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3877B1 -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만드는 방법 - Google Patents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만드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877B1
KR101873877B1 KR1020180019139A KR20180019139A KR101873877B1 KR 101873877 B1 KR101873877 B1 KR 101873877B1 KR 1020180019139 A KR1020180019139 A KR 1020180019139A KR 20180019139 A KR20180019139 A KR 20180019139A KR 101873877 B1 KR101873877 B1 KR 101873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meter
water
water pipe
in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진
백승호
Original Assignee
(주)태승정보통신
백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승정보통신, 백승호 filed Critical (주)태승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80019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8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095Component holders or housings, e.g. boundary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한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은, 수도계량기에 접촉되어 설치되는 동파방지 장치; 수도관에 형성된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과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 동파방지 장치에 연결된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내부로 들어간 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밖으로 나오며, 상기 연결선을 통해 실내의 전력을 상기 동파방지 장치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만드는 방법{THE METHOD FOR MAKING SYSTEM FOR PREVENTING FREEZING AND BURSTING OF WATER METER}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계량기의 온도가 일정 기준치 이하로 내려갈 때 열을 발생시켜 온도를 올려주는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단독 주택의 경우 수도계량기가 실외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겨울철에 수도계량기의 동파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동파 사고를 막기 위해 단열재나 보온재를 사용하는 수동적인 방법도 이용되고 있으나 영하의 온도가 계속되는 환경에서는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따라서 온도센서와 열원(예를 들면, 발열선) 설치하여 수도계량기의 온도가 일정 기준치 이하로 내려갈 때, 열을 발생시켜 온도를 올려주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그러한 예이다.
특허문헌 1의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장치에서는, 수도계량기 하부 바닥면이나 수도계량기 뚜껑에 발열선을 배치하고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면 턴온되어 발열선으로 전류를 인가하는 온도 감지기를 설치한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장치는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는데, 실외에 있는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장치에 전력선을 연결하는 배선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공사가 필요하고,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태양열 발전 등을 통해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하여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으나, 이 방법 역시 비용이 많이 든다.
한국 KR 20-0430457 Y1 (등록일: 2006.11.01.)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이 적게 들면서도 겨울철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의한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은, 수도계량기에 접촉되어 설치되는 동파방지 장치; 수도관에 형성된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과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 동파방지 장치에 연결된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내부로 들어간 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밖으로 나오며, 상기 연결선을 통해 실내의 전력을 상기 동파방지 장치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과 수도계량기는 계량기함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은 건물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은, 실내의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은 실내의 제어장치에 연결되어 있어서, 실내에서 동파방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은,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연결선이 통과하는 상태에서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밀폐할 수 있는 계량기 분기부 뚜껑;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연결선이 통과하는 상태에서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밀폐할 수 있는 실내 분기부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가 IOT 칩을 포함하고, 상기 수도계량기가 전자식 계량기이어서 원격검침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연결선을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내부로 넣은 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밖으로 꺼내는 방법은, 수도계량기에 접촉되어 설치되는 동파방지 장치; 수도관에 형성된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과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 동파방지 장치에 연결된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내부로 들어간 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밖으로 나오며, 상기 연결선을 통해 실내의 전력을 상기 동파방지 장치에 공급할 수 있는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상기 연결선을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내부로 넣은 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밖으로 꺼내는 방법으로서, 상기 연결선의 끝부분을 이동체에 고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이동체를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에 넣는 제2 단계: 수도관에 물을 흘려서 상기 이동체를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으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이동체를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으로 꺼내는 제4 단계; 상기 연결선의 끝부분을 이동체로부터 분리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는 구형이고, 그 밀도는 물의 밀도와 같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이동체는 우산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연결선을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내부로 넣은 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밖으로 꺼내는 다른 방법은, 수도계량기에 접촉되어 설치되는 동파방지 장치; 수도관에 형성된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과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 동파방지 장치에 연결된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내부로 들어간 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밖으로 나오며, 상기 연결선을 통해 실내의 전력을 상기 동파방지 장치에 공급할 수 있는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상기 연결선을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내부로 넣은 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밖으로 꺼내는 방법으로서, 끈의 끝부분을 이동체에 고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이동체를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에 넣는 제2 단계; 수도관에 물을 흘려서 상기 끈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으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이동체를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으로 꺼내는 제4 단계; 상기 끈의 끝부분을 이동체로부터 분리하는 제5 단계; 상기 끈의 끝부분을 연결선에 고정하는 제6 단계; 상기 끈을 당겨서 연결선을 당겨서 연결선을 수도관을 관통시키는 제7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은 비용이 적게 들면서도 겨울철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이동체를 이용하여 수도관 안에 연결선을 삽입하는 모습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의 개념도의 다른 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도계량기(22)가 계량기함(20)의 내부에 위치한다.
수도계량기(22)에는 동파방지 장치(30)가 접촉되어 설치되어 있다. 동파방지 장치(30)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1)와 발열체(32)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온도센서(31)의 측정 온도가 일정한 기준치 이하가 되면 발열체(32)를 통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수도계량기가 동파하지 않도록 한다.
동파방지 장치(30)에는 연결선(4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선(40)은 수도관(10)을 통해 실내(건물 내부)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실내의 연결선에는 제어장치(35)가 연결되어 동파방지 장치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동파방지 장치의 제어장치(35)를 통해 사용자가 수도계량기함의 온도를 확인하거나 설정온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실내의 제어장치는 생략되고, 동파방지 장치(30)의 제어장치는 계량기함 내부의 동파방지 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장치에는 IOT 칩을 넣어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제어장치가 IOT 칩을 통해 통신을 할 수 있고, 수도계량기가 전자식 계량기라면 원격검침(원거리에서 수도 사용량을 검침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에서 고장 여부를 파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31)의 측정결과가 1시간 이상 영하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파악된다면, 동파방지 장치(30)에 고장이 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35)에서 상기 수도계량기함의 온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제어장치(35)에 온도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동파방지 장치와 발열체 등에는 방수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선(40)은 전력 공급을 하기 위한 전선을 포함한다. 이때 수도관 주변에 누수가 발생할 수 있고 연결선에 누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력 공급은 교류 220 V 보다는 교류 12 V 가 바람직하다(연결선은 절연체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정상적인 상황에는 누전이 발생할 수 없지만, 이 절연체가 벗겨질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실내의 전원으로부터 교류 12 V 를 공급받기 위해서는 어댑터가 필요하다.
연결선에는 접지선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실내의 제어장치(35)를 통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제어신호 송수신을 위한 전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선은 플러그(36)를 실내의 콘센트에 연결함으로써 전력공급을 받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결선을 실내 전력 배선에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도 1과 같이 연결선을 설치할 때, 상기 연결선(40)은 수도관(10)을 통해 비교적 간단한 공사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연결선 설치 공사 비용이 줄어들 수 있다.
수도관(10)은 상수도 물이 흐르는 관인데, 도 1과 같이 설치되기 위해서는, 계량기함 쪽의 수도관에는 계량기 분기부(50)가 설치되고, 실내의 수도관에는 실내 분기부(60)가 설치된다.
계량기 분기부(50)와 실내 분기부(60)는 수도관에서 상수도 물이 흐르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러나 계량기 분기부(50)에는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51)이 형성되어 있고, 실내 분기부(60)에는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61)이 형성되어 있어서, 수도관(10)의 내부로 연결선(40)을 넣을 수 있다.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51)과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61)으로 상수도 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51)에는 계량기 분기부 뚜껑(55)가 덮혀 있고,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61)에는 실내 분기부 뚜껑(65)이 덮혀 있다.
계량기 분기부 뚜껑(55)은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51)을 연결선(40)이 통과하는 상태에서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51)을 밀폐할 수 있다.
실내 분기부 뚜껑(65)은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61)을 연결선(40)이 통과하는 상태에서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61)을 밀폐할 수 있다.
연결선은 수도관 속의 상수도 물에 오랫동안 노출되어도 부식되지 않아야 하며 해로운 성분이 배출되지 않는 재료로 만들어져야 한다. 따라서 연결선(40)은 플렉시블한 스테인레스 피복을 포함할 수도 있고, 스테인레스 관 속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는 연결선의 피복을 폴리에틸렌이나 PVC로 만들 수도 있다.
계량기 분기부(50)와 실내 분기부(60) 사이의 수도관으로 연결선을 관통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수도관 내부의 물을 빼낸 다음 직경이 가늘고 빳빳한 강선을 사용하여 먼저 통과시킨 강선의 한쪽 끝에 연결선을 매단 후 당기면 쉽게 연결선을 수도관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이동체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동체는 구형의 물체로서 물의 밀도와 비슷한 밀도를 가지도록 만든다. 이 이동체를 수도관 안에 넣고 물을 흘리면 이동체는 물의 흐름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체는 구형이 아니라 우산같은 모양으로 만들 수도 있다. 우산과 같은 형상으로 만들면 물의 흐름에 의해 이동하는 힘을 좀 더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다. 이동체를 우산 형상으로 만든다면 연결선은 우선의 손잡이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이동체를 이용하여 수도관 안에 연결선을 삽입하는 모습이다.
이동체(70)에 연결선을 고정한 후 화살표 방향으로 물이 흐르게 하면 이동체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두 번째 방법을 이용하면, 계량기 분기부(50)와 실내 분기부(60) 사이의 수도관이 직선이 아닌 경우에도 쉽게 연결선을 수도관 안으로 관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두 번째 방법은 다음의 5 단계를 포함한다.
(1) 제1 단계: 상기 연결선의 끝부분을 이동체에 고정하는 단계
(2) 제2 단계: 상기 이동체를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에 넣는 단계
(3) 제3 단계: 수도관에 물을 흘려서 상기 이동체를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4) 제4 단계: 상기 이동체를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으로 꺼내는 단계
(5) 제5 단계: 상기 연결선의 끝부분을 이동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상기 제5 단계를 거친 후에 상기 연결선의 끝부분을 실내의 제어장치(35)에 연결하거나 실내의 플러그(36)에 연결할 수 있다.
세 번째 방법은, 이동체를 이용하되, 연결선을 이동체에 바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낚시줄과 같은 끈을 연결선을 이용하여 수도관에 관통시킨 후, 그 끈을 이용하여 연결선을 수도관을 관통시키는 방법이다. 낚시줄과 같은 끈은 연결선보다 가늘고 쉽게 휠 수 있으므로 수도관을 관통시키기에 연결선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 번째 방법은 다음의 7 단계를 포함한다.
(1) 제1 단계: 끈의 끝부분을 이동체에 고정하는 단계
(2) 제2 단계: 상기 이동체를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에 넣는 단계
(3) 제3 단계: 수도관에 물을 흘려서 상기 끈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때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으로 물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막아 둘 수도 있다. 그리고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으로부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길이의 끈은 수도관에 미리 넣어둘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끈의 한쪽 끝이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에 고정되어 있더라도 이동체가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까지 이동할 때 방해받지 않는다)
(4) 제4 단계: 상기 이동체를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으로 꺼내는 단계
(5) 제5 단계: 상기 끈의 끝부분을 이동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6) 제6 단계: 상기 끈의 끝부분을 연결선에 고정하는 단계
(7) 제7 단계: 상기 끈을 당겨서 연결선을 당겨서 연결선을 수도관을 관통시키는 단계(즉 상기 끈을 당겨서 실내 분기부와 계량기 분기부 사이 구간의 수도관에 연결선을 관통시키는 단계)
상기 제7 단계를 거친 후에 상기 연결선의 끝부분을 실내의 제어장치(35)에 연결하거나 실내의 플러그(36)에 연결할 수 있다.
만일 수도관에 역류방지밸브가 있으면, 수도관 역류에 의한 상수도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 분기부(50) 또는 실내 분기부(60)는,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한 것일 수 있다.
도 1에서의 계량기 분기부(50)와 실내 분기부(60)는, 수도관(10)의 일부를 잘라 낸 후 별도의 장치{계량기 분기부(50), 실내 분기부(60)}를 연결한 경우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단순히 수도관의 일부에 구멍을 내어서 연결선(40)이 수도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 부분이라면, 계량기 분기부(50), 실내 분기부(60)로 부를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개념도는 도 3과 같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의 개념도의 다른 예이다.
도 3에서처럼, 계량기함(20)에 있는 수도관(10)의 일부에 구멍을 내어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51)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51)에 연결선(40)을 삽입한 후 계량기 분기부 뚜껑(55)을 덮어서 수도관(10)을 밀봉할 수 있다. 이때, 수도관(10) 중에서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51)이 있는 부분이 계량기 분기부가 된다.
또한, 도 3에서처럼, 실내에 있는 수도관(10)의 일부에 구멍을 내어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61)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61)에 연결선(40)을 삽입한 후 실내 분기부 뚜껑(65)을 덮어서 수도관(10)을 밀봉할 수 있다. 이때, 수도관(10) 중에서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51)이 있는 부분이 실내 분기부가 된다.
계량기 분기부 뚜껑(55)이나 실내 분기부 뚜껑(65)을 덮어서 수도관(10)을 밀봉할 때, 접착제 등을 이용할 수도 있고, 나사산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고(즉 구멍과 뚜껑에 각각 나사산을 만들고 나사산의 결합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고무 패킹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계량기 분기부 뚜껑(55)이나 실내 분기부 뚜껑(65)을 생략하고 접착제만을 이용하여 밀봉할 수도 있다. 즉,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수도관을 밀봉할 수 있다.
'계량기 분기부'는 실외(건물 외부)에 위치하므로 '실외 분기부'라 부를 수도 있다. 이때,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은 '실외 분기부 분기 구멍'이라 부를 수 있고, '계량기 분기부 뚜껑'은 '실외 분기부 뚜껑'이라고 부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원격검침기능을 구현할 때, 동파방지장치가 없는 상태에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수도계량기에 동파방지장치가 설치되지 않는 상태에서 전자식 계량기의 검침을 위해 수도관 사이로 연결선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때, 연결선에는 검침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선이 포함되거나 전자식 계량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변형 실시예 1, 변형 실시예 2와 같이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 실시예 1)
본 발명에 의한 변형 실시예 1에 의한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실외에 설치된 전자식 계량기;
수도관에 형성된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과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
상기 전자식 계량기에 연결된 연결선;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내부로 들어간 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밖으로 나오며,
상기 연결선을 통해 실내의 전력을 전자식 계량기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시스템.
또한 변형 실시예 1의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다음의 2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실외에 설치된 전자식 계량기; 수도관에 형성된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과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 상기 전자식 계량기에 연결된 연결선;을 포함하고,상기 연결선은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내부로 들어간 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밖으로 나오며, 상기 연결선을 통해 실내의 전력을 전자식 계량기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상기 연결선을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내부로 넣은 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밖으로 꺼내는 방법으로서,
상기 연결선의 끝부분을 이동체에 고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이동체를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에 넣는 제2 단계:
수도관에 물을 흘려서 상기 이동체를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으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이동체를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으로 꺼내는 제4 단계;
상기 연결선의 끝부분을 이동체로부터 분리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실외에 설치된 전자식 계량기; 수도관에 형성된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과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 상기 전자식 계량기에 연결된 연결선;을 포함하고,상기 연결선은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내부로 들어간 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밖으로 나오며, 상기 연결선을 통해 실내의 전력을 전자식 계량기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상기 연결선을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내부로 넣은 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밖으로 꺼내는 방법으로서,
끈의 끝부분을 이동체에 고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이동체를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에 넣는 제2 단계;
수도관에 물을 흘려서 상기 끈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으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이동체를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으로 꺼내는 제4 단계;
상기 끈의 끝부분을 이동체로부터 분리하는 제5 단계;
상기 끈의 끝부분을 연결선에 고정하는 제6 단계;
상기 끈을 당겨서 연결선을 당겨서 연결선을 수도관을 관통시키는 제7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변형 실시예 2)
본 발명에 의한 변형 실시예 2에 의한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실외에 설치된 전자식 계량기;
수도관에 형성된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과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
상기 전자식 계량기에 연결된 연결선;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내부로 들어간 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밖으로 나오며,
상기 연결선을 통해 상기 전자식 계량기의 데이터를 실내의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시스템.
또한 변형 실시예 2의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다음의 2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실외에 설치된 전자식 계량기; 수도관에 형성된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과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 상기 전자식 계량기에 연결된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내부로 들어간 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밖으로 나오며, 상기 연결선을 통해 상기 전자식 계량기의 데이터를 실내의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상기 연결선을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내부로 넣은 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밖으로 꺼내는 방법으로서,
상기 연결선의 끝부분을 이동체에 고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이동체를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에 넣는 제2 단계:
수도관에 물을 흘려서 상기 이동체를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으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이동체를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으로 꺼내는 제4 단계;
상기 연결선의 끝부분을 이동체로부터 분리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실외에 설치된 전자식 계량기; 수도관에 형성된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과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 상기 전자식 계량기에 연결된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내부로 들어간 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밖으로 나오며, 상기 연결선을 통해 상기 전자식 계량기의 데이터를 실내의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상기 연결선을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내부로 넣은 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밖으로 꺼내는 방법으로서,
끈의 끝부분을 이동체에 고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이동체를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에 넣는 제2 단계;
수도관에 물을 흘려서 상기 끈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으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이동체를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으로 꺼내는 제4 단계;
상기 끈의 끝부분을 이동체로부터 분리하는 제5 단계;
상기 끈의 끝부분을 연결선에 고정하는 제6 단계;
상기 끈을 당겨서 연결선을 당겨서 연결선을 수도관을 관통시키는 제7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수도관
20: 계량기함
22: 수도계량기
30: 동파방지 장치
31: 온도센서
32: 발열체
35: 제어장치
36: 플러그
40: 연결선
50: 계량기 분기부
51: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
55: 계량기 분기부 뚜껑
60: 실내 분기부
61: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
65: 실내 분기구 뚜겅
70: 이동체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만드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은,
    수도계량기에 접촉되어 설치되는 동파방지 장치;
    수도관에 형성된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과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
    동파방지 장치에 연결된 연결선;
    을 포함하고,
    상기 동파방지 장치는 온도센서와 발열체를 포함하여 온도센서의 측정온도가 일정한 기준치 이하가 되면 발열체를 통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수도계량기가 동파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내부로 들어간 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밖으로 나오며,
    상기 연결선은 실내의 플러그 또는 실내 전력 배선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선을 통해 실내의 전력을 상기 동파방지 장치에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만들 때 상기 연결선을 상기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내부로 넣은 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을 통해 수도관 밖으로 꺼내기 위해,
    끈의 끝부분을 이동체에 고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이동체를 계량기 분기부 분기 구멍에 넣는 제2 단계;
    수도관에 물을 흘려서 상기 끈을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으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이동체를 상기 실내 분기부 분기 구멍으로 꺼내는 제4 단계;
    상기 끈의 끝부분을 이동체로부터 분리하는 제5 단계;
    상기 끈의 끝부분을 연결선에 고정하는 제6 단계;
    상기 끈을 당겨서 연결선을 당겨서 연결선을 수도관을 관통시키는 제7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만드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구형이고, 그 밀도는 물의 밀도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만드는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우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만드는 방법.
  9. 삭제
KR1020180019139A 2018-02-19 2018-02-19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만드는 방법 Active KR101873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139A KR101873877B1 (ko) 2018-02-19 2018-02-19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만드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139A KR101873877B1 (ko) 2018-02-19 2018-02-19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만드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416A Division KR20190099996A (ko) 2018-06-23 2018-06-23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877B1 true KR101873877B1 (ko) 2018-07-03

Family

ID=62918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139A Active KR101873877B1 (ko) 2018-02-19 2018-02-19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만드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8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464Y1 (ko) * 2003-01-09 2003-03-31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계측기 장착용 분기관을 갖는 계량기 연결 유니언
KR101681921B1 (ko) * 2016-04-28 2016-12-02 주식회사 쓰리제이 동파방지 발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464Y1 (ko) * 2003-01-09 2003-03-31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계측기 장착용 분기관을 갖는 계량기 연결 유니언
KR101681921B1 (ko) * 2016-04-28 2016-12-02 주식회사 쓰리제이 동파방지 발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011415U (zh) 一种适用于地下或水下的监测装置
KR20160080354A (ko) 맨홀 내부 무선 통신 장치
EP4111004B1 (en) A method for remote estimation of the hydrant water pressure at a hydrant and a hydrant water pressure estimation system
ES2611994B1 (es) Dispositivo medidor de magnitudes físicas sobre cables conductores eléctricos con aislamiento perimetral exterior
CN105569121A (zh) 一种压力流量监测记录远传智能给水管道系统
CN211203271U (zh) 管道伴热装置
KR101503716B1 (ko)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
US11167161B1 (en) Hydrant monitoring system
KR101873877B1 (ko)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만드는 방법
KR102504706B1 (ko) 분리형수도계량기
CN105688359A (zh) 一种自动水灭火系统自动末端试水装置
CN213930454U (zh) 一种用于火力发电厂疏水阀门的监测装置
JP2007147631A (ja) 挿入形電磁流速計
US9709447B2 (en) Thermal energy metering using an enthalpy sensor
KR20020045430A (ko) 노후수도관로의 누수감시시스템
KR20190099996A (ko)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
CN210570888U (zh) 一种窨井液位实时压力监测器
KR20190110670A (ko)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
CN209485495U (zh) 一种液氮罐液面检测装置
PT1215471E (pt) Sistema de detecção do nível de líquido
CN207600661U (zh) 压力监测设备
KR20160073592A (ko) 수도 계량기의 동파 방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49584A (ko) 가스관의 운영관리 및 제어시스템
WO2020089914A1 (en) Automatic wireless electrical system for closing and opening water pipe
KR100989514B1 (ko) 태양전지판이 장착된 수질측정용 부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1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62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