅하여 솥전의 유압프레스 가압홈을 메우고 솥 내 외면을 세라믹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솥 제조방법.
  4. 삭제
  5. 제3항의 알루미늄 솥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솥.
KR1020160159505A 2016-11-28 2016-11-28 알루미늄 솥 제조방법 및 그 솥 Expired - Fee Related KR101874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505A KR101874589B1 (ko) 2016-11-28 2016-11-28 알루미늄 솥 제조방법 및 그 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505A KR101874589B1 (ko) 2016-11-28 2016-11-28 알루미늄 솥 제조방법 및 그 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241A KR20180060241A (ko) 2018-06-07
KR101874589B1 true KR101874589B1 (ko) 2018-08-02

Family

ID=62621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505A Expired - Fee Related KR101874589B1 (ko) 2016-11-28 2016-11-28 알루미늄 솥 제조방법 및 그 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5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0630B (zh) * 2020-07-14 2022-09-13 天辰兰德(山东)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火锅盆顶钢环安装辅助设备
CN114147421B (zh) * 2021-10-13 2024-05-07 浙江南龙工贸有限公司 防溢出可分类分时炖煮的多层微压锅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444B1 (ko) * 2014-11-12 2015-04-10 (주) 더몰론코리아 내구성이 우수한 가열조리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063Y1 (ko) 2003-02-24 2003-05-16 조기원 솥전이 일체로 형성된 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444B1 (ko) * 2014-11-12 2015-04-10 (주) 더몰론코리아 내구성이 우수한 가열조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241A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589B1 (ko) 알루미늄 솥 제조방법 및 그 솥
US11330928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soup pot with partial concave-convex patterns on outer surface thereof
KR20010010381A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CA2515234C (en) Method for producing cookware, in particular a pot, pan or similar and cookware produced according to said method
CN106419497B (zh) 复底夹层不锈钢工艺锅及其制作方法
CN116765258B (zh) 一种复合咖啡壶体的制造方法
CN109746642B (zh) 一种铁包银壶制造工艺
US20170347821A1 (en) Hand forged metal eating utensils
US3984024A (en) Cooking vessel
CN108851952A (zh) 一种电热锅及其加工方法
CN101530281B (zh) 一种带手柄炊具的制作方法
CN209269328U (zh) 用于电烹饪器具的内锅和电烹饪器具
KR100987350B1 (ko)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206333730U (zh) 复底夹层不锈钢工艺锅
CN209252417U (zh) 一种电热锅
JPS5810506Y2 (ja) 煮炊器
KR101332565B1 (ko) 후라이팬 및 그 제조방법
GB2040200A (en) Manufacturing cooking utensils
KR890002817B1 (ko) 알미늄 주방 용기의 성형 방법
CN217283449U (zh) 一种特异型电磁线圈盘
CN217090375U (zh) 一种蓄热保温锅盖
KR200350547Y1 (ko) 조리용기
CN207506357U (zh) 一种烹饪装置
JPS5837346Y2 (ja) 飲食及び調理用具の柄
CN208973312U (zh) 用于烹饪器具的内锅和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