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712B1 - lift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method using the device - Google Patents
lift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method using th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3712B1 KR101873712B1 KR1020180030567A KR20180030567A KR101873712B1 KR 101873712 B1 KR101873712 B1 KR 101873712B1 KR 1020180030567 A KR1020180030567 A KR 1020180030567A KR 20180030567 A KR20180030567 A KR 20180030567A KR 101873712 B1 KR101873712 B1 KR 1018737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cable clamp
- locking
- high voltage
- electric p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3178 Musculoskele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장치 및 무정전 배전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공사를 무정전으로 시행하는 바이패스케이블, 무정전변압기장치,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공법시 종전의 간접활선공법으로 공사용 케이블을 설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노동강도 및 체력의 한계로 시공이 불가능하였던 것을 용이하면서도 안전하게 견인, 인상, 접속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현대사회에서 전력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그 반면 전력품질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아지면서 배전선로의 신설 및 유지보수를 위한 공사시 작업정전을 줄여 양질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작업중에도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는 무정전 배전공법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In the modern society, electric power demand is surging. On the other hand, as the demand level for electric power quality increases, electric power is cut off during operation so as to supply high quality electric power by reducing work interruption during construction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distribution lin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system in which construction work is carried out in a state that is not in operation.
이러한 종래의 특고압 배전선로 무정전 배전공법은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 공사용개폐기, 무정전변압기차, 바이패스케이블 등을 활용한 무정전 임시송전공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 들어 직접활선공법의 위험성이 대두 되면서 발주처인 한국전력공사에서 2017년부터 직접활선공법을 폐지하고 간접활선공법을 활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을 도입하기로 하면서 공구 및 공법개발이 전체 공정의 10% 정도로 미비한 상태에서 적용을 서두르고 있어 간접활선공법과 직접활선공법 병용으로 인한 혼란으로 활선전공의 안전사고 위험은 물론 노동강도 및 체력의 한계로 작업능률이 저하되어 현장 활용이 불가능한 상태로 어려운 현실을 전력분야 신문 등 언론에 연일 보도되고 있는 실정이다.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such conventional high voltage distribution line uses uninterruptible temporary transmission method using bypass jumper cable for live wire, construction switch, uninterruptible transformer car, bypass cable, etc. Recently, however, KEPCO will abolish the live wire method from 2017 and introduce th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indirect live-wire method. As the development of tools and construction methods is insufficient to 10% of the whole process, Due to the confusion caused by the combined use of the construction method and the direct live method, it is impossible to utilize the field due to the limitation of labor intensity and physical strength as well as the safety risk of the live wire majors. to be.
여기서, 종전의 직접활선공법은 활선전공이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직접 활선 상태의 특고압을 직접 만지면서 작업을 하는 것과 달리 간접활선공법은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약 2m 길이의 활선용 절연스틱을 사용하여 활선상태의 특고압 배전선선로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작업을 시행하는 활선공법이다.Here, in the conventional direct live method, the live wire technique is performed by directly touching the special high voltage in a live wire state by wearing a protective gear, and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distance, an insulating stick for a live wire of about 2 m in length It is a live operation method in which the operation is carried out without directly touching the high-voltage distribution line of live line.
한편, 무정전 배전공법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 공사용개폐기, 무정전변압기차, 바이패스케이블 등을 활용하는데, 이 공법은 반드시 직접활선 또는 간접활선으로 공사용케이블클램프를 특고압전력선에 설치하고, 점퍼선 분리 압축이 수반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lement th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bypass jumper cable for live wire, construction switch, uninterruptible transformer car, bypass cable and so on are used. In this method, the cable clamp for construction should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Followed by jumper line compression.
즉,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무정전 배전공법은 반드시 케이블클램프(3) 설치공정이 수반되는데, 먼저 특고압전력선(6)에 케이블임시걸이(2)를 활선작업용스틱(5)을 사용하여 설치하고, 가지지크리트(4)에 임시로 거치된 바이패스케이블(7)을 활선작업용스틱(5)을 사용하여 케이블임시걸이(2)에 임시로 고정을 시킨 다음 활선용 피박기를 사용하여 특고압전력선(6)의 피복을 제거한 후, 또다시 활선작업용스틱(5)을 사용하여 케이블임시걸이(2)에 임시로 고정되어 있는 케이블클램프(3)를 피복이 제거된 특고압전력선(6)에 걸어놓고 케이블 회전장치를 케이블클램프(3)에 끼운 다음 간접활선용 회전기능 스틱을 사용하여 접속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1, the conventional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is accompanied by a step of installing the cable clamp 3. First, the cable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 작업을 약 2m 길이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는데 전선분리용 컷터, 활선용압축기(약4.5kg) 및 케이블클램프 등의 무게(약5~20kg)가 활선작업용스틱 끝에 실려 작업자의 체력으로 활선작업용스틱 지탱이 불가능하여 작업 중 케이블클램프 등을 낙하 하는 실수가 빈번하고 이로 인하여 활선전공의 노동강도가 최고조로 증가하고 체력의 한계로 근골격계 질환우려 뿐만 아니라 방호를 생략함으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 및 선로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종전 기술의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을 활선전공 및 신청기술 분야 관련업계에서 시행을 우려하고 있다.However, in the indirect live uninterrupted power distribution method, the stick for the live wire work of about 2 m long is used for the complicated and troublesome work to perform the work, and the electric wire separator, the live wire compressor (about 4.5 kg) The weight (about 5 ~ 20kg) is put on the end of the stick for live work, so it is impossible to support the stick for live work due to the worker's physical strength. Therefore, the mistake of dropping the cable clamp etc. during work frequently increases labor intensity. The limitation is not only concern about musculoskeletal diseases but also cause safety risk and line failure due to omission of protection. For this reason, we are worried about the indirect live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technique of the old technology in the live industry and application technology field related industry .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효율적인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작업을 위한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urgent to develop a technique for an efficient indirect live-lin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종래의 무정전 배전공법은 지금까지 무거운 공사용케이블클램프를 활선전공의 체력에 의존하여 연결하고 철거해 왔으나, 본 발명은 활선전공의 작은 힘에 의한 기계적 작동으로 공사용케이블클램프를 견인, 인상하고, 또한 종래에는 케이블임시걸이를 별도 설치하여 공사용케이블을 거치했다가 다시 특고압 전선에 연결하던 공정을 케이블임시걸이를 사용하지 않고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에 절연견인벨트로 케이블클램프를 거치하고 필요한 공정시 거치 상태에서 바로 공사용케이블클램프를 특고압전력선에 직접접속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작업공정을 단순화시켜 작업시간을 단축 하고, 활선전공의 체력에 의하지 않고 간단한 기계적 작동으로 공사용케이블클램프 접속을 전기적으로 더욱 완전한 접속이 가능하게 하며, 작업자의 노동강도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등 현장 활용성, 경제성,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conventional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has heretofore connected and removed heavy cable clamps depending on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live wire. The cable clamp is pulled up and pulled up by the mechanical operation by the cable, and in the past, the cable temporary hook is installed separately, and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cable for construction and the connection to the extra high voltage cable is carried out without using the cable temporary hook, By inserting the cable clamp with the insulation pulling belt on the clamp connection device and directly connecting the cable clamp for construction directly to the special high voltage power line in the state of mounting in the necessary process, the work process is simplified and the working time is shortened, Simple mechanical operation without using a cable clamp for construction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to improve field efficiency, economical efficiency and stability, such as enabling a more complet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and drastically reducing the labor intensity of the worker, and a cable clamp connecting device and an indirect live wire uninterruptibl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tribution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도체로 구성되며 전방에는 특고압전력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과 전방으로 개방되어 특고압전력선의 수용이 가능한 특고압전력선 수용홈이 형성된 클램프바디와, 클램프바디의 하부에 회동축으로 연결되어 특고압전력선과 직각 방향으로 회동하며 하부에는 전,후로 이격되어 절연견인벨트 가이드축으로 연결 축설된 축설부가 형성된 회동대로 된 클램프;A clamp body having an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receiving groove that is open at both sides and fo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and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and a clamping bod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lamp body, A rotating clamp which rotat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wer line and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by a connecting shaft;
전,후방 한 쌍으로 구성되며, 회동대의 절연견인벨트 가이드축 양단에 축설되고, 클램프의 하부로 접속유닛결합부와 일측으로 돌출되는 윈치결합부를 이루며, 접속유닛결합부의 하부에는 양측에 한 쌍의 브라켓장공이 형성된 전,후방 지지브라켓;A pair of front and rear pairs of a connecting unit coupling part and a winch coupling part formed on both ends of the insulating pulling belt guide shaft of the pivot and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clamp, Front and rear support brackets with bracket slots;
전,후방 지지브라켓의 사이에서 접속유닛결합부에 형성되어 특고압전력선과 접속을 위한 바이패스케이블을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하는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A cable clamp connection unit formed in the connection unit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front and rear support bracket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ypass cable for connection with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전,후방 지지브라켓의 사이에서 윈치결합부에 형성되며, 견인벨트의 권취 및 권해를 통해 바이패스케이블의 견인을 단속하며, 견인벨트의 단부에는 하부 둘레에 걸림홈조를 갖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이 연결된 윈치; 및The front and rear support brackets are formed at the winch engagement portion, and the pulling of the bypass cable is interrupted by winding and pulling of the pulling belt. At the end of the pulling belt, a cable clamping locking pull rod winch; And
견인벨트의 단부에 연결되어 바이패스케이블이 결합 및 윈치의 작동에 의해 상,하 승강되어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과 접속 통전되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를 포함하여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구성하되,And a hollow cable cable clamp connected to an end of the pulling belt and connected to the cable clamp connecting unit by being lifte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winch and the connection of the bypass cable to constitute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apparatus,
중공락 케이블클램프에 접속된 공사용케이블이 윈치 작동에 의해 상승되어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과 전기적으로 통전 및 클램프바디를 통해 특고압전력선과 통전되게 구성하며,The construction cable connected to the hollow lock cable clamp is raised by the winch operation so tha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ble clamp connection unit and energized with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through the clamp body,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무정전 활선상태에서의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을 수행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This can be achieved by performing the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in the state of uninterrupted live wire using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은, 작업자의 작은 힘으로 기계적 작동에 의하여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과, 공사용개폐기와, 무정전변압기차,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의 공사용케이블 설치작업에 케이블클램프 인상 및 연결 작업이 종전 기술은 케이블임시걸이에 임시로 고정하였다가 다시 케이블클램프를 풀어서 특고압전력선에 연결하는 번거롭고, 힘들고, 위험한 작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은 간접활선으로 이러한 번거롭고 힘든 공정 생략이 가능하게 되고 체력의 한계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방지 등 작업공정 단순화로 작업시간이 50% 이상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insulation-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direct live-lin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apparatus are provided with a bypass jumper cable for live wire, a construction switch, an uninterruptible transformer car, It is a cumbersome, difficult, and dangerous task to temporarily fasten cable clamps and connect them to the installation of cables for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using the bypass cable. However,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roublesome and difficult process with the indirect live line and can shorten the work time by more than 50% by simplifying the work process such as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 due to the limit of physical strength.
또한, 작업시간 단축에 따른 경제성이 우수하고, 활선전공의 노동강도가 최소화 되고, 체력의 한계 등 문제점이 해소 되며, 이에 따른 작업자 안전 및 선로의 안전성이 보장 되면서도 시공품질은 물론 현장 활용성이 우수하여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신속한 적용 및 이에 따른 전력산업의 선진화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has excellent economical efficiency due to shortening of work time, minimizes labor intensity of live specialization, solves problems such as limit of physical strength, and ensures safety of workers and safety of railway lines,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rapid application of the indirect live uninterrupted power distribution method and the advancement of the electric power industry accordingly can be obtained.
도 1은 종래 임시케이블 접속클램프를 나타낸 간략도.
도 2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클램프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클램프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 요부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 요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윈치 요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윈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윈치 요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중공락 케이블클램프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케이블 요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클램프 장착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공사용케이블 연결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공사용케이블 견인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공사용케이블 접속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 고정상태도.
도 20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 개방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윈치 수동 작동상태도.
도 22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1 실시예 간략도.
도 23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1 실시예 간략도.
도 24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1 실시예 간략도.
도 25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1 실시예 간략도.
도 26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2 실시예 간략도.
도 27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2 실시예 간략도.
도 28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2 실시예 간략도.
도 29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2 실시예 간략도.
도 30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3 실시예 간략도.
도 31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3 실시예 간략도.
도 32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3 실시예 간략도.
도 33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3 실시예 간략도.
도 34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4 실시예 간략도.
도 35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4 실시예 간략도.
도 36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5 실시예 간략도.
도 37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5 실시예 간략도.
도 38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5 실시예 간략도.
도 39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5 실시예 간략도.
도 40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6 실시예 간략도.
도 41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6 실시예 간략도.
도 42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6 실시예 간략도.
도 43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6 실시예 간략도.
도 44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7 실시예 간략도.
도 45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7 실시예 간략도.
도 46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7 실시예 간략도.
도 47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제7 실시예 간략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emporary cable connection clamp;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ion pull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amping lug part of an insulation pull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amp main portion of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le clamp connection unit of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ble clamp connection unit of the insulation pull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clamp connecting unit of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ch recess of an insulation pull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nch recess of an insulation pull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device of the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 winch of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llow lock cable clamp portion of the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main portion of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5 is a clamp mounting state of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6 is a state in which a cable for construction is connected to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7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of a cable for construction of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invention. Fig.
Fig. 18 is a state in which a construction cable is connected to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9 is a state in which the cable clamp pressurizing connecting member of the inventive insulation pull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device is fixed. Fig.
Fig.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ble clamp pressurizing connecting member of an insulation pull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1 is a view showing a manual winch operation state of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schematic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n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schematic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n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schematic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n indirect live uninterrupted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schematic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n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schematic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schematic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schematic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schematic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schematic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the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schematic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n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schematic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n indirect live uninterrupted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schematic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n indirect live uninterrupted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schematic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the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5 is a schematic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n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6 is a schematic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the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7 is a schematic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the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8 is a schematic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the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9 is a schematic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an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0 is a schematic view of a sixth embodiment of an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1 is a schematic view of a sixth embodiment of an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2 is a schematic view of a sixth embodiment of an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3 is a schematic view of a sixth embodiment of an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4 is a schematic view of a seventh embodiment of the indirect live lin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the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5 is a schematic view of a seventh embodiment of an indirect live uninterrupted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6 is a schematic view of a seventh embodiment of the indirect live lin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the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7 is a schematic view of a seventh embodiment of an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ion pull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ion pull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는,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와, 전,후방 지지브라켓(200)(200')과,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과, 쉴드선(400)과, 윈치(500)와,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로 구성된다.2 to 4, the insulation pulling function cable
먼저,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특고압전력선(활선)(도면중 미도시함)에 설치 및 그 특고압전력선과 전기적으로 통전하게 구성된 것으로, 클램프바디(110)와, 회동대(120)로 구성된다.5 and 6, the extra high voltage
먼저, 클램프바디(110)는 도체로 구성되어 특고압전력선과 접촉시 전기가 통전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전방에는 특고압전력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과 전방으로 개방되어 특고압전력선의 진출이 가능한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이 구성되어 특고압전력선의 수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First, the
이때, 상기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에는 그 상부에 특고압전력선의 걸림 가능한 "V홈" 형태의 상부파지홈(111a)이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extra-high voltage power
또한, 클램프바디(110)에는 외측에 후술하는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과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보다 확실한 전기적인 통전을 위해 후술하는 쉴드선(400)의 연결이 가능한 상부쉴드선접속홈(112)이 구성된 것으로, 상부쉴드선접속홈(112)에는 별도의 볼트가 체결되어 삽입되는 쉴드선(400)의 상부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upper shield
또한, 클램프바디(110)에는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에 수용되는 특고압전력선의 고정이 가능한 특고압전력선 고정수단(130)이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The
이때, 특고압전력선 고정수단(130)은 먼저, 특고압전력선 가압구(131)가 구성된 것으로, 특고압전력선 가압구(131)는 길이를 가지는 "바" 형태로 구성되며, 그 일단이 클램프바디(110)의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의 반대측에 힌지(H) 연결되어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의 내부에서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부에는 견고한 특고압전력선 파지를 위하여 상기 상부파지홈(111a)과 대응되는 "V홈" 형태의 하부파지홈(131a)이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fixing means 130 is constituted first by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또한, 특고압전력선 고정수단(130)에는 노브하우징(132)이 구성된 것으로, 노브하우징(132)은 클램프바디(110)의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 반대측 하부에서 특고압전력선 가압구(131)의 중심을 향하게 구성되며, 클램프바디(110)에 축설되어 소정의 상,하 회동력을 가지게 구성된다.The
또한, 고정수단(130)에는 노브하우징(132)을 관통 축설되어 자유 회전력을 가지는 가압조절노브(133)가 구성된다.The fixing means 130 includes a
또한, 특고압전력선 고정수단(130)에는 상기 가압조절노브(133)로부터 출몰 작동하여 특고압전력선 가압구(131)의 상,하 회동을 단속하는 회동작동대(134)가 구성된 것으로, 회동작동대(134)는 그 후단이 상기 가압조절노브(133)에 나사 결합되고, 그 선단이 상기 특고압전력선 가압구(131)의 중앙에 힌지(H) 연결되게 구성된다.The extraordinarily high voltage power line fixing means 130 is constituted by a pivoting
상기 회동대(120)는, 상기 클램프바디(11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후술하는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수직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이때, 회동대(120)는 그 상단이 클램프바디(110)의 하부에서 특고압전력선과 직각 방향(전,후)으로 회동 가능하게 제1 회동축(121)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회동대(120)는 클램프바디(110)에 축설되는 하부에는 전,후 양측에는 이격 형성되는 대응되는 한 쌍의 축설부(122)가 구성된 것으로, 그 축설부(122)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절연견인벨트 가이드축(123)이 축설되게 구성된다.The
즉,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는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에 특고압전력선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고정수단(130)의 가압조절노브(133)를 회전시 회동작동대(134)가 인출되어 특고압전력선 가압구(131)를 상부로 회동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의 상부파지홈(111a)과 특고압전력선 가압구(131)의 하부파지홈(131a)의 사이에 특고압전력선이 파지 고정되게 되며, 이에 특고압전력선의 전기가 클램프바디(110)로 통전 가능하게 된다.That is, the extra-high voltage
상기 전,후방 지지브라켓(200)(200')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후술하는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과 윈치(500)의 장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판체로 구성되며 양측 대응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The front and
이때, 전,후방 지지브라켓(200)(200')은 각각 그 상단이 상기 각각의 축설부(122) 전,후 양측에서 절연견인벨트 가이드축(123)에 축설되게 구성되어 좌,우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front and
한편, 전,후방 지지브라켓(200)(200')은 그 일측 즉,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의 하부로는 후술하는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이 결합되는 접속유닛결합부(210)를 이루고, 그 일측(도면중 좌측)에는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윈치(500)가 장착되는 윈치결합부(220)를 이루게 구성된다.The front and
이때, 상기 접속유닛결합부(210)에는 그 하부에 양측 한 쌍을 이루어 후술하는 접속부재하우징(310)의 접속부재장공(314)(314')과 대응되는 원주 형태의 브라켓장공(211)(211')이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상기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와 특고압전력선과 공사용케이블(도면중 미도시함)의 전기적인 통전이 가능하도록 접속을 중개하게 구성된 것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접속부재하우징(310)과,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와, 케이블클램프 개폐단속부(330)와, 견인봉스토퍼(380)로 구성된다.The cable
먼저, 접속부재하우징(310)은, 양측 전,후방 지지브라켓(200)(200')의 사이에서 접속유닛결합부(210)에 결합되게 구성된 것으로, 원형 기둥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First, the connecting
이때, 접속부재하우징(310)에는 먼저 그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접속부재가이드공(311)이 구성된 것으로, 접속부재가이드공(311)은 좌,우 폭을 이루는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되어 양측에 후술하는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가 이격 수용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또한, 접속부재하우징(310)에는 그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절연견인벨트 가이드공(312)이 구성된 것으로, 절연견인벨트 가이드공(312)은 전,후 폭을 이루는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절연견인벨트(541)의 안내가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접속부재가이드공(311)과는 그 중앙부가 연통되어 평면상 십자 형태를 이루게 관통 구성된다.The connecting
또한, 접속부재하우징(310)에는 그 관통되는 내측 하단에는 하단 둘레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상협하광 형태의 케이블접속구 안치홈(313)이 구성된다.The connecting
또한, 접속부재하우징(310)에는 하부 양측에 후술하는 각각의 지지핀(340)(340')이 유동가능한 양측 한 쌍의 접속부재장공(314)(314')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접속부재장공(314)(314')은 상기 브라켓장공(211)(211')과 대응되며, 후술하는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가 축설되는 힌지(H)(H')를 축으로 하여 원호 형태를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connecting
즉, 접속부재하우징(310)은 후술하는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의 유동 가이드 및 절연견인벨트(541)의 승강을 가이드 하게 구성된다.That is, the connecting
상기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는, 전기의 통전이 가능하도록 도체로 구성되며, 양측 대응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 것으로, 각각은 상,하 수직 길이를 이루는 블록 형태로 구성된다.The cable clamp pressurizing connecting
이때, 각각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는 상기 접속부재가이드공(311)의 양측에 수용되는 한편, 그 상단이 접속부재하우징(310)에 힌지(H) 연결되어 그 힌지(H)를 축으로 하여 하부가 좌,우 회동되어 후술하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each of the cable
또한,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에는 서로 대응되는 내측 상부에 서로 대응측으로 돌출되는 상부걸림턱(321)(321')이 구성된 것으로, 상부걸림턱(321)(321')에는 후술하는 가압접속부재(320)(320') 사이로 진입된 케이블클램프헤드(620)가 걸림되게 구성된다.The upper clamping jaw 321 'and the upper clamping jaw 321'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able
또한,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에는 서로 대응되는 내측 하부에는 서로 대응측으로 돌출되는 하부걸림턱(322)(322')이 구성된 것으로, 그 하부걸림턱(322)(322')에는 그 하단에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벌어지는 모따기 형태의 경사면(322a)(322a')을 이루게 구성된다. The lower ends of the
이때, 그 경사면(322a)(322a')은 후술하는 케이블클램프헤드(620)의 쐐기부(621)가 접할시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가 벌어지도록 안내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에는 각각의 외측에 접속부재하우징(310)에 지지되어 양측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를 대응측으로 밀어내려는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323)(323')이 탄설되게 구성된다.Each of the cable clamp pressing
또한,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에는 그 상부에 상기 클램프바디(110)와의 전기적인 통전이 가능하나 보다 더 확실한 통전을 위해 후술하는 쉴드선(400)의 연결이 가능한 하부쉴드선접속홈(324)(324')이 구성된 것으로, 하부쉴드선접속홈(324)(324')에는 별도의 볼트가 체결되어 삽입되는 쉴드선(400)의 상부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able clamp
즉,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는 상부의 힌지(H)(H')를 축으로 하여 양측으로 회동 전개 및 접이가 구성된 것으로, 후술하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의 진출 및 가압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그 가압 과정에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통전되게 구성된다.That is, the cable clamp press-connecting
상기 케이블클램프 개폐단속부(330)는, 상기 양측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의 전면을 연결하는 한편, 그 양측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의 좌,우 회동을 단속하게 구성된다.The cable clamp opening and
이때, 케이블클램프 개폐단속부(330)는 먼저, 양측 한 쌍의 지지핀(340)(340')이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지지핀(340)(340')은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의 후면 하부에서 후방을 향하게 돌출 및 접속부재장공(314)(314')과 브라켓장공(211)(211')을 통해 관통되어 그 접속부재장공(314)(314')과 브라켓장공(211)(211')을 따라 가이드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cable clamp opening /
또한, 케이블클램프 개폐단속부(330)에는, 상기 전방 지지브라켓(200)의 외측에 형성되어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개폐를 단속하는 안전개폐레버(350)가 구성된다.The cable clamp opening and
이때, 안전개폐레버(350)는 먼저, 그 일단이 일측(도면중 좌측)에 위치되는 일측의 지지핀(340)에 축설되고, 타단에는 전방 지지브라켓(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351)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타측(도면중 우측)에 위치되는 타측의 지지핀(340')이 관통 및 가이드 되는 지지핀가이드홈(353)을 갖는 지지핀가이드부(352)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safety opening /
한편, 상기 지지핀가이드홈(353)은 먼저, 지지핀가이드부(352)를 따라 상,하 길이를 이루는 메인가이드홈(353a)이 구성된 것으로, 메인가이드홈(353a)은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의 지지핀(340)과 멀어지는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다.Meanwhile, the support
또한, 상기 메인가이드홈(353a)의 상부에는 안전개폐레버(350)가 수평을 이룰시 양측 지지핀(340)(340')과 동일 수평선상을 이루는 전개가이드홈(353b)이 구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safety opening /
또한, 상기 메인가이드홈(353a)의 상부부에는 그 메인가이드홈(353a)의 상부로 연장되는 접이록킹홈(353c)이 구성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메인가이드홈(353a)의 하단에는 일측이 지지핀(340) 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개방록킹홈(353d)을 이루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즉, 안전개폐레버(350)는 양측의 지지핀(340)(340')과 수평 상태를 이룰 시에는 그 지지핀(340)(340')이 전개가이드홈(353b)을 통해 양측으로의 회동되어 양측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가 스프링(323)(323')력을 이기며 좌,우로 회동 전개 가능하게 되고, 하부로 회동시에는 타측의 지지핀(340')이 접이록킹홈(353c)에 수용되어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가 접이 및 회동 전개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부로 회동시에는 양측 지지핀(340)(340')의 강제 전개에 따른 양측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의 강제 회동 전개가 가능하게 되고, 하부로 회동된 상태에서 타측의 지지핀(340')이 개방록킹홈(353d)에 위치되게 되면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의 전개 상태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safety open /
또한, 케이블클램프 개폐단속부(330)에는 안전개폐레버(350)에 형성되어 지지핀가이드홈(353)을 관통하는 타측의 지지핀(340')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작동부(360)가 구성된다.The cable clamp opening and
이때, 탄성작동부(360)는 먼저, 양측 지지핀(340)(340')의 사이에서 안전개폐레버(350)에 형성되는 탄성박스(361)가 구성된 것으로, 탄성박스(361)는 내부에 타측의 지지핀(340') 측으로 개방되는 탄성 가이드홈(361a)이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탄성작동부(360)에는 상기 탄성 가이드홈(361a)을 따라 출몰 작동하는 탄성부재(362)가 구성된다.The
이때, 탄성부재(362)는 그 후단(도면중 좌측)에 스프링(363)이 탄설되어 탄성박스(361)의 외측 즉, 타측의 지지핀(340') 측으로 출몰 작동하게 구성되며, 그 출몰 작동하는 선단에는 먼저 하부에 지지핀(340')과 동일 수평상을 이루어 그 지지핀(340')이 걸림되는 하부걸림홈(364)이 구성되고, 선단 상부에는 접이록킹홈(353c)의 취치로 상부걸림홈(365)이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탄성부재(362)의 전면에는 타측의 지지핀(340') 측으로 수평 길이를 이루는 장공(366)이 전,후 관통되게 구성된다.Further, a
또한, 케이블클램프 개폐단속부(330)에는 상기 탄성부재(362)의 출몰구간을 제한하는 가이드핀(368)이 구성된 것으로, 가이드핀(368)은 상기 탄성박스(361)의 전면을 관통 및 장공(366)에 수용되게 구성되어 그 탄성부재(362)가 탄성 가이드홈(361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 및 좌,우 출몰 작동을 안내하게 구성된다.A
즉, 탄성부재(362)는 스프링(363)의 탄성에 의해 항시 타측의 지지핀(340') 측으로 인출 작동하게 구성된 것으로, 안전개폐레버(350)가 회동 작동하는 과정에서 타측의 지지핀(340')이 전개가이드홈(353b) 또는 접이록킹홈(353c)에 위치시 탄성부재(362)의 하부걸림홈(364) 또는 상부걸림홈(365)에 걸려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한다.That is, the
또한, 케이블클램프 개폐단속부(330)에는 상기 안전개폐레버(350)의 손잡이부(351)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그 안전개폐레버(350)를 덮어 마감하는 안전레버하우징(370)이 구성된다.The cable clamp opening and
상기 견인봉스토퍼(380)는, 상기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의 상부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전,후방 지지브라켓(200)(200')에 고정되게 구성된 것으로, 후술하는 절연견인벨트(541)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한편 스토핑이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이때, 견인봉스토퍼(380)는, 블록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그 중앙에는 절연견인벨트(541)의 승강을 안내하는 견인벨트 출몰공(381)이 관통 형성되게 구성되며, 그 저면에는 후술하는 견인벨트 출몰공(381)에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의 연결블록(542b)이 상승 과정에서 걸림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쉴드선(400)은,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의 클램프바디(110)와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어느 하나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를 전기적으로 통전되어 있으나 보다 완전한 접속 통전되게 구성된 것으로, 쉴드선(400)은 그 상단이 클램프바디(110)의 상부쉴드선접속홈(112)에 고정되고, 하단이 어느 하나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의 하부쉴드선접속홈(324)(324')에 고정되게 구성된다.The
즉, 쉴드선(400)은 상기 클램프바디(110)와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를 전기적으로 보다 더 견고한 접속하여 완전한 통전이 가능하게 한다.That is, the
상기 윈치(500)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후술하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의 견인 및 그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이 자동 접속되게 구성된 것으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회전축(510)과, 감속기(520)와, 구동휠(530)과, 권취드럼(540)과, 드럼보호판(550)으로 구성된다.The
먼저, 회전축(510)은, 양측 전,후방 지지브라켓(200)(200')의 사이에서 윈치결합부(220)를 전,후 수평 관통하며, 그 선단이 전방 지지브라켓(200)에 축설되게 구성된다.First, the
상기 감속기(520)는, 전방 지지브라켓(200)의 외측에서 회전축(510)과 연결되게 구성되어 그 회전축(510)에 감속된 회전력을 부여하게 구성된다.The
이때, 감속기(520)는 먼저, 상기 회전축(510)과 결합되어 그 회전축(510)과 함께 회전하는 웜기어(521)가 구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회전축(510)과는 세레이션축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The
또한, 감속기(520)에는 중앙에는 상기 웜기어(521)와 치합되는 웜(523)이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에는 윈치작동노브(522a)(522b)가 형성된 웜축(522)이 구성된다.The
또한, 감속기(520)에는 웜하우징(524)이 구성된 것으로, 웜하우징(524)은 전방 지지브라켓(200)의 외측에서 전방 지지브라켓(200)과 분리되게 구성되며, 웜기어(521)와 웜(523)을 수용하는 한편, 상단 및 하단에는 웜축(522)이 축설 및 윈치작동노브(522a)(522b)가 돌출되게 구성된다.The
즉, 감속기(520)는 웜축(522)에 회전력을 부여시 웜(523)과 치합된 웜기어(521)에 회전력을 전달 및 다시 회전축(510)을 회전시키게 구성된다.That is, the
상기 구동휠(530)은, 양측 전,후방 지지브라켓(200)(200')의 사이에서 회전축(510)의 후방에 고정되어 그 회전축(510)과 함께 회전하게 구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회전축(510)과 키(도면중 미도시함) 등을 통해 결합되고 그 구동휠(530)이 결합된 회전축(510)의 후단에는 너트(도면중 미도시함) 체결되어 고정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또한, 구동휠(530)에는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원추홈"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부하조절홈(531)이 구성된다.Further, the
또한, 구동휠(530)에는 그 구동휠(530)이 회전 간섭을 받지 않도록 이격되게 관통되는 후방가이드휠(532)이 구성된 것으로, 후방가이드휠(532)은 후방 지지브라켓(200')에 고정되게 구성된다.The
상기 권취드럼(540)은, 회전축(510)과 회전 간섭이 없도록 중앙에 회전축이 관통하며, 후단에 가이드관(543)이 돌출 형성되는 원통형 블록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그 가이드관(543)이 구동휠(530)과 슬라이딩 되도록 그 구동휠(530)을 감싸는 한편 후방가이드휠(532)에 축설되면서 후방 지지브라켓(20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되고, 선단은 전방 지지브라켓(20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전방가이드휠(549)에 축설되게 구성된다.The winding
또한, 권취드럼(540)에는 구동휠(530)과 대응면에는 상기 부하조절홈(531)과 대응되는 부하조절구설치홈(544)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부하조절구설치홈(544)의 부하조절홈(531) 반대측은 마감캡(540a)으로 마감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winding
또한, 권취드럼(540)에는 상기 부하조절구설치홈(544)에 설치되어 부하조절홈(531)과 반응하는 부하조절구(545)가 구성된다.The winding
또한, 권취드럼(540)에는 일정한 폭과 두께를 이루는 절연견인벨트(541)가 권취되게 구성되며, 그 권취된 절연견인벨트(541)는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의 절연견인벨트 가이드축(123)을 경유하여 접속부재하우징(310)의 절연견인벨트 가이드공(312)을 통해 접속부재하우징(310)의 하부로 인출되게 구성되며, 단부에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이 구성된다.The insulating pulling
이때,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은 원형봉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상단이 절연견인벨트(541)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부 둘레에는 걸림홈조(542a)가 구성되며, 상단에는 절연견인벨트(541)와의 결합이 가능하게 하는 연결블록(542b)가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cable clamp-locking
여기서, 절연견인벨트(541)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블록(542b)의 구성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예로, 그 연결블록(542b)을 분리편으로 구성하여 절연견인벨트(541)를 가압 고정하거나, 그 절연견인벨트(541)에 고리부를 형성하여 핀(도면중 미도시함)을 통해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구조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The
또한, 각각의 부하조절구(545)는 후단이 부하조절구설치홈(544)의 내측과 스프링(546)으로 탄설되어 구동휠(530) 측으로 둘출되는 탄성을 가지게 구성되며, 선단에는 상기 부하조절홈(531)과 형합되는 "원추핀" 형태를 이루는 걸림돌기(547)가 구성된다.Each of the
상기 드럼보호판(550)은, 권취드럼(540)과 이격되게 그 권취드럼(540)의 일측을 덮어 마감하는 한편, 양측 전,후방 지지브라켓(200)(200') 사이에서 그 전,후방 지지브라켓(200)(200')에 고정되어 절연견인벨트(541)의 보호가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즉, 윈치(500)는 웜축(522)을 회전시 그 웜축(522)의 회전력이 웜(523)과 치합된 웜기어(521)로 전달 및 회전축(510) 및 그 회전축(510)에 고정된 구동휠(53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때, 부하조절구(545)는 걸림돌기(547)의 걸림돌기(547)가 스프링(546) 탄성에 의해 구동휠(530)의 부하조절홈(531)에 형합되어 권취드럼(540)이 함께 회전되어 절연견인벨트(541)의 권취 및 권해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또한, 윈치(500)는 권취드럼(540)이 절연견인벨트(541)의 권취 및 권해 과정에서 회전 과부하가 발생하게 되면 스프링(546)의 압축과 함께 원추형핀으로 구성되는 부하조절구(545)의 걸림돌기(547)가 부하조절홈(531)으로부터 미끄러짐 이탈되어 구동휠(530)이 공회전 되게 되며, 이에 권취드럼(540)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winding
한편, 윈치(500)를 구성함에 있어, 감속기(520)의 수동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configuring the
이를 위해 먼저, 전방 지지브라켓(200)에는 상기 웜하우징(524)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회전축(510)의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고정홈(221)이 더 구성된다.At least one or more reduction
그리고, 상기 웜하우징(524)에는 감속기고정홈(221)에 삽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덱스플런져(525)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인덱스플런져(525)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돌출되는 고정핀이 구성되어 그 고정핀의 인출 및 인입 상태의 고정이 가능한 것이면 될 것이다.The
이때, 본 발명에서 인덱스플런져(525)를 복수개 구성시에는 감속기고정홈(221) 또한 복수로 구성될 것이며, 이때에는 안전을 위하여 고정핀 인출시는 그 복수의 인덱스플런져(525)가 모두 인출될 경우에만 회전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즉, 인덱스플런져(525)가 감속기고정홈(221)에 삽입 고정시 웜하우징(524)이 전방 지지브라켓(200)에 고정되어 웜축(522)의 회전만으로 회전축(510)을 회전시키고, 인덱스플런져(525)가 감속기고정홈(221)으로부터 이탈시 웜하우징(524)이 전방 지지브라켓(200)과 분리되어 웜하우징(524)의 수동 회전에 의해 회전축(510)이 360°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절연견인벨트(541)의 수동 권취 및 권해가 가능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상기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절연견인벨트(541)의 단부에 연결되된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이 윈치(500)의 견인력에 의해 상,하 승강되어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과 접속 통전되게 구성된 것으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케이블접속봉(610)과, 케이블클램프헤드(620)와, 케이블압축단자부 볼트(630)와, 절연관(640)으로 구성된다.The hollow
상기 케이블접속봉(610)은, 도체로 구성되어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와 접속되어 통전되게 구성된다.The
이때, 케이블접속봉(610)은 상부에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결합부(611)가 구성된 것으로, 그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결합부(611)에는 상기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의 하부가 삽입되는 상부 개방형 견인봉결합홈(612)이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결합부(611)에는 상부 내주면에는 견인봉결합홈(612)과 연장되는 상부암나사부(613)가 구성된다.The cable clamp locking tongue
그리고,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결합부(611)에는 하부에 견인봉결합홈(612)에 삽입되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이 구성된다.The cable clamp locking and pulling
한편,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결합부(611)의 하부 둘레에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이 삽입시 걸림홈조(542a)와 연통되는 복수의 볼안내공(651)이 구성된 것으로, 그 볼안내공(651)은 외측으로부터 견인봉결합홈(612)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다.In order to construct the locking pulling rod locking means 660, a cable clamp
그리고,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결합부(611)의 둘레에서 볼안내공(651)의 상부로 이격되는 위치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링 형태의 스프링지지구(652)가 더 구성된다.Further, a ring-shaped
또한, 상기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은 먼저, 각각의 볼안내공(651)에 내입 및 일부가 견인봉결합홈(612)으로 돌출되어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의 걸림홈조(542a)에 끼움 걸림되는 "구(球)" 형태의 록킹볼(661)이 구성된다.The locking traction rod locking means 660 is first inserted into each
또한,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에는 상기 록킹볼(661)의 작동을 단속하는 볼락개폐링(662)이 구성된 것으로, 볼락개폐링(662)은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결합부(611)의 하부 둘레를 감싸게 구성된다.The rocking opening rod locking means 662 includes a rocking opening and
이때, 볼락개폐링(662)은 먼저, 그 상단에 스프링지지구(652)가 내입되는 지지구안내홈(663)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ball rock opening /
그리고, 볼락개폐링(662)의 지지구안내홈(663)의 하단에 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록킹볼(661)을 볼안내공(651) 측으로 밀어 구속시키는 개폐돌기(664)가 구성된다.An opening /
그리고, 볼락개폐링(662)의 개폐돌기(664) 하부에는 상기 록킹볼(661)이 수용되며, 상부 및 하부가 벌어지는 경사를 이루는 볼수용홈(665)이 구성된다.The rocking
그리고, 볼락개폐링(662)의 상부 양측에는 상부로 개방되는 수직형 승강가이드홈(666)이 구성된다.Vertical
또한,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에는 상기 승강가이드홈(666)을 관통하여 스프링지지구(652)에 고정되어 볼락개폐링(662)의 상,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핀(667)이 구성된 것으로, 그 승강가이드핀(667)과 승강가이드홈(666)의 안내에 따라 볼락개폐링(662)이 상,하 수직으로만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lifting
또한,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에는 상기 지지구안내홈(663)에 내입되는 한편, 상단이 스프링지지구(652)의 하부에 탄설되고, 하단이 개폐돌기(664)의 상단에 탄설되는 승강스프링(668)이 구성된 것으로, 그 승강스프링(668)의 탄성에 의해 볼락개폐링(662)이 항시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The locking tactile rod locking means 660 is inserted into the
즉,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은, 볼락개폐링(662)을 상승시키게 되면 록킹볼(661)이 볼안내공(651)의 경사를 따라 볼수용홈(665)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인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의 삽입이 가능하게 되고, 그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이 삽입된 상태에서 볼락개폐링(662)을 놓게 되면 승강스프링(668)의 탄성에 의해 하강 되면서 록킹볼(661)이 볼수용홈(665)의 경사를 따라 볼안내공(651)으로 진입 및 개폐돌기(664)가 가압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개폐돌기(664)의 가압에 의해 록킹볼(661)이 견인봉결합홈(612) 측으로 돌출 및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의 걸림홈조(542a)에 걸려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고정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rocking opening rod locking means 660 lifts the rocking opening /
또한, 케이블접속봉(610)에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결합부(611)의 하부로 연장되는 케이블결합부(615)가 구성된 것으로, 케이블결합부(615)는 상기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결합부(611) 보다 확장된 직경을 이루게 구성된다.The
이때, 케이블결합부(615)는 먼저, 그 상단에는 상부는 좁고 하부로 갈수록 벌어지는 상협하광 형태의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616)이 구성된 것으로, 그 경사면은 상기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접속부재하우징(3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케이블접속구 안치홈(313)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케이블결합부(615)에는 그 둘레에 수나사부(617)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하부로 개방되어 공사용케이블이 삽입 결합되는 케이블압축단자 암나사고정홈(618)이 형성되게 구성된다.A
또한, 케이블접속봉(610)에는 상기 케이블결합부(615)의 측면에 나삽되는 한편, 케이블압축단자 암나사고정홈(618)으로 관통되는 풀림방지가압볼트(619)가 구성된다.The
상기 케이블클램프헤드(620)는, 중앙에 견인봉결합홈(612)과 연통되는 수직상의 관통공(620a)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이 관통되는 한편, 상기 케이블접속봉(610)의 상단에 결합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와 접속되어 통전되는 도체로 구성된다.The
이때, 케이블클램프헤드(620)는 먼저, 그 상부가 상부는 좁고 하부로 갈수록 벌어지는 경사를 이루며, 그 하단은 수평을 이루는 쐐기부(621)가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케이블클램프헤드(620)는 상기 쐐기부(621)의 하부로 연장되어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결합부(611)의 상부암나사부(613)에 나삽되는 나사부(622)가 구성된다.The
상기 케이블압축단자부 볼트(630)는, 도체로 구성되어 공사용케이블과 케이블접속봉(610)을 통전하게 구성된 것으로, The cable
이때, 케이블압축단자부 볼트(630)는 상부는 상기 케이블접속봉(610)의 케이블압축단자 암나사고정홈(618)에 나삽 및 풀림방지가압볼트(619)로 가압 고정되어 그 케이블접속봉(610)과 접속되는 압축단자수나사부(631)가 구성된 것으로, 그 압축단자수나사부(631)의 하단에는 공구결합부(631a)가 구성되어 별도의 공구를 통해 케이블압축단자부 볼트(630)의 나삽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cable
그리고, 케이블압축단자부 볼트(630)는 압축단자수나사부(631)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며, 하부로 개방되어 공사용케이블(30)의 피박된 케이블도체(30a)가 삽입 및 압축 고정되는 공사용케이블 결합홈(632a)이 구성된 케이블압축관(632)을 이루게 구성된다.The cable
한편, 상기와 같이 케이블압축단자부 볼트(630)에 결합되는 공사용케이블(30)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무정전 배전공법에 적용되는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 분기바이패스케이블(33),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 변압기장치입상케이블(51)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상기 절연관(640)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 관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부 내주면에 암나사부(642)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접속봉(610)의 수나사부(617)에 나삽되어 케이블압축단자부 볼트(630)에 고정되는 공사용케이블(30)을 감싸 보호하게 구성되며, 상단에는 상기 케이블결합부(615)에 형성되는 경사면(616)과 연장되는 경사면(641)이 구성된다.The
즉,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는, 특고압전력선과 공사용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케이블접속봉(610)과 케이블클램프헤드(620)가 결합되어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과 쉴드선(400)을 통해 클램프바디(110)로 통전되게 구성된다.That is, the hollow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nsulation-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는, 무정전 배전공사 과정에서 특고압전력선과 공사용케이블을 연결 접속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직접 클램프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접속하는 직접활선 작업이 아닌 작업자가 비접촉 간접활선 작업에서 용이한 기계적 작동으로 케이블클램프의 인상 및 접속이 가능하여 노동강도 및 체력의 한계에 부딪히는 문제를 해소 하는 등 간접활선으로 무정전 배전공법의 현장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The insulation clamping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in the process of uninterrupted power distribution work, the operator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live wire work, which is manually connected by using a clamp, It is possible to use the field of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as an indirect live line by eliminating the problem of encountering the limit of labor strength and physical strength by enabling the cable clamp to be raised and connected by the easy mechanical operation in the indirect live wire work.
이에,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도 15의 도시와 같이 먼저,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를 특고압전력선(10)에 장착하면 되는 것으로, 이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가능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2 to 14, as shown in FIG. 15, an extra-high voltage
한편, 상기와 같이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적용되는 활선작업용스틱은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특허등록출원 제10-2017-0113377호, 특허등록출원 제10-2017-0111780호의 절연 플라이어 스틱의 적용 가능할 것이다.Meanwhile, the stick for live-wire work applied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extra-high voltage
이에,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의 클램프바디(110)를 이용하여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에 피박된 특고압전력선(10)을 수용 및 가압조절노브(133)의 작동에 따른 회동작동대(134)가 돌출 및 특고압전력선 가압구(131)를 회동시켜 특고압전력선(10)을 파지 고정하게 된다.The clamping
즉,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는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를 이용하여 간편한 조작으로 특고압전력선(10)에 장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에 도체로 구성된 클램프바디(110)는 특고압전력선과 통전 상태를 이루게 된다.That is,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그리고,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에는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 적용되는 공사용케이블(30)이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도 16의 도시와 같이 공사용케이블(30)은 케이블압축단자부 볼트(630)의 압축단자수나사부(631)를 통해 케이블접속봉(610)에 형성되는 케이블압축단자 암나사고정홈(618)에 나삽 및 풀림방지가압볼트(619)를 체결함으로 고정 가능하게 되며, 이에 도체로 된 케이블접속봉(610)과 공사용케이블(30)은 피박된 케이블도체(30a)을 통해 서로 통전되게 된다.16, the
이때, 상기 공사용케이블(30)과 케이블압축단자부 볼트(630)의 결합은, 먼저 공사용케이블(30)의 피박된 케이블도체(30a)를 케이블압축관(632)의 공사용케이블 결합홈(632a)에 삽입 및 그 케이블압축관(632)을 압축하여 고정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of the
한편, 공사용케이블(30)의 피박된 케이블도체(30a)가 결합되는 케이블압축단자부 볼트(630)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에 결합된 상태로 무정전 배전공사시 취급함이 당연할 것이다.The cable
이후, 케이블접속봉(610)은 윈치(500)의 절연견인벨트(541)와 연결하되, 이는 절연견인벨트(541)의 단부에 형성되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에 의해 가능하며,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은 케이블접속봉(610)의 상부 견인봉결합홈(612)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이때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은 윈치(500)의 작동에 의해 절연견인벨트(541)가 권해 또는 되어 지상 또는 주상 등 현장 여건에 맞는 적당한 위치에서 연결하면 된다.The
이때, 그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의 견인봉결합홈(612)에 고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은 볼락개폐링(662)을 상부로 승강 시킨 상태에서 록킹볼(661)을 견인봉결합홈(612)으로부터 해제 및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삽입하게 되며, 이후 볼락개폐링(662)을 하강 및 록킹볼(661)을 볼안내공(651)에 가압 구속 및 견인봉결합홈(612) 측으로 돌출시켜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의 걸림홈조(542a)에 록킹 고정시켜 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locking of the cable clamp locking
이후, 공사용케이블(30)을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과 접속시키되, 이는 도 17의 도시와 같이 윈치(500) 작동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Thereafter, the
이를 위해서는 윈치(500)의 감속기(520)를 작동시키되, 웜축(522)에 형성된 윈치작동노브(522a)(522b)를 이용하여 감속기(520)를 절연견인벨트(541)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키게 되면 절연견인벨트(541)가 권취드럼(540)에 권취됨과 동시에 주상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으로, 그 상승에 의해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의 케이블클램프헤드(620)가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에 접속되게 된다.The
즉, 웜축(522)를 회전시키게 되면, 그 회전력이 웜기어(521)로 전달 및 회전축(521)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구동휠(530)을 통해 권취드럼(540)이 회전 및 절연견인벨트(541)의 권취가 가능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이에, 도 18의 도시와 같이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의 케이블클램프헤드(620)가 상승하여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에 접하게 되면 상부의 쐐기부(621)의 경사에 의해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 하부걸림턱(322)(322')의 경사면(322a)(322a')에 접함과 동시에 그 양측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를 양측으로 벌리면서 케이블클램프헤드(620)는 양측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의 사이에 진입되게 된다.18, when the
또한, 케이블접속봉(610)의 케이블결합부(615)의 상단에 형성되는 경사면(616)은 접속부재하우징(310)의 하부 케이블접속구 안치홈(313)에 안착 고정되게 되는 것으로, 그 상승이 멈추게 된다.The
이와 동시에 상승과정에서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의 연결블록(542b)은 견인봉스토퍼(380)의 저면에 걸림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connecting
이때, 상기와 같이 케이블결합부(615)의 경사면(616)이 케이블접속구 안치홈(313)에 안착 고정되면 감속기(520)를 계속 작동시켜도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가 더이상 상승이 이루어지지 않게 구동휠(530)의 부하조절홈(531)에 형합된 부하조절구(545)가 그 부하조절홈(531)으로부터 이탈되게 되는 것으로, 이에 구동휠(530)이 공회전 되어 장치에 무리가 없고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가 상승하여 완벽하게 결합된 감속기(520)의 정지 타이밍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한편, 양측으로 벌어지는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는 타측 지지핀(340')이 탄성부재(362)의 하부걸림홈(364)에 고정되어 안전개폐레버(350)의 수평이 유지되게 되는 것인바, 도 9를 참조하여 타측 지지핀(340')이 전개가이드홈(353b)을 통해 일정 유격되면서 그 전개가 가능하게 되며, 케이블클램프헤드(620)가 완전히 진입된 상태에서는 스프링(323)(323')의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접이가 이루어져 케이블클램프헤드(620)를 가압 파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able clamp pressurizing connecting
이때, 상기와 같이 케이블클램프헤드(620)를 가압 파지한 양측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는 그 파지력을 유지하여야 하는 것인바, 이는 도 19의 도시와 같이 안전개폐레버(350)를 하방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타측의 지지핀(340')이 탄성부재(362)의 상부걸림홈(365)에 걸림 및 지지핀가이드홈(353)의 접이록킹홈(353c)에 위치되어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가 고정되게 되는 것으로, 케이블클램프헤드(620)의 완전한 구속 및 전기적인 접속 통전이 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both the cable clamp pressurizing connecting
즉, 공사용케이블(30)은 케이블클램프헤드(620)와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의 접속에 의해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되며, 이에, 그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와 클램프바디(110)를 전기적으로 통전하고 있는 쉴드선(400)을 통해 특고압전력선(10)과 공사용케이블(30)의 전기적인 통전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the
한편,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는, 무정전 배전공사 완료 후, 공사용케이블(30)을 분리하여야 하는 것인바, 케이블클램프헤드(620)를 구속하고 있는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되는 것으로, 이는 도 20을 참조하여 안전개폐레버(350)를 회동시켜 타측의 지지핀(340')이 메인가이드홈(353a)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방록킹홈(353d)에 위치시키면 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sulation-pull-up function cable
즉, 개방록킹홈(353d)은 일측의 지지핀(340)과 가장 먼 거리에 위치되는 것으로, 이에, 양측 지지핀(340)(340')은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에 윈치(500)를 작동시켜 절연견인벨트(541)를 풀어주게 되면 그 케이블클램프헤드(620)가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의 사이에서 이탈 및 하강되어 분리 가능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또한,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는 설치와 역순으로 가압조절노브(133)를 회전 및 특고압전력선(10)을 가압하고 있는 특고압전력선 가압구(131)의 파지력을 해제후 특고압전력선(10)으로부터 분리하면 된다.The extra high voltage
한편,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는, 보관시 또는 사용을 위해 절연견인벨트(541)를 권취 및 권해하는 과정에서 수동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데, 이는 도 21의 도시와 같이 감속기(520)를 전방 지지브라켓(200)에 고정하고 있는 인덱스플런져(525)를 감속기고정홈(221)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그 감속기(520)의 수동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Meanwhile, the insulation-pull-up function cable
즉, 상기와 같은 감속기(520)의 분리는 그 감속기(520)의 웜하우징(524)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회전축(51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웜하우징(524)의 수동 회전은 웜기어(521)와 웜(523)의 감속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는 것인바, 웜축(522)을 회전시키는 작동에 비해 간편하게 절연견인벨트(541)의 권취 또는 권해가 가능하게 된다.That is, the separation of th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indirect live wir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the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은, 도 2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특고압 배전선로의 신설, 유지보수를 위한 기기의 설치, 배전선비 및 선로의 신설, 교체 또는 이설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간접활선 상태에서 무정전 작업이 가능한 것으로,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indirect live wir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the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installation of special high-voltage power distribution lines, installation of equipment for maintenance and maintenance, distribution line cos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uninterrupted operation in the indirect live line state by using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which can be realized by various embodiments.
이에, 그 실시예를 살펴보면,Accordingly, referring to the embodiment,
* 실시예 1* Example 1
도 22 내지 도 25의 도시와 같이 활선 상태의 전주에서 점퍼선의 교체, 이설, 개폐기 신설, 교체, 이설 등을 위한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을 사용하여 간접활선으로 무정전 배전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2 to 25,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works are carried out using indirect live wires by using a live
이를 위해 먼저 작업 준비공정을 수행하되,To do this, the work preparation process is first performed,
활선 상태의 특고압 전주(20)의 전원측과 부하측에 해당하는 작업구간에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을 준비하게 되는 것으로,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의 단부에는 케이블압축단자부 볼트(630)를 이용하여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가 결합된 상태로 준비됨은 당연할 것이다.The
이에,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은 전주(20)의 주상완철(21)에 케이블 임시걸이(22)등에 설치하여,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의 중간지점을 지지하여 준비하면 되는 것으로, 이러한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은 특고압전력선(10)의 상별로 수행하면 된다.The
이후, 접속장치 설치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connection device installation process is performed,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특고압전력선(10)의 전원측과 부하측에 각각 설치한다.The operator installs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on the power supply side and the load side of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10), respectively.
이를 위해서는, 먼저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의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을 이용하여 피박된 특고압전력선(10)에 걸어 설치한다.To accomplish this, first, it is installed on the extra-high
그리고, 작업자는 활선작업용스틱(도면중 미도시함)을 사용하여 가압조절노브(133)를 작동 및 특고압선 가압구(131)를 이용하여 특고압전력선(10)을 가압 파지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특고압전력선(10)과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는 전기적으로 통전상태를 이루게 한다.The worker operates the
그리고,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절연견인벨트(541)를 권해 또는 권취시켜,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와 안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하는 지점까지 상승 또는 하강 조절하여 준비시킨다.The worker operates the
이때, 상기와 같은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설치는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 순으로 상별로 수행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of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이후, 케이블 장착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a cable mounting process is performed,
이는, 절연견인벨트(541)의 단부에 있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결합하되,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견인봉결합홈(612)에 삽입하여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을 이용하여 고정하면 된다.This is achieved by engaging the cable
이후, 접속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connection process is performed,
상기와 같이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에 결합된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을 그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통해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에 접속시킨다.The
이를 위해서는,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절연견인벨트(541)를 권취시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하부걸림턱(322)(322')에 걸릴 때까지 상승 및 그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의 케이블클램프헤드(620)가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에 완전히 삽입 접속되게 하여 그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가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한다.The worker operates the
이에,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는 쉴드선(400)을 통해 클램프바디(110)와 통전되게 구성된 것인바,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은 특고압전력선(10)과 전기적으로 통전상태를 이루게 된다.The cable clamp
그리고, 안전개폐레버(350)를 하부로 내려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를 고정시킴으로 보다 견고한 접속력과 안전이 확보되게 된다.Further, since the safety opening /
한편, 상기와 같은 특고압전력선(10)과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의 접속은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상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함은 당연한 것으로, 이에 특고압전력선(10)과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은 바이패스 연결되어 통전 된다.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extra-high
이후, 점퍼선 분리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jumper line separation process is performed,
기존의 점퍼선(60)을 절단 제거하되, 기존의 점퍼선(60)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특고압전력선(10)과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을 병렬운전시킨 상태에서 특고압전력선(10)의 점퍼선(60)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면 된다.In order to remove the existing
이후, 본 작업 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present work process is carried out,
점퍼선(60)이 분리된 사선상태에서 점퍼선의 교체, 이설, 개폐기 신설, 교체, 이설 등을 수행한 후, 신설점퍼선(60')을 연결하는 무정전 배전설비공사 본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After the
이후, 케이블 분리공정은,Then, in the cable separating step,
상기와 같이 본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을 분리하되, 이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의 상승 접속과 역순으로 안전개폐레버(350)를 상부로 작동시켜 그 록킹을 해제 및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를 강제로 벌려 개방시킨다.The
그리고,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절연견인벨트(541)를 권해시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하부걸림턱(322)로부터 분리 및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와 안전한 이격 거리로 하강시킨다.The worker operates the
그리고,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의 록킹력을 해제시켜 절연견인벨트(541) 단부에 있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로부터 분리시킨다.Then, by releasing the locking force of the locking traction rod locking means 660, the cable clamp locking
한편, 상기와 같은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의 분리는 전원측과 부하측에서 각각 상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paration of the live
이후, 철거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demolition process is performed,
이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와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을 철거하게 된다.This removes the insulation-pull-up function cable
이를 위해서는 먼저, 작업자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의 가압조절노브(133)를 작동 및 특고압선 가압구(131)의 가압력을 해제시키고 특고압전력선(10)으로부터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를 분리하면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가 철거된다.In order to do this, the operator first operates the
한편, 상기와 같은 철거는 전원측과 부하측 각각 상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함은 당연할 것이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demolition is performed sequentially for each of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load side.
이에, 일련의 공정을 통해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을 사용하여 무정전 배전공사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이용하여 간접활선으로 무정전 배전공사가 완료되게 된다.Thus,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is completed by indirect live wire using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during uninterrupted power distribution using a live bypass jumper cable (31)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 실시예 2* Example 2
도 26 내지 도 29의 도시와 같이 활선 상태의 전주에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구간을 분리하여 사선 작업으로 전주이설 및 교체, 전선교체 등을 위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이용하여 간접활선으로 무정전 배전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6 to 29, a
이를 위해 먼저, 작업 준비공정을 수행하되,To do this, a work preparation process is first performed,
활선 상태의 특고압 전주(20)에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되, 설치시에는 공사용개폐기(40)를 개방한 상태로 설치한다. A
이때, 공사용개폐기(40)의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은 지상 또는 주상의 케이블지지금구(23)에 입상하여 준비되는 것으로, 이때 그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 단부에는 케이블압축단자부 볼트(630)를 이용하여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가 결합된 상태로 준비됨은 당연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struction-
이후, 접속장치 설치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connection device installation process is performed,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특고압전력선(10)의 전원측과 부하측에 각각 설치한다.The operator installs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on the power supply side and the load side of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10), respectively.
이를 위해서는, 먼저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의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을 이용하여 피박된 특고압전력선(10)에 걸어 설치한다.To accomplish this, first, it is installed on the extra-high
그리고, 작업자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가압조절노브(133)를 작동 및 특고압선 가압구(131)를 이용하여 특고압전력선(10)을 가압 파지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특고압전력선(10)과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는 전기적으로 통전상태를 이루게 한다.The worker uses the stick for live work to operate the
그리고,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절연견인벨트(541)를 권해 또는 권취시켜,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와 안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한 지점, 바람직하게는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이 지지되어 있는 케이블지지금구(23)까지 상승 또는 하강 조절하여 준비한다.The worker operates the
이때, 상기와 같은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설치는 전원측과 부하측에서 각각 상별로 수행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of the insulation-pull-up function cable
이후, 케이블 장착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a cable mounting process is performed,
이는, 절연견인벨트(541) 단부에 있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결합하되,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견인봉결합홈(612)에 삽입하여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을 이용하여 고정하면 된다.This is achieved by engaging a cable
이후, 접속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connection process is performed,
상기와 같이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에 결합된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에 접속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이를 위해서는,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절연견인벨트(541)를 권취시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하부걸림턱(322)(322')에 걸릴 때까지 상승 및 그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의 케이블클램프헤드(620)가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에 완전히 삽입 접속되게 하여 그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가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한다.The worker operates the
이에,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는 쉴드선(400)을 통해 클램프바디(110)와 통전되게 구성된 것인바,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은 특고압전력선(10)과 전기적으로 통전상태를 이루게 된다.The cable clamp pressurizing connecting
그리고, 안전개폐레버(350)를 하부로 내려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를 고정시킴으로 보다 완전한 접속력과 안전이 확보되게 된다.Further, by lowering the safety opening /
한편, 상기와 같은 특고압전력선(10)과 개폐기입상케이블(41)의 접속은 전원측과 부하측에 각각 상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이에 특고압전력선(10)과 개폐기입상케이블(41)은 통전 상태가 되고 공사용개폐기(40)를 투입하면 특고압전력선(10)과 공사용개폐기(40)가 바이패스연결 상태가 된다.The extra high
이후, 점퍼선 분리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jumper line separation process is performed,
기존의 점퍼선(60)을 분리하되, 공사용개폐기(40)를 투입하여 특고압전력선(10)과 공사용개폐기(40)를 바이패스연결 시킨 상태에서 특고압전력선(10)의 점퍼선(60)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면 된다.The
이후, 본 작업 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present work process is carried out,
점퍼선(60)을 분리한 후, 공사용개폐기(40)를 차단하여 사선 상태에서 전주이설 및 교체, 전선교체 등 배전설비공사를 수행하고, 공사용개폐기(40)을 투입하고 신설점퍼선(60')을 연결하는 무정전 배전공사 본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After the
이후, 케이블 분리공정은,Then, in the cable separating step,
상기와 같이 본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공사용개폐기(40)를 개방하고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분리하되, 이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의 상승 접속과 역순으로 안전개폐레버(350)를 상부로 작동시켜 그 록킹을 해제 및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를 강제로 벌려 개방시킨다.The safety switch 35 is open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scending connection of the hollow
그리고,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절연견인벨트(541)를 권해시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하부걸림턱(322)로부터 분리 및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와 안전한 이격 거리로 하강시킨다.The worker operates the
그리고,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의 록킹력을 해제시켜 절연견인벨트(541) 단부에 있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를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 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로부터 분리시킨다.The locking force of the locking traction rod locking means 660 is released so that the cable
한편, 상기와 같은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의 분리는 전원측과 부하측에서 각각 상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paration of the above-mentioned
이후, 철거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demolition process is performed,
이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와 공사용개폐기(40)를 철거하면 된다.This is achieved by removing the insulation-pull-up function cable
이를 위해서는 먼저, 작업자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의 가압조절노브(133)를 작동 및 특고압선 가압구(131)의 가압력을 해제시키고 특고압전력선(10)으로부터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를 분리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 철거된다.In order to do this, the operator first operates the
그리고, 공사용개폐기(40)를 철거하면 된다.Then, the
한편, 상기와 같은 철거는 전원측과 부하측에서 각각 상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molition is performed sequentially on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load side.
이에, 일련의 공정을 통해 공사용개폐기(40)를 사용하여 무정전으로 배전선로의 구간을 분리하여 구간내 배전설비를 사선 작업으로 시공하기 위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이용하여 간접활선으로 무정전 배전공사가 완료되게 된다.By using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 실시예 3* Example 3
도 30 내지 도 33의 도시와 같이 활선 상태의 전주에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구간을 분리하여 사선 작업으로 전주이설 및 교체, 전선교체 등을 위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이용하여 간접활선으로 무정전 배전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0 to 33, a
이를 위해 먼저, 작업 준비공정을 수행하되,To do this, a work preparation process is first performed,
작업구간 일측에서 활선 상태의 특고압 전주(20a)에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되, 설치시에는 공사용개폐기(40)를 개방한 상태로 설치한다. A
이때, 작업을 위하여 선로간 병렬운전을 시켜놓은 상태에서 공사용개폐기(40)의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은 지상 또는 주상의 케이블지지금구(23)에 입상하여 준비하고, 작업구간 타측 전주(20b)에는 점퍼선(60)을 활선으로 분리할 준비를 한다.At this time, in a state in which parallel oper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lines for the operation, the construction-
이때 그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 단부에는 케이블압축단자부 볼트(630)를 이용하여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가 결합된 상태로 준비됨은 당연할 것이다.At this time, it is natural that the hollow
이후, 접속장치 설치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connection device installation process is performed,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일측 전주(20a)의 특고압전력선(10)의 전원측과 부하측에 각각 설치한다.The operator installs the insulation-pull-up function cable
이를 위해서는, 먼저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의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을 이용하여 피박된 특고압전력선(10)에 걸어 설치한다.To accomplish this, first, it is installed on the extra-high
그리고, 작업자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가압조절노브(133)를 작동 및 특고압선 가압구(131)를 이용하여 특고압전력선(10)을 가압 파지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특고압전력선(10)과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는 전기적으로 통전상태를 이루게 한다.The worker uses the stick for live work to operate the
그리고,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절연견인벨트(541)를 권해 또는 권취시켜,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와 안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한 지점, 바람직하게는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이 지지되어 있는 케이블지지금구(23)까지 상승 또는 하강 조절하여 준비한다.The worker operates the
이때, 상기와 같은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설치는 전원측과 부하측에서 각각 상별로 수행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of the insulation-pull-up function cable
이후, 케이블 장착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a cable mounting process is performed,
이는, 절연견인벨트(541) 단부에 있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결합하되,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견인봉결합홈(612)에 삽입하여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을 이용하여 고정하면 된다.This is achieved by engaging a cable
이후, 접속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connection process is performed,
상기와 같이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에 결합된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에 접속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이를 위해서는,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절연견인벨트(541)를 권취시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하부걸림턱(322)(322')에 걸릴 때까지 상승 및 그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의 케이블클램프헤드(620)가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에 완전히 삽입 접속되게 하여 그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가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한다.The worker operates the
이에,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는 쉴드선(400)을 통해 클램프바디(110)와 통전되게 구성된 것인바,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은 특고압전력선(10)과 전기적으로 통전상태를 이루게 된다.The cable clamp pressurizing connecting
그리고, 안전개폐레버(350)를 하부로 내려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를 고정시킴으로 보다 완전한 접속력과 안전이 확보되게 된다.Further, by lowering the safety opening /
한편, 상기와 같은 특고압전력선(10)과 개폐기입상케이블(41)의 접속은 전원측과 부하측에 각각 상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이에 특고압전력선(10)과 개폐기입상케이블(41)은 통전 상태가 되고 공사용개폐기(40)를 투입하면 특고압전력선(10)과 공사용개폐기(40)가 바이패스연결 상태가 된다.The extra high
이후, 점퍼선 분리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jumper line separation process is performed,
기존의 점퍼선(60)을 분리하되, 공사용개폐기(40)를 투입하여 특고압전력선(10)과 공사용개폐기(40)를 바이패스연결 시킨 상태에서 일측 전주(20a)의 특고압전력선(10)의 점퍼선(60)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고, 공사용개폐기(40)를 다시 차단한 후, 작업구간의 다른측 전주(20b)에서 활선으로 점퍼선(60)을 분리한다.The conventional high
이후, 본 작업 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present work process is carried out,
작업구간 양측 점퍼선(60)이 분리된 구간을 사선상태에서 전주이설 및 교체, 전선교체 등 배전설비공사를 수행하고, 작업구간 다른측 전주(20b)에서 신설점퍼선(60')을 연결하고, 일측 전주(20a)에서 공사용개폐기(40)을 투입하고 일측 전주(20a)의 신설점퍼선(60')을 연결하여 무정전 배전공사 본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The distribution facility construction such as the replacement and replacement of the electric pole and the replacement of the electric wires is performed in the section where the work jam
이후, 케이블 분리공정은,Then, in the cable separating step,
상기와 같이 본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공사용개폐기(40)를 개방하고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분리하되, 이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의 상승 접속과 역순으로 안전개폐레버(350)를 상부로 작동시켜 그 록킹을 해제 및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를 강제로 벌려 개방시킨다.The safety switch 35 is open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scending connection of the hollow
그리고,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절연견인벨트(541)를 권해시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하부걸림턱(322)로부터 분리 및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와 안전한 이격 거리로 하강시킨다.The worker operates the
그리고,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의 록킹력을 해제시켜 절연견인벨트(541) 단부에 있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를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 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로부터 분리시킨다.The locking force of the locking traction rod locking means 660 is released so that the cable
한편, 상기와 같은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의 분리는 전원측과 부하측에서 각각 상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paration of the above-mentioned
이후, 철거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demolition process is performed,
이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와 공사용개폐기(40)를 철거하면 된다.This is achieved by removing the insulation-pull-up function cable
이를 위해서는 먼저, 작업자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의 가압조절노브(133)를 작동 및 특고압선 가압구(131)의 가압력을 해제시키고 특고압전력선(10)으로부터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를 분리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 철거된다.In order to do this, the operator first operates the
그리고, 공사용개폐기(40)를 철거하면 된다.Then, the
한편, 상기와 같은 철거는 전원측과 부하측에서 각각 상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molition is performed sequentially on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load side.
이에, 일련의 공정을 통해 공사용개폐기(40)를 사용하여 무정전으로 배전선로의 구간을 분리하여 구간내 배전설비를 사선 작업으로 시공하기 위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이용하여 간접활선으로 무정전 배전공사가 완료되게 된다.By using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 실시예 4* Example 4
도 34 및 도 35의 도시와 같이 무정전변압기장치(50)를 사용하여 활선 상태의 전주에서 무정전으로 변압기 신설, 교체 또는 이설 등을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이용하여 간접활선으로 무정전 배전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4 and 35, the transformer installation, replacement, or replacement of the transformer can be performed by using the uninterruptible
이를 위해 먼저, 작업 준비공정을 수행하되,To do this, a work preparation process is first performed,
먼저, 활선 상태의 특고압 전주(20)의 작업구간내에는 무정전변압기장치(50)를 설치한다.First, the uninterruptible
이때, 무정전변압기장치(50)는 특고압차단기가 개방된 상태에서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변압기장치입상케이블(51)을 주상의 케이블지지금구(23) 또는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절연붐에 지지하여 준비되는 것으로, 이때 변압기장치입상케이블(51)의 단부에는 케이블압축단자부 볼트(630)를 이용하여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가 결합된 상태로 준비한다.At this time, the uninterruptible
이후, 접속장치 설치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connection device installation process is performed,
이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특고압전력선(10)에 상별로 각각 순차적으로 설치한다.This is achieved by sequentially installing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이를 위해서는, 먼저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의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을 이용하여 피박된 특고압전력선(10)에 걸어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을 설치한다.To accomplish this,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그리고, 작업자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가압조절노브(133)를 작동 및 특고압선 가압구(131)를 이용하여 특고압전력선(10)을 가압 파지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특고압전력선(10)과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는 전기적으로 통전상태를 이루게 한다.The worker uses the stick for live work to operate the
그리고,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절연견인벨트(541)를 권해시켜,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와 안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한 지점, 바람직하게는 변압기장치입상케이블(51)이 지지되어 있는 주상의 케이블지지금구(23) 또는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절연붐까지 하강 또는 상승시켜 준비시킨다.The worker operates the
이때, 상기와 같은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설치는 상별로 수행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of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이후, 케이블 장착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a cable mounting process is performed,
이는, 절연견인벨트(541) 단부에 있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결합하되,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견인봉결합홈(612)에 삽입하여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을 이용하여 고정하면 된다.This is achieved by engaging a cable
이후 접속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connection process is performed,
이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가 설치된 변압기장치입상케이블(51)을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에 접속시킨다.This connects the transformer device
이를 위해서는,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절연견인벨트(541)를 권취시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하부걸림턱(322)(322')에 걸릴 때까지 상승 및 그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의 케이블클램프헤드(620)가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에 완전히 삽입 접속되게 하여 그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가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한다.The worker operates the
이에,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는 쉴드선(400)을 통해 클램프바디(110)와 통전되게 구성된 것인바, 변압기장치입상케이블(51)은 특고압전력선(10)과 전기적으로 통전상태를 이루게 된다.The cable clamp
그리고, 안전개폐레버(350)를 하부로 내려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를 고정시킴으로 보다 견고한 접속력과 안전이 확보되게 된다.Further, since the safety opening /
이후, 본 작업 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present work process is carried out,
이는,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특고압 차단기를 투입하고, 저압케이블(52)을 저압선(11)에 연결한 후,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저압차단기를 투입하면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저압과 주상변압기 저압이 바이패스 연결상태가 된다.This is because the
이후,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주상변압기(53)의 저압 부하를 바이패스연결하고 절체하여 주상변압기(53)를 사선 상태로 만든 상태에서 주상변압기(53)의 2차인하선(54)을 분리한 후, COS(55)를 개방 및 변압기 2차인하선(54)을 철거하고, 변압기 신설, 교체, 이설 등 무정전 배전공사를 수행한다.Thereafter, the low-tension load of the
이후, 주상변압기(53)를 가압하여 저압부하를 바이패스 연결하여 절체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내장된 특고압차단기와 저압차단기를 개방하면 된다.Thereafter, the
이후, 케이블 분리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a cable separation process is performed,
상기와 같이 본 작업 공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변압기장치입상케이블(51)를 분리하되, 이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의 상승 접속과 역순으로 안전개폐레버(350)를 상부로 작동시켜 그 록킹을 해제 및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를 강제로 벌려 개방시킨다.In the state where the present work process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ormer device
그리고,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절연견인벨트(541)를 권해시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하부걸림턱(322)로부터 분리 및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와 안전한 이격 거리로 하강시킨다.The worker operates the
그리고,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의 록킹력을 해제시켜 절연견인벨트(541) 단부에 있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를 변압기장치입상케이블(51) 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로부터 분리시킨다.The locking force of the locking traction rod locking means 660 is then released and the cable clamp locking
한편, 상기와 같은 변압기장치입상케이블(51)의 분리는 상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of the
이후, 철거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demolition process is performed,
이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와 무정전변압기장치(50)를 철거하게 된다.This removes the insulation-pull-up function cable
이를 위해서는 먼저, 작업자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의 가압조절노브(133)를 작동하여 특고압선 가압구(131)의 가압력을 해제시키고 특고압전력선(10)으로부터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를 분리함으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가 철거된다.In order to do this, the operator first operates the
그리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를 철거하면 된다.Then, the uninterruptible
이에, 일련의 공정을 통해 무정전변압기장치(50)를 사용하되,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이용하여 간접활선으로 무정전 배전공사가 완료되게 된다.Thus, the uninterruptible
* 실시예 5* Example 5
도 36 내지 도 39의 도시와 같이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포설하여 특고압 배전선로의 전주이설, 교체, 경과지 변경 등을 수행하기 위해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이용하여 간접활선으로 무정전 배전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36 to 39, an
이를 위해 먼저, 작업 준비공정을 수행하되,To do this, a work preparation process is first performed,
이는, 무정전 작업구간 시작 전원측 전주(20a)와 작업구간 끝 부하측 전주(20b) 사이에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포설한다.This places the
그리고, 활선 상태의 특고압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에 공사용개폐기(40a)(40b)를 설치하되, 설치시에는 공사용개폐기(40a)(40b)를 개방한 상태로 설치하고, 포설된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연결한다.The construction switches 40a and 40b are installed on the
이때, 공사용개폐기(40a)(40b)의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은 각각의 전주(20a)(20b)에 가지지크리트(24)를 설치하여 지지 고정되는 것으로, 이때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의 단부에는 케이블압축단자부 볼트(630)를 이용하여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가 결합된 상태로 준비한다.At this time, the construction-
이후, 접속장치 설치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connection device installation process is performed,
이는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무정전 작업구간 시작 전원측 전주(20a)와 작업구간 끝 부하측 전주(20b)의 전원측과 부하측 특고압전력선(10)에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각각 설치한다.This allows the operator to connect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이를 위해서는, 먼저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의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을 이용하여 피박된 특고압전력선(10)에 걸어 설치한다.To accomplish this, first, it is installed on the extra-high
그리고, 작업자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가압조절노브(133)를 작동 및 특고압선 가압구(131)를 이용하여 특고압전력선(10)을 가압 파지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특고압전력선(10)과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는 전기적으로 통전상태를 이루게 한다.The worker uses the stick for live work to operate the
그리고,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절연견인벨트(541)를 권해 또는 권취시켜,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와 안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한 지점 바람직하게는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이 지지된 가지지크리트(24)까지 상승 또는 하강 조절하여 준비한다.The worker operates the
이때, 상기와 같은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설치는 전원측과 부하측에서 각각 상별로 수행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of the insulation-pull-up function cable
이후, 케이블 장착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a cable mounting process is performed,
이는, 절연견인벨트(541) 단부에 있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결합하되,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견인봉결합홈(612)에 삽입하여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을 이용하여 고정하면 된다.This is achieved by engaging a cable
이후, 접속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connection process is performed,
상기와 같이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에 결합된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에 접속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이를 위해서는,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절연견인벨트(541)를 권취시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하부걸림턱(322)(322')에 걸릴 때까지 상승 및 그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의 케이블클램프헤드(620)가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에 완전히 삽입 접속되게 하여 그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가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한다.The worker operates the
이에,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는 쉴드선(400)을 통해 클램프바디(110)와 통전되게 구성된 것인바,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은 특고압전력선(10)과 전기적으로 통전상태를 이루게 된다.The cable clamp pressurizing connecting
그리고, 안전개폐레버(350)를 하부로 내려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를 고정시킴으로 보다 완전한 접속력과 안전이 확보되게 된다.Further, by lowering the safety opening /
한편, 상기와 같은 특고압전력선(10)과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의 접속은 전원측과 부하측으로 각각 상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함은 당연한 것으로, 이에 특고압전력선(10)과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은 통전 상태가 되며, 이후,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에 설치되어 있는 공사용개폐기(40)을 투입하면 특고압전력선(10)과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이 바이패스 연결상태가 된다.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extra-high
이후, 점퍼선 분리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jumper line separation process is performed,
이는, 기존의 점퍼선(60)을 분리하되, 이를 위해서는 특고압전력선(10)과 바이패스케이블(32)이 바이패스 연결상태에서 전원측 전주(20a)와 작업구간 끝 부하측 전주(20b)의 점퍼선(60)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면 된다.This is because the conventional high
이후, 본 작업 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present work process is carried out,
이는, 점퍼선(60)이 분리되어 작업구간이 사선 상태에서 전선교체, 전주이설, 교체, 경과지 변경 등 무전전 배전공사를 수행하고, 신설점퍼선(60')을 연결하는 무정전 배전공사 본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This is because the
이후, 케이블 분리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a cable separation process is performed,
먼저,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의 공사용개폐기(40a)(40b)를 순차적으로 차단한다.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work is completed, the construction-
이후,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분리하되, 이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의 상승 접속과 역순으로 안전개폐레버(350)를 상부로 작동시켜 그 록킹을 해제 및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를 강제로 벌려 개방시킨다.Thereafter, the safety switch 35 is operated in an upward direction in reverse order to the ascending connection of the hollow
그리고,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절연견인벨트(541)를 권해시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하부걸림턱(322)으로부터 분리 및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와 안전한 이격 거리로 하강시킨다.The worker operates the
그리고,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의 록킹력을 해제시켜 절연견인벨트(541) 단부에 있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를 개폐기입상케이블(41)의 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로부터 분리시킨다.The locking force of the locking pulling rod locking means 660 is released so that the cable clamping locking
한편, 상기와 같은 개폐기입상케이블(41)의 분리는 상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Meanwhile, the separation of the
이후, 철거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demolition process is performed,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와 공사용개폐기(40a)(40b)를 철거하게 된다.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이를 위해서는 먼저, 작업자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의 가압조절노브(133)를 작동하여 특고압선 가압구(131)의 가압력을 해제시키고 특고압전력선(10)으로부터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를 분리함으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가 철거된다.In order to do this, the operator first operates the
그리고,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공사용개폐기(40a)(40b)로부터 분리 철거하면 된다.Then, the
그리고, 공사용개폐기(40a)(40b)를 철거하면 된다.Then, the construction switches 40a and 40b may be removed.
한편, 상기와 같은 철거는 전원측과 부하측에서 상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molition is performed sequentially on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load side.
이에, 일련의 공정을 통해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포설하되,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이용하여 간접활선으로 무정전 배전공사가 완료되게 된다.Thus, th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work is completed with the indirect live line by using the insulation-pull-up function cable
* 실시예 6* Example 6
도 40 내지 도 43의 도시와 같이 무정전 작업구간내 분기선로가 있는 경우, 40 to 43, when there is a branch line in the uninterruptible operation section,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포설하되, 무정전 상태에서 특고압 배전선로의 전주교체, 전주신설, 이설, 교체, 경과지 변경 등을 수행하기 위해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이용하여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used to install an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32) and perform an electric pole replacement, an electric pole replacement, a replacement, Live uninterrupted distribution works can be carried out.
이를 위해 먼저, 작업 준비공정을 수행하되,To do this, a work preparation process is first performed,
먼저, 특고압 배전선로의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와 분기측 전주(20c) 또는 분기선로 전주(20d)에 공사용개폐기(40a)(40b)(40c)를 각각 설치하되, 설치시에는 공사용개폐기(40a)(40b)(40c)를 개방한 상태로 설치하고, 각각의 공사용개폐기(40a)(40b)(40c)의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은 각각의 전주(20a)(20b)(20c)에 가지지크리트(24)를 설치하여 지지 고정되는 것으로, 이때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의 단부에는 케이블압축단자부 볼트(630)를 이용하여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가 결합된 상태로 준비된다.40a, 40b and 40c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power supply side
그리고, 작업구간에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포설 및 양단을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의 공사용개폐기(40a)(40b)와 연결하고, 분기선로는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로부터 분기접속재(34)를 사용하여 분기바이패스케이블(33)을 분기 및 분기측 전주(20c)의 공사용개폐기(40c)에 연결한다.An
이후, 접속장치 설치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connection device installation process is performed,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특고압전력선(10)의 전원측과 부하측, 분기측에 각각 설치한다.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provided on the power supply side, the load side and the branch side of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10).
이를 위해서는, 먼저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의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을 이용하여 피박된 특고압전력선(10)에 걸어 설치한다.To accomplish this, first, it is installed on the extra-high
이때, 작업자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가압조절노브(133)를 작동 및 특고압선 가압구(131)를 이용하여 특고압전력선(10)을 가압 파지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특고압전력선(10)과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는 전기적으로 통전상태를 이루게 한다.At this time, the operator operates the
그리고,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절연견인벨트(541)를 권해 또는 권취시켜,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와 안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한 지점 바람직하게는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이 지지된 가지지크리트(24)까지 하강 또는 상승 조절하여 준비한다.The worker operates the
이때, 상기와 같은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설치는 전원측과, 부하측, 분기측에서 상별로 수행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of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이후, 케이블 장착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a cable mounting process is performed,
이는, 절연견인벨트(541) 단부에 있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결합하되,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견인봉결합홈(612)에 삽입하여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을 이용하여 고정하면 된다.This is achieved by engaging a cable
이후, 접속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connection process is performed,
상기와 같이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에 결합된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에 접속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이를 위해서는,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절연견인벨트(541)를 권취시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하부걸림턱(322)(322')에 걸릴 때까지 상승 및 그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의 케이블클램프헤드(620)가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에 완전히 삽입 접속되게 하여 그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가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한다.The worker operates the
이에,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는 쉴드선(400)을 통해 클램프바디(110)와 통전되게 구성된 것인바,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은 특고압전력선(10)과 전기적으로 통전상태를 이루게 된다.The cable clamp pressurizing connecting
그리고, 안전개폐레버(350)를 하부로 내려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를 고정시킴으로 보다 견고한 접속력과 안전이 확보되게 된다.Further, since the safety opening /
한편, 상기와 같은 특고압전력선(10)과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의 접속은 전원측과, 부하측, 분기측에서 상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함은 당연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natural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extra-high
이후, 점퍼선 분리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jumper line separation process is performed,
이는, 기존의 점퍼선(60)을 분리하되, 이를 위해서는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 분기 전주(20d) 또는 분기선로 전주(20c)의 공사용개폐기(40a)(40b)(40c)를 투입하여 특고압전력선(10)과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바이패스 연결시킨 상태에서 특고압전력선(10)의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 분기 전주(20d) 또는 분기선로 전주(20c)의 점퍼선(60)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면 된다.This can be achieved by separating the existing
이후, 본 작업 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present work process is carried out,
점퍼선(60)이 분리된 사선상태에서 전선교체, 전주신설, 이설, 교체, 경과지 변경 등 무정전 상태에서 배전공사 작업을 수행하고, 신설점퍼선(60')을 연결하는 무정전 배전공사 본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Th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work which performs the power distribution work in the uninterrupted state such as the change of the wire in the diagonal state where the jumper wire (60) is separated, the establishment of the pole, the replacement, You can do it.
이후, 전원 차단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power-off process is performed,
본 작업 완료 후,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와 분기측 전주(20c)의 신설점퍼선(60')이 연결되어 특고압전력선(10)과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 및 분기바이패스케이블(33)이 바이패스 연결되면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와 분기 전주(20d) 또는 분기선로 전주(20c)의 공사용개폐기(40a)(40b)(40c)를 순차적으로 차단한다.After completion of the present work, the power supply side
이후, 케이블 분리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a cable separation process is performed,
이는, 상기와 같이 본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각각의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분리하되,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의 상승 접속과 역순으로 안전개폐레버(350)를 상부로 작동시켜 그 록킹을 해제 및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를 강제로 벌려 개방시킨다.This is because the safety switch 35 is operated in an upward direction in reverse order to the ascending connection of the hollow
그리고, 작업자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절연견인벨트(541)를 권해시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하부걸림턱(322)로부터 분리 및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와 안전한 이격 거리로 하강시켜 고정한다.The worker operates the
그리고,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의 록킹력을 해제시켜 절연견인벨트(541) 단부에 있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를 개폐기입상케이블(41)의 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로부터 분리시킨다.The locking force of the locking pulling rod locking means 660 is released so that the cable clamping locking
한편, 상기와 같은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의 분리는 전원측과, 부하측과, 분기측에서 상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separating operation of the construction-
이후, 철거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demolition process is performed,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와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과 분기바이패스케이블(33)과 공사용개폐기(40a)(40b)(40c)를 철거하게 된다.The insulating clamping function cable
이를 위해서는 먼저, 작업자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의 가압조절노브(133)를 작동하여 특고압선 가압구(131)의 가압력을 해제시키고 특고압전력선(10)으로부터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를 분리함으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가 철거된다.In order to do this, the operator first operates the
그리고,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과 분기바이패스케이블(33)을 공사용개폐기(40a)(40b)(40c)로부터 분리 철거하면 된다.Then, the
그리고, 공사용개폐기(40a)(40b)(40c)를 철거하면 된다.Then, the
한편, 상기와 같은 철거는 전원측과, 부하측과, 분기측에서 상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molition is performed sequentially on the power source side, the load side, and the branch side.
이에, 일련의 공정을 통해 무정전 작업구간에 분기선로가 있는 경우,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포설하되,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이용하여 간접활선으로 무정전 배전공사가 완료되게 된다.If there is a branch line in the uninterrupted work section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th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work is completed by using the indirect lifting line by using the insulation-pull-up function cable
* 실시예 7* Example 7
도 44 내지 도 47의 도시와 같이 무정전 작업구간내 변압기가 있는 경우,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 포설하여 무정전 상태에서 특고압 배전선로의 전선교체, 전주신설, 전주이설, 교체, 경과지 변경, 변압기 교체 및 이설 등을 수행하기 위해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이용하여 간접활선으로 무정전 배전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re is a transformer in the uninterruptible working section as shown in FIGS. 44 to 47, the
이를 위해 먼저, 작업 준비공정을 수행하되,To do this, a work preparation process is first performed,
먼저, 작업구간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에는 각각 개방 상태의 공사용개폐기(40a)(40b)를 설치하고, 그 각각의 공사용개폐기(40a)(40b)에서는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주상으로 입상 및 전주 중간에 설치되는 가지지크리트(24)에 설치 준비하는 것으로, 이때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의 단부에는 케이블압축단자부 볼트(630)를 이용하여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가 결합된 상태로 준비한다.40a and 40b in the open state are provided on the power
그리고, 작업구간에는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포설 및 각각의 공사용개폐기(40a)(40b)에 연결한다.Then, an
그리고, 작업구간에는 특고압 차단기가 차단된 상태의 무정전변압기장치(50)를 설치한 상태에서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로부터 분기접속재(34)를 이용하여 분기바이패스케이블(33)을 분기하여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연결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저압케이블(52)을 저압선(11)에 바이패스 연결 준비한다.In the work section, the
이후, 접속장치 설치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connection device installation process is performed,
작업자는, 먼저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의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을 이용하여 피박된 특고압전력선(10)에 걸어 설치한다.The worker first hooks on the extra-high voltage
그리고, 작업자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가압조절노브(133)를 작동 및 특고압선 가압구(131)를 이용하여 특고압전력선(10)을 가압 파지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특고압전력선(10)과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는 전기적으로 통전상태를 이루게 한다.The worker uses the stick for live work to operate the
그리고, 작업자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작동 및 절연견인벨트(541)를 권해 또는 권취시켜,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와 안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한 지점, 바람직하게는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이 지지되어 있는 가지지크리트(24)까지 하강 또는 상승 조절하여 준비한다.The worker uses the stick for live wire work to operate the
이때, 상기와 같은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91)의 설치는 전원측과 부하측에서 각각 상별로 수행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of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91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on each of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load side.
이후, 케이블 장착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a cable mounting process is performed,
이는, 절연견인벨트(541) 단부에 있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결합하되,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견인봉결합홈(612)에 삽입하여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을 이용하여 고정하면 된다.This is achieved by engaging a cable
이후 접속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connection process is performed,
이는, 상기와 같이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에 결합된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에 접속시킨다.This connects the construction-
이를 위해서는, 작업자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작동 및 절연견인벨트(541)를 권취시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하부걸림턱(322)(322')에 걸릴 때까지 상승 및 그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의 케이블클램프헤드(620)가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에 완전히 삽입 접속되게 하여 그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가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한다.To do this, the worker operates the
이에,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는 쉴드선(400)을 통해 클램프바디(110)와 통전되게 구성된 것인바,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은 특고압전력선(10)과 전기적으로 통전상태를 이루게 된다.The cable clamp pressurizing connecting
그리고, 안전개폐레버(350)를 하부로 내려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를 고정시킴으로 보다 완전한 접속력과 안전이 확보되게 된다.Further, by lowering the safety opening /
한편, 상기와 같은 특고압전력선(10)과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과 접속은 전원측과 부하측에서 상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함은 당연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extra-high
이후, 점퍼선 분리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jumper line separation process is performed,
이는, 기존의 점퍼선(60)을 절단 제거하되,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의 공사용개폐기(40a)(40b)를 투입하여 특고압전력선(10)과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바이패스 연결시킨다.In order to do this, the existing
그리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특고압 차단기 및 저압차단기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한 후, 주상변압기(53)의 2차인하선(54)을 분리 및 COS(55)를 개방하여 저압 부하를 무정전변압기장치(50)로 절체하여 공급시킨다.The low voltage load is connected to the low voltage load by disconnecting the secondary
그리고, 특고압전력선(10)의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의 점퍼선(60)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면 된다.The power
이후, 본 작업 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present work process is carried out,
점퍼선(60)이 분리된 사선상태에서 전선교체, 전주이설, 교체, 경과지 변경, 변압기 교체 및 이설 등 배전공사를 수행하고,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에서 상별로 순차적으로 신설점퍼선(60')을 연결하여 특고압전력선(10)과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바이패스 연결시킨다.The electric power supply side
이후, 전원 차단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power-off process is performed,
먼저, 신설점퍼선(60')가 연결되어 특고압전력선(10)과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바이패스 연결되면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저압부하를 주상변압기(53)로 바이패스 연결하여 절체한다.When the new jumper wire 60 'is connected and the extra high
그리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저압 및 특고압 차단기를 차단하고,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의 공사용개폐기(40a)(40b)를 순차적으로 차단하여 전원을 차단한다.Then, the low-voltage and extra-high voltage circuit breakers of the uninterruptible
이후, 케이블 분리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a cable separation process is performed,
상기와 같이 본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분리하되, 이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의 상승 접속과 역순으로 안전개폐레버(350)를 상부로 작동시켜 그 록킹을 해제 및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를 강제로 벌려 개방시킨다.In the state in which the present operation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그리고, 작업자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작동 및 절연견인벨트(541)를 권해시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하부걸림턱(322)로부터 분리 및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와 안전한 이격 거리로 하강시켜 고정한다.The worker uses the stick for live wire work to operate the
그리고,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의 록킹력을 해제시켜 절연견인벨트(541) 단부에 있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를 개폐기입상케이블(41)의 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로부터 분리시킨다.The locking force of the locking pulling rod locking means 660 is released so that the cable clamping locking
한편, 상기와 같은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의 분리는 전원측과 부하측으로 상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separating operation of the construction-
이후, 철거공정을 수행하되,Thereafter, the demolition process is performed,
절연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와 무정전변압기장치(50)를 철거하게 된다.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이를 위해서는 먼저, 작업자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의 가압조절노브(133)를 작동 및 특고압선 가압구(131)의 가압력을 해제시키고 특고압전력선(10)으로부터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를 분리함으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가 철거된다.In order to do this, the operator first operates the
그리고,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공사용개폐기(40a)(40b)로부터 분리 및 분기바이패스케이블(33)을 무정전변압기장치(50)로부터 분리 철거하면 된다.Disconnect the
그리고, 공사용개폐기(40a)(40b)를 철거하면 된다.Then, the construction switches 40a and 40b may be removed.
그리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를 철거하면 된다.Then, the uninterruptible
한편, 상기와 같은 철거는 전원측과 부하측에서 상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molition is performed sequentially on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load side.
이에, 일련의 공정을 통해 무정전 작업구간내 변압기가 있는 경우,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포설하되,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이용하여 간접활선으로 무정전 배전공사가 완료되게 된다.If there is a transformer in the uninterrupted work section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th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work is completed with the indirect live wire using the insulation-pull-up function cabl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은,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절연인상장치의 용이한 작동으로 특고압전력선과 공사용케이블의 안전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작업자의 노동강도 및 체력의 한계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 위험을 해소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한 상태에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하게 되며, 간편 하면서도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insulation-imprint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direct live-lin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apparatus are provided with an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apparatus, It is possible to work safely and indirectly on the live wire. By eliminating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eases caused by the limit of worker's strength and physical strength of the worker, it is possible to perform indirect live-line work while ensuring the safety of workers. .
1 :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10 : 특고압전력선 11 : 저압선
20,20a,20b,20c,20d : 전주 21 : 주상완철
22 : 케이블 임시걸이 23 : 케이블지지금구
24 : 가지지크리트 30 : 공사용케이블
30a : 케이블도체
31 :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 32 :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
33 : 분기바이패스케이블 34 : 분기접속재
40, 40a,40b,40c : 공사용개폐기 41 :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
50 : 무정전변압기장치 51 : 변압기장치입상케이블
52 : 저압케이블 53 : 주상변압기
54 : 2차인하선 55 : COS
60 : 점퍼선 60' : 신설점퍼선
100 : 특고압전력선 클램프 110 : 클램프바디
111 : 특고압전력선 수용홈 111a : 상부파지홈
112 : 상부쉴드선접속홈 120 : 회동대
121 : 회동축 122 : 축설부
123 : 절연견인벨트 가이드축 130 : 특고압전력선 고정수단
131 : 특고압전력선 가압구 131a : 하부파지홈
132 : 노브하우징 133 : 가압조절노브
134 : 회동작동대
200,200' : 전,후방 지지브라켓 210 : 접속유닛결합부
211,211' : 브라켓장공 220 : 윈치결합부
221 : 감속기고정홈
300 :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 310 : 접속부재하우징
311 : 접속부재가이드공 312 : 절연견인벨트 가이드공
313 : 케이블접속구 안치홈 314,314' : 접속부재장공
320,320' :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 321,321' : 상부걸림턱
322,322' : 하부걸림턱 322a,322a' : 경사면
323,323' : 스프링 324,324' : 하부쉴드선접속홈
330 : 케이블클램프 개폐단속부 340,340' : 지지핀
350 : 안전개폐레버 351 : 손잡이부
352 : 지지핀가이드부 353 : 지지핀가이드홈
353a : 메인가이드홈 353b : 전개가이드홈
353c : 접이록킹홈 353d : 개방록킹홈
360 : 탄성작동부 361 : 탄성박스
362 : 탄성부재 363 : 스프링
364 : 하부걸림홈 365 : 상부걸림홈
366 : 장공 368 : 가이드핀
370 : 안전레버하우징 380 : 견인봉스토퍼
400 : 쉴드선
500 : 윈치 510 : 회전축
520 : 감속기 521 : 웜기어
522 : 웜축 522a,522b : 윈치작동노브
523 : 웜 524 : 웜하우징
525 : 인덱스플런져 530 : 구동휠
531 : 부하조절홈 532 : 후방가이드휠
540 : 권취드럼 541 : 절연견인벨트
542 :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 542a : 걸림홈조
543 : 가이드관 544 : 부하조절구설치홈
545 : 부하조절구 546 : 스프링
547 : 걸림돌기 549 : 전방가이드휠
550 : 드럼보호판
600 : 중공락 케이블클램프 610 : 케이블접속봉
611 :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결합부 612 : 견인봉결합홈
613 : 상부암나사부 615 : 케이블결합부
616 : 경사면 617 : 수나사부
618 : 케이블압축단자 암나사고정홈 619 : 풀림방지가압볼트
620 : 케이블클램프헤드 620a : 관통공
621 : 쐐기부 622 : 나사부
630 : 케이블압축단자부 볼트 631 : 압축단자수나사부
631a : 공구결합부 632 : 케이블압축관
632a : 공사용케이블 결합홈 640 : 절연관
641 : 경사면 651 : 볼안내공
652 : 스프링지지구 660 : 록킹견인봉록킹수단
661 : 록킹볼 662 : 볼락개폐링
663 : 지지구안내홈 664 : 개폐돌기
665 : 볼수용홈 666 : 승강가이드홈
667 : 승강가이드핀 668 : 승강스프링1: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0: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11: Low voltage line
20, 20a, 20b, 20c, 20d: electric pole 21:
22: Cable tie hook 23: Cable support bracket
24: Catch 30: Construction cable
30a: Cable conductor
31: bypass jumper cable for live wires 32: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33: branch bypass cable 34: branch connector
40, 40a, 40b, 40c: a construction switch 41: a construction switch
50: Uninterruptible power transformer device 51: Transformer device granular cable
52: low-voltage cable 53: pillar-type transformer
54: Secondary Downer 55: COS
60: jumper line 60 ': new jumper line
100: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clamp 110: Clamp body
111: Extra-high voltage power
112: upper shield line connecting groove 120:
121: Pivot shaft 122:
123: insulated pulling belt guide shaft 130: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fixing means
131: Extra-high voltage power
132: Knob housing 133: Pressure adjusting knob
134:
200, 200 ': front and rear support brackets 210: connection unit coupling portion
211,211 ': Bracket slotted part 220: Winch coupling part
221: Reducer fixing groove
300: cable clamp connection unit 310: connecting member housing
311: connecting member guide hole 312: insulating pulling belt guide hole
313: Cable connection
320, 320 ': cable clamp
322, 322 ': lower locking
323, 323 ':
330: Cable clamp opening /
350: safety opening / closing lever 351:
352: Support pin guide part 353: Support pin guide groove
353a:
353c: folding locking
360: elastic actuating part 361: elastic box
362: elastic member 363: spring
364: lower engaging groove 365: upper engaging groove
366: Slot 368: Guide pin
370: Safety lever housing 380: Traction rod stopper
400: Shielded wire
500: winch 510: rotating shaft
520: Reduction gear 521: Worm gear
522:
523: Worm 524: Worm housing
525: Index plunger 530: Driving wheel
531: Load adjusting groove 532: Rear guide wheel
540: winding drum 541: insulating pulling belt
542: cable
543: guide tube 544: load adjusting groove mounting groove
545: load regulator 546: spring
547: locking protrusion 549: front guide wheel
550: drum shroud
600: Hollow lock cable clamp 610: Cable connecting rod
611: Cable clamp locking Traction rod coupling part 612: Traction rod coupling groove
613: upper female screw portion 615: cable coupling portion
616: inclined surface 617:
618: Cable compression terminal female thread fixing groove 619: Release prevention pressure bolt
620:
621: wedge portion 622:
630: cable compression terminal bolt 631: compression terminal number thread
631a: Tool coupling portion 632: Cable compression tube
632a: Construction cable coupling groove 640: Insulation
641: slope 651: ball guide ball
652: Spring-loaded region 660: Locking tow bar locking means
661: Locking ball 662: Rocket opening and closing ring
663: guide groove guide groove 664: opening / closing projection
665: Ball groove groove 666: Lift guide groove
667: lift-up guide pin 668: lift-up spring
Claims (18)
전,후방 한 쌍으로 구성되며, 회동대(120)의 절연견인벨트 가이드축(123) 양단에 축설되고,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의 하부로 접속유닛결합부(210)와 일측으로 돌출되는 윈치결합부(220)를 이루며, 접속유닛결합부(210)의 하부에는 양측에 한 쌍의 브라켓장공(211)(211')이 형성된 전,후방 지지브라켓(200)(200');
클램프바디(1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후방 지지브라켓(200)(200')의 사이에서 접속유닛결합부(210)에 형성되어 특고압전력선과 접속을 위한 공사용케이블을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하는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
전,후방 지지브라켓(200)(200')의 사이에서 윈치결합부(220)에 형성되며, 절연견인벨트(541)의 권취 및 권해를 통해 공사용케이블의 견인을 단속하며, 절연견인벨트(541)의 단부에는 하부 둘레에 걸림홈조(542a)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절연견인벨트(541)와 연결되는 연결블록(542b)이 형성된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이 연결된 윈치(500); 및
록킹견인봉(542)과 결합되며, 공사용케이블이 접속 및 윈치(500)의 작동에 의해 상,하 승강되어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과 접속 통전되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에 접속된 공사용케이블이 윈치(500) 작동에 의해 상승되어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과 전기적으로 통전 및 클램프바디(110)를 통해 특고압전력선과 통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A clamp body 110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having an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receiving groove 111 opened to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and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And a rotary table 120 having a shaft portion 122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by a pivot shaft 121 and rotat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An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clamp (100);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coupling portion 210 at a lower portion of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clamp 100 and is protruded to one side The front and rear support brackets 200 and 200 'having a winch coupling part 220 and a pair of bracket slots 211 and 21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unit coupling part 2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lamp body 110 and is formed in the connection unit coupling portion 210 between the front and rear support brackets 200 and 200 'so that the construction cable for connection with the special high- A cable clamp connection unit (300);
Is formed on the winch engaging portion 220 between the front and rear support brackets 200 and 200 'and interrupts the pulling of the construction cable through the winding and winding of the insulating pulling belt 541, A winch 500 to which a cable clamping and pulling rod 542 having a coupling groove 542a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a connecting block 542b connected to the insulating pulling belt 541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thereof; And
And a hollow lock cable clamp (600) coupled with the locking tug rod (542) and connected to the cable clamp connection unit (300) by a construction cable up and down by operation of the connection and winch (500) However,
The construction cable connected to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is raised by the operation of the winch 50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ble clamp connection unit 3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through the clamp body 110 Features an insulation pull-up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클램프바디(110)와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을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완전한 통전이 가능하게 하는 도체로 된 쉴드선(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에 접속된 공사용케이블이 윈치(500) 작동에 의해 상승되어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과 전기적으로 통전 및 쉴드선(400)과 클램프바디(110)를 통해 특고압전력선과 완전하게 통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hield line (400) made of a conductor that connects the clamp body (110) and the cable clamp connection unit (300) so that the clamp body (110) and the cable clamp connection unit (300)
The construction cable connected to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is lifted by the operation of the winch 50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ble clamp connection unit 300 through the shield cable 400 and the clamp body 110, Wherein the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is constructed so as to be fully energized.
클램프바디(110)에는,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의 내측 상부에는 상부파지홈(111a)이 더 형성되고, 외측에는 쉴드선(400)의 상단이 삽입 및 볼트 체결되는 상부쉴드선접속홈(112)이 더 형성되게 구성하며,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에 수용되는 특고압전력선의 파지 고정이 가능한 특고압전력선 고정수단(130)이 더 포함되게 구성하되,
특고압전력선 고정수단(130)은,
클램프바디(110)의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 반대측에 힌지(H) 연결되어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 내부에서 상,하 회동되며 상부파지홈(111a)과 대응되는 하부파지홈(131a)이 형성된 특고압전력선 가압구(131);
클램프바디(110)의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 반대측 하부에서 특고압전력선 가압구(131)를 향하며, 중앙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축설된 노브하우징(132);
노브하우징(132)에 축설되어 자유 회전력을 가지는 가압조절노브(133); 및
후단이 가압조절노브(133)의 선단에 나삽되고, 선단이 특고압전력선 가압구(131)의 중간부에 힌지(H) 연결되며, 가압조절노브(133)의 회전 조절에 의해 출몰되어 특고압전력선 가압구(131)의 회동을 단속하는 회동작동대(134)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회동작동대(134)가 인출시 특고압전력선 가압구(131)를 상부 회동시켜 특고압전력선 수용홈(111)에 수용된 특고압전력선을 가압 고정 및 클램프바디(110)가 특고압전력선과 통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clamp body 110,
The upper shielding line connecting groove 112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receiving groove 111 and the upper shielding line connecting groove 112 where the upper end of the shield line 400 is inserted and bolted to the outer side. ,
And an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fixing means (130) for holding and fixing an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accommodated in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receiving groove (111)
The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fixing means (130)
The hinge H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receiving groove 111 of the clamp body 110 to be vertically rotated in the special high voltage power line receiving groove 111 and the lower holding groove 111a corresponding to the upper grip groove 111a An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pressure applying unit 131 formed with the high voltage line 131a;
A knob housing 132 which faces the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presser 131 at a lower portion of the clamp body 110 opposite to the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receiving groove 111 and is centered vertically and rotatably;
A pressure regulating knob 133 that is freely rotatable in the knob housing 132; And
And a hinge H is connected to a middle portion of the extra-high voltage power wire pressing part 131. The tip of the hinge H is protruded and retracted by the rotation of the pressure adjusting knob 133, And a pivoting operation lever (134)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power line pushing port (131)
The pivoting operation rod 134 pivots the special-high-voltage power wire pushing member 131 at the time of withdrawal so that the extra-high-voltage power line accommodated in the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receiving groove 111 is pressed and fixed and the clamp body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ra- And a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은,
양측 전,후방 지지브라켓(200)(200')의 사이에서 접속유닛결합부(210)에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며 좌,우 폭을 이루는 접속부재가이드공(311)과 전,후 폭을 이루는 절연견인벨트 가이드공(312)이 관통 형성되며, 내측 하단에는 둘레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케이블접속구 안치홈(313)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브라켓장공(211)(211')과 대응되는 양측 한 쌍의 접속부재장공(314)(314')이 형성된 접속부재하우징(310);
양측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은 접속부재가이드공(311)의 양측 내부에 수용 및 상단이 접속부재하우징(310)에 각각 힌지(H) 연결되어 양측으로 각각 회동되고, 서로 대응되는 상부에는 상부걸림턱(321)(321')이 각각 형성되며, 서로 대응되는 하부에는 하단에 경사면(322a)(322a')이 형성된 하부걸림턱(322)(322')이 각각 형성되고, 외측에는 접속부재하우징(310)에 지지되어 서로 대응측으로 밀어내는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323)(323')이 각각 탄설되며, 상부에는 쉴드선(400)의 하단이 삽입 및 볼트 체결되는 하부쉴드선접속홈(324)(324')이 각각 형성된 도체로 된 양측 한 쌍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
양측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을 연결하며, 그 양측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의 좌,우 회동력을 단속하는 케이블클램프 개폐단속부(330); 및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의 상부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전,후방 지지브라켓(200)(200')에 고정되며, 중앙에는 절연견인벨트(541)가 관통되는 견인벨트 출몰공(381)이 구성되며 저면에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의 연결블록(542b)이 걸림되는 견인봉스토퍼(38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able clamp connection unit 300,
A connecting member guide hole 311 which is formed in the connecting unit engaging portion 210 between the front and rear supporting brackets 200 and 200 'and penetrates upward and downward and has left and right widths, A cable connection port guide groove 313 is formed at an inner lower end to be gradually narrowed from the periphery to an upper portion and bracket elongate holes 211 and 211 ' A connecting member housing 310 on which a pair of connecting member elongated holes 314 and 314 'are formed;
And the upper ends thereof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housing 310 by the hinges H so as to be respectively pivoted to the opposite sides, The lower jaws 322 and 322 are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jaws 321 and 321 and the lower jaws 322a and 322a are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jaws 321 and 321 ' 323 and 323 'having elasticity supported by the lower shield wire connecting grooves 324 and 324', respectively, which are supported by the upper shield wire 310 and are pressed toward the corresponding sides, A pair of cable clamp press contact members 320 and 320 'on both sides of the conductor formed respectively;
A cable clamp opening / closing interrupter 330 for connecting the both cable clamp press contact members 320 and 320 'and interrupt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al force of the both cable clamp press contact members 320 and 320'; And
The cable clamps are fixed to the front and rear support brackets 200 and 200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s of the pressurizing connection members 320 and 320', and the insulation pulling belt 541 is passed through the center, And a pulling bar stopper (380) for hooking the connecting block (542b) of the cable clamping locking pulling rod (542)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le clamping hook (381).
케이블클램프 개폐단속부(330)는,
각각의 케이블클램프 가압접속부재(320)(320')의 하부에서 접속부재하우징(310)의 각각의 접속부재장공(314)(314') 및 브라켓장공(211)(211')을 관통하는 양측 한 쌍의 지지핀(340)(340');
전,후방 지지브라켓(200)(200')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형성되며, 일단이 일측의 지지핀(340)에 축설되고, 타단에는 손잡이부(351)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타측의 지지핀(340')이 관통 및 가이드 되어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개폐를 안내하는 지지핀가이드홈(353)을 갖는 지지핀가이드부(352)가 하방 돌출 형성된 안전개폐레버(350);
안전개폐레버(350)에 형성되어 지지핀가이드홈(353)을 관통하는 타측의 지지핀(340')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작동부(360); 및
안전개폐레버(350)의 손잡이부(351)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그 안전개폐레버(350)를 덮어 마감하는 안전레버하우징(37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able clamp opening / closing interrupter 330,
Through the respective connecting member elongated holes 314 and 314 'and the bracket elongated holes 211 and 211' of the connecting member housing 310 at the lower portions of the respective cable clamp press connecting members 320 and 320 ' A pair of support pins 340 and 340 ';
The front and rear support brackets 200 and 200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one of the front and rear support brackets 200 and 200'. The front and rear support brackets 200 and 200 'have one end formed on one side support pin 340, a handle 351 on the other end, A safety opening / closing lever 350 having a support pin guide portion 352 having a support pin guide groove 353 for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ble clamp connection unit 300 so as to penetrate and guide the guide pin 340 ';
An elastic actuating part 360 formed on the safety opening / closing lever 350 and applying elasticity to the other supporting pin 340 'passing through the supporting pin guide groove 353; And
And a safety lever housing (370) covering and closing the safety opening / closing lever (350) so that the handle (351) of the safety opening / closing lever (350) can be operated. .
지지핀가이드홈(353)은,
지지핀가이드부(352)를 따라 상,하 길이를 이루는 메인가이드홈(353a);
메인가이드홈(353a)의 상부에서 양측 지지핀(340)(340')과 동일 수평선상을 이루는 전개가이드홈(353b);
메인가이드홈(353a)의 상부로 연장되는 접이록킹홈(353c); 및
메인가이드홈(353a)의 하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개방록킹홈(353d)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탄성작동부(360)는,
양측 지지핀(340)(340')의 사이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타측의 지지핀(340') 측으로 개방되는 탄성 가이드홈(361a)이 형성된 탄성박스(361);
탄성 가이드홈(361a)에 수용 및 스프링(363) 탄설되어 타측의 지지핀(340') 측으로 인출력을 가지며, 선단 하부에는 타측의 지지핀(340')과 동일 수평상을 이루어 그 지지핀(340')이 걸림되는 하부걸림홈(364)이 형성되고 선단 상부에는 접이록킹홈(353c)의 위치로 상부걸림홈(365)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지지핀(340') 측으로 수평 길이를 이루는 장공(366)이 관통 형성되어 타측의 지지핀(340')이 전개가이드홈(353b) 또는 접이록킹홈(353c)에 위치되게 단속하는 탄성부재(362); 및
탄성박스(361)를 관통하여 장공(366)에 수용되는 가이드핀(368)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upport pin guide groove (353)
A main guide groove 353a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support pin guide portion 352;
A development guide groove 353b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both side support pins 340 and 340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guide groove 353a;
A folding locking groove 353c exte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guide groove 353a; And
And an opening locking groove (353d)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guide groove (353a)
The elastic actuating part (360)
An elastic box 361 formed between the two side support pins 340 and 340 'and having an elastic guide groove 361a opened to the side of the other support pin 340';
And a spring 363 is provided in the elastic guide groove 361a to have a pulling force toward the support pin 340 'of the other side and the support pin 340' The upper locking groove 353c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end thereof and an upper locking groove 365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locking groove 353c. An elastic member 362 through which the elongated hole 366 penetrates and the other side support pin 340 'is positioned in the development guide groove 353b or the folding locking groove 353c; And
And a guide pin (368) penetrating through the elastic box (361) and received in the slot (366).
윈치(500)는,
양측 전,후방 지지브라켓(200)(200')의 사이에서 윈치결합부(220)를 전,후 수평 관통하는 회전축(510);
회전축(510)의 선단에 결합되어 회전축(510)과 함께 회전하는 웜기어(521)와, 웜기어(521)와 치합되는 웜(523)과 상단 및 하단에 윈치작동노브(522a)(522b)가 형성된 웜축(522)과, 전방 지지브라켓(200) 외측에서 웜축(522)의 상단 및 하단이 관통되고 웜기어(521)와 웜(523)을 수용 및 웜축(522)이 축설되는 웜하우징(524)으로 된 감속기(520);
전,후방 지지브라켓(200)(200')의 사이에서 회전축(510)의 후방에 고정되어 회전축(510)과 함께 회전하며,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원추홈"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부하조절홈(531)이 형성되며, 둘레에는 회전 간섭이 방지되도록 후방 지지브라켓(200')에 고정되는 후방가이드휠(532)이 이격되게 감싸지는 구동휠(530);
회전축(510)이 관통되며, 후단에 가이드관(543)이 형성되어 구동휠(530)을 감싸면서 후방가이드휠(532)에 축설 및 후방 지지브라켓(200') 외측으로 돌출되고 선단은 전방 지지브라켓(200) 내측에 고정되는 전방가이드휠(549)에 축설되고, 구동휠(530)과 대응면에는 부하조절홈(531)과 대응되며 일측은 마감캡(540a)으로 마감되는 부하조절구설치홈(544)이 형성되며, 각각의 부하조절구설치홈(544)에는 후단이 부하조절구설치홈(544)의 내측에 스프링(546) 탄설되며 선단에는 부하조절홈(531)과 대응되는 "원추핀" 형태의 걸림돌기(547)가 형성된 부하조절구(545)가 형성되어 부하조절구(545)가 부하조절홈(531)에 형합시 구동휠(530)과 함께 회전하고 부하조절구(545)가 이탈시 회전이 방지되며 절연견인벨트(541)가 권취된 권취드럼(540); 및
절연견인벨트(541)과 간섭 없이 권취드럼(540)을 감싸며, 양단은 양측 전,후방 지지브라켓(200)(200')에 고정되는 드럼보호판(55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nch (500)
A rotation shaft 510 horizontally passing through the winch engagement portion 220 between the front and rear support brackets 200 and 200 ';
A worm 523 coupled with the worm gear 521 and a winch operation knob 522b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orm gear 521 coupled to the tip of the rotary shaft 510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ry shaft 510 A worm shaft 522 and a worm housing 524 through which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worm shaft 522 penetrate outside the front support bracket 200 and the worm gear 521 and the worm 523 are received and the worm shaft 522 is housed A speed reducer 520;
The front and rear support brackets 200 and 200 'are fixed to the rear of the rotary shaft 510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ry shaft 510 and have a plurality of load adjustments A driving wheel 530 formed with a groove 531 and around which a rear guide wheel 532 fixed to the rear support bracket 200 'is spaced apart so as to prevent rotational interference;
And a guide pipe 543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driving wheel 530 so as to surround the driving wheel 530 and to be extended to the rear guide wheel 532 and to project outwardly of the rear support bracket 200 ' A load adjusting hole is formed in the front guide wheel 549 fixed to the inside of the bracket 200 and the load adjusting groove 531 is formed on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driving wheel 530, A spring 546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load regulating member mounting groove 544 in the inside of the load regulating member mounting groove 544 and a spring 546 is provided at the leading end of the load regulating member mounting groove 544, A load adjusting hole 545 having a conical pin-shaped locking protrusion 547 is formed and the load adjusting hole 545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driving wheel 530 when the load adjusting groove 531 is formed in the load adjusting groove 531, 545) is prevented from rotating when released and an insulating traction belt (541) is wound; And
And a drum protecting plate (550) which surrounds the winding drum (540)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insulating pull belt (541) and has both ends fixed to the front and rear support brackets (200) Attachment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전방 지지브라켓(200)의 윈치결합부(220)에는 웜하우징(524)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회전축(510)의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고정홈(221)이 더 포함되게 구성하고,
웜하우징(524)에는 감속기고정홈(221)에 삽탈되는 인덱스플런져(525)가 더 포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winch coupling part 220 of the front support bracket 2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reduction gear fixing groove 22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510 so that the worm housing 524 can be fixed,
Wherein the worm housing (524) further comprises an index plunger (525)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speed reducer fixing groove (221).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의 하부가 삽입되는 견인봉결합홈(612)이 형성되고 상부 내주면에는 상부암나사부(613)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삽입되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고정시키는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이 형성된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결합부(611)와,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결합부(611)의 하부로 연장되며 상단에는 상부는 좁고 하부로 갈수록 벌어지는 경사를 이루어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의 하부에 안착되는 경사면(616)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수나사부(617)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하부로 개방되는 케이블압축단자 암나사고정홈(618)이 형성된 케이블결합부(615)와, 케이블결합부(615)의 측면에 나삽 및 케이블압축단자 암나사고정홈(618)으로 관통되는 풀림방지가압볼트(619)로 된 도체로 된 케이블접속봉(610);
중앙의 관통공(620a)을 통해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이 관통되며, 상부는 좁고 하부로 갈수록 벌어지는 경사를 이루고 하단은 수평을 이루는 쐐기부(621)와, 쐐기부(621)의 하부로 연장되어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결합부(611)의 상부암나사부(613)에 나삽되는 나사부(622)가 형성되어 케이블접속봉(610)과 통전되는 도체로 된 케이블클램프헤드(620);
상부 내주면에 암나사부(642)가 형성되어 케이블접속봉(610)의 수나사부(617)에 나삽되어 결합되는 공사용케이블을 감싸 보호하며, 상단에는 케이블결합부(615)의 경사면(616)과 연장되는 경사면(641)이 형성된 절연관(64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A cable clamp locking tang rod 542 is inserted and a cable clamp locking tang rod 542 to be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cable clamp locking tang rod 542 is formed in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ble clamp locking tang rod 542 A cable clamp locking tongue rod coupling portion 611 formed with a locking tongue rod locking means 660 and a lower portion of the cable clamp locking tongue rod coupling portion 611. The upper portion is inclin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cable coupling portion 615 formed with a slant surface 616 to be se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lamp connection unit 300 and a male screw portion 617 formed around the cable connection terminal female thread fixing groove 618, A cable connecting rod 610 made of a conductor and made of a release preventing pressure bolt 619 penetrat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cable connecting portion 615 and screwed into the cable compression terminal female thread fixing groove 618;
A cable clamp locking tongue rod 542 penetrates through the central through hole 620a and has a wedge portion 621 which is inclined at an upper portion and which is inclined toward the lower portion and whose lower end is horizontal, A cable clamping head 620 formed of a conductor which is extended to the cable connecting rod 610 and formed with a threaded portion 622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female threaded portion 613 of the cable clamping locking tongue rod coupling portion 611 so as to be energized with the cable connecting rod 610;
A female screw portion 642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cover and protect the construction cable which is inserted into the male screw portion 617 of the cable connecting rod 610. The upper end of the cable is coupled to the inclined surface 616 of the cable coupling portion 615 And an insulation joint (640) having an inclined surface (641) formed on the insulation clamping surface (640).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결합부(611)에는,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결합부(611)의 하부 둘레에 형성되어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이 삽입시 걸림홈조(542a)와 연통되며 견인봉결합홈(612)으로 좁아지는 경사를 이루는 복수의 볼안내공(651)과,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결합부(611)의 둘레에서 볼안내공(651)의 상부로 이격 형성되는 스프링지지구(65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록킹견인봉록킹수단(660)은,
볼안내공(651)에 내입 및 일부가 견인봉결합홈(612)으로 돌출되어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의 걸림홈조(542a)에 끼움 걸림되는 록킹볼(661);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결합부(611)의 하부 둘레를 감싸며, 상단에는 스프링지지구(652)가 내입되는 지지구안내홈(663)이 형성되고, 지지구안내홈(663)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록킹볼(661)을 볼안내공(651) 측으로 밀어 구속시키는 개폐돌기(664)가 돌출 형성되고, 개폐돌기(664)의 하부에는 록킹볼(661)이 수용 가능한 볼수용홈(665)이 형성되며, 상부 양측에는 상부로 개방되는 수직형 승강가이드홈(666)이 형성된 승강 작동형 볼락개폐링(662);
승강가이드홈(666)을 관통하여 스프링지지구(652)에 고정되어 볼락개폐링(662)의 상,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핀(667); 및
지지구안내홈(663)에 내입 및 상단이 스프링지지구(652)에 탄설되고, 하단이 개폐돌기(664)의 상단에 탄설되는 승강스프링(668)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볼락개폐링(662)이 하강시 록킹볼(661)을 가압하여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의 걸림홈조(542a)에 록킹시키고, 볼락개폐링(662)이 상승시 록킹볼(661)이 경사형 볼안내공(651)을 따라 걸림홈조(542a)로부터 이탈 및 볼수용홈(665)에 수용되어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의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cable clamp locking-and-pulling rod engaging portion 611,
A plurality of cable clamp locking tongue rods 542 formed a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cable clamp locking tongue rod engaging portion 611 and communicating with the locking groove tongue 542a at the time of insertion and becoming inclined to be narrowed into the pulling rod engaging groove 612 A ball guide hole 651 and a spring clamp 652 spac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all guide hole 651 around the cable clamp locking pull rod connecting portion 611,
The locking traction rod locking means 660,
A locking ball 661 which is inserted into the ball guide hole 651 and partly protruded into the pull rod coupling groove 612 and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542a of the cable clamp locking pull rod 542;
The upper end of the cable clamp locking tongue rod engaging portion 611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663 for receiving the spring retainer 652. The guide groove 663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guide groove 663 An opening and closing protrusion 664 for pushing and locking the locking ball 661 toward the ball guide hole 651 is protruded and a ball groove 665 for accommodating the locking ball 661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rotrusion 664 A lifting operation type rocket opening / closing ring 662 having vertical lift guide grooves 666 opened to upper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An elevating guide pin 667 which passes through the elevating guide groove 666 and is fixed to the spring retainer 652 and guides the upper and lower hoisting steels of the hoist opening and closing ring 662; And
And a lifting spring 668 which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663 and has an upper end attached to the spring retainer 652 and a lower end projected onto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protrusion 664,
The rocker opening / closing ring 662 presses the locking ball 661 downward to lock it in the locking groove trough 542a of the cable clamp locking locking rod 542 and when the rocker opening / closing ring 662 ris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le clamp locking retraction rod (542)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ed and ball-seated groove (665) from the engagement groove groove (542a) along the inclined ball guide hole (651) Connection device.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에는,
도체로 구성되어 케이블과 접속봉(6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압축단자부 볼트(6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케이블압축단자부 볼트(630)는,
케이블접속봉(610)의 케이블압축단자 암나사고정홈(618)에 나삽 및 풀림방지가압볼트(619)로 가압 고정되어 그 케이블접속봉(610)과 접속되며, 하단에는 공구결합부(631a)가 형성된 압축단자수나사부(631); 및
압축단자수나사부(631)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로 개방되어 공사용케이블(30)이 삽입 및 압축 고정되는 공사용케이블 결합홈(632a)이 구성된 케이블압축관(632)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And a cable compression terminal bolt 630 formed of a conductor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able and the connection rod 610,
The cable compression terminal bolt 630,
The cable connecting terminal 610 is pressed and fixed to the cable compression terminal female thread fixing groove 618 by a screwing and loosening preventing bolt 619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able connecting rod 610 and a tool engaging portion 631a A formed compression-terminal male threaded portion 631; And
And a cable compression pipe 632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mpression terminal male threaded portion 631 and having a lower portion opened to form a construction cable coupling groove 632a for inserting and compressing the construction cable 30 Features an insulation pull-up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활선 상태의 전주에서 점퍼선의 교체, 이설, 개폐기 신설, 교체, 이설 등 배전설비공사를 하기 위해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을 사용하여 간접활선으로 수행하는 무정전 배전공법에 있어서,
활선 상태의 특고압 전주(20)의 전원측과 부하측에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갖는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준비하는 작업 준비공정;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를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전원측과 부하측의 피박된 특고압전력선(10)에 상별로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접속장치 설치공정;
설치된 각각의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절연견인벨트(541) 단부에 형성된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과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 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상별로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케이블 장착공정;
전원측과 부하측에서 상별로 순차적으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상승시켜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에 접속 및 통전시켜 특고압전력선(10)과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을 바이패스연결하는 접속공정;
특고압전력선(10)과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이 바이패스연결된 후, 특고압전력선(10)의 점퍼선(60)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점퍼선 분리공정;
점퍼선(60)이 분리된 사선상태에서 점퍼선의 교체, 이설, 개폐기 신설, 교체, 이설 등 배전설비공사를 수행하고, 전원측과 부하측에서 상별로 신설점퍼선(60')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본 작업 공정;
신설점퍼선(60') 연결 후, 전원측과 부하측에 설치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에 접속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 및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을 분리하여 안전한 이격거리까지 하강시키고,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 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케이블 분리공정; 및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분리 작업 후, 특고압전력선(10)에서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 및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31)을 철거하는 철거공정을 수행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A cable clamp connection apparatus (1) as claimed in any one of claims 1 to 11,
In an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in which a bypass jumper cable (31) for live wires is used to carry out the construction of a distribution facility such as replacement, replacement, replacement, replacement, or replacement of a jumper wire in a live wire,
A work preparation step of sequentially preparing bypass line jumper cables (31) for live wires having a hollow lock cable clamp (600) on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load side of the extra high voltage electric pole (20) in a live state;
A step of installing a connection device for sequentially mounting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clamp (100) of the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with the insulating high voltage power line (10) on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load side by using the stick for live work;
Each of the insulation pull-up functions of the installed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provided with a cable clamping locking rod 542 formed at the end of the insulation pulling belt 541 and a hollow locking cable clamp 600 at the end of the bypass jumper cable 31 for the live wire ) In a phase-by-phase manner;
Function of sequentially increasing the insulation on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load side by phase The winch 500 of the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operated as a stick for live wire operation so that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is raised and connected to the cable clamp connection unit 300 A bypassing step of bypassing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10) and the live bypass jumper cable (31) by energization;
A jumper line separating step of sequentially disconnecting the jumper wires 60 of the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10 by bypassing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10 and the live bypass jumper cable 31 by phase;
The power supply side and the load side sequentially perform connection of the new jumper wires 60 'in the diagonal state in which the jumper wires 6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load side, Work process;
After the connection of the new jumper wire 60 ', the winch 500 of the insulation-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device 1 installed on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load side is actuated by a stick for live wire work so that a hollow lock cable connected to the cable clamp connection unit 300 The clamp 600 and the bypass jumper cable 31 for the live wire are separated and lowered to a safe separation distance and the cable clamp locking and pulling rods 542 are connected to the hollow lock cable clamp 31 at the end of the live bypass jumper cable 31 600) and phase-by-phase; And
Cable Clamp Locking After isolating the pull rod 542 from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insulate it from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10 with a stick for live work. Pull the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and the bypass jumper cable 31) is demolished by the insulation clamping method. The indirect live wir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활선 상태의 전주에서 구간을 분리하여 사선작업으로 전주이설 및 교체, 전선교체 등 배전설비공사를 하기 위해 공사용개폐기(40)를 사용하여 간접활선으로 수행하는 무정전 배전공법에 있어서,
활선 상태의 특고압 전주(20)에 공사용개폐기(40)를 개방 상태로 설치하고, 단부에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갖는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입상하는 작업 준비공정;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를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전원측과 부하측의 피박된 특고압전력선(10)에 상별로 통전되도록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접속장치 설치공정;
설치된 각각의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절연견인벨트(541) 단부에 형성된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과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 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상별로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케이블 장착공정;
전원측과 부하측에서 상별로 순차적으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상승시켜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에 접속하여 통전시키는 접속공정;
공사용개폐기(40)를 투입하여 특고압전력선(10)과 공사용개폐기(40)를 바이패스 연결한 후, 특고압전력선(10)의 점퍼선(60)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점퍼선 분리공정;
점퍼선(60)을 분리한 후, 공사용개폐기(40)를 차단하고 사선상태에서 전주이설 및 교체, 전선교체 등 배전설비공사를 수행하고, 공사용개폐기(40)를 투입하고 신설점퍼선(60')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본 작업 공정;
신설점퍼선(60') 연결 후, 공사용개폐기(40)를 차단하고, 설치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에 접속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 및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분리하여 안전한 이격거리까지 하강시키고,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 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케이블 분리공정; 및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분리 작업 후, 특고압전력선(10)에서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철거하고, 공사용개폐기(40) 및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철거하는 철거공정을 수행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A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In an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in which a section is separated from a live wire, and a construction switch 40 is used to perform a distribution facility such as a pole replacement and replacement, a wire replacement,
A work preparation step of installing a construction switch 40 on an extra-high voltage electric pole 20 in a live state and an elevator cable 41 having a hollow lock cable clamp 600 at an end thereof;
Insulation lifting function Connection device installation process in which the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clamp (100) of the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sequentially energized to the super high voltage power line (10) on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load side by using the stick for live work ;
A cable clamping locking rod 542 formed at the end of the insulation pulling belt 541 of each insulation pull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nstalled and a hollow locking cable clamp 600 at the end of the construction switch breaking cable 41 A cable mounting step of sequenti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ables in phase;
The power supply side and the load side sequentially sequentially insulate each other by a function. The winch 500 of the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operated as a stick for live operation to lift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and connect it to the cable clamp connection unit 300 A connection step for energizing;
A jumper wire separating process for sequentially disconnecting the jumper wires 60 of the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10 by bypassing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10 and the construction switch 40 by putting the construction switch 40, ;
After the jumper line 60 is disconnected, the construction switch 40 is shut off, and a power distribution facility such as electric pole replacement and replacement and wire replacement is carried out in an oblique line, the construction switch 40 is turned on and the new jumper line 60 ' ) Are successively connected by phase;
After the new jumper wire 60 'is connected, the construction switch 40 is shut off, and the winch 500 of the installed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actuated by a stick for live wire work to be connected to the cable clamp connection unit 300 The connected hollow cable cable clamp 600 and the construction switchgear pick up cable 4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lowered to a safe separation distance so that the cable clamp locking hooking rod 542 is inserted into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and phase-by-phase; And
After separating the cable clamp locking tongue 542 from the hollow locking cable clamp 600,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removed from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10 by a stick for live working, And a demolition process of demolishing the grounding cable (41) for the constructional use breaker is carried out. The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활선 상태의 배전선로에서 구간을 분리하여 사선작업으로 전주이설 및 교체, 전선교체 등 배전설비공사를 하기 위해 공사용개폐기(40)를 사용하여 간접활선으로 수행하는 무정전 배전공법에 있어서,
작업을 위하여 선로간 병렬운전을 시켜놓은 상태에서 작업구간 일측의 활선 상태의 특고압 전주(20a)에 공사용개폐기(40)를 개방 상태로 설치하고, 단부에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갖는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입상과 작업구간 타측의 전주(20b)에서는 점퍼선 분리를 준비하는 작업 준비공정;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를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전원측과 부하측의 피박된 특고압전력선(10)에 상별로 통전되도록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접속장치 설치공정;
설치된 각각의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절연견인벨트(541) 단부에 형성된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과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 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상별로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케이블 장착공정;
전원측과 부하측에서 상별로 순차적으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상승시켜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에 접속하여 통전시키는 접속공정;
작업구간 일측 전주(20a)에 공사용개폐기(40)를 투입하여 특고압전력선(10)과 공사용개폐기(40)를 바이패스 연결한 후, 특고압전력선(10)의 점퍼선(60)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한 후, 공사용개폐기(40)를 차단하고 작업구간 다른측 전주(20b)에서 점퍼선(60)을 분리하는 하는 점퍼선 분리공정;
작업구간 양측 점퍼선(60)이 분리된 사선상태에서 전주이설 및 교체, 전선교체 등 배전설비공사를 수행한 후, 작업구간 다른측 전주(20b)의 신설점퍼선(60')을 연결한 후, 공사용개폐기(40)를 투입하고 일측 전주(20a)의 신설점퍼선(60')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본 작업 공정;
신설점퍼선(60') 연결 후, 공사용개폐기(40)를 차단하고, 설치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에 접속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 및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분리하여 안전한 이격거리까지 하강시키고,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 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케이블 분리공정; 및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분리 작업 후, 특고압전력선(10)에서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철거하고, 공사용개폐기(40) 및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철거하는 철거공정을 수행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A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In an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in which a section is separated from a live-line line and is used as an indirect live line using a construction-use switch 40 to perform a power line installation such as a diversion and replacement of a pole,
(40) is placed in an open state on an extra-high voltage electric pole (20a) in a live state on one side of a work section in a state where parallel oper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lines for the work, and a construction using a hollow lock cable clamp A work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switchgear cable (41) and a separator (20b) on the other side of the work section;
Insulation lifting function Connection device installation process in which the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clamp (100) of the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sequentially energized to the super high voltage power line (10) on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load side by using the stick for live work ;
A cable clamping locking rod 542 formed at the end of the insulation pulling belt 541 of each insulation pull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nstalled and a hollow locking cable clamp 600 at the end of the construction switch breaking cable 41 A cable mounting step of sequenti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ables in phase;
The power supply side and the load side sequentially sequentially insulate each other by a function. The winch 500 of the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operated as a stick for live operation to lift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and connect it to the cable clamp connection unit 300 A connection step for energizing;
The construction switch 40 is inserted into the electric pole 20a of the work section to bypass the special high voltage power line 10 and the construction switch 40 and the jumper wires 60 of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10 A jumper line separating step of separating the jumper wire (60) from the other side plate (20b) of the work section by interrupting the construction switch (40) after the sequential separation;
After the distribution facility construction such as the replacement and replacement of electric poles and the replacement of electric wires is performed in a diagonal state in which both side jumper wires 6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new jumper line 60 ' , The work operation step of putting the construction switch 40 and sequentially connecting the new jumper wires 60 'of the one electric pole 20a by phases;
After the new jumper wire 60 'is connected, the construction switch 40 is shut off, and the winch 500 of the installed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actuated by a stick for live wire work to be connected to the cable clamp connection unit 300 The connected hollow cable cable clamp 600 and the construction switchgear pick up cable 4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lowered to a safe separation distance so that the cable clamp locking hooking rod 542 is inserted into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and phase-by-phase; And
After separating the cable clamp locking tongue 542 from the hollow locking cable clamp 600,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removed from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10 by a stick for live working, And a demolition process of demolishing the grounding cable (41) for the constructional use breaker is carried out. The indirect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활선 상태의 전주에서 무정전으로 변압기 신설, 교체 또는 이설 등 공사를 하기 위해 무정전변압기장치(50)를 사용하여 간접활선으로 수행하는 무정전 배전공법에 있어서,
작업구간 내에 무정전변압기장치(50)를 설치하여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저압케이블(52)을 배전선로의 저압선에 바이패스 연결하고, 단부에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갖는 변압기장치입상케이블(51)을 입상하는 작업 준비공정;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를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피박된 특고압전력선(10)에 상별로 통전되도록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접속장치 설치공정;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절연견인벨트(541) 단부에 형성된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과 변압기장치입상케이블(51) 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상별로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케이블 장착공정;
상별로 순차적으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상승시켜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에 접속하여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특고압을 가압시키는 접속공정;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특고압이 가압되면 무정전변압기장치(50)내에 내장된 특고압차단기를 투입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주상변압기(53)의 저압 부하를 바이패스연결하고 절체하여 주상변압기(53)를 사선 상태로 교체, 이설 등 배전설비 공사를 수행한 후, 주상변압기(53)를 가압하여 저압부하를 바이패스 연결하여 절체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내장된 특고압차단기와 저압차단기를 개방하는 본 작업 공정;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접속된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과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을 분리하고, 분리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 및 변압기장치입상케이블(51)을 안전한 이격거리까지 하강시키고,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변압기장치입상케이블(51) 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케이블 분리공정; 및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분리 작업 후,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특고압전력선(10)에서 철거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 및 변압기장치입상케이블(51)을 철거하는 철거공정을 수행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A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In an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in which an uninterrupted transformer device (50) is used as an indirect live line for constructing a new transformer, replacing or replacing a transformer in a live state,
A transformer device granular cable having an uninterrupted transformer device 50 installed in the work section to bypass the low voltage cable 52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transformer device 50 to a low voltage line of the distribution line and having a hollow lock cable clamp 600 at its end, (51);
A step of installing a connection device for sequentially installing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clamp (100) of the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for insulated pulling up to the super high voltage power line (10) which is weakened by using a stick for live work,
A cable clamping locking rod 542 formed at the end of the insulation pulling belt 541 of the insulation-pulling-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device 1 and a hollow locking cable clamp 600 at the end of the transformer device standing- A cable attaching step of connecting the cable to the terminal;
Each of the winch 500 of the cable clamp connecting device 1 is operated as a stick for live work to raise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to be connected to the cable clamp connecting unit 300 and to be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transformer apparatus 50);
When an extraordinary pressure is appli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transformer apparatus 50, an extra-high voltage circuit breaker built in the uninterruptible power transformer apparatus 50 is charged, and the low voltage load of the pillar transformer 53 is bypass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transformer apparatus 50 The pneumatic transformer 53 is shifted to a diagonal state and the construction of a power distribution facility such as an overhaul is carried out. Thereafter, the pneumatic transformer 53 is pressurized to connect the low-voltage load by bypass connection, The present work process of opening the breaker and the low-voltage breaker;
The winch 500 of the insulation-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actuated by a stick for live-work, and the connected cable clamp connection unit 300 and the hollow-lock cable clamp 600 are separated and the separated hollow-lock cable clamp 600 and the transformer device granular cable 51 to a safe separation distance and sequentially separates the cable clamping locking pull rod 542 from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at the end of the transformer device granulating cable 51 A cable separation process; And
After separating the cable clamping locking rod 542 from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device 1 is removed from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10 and the uninterruptible power transformer device 50 and the transformer And a demolition process of demolishing the device granular cable (51) is performed. The indirect live liv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특고압 배전선로의 전주교체, 전주이설, 경과지 변경 등 배전설비공사를 하기 위해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사용하여 간접활선으로 수행하는 무정전 배전공법에 있어서,
무정전 작업구간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 사이에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포설하고,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에 개방상태의 공사용개폐기(40a)(40b)를 각각 설치하여 포설된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연결하고, 단부에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갖는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입상하는 작업 준비공정;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를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의 피박된 특고압전력선(10)에 상별로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접속장치 설치공정;
설치된 각각의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절연견인벨트(541) 단부에 형성된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과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 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상별로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케이블 장착공정;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에서 상별로 순차적으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상승시켜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에 접속하여 통전시키는 접속공정;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의 공사용개폐기(40a)(40b)를 투입하여 특고압전력선(10)과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바이패스 연결한 후,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의 점퍼선(60)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점퍼선 분리공정;
점퍼선(60)이 분리된 사선상태에서 전선교체, 전주신설, 이설, 교체, 경과지 변경 등 배전설비공사를 수행하고,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 신설점퍼선(60')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본 작업 공정;
신설점퍼선(60') 연결 후,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의 공사용개폐기(40a)(40b)를 순차적으로 차단하고,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에 설치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 접속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 및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분리하여 안전한 이격거리까지 하강시키고,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 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케이블 분리공정; 및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분리 작업 후, 특고압전력선(10)에서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철거하고,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과 공사용개폐기(40a)(40b) 및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철거하는 철거공정을 수행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A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In an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system in which an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32) is used as an indirect live line for the construction of power distribution facilities such as pole replacement, special pole replacement,
Uninterruptible working section The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32 is installed between the power supply side electric pole 20a and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and the construction switching devices 40a and 40b, which are open to the power supply side electric pole 20a and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A work preparation step of connecting the installed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32 and a constructional break switch cable 41 having a hollow lock cable clamp 600 at an end thereof;
The special high-voltage power line clamp 100 of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sequentially wound on the high voltage power line 10 of the power source side electric pole 20a and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A connecting device installation process to be installed;
A cable clamping locking rod 542 formed at the end of the insulation pulling belt 541 of each insulation pull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nstalled and a hollow locking cable clamp 600 at the end of the construction switch breaking cable 41 A cable mounting step of sequenti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ables in phase;
The winch 500 of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sequentially operated by the power supply side electric pole 20a and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by the phase, and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is lifted by operating the winch 500 as a hot working stick, A connection step of connecting to the connection unit 300 and energizing it;
The power supply side electric pole 20a and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are supplied with the construction switches 40a and 40b for bypass connection of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10 and the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32, A jumper line separating step of sequentially separating the jumper wires 60 of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by phases;
The power supply side electric pole 20a and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are installed in a jumper line 60 'in a diagonal state in which the jumper wire 60 is separated, This work process which sequentially connects by phases;
After the connection of the new jumper wire 60 ', the construction switch 40a and 40b of the power supply side electric pole 20a and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are sequentially cut off and the insulation provided on the power supply side electric pole 20a and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The winch 500 of the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operated as a stick for live work to separate the hollow cable cable clamp 600 connected to the cable clamp connection unit 300 and the constructional breaker cable 41, A cable separating step of separating the cable clamping locking rod 542 from the hollow locking cable clamp 600 at the end of the constructional use breaker cable 41 sequentially by phase; And
Cable Clamp Locking After separating the pull rod 542 from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remove it from the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10 with a stick for hot working. Remove the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and remove the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42), the construction switches (40a) and (40b), and the constructional breaker cable (41) are demolished by using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무정전 작업구간내 분기선로가 있는 경우, 특고압 배전선로의 전선교체, 전주이설, 교체, 경과지 변경 등 배전설비공사를 하기 위해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포설하여 간접활선으로 수행하는 무정전 배전공법에 있어서,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 사이에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포설하여 개방상태 공사용개폐기(40a)(40b)에 연결하고,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의 중간 분기접속재(34)에서 분기바이패스케이블(33)을 분기하여 분기 전주(20d) 또는 분기선로 전주(20c)의 개방상태 공사용개폐기(40c) 연결하고,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 분기 전주(20d) 또는 분기선로 전주(20c)에 단부에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갖는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입상하는 작업 준비공정;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를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 분기 전주(20d) 또는 분기선로 전주(20c)의 피박된 특고압전력선(10)에 상별로 통전되도록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접속장치 설치공정;
설치된 각각의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절연견인벨트(541) 단부에 형성된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과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 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상별로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케이블 장착공정;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 분기 전주(20d) 또는 분기선로 전주(20c)에서 상별로 순차적으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상승시켜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에 접속하여 통전시키는 접속공정;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 분기 전주(20d) 또는 분기선로 전주(20c)의 공사용개폐기(40a)(40b)(40c)를 투입하여 특고압전력선(10)과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바이패스 연결한 후,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 분기 전주(20d) 또는 분기선로 전주(20c)의 점퍼선(60)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점퍼선 분리공정;
점퍼선(60)이 분리된 사선상태에서 전선교체, 전주이설, 교체, 경과지 변경 등 배전설비공사를 수행하고,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 분기 전주(20d) 또는 분기선로 전주(20c)에서 신설점퍼선(60')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본 작업 공정;
신설점퍼선(60') 연결 후, 특고압전력선(10)과 포설된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이 바이패스 연결 상태가 되면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 분기 전주(20d) 또는 분기선로 전주(20c)의 공사용개폐기(40a)(40b)(40c)를 순차적으로 차단는 전원 차단공정;
설치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에 접속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 및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분리하여 안전한 이격거리까지 하강시키고,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 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케이블 분리공정; 및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분리 작업 후, 특고압전력선(10)에서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철거하고,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과 공사용개폐기(40a)(40b)(40c) 및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철거하는 철거공정을 수행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A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system that installs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32) in order to construct power distribution facilities such as replacement of wires in special high voltage distribution lines, replacement of electric pole, replacement, In this case,
The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32 is installed between the power source side electric pole 20a and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and connected to the open state construction switches 40a and 40b and the intermediate branch connection member 34 of the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32 The branch bypass cable 33 is branched and connected to the open state construction switch 40c of the branch electric pole 20d or the branch line electric pole 20c so that the power source side electric pole 20a,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20c or 20d or the branch line cable 20c with a hollow lock cable clamp 600 at an end thereof;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clamp 100 of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side electric pole 20a and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the branch electric pole 20d or the branch line electric pole 20c A step of installing a connecting device for sequentially installing the super high voltage power line (10) to be energized on each phase;
A cable clamping locking rod 542 formed at the end of the insulation pulling belt 541 of each insulation pull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nstalled and a hollow locking cable clamp 600 at the end of the construction switch breaking cable 41 A cable mounting step of sequenti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ables in phase;
The winch 500 of the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sequentially operated as a stick for live operation by successively inserting the insulation-up function for each phase in the power supply side electric pole 20a,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the branch electric pole 20d or the branch line electric pole 20c A connecting step of raising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to connect to the cable clamp connecting unit 300 to conduct electricity;
40a, 40b, 40c of the power source side electric pole 20a,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the branch electric pole 20d or the branch line electric pole 20c are inserted and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10 and the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A jumper line separation for sequentially separating the jumper wires 60 of the power source side electric pole 20a and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the branch electric pole 20d or the branch line electric pole 20c sequentially by phase, fair;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the electric wire replacement, the electric pole replacement, the replacement of the electric pole and the change of the progress point is carried out in the slanting state where the jumper wire 60 is separated, and the power supply side electric pole 20a,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the branch electric pole 20d, The present jumper lines 60 'are successively connected to the new jumper wires 60' in a phase-by-phase manner;
After the connection of the new jumper wire 60 ', when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10 and the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32 installed are in the bypass connection state, the power source side electric pole 20a,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40a), (40b), and (40c) of the branch line electric pole (20c) sequentially;
The winch 500 of the installed insulation pull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operated as a stick for live work to separate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connected to the cable clamp connection unit 300 and the constructional break switch cable 41 A cable separating step of descending the cable clamping locking rod 542 to a safe separation distance and sequentially separating the cable clamping locking rod 542 and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at the end of the construction switchgear cable 41; And
Cable Clamp Locking After separating the pull rod 542 from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remove it from the extra-high voltage power line 10 with a stick for hot working. Remove the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and remove the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Wherein the step of dismantling the insulation breakdown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device (32), the construction switches (40a), (40b), and (40c), and the construction breaker cable (41) is performed.
무정전 작업구간내 변압기가 있는 경우, 특고압 배전선로의 전주교체, 전주신설, 이설, 경과지 변경, 변압기 교체 및 이설 등 배전설비공사를 하기 위해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을 사용하여 간접활선으로 수행하는 무정전 배전공법에 있어서,
무정전 작업구간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 사이에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포설하고,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에 개방상태의 공사용개폐기(40a)(40b)를 각각 설치하여 포설된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연결하고, 단부에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갖는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입상하고, 작업구간 내 무정전변압기장치(50)를 장치에 내장된 특고압 차단기 및 저압차단기가 차단된 상태로 설치하고,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포설 구간내 분기접속재(34)에서 분기 케이블(33)을 분기하여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연결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저압케이블(52)을 배전선로 저압선에 연결하는 작업 준비공정;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특고압전력선 클램프(100)를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의 피박된 특고압전력선(10)에 상별로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접속장치 설치공정;
설치된 각각의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절연견인벨트(541) 단부에 형성된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과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 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상별로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케이블 장착공정;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에서 상별로 순차적으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를 상승시켜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에 접속하여 통전시키는 접속공정;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의 공사용개폐기(40a)(40b)를 투입하여 특고압전력선(10)과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을 바이패스 연결한 후,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특고압이 가압되면 무정전변압기장치(50)내에 내장된 특고압차단기를 투입하고, 주상변압기(53)의 저압 부하를 바이패스 연결하여 무정전변압기장치(50)로 저압 부하를 절체하고,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의 점퍼선(60)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점퍼선 분리공정;
점퍼선(60)이 분리된 사선상태에서 전주교체, 전주신설, 이설, 경과지 변경, 변압기 교체 및 이설 등 배전설비공사를 수행하고,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 신설점퍼선(60')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본 작업 공정;
신설점퍼선(60')이 연결되어 특고압전력선(10)과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이 바이패스 연결 상태에서 주상변압기(53)로 저압 부하를 바이패스 연결하여 절체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저압 및 특고압 차단기를 차단하고,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의 공사용개폐기(40a)(40b)를 순차적으로 차단하는 전원 차단공정;
전원측 전주(20a)와 부하측 전주(20b에 설치된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의 윈치(500)를 활선작업용스틱으로 작동하여 접속된 케이블클램프 접속유닛(300)와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을 분리하고, 분리된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 및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안전한 이격거리까지 하강시키고,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 단부에 있는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케이블 분리공정; 및
케이블클램프 록킹견인봉(542)을 중공락 케이블클램프(600)와 분리 작업 후,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1)를 특고압전력선(10)에서 철거하고,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32)과 공사용개폐기(40a)(40b)와, 무정전변압기장치(50) 및 공사용개폐기입상케이블(41)을 철거하는 철거공정을 수행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A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Uninterruptible bypass cables (32) and uninterruptible power transformer units (50) are installed in order to construct power distribution facilities such as transforming electric poles into special high voltage distribution lines, installing new electric poles, replacing old ones, changing historical sites, In an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an indirect live line,
Uninterruptible working section The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32 is installed between the power supply side electric pole 20a and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and the construction switching devices 40a and 40b, which are open to the power supply side electric pole 20a and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And the uninterruptible power transformer device 50 in the work section is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transformer device 50 in the working section, The branching cable 33 is branched from the branch connection member 34 in the installation section of the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32 and is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transformer apparatus 50 , A work preparation step of connecting the low voltage cable (52)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transformer device (50) to a low voltage line by a distribution line;
The special high-voltage power line clamp 100 of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sequentially wound on the high voltage power line 10 of the power source side electric pole 20a and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A connecting device installation process to be installed;
A cable clamping locking rod 542 formed at the end of the insulation pulling belt 541 of each insulation pull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nstalled and a hollow locking cable clamp 600 at the end of the construction switch breaking cable 41 A cable mounting step of sequenti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ables in phase;
The winch 500 of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is sequentially operated by the power supply side electric pole 20a and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by the phase, and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is lifted by operating the winch 500 as a hot working stick, A connection step of connecting to the connection unit 300 and energizing it;
The uninterruptible power transformer device 50 is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transformer device 50 by bypassing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10 and the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32 by putting the construction switches 40a and 40b of the power source side electric pole 20a and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When the extraordinary pressure is appli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transformer device 50, the special high-voltage circuit breaker built in the uninterruptible power transformer device 50 is charged, the low-voltage load of the pneumatic transformer 53 is bypassed, A jumper line separating step of sequentially separating the jumper wires 60 of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a and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by phases;
The power supply side electric pole 20a and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are connected to the jumper wires 60 (60a, 60b, 60c, 60d) ') Are successively connected by phases;
The new jumper wire 60 'is connected and the low voltage load is bypassed to the pneumatic transformer 53 while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10 and the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32 are bypas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uninterruptible power transformer device A power cutoff step of shutting off the low-voltage and extra-high voltage circuit breakers of the power supply side pole 20a and the load side pole 20b and sequentially shutting off the construction switches 40a and 40b of the power supply side pole 20a and the load side pole 20b;
The cable clamp connection unit 300 connected by operating the power supply side electric pole 20a and the winch 500 of the insulation pull-up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1 provided on the load side electric pole 20b with the live wire stick and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The separated hollow cable cable clamp 600 and the constructional use breaker lifting cable 41 are lowered to a safe separation distance and the cable clamping locking pulling rod 542 is inserted into the hollow A cable separating step of sequentially separating the lock cable clamp 600 and the phase of the cable cable clamp 600;
After separating the cable clamp-locking pulling rod 542 from the hollow lock cable clamp 600, the insulation clamp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ng device 1 is removed from the extra high voltage power line 10 and the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32 And a demolition process for demolishing the construction use switches 40a and 40b, the uninterruptible power transformer apparatus 50, and the constructional-use grounding cable 41 is carried out by using an insulation lift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0567A KR101873712B1 (en) | 2018-03-16 | 2018-03-16 | lift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method using the device |
PCT/KR2019/002004 WO2019177276A1 (en) | 2018-03-16 | 2019-02-20 |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having insulating lifting function and indirect live wir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0567A KR101873712B1 (en) | 2018-03-16 | 2018-03-16 | lift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method using the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3712B1 true KR101873712B1 (en) | 2018-07-03 |
Family
ID=6291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0567A Active KR101873712B1 (en) | 2018-03-16 | 2018-03-16 | lift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method using the devi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3712B1 (en) |
WO (1) | WO2019177276A1 (en)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5932B1 (en) | 2019-02-21 | 2019-11-18 | 대원전기 주식회사 | Bypass cable impression device and bypass cable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device |
KR102060927B1 (en) * | 2019-07-16 | 2019-12-30 | 대원전기 주식회사 | Arc-cut high speed switching lift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and Indirect live wire and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
KR102082150B1 (en) * | 2019-08-21 | 2020-02-27 | 대원전기 주식회사 | Release direction Overload prevention Clutch type fastening device |
KR102115777B1 (en) | 2019-09-06 | 2020-05-27 | 대원전기 주식회사 | temporary hanger clamp automatic detachable bypass cable impression device with cable head rotating connect clamp for indirect live wire and installation method using it |
KR102274378B1 (en) * | 2020-05-22 | 2021-07-07 | 대원전기 주식회사 | Wire bending tool for non-contact live-line and non-contact live-line method for wire bending |
KR20210158598A (en) | 2020-06-24 | 2021-12-31 | 한국전력공사 | Insulation Protector Structure for Bypass Cable Clamp of Indirect live Wire Work |
CN114336403A (en) * | 2021-12-03 | 2022-04-12 | 国网上海市电力公司 |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positioning and automatic separation of connecting hardware fittings on electrified connection fastening device |
KR102412948B1 (en) * | 2022-01-04 | 2022-06-24 | 주식회사 세종이앤지 | Electric wire lifting device for LP insulator indirect live wire replacement |
KR20230013795A (en) | 2021-07-20 | 2023-01-27 | 한국전력공사 | Structure for variable type temporary support cleat |
KR20230109957A (en) | 2022-01-14 | 2023-07-21 | 한국전력공사 | Arrester with latch type clamp for indirect hot-line work |
CN118848895A (en) * | 2024-09-26 | 2024-10-29 |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寿县供电公司 | An insulating rod device for live installation of transformer high and low voltage pile head insulating sheath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57840B (en) * | 2019-11-04 | 2025-01-10 | 河南瑞恒电力电气有限公司 | A UHV online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
CN112003194B (en) * | 2020-09-21 | 2024-09-17 |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 An insulating locking rod for disconnecting a live drain line |
CN112763789B (en) * | 2020-12-24 | 2023-05-16 |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 Power distribution network electricity inspection method and electricity inspection robot |
CN114156877A (en) * | 2021-12-03 | 2022-03-08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Wire bridging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8536B1 (en) | 2005-12-29 | 2007-05-15 | 한국전기공사협회 | Cable Raise Screw Lifter for Transmission Lin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41999A (en) * | 2007-12-04 | 2009-06-25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Uninterruptive work method for distribution line on utility pole |
KR101218710B1 (en) * | 2011-01-31 | 2013-01-09 | 서광전기통신공사(주) | The cable fixing bar provisionally installation equipment for work power distribution line |
KR20130026849A (en) * | 2011-09-06 | 2013-03-14 | 한국전력공사 | Cable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power cable using the same |
KR101538909B1 (en) * | 2014-10-28 | 2015-07-24 | 대원전기 주식회사 | Construction method for poles moving of electric-wire-stringing using pole holding divice |
-
2018
- 2018-03-16 KR KR1020180030567A patent/KR101873712B1/en active Active
-
2019
- 2019-02-20 WO PCT/KR2019/002004 patent/WO201917727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8536B1 (en) | 2005-12-29 | 2007-05-15 | 한국전기공사협회 | Cable Raise Screw Lifter for Transmission Line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5932B1 (en) | 2019-02-21 | 2019-11-18 | 대원전기 주식회사 | Bypass cable impression device and bypass cable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device |
KR102060927B1 (en) * | 2019-07-16 | 2019-12-30 | 대원전기 주식회사 | Arc-cut high speed switching lift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and Indirect live wire and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
WO2021010600A1 (en) * | 2019-07-16 | 2021-01-21 | 대원전기 주식회사 | Arc interruption-type high-speed switching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having insulating lifting function, and indirect live wire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same |
KR102082150B1 (en) * | 2019-08-21 | 2020-02-27 | 대원전기 주식회사 | Release direction Overload prevention Clutch type fastening device |
KR102115777B1 (en) | 2019-09-06 | 2020-05-27 | 대원전기 주식회사 | temporary hanger clamp automatic detachable bypass cable impression device with cable head rotating connect clamp for indirect live wire and installation method using it |
WO2021235702A1 (en) * | 2020-05-22 | 2021-11-25 | 대원전기 주식회사 | Electric wire bender for indirect live wire, and electric wire-bending indirect live wire method using same |
KR102274378B1 (en) * | 2020-05-22 | 2021-07-07 | 대원전기 주식회사 | Wire bending tool for non-contact live-line and non-contact live-line method for wire bending |
KR20210158598A (en) | 2020-06-24 | 2021-12-31 | 한국전력공사 | Insulation Protector Structure for Bypass Cable Clamp of Indirect live Wire Work |
KR20230013795A (en) | 2021-07-20 | 2023-01-27 | 한국전력공사 | Structure for variable type temporary support cleat |
CN114336403A (en) * | 2021-12-03 | 2022-04-12 | 国网上海市电力公司 |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positioning and automatic separation of connecting hardware fittings on electrified connection fastening device |
KR102412948B1 (en) * | 2022-01-04 | 2022-06-24 | 주식회사 세종이앤지 | Electric wire lifting device for LP insulator indirect live wire replacement |
KR20230109957A (en) | 2022-01-14 | 2023-07-21 | 한국전력공사 | Arrester with latch type clamp for indirect hot-line work |
CN118848895A (en) * | 2024-09-26 | 2024-10-29 |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寿县供电公司 | An insulating rod device for live installation of transformer high and low voltage pile head insulating sheat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77276A1 (en) | 2019-09-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3712B1 (en) | lift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method using the device | |
KR102246338B1 (en) | Overhead distribution facility for easy branching of overhead distribution lines to transformers | |
KR102060927B1 (en) | Arc-cut high speed switching lifting function Cable clamp connection device and Indirect live wire and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 |
KR102249164B1 (en) | Insulation insulator clip for indirect live wire and LP insulator, suspension insulator, Cut Out Switch, Lightning Arrester replacement indirect live wire method using the same | |
US7387294B2 (en) | Electric wire changing device for wire replacing works on electric poles and power distributing method without cutting off power supply | |
KR102228755B1 (en) | Bypass cable pulling device for indirect live wire with temporary hook with automatic detachable fixing hook and cable head rotating connection clamp and installation method using it | |
KR102115777B1 (en) | temporary hanger clamp automatic detachable bypass cable impression device with cable head rotating connect clamp for indirect live wire and installation method using it | |
KR102045932B1 (en) | Bypass cable impression device and bypass cable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device | |
KR102516401B1 (en) | LA installation, demolition and replacement using angle-adjustable box wrench stick for indirect live wire Indirect live wire method | |
KR102644279B1 (en) | Top-down fastening wire clamp for bypass cable head capable of safe indirect live wire operation and indirect live wire elastic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7194913B2 (en) | Temporary wire support | |
CN209747390U (en) | Convenient to use's bypass switch operating means | |
KR101613894B1 (en) | Input and output device of an elbow connector | |
KR20180111289A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nnecting elbow connector for transformer | |
KR102511390B1 (en) | Power distribution utility pole system for easy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ransformers | |
KR102221175B1 (en) | Uninterrupted Ground Transformer Replacement Method | |
KR102290560B1 (en) | Terminal stripping device of ground transformer | |
KR102474623B1 (en) | Terminal box apparatus for extra-high voltage distribution line | |
CN118099790A (en) | A station room grounding device | |
KR100733574B1 (en) | Power distribution device automatically detachable with wire | |
CN215989997U (en) | Live line isolation and fixation combination device | |
CN115832735A (en) | Rapid and safe unlocking device and unlocking method for connecting wire clamp | |
CN214280732U (en) | Stringing construction device for power equipment installation | |
KR200459154Y1 (en) | Auto separate device for jumper wire of power transmission live line | |
CN102916315A (en) | Incorrect-operation-prevented electric power grounding wi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3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