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3011B1 -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 - Google Patents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011B1
KR101873011B1 KR1020170098297A KR20170098297A KR101873011B1 KR 101873011 B1 KR101873011 B1 KR 101873011B1 KR 1020170098297 A KR1020170098297 A KR 1020170098297A KR 20170098297 A KR20170098297 A KR 20170098297A KR 101873011 B1 KR101873011 B1 KR 101873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mask
storage container
infl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도연
Original Assignee
유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도연 filed Critical 유도연
Priority to KR1020170098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01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기포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공기기포관과 일정량의 물이 수용된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물 유입방지부재; 상기 유입방지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들이마시도록 마련되는 마스크;를 마련하여 물에 의해 미세먼지, 황사, 다이옥신, 다륜성 방향족탄화수소, 스티렌, 중금속 등을 필터링할 수 있고, 물받이 및 방지판에 의해 유해성분이 포함된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 도중에도 저장용기의 물을 수시로 교체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공기오염 또는 악취의 발생지역에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정화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Water Filter Mask}
본 발명은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숨을 들이 쉴 때 대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먼지와 유해 가스 등을 걸러주어 깨끗한 공기를 들이 쉴 수 있도록 하는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라 함은 사람의 안면부에 착용되면서 공기 투과성이 좋은 부직포나 섬유로 이루어져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거르는 역할을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마스크는 공기가 통과하는 섬유의 조밀도에 따라 먼지를 거르는 성능이 달라지기는 하나, 아무리 섬유의 조직이 조밀하다 하더라도 인체에 치명적인 미세 먼지의 인체 내 유입을 막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더욱이, 가스 형태의 유해 물질을 차단하는 것은 전혀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한편 현대사회에는 대규모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배출되는 유독 기체의 양이 막대할 뿐만 아니라 그 종류도 다양하여 시기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성분으로 대기가 오염되고 있다.
대기 오염 방지를 위한 여러 규제 법규가 제정되고 정화장치의 개발도 이루어져 왔으나 대기 오염을 차단하기에는 아직은 미비한 실정이다.
최근에도 황사보다 더욱 인체에 유해한 미세먼지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은 아직 없는 상태이다.
특히 미세먼지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심장마비, 천식, 기관지염, 폐렴, 폐암 등 심각한 질병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미세먼지 농도가 올라가면 심혈관계, 호흡기계 환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사망률도 높아진다.
한 연구에 의하면 수도권에서만 미세먼지로 인해 연간 2만 여명의 조기 사망과 80만 여명의 폐관련 질환이 발생한다고 한다. 이를 사회적 비용으로 환산하면 무려 12조 3천억원으로 추정된다.
또한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각종 산업현장에서 근로자들과 인근 주민들은 다양한 대기 오염원에 노출되어 있다.
화학연료나 유기용제를 직접적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산업현장에는 아주 다양한 유형의 해로운 기체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근로자들은 많은 경우 답답한 마스크를 쓰기 보다는 간단한 방독면을 착용하게 되기도 하고 작업중의 의사소통을 위하여 아예 마스크를 쓰지 않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대기오염의 원인이 다양한 만큼 각각의 오염원에 따라 적합한 마스크들은 개발되어 있으나, 상황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마스크들을 모두 휴대하긴 힘들므로 하나의 마스크를 휴대하더라도 다른 대기오염원에는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도 많다.
이처럼 다양한 오염원 모두에 대처 가능한 마스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나 종래 개발된 마스크들은 다양한 요구들을 만족시키기에는 용도가 너무 한정되게 된다.
예를들어 일상생활에서도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신종플루 등의 바이러스에도 동시에 대처 가능한 마스크는 아직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또한 일상생활에 쓰이는 마스크들은 대부분은 너무 느슨하여 미세먼지나 바이러스 차단 효과가 거의 없다. 특수하게 제작되는 마스크들도 고성능의 다층필터가 입과 코 모두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경우는 없게 된다.
특히 여러 다른 특수 상황에 모두 대처 가능하도록 고성능 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구조의 마스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3159호의 마스크를 살펴보면, 마스크(1)에 있어서, 코, 입 형상의 본체(100) 내측에 탈착식 공기여과필터(300)를 공기여과필터 커버(301)와 용착하여 설치하고 얼굴에 접촉되는 내측 가장자리에는 스판덱스원단(402)을 접착한 환형의 우레탄 스폰지 패드(400) 및 우레탄 스펀지패드 고정 돌기들을 설치하며 본체 외측 가장자리에는 자외선 차단 및 방한용 두건(500)을 탈부착할 수 있으며 두건 고정 돌기(101) 및 홈(102)들을 설치하고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7565호의 코, 입 분리형 마스크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은 공기를 필터링 하는 코, 입 분리형 마스크로서, 코 마스크(100) 및 코마스크로부터 탈착 가능한 입 마스크(200)를 포함하며, 코마스크는 사용자의 비문과 상기 코마스크의 외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통기 구멍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코마스크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코마스크 외부의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일방향 배출 격막을 포함한다.
상기 통기 구멍과 일방향 배출 격막은 사용자의 비문에 대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인 코, 입 분리형 마스크에 대한 것이다.
도 2의 종래기술은 외부 공기의 불필요한 유입이 차단되고 코마스크와 입마스크가 용이하게 탈부착되며 마스크 내부의 공기 및 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고성능 필터가 쓰이는 경우는 특수 목적을 위한 방독면들이 대부분인데 그러한 방독면을 쓰고 일상생활을 할 수는 없으므로 미관상 자연스러운 통상의 마스크처럼 보이면서도 고성능 필터가 적용 될 수 있는 마스크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공해, 유독가스, 미세먼지, 바이러스 등의 각종 대기 오염원에 모두 대처할 수 있고,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는 마스크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는 사람이 숨을 들이 쉴 때 대기 중에 포함 되어 있는 미세 먼지와 유해가스 등을 걸러주어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게 하여 주는 마스크로서, 사람의 코 또는 입과 코 부분을 덮는 안면 차단체, 상기 안면 차단체와 사람의 얼굴사이에 설치되어 밀폐력을 높이는 쿠션체를 구비한다.
상기 안면 차단체에 설치되어지며 외부의 공기는 안면 차단체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고 오직 사람이 내쉰 날숨만을 마스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일방향 밸브가 설치되어진 날숨 배출구, 상기 안면 차단체에 연결되며 들숨 시 공기중에 섞여있는 먼지 및 유해가스를 걸러내기 위한 여과 물질로서 물을 사용하는 여과장치, 상기 안면 차단체 또는 여과장치에 연결되어 마스크를 사람의 안면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주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는 두 겹 이상의 면 필터, 면 필터 사이에 삽입되는 프리필터로 이루어지는 메인부재, 상기 메인부재의 테두리와 결합되고 사람 안면의 수평 단면 윤곽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사람의 안면에 탄성적으로 고정 가능한 안면부착부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부재의 상부 중심에 마련되며, 제1복합필터로 이루어지는 비강여과부, 상기 비강여과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양 단이 개방되는 원통형의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순차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재질의 필터, 하우징 양단을 폐쇄시키면서 복수개의 통기구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막으로 형성되는제2복합필터로 이루어지는 구강여과부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063904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074142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11515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면부에 착용했을 때 흡입 저항이 적으면서도 미세먼지나 유해가스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이면서 재사용이 가능하며 간단하게 세척 후 즉시 재사용이 가능한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기포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공기기포관과 일정량의 물이 수용된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물 유입방지부재; 상기 물 유입방지부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들이마시도록 마련되는 마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용기는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도록 형성되는 내부공간부;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외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공기유입관; 상기 공기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다수의 기포구멍을 통해 기포로 공급되도록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공기기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 유입방지부재는 상기 저장용기에 채워진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물받이; 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물받이의 하단에 설치되는 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크는 착용자의 입과 코의 전면에 착용되는 마스크본체; 상기 마스크본체가 안정되게 착용되도록 귀에 걸리는 귀걸이; 상기 저장용기에서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연결되는 연결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크는 상기 연결호스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에서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설치되는 제1 원웨이밸브; 상기 마스크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날숨이 배출되게 설치되는 제2 원웨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에 의하면, 물에 의해 미세먼지, 황사, 다이옥신, 다륜성 방향족탄화수소, 스티렌, 중금속 등을 필터링할 수 있고, 물받이 및 방지판에 의해 유해성분이 포함된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 도중에도 저장용기의 물을 수시로 교체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공기오염 또는 악취의 발생지역에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정화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의 저장용기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의 원웨이 밸브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기포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공기기포관(13)과 일정량의 물이 수용된 저장용기(10), 상기 저장용기(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물 유입방지부재(20), 상기 물 유입방지부재(2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들이마시도록 마련되는 마스크(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는 저장용기(10) 내부에 소정량의 물을 수용하고, 미세먼지, 황사, 다이옥신, 퓨란 등의 유해물질을 물로 필터링하여 정화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의 저장용기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는 물을 수용하는 저장용기(10)와 상기 저장용기(10)에 수용된 물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는 물 유입방지부재(20) 및 상기 물 유입방지부재(2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장용기(10)는 일정량의 물이 수용되도록 내부공간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저장용기(10)의 내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유입관(12)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유입관(12)은 형태적인 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주름관 또는 플렉시블관으로 이루어지며, 내부공간부(11)에는 공기유입관(12)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기포로 배출시키는 공기기포관(13)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기포관(13)은 저장용기(10)의 내부공간부(11) 바닥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며, 공기기포관(13)에는 공기유입관(12)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내부공간부(11)로 배출되면서 기포가 발생되도록 미세한 직경의 기포구멍(14)이 다수 형성된다.
즉, 공기기포관(13)은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내부공간부(11)에 수용된 물에 기포로 공급하는 것으로, 외부공기가 내부공간부(11)로 이동되면서 기포로 배출되게 기포구멍(14)을 형성한다.
또한 공기유입관(12)으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기포관(13)의 미세구멍(14)을 통해 기포로 배출됨에 따라 내부공간부(11)에 수용된 물과의 접촉 시 표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유입관(12)으로 유입된 공기는 물에 의해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황사, 다이옥신(Dioxin), 퓨란(Furan), 다륜성 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스티렌(Styrene), 납 및 카드뮴을 포함한 중금속(Heavy Metals including Lead and Cadmium) 등을 물에 의해 필터링된다.
상기 미세먼지와 황사 등은 물에 흡착되어 필터링이 이루어지게 되며, 황화수소, 다륜성 방향족탄화수소 등은 물에 용해되고, 다이옥신, 퓨란, 중금속 등은 응고점과 액화점이 상온의 물의 평균 온도보다 낮아 물에 혼합되어 필터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허리 등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후크(15)가 설치된다. 상기 후크(15) 등은 허리의 벨트 등에 끼워져 착용될 수 있도록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크(15)는 탄성을 갖는 밴드, 벨트 등의 부착부재에 의해 저장용기(10)에 안정되게 장착된다.
또한 저장용기(10)의 내부 상측에는 물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들이마실 수 있도록 하는 물 유입방지부재(20)가 설치된다.
상기 물 유입방지부재(20)는 상기 저장용기(10)에 채워진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물받이(21)와 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물받이(21)의 하단에 설치되는 방지판(22)을 포함한다.
상기 물 유입방지부재(20)는 물에 의해 정화된 공기만을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의 일구가 좁게 형성되고, 상부가 넓게 형성되며, 정화된 공기의 이동 시 물이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
즉, 물받이(21)는 공기의 흡입에 따라 물이 물받이(21) 내부로의 유입을 줄이기 위하여 하부의 입구를 좁게 형성하고, 상부를 넓게 형성한다. 또한 물받이(21)의 입구에는 내부공간부(11)의 채워진 물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방지판(22)이 다수로 겹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물받이(21)는 그 형상에 의해 물의 유입을 차단시켜 주며, 방지판(22)은 물의 수면으로부터 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설치되고, 방지판(22)에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마스크(30)는 착용자의 입과 코의 전면에 착용되는 마스크본체(31), 상기 마스크본체(31)가 안정되게 착용되도록 귀에 걸리는 귀걸이(32), 상기 저장용기(10)에서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연결되는 연결호스(37)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크본체(31)는 착용자의 입과 코의 전면을 덮어줌으로써,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시켜 주며, 마스크본체(31)에는 안정되게 착용이 이루어지도록 귀에 걸리는 귀걸이(32)가 고정된다.
아울러 마스크본체(31)에는 저장용기(10)에서 정화된 공기로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원웨이밸브(33)가 설치된다. 상기 원웨이밸브(33)는 저장용기(10)에서 정화된 공기가 마스크본체(31)로 유입되게 하는 제1 원웨이밸브(34)와 착용자의 날숨을 마스크본체(3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원웨이밸브(35)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스크(30)는 상기 연결호스(37)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10)에서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설치되는 제1 원웨이밸브(34)와 상기 마스크본체(31)의 전면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날숨이 배출되게 설치되는 제2 원웨이밸브(35)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용기(10)에는 뚜껑(36)이 체결되며, 상기 뚜껑(36)과 제1 원웨이밸브(34) 사이에는 정화된 공기가 이동되는 연결호스(37)가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의 원웨이 밸브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웨이밸브(33)는 양단이 서로 다른 직경으로 개방된 중공의 밸브본체(33a)와 상기 밸브본체(33a)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볼(33b)과 상기 차단볼(33b)을 탄성적으로 밀어주는 스프링(33c)으로 이루어진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는 저장용기(10)의 내부에 물이 채워지도록 내부공간부(11)를 형성하며, 저장용기(10)의 외부에서 내부공간부(11)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게 공기유입관(12)을 설치한다.
아울러 공기유입관(12)의 선단, 즉 저장용기(10)의 내부 바닥면에는 공기유입관(12)과 연결되는 공기기포관(13)을 설치하며, 공기기포관(13)에는 외부공기가 내부공간부(11)로 배출되면서 기포가 발생되도록 미세한 기포구멍(14)을 형성한다.
또 저장용기(10)에는 착용자의 허리 등에 착용할 수 있도록 후크(15)를 설치한다.
상기 내부공간부(11)의 상부에는 정화된 공기의 배출 시 물이 동시에 유입되지 않도록 물 유입방지부재(20)를 설치한다.
상기 물 유입방지부재(20)는 하부의 입구가 좁고 상부가 넓게 형성되는 물받이(21)와 상기 물받이(21)에 설치되는 방지판(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받이(21)는 공기의 배출 시 물의 유입을 최소화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며, 물받이(21)의 입구에는 물방울 등이 유입되지 않게 차단하는 방지판(22)을 설치한다.
상기 방지판(22)에는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공기구멍(미도시)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마스크(30)는 저장용기(10)에서 정화된 공기로 호흡되게 하는 것으로, 상기 마스크본체(31)에는 안정되게 착용되도록 귀걸이(32)를 설치한다.
또 마스크본체(31)의 하부에는 연결호스(37)와 연결되는 제1 원웨이밸브(34)를 설치하고, 마스크본체(31)의 전면에는 착용자의 호흡에 따른 날숨을 배출시키는 제2 원웨이밸브(35)를 설치한다.
상기 원웨이밸브(33)는 일정 직경을 갖는 밸브본체(33a)의 양단에 각각 다른 직경의 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밸브본체(33a)의 일측에 밀착되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볼(33b)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차단볼(33b)이 통공에 밀착되도록 탄성을 갖는 스프링(33c)을 설치한다.
또한 제1 원웨이밸브(34)에는 연결호스(37)의 일단을 연결하고, 연결호스(37)의 타단을 뚜껑(36)에 연결하며, 상기 뚜껑(36)은 저장용기(10)의 상부에 체결한다.
즉, 연결호스(37)는 물 유입방지부재(2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마스크본체(31)로 공급되게 연결되어 저장용기(10)에서 정화된 공기를 마스크(30)로 공급되게 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a)는 마스크본체(31)에 제1 원웨이밸브(34)와 제2 원웨이밸브(35)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착용자의 날숨이 제2 원웨이밸브(35)를 통해 배출되면서 제1 원웨이밸브(34)로 공기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착용자의 들숨에 의해 물을 거치면서 정화된 공기가 제1 원웨이밸브(34)를 통해 유입되면서 제2 원웨이밸브(35)가 차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는 마스크(30)를 얼굴에 착용하고, 물이 채워진 저장용기(10)는 후크(15)를 이용하여 허리 등에 착용하게 된다.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날숨 호흡을 하게 됨에 따라 마스크본체(31)의 내부의 기압이 낮아지게 됨과 함께 저장용기(10)의 내부공간부(11)의 기압도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공기는 공기유입관(12)을 통해 공기기포관(13)으로 유입되고, 공기기포관(13)으로 유입된 공기는 기포구멍(14)을 통해 기포로 배출됨에 따라 공기의 표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물과의 접촉면적이 확대된다.
상기 공기유입관(12)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물과 접촉되면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황사 등의 입자상의 물질이 물에 흡착되어 걸러지게 된다.
또 황화수소, 다륜성 방향족탄화수소 등은 물에 용해되어 걸러지게 되고, 다이옥신, 퓨란, 중금속 등은 액화점과 응고점이 상온의 물의 평균 온도보다 낮아 물에 혼합되어 필터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정화된 공기는 물의 수면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공기는 착용자의 들숨에 의해 물 유입방지부재(20)의 방지판(22)을 거쳐 물받이(21) 내부로 이동되어 연결호스(37)를 통해 마스크본체(31)로 공급된다.
이에 착용자는 미세먼지, 황사, 다이옥신, 다륜성 방향족탄화수소, 스티렌, 중금속 등이 걸러진 깨끗한 공기를 들이마실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저장용기 11: 내부공간부
12: 공기유입관 13: 공기기포관
14: 기포구멍 15: 후크
20: 물 유입방지부재 21: 물받이
30: 마스크 31: 마스크본체
32: 귀걸이 33: 원웨이밸브
33a: 밸브본체 33b: 차단볼
33c: 스프링 34: 제1 원웨이밸브
35: 제2 원웨이밸브 36: 뚜껑
37: 연결호스

Claims (5)

  1. 변형이 자유로운 플렉시블관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유입관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내부공간부에 공급되도록 하면서 미세한 직경의 기포구멍을 형성한 공기기포관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기포가 내부공간부에 일정량 채워진 물과의 접촉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하여 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들이 물에 의해 필터링되도록 하는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하부의 입구는 좁고 상부는 넓게 형성되는 물받이의 입구가 좁게 형성되도록 한 하부에 내부공간부에 채워진 물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복수로 겹쳐지도록 방지판이 설치되도록 하는 물 유입방지부재;
    상기 물 유입방지부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들이마시도록 마련되는 마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착용자의 입과 코의 전면에 착용되는 마스크본체;
    상기 마스크본체가 안정되게 착용되도록 귀에 걸리는 귀걸이;
    상기 저장용기에서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연결되는 연결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상기 연결호스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에서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설치되는 제1 원웨이밸브;
    상기 마스크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날숨이 배출되게 설치되는 제2 원웨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
KR1020170098297A 2017-08-02 2017-08-02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 Expired - Fee Related KR101873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297A KR101873011B1 (ko) 2017-08-02 2017-08-02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297A KR101873011B1 (ko) 2017-08-02 2017-08-02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011B1 true KR101873011B1 (ko) 2018-07-02

Family

ID=6291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297A Expired - Fee Related KR101873011B1 (ko) 2017-08-02 2017-08-02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0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642B1 (ko) * 2018-12-31 2020-02-2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급기펌프를 이용한 비상 마스크
CN111053982A (zh) * 2020-01-14 2020-04-24 王锐 一种水滤式防尘口罩
KR20200113548A (ko) * 2019-03-25 2020-10-07 임성환 미세먼지 필터링용 마스크
KR20210128131A (ko) 2020-04-16 2021-10-26 정유석 필터 타입 마스크
KR20220108960A (ko) * 2021-01-28 2022-08-04 여영호 오염기체 여과 처리 공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901B1 (ko) 2016-07-15 2016-12-13 최연옥 휴대용 공기정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901B1 (ko) 2016-07-15 2016-12-13 최연옥 휴대용 공기정화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642B1 (ko) * 2018-12-31 2020-02-2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급기펌프를 이용한 비상 마스크
KR20200113548A (ko) * 2019-03-25 2020-10-07 임성환 미세먼지 필터링용 마스크
KR102211003B1 (ko) * 2019-03-25 2021-02-02 임성환 미세먼지 필터링용 마스크
CN111053982A (zh) * 2020-01-14 2020-04-24 王锐 一种水滤式防尘口罩
CN111053982B (zh) * 2020-01-14 2024-03-15 王锐 一种水滤式防尘口罩
KR20210128131A (ko) 2020-04-16 2021-10-26 정유석 필터 타입 마스크
KR20220108960A (ko) * 2021-01-28 2022-08-04 여영호 오염기체 여과 처리 공급장치
KR102503335B1 (ko) * 2021-01-28 2023-02-24 여영호 오염기체 여과 처리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011B1 (ko)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
KR101232333B1 (ko) 다기능 마스크
US6584975B1 (en) Respirator mask for filtering breathed air
KR101944498B1 (ko) 고기능 필터가 구비된 마스크
KR101639265B1 (ko)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
JP4767942B2 (ja) 呼吸用保護具
EA032668B1 (ru) Респираторная маска и фильтрующий картридж для нее
CN104757711B (zh) 防护型环保口罩
US20190070441A1 (en) Compact air filter mask
KR20150063904A (ko) 물 필터 마스크
US3980080A (en) Air filtration gas mass
KR102333134B1 (ko) 센서를 구비한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JP2007529255A5 (ko)
KR100828132B1 (ko) 호흡저항을 최소화 한 운동용 방진 장치
US8066005B2 (en) Complex respirator
KR102120473B1 (ko)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KR101011615B1 (ko) 공기호흡장치가 장착된 의복
US7404401B1 (en) Water respirator filter
US20220193467A1 (en) Adsorption filter structure or purification module and helmet comprising the same
KR101861319B1 (ko) 물필터 마스크
KR102067401B1 (ko) 마스크 기구
KR200285213Y1 (ko) 삽입형 간이 마스크 장치
KR100932838B1 (ko) 화재용 공기 정화 호흡 장치
KR101847152B1 (ko) 역세척 가능한 멤브레인 일체형 공기호흡장치가 장착된 헬멧
CN107158594A (zh) 吸管式水质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