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772B1 - High power high voltage type wireless power receiver - Google Patents
High power high voltage type wireless power receiv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1772B1 KR101871772B1 KR1020170049385A KR20170049385A KR101871772B1 KR 101871772 B1 KR101871772 B1 KR 101871772B1 KR 1020170049385 A KR1020170049385 A KR 1020170049385A KR 20170049385 A KR20170049385 A KR 20170049385A KR 101871772 B1 KR101871772 B1 KR 1018717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coil
- resonance
- load
- set valu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 H02J7/025—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3—Multiple coils at either si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선전력전송수신기는 공진 주파수의 최대 전압보다 낮은 전압 범위에서 부하 출력을 조절하므로, 특히 고전압 고전력의 출력을 제어하는데 유리하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rece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load output in a voltage range lower than the maximum voltage of the resonance frequency, and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high voltage high power.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전력 고전압의 무선전력전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수신기의 코일을 분기하여 고전력 고전압 무선전력전송을 가능하게 한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power, high voltag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receiv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iver that branches a coil of a receiver to enable high power, high voltag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현재의 자기 공진, 자기 유도의 형식 및 RF 방식, 그리고 초음파 및 광학의 사용법에 의한 무선충전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은 수 내지 수십 와트의 송수신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되고 있다. 또한 한 개의 송신기에 다수의 수신기(부하)를 사용하고자 할 때 종래의 기술들은 비교적 비슷한 전압 및 전류 레벨을 사용하는 수신기를 제작하여 사용한다.Current self resonance, magnetic induction type and RF method, and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by using ultrasonic wave and optical are manufactured in a structure capabl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everal to several tens of watts. Also, when a plurality of receivers (loads) are to be used in one transmitter, conventional techniques make and use receivers using relatively similar voltage and current levels.
예를 들어 현재 무선전력전송 기술들을 살펴 보면,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5V(고속충전의 경우 12V) 전압만 보유 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비교적 쉽게 다중 사용을 전제로 하고 다수의 부하로 표현되어 구현되는 것은 태블릿 PC 로서, 이 역시 5V(고속충전 경우 12V) 전압 레벨만 보유 하고 있으면 배터리 충전하는데 무리가 없다. For example, if you look at curre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ies, you only need to have 5V (12V for fast charging) voltage to charge your smartphone. In addition, it is relatively easy to assume multiple use, and it is a tablet PC which is expressed by a large number of loads, and it is easy to charge the battery if it also holds only the voltage level of 5V (12V for fast charging).
다시 말해서 무선전력전송 방식에서 1개의 송신기 구조에서 다수의 사용자의 성격이 다른 수신기(부하)를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구현방식은 비슷한 전력량 또는 비슷한 전압레벨을 보유하고 있는 수신기를 사용하여 다중의 무선전력전송이 가능한 것으로 구현되고 있다.In other words,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cheme,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users in one transmitter structure appear to use different receivers (loads), actual implementations use multiple receivers (loads) with similar power or similar voltage levels Power transmission is possible.
종래 기술은 1개의 송신기에서 큰 출력을 만들어 내어 수신기에서 원하는 전력값 혹은 전압레벨을 만드는데, 수신부의 기본적인 구성은 코일과 캐패시터의 조합 및 브릿지 정류 또는 기타 방법의 정류방법을 거쳐서 생성되는 전압을 벅컨버팅(buck converting; 또는 스텝다운) 하여 원하는 전력의 전압과 전류를 만들어 내는 것을 기본적인 원리로 하고, 피드백 회로 또는 제너다이오드 이용등의 방법으로 전압을 제어하기도 한다.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a large output is generated in one transmitter to produce a desired power level or voltage level at the receiver.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receiver is a combination of a coil and a capacitor, and a bridge rectification or other method, (buck converter or step-down) to generate the desired voltage and current, and the voltage is controlled by a feedback circuit, a zener diode, or the like.
그런데. 기 개발된 DC-DC컨버팅 혹은 스텝다운 집적회로는 IC(integrated circuit) 기반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IC가 직접 전압을 받아서 제어 하는 레벨은 한계가 있다.By the way. Since the developed DC-DC converter or step-down integrated circuit is fabricated on the basis of an integrated circuit (IC), the level at which the IC receives and controls the voltage is limited.
현재 출시되는 DC-DC 컨버터의 IC 최대 입력값은 90V 정도 이다. 물론 90V 이상의 전압을 인가 받아서 컨버팅 하는 방법도 있지만 변압기등을 사용해야 하고, 부피가 커져서 실제 사용하는데 제한 사항이 따른다.The maximum input value of the IC of the present DC-DC converter is about 90V. Of course, there is a method to convert and receive the voltage of 90V or more, but the use of a transformer and the like are required, and the volume is increased, so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practical use.
또한 90V 이상의 전압을 사용하여 DC-DC 컨버팅하여 5V로 사용하고자 하면, 그 전압 차이만큼 대부분 발열과 기타 손실로 인하여 효율 급감의 원인이 된다.Also, if DC-DC converter is used at 5V by using a voltage of 90V or more, the voltage difference causes the efficiency drop due to heat generation and other losses.
따라서, 1개의 송신기에 전력 레벨 전압 레벨이 상이한 제품을 동시에 수신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큰 전력 전압이 필요로 한 수신기를 기본으로 상정하고, 그에 맞추어 송신기의 용량을 키워야 한다. 반대로 큰 전력 전압이 필요 없는 아주 작은 제품에서는 높은 전력 전압이 필요 없으며, 그에 적절한 소형의 컨버터 기술만 필요하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simultaneously receive a product having a power level voltage level different from that of a single transmitter, it is necessary to basically assume a receiver requiring a large power voltage, and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transmitter accordingly. Conversely, in very small products that do not require large power voltage, high power voltage is not needed and only a small converter technology is needed.
또한 소형의 컨버터를 동시에 만들었다고 해도 현존하는 IC 기반의 컨버터에서는 큰 발열 등으로 적용하기 쉽지 않다. 이것을 구현했다 하더라도,Even if a small-sized converter is made at the same time, it is not easy to apply the current IC-based converter due to a large heat. Even if you implement this,
LC로 이루어진 공진회로가 기본인 구조에서 상호 전력 및 전압이 상이한 제품의 수신부가 근접해 있는 경우, 자기 유도현상에 의해서 큰 전력 전압의 제품의 전압레벨이 작은 전력 전압 쪽으로 유기되어 작은 전력 제품에는 큰 손상 및 손실을 초래 한다. 또한 무선전력특성상 송신부와 수신부가 가까워 질수록 전력량의 변화가 크기에 (전력 레벨은 가까울수록 높고 멀어질 수록 낮아짐) 원하는 위치에 정확한 전력 전압을 유지 하기 힘들다.In the case where the receiving part of a product having a different power and voltage is close to each other in a structure in which a resonance circuit composed of LC is close, the voltage level of a product of a large power voltage is induced toward a small power voltage due to the 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And loss.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wireless power,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accurate power voltage at the desired position a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mount of power approaches the magnitude (the closer the power level is and the lower the farther away)
각 전력이 다른 제품을 1개의 송신기에 다중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전력 수요에 맞는 전력이 어떠한 경우라도 공급 및 유지 되는 방법이 필요하다.In order for each power to use multiple products in a single transmitter, a method is needed in which power corresponding to each power demand is supplied and maintained in any case.
무선전력전송장치의 수신기의 구성 변경을 통하여 고전압 고출력의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있다.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generate a high-voltage, high-power power source through configuration changes of the receive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7278호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감싸는 제1 및 제2코일을 설치하고, 두 코일 중의 어느 하나의 원주를 따라 이격 배치된 차폐 부재를 설치하고, 제어부가 제1 코일 또는 제2코일이나 두 코일을 동시에 이용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는 코일의 숫자와 배열을 언급하고 있을 뿐, 수신기의 회로와 관련한 구조나 기능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지 않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057278 discloses a technique in which first and second coils each of which surrounds another one are provided and a shielding member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ce of one of the two coils is provided, 1 coil or a second coil or two coil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patent mentions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coils, but does not disclose any structure or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circuitry of the receiver.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6230호는 수신기에 공진용 코일과 유도용 코일을 두 개 배치하고, 유도용 코일을 정류기에 연결하고 배터리 관리 소자가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을 유지하거나 차단하도록 한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에서 두 개의 코일을 이용하는 것은 자기 공진식의 무선 전력 전송 때문이며, 자기 유도식에 의하는 경우 공진용 코일은 필요 없는 점에서 복수의 코일 사용은 선택 사항이고, 배터리 관리 소자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기존의 무선전력시스템과 차이가 없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116230 discloses a technique of arranging two resonance coils and induction coils in a receiver, connecting induction coils to a rectifier, and maintaining or blocking power transmitted to the load Disclos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However, the use of two coils in this patent is due to the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 use of a plurality of coils is optional in that a resonant coil is not required by the magnetic induction type, The configuration is limited i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wireless power system.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4107호는 수신기의 캐패시터에 스위치 소자를 연결하여 스위치 제어부가 수신 공진기의 인덕터에 전력이 최대로 저장된 시점에서 스위치를 개방하여 부하로 전력을 전달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는 스위칭의 온/오프 동작으로 전력 전달을 제어하고 수신기의 코일에 대해서는 아무런 구조적인 변경을 가하지 않으므로 부하에 고전압의 전력을 공급하고 전력을 제어 하는데 한계가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134107 discloses a method of connecting a switch element to a capacitor of a receiver and opening a switch at a time when power is maximally stored in an inductor of a reception resonator, have. However, this patent has limitations in supplying high voltage power to the load and controlling power because it controls the power transfer by switching on / off operation and does not make any structural changes to the coil of the receiver.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44647호는 공진 방식 무선 충전 시스템용 수신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수신기의 LC회로에 스위치를 연결하고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무선 전력 수신부에서 수신된 교류 형태의 전원을 환류(free-wheeling)시키는 경로를 형성하고, 전력 변환 장치의 출력 신호를 피드백 받아 레벨을 검출하여 이 검출된 출력 레벨에 따라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 역시 스위칭의 온/오프 동작으로 전력 전달을 제어하고 수신기의 코일에 대해서는 아무런 구조적인 변경을 가하지 않으므로 부하에 고전압의 전력을 공급하고 전력을 제어 하는데 한계가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44647 discloses a reception power conversion apparatus for a resonance-type wireless charging system, in which a switch is connected to an LC circuit of a receiver, and an alternating- a free-wheeling path is formed, the output signal of the power conversion device is fed back, a level is detected, and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ed output level. However, this patent also has limitations in supplying high voltage power to the load and controlling power because it controls the power transfer by the switching on / off operation of the switching and does not make any structural change to the coil of the receiver.
본 발명은 고전력의 수급 상황에서 최대 공진주파수에 대응할 수 있고, 이론적 최대 전압보다 작은 최대 허용 전압 이하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고전력 고전압의 무선전력전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power, high-voltag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receiver capable of responding to a maximum resonant frequency in a high-power supply-demand situation and capable of supplying a voltage below a maximum allowable voltage smaller than a theoretical maximum voltag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전력전송 수신기에 있어서, 송신기와 공진 결합하기 위한 코일과 캐패시터를 병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진 공진조합부; 상기 공진조합부의 코일에 병렬 연결되며, 스위치와 버퍼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제어 회로; 상기 공진조합부에서 출력되어 부하로 공급되는 부하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부하전압을 소정의 설정치와 비교하는 비교판단부를 포함하며 구성되며, 상기 소정의 설정치는 최대전압설정치이며, 검출된 상기 부하전압이 상기 최대전압설정치에 도달하면 상기 스위치를 ON시켜 상기 공진조합부가 매칭되는 공진 주파수로부터 다른 주파수가 되도록 공진 주파수를 비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를 개시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receiver comprising: a resonance combination unit including a coil and a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to resonate with a transmitter; A control circuit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coil of the resonance combining section and including a switch and a buffer capacitor; A detector for detecting a load voltage output from the resonance combining unit and supplied to the load; And a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for comparing the load voltage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with a predetermined set value, wherein the predetermined set value is a maximum voltage set value, and when the detected load voltage reaches the maximum voltage set value, And the resonance frequency is mismatched so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is different from the resonance frequency matched by the resonance frequenc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소정의 설정치는 최소전압설정치를 더 포함하며, 검출된 상기 부하전압이 상기 최소전압설정치에 도달하면 상기 스위치를 OFF시켜 상기 공진조합부의 공진주파수를 상기 송신기의 공진주파수와 매칭시킨다.The predetermined set value further includes a minimum voltage set value, and when the detected load voltage reaches the minimum voltage set value, the switch is turned off to match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sonance combining section with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transmitter.
상기 공진조합부의 상기 코일은 제1코일과 제2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코일과 제2코일은 두 코일을 연결하는 브릿지부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The coil of the resonance combining unit includes a first coil and a second coil, and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may be connected by a bridge portion connecting the two coils.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제1코일 또는 제2코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될 수 있다.The control circuit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상기 브릿지부는 정류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bridge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rectifying portion.
상기 제1코일과 제2코일은 두 코일을 연결하는 링크 또는 탭에 의하여 상기 브릿지부에 연결된다.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are connected to the bridge portion by a link or a tab connecting the two coils.
또한, 본 발명은 무선전력전송 수신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송신기와 공진 결합하여 상기 수신기의 부하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병렬접속된 코일과 캐패시터로 이루어지는 공진조합부로부터 부하에 공급되는 부하전압을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하여, 비교판단부에서 소정의 최소전압설정치 이상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 (a) 단계가 긍정되면, 상기 부하에 상기 부하전압을 공급하는 단계; (c)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상기 부하전압을 상기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하여, 상기 비교판단부에서 소정의 최대전압설정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c) 단계가 긍정되면, 상기 공진조합부의 공진주파수를 상기 송신기의 공진주파수와 상이한 다른 주파수가 되도록 비매칭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공진조합부에 병렬로 접속되며, 스위치와 버퍼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회로의 상기 스위치가 ON되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 수신기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receiver, comprising the steps of: (a) receiving a load voltage (V) from a resonance combination unit comprising a coil and a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to resonate with a transmitter and supply a voltage to a load of the receiver Detecting by the detecting unit a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 comparison volt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voltage set value; (b) if the step (a) is affirmative, supplying the load voltage to the load; (c) detecting the load voltage supplied to the load by the detection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load voltage reaches a predetermined maximum voltage set value in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And (d) if the step (c) is affirmed, mismatching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sonance combining unit to a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transmitter, wherein the step (d) And the switch is turned on when the switch of the control circuit including the switch and the buffer capacitor is turned on.
삭제delete
상기 (d) 단계 후, 상기 부하전압이 소정의 상기 최소전압설정치에 도달하면 비매칭하는 단계를 해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After the step (d), canceling the step of mismatching when the load voltage reaches a predetermined minimum voltage set value.
본 발명은 최대 전압과 최대 효율을 달성하는 공진주파수를 찾고 이에 맞추어 전력을 수급하고 제어하는 것이 어려울 때, 이론적 최대 전압보다 작은 최대 허용 전압 이하에서 안정적으로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output voltage can be stably controlled below the maximum allowable voltage smaller than the theoretical maximum voltage when it is difficult to obtain and control the power in accordance with the finding of the maximum voltage and the resonance frequency achieving the maximum efficiency .
본 발명은 수신기의 코일을 브릿지부로 분기하고 간단한 구성의 제어회로를 부가하는 것으로 부하에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간편하며 경제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and economical to manufacture because the voltage output to the load can be controlled by branching the coil of the receiver to the bridge section and adding a control circuit of simple configuration.
본 발명은 고전력 고전압 부하 출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의 신기술로 기술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 technology of the future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the demand for a high power high voltage load output, which is a great technical valu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코일이 정류부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 회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회로를 포함한 수신기의 일부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하 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한 그래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회로를 포함한 수신기의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력 고전압 무선전력전송 방법의 제어 단계를 보인 플로우 챠트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ircuit showing the coil of Fig. 2 connected to the rectification part. Fig.
4 is a partial circuit diagram of a receiver including a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ircuit diagram of a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load out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ircuit diagram of a receiver including a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steps of controlling a high power, high voltag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rather unclear.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econd, a), b) and the like can be used. Such a code is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nature of the constituent element, the order or the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 is not limited by the code.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mprising" or "comprising",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explicitly stated to the contrary, do.
현재 대부분의 무선 전력 기술은 최대 공진점을 찾고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는 L과 C를 이용한 무선전력전송 기술에서 L을 변화 시키거나, C를 변화시키는 방법이다. 최대 공진점에서 최대의 전력량을 보장하는 기본 회로 특성상 필요로 하는 제어 기술은 맞지만 이것이 모든 무선전력전송 기술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전압을 만들어 내고 생성하여 사용하는 데에는 반드시 최대 공진점을 일부러 찾을 필요는 없다. Currently, most wireless power technologies are working to find and maintain maximum resonance points. This is a method of changing L or changing C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ique using L and C. The required control technology is appropriate for the basic circuit characteristics that guarantee the maximum power at the maximum resonance point, but this does not apply to all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ies. It is not necessary to search for the maximum resonance point to generate and use the voltage.
최대 공진에 도달하기 전의 전력과 최대 공진점을 초과하였을 때의 전력도 전력을 수신하여 적정한 부하에 사용하는데 큰 무리는 없다.The power before reaching the maximum resonance and the power when the maximum resonance point is exceeded are also used to receive the power and use it for a proper loa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전력이 수급되는 상황에서 최대 공진주파수에 대응할 수도 있고, 이론적 최대 전압보다 작은 최대 허용 전압 이하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고전력 고전압의 무선전력전송 수신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igh-power, high-voltag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receiver capable of responding to a maximum resonant frequency in a high-power supply situation and capable of supplying a voltage below a maximum allowable voltage lower than a theoretical maximum voltage.
무선전력전송장치에서 송신기로부터 고전압을 수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L)에 대하여 도 1과 도 2를 참조로 설명한다.A coil 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ceiving a high voltage from a transmitter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도 1에서 코일(L)은 코너가 곡선형인 사각형 형상의 제1코일(L1)과 제2코일(L2)을 포함한다. 제1코일(L1)과 제2코일(L2) 사이는 탭과 같은 링크를 두어 정류 다이오드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의 코일(1)의 구성은, 코일의 인덕턴스를 증대시켜 고전압 고전력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유리하다. 1, the coil L includes a rectangular first coil L1 and a second coil L2 having curved corners. Between the first coil L1 and the second coil L2 is connected a tap-like link to one side of the rectifier diode. The configuration of the
제1코일(L1)과 제2코일(L2)을 가교하는 링크는 꺾인 직선 라인으로 형성하였으나, 형상과 길이는 제한되지 않으며, 제1코일(L1)과 제2코일(L2)을 연결하는 링크 라면 코일의 중앙 부분이 아닌 임의의 위치를 가교해도 좋다.Although the link for bridging the first coil L1 and the second coil L2 is formed by a straight line, the shape and the length are not limited, and the link connecting the first coil L1 and the second coil L2 Any position other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il may be crosslinked.
터미널(A)은 제1코일(L1)의 끝단이며, 터미널(B)은 제2코일(L2)의 끝단으로 터미널 중의 하나는 정류부의 나머지 일측에 연결한다.The terminal A is the end of the first coil L1 and the terminal B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coil L2 and one of the terminals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ctifying p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른 특징은 고전력 고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를 위하여 제1코일(L1)과 제2코일(L2)의 링크 또는 브릿지부에 연결되는 비매칭 형성 회로에 활용될 수 있다. Another fea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a high power high voltage and therefore it can be applied to a mismatching circuit connected to a link or a bridge of the first coil L1 and the second coil L2 .
도 2는 이를 위한 코일(L)의 예로서, 코일(L)은 원형 혹은 각형인 제1코일(L1)과 제2코일(L2)을 포함한다. 제1코일(L1)과 제2코일(L2) 사이는 링크를 두어 브릿지부를 형성하고 있다. 2 shows an example of a coil L for this purpose. The coil L includes a first coil L1 and a second coil L2 which are circular or square. A bridge is formed by providing a link between the first coil L1 and the second coil L2.
브릿지부로부터는 라인(T)이 연장되어 정류부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라인(T)은 제1코일(L1)과 제2코일(L2)의 브릿지부의 임의의 위치에서 분기할 수 있다.From the bridge portion, the line T can be extended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ctifying portion. The line T can branch at any position of the bridge portion of the first coil L1 and the second coil L2.
도 3은 도 2의 코일(L)이 정류부(10)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 회로이다.Fig. 3 is a circuit showing the coil L of Fig. 2 connected to the rectifying
도시하지 않은 송신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공진 조합부는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1)와 코일(L;L1,L2)을 포함한다. 제1코일(L1)과 제2코일(L2)의 브릿지부는 정류부의 일측에 연결된다. 정류부(10)는 4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정류부(10)는 일례로 제시된 것이며, 브릿지 정류기, 쇼트키 또는 고속 회복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등 임의의 어느 구성도 채택할 수 있다.The resonant combination section that receives power from a transmitter (not shown) includes a parallel-connected capacitor C1 and a coil L (L1, L2). The bridge portion of the first coil L1 and the second coil L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ctifying portion. The rectifying
코일(L,L1,L2)에서 연장된 터미널(A,C)중의 하나는 정류부(10)의 일측에 연결된다. 정류부(10)는 후속하여 정류용 캐패시터 및 부하 출력에 연결된다.One of the terminals A and C extending from the coils L, L1 and L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ctifying
다음, 고전력 고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trolling a high power high voltage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회로(1)를 포함한 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Fig. 4 shows the structure of a receiver including the
제어회로(1)는 스위치(S)와 버퍼 캐패시터(2)를 포함한다. 도 3과 달리 제1코일(L1)과 제2코일(L2)의 브릿지부는 제어회로(1)에도 연결되며, 버퍼 캐패시터(2)는 스위치(S)에 직렬로 연결된다. 제어회로(1)는 제2코일(L2)에 병렬 연결되나, 제1코일(L1) 쪽으로 연결되도록 설치해도 무방하다.The
버퍼 캐패시터(2)는 공진 조합부가 매칭한 공진점을 변화시켜 최대 전압을 유기(induction)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스위치(S)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및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계전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스위치만을 단독으로 사용하고 직접 내부 그라운드를 형성하여 그라운드에 코일(L) 또는 캐패시터(C1)를 연결하는 하드 스위칭 방식으로도 공진점의 매칭을 변경할 수 있으나, 서지 및 노이즈로 인한 오동작의 우려가 있고 순시 전압 강하의 위험이 있으므로 충격 버퍼로서 캐패시터(2)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witch S may be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or a digital or analog relay. The matching of the resonance points can be changed by a hard switching method in which only the switches are used alone and the internal ground is directly formed and the coil L or the capacitor C1 is connected to the ground. However, there is a fear of malfunction due to surge and noise Since there is a danger of a momentary voltage drop, it is desirable to utilize the
만약 스위치(S)로서 n채널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ET)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게이트(Mg), 드레인(Md) 및 소스(Ms)에 더하여 제너 다이오드(Mz)를 소스(Ms)에 연결한 후 그라운드(Mg')를 형성하는 것이 스위치(S)로서 On, OFF의 정확한 동작을 수행하여 오작동을 예방하는 점에서 유리하다. In the case of using an n-channel MOSFET (metal-oxide-semiconductor FET) as the switch S, the zener diode Mz in addition to the gate Mg, the drain Md and the source Ms, Is connected to the source Ms and then the ground Mg 'is formed as the switch S,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malfunction is prevented by performing the correct operation of On and OFF.
도 4에서, 스위치(S)가 OFF인 경우, 전류는 실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흘러 정류부(10)로 공급된다. 이 경우, 코일(L;L1,L2)의 중첩 브릿지 구조로 인하여 고전압 고전력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제어회로(1)는 송신기의 메인 회로와 단절되며, 실질적으로는 도 3과 등가 회로가 된다.In Fig. 4, when the switch S is OFF, the current flows in the direction shown by the solid line arrows and is supplied to the rectifying
도 4에서, 스위치(S)가 ON인 경우, 상기한 실선의 정류부(10)로의 공급 전류 에 더하여 점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제2코일(L2), 스위치(S) 및 버퍼 캐패시터(2)를 흐르는 루프 전류가 추가로 형성된다. 루프 전류에 의하여 제2코일(L2)과 버퍼 캐피시티(2)는 또 다른 제2의 LC조합부를 형성하게 된다. 4, when the switch S is ON, the second coil L2, the switch S, and the
이러한 제2의 LC조합부는 캐패시터(C1)와 코일(L;L1,L2)로 이루어지는 공진조합부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전체 인덕턴스와 캐피시턴스의 값이 변하여 수신기의 부하에 인가되는 부하전압이 감소할 수 있다.This second LC combining part affects the resonance combining part composed of the capacitor C1 and the coils L (L1, L2). For example, the value of total inductance and capacitance can be changed to reduce the load voltage applied to the load of the receiver.
즉, 공진조합부가 공진주파수에서 수신기와 공진 결합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스위치(S)가 ON되어 루프 전류가 생성되면, 버퍼 캐패시터(2)로 인하여 캐패시터의 값은 증가하여 동작 주파수는 최대 공진 주파수가 아닌 다른 공진 주파수로 변한다. 그러면, 이상적인 공진 상태에서 생성되는 최대 전압이 아닌 그 보다 작은 전압이 수신기의 부하로 공급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switch S is turned on and a loop current is generated in a state where the resonance combination part resonates with the receiver at the resonance frequency, the value of the capacitor increases due to the
이러한 제어의 이점은 최대 전압과 최대 효율을 달성하는 정확한 공진주파수를 찾고 이에 맞추어 전력을 수급하고 제어하는 것이 어려울 때, 이론적 최대 전압보다 작은 최대 허용 전압 이하에서 안정적으로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점에 있다. The advantage of this control is that it is difficult to supply and control the power to find the exact resonant frequency that achieves the maximum voltage and maximum efficiency and to control the output voltage stably below the maximum allowable voltage that is less than the theoretical maximum voltage .
한편, 도 4에서 스위치(S)가 ON인 경우에도 정류부(10)로 공급되는 전압 전류는 계속 존재하고, 이 전압 전류에 의하여 공진주파수가 아닌 때에도 부하전압이 증가하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버퍼 캐패시터(2)의 캐패시턴스 값은 이 고유의 증가분을 상쇄하도록, 최종 출력 전압이 최대 허용 전압을 초과하지 않고 최대 허용 전압을 일정 시간 유지한 후 전압값이 강하하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n FIG. 4, even when the switch S is ON, the voltage current supplied to the rectifying
버퍼 캐패시터(2)는 동작주파수를, 수신기에서의 이론적 공진 주파수 상태를 보다 실용적이고 유용한 주파수 상태로 변환시키는 구성인 점에 기술적 의의가 있다. The
여기서의 '동작주파수'는 수신기의 부하에 전력이 공급될 때 실제 구동 중인 주파수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주파수는 매칭 상태의 공진 주파수일 수 있으나, 비매칭 상태의, 공진 주파수와 상이한 주파수 일 수 있다.Here, 'operating frequency' refers to the frequency actually being driven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of the receiver. The operating frequ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resonance frequency of the matching state, but may be a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mismatching state.
이와 같이, 스위치(S)가 ON인 경우 제어회로(1)는 기 매칭된 공진 주파수의 출력을 변경시켜 비매칭 상태 주파수하에서의 출력으로 만든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제어회로(1)는 비매칭 형성회로라고 할 수 있다. 제어회로(1)는 스위치가 ON인 경우에 가동된다. 이 제어 회로는 1개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회로(1)는 터미널(A)에 연결하여, 즉 제1코일(L1)과 연관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터미널(A,C) 모두에 연결하여 설치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점에서, 도 4에서 터미널(A)은 수신기의 다른 부품에는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us, when the switch S is ON, the
이상 도 4의 설명을 토대로 출력 전압의 제어에 대하여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The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based on the description of Fig.
도 6에서 가로축은 시간(t), 세로축은 수신기의 부하에 공급되는 출력에서의 전압(V)이다. VL은 최소전압설정치이며, VF는 이론 공진주파수에서 공급되는 최고 전압이다. 정확한 공진주파수에 대응하는 전압 포인트의 제어가 민감하고 어려우며, 특히 정점인 고전압 출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최대전압설정치(VM)를 설정하여 부하로의 출력 전압 범위를 최소전압설정치(VL)와 최대전압설정치(VM) 사이의 영역(R1)으로 규정한다. 이 경우 이론적 최고 전압(VF)과 최대전압설정치(VM) 사이의 영역(R2)은 실제로는 출력에서 배제한 범위이며 도 5에서는 이점쇄선으로 표시하고 있다.In FIG. 6, the abscissa is time (t) and the ordinate is voltage (V) at the output supplied to the load of the receiver. VL is the minimum voltage setting, and VF is the highest voltage supplied at the theoretical resonant frequency. The control of the voltage point corresponding to the accurate resonance frequency is sensitive and difficult. Especially when the peak voltage output is not needed, the maximum voltage set value VM is set so that the output voltage range to the load is set to the minimum voltage set value VL and the maximum And a region R1 between the voltage set value VM. In this case, a region R2 between the theoretical maximum voltage VF and the maximum voltage setting value VM is actually a range excluded from the output, and is indicated by a two-dot chain line in Fig.
최대전압설정치(VL)는 공진주파수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공진주파수점에서 양쪽으로 3dB, 즉 반으로 감쇄되는 지점의 주파수간의 차이를 소위 3dB 대역폭이라고 하는데, 공진주파수를 3dB 대역폭으로 나눈 것이 바로 Q값이다. The maximum voltage set value (VL) is, for example, a difference between the resonance frequency of 3 dB on both sides of the resonance frequency point,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ies of th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resonance frequency divided by 3 dB bandwidth. Value.
공진주파수를 3dB 대역폭으로 나눈 것에 대한 이득을 가지는 주파수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It can be set to a voltage corresponding to a frequency having a gain for dividing the resonance frequency by the 3 dB bandwidth.
도 6에서, 전압이 상승하여 최소전압설정치(VL)에 도달하면 부하로의 출력이 개시된다. 전압이 상승하여 최대전압설정치(VM)에 도달한 순간 도 4의 스위치(S)가 ON된다. 그러면 전술한 것과 같이, 미리 설정된 최대 공진 주파수와 조금 틀린 주파수로 동작 주파수가 전이하며, 출력 전압은 최대전압설정치(VM)를 소정 시간 유지한다.In Fig. 6, when the voltage rises to reach the minimum voltage set value VL, the output to the load is started. As soon as the voltage rises and reaches the maximum voltage set value VM, the switch S of Fig. 4 is turned ON. Then,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ng frequency transitions to a frequency slightly different from the preset maximum resonance frequency, and the output voltage maintains the maximum voltage set value VM for a predetermined time.
유지구간(P) 길이는 버퍼 캐패시터(2)의 용량, 전압의 절대치 등 여러 변수에 의하여 달라진다. 버퍼 캐패시터(2)가 충전되면서 전술한 제2의 LC조합부의 작동이 지속됨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던 전압은 점점 강하하여 최소전압설정치(VL)에 도달한다.The length of the sustain period (P) depends on various variables such as the capacity of the buffer capacitor (2)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voltage. As the
그러면, 도 4의 스위치(S)가 다시 OFF상태로 복귀된다. 루프 전압 전류는 소멸되며, 정류부(10)에 흐르는 전압 전류만 존재하고, 캐패시터(C1)와 코일(L;L1,L2)로 이루어진 공진조합부는 공진주파수를 향하여 다시 구동하기 시작하므로 전압은 다시 상승한다.Then, the switch S of FIG. 4 is returned to the OFF state again. The loop voltage current disappears and only the voltage current flowing in the
이러한 사이클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면서 출력 전압은 계속해서 영역(R1)의 범위에서 제어되므로 톱니형 구형파의 속성을 유지하면서 안정된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Since this cycle is repeated periodically, the output voltage is continuously controlled in the range of the region R1, so that stable adjustment is possible while maintaining the property of the sawtooth square wave.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신기의 제어를 위해서는 부하전압을 상시 검출하고, 검출 전압을 최대 및 최소전압설정치와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스위치(S)를 ON/OFF하는 제어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From the above description, in order to control the recei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voltage is always detected, the detected voltage is compared with the maximum and minimum voltage set values, and the control for turning ON / OFF the switch S according to the result Is required.
도 7은 이상의 설명을 토대로 한 본 발명의 수신기의 전체 구성도이다.Fig. 7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ce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공진조합부, 제어회로(1), 정류부(10)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는, 공진조합부에서 출력(20)되어 부하로 공급되는 부하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32)와, 검출부(32)에서 검출된 부하전압을 최대전압설정치(VM) 및 최소전압설정치(VL)와 비교하는 비교판단부(34)를 포함한다.The
도 8은 제어부(30)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Fig. 8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the
먼저 검출부(32)에서 검출한 부하전압이 최소전압설정치(VL) 이상 인지를 판단한다(S10). 긍정되면, 단계(S12)로 나아가 부하에 출력을 공급한다. 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oad voltage detected by the
검출부(32)에서 검출한 부하전압이 상승하여 최대전압설정치(VM) 이상인지를 판단하여(S14), 긍정되면 스위치를 ON시켜(S16), 제어회로(1)를 비매칭형성회로로 전환시킨다. 감소된 부하전압이 부하로 공급되며(S18), 전압값이 하강하여 최소전압설정치(VL)에 이르는지를 판단하고(S20), 긍정되면 스위치를 OFF하여(S22) 부하로 출력을 공급한다(S12). 제어회로(1)는 송신기의 메인 회로와 단절되므로, 비매칭 형성 기능이 해제 또는 중단된 상태에서 출력이 부하로 공급되며, 전압은 점점 상승한다. 이러한 제어의 반복으로 전술한 것과 같이, 유용한 안정된 범위에서 출력 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load voltage detected by the detecting
또한 초기에 단계(S10)를 생략하여 최소 설정치 검출을 하지 않고 최대치부터 검출하여 스위치를 ON 하고, 최소 검출이 되었을때 OFF 해도 무방하다.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tep S10 is omitted at the beginning and the switch is turned on at the maximum value without detecting the minimum set value, and may be turned off when the minimum value is detected.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대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오직 예시일 뿐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 또는 추가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전압” “고전력”은 기술의 진보에 따른 상대적인 개념이며,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상대적으로 작은 “소전압” 과 “소전력”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While this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embodiments. For example, the terms " high voltage " and " high power " are relative concepts as technology advances, and the basic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ally applicable to relatively small " small voltage "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와 동일 또는 균등한 영역에까지 미침이 자명하다.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same or equivalent scope as the following claims.
(L): 코일 (L1): 제1코일 (L2): 제2코일 (T): 라인
(10): 정류부 (1): 제어회로 (2): 버퍼 캐패시터
(S): 스위치 (20): 출력 (30): 제어부 (32): 검출부 (34): 비교판단부(L): coil (L1): first coil (L2): second coil (T): line
(10): rectifying section (1): control circuit (2): buffer capacitor
(S): switch (20): output (30): control unit (32): detection unit (34)
Claims (11)
송신기와 공진 결합하기 위한 코일과 캐패시터를 병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진 공진조합부;
상기 공진조합부의 코일에 병렬 연결되며, 스위치와 버퍼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제어 회로;
상기 공진조합부에서 출력되어 부하로 공급되는 부하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부하전압을 소정의 설정치와 비교하는 비교판단부를 포함하며 구성되며,
상기 소정의 설정치는 최대전압설정치이며, 검출된 상기 부하전압이 상기 최대전압설정치에 도달하면 상기 스위치를 ON시켜 상기 공진조합부가 매칭되는 공진 주파수로부터 다른 주파수가 되도록 공진 주파수를 비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receiver,
A resonance combining unit including a coil and a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for resonance coupling with a transmitter;
A control circuit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coil of the resonance combining section and including a switch and a buffer capacitor;
A detector for detecting a load voltage output from the resonance combining unit and supplied to the load; And
And a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for comparing the load voltage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with a predetermined set value,
Wherein the predetermined set value is a maximum voltage set value, and when the detected load voltage reaches the maximum voltage set value, the switch is turned on to mismatch the resonance frequency such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is different from the resonance frequency matched by the resonance combination section Receiver.
상기 소정의 설정치는 최소전압설정치를 더 포함하며, 검출된 상기 부하전압이 상기 최소전압설정치에 도달하면 상기 스위치를 OFF시켜 상기 공진조합부의 공진주파수를 상기 송신기의 공진주파수와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determined set value further includes a minimum voltage set value and when the detected load voltage reaches the minimum voltage set value, the switch is turned off to match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sonance combining section with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transmitter receiving set.
상기 공진조합부의 상기 코일은 제1코일과 제2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코일과 제2코일은 두 코일을 연결하는 브릿지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il of the resonant combination portion includes a first coil and a second coil, and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are connected to a bridge portion connecting the two coils.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제1코일 또는 제2코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rol circui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oil or the second coil.
상기 브릿지부는 정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bridg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ectifying portion.
상기 제1코일과 제2코일은 두 코일을 연결하는 링크 또는 탭에 의하여 상기 브릿지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are connected to the bridge portion by a link or a tab connecting the two coils.
(a) 송신기와 공진 결합하여 상기 수신기의 부하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병렬접속된 코일과 캐패시터로 이루어지는 공진조합부로부터 부하에 공급되는 부하전압을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하여, 비교판단부에서 소정의 최소전압설정치 이상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 (a) 단계가 긍정되면, 상기 부하에 상기 부하전압을 공급하는 단계;
(c)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상기 부하전압을 상기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하여, 상기 비교판단부에서 소정의 최대전압설정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c) 단계가 긍정되면, 상기 공진조합부의 공진주파수를 상기 송신기의 공진주파수와 상이한 다른 주파수가 되도록 비매칭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공진조합부에 병렬로 접속되며, 스위치와 버퍼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회로의 상기 스위치가 ON되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 수신기 제어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receiver,
(a) a load voltage supplied to a load from a resonance combination unit composed of a coil and a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so as to supply a voltage to the load of the receiver by resonance coupling with the transmitter is detected by a detec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voltag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voltage set value;
(b) if the step (a) is affirmative, supplying the load voltage to the load;
(c) detecting the load voltage supplied to the load by the detection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load voltage reaches a predetermined maximum voltage set value in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And
(d) if the step (c) is affirmed, mismatching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sonance combining unit to a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transmitter,
Wherein the step (d) is performed when the switch of the control circuit including the switch and the buffer capacitor is turned on, the switch being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resonance combining unit.
상기 (d) 단계 후, 상기 부하전압이 소정의 상기 최소전압설정치에 도달하면 비매칭하는 단계를 해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 수신기 제어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fter step (d), releasing the step of mismatching when the load voltage reaches a predetermined minimum voltage setpoint.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9385A KR101871772B1 (en) | 2017-04-17 | 2017-04-17 | High power high voltage type wireless power receiver |
PCT/KR2018/001592 WO2018194247A1 (en) | 2017-04-17 | 2018-02-06 | High-power and high-voltag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receiv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9385A KR101871772B1 (en) | 2017-04-17 | 2017-04-17 | High power high voltage type wireless power receiv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1772B1 true KR101871772B1 (en) | 2018-06-28 |
Family
ID=6278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9385A KR101871772B1 (en) | 2017-04-17 | 2017-04-17 | High power high voltage type wireless power receiv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1772B1 (en) |
WO (1) | WO2018194247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5005657A1 (en) * | 2023-06-28 | 2025-01-0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01246A (en) * | 2012-03-05 | 2013-09-1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system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delivering wireless power |
KR20140077070A (en) * | 2012-12-13 | 2014-06-2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76409B2 (en) * | 2006-10-06 | 2011-04-27 | 東光株式会社 |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device |
US8111042B2 (en) * | 2008-08-05 | 2012-02-07 | Broadcom Corporation | Integrated wireless resonant power charging and communication channel |
TWI513135B (en) * | 2013-11-18 | 2015-12-11 | Richtek Technology Corp | Power management unit and wireless power system thereof |
-
2017
- 2017-04-17 KR KR1020170049385A patent/KR101871772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2-06 WO PCT/KR2018/001592 patent/WO201819424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01246A (en) * | 2012-03-05 | 2013-09-1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system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delivering wireless power |
KR20140077070A (en) * | 2012-12-13 | 2014-06-2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5005657A1 (en) * | 2023-06-28 | 2025-01-0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194247A1 (en) | 2018-10-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83810B2 (en) | Variable-distance wireless-power-transfer system with fixed tuning and power limiting | |
US10298069B2 (en) |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 |
US10903687B2 (en) | Wireless power receiver with improved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685371B1 (en) | Power transmission system | |
KR102139841B1 (en) | A receiver for an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ceiver | |
US11411434B2 (en) | Coupling optimized electric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 |
US11043847B2 (en) | Wireless charging receiver | |
US20130099591A1 (en) | Received power conversion device for resonant wireless charging system | |
US20120068548A1 (en) | Wireless power supply apparatus | |
US20110241436A1 (en) |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 |
US11495995B2 (en) | Advanced overvoltage protection strategy for wireless power transfer | |
WO2016172916A1 (en) | Transmitter-side control of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without using mutual coupling information or wireless feedback | |
US11050356B2 (en) | Rectifying circuit and devices comprising the same | |
US20190067997A1 (en) |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US20170033693A1 (en) | Inductive power transfer converters and system | |
Narusue et al. | Maximum efficiency point tracking by input control for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with a switching voltage regulator | |
US10164475B2 (en) | Wireless power receiver | |
US12040627B2 (en) | Non-contact power feeding device | |
KR101871772B1 (en) | High power high voltage type wireless power receiver | |
EP0891036A2 (en) | Switching regulator | |
US20180226834A1 (en) | An Inductive Power Receiver | |
CN110603712A (en) | Non-contact power supply device | |
KR20180058557A (en) |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mitter | |
KR20130116230A (en) |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system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5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6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7103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80115 Appeal identifier: 2017101005284 Request date: 20171030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8011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71030 Decision date: 20180115 Appeal identifier: 2017101005284 |
|
PS0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PS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226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6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803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