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1846B1 -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 - Google Patents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846B1
KR101871846B1 KR1020180024712A KR20180024712A KR101871846B1 KR 101871846 B1 KR101871846 B1 KR 101871846B1 KR 1020180024712 A KR1020180024712 A KR 1020180024712A KR 20180024712 A KR20180024712 A KR 20180024712A KR 101871846 B1 KR101871846 B1 KR 101871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double rotary
rotary part
unit
recycled aggreg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각
유명열
Original Assignee
김종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각 filed Critical 김종각
Priority to KR1020180024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84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진동스크린이나 원통형 선별기로 이루어진 순환골재용 분리선별장치의 경우에, 일체형 고정식구조로 되어 있어서, 순환골재의 양과 사용목적에 따라 가변형으로 높이조절이 어려워, 단지, 진동스크린길이나 원통형 선별기의 길이를 길게 하여, 선별시키기 때문에, 부피가 커지고, 선별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과, 순환골재에 붙은 이물질(부유물)이 쉽게 선별되지 않아, 양질의 순환골재 생산이 어렵고, 선별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가 대기중으로 배출되어 대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메인본체(100), 호퍼(200), 세척노즐부(300),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400), 회전모듈(500), 경사형 이중로터리부(600), 진동모듈(700), 이송컨베이어부(800), PLC 컨트롤러부(900)로 구성됨으로서,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구조를 갖는 하나의 장치를 통해, 회전모듈의 회전모션에 따라 전달된 순환골재 10mm~40mm을 배출홈을 통해 이송컨베이어쪽으로 배출시키고,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의 선단을 타고 넘어온 순환골재에 혼합된 부유이물질과, 슬러지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진동으로 물기를 탈수시킬 수 있어, 기존에 비해 전체 선별장치의 설치공간과 부피를 60% 이하로 줄일 수 있고, 선별속도를 기존에 비해 2배~4배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정면도상에서 바라봤을 때, 좌우 정경사구조로 기울어져 있어, 투입된 순환골재와 물이 좌우 정경사구조의 선단부에 낙하와 동시에 공존한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선별시 발생되는 비산먼지발생율을 기존에 비해, 90% 이하로 낮출 수 있으며, 메인본체의 하단부에 위치한 경사형 이중로터리부 지지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시켜,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전후역경사구조의 각도를 조절시킬 수 있고, PLC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호퍼에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과,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좌우 정경사구조 각도에 따라 세척수의 세기, 회전모듈의 회전속도, 진동의 세기, 이송컨베이어부의 이송속도를 맞춤형으로 제어할 수 있어, 이물질과 미분이 분리된 양질의 순환골재를 맞춤형 자동생산할 수 있는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THE SORTING AND DEWATERING BY USING A DOUBLE ROTARY ROTATION MACHINE}
본 발명에서는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구조를 갖는 하나의 장치를 통해, 회전모듈의 회전모션에 따라 전달된 순환골재 10mm~40mm을 배출홈을 통해 이송컨베이어쪽으로 배출시키고,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의 선단을 타고 넘어온 순환골재에 혼합된 부유이물질과, 미분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진동으로 물기를 탈수시킬 수 있는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 크라샤를 통해 분쇄된 순환골재에는 천, 종이, 나무 등과 같은 유기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분리선별장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서, 건축 자재 또는 도로포장재 등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분리선별하게 된다.
즉, 종래 순환골재용 분리선별장치는 천이나 종이 또는 나무와 같은 유기이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순환골재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그중 진동스크린과 송풍기를 일체화시켜 사용하거나, 수조 탱크와 탈수 스크린을 일체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종래 순환골재용 이물질 분리선별장치의 경우에, 일체형 고정식구조로 되어 있어서, 순환골재의 양과 사용목적에 따라 순환골재에 붙은 이물질(부유물)이 쉽게 선별되지 않아, 양질의 순환골재 생산이 어렵고, 무엇보다, 스크린과 송풍기를 사용하는 방식은 비산먼지가 대기중으로 배출되어 대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수조를 사용하는 방식은 충분한 부상공간을 확보하고 탈수하기 위한 별도의 시설을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공간의 문제와 함께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특허등록 제US 8,381,916 B2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구조를 갖는 하나의 장치를 통해, 회전모듈의 회전모션에 따라 전달된 순환골재 10mm~40mm을 배출홈을 통해 이송컨베이어쪽으로 배출시키고,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의 선단을 타고 넘어온 순환골재에 혼합된 부유이물질과, 슬러지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진동으로 물기를 탈수시킬 수 있고, 정면도상에서 바라봤을 때, 좌우 정경사구조로 기울어져 있어, 투입된 순환골재와 물이 좌우 정경사구조의 선단부에 낙하와 동시에 공존한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으며, 메인본체의 하단부에 위치한 경사형 이중로터리부 지지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시켜,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전후역경사구조에 대한 각도를 조절시킬 수 있고, PLC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호퍼에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과,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좌우 정경사구조 각도에 따라 세척수의 세기, 회전모듈의 회전속도, 진동의 세기, 이송컨베이어부의 이송속도를 맞춤형으로 제어할 수 있는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는
팽이형상의 좌우 정경사구조로 이루어져, 외압으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메인본체(100)와,
메인본체의 상단 일측에 위치되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상단방향으로 순환골재와 물을 투입시키는 호퍼(200)와,
메인본체의 상단 타측에 위치되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상단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세척노즐부(300)과,
달팽이관 구조로 이루어지고,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중심축 부위에 배출홈을 형성시켜, 회전모듈의 회전모션에 따라 전달된 순환골재 10mm~40mm을 배출홈을 통해 이송컨베이어쪽으로 배출시키는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400)와,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단 일측에 형성되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모듈(500)과,
호퍼 하단에 위치되고,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가 중앙에 위치되도록 포함하면서 형성되고, 메인본체의 좌우 정경사구조와 동일하게 기울어져 형성되어, 진동모듈의 진동모션과 회전모듈의 회전력에 따라,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의 선단을 타고 넘어온 순환골재에 혼합된 부유이물질 및, 슬러지와 물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진동으로 물기를 탈수시키면서, 회전력에 의해 순환골재 10mm~40mm를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로 전달시키는 경사형 이중로터리부(600)과,
경사형 이중로터리부를 기준으로, 정면으로 바라봤을 때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좌측하단에 위치되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에 진동모션을 생성시키는 진동모듈(700)과,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순환골재 10mm~40mm를 이송시키고, 경사형 이중로터리부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부유이물질 및, 슬러지와 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부(800)와,
호퍼, 세척노즐부, 회전모듈, 경사형 이중로터리부, 진동모듈, 이송컨베이어부와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호퍼에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과,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좌우 정경사구조 각도에 따라 세척수의 세기, 회전모듈의 회전속도, 진동의 세기, 이송컨베이어부의 이송속도를 맞춤형으로 제어하는 PLC 컨트롤러부(900)가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구조를 갖는 하나의 장치를 통해, 회전모듈의 회전모션에 따라 전달된 순환골재 10mm~40mm을 배출홈을 통해 이송컨베이어쪽으로 배출시키고,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의 선단을 타고 넘어온 순환골재에 혼합된 부유이물질과, 슬러지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진동으로 물기를 탈수시킬 수 있어, 기존에 비해 전체 선별장치의 설치공간과 부피를 60% 이하로 줄일 수 있고, 선별속도를 기존에 비해 2배~4배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정면도상에서 바라봤을 때, 좌우 정경사구조로 기울어져 있어, 투입된 순환골재와 물이 좌우 정경사구조의 선단부에 낙하와 동시에 공존한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선별시 발생되는 비산먼지발생율을 기존에 비해, 90% 이하로 낮출 수 있다.
셋째, 메인본체의 하단부에 위치한 경사형 이중로터리부 지지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시켜,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전후역경사구조의 각도를 조절시킬 수 있다.
넷째, PLC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호퍼에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과,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좌우 정경사구조 각도에 따라 세척수의 세기, 회전모듈의 회전속도, 진동의 세기, 이송컨베이어부의 이송속도를 맞춤형으로 제어할 수 있어, 이물질과 미분이 분리된 양질의 순환골재를 맞춤형 자동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퍼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슈트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이중로터리부 상에 스크레이퍼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PLC 컨트롤러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의 동작과정을 사시도방향에서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의 동작과정을 정단면도방향에서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호퍼로부터 미선별된 순환골재가 낙하되면, 미선별된 순환골재와, 세척노즐부를 통해 분사된 세척수가, 정면도상에서 바라봤을 때 좌측 선단에 같이 혼합되어 위치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제1 로터리부에서 부유이물질 및 슬러지와 물이 하단의 경사형 제2 로터리부쪽으로 선단벽을 타고 넘어가도록 흘러보내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표면구조가 달팽이관구조로 형성되어, 배출홈 방향으로 갈수록, 선단부의 높이보다 점점 낮아져, 회전모듈의 회전모션에 따라 전달된 순환골재 10mm~40mm이 회전되면서 배출홈으로 쏘옥 빨려들어 가듯이 유입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단면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메인본체(100), 호퍼(200), 세척노즐부(300),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400), 회전모듈(500), 경사형 이중로터리부(600), 진동모듈(700), 이송컨베이어부(800), PLC 컨트롤러부(9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메인본체(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메인본체(100)는 팽이형상의 좌우 정경사구조로 이루어져, 외압으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도상에서 바라봤을 때, 경사형 이중로터리부가 형성되고,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상단 일측으로, 호퍼가 형성되며,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상단 타측에 세척노즐부가 형성되고,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상단면에 회전모듈이 형성되며,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좌측 하단 일측에 진동모듈이 형성되고,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의 하단부 일측과,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하단부 일측에 이송컨베이어부가 형성되며, 일측면에 PLC 컨트롤러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본체가 팽이형상이라는 것은 팽이처럼, 원통구조로 이루어져 회전되는 현상을 말하고, 좌우 정경사구조라는 것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도상에서 바라봤을 때, 좌측부에서 우측부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5°~45°정경사각도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5°~45°정경사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이유는 5°이하에서, 투입된 순환골재와 물이 선단부에 낙하와 동시에 공존한 상태에 있지 않고, 바닥면과의 마찰력과 튐현상에 의해, 외부로 넘쳐서 바로 배출되어, 양질의 순환골재 선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자주 발생되고, 45°이상에서는 회전모듈의 일측면과 접촉되는 순환골재를 물레방아처럼 퍼서 들어올리는 힘이 많이 들어가므로, 회전모듈에 가해지는 회전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자주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중력에 의해 회전모듈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순환골재의 양이 자꾸만 밑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좌측부에서 우측부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5°~45°정경사각도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본체는 좌측부에서 우측부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5°~45°정경사각도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하단부 일측에 각도조절부(110)가 형성된다.
여기서, 각도조절부(110)는 탈수기 지지 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이 형성되고, 경사형 이중로터리부 지지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시켜, 트윈 선별형 원형스크린망의 전후역경사구조의 각도를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3단구조 또는 5단구조로 이루어져, 9°~15°간격으로 정경사각도가 형성된다.
일예로, 3단구조에서 1단일때는 15°의 정경사각도를 갖고, 2단일때는 30°의 정경사각도를 갖으며, 3단일때는 45°의 정경사각도를 갖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호퍼(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호퍼(200)는 메인본체의 상단 일측에 위치되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상단방향으로 순환골재와 물을 투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혼합유도판(210), 높이조절슈트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혼합유도판(210)은 내부공간에 경사진구조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투입되는 순환골재와 물이 상호간의 마찰을 유도하여, 혼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도상에서 바라봤을 때, 하단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진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슈트부(220)는 혼합유도판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상하 높이조절을 통해, 순환골재와 물 투입량을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슈트(221), 높이조절용 스테이볼트(222), 고정슈트(223)로 구성된다.
상기 가변슈트(221)는 사각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높이조절되는 고정슈트를 포함하면서, 고정슈트를 통해 통과되는 순환골재와 물을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순환골재쪽으로 투입시키도록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높이조절용 스테이볼트(222)는 가변슈트 상단 일측면에 위치되어, 고정슈트의 상하 높낮이를 볼트를 사용하여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슈트(223)는 가변슈트 양측면에 형성된 높이조절용 스테이볼트의 상하 높이조절에 따라 가변슈트를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하면서 높이가 조절되면서, 투입되는 순환골재와 물을 가변슈트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부(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세척노즐부(300)는 메인본체의 상단 타측에 위치되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상단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길이방향의 노즐지지대, 분사노즐, 물펌프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지지대는 분사노즐을 지지하면서, 물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을 분사노즐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사노즐은 노즐지지대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노즐지지대로부터 전달된 물을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순환골재쪽으로 분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펌프는 물을 저장하면서, 노즐지지대로 저장한 물을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400)는 달팽이관 구조로 이루어지고,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중심축 부위에 배출홈을 형성시켜, 회전모듈의 회전모션에 따라 전달된 순환골재 10mm~40mm을 배출홈을 통해 이송컨베이어쪽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와 접촉되는 상단 일측에 배출홈(410)이 형성된 일자형 봉공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배출홈(410)은 달팽이관의 중심홀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이유는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표면구조가 달팽이관구조를 갖으면서 물이 빠지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표면구조가 달팽이관구조로 형성됨으로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홈 방향으로 갈수록, 선단부의 높이보다 점점 낮아져, 회전모듈의 회전모션에 따라 전달된 순환골재 10mm~40mm이 회전되면서 배출홈으로 쏘옥 빨려들어 가듯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회전모듈(5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회전모듈(500)은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단 일측에 형성되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형 웜(510), 웜휠(520), 회전축(530), 회전모터(540)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형 웜(510)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하단면에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에 접촉되는 웜휠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에 따라 경사형 이중로터리부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웜휠(520)은 나사형 웜과 맞물리면서 회전축으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나사형 웜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축(530)은 윔휠과 축방향에 위치되어, 회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윔휠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모터(540)는 회전축으로 회전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모듈(50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부(5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스크레이퍼부(550)는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와 접촉되는 회전날개의 바닥면 일측에 톱니형상의 스크레이퍼가 형성되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바닥면에 있는 순환골재를 긁으면서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의 배출홈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이중로터리부(6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경사형 이중로터리부(600)는 호퍼 하단에 위치되고,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가 중앙에 위치되도록 포함하면서 형성되며, 메인본체의 좌우 정경사구조와 동일하게 기울어져 형성되어, 진동모듈의 진동모션과 회전모듈의 회전력에 따라,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의 선단을 타고 넘어온 순환골재에 혼합된 부유이물질 및, 슬러지와 물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진동으로 물기를 탈수시키면서, 회전력에 의해 순환골재 10mm~40mm를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형 제1 로터리부(610), 경사형 제2 로터리부(62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제1 로터리부(6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경사형 제1 로터리부(610)는 메인본체의 좌우 정경사구조와 동일하게 기울어져 형성되어, 호퍼로부터 낙하되는 미선별된 순환골재를 선단방향에서 공급받아, 진동모듈의 진동모션과 회전모듈의 회전력에 따라, 순환골재에 혼합된 부유이물질 및, 슬러지와 물이 하단의 경사형 제2 로터리부쪽으로 타고 넘어가도록 흘러보내고, 물기가 탈수되고, 분리 선별된 순환골재 10mm~40mm를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메인본체의 좌우 정경사구조와 동일하게 기울어져 형성된다는 것은 정면도상에서 바라봤을 때, 좌측부에서 우측부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5°~45°정경사각도를 갖는 구조를 말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로부터 미선별된 순환골재가 낙하되면, 미선별된 순환골재와, 세척노즐부를 통해 분사된 세척수가, 정면도상에서 바라봤을 때 좌측 선단에 같이 혼합되어 위치되고, 진동모듈의 진동모션과 회전모듈의 회전력을 통해, 좌측 선단에 있는 부유이물질 및 슬러지와 물이 하단의 경사형 제2 로터리부쪽으로 선단벽을 타고 넘어가도록 흘려보낸다.
여기서, 부유이물질 및 슬러지와 물이 하단의 경사형 제2 로터리부쪽으로 선단벽을 타고 넘어가도록 흘려보낸다는 것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본체의 좌우 정경사구조와 동일하게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어, 좌측 선단에 위치한 미선별된 순환골재와, 미선별된 순환골재에 혼합된 부유이물질 및 슬러지가 세척수를 통해, 하단의 경사형 제2 로터리부쪽으로 타고 넘어가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부유이물질 및 슬러지와 물이 분리선별된 순환골재 10mm~40mm를 진동모듈의 진동모션과 회전모듈의 회전력을 통해, 탈수시키면서,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로 전달시킬 수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제2 로터리부(6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경사형 제2 로터리부(620)는 경사형 제1 로터리부와 좌우 정경사구조로 동일하게 기울어져 형성되고,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구조로 형성되어, 경사형 제1 로터리부로부터 부유이물질 및, 슬러지와 물을 공급받아, 부유이물질과 슬러지를 제2 이송컨베이어쪽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경사형 제1 로터리부와 좌우 정경사구조로 동일하게 기울어져 형성된다는 것은 정면도상에서 바라봤을 때, 좌측부에서 우측부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5°~45°정경사각도를 갖는 구조를 말한다.
이는 바닥면에 스크린망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스크린망은 원형구조의 2mm~5mm 스크린망으로 형성되어, 물을 외부로 보내고, 부유이물질과, 슬러지만을 선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2mm~5mm 중공홀을 갖는 복수개의 스크린망으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슬러지를 포함한 이물질 2mm~5mm을 선별시켜 하단방향으로 배출시킨다.
상기 경사형 제2 로터리부는 하단 일측에 부유이물질과 슬러지만을 선별시키는 제2 이송컨베이어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제2 로터리부(620)는 사용목적과 용도에 따라 5mm이하의 잔골재에서 이물질과 미분을 제거하기 위해 타공망이 없는 무(無)스크린망으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목적과 용도에 따라 순환골재 10mm~40mm를 선별뿐만 아니라, 순환골재 40mm 이하인 0mm~40mm를 선별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듈(7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진동모듈(700)은 경사형 이중로터리부를 기준으로, 정면으로 바라봤을 때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좌측하단에 위치되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에 진동모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경사형 제2 로터리부의 하단에 위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710)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컨베이어부(8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부(800)는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순환골재 10mm~40mm를 이송시키고, 경사형 이중로터리부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부유이물질 및, 슬러지와 물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송컨베이어(810), 제2 이송컨베이어(8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810)는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순환골재 10mm~40mm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구동축, 제1 종동축, 제1 구동모터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820)는 경사형 이중로터리부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경사형 제2 로터리부에서 선별되는 부유이물질과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구동축, 제2 종동축, 제2 구동모터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PLC 컨트롤러부(9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PLC 컨트롤러부(900)는 호퍼, 세척노즐부, 회전모듈, 경사형 이중로터리부, 진동모듈, 이송컨베이어부와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호퍼에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과,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좌우 정경사구조 각도에 따라 세척수의 세기, 회전모듈의 회전속도, 진동의 세기, 이송컨베이어부의 이송속도를 맞춤형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910), 메모리부(920), 마이크로프로세서부(930), 출력부(94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9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입력부(910)는 호퍼투입량, 순환골재의 이송위치센싱신호, 모터의 회전속도센싱신호, 진동구동센싱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로프로세서부의 연산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퍼, 경사형 이중로터리부, 이송컨베이어부는 각각 일측에 리미트센서가 형성되고, 회전모듈의 회전모터 일측에 회전감지센서가 형성되며, 진동모듈 일측에 진동감지센서가 형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부(9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메모리부(920)는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에 관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부(9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930)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해독하여 연산시켜 출력부쪽으로 출력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출력부(9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출력부(940)는 호퍼, 세척노즐부, 회전모듈, 경사형 이중로터리부, 진동모듈, 이송컨베이어부쪽으로 순차적으로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호퍼에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에 맞게 메인본체의 하단부 일측에 위치한 각도조절부를 조절시킨다.
즉, 각도조절부를 통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 지지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시켜, 트윈 선별형 원형스크린망의 전후역경사구조의 각도를 조절시킨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를 통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상단방향으로 순환골재와 물을 투입시킨다.
다음으로, PLC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경사형 이중로터리부가 구동되어, 회전스크레이퍼의 회전모션과, 진동모듈의 진동모션에 따라 투입된 순환골재에 혼합된 이물질을 분리시켜, 1차로 순환골재 10mm~40mm를 선별시키고, 2차로 선별된 이물질을 물과 배출시킴과 동시에 진동으로 물기를 탈수시킨다.
이때, PLC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모듈이 구동되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에 진동모션을 생성시킨다.
다음으로, PLC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회전모듈이 구동되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회전형 스크레이퍼날개가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스크레이퍼날개 일측면에 접촉되는 순환골재에 혼합된 이물질을 분리시킨 후, 순환골재 10mm~40mm을 순환골재를 퍼내어 담아서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로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PLC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세척노즐부가 구동되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상단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킨다.
다음으로,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에서는 회전모듈의 회전모션에 따라 전달된 순환골재 10mm~40mm을 이송컨베이어부쪽으로 배출시킨다.
끝으로, PLC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제1 이송컨베이어, 제2 이송컨베이어를 구동시킨다.
즉, 제1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순환골재 10mm~40mm를 이송시킨다.
그리고, 제2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 하층 바닥부위에서 선별되는 슬러지와 부유이물질을 이송시킨다.
1 :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
100 : 메인본체 200 : 호퍼
300 : 세척노즐부 400 :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
500 : 회전모듈 600 : 경사형 이중로터리부
700 : 진동모듈 800 : 이송컨베이어부
900 : PLC 컨트롤러부

Claims (10)

  1. 팽이형상의 좌우 정경사구조로 이루어져, 외압으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메인본체(100)와,
    메인본체의 상단 일측에 위치되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상단방향으로 순환골재와 물을 투입시키는 호퍼(200)와,
    메인본체의 상단 타측에 위치되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상단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세척노즐부(300)과,
    달팽이관 구조로 이루어지고,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중심축 부위에 배출홈을 형성시켜, 회전모듈의 회전모션에 따라 전달된 순환골재 10mm~40mm을 배출홈을 통해 이송컨베이어쪽으로 배출시키는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400)와,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단 일측에 형성되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모듈(500)과,
    호퍼 하단에 위치되고,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가 중앙에 위치되도록 포함하면서 형성되고, 메인본체의 좌우 정경사구조와 동일하게 기울어져 형성되어, 진동모듈의 진동모션과 회전모듈의 회전력에 따라,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의 선단을 타고 넘어온 순환골재에 혼합된 부유이물질 및, 슬러지와 물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진동으로 물기를 탈수시키면서, 회전력에 의해 순환골재 10mm~40mm를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로 전달시키는 경사형 이중로터리부(600)과,
    경사형 이중로터리부를 기준으로, 정면으로 바라봤을 때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좌측하단에 위치되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에 진동모션을 생성시키는 진동모듈(700)과,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순환골재 10mm~40mm를 이송시키고, 경사형 이중로터리부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부유이물질 및, 슬러지와 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부(800)와,
    호퍼, 세척노즐부, 회전모듈, 경사형 이중로터리부, 진동모듈, 이송컨베이어부와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호퍼에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과,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좌우 정경사구조 각도에 따라 세척수의 세기, 회전모듈의 회전속도, 진동의 세기, 이송컨베이어부의 이송속도를 맞춤형으로 제어하는 PLC 컨트롤러부(9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200)는
    내부공간에 경사진구조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투입되는 순환골재와 물이 상호간의 마찰을 유도하여, 혼합시키는 혼합유도판(210)과,
    혼합유도판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상하 높이조절을 통해, 순환골재와 물 투입량을 조절시키는 높이조절슈트부(2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슈트부(220)는
    사각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높이조절되는 고정슈트를 포함하면서, 고정슈트를 통해 통과되는 순환골재와 물을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순환골재쪽으로 투입시키도록 안내시키는 가변슈트(221)와,
    가변슈트 상단 일측면에 위치되어, 고정슈트의 상하 높낮이를 볼트조절시키는 높이조절용 스테이볼트(222)와,
    가변슈트 양측면에 형성된 높이조절용 스테이볼트의 상하 높이조절에 따라 가변슈트를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하면서 높이가 조절되면서, 투입되는 순환골재와 물을 가변슈트쪽으로 전달시키는 고정슈트(2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의 배출홈은
    일자형 봉공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듈(500)은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하단면에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에 접촉되는 웜휠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에 따라 경사형 이중로터리부를 회전시키는 나사형 웜(510)과,
    나사형 웜과 맞물리면서 회전축으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나사형 웜쪽으로 전달시키는 웜휠(520)과,
    윔휠과 축방향에 위치되어, 회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윔휠을 회전시키는 회전축(530)과,
    회전축으로 회전력을 생성시키는 회전모터(5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듈(500)은
    경사형 이중로터리부 상에 위치되고,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와 접촉되는 바닥면 일측에 톱니형상의 스크레이퍼가 형성되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바닥면에 있는 순환골재를 긁으면서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의 배출홈쪽으로 전달시키는 스크레이퍼부(55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이중로터리부(600)는
    메인본체의 좌우 정경사구조와 동일하게 기울어져 형성되어, 호퍼로부터 낙하되는 미선별된 순환골재를 선단방향에서 공급받아, 진동모듈의 진동모션과 회전모듈의 회전력에 따라, 순환골재에 혼합된 부유이물질 및, 슬러지와 물이 하단의 경사형 제2 로터리부쪽으로 타고 넘어가도록 흘러보내고, 물기가 탈수되고, 분리 선별된 순환골재 10mm~40mm를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로 전달시키는 경사형 제1 로터리부(610)와,
    경사형 제1 로터리부와 좌우 정경사구조로 동일하게 기울어져 형성되고,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구조로 형성되어, 경사형 제1 로터리부로부터 부유이물질 및, 슬러지와 물을 공급받아, 부유이물질과 슬러지를 제2 이송컨베이어쪽으로 배출시키는 경사형 제2 로터리부(6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듈(700)은
    스크린망 하단에 위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71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부(800)는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달팽이관형 순환골재중심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순환골재 10mm~40mm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컨베이어(810)와,
    경사형 이중로터리부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경사형 이중로터리부의 경사형 제2 로터리부에서 선별되는 부유이물질과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제2 이송컨베이어(8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본체(100)는
    하단부 일측에 탈수기 지지 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이 형성되고, 경사형 이중로터리부 지지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시켜, 트윈 선별형 원형스크린망의 전후역경사구조의 각도를 조절시키는 각도조절부(1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
KR1020180024712A 2018-02-28 2018-02-28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 Active KR101871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712A KR101871846B1 (ko) 2018-02-28 2018-02-28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712A KR101871846B1 (ko) 2018-02-28 2018-02-28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846B1 true KR101871846B1 (ko) 2018-07-31

Family

ID=63078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712A Active KR101871846B1 (ko) 2018-02-28 2018-02-28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8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878B1 (ko) * 2021-09-14 2022-01-13 대양엔바이오 주식회사 슬러지 마그네타이트 DNB 사이클론콘(Cone)형 부착·배출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0575B2 (ja) * 1994-12-01 1999-12-13 株式会社廣瀬脱水機製作所 傾斜型遠心脱水式乾燥方法
JP2003505225A (ja) * 1999-07-15 2003-02-12 ハンス、フーバ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マシーネン−、ウント、アンラーゲンバウ 汚泥脱水装置
KR200348078Y1 (ko) * 2004-01-13 2004-04-29 이충규 골재 선별장치
US8381916B2 (en) 2005-05-26 2013-02-26 Paul W. Bossen Rotary aggregate washing and classification system
KR101830650B1 (ko) * 2017-05-19 2018-02-21 민원 순환골재 박리 및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0575B2 (ja) * 1994-12-01 1999-12-13 株式会社廣瀬脱水機製作所 傾斜型遠心脱水式乾燥方法
JP2003505225A (ja) * 1999-07-15 2003-02-12 ハンス、フーバ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マシーネン−、ウント、アンラーゲンバウ 汚泥脱水装置
KR200348078Y1 (ko) * 2004-01-13 2004-04-29 이충규 골재 선별장치
US8381916B2 (en) 2005-05-26 2013-02-26 Paul W. Bossen Rotary aggregate washing and classification system
KR101830650B1 (ko) * 2017-05-19 2018-02-21 민원 순환골재 박리 및 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878B1 (ko) * 2021-09-14 2022-01-13 대양엔바이오 주식회사 슬러지 마그네타이트 DNB 사이클론콘(Cone)형 부착·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97580B (zh) 一种砂石生产线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CN111408185B (zh) 一种泥浆回用分离系统及其使用方法
CN207103398U (zh) 移动式建筑垃圾处理设备
CN111805753A (zh) 一种高效搅拌的混凝土拌合装置
KR101528308B1 (ko) 물 분사방식을 이용한 골재 선별시스템 및 방법
KR100863605B1 (ko) 다단 각도변화를 갖는 순환골재 선별용 스크린을 이용하여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분쇄된 건설폐기물로부터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KR101871846B1 (ko)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
CN219723075U (zh) 一种有机肥粉碎机用多通道分选筛机构
GB2597327A (en) Material washing system and apparatus
US9649637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materials
KR101557474B1 (ko)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
CN212041343U (zh) 一种混凝土砂石分离机
KR100430837B1 (ko) 골재의 입형개선 및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 시스템
KR100516499B1 (ko) 수세 원료광석 자동 선별 장치
KR102068155B1 (ko) 고액분리기
CN210171652U (zh) 一种水泥原料破碎机中的排料分级装置
KR100950284B1 (ko) 3단수로를 통한 순환골재 및 모래 선별장치
CN207451142U (zh) 具有筛选功能的下料装置
CN205183169U (zh) 一种塑料除砂机
CN206560915U (zh) 一种混凝土骨料尾料回收再利用装置
CN219024459U (zh) 一种研磨筛分设备
CN216631616U (zh) 一种新型布料风选机
CN219688549U (zh) 一种振动式给料装置
CN222290854U (zh) 一种注塑机的原料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