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2822B1 -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822B1
KR101872822B1 KR1020170057138A KR20170057138A KR101872822B1 KR 101872822 B1 KR101872822 B1 KR 101872822B1 KR 1020170057138 A KR1020170057138 A KR 1020170057138A KR 20170057138 A KR20170057138 A KR 20170057138A KR 101872822 B1 KR101872822 B1 KR 101872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ock plate
housing
locking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찬
강전일
백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to KR1020170057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82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18Location of the latch in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62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 B60N2/0875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in a vertical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고정되는 어퍼 레일의 로어 레일에 대한 상대적인 전후 슬라이드를 로킹 및 언로킹 시켜주는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어퍼 레일의 내측 공간에 전후 이격하여 수용되며 각각 좌우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어퍼 레일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된 개방홀을 관통하는 복수의 치(teeth)가 로어 레일측 로킹홈에 삽입되는 상부의 로킹위치와 하부의 언로킹위치 간을 승강하는 복수의 록 플레이트와; 어퍼 레일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록 플레이트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복수의 록 플레이트를 상기 로킹위치로 가압하는 탄성가압수단; 및 외력에 의해 하강할 경우 상기 복수의 록 플레이트를 상기 언로킹위치로 하강시키는 록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록 플레이트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록 플레이트와 제2 록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제1 록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전후 길이방향으로의 유동이 차단된 상태로 승강 가이드되는 반면, 상기 제2 록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전후 길이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유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승강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로킹 시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로어 레일측 로킹홈의 사이즈 내지 위치 상에 제조상의 오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로킹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해준다.

Description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MODULAR LOCKING SYSTEM FOR VEHILCE SEAT TRACK}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고정되는 어퍼 레일의 로어 레일에 대한 상대적인 전후 슬라이드를 로킹 및 언로킹 시켜주는 로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퍼 레일에의 체결이 용이한 모듈타입의 로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유사한 컨셉의 종래기술로는 미국특허 제6,113,051호 'SLIDE FOR AUTOMOBILE VEHICLE SEATS'(등록일자: 2000.09.05.)에 개시된 바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레일(2) 내에 설치되는 로킹 수단(3)이 언로킹 제어 수단(6)에 의해 승강 제어됨으로써 측면의 개구(25)를 통해 돌출되는 치(teeth, 32)가 로어 레일(1)측 노치(14)에 삽입 또는 이탈함에 따라 로어 레일(1)에 대한 어퍼 레일(2)의 로킹 또는 언로킹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을 취한다.
그러나, 상기 미국특허 제6,113,051호에 개시된 발명은 로킹을 유지하는 치(32)의 개수가 적어 전후방향의 충격에 대비한 충분한 지지강도를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전후 방향으로 치(32)의 개수를 늘이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겠으나 모든 치(32)에 정확히 일치하는 노치(14)의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 정밀도를 확보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제조상의 효율성 내지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국특허에 후속하는 발명으로서 미국특허 제9,205,763호 'SEAT-TRACK ASSEMBLY'(등록일자: 2015.12.08.)에 개시된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2개의 로킹 포올(locking pawl, 146)을 마련하여 일견할 때 이들 로킹 포올(146)에 의한 지지강도가 2배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겠으나, 실은 2개의 포올(146) 간 1/2 피치(pitch)만큼의 위상차를 둠으로써 로킹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도 3에서는 좌측) 포올(146)이 로어 트랙(118)의 로킹홈(132)에 삽입될 때 타측(도 3에서는 우측) 포올(146)은 반드시 돌출부(134)에 걸리게 되어 결국 로킹 시의 지지강도는 여전히 하나의 포올(146)만으로 부담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에 비해 로킹 시의 지지강도를 월등히 향상시키되 특히 로어 레일측 로킹홈의 사이즈 내지 위치 상에 어느 정도의 제조 오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로킹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해주는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대면하는 좌우의 내측면에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로킹홈이 형성된 로어 레일과; 상기 로어 레일의 내측에서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좌우 양측면에 복수의 개방홀이 형성된 어퍼 레일과; 상기 어퍼 레일의 내측 공간에 전후 이격하여 수용되며, 각각 좌우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방홀을 관통하는 복수의 치(teeth)가 상기 로킹홈에 삽입되는 상부의 로킹위치와 상기 복수의 치가 상기 로킹홈으로부터 이탈하는 하부의 언로킹위치 간을 승강하는 복수의 록 플레이트와; 상기 어퍼 레일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록 플레이트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복수의 록 플레이트를 상기 로킹위치로 가압하는 탄성가압수단; 및 상기 복수의 록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외력에 의해 하강 시 상기 복수의 록 플레이트를 가압하여 상기 로킹위치로부터 상기 언로킹위치로 하강시키는 록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록 플레이트는 상기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록 플레이트와 제2 록 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제1 록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상기 전후 길이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유동이 차단된 상태로 승강 가이드되는 반면, 상기 제2 록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상기 전후 길이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유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승강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록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치를 승강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1 수직 가이드홈과, 상기 제2 록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치를 승강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2 수직 가이드홈을 가지되, 상기 제2 수직 가이드홈은 상기 제2 록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치보다 전후 폭이 더 넓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록 플레이트의 상기 전후 길이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상기 제1 록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록 플레이트를 상하로 관통하여 승강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핀과 제2 가이드핀이 상기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 록 플레이트는 내측 중앙에 상기 제2 가이드핀이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이드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전후 길이방향으로의 직경이 가로방향의 직경보다 더 큰 타원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록 플레이트가 상기 전후 길이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유동이 이루어지게 도와주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가압수단은 상기 제1 가이드핀과 상기 제2 가이드핀의 각 외주연에 끼워지는 복수의 코일스프링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상기 복수의 록 플레이트, 상기 탄성가압수단 및 상기 록 스위치를 수용하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를 통해 상기 어퍼 레일의 상단면부의 저면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어퍼 레일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록 스위치는 상기 하우징 커버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작동핀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핀은 상기 어퍼 레일의 상단면부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작동핀이 상기 외력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하강하여 상기 복수의 록 플레이트를 가압하여 상기 로킹위치로부터 상기 언로킹위치로 하강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에 의하면, 로킹 동작 시 어퍼 레일측 복수의 록 플레이트에 형성된 모든 치(teeth)가 동시에 로어 레일측 로킹홈에 삽입되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로킹력을 약 2배 증가시킨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로어 레일측 로킹홈의 사이즈나 위치 사에 제조오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제2 록플레이트가 전후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상태에서 승강되므로 다소 어긋난 위치의 로킹홈에도 원활히 삽입되어 로킹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시트 트랙용 로킹 시스템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기술에 따른 차량 시트 트랙용 로킹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차량 시트 트랙용 로킹 시스템의 로킹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의 주요부에 해당하는 로킹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의 로킹상태 및 언로킹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7은 도 5의 로킹 모듈의 결합된 상태의 저면도,
도 8a 및 도 8b, 도 9a 및 도 9b는 도 4의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의 다양한 로킹상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어 레일(210)과 어퍼 레일(220), 어퍼 레일(220)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는 로킹 모듈(230), 어퍼 레일(220)측에 설치되어 로킹 모듈(230)을 동작시키기 위한 하울레버(251) 및 기타 매개요소들(2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로어 레일(210)은 서로 대면하는 좌우의 내측면(211)에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로킹홈(212)이 형성된다.
어퍼 레일(220)은 로어 레일(210)의 내측에서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중간 부분에는 좌우 양측면으로 복수의 개방홀(221)이 형성된다.
로킹 모듈(230)은 어퍼 레일(220)의 내측 공간에서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본체(231)와 하우징 커버(232)를 통해 상기 어퍼 레일(220)의 상단면부(222) 저면에 볼트 체결된다.
로킹 모듈(230)의 세부구성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31)의 내측 공간에 전후로 이격하여 제1 록 플레이트(233)와 제2 록 플레이트(234)가 승강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 본체(231)의 내측 공간에는 전후로 이격하여 제1 가이드핀(231a)과 제2 가이드핀(231b)이 구비되고, 제1 록 플레이트(233)와 제2 록 플레이트(234)의 각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233a, 234a)을 관통하여 상하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제1 록 플레이트(233)와 제2 록 플레이트(234)가 일정하게 구속된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하우징 본체(231)의 좌우 벽체(231c, 231d)에 제1 수직 가이드홈(231e)과 제2 수직 가이드홈(231f)이 형성되어 각각 제1 록 플레이트(233)와 제2 록 플레이트(234)의 각 좌우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치(233b, 234b)를 승강 가이드한다.
제1 가이드핀(231a)과 제2 가이드핀(231b)의 외주연으로는 각각 코일스프링(235)이 끼워져 제1 록 플레이트(233)와 제2 록 플레이트(234)를 상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제1 록 플레이트(233)와 제2 록 플레이트(234)의 상부에는 록 스위치(236)가 배치된다. 록 스위치(236)는 상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작동핀(236a)이 하우징 커버(232)의 개구(232a)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고, 다시 어퍼 레일(도 4의 220)측 상단면부(222)에 형성된 개구(222a)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돌출된 작동핀(236a)을 하부로 가압하는 경우 록 스위치(236)는 판면을 통해 하부의 제1 록 플레이트(233)와 제2 록 플레이트(234)가 하강 슬라이드된다.
구체적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 플레이트(233, 234)는 각각 코일스프링(235)에 의해 가압 상승된 로킹위치에서 좌우측 단부의 치(233b, 234b)가 어퍼 레일(220)측 개방홀(221)을 통과하여 로어 레일(210)측 로킹홈(212)에 삽입된다.
이때, 어퍼 레일(220)의 상부로 돌출된 작동핀(236a)이 외부요소(252)에 의해 가압되어 하강할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록 플레이트(233, 234)가 하강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언로킹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록 플레이트의 좌우측 단부의 치(233b, 234b)가 로어 레일(210)측 로킹홈(212)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게 된다. 이에 따라 어퍼 레일(220)에 대한 로킹이 해제됨으로써 로어 레일(210)에 대한 상대적인 전후 슬라이드가 가능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200)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록 플레이트(233)의 좌우(도면에서는 상하) 양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치(233b)가 삽입되는 하우징 본체(231)측 제1 수직 가이드홈(231e)의 폭이 상기 치(233b)와 거의 일치하게 형성됨으로써 제1 록 플레이트(233)가 전후(도면에서는 좌우) 길이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상하 슬라이드되도록 가이드되는 반면, 제2 록 플레이트(234)의 치(234b)가 삽입되는 제2 수직 가이드홈(231f)의 폭(W1)은 상기 치(234b)의 폭(W2)보다 다소 넓게 형성됨으로써 제2 록 플레이트(234)는 전후(도면에서는 좌우) 길이방향으로 어느 정도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이에 맞추어 제2 록 플레이트(234)의 관통공(234a)은 전후(도면에서는 좌우) 길이방향의 직경이 가로방향(도면에서는 상하방향)의 직경보다 더 큰 타원으로 형성됨으로써 원형의 제2 가이드핀(231b)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상기와 같이 전후 길이방향의 유동이 이루어지게 도와주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록 플레이트(233)에 비해 제2 록 플레이트(234)가 상대적으로 전후 길이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로어 레일(210)측 로킹홈(212)의 피치(pitch) 즉, 전후 간격이나 홈 사이즈에 전후방향으로 미세한 오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록 플레이트(234)가 후방으로(도면에서는 우측으로) 유동하여 다소 어긋난 위치의 로킹홈(212)에 삽입되거나,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도면에서는 좌측으로) 유동하여 다소 어긋난 위치의 로킹홈(212)에 삽입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록 플레이트(234)는 중앙의 관통공(도 7의 234a)이 제2 가이드핀(231b)에 삽입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로어 레일(210)측 좌우 내측면(도 4의 211)에 형성된 로킹홈(212)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정확히 일치하지 못하고 다소 어긋난 경우에도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록 플레이트(234)가 반시계방향으로 다소 회전하여 다소 어긋난 위치의 로킹홈(212)에 삽입되거나,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다소 회전하여 다소 어긋난 위치의 로킹홈(212)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200)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상기에서 설명된 바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곤란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200: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
210: 로어 레일 211: 내측면
212: 로킹홈 220: 어퍼 레일
221: 개방홀 222: 상단면부
222a: 개구 230: 로킹 모듈
231: 하우징 본체 231a: 제1 가이드핀
231b: 제2 가이드핀 231c, 231d: 벽체
231e: 제1 수직 가이드홈 231f: 제2 수직 가이드홈
232: 하우징 커버 233: 제1 록 플레이트
233a: 관통공 233b: 치(teeth)
234: 제2 록 플레이트 234a: 관통공
234b: 치 235: 코일스프링
236: 록 스위치 236a: 작동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대면하는 좌우의 내측면에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로킹홈이 형성된 로어 레일과;
    상기 로어 레일의 내측에서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좌우 양측면에 복수의 개방홀이 형성된 어퍼 레일과;
    상기 어퍼 레일의 내측 공간에 전후 이격하여 수용되며, 각각 좌우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방홀을 관통하는 복수의 치(teeth)가 상기 로킹홈에 삽입되는 상부의 로킹위치와 상기 복수의 치가 상기 로킹홈으로부터 이탈하는 하부의 언로킹위치 간을 승강하는 복수의 록 플레이트와;
    상기 어퍼 레일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록 플레이트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복수의 록 플레이트를 상기 로킹위치로 가압하는 탄성가압수단; 및
    상기 복수의 록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외력에 의해 하강 시 상기 복수의 록 플레이트를 가압하여 상기 로킹위치로부터 상기 언로킹위치로 하강시키는 록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록 플레이트는 상기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록 플레이트와 제2 록 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제1 록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상기 전후 길이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유동이 차단된 상태로 승강 가이드되는 반면, 상기 제2 록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상기 전후 길이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유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승강 가이드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록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치를 승강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1 수직 가이드홈과, 상기 제2 록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치를 승강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2 수직 가이드홈을 가지되, 상기 제2 수직 가이드홈은 상기 제2 록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치보다 전후 폭이 더 넓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록 플레이트의 상기 전후 길이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상기 제1 록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록 플레이트를 상하로 관통하여 승강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핀과 제2 가이드핀이 상기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록 플레이트는 내측 중앙에 상기 제2 가이드핀이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이드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전후 길이방향으로의 직경이 가로방향의 직경보다 더 큰 타원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록 플레이트가 상기 전후 길이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유동이 이루어지게 도와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수단은
    상기 제1 가이드핀과 상기 제2 가이드핀의 각 외주연에 끼워지는 복수의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상기 복수의 록 플레이트, 상기 탄성가압수단 및 상기 록 스위치를 수용하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를 통해 상기 어퍼 레일의 상단면부의 저면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어퍼 레일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록 스위치는
    상기 하우징 커버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작동핀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핀은 상기 어퍼 레일의 상단면부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작동핀이 상기 외력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하강하여 상기 복수의 록 플레이트를 가압하여 상기 로킹위치로부터 상기 언로킹위치로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
KR1020170057138A 2017-05-08 2017-05-08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872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138A KR101872822B1 (ko) 2017-05-08 2017-05-08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138A KR101872822B1 (ko) 2017-05-08 2017-05-08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822B1 true KR101872822B1 (ko) 2018-07-02

Family

ID=62914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138A Expired - Fee Related KR101872822B1 (ko) 2017-05-08 2017-05-08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8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26839A (zh) * 2018-12-17 2021-08-06 麦格纳座椅公司 用于动力长导轨组件的环形闩锁释放装置
DE102020129031A1 (de) 2020-11-04 2022-05-05 Sitech Sp. Z O.O. Verriegelungsmechanismus für eine Sitzschie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523B1 (ko) * 2015-12-01 2016-04-26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로킹시스템을 갖는 차량용 시트트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523B1 (ko) * 2015-12-01 2016-04-26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로킹시스템을 갖는 차량용 시트트랙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26839A (zh) * 2018-12-17 2021-08-06 麦格纳座椅公司 用于动力长导轨组件的环形闩锁释放装置
CN113226839B (zh) * 2018-12-17 2023-09-05 麦格纳座椅公司 用于动力长导轨组件的环形闩锁释放装置
DE102020129031A1 (de) 2020-11-04 2022-05-05 Sitech Sp. Z O.O. Verriegelungsmechanismus für eine Sitzschiene
EP3995355A1 (de) * 2020-11-04 2022-05-11 Sitech Sp. z o.o. Verriegelungsmechanismus für eine sitzschie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9452B2 (en) Brake assembly for a stroller
US7387336B2 (en) Child seat
KR101872822B1 (ko) 차량 시트 트랙용 모듈타입 로킹 시스템
CN205440034U (zh) 用于锁定车辆座椅轨道的装置
US8899678B2 (en) Reclinable child seat assembly
US20140008951A1 (en) Pivotal handle lock/release mechanism for child car seat
JP5662070B2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US20140042289A1 (en) Slide rail device for vehicle
US8376460B2 (en) Seat track assembly
US8800948B2 (en) Seat slide locking apparatus
US9132756B1 (en) Head restraint assemblies
KR20130092177A (ko)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CN103874603A (zh) 座椅轨道滑动装置中的锁定机构
WO2008110773A1 (en) A movable load surface
JP6317177B2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の組立方法及び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の組立装置
US20160339808A1 (en) Center seat stopper control
US8840182B2 (en) Seat structure
KR20120049080A (ko) 자동차의 연료 도어 개폐장치
JP5933023B2 (ja) スライドレール機構及び車両用シート
US11760174B2 (en) Flush glass apparatus
JP2006168688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6289932B2 (ja) 車両用スライドシート装置
KR20200048671A (ko) 차량용 시트 레일 록킹 장치
CN113022392B (zh) 一种汽车座椅靠背调节装置
KR102111675B1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