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735B1 - Dc-dc 컨버터의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 - Google Patents
Dc-dc 컨버터의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0735B1 KR101870735B1 KR1020170099706A KR20170099706A KR101870735B1 KR 101870735 B1 KR101870735 B1 KR 101870735B1 KR 1020170099706 A KR1020170099706 A KR 1020170099706A KR 20170099706 A KR20170099706 A KR 20170099706A KR 101870735 B1 KR101870735 B1 KR 1018707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flip
- delay
- flops
- pulse wid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8—Duration or width modulation ; Duty cycle modula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ulse Circui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종래의 아날로그 DC-DC 컨버터의 타이밍 다이어그램(timing diagram)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디지털 DC-DC 컨버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종래의 디지털 DC-DC 컨버터의 타이밍 다이어그램(timing diagram)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의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종래의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의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의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면.
T1 | T2 | T3 | …… | T16 | B1 | B2 |
1 | 0 | 0 | …… | 0 | 0 | 0 |
1 | 1 | 0 | …… | 0 | 0 | 0 |
…… | …… | …… | …… | …… | …… | …… |
1 | 1 | 1 | …… | 1 | 0 | 0 |
0 | 0 | 0 | …… | 0 | 1 | 0 |
1 | 0 | 0 | …… | 0 | 1 | 0 |
…… | …… | …… | …… | …… | …… | …… |
1 | 1 | 1 | …… | 1 | 1 | 0 |
0 | 0 | 0 | …… | 0 | 0 | 1 |
720: 신호 지연부
730: 스위칭부
740: 서머미터 업다운 카운터(thermometer up/down counter)
750: 바이너리 업다운 카운터(binary up/down counter)
760: 선택부
770: 변조펄스 생성부
Claims (10)
- DC-DC 컨버터의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DPWM: Digital Pulse Width Modulator)에 있어서,
세트(Set)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펄스 생성부;
출력단자와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직렬 형태의 지연 라인을 형성하는 복수의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상기 세트 신호를 지연시킨 복수의 지연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복수의 플립플롭 중 상기 세트 신호가 입력되는 첫단 플립플롭의 입력단자와 마지막단 플립플롭의 출력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플립플롭을 통한 세트 신호의 지연을 미리 설정된 반복 횟수만큼 반복하는 신호 지연부;
상기 복수의 지연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카운터;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플립플롭의 각 출력단자와 연결된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칭부;
상기 복수의 지연 신호 중 선택된 제1 선택 지연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카운터;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입력받는 제1 선택 지연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2 선택 지연 신호를 리셋(Reset) 신호로 출력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세트 신호와 상기 리셋 신호에 따라 디지털 펄스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변조펄스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선택 지연 신호는 상기 반복에 따라 상기 반복 횟수에 상응하는 복수개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립플롭은 각각 순번만큼 지연된 지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지연부는, 상기 기준펄스 생성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세트 신호와 상기 마지막단 플립플롭으로부터 출력된 마지막단 지연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첫단 플립플롭으로 입력하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마지막단 플립플롭의 출력단자 및 상기 기준펄스 생성부의 출력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두 입력단자 및 상기 첫단 플립플롭의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에 입력되는 선택 신호는, 상기 세트 신호가 상기 복수의 플립플롭 모두를 한번 통과하는 동안에는 상기 기준펄스 생성부로부터 출력된 세트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반복 시에는 상기 마지막단 플립플롭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마지막단 지연 신호가 입력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카운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플립플롭으로부터 출력되는 지연 신호 중 선택된 상기 제1 선택 지연 신호를 상기 선택부로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복수의 플립플롭의 각 출력단자와 상기 선택부를 연결시키는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운터는 입력 펄스 신호를 카운팅하여 카운팅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증가된 카운팅값이 미리 설정된 카운팅값이 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카운팅값을 상기 제1 제어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운터는 상기 제1 카운터가 최대 카운팅값까지 카운팅을 수행하면, 입력 펄스 신호를 카운팅하여 카운팅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증가된 카운팅값이 미리 설정된 카운팅값이 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카운팅값을 상기 제2 제어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펄스 생성부는 상기 세트 신호의 시점부터 상기 리셋 신호 시점까지의 펄스폭을 가지는 상기 디지털 펄스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9706A KR101870735B1 (ko) | 2017-08-07 | 2017-08-07 | Dc-dc 컨버터의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9706A KR101870735B1 (ko) | 2017-08-07 | 2017-08-07 | Dc-dc 컨버터의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0735B1 true KR101870735B1 (ko) | 2018-06-27 |
Family
ID=62790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9706A Expired - Fee Related KR101870735B1 (ko) | 2017-08-07 | 2017-08-07 | Dc-dc 컨버터의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073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61513A (zh) * | 2019-08-15 | 2020-01-07 | 合肥工业大学 | 一种数字脉宽调制电路及工作方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7271A (ko) * | 2002-07-11 | 2004-01-24 | 후지 덴키 가부시끼가이샤 | Dc-dc 변환기 |
KR20050031382A (ko) * | 2003-09-29 | 2005-04-06 | 인터실 아메리카스 인코포레이티드 | 다중위상 합성 리플전압 조정기 및 그 제어방법 |
KR20050047501A (ko) * | 2002-09-30 | 2005-05-20 |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 직류-교류 변환 장치 및 교류 전력 공급 방법 |
KR20120090686A (ko) * | 2011-02-08 | 2012-08-17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디지털 펄스 폭 변조기 및 제어 방법 |
KR101206300B1 (ko) * | 2012-08-22 | 2012-11-29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디지털 직류-직류 변환기 |
JP2013198335A (ja) * | 2012-03-21 | 2013-09-30 | Toshiba Corp | Dc−dc変換器およびその制御回路 |
-
2017
- 2017-08-07 KR KR1020170099706A patent/KR10187073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7271A (ko) * | 2002-07-11 | 2004-01-24 | 후지 덴키 가부시끼가이샤 | Dc-dc 변환기 |
KR20050047501A (ko) * | 2002-09-30 | 2005-05-20 |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 직류-교류 변환 장치 및 교류 전력 공급 방법 |
KR20050031382A (ko) * | 2003-09-29 | 2005-04-06 | 인터실 아메리카스 인코포레이티드 | 다중위상 합성 리플전압 조정기 및 그 제어방법 |
KR20120090686A (ko) * | 2011-02-08 | 2012-08-17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디지털 펄스 폭 변조기 및 제어 방법 |
JP2013198335A (ja) * | 2012-03-21 | 2013-09-30 | Toshiba Corp | Dc−dc変換器およびその制御回路 |
KR101206300B1 (ko) * | 2012-08-22 | 2012-11-29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디지털 직류-직류 변환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61513A (zh) * | 2019-08-15 | 2020-01-07 | 合肥工业大学 | 一种数字脉宽调制电路及工作方法 |
CN110661513B (zh) * | 2019-08-15 | 2022-09-13 | 合肥工业大学 | 一种数字脉宽调制电路及工作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47637B1 (en) | Time-interleaved multi-modulus frequency divider | |
EP2168240B1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having improved pulse width modulation frequency resolution | |
CN106341134B (zh) | 具有局部交错和重采样的数模转换器 | |
CN110365317B (zh) | 具有自适应延迟补偿的高精度混合型数字脉宽调制器 | |
JP2012019252A (ja) | パラレルシリアル変換装置 | |
TWI532323B (zh) | 數位脈波寬度產生器及其產生方法 | |
KR20170053990A (ko) | 래치 회로, 그 래치 기반의 이중 데이터 레이트 링 카운터, 하이브리드 카운팅 장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장치, 및 씨모스 이미지 센서 | |
US7680238B2 (en) | Frequency divider circuit | |
US11411570B1 (en) | Multi modulus frequency divider and electronic device | |
CN107769768A (zh) | 具有改进的2/3分频级的宽范围无故障地可切换时钟分频器 | |
KR101870735B1 (ko) | Dc-dc 컨버터의 디지털 펄스폭 변조기 | |
US7579883B2 (en) | Frequency divider | |
CN1643794A (zh) | 用于分数分频器的相位误差消除电路和方法和含有该相位误差消除电路的电路 | |
JP5303761B2 (ja) | タイミング発生回路および位相シフト回路 | |
KR101215763B1 (ko) | 타이밍 신호 발생 회로 | |
JP4951378B2 (ja) | 波形発生器および試験装置 | |
KR100398013B1 (ko) | 선택 회로, d/a 변환기 및 a/d 변환기 | |
Costinett et al. | Simple digital pulse width modulator with 60 picoseconds resolution using a low-cost FPGA | |
CN215647500U (zh) | 一种用于矩阵led驱动器的降噪电路 | |
CN214799440U (zh) | 脉冲产生电路和交错脉冲产生电路 | |
KR100390384B1 (ko) | 펄스 분산기법을 이용한 펄스폭 변조기 및 임의 주파수발생기 | |
CN211959177U (zh) | 图像传感器斜坡信号产生电路 | |
CN103684452B (zh) | 一种动态单元匹配的方法和装置 | |
EP2622740B1 (en) | Rf divider using direct digital synthesis | |
CN115276616B (zh) | 一种高性能的混合抖动型dpwm电路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