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0637B1 -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637B1
KR101870637B1 KR1020120081417A KR20120081417A KR101870637B1 KR 101870637 B1 KR101870637 B1 KR 101870637B1 KR 1020120081417 A KR1020120081417 A KR 1020120081417A KR 20120081417 A KR20120081417 A KR 20120081417A KR 101870637 B1 KR101870637 B1 KR 101870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ring
slit
assembly
outer 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716A (ko
Inventor
김학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637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6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전자기기의 패널에 설치되는 엔코더볼륨과, 노브바디의 전단부에 결합되며, 노브바디 전방에 링 형상의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아우터링과, 노브아우터링 전방에서 노브아우터링을 관통하여 노브바디에 결합되며, 노브아우터링 전방에 링 형상의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데코링과, 노브데코링과 노브바디 내부를 전방에서 커버링하며, 노브데코링과 노브바디를 관통하여 엔코더볼륨에 결합되는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KNOB ASSEMBLY OF ELECTRONIC EQUIPME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되는 전자기기의 볼륨이나 튠 등을 조절하기 위한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TV, 오디오, 네비게이션 등을 시청 또는 청취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이하 '전자기기'라 함)에는 TV, 오디오 등의 볼륨(volume)이나 튠(tune) 등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일례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10)는 노브(11), 노브아우터(12), 노브바디(13), 엔코더볼륨(14)을 포함한다.
노브아우터(12)를 노브바디(13)의 둘레에 끼운 후, 노브바디(13)를 엔코더볼륨(14)의 둘레에 결합시키는 순서로 조립이 이루어진다.
노브바디(13)는 노브아우터(12)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부(13a)와 노브아우터(12)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부(13b)로 구분할 수 있으며, 노브아우터(12)와 함께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어셈블리(10)의 외관을 이루게 된다.
사용자는 노브바디(13)를 회전시키면서 차량용 전자기기의 작동을 조정하게 된다.
관련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23349호(2010.03.04.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노브유닛)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노브바디와 노브아우터로 노브조립체 둘레부의 외관을 이루게 되어, 노브바디와 노브아우터 각각에 해당되는 2가지 색상이나 질감으로만 노브조립체 둘레부의 외관을 디자인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3개 이상의 다양한 색상이나 질감으로 노브조립체 둘레부를 디자인할 수 있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는, 전자기기의 패널에 설치되는 엔코더볼륨; 상기 노브바디의 전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노브바디 전방에 링 형상의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아우터링; 상기 노브아우터링 전방에서 상기 노브아우터링을 관통하여 상기 노브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노브아우터링 전방에 링 형상의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데코링 및 상기 노브데코링과 상기 노브바디 내부를 전방에서 커버링하며, 상기 노브데코링과 상기 노브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엔코더볼륨에 결합되는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엔코더볼륨은, 상기 패널에 설치되며, 외면부에 상기 노브바디가 결합되고, 상기 노브바디에 가해지는 회전 조작력에 의해 상기 노브바디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본체부; 및 상기 회전본체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노브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노브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브는, 상기 노브데코링의 내면부에 대응되는 전면부 형상을 가지고, 상기 노브데코링의 내부에 끼워지는 노브캡부; 및 상기 노브캡부와 연결되며 상기 노브가이드부에 끼워지는 캡조립부와, 상기 캡조립부의 외면부에 전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부에 끼워지는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된 노브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브데코링은, 상기 노브아우터링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데코부; 상기 노브아우터링을 관통하여 상기 노브바디의 전단부에 접하며, 후단부에 전방측으로 연장되게 슬릿이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부가 형성되는 바디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브아우터링은,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연장부의 외면부 둘레에 끼워지는 링본체부; 및 상기 링본체부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슬릿에 끼워지는 슬릿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브바디는, 상기 엔코더볼륨의 외면부에 결합되는 엔코더결합부; 및 상기 엔코더결합부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되는 조립홀부가 형성되는 링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의 둘레부는 노브데코링, 노브아우터링, 노브바디가 전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노브데코링, 노브아우터링, 노브바디 각각을 서로 다른 소재와 색상으로 구성하거나 표면처리하면, 노브조립체의 둘레부의 외관(디자인)을 3가지 이상의 다양한 색상이나 질감을 조합하여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브아우터링을 노브데코링의 외면부에 끼운 상태에서 고정부재로 노브데코링과 노브바디를 연결하는 간단한 조립에 의해 상기와 같은 배열의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노브아우터링을 노브데코링이나 노브바디에 체결시키기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지 않고도, 노브아우터링을 노브바디와 노브데코링 사이에 안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200)는 엔코더볼륨(210), 노브바디(220), 노브아우터링(230), 노브데코링(240), 노브(250)를 포함한다.
엔코더볼륨(210)은 로터리 엔코더 스위치와 같이 회전버튼과 푸시버튼의 작동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전자기기의 패널(21)에 설치된다.
여기서, 전자기기의 패널(21)은 TV, 오디오,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차량용 전자기기의 케이스나 전자부품의 하우징, 회로기판 등과 같이 엔코더볼륨(210)을 설치가능한 설치면을 제공하는 패널 형상의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도 4,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엔코더볼륨(210)은 회전본체부(211)와 노브가이드부(215)를 포함하여, 패널(21)에 설치된다.
회전본체부(211)는 회전버튼의 기능을 구현하는 부분으로, 회전본체부(211)는 내부가 중공되고 전방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면부에 노브바디(220)가 결합되고, 노브바디(220)에 가해지는 회전 조작력에 의해 노브바디(220)와 함께 회전된다.
노브가이드부(215)는 푸시버튼의 기능을 구현하는 부분으로, 회전본체부(211) 내부에 설치되며, 내면부상에 노브(250)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부(217)가 전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노브바디(220)는 본 발명에 따른 노브조립체(200)의 측면부 일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엔코더볼륨(210) 외면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도 4,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바디(220)는 엔코더결합부(221)와 링결합부(225)를 포함한다.
엔코더결합부(221)는 엔코더볼륨(210)의 외면부에 대응되는 내면부 형상을 가지고, 엔코더볼륨(210)의 외면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링결합부(225)는 노브데코링(240)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엔코더결합부(221)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고정부재(260)가 관통되는 조립홀부(227)가 형성된다.(도 4, 6 참조)
노브아우터링(230)은 노브바디(220) 전방에서 본 발명에 따른 노브조립체(200)의 측면부 일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노브바디(220)의 전단부에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아우터링(230)은 링본체부(231)와 슬릿조립부(233)를 포함한다.
링본체부(231)는 링 형상을 가지고 노브데코링(240)의 연장부(242)의 외면부 둘레에 끼워지며, 노브데코링(240)이 노브바디(2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바디(220) 전방에 링 형상의 외관을 형성한다.
슬릿조립부(233)는 링본체부(231)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노브아우터링(230)를 노브데코링(240)의 외면부에 끼워 조립 시, 노브데코링(240)에 형성된 슬릿(243)에 끼워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릿조립부(233)는 슬릿(243)을 관통하도록 내향돌출되게 형성되는 슬릿관통부와, 슬릿(243)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고 슬릿관통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걸림턱부를 포함한다.
슬릿조립부(233)의 슬릿관통부에 의해, 노브아우터링(230)은 노브데코링(240)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구속되며, 노브데코링(240)과 동일 변위로 안정되게 회전할 수 있다.
슬릿조립부(233)의 걸림턱부에 의해, 노브아우터링(230)은 노브데코링(240)에 대한 반경방향 이동이 구속되며, 슬릿조립부(233)를 후방으로부터 슬릿(243)에 끼우는 직선 경로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한 조립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노브데코링(240)은 노브아우터링(230) 전방에서 본 발명에 따른 노브조립체(200)의 측면부 일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노브아우터링(230) 전방에서 노브아우터링(230)을 관통하여 노브바디(220)에 결합된다.
도 4,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데코링(240)은 전방데코부(241), 연장부(242), 바디결합부(245)를 포함한다.
전방데코부(241)는 노브아우터링(230)의 전방에 위치되는 부분으로, 노브데코링(240)이 노브바디(2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아우터링(230) 전방에 링 형상의 외관을 형성한다.
전방데코부(241)는 노브아우터링(230)의 내면부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며, 전방데코구(241) 후방에 연결되는 연장부(242)는 노브아우터링(230)의 내면부와 동일하거나 작은 너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전방데코부(241)는 노브아우터링(230)의 전방 이동을 구속하게 되며, 연장부(242)는 노브아우터링(230)의 측방향(예를 들어, 반경방향)을 구속하게 된다.
연장부(242)는 노브아우터링(230)이 외면부에 끼워질 수 있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전방데코부(241)의 후방에 연결된다.
연장부(242)는 전방으로부터 노브아우터링(230)을 관통하여 노브아우터링(230) 후방에 위치되는 노브바디(220)의 전단부에 접한다.
연장부(242)의 후단부에는 전방측으로 연장된 직선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슬릿(243)이 형성되며, 노브아우터링(230)의 슬릿조립부(233)는 슬릿(243) 각각에 끼워져 조립된다.
바디결합부(245)는 연장부(242)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고정부재(260)가 체결되는 체결홀부(247)가 형성된다.
도 4, 6을 참조하면, 고정부재(260)는 노브바디(220)의 링결합부(225)에 형성된 조립홀부(227)와 노브데코링(240)의 바디결합부(245)에 형성된 체결홀부(247)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고정부재(260)로써 외면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재를 적용하고, 조립홀부(227)와 체결홀부(247)의 내면부상에 암나사산을 형성하면, 고정부재(260)를 볼트체결 방식으로 조립홀부(227)와 체결홀부(247)상에 조립할 수 있다.
노브바디(220) 외측에 노브아우터링(230)을 끼워 조립한 상태에서, 노브바디(220)와 노브데코링(240) 내측에서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260)를 조립홀부(227)와 체결홀부(247)를 관통하여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260)로 노브바디(220)와 노브데코링(240)를 상호 결합시킨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노브조립체(200)의 측면부는 노브데코링(240), 노브아우터링(230), 노브바디(220)가 순차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재(260) 체결 구조에 의해, 노브아우터링(230)을 노브데코링(240)이나 노브바디(220)에 체결시키기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지 않고도, 노브바디(220)와 노브데코링(240) 사이에 안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노브데코링(240), 노브아우터링(230), 노브바디(220) 각각을 서로 다른 소재와 색상으로 구성하거나 표면처리(예를 들어, 도금)하면, 노브조립체(200)의 측면부의 외관을 3가지 이상의 색상이나 질감을 조합하여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노브(250)는 노브데코링(240)과 노브바디(220) 내부를 전방에서 커버링하며, 노브데코링(240)과 노브바디(220)를 관통하여 엔코더볼륨(210)에 결합된다.
도 4,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250)는 노브캡부(251)와 노브레일부(255)를 포함한다.
노브캡부(251)는 노브데코링(240)의 내면부에 대응되는 전면부 형상을 가지고, 노브데코링(240)의 내부에 끼워진다.
노브레일부(255)는 노브캡부(251)의 후방에 연결되며 엔코더볼륨(210)의 노브가이드부(215)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노브레일부(255)는 캡조립부(256)와 가이드돌출부(257)를 포함한다.
캡조립부(256)는 노브가이드부(215)의 내면부에 대응되는 원통 형상의 외면부를 구비하여 노브가이드부(215) 내부에 끼워진다.
가이드돌출부(257)는 캡조립부(256)의 외면부에 전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노브가이드부(215)의 내면부상에 전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홈부(217)에 끼워진다.
사용자가 노브(250)를 푸시 조작 시, 노브(250)는 가이드홈부(217)에 끼워져 조립된 가이드돌출부(257)에 의해 전후방으로의 직선이동이 안정되게 가이드되어 푸시 조작에 따른 변위를 신뢰성있게 엔코더볼륨(210)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1 : 패널 200 : 노브조립체
210 : 엔코더볼륨 211 : 회전본체부
215 : 노브가이드부 217 : 가이드홈부
220 : 노브바디 221 : 엔코더결합부
225 : 링결합부 227 : 조립홀부
230 : 노브아우터링 231 : 링본체부
233 : 슬릿조립부 240 : 노브데코링
241 : 전방데코부 242 : 연장부
243 : 슬릿 245 : 바디결합부
247 : 체결홀부 250 : 노브
251 : 노브캡부 255 : 노브레일부
256 : 캡조립부 257 : 가이드돌출부
260 : 고정부재

Claims (6)

  1. 전자기기의 패널에 설치되는 엔코더볼륨;
    상기 엔코더볼륨의 외면부에 결합되는 노브바디;
    상기 노브바디의 전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노브바디 전방에 링 형상의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아우터링;
    상기 노브아우터링 전방에서 상기 노브아우터링을 관통하여 상기 노브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노브아우터링 전방에 링 형상의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데코링; 및
    상기 노브데코링과 상기 노브바디 내부를 전방에서 커버링하며, 상기 노브데코링과 상기 노브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엔코더볼륨에 결합되는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데코링은,
    상기 노브아우터링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데코부;
    상기 노브아우터링을 관통하여 상기 노브바디의 전단부에 접하며, 후단부에 전방측으로 연장되게 슬릿이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부가 형성되는 바디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아우터링은,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연장부의 외면부 둘레에 끼워지는 링본체부; 및
    상기 링본체부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슬릿에 끼워지는 슬릿조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릿조립부는,
    상기 슬릿을 관통하도록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슬릿관통부; 및
    상기 슬릿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고, 상기 슬릿관통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볼륨은,
    상기 패널에 설치되며, 외면부에 상기 노브바디가 결합되고, 상기 노브바디에 가해지는 회전 조작력에 의해 상기 노브바디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본체부; 및
    상기 회전본체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노브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노브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노브데코링의 내면부에 대응되는 전면부 형상을 가지고, 상기 노브데코링의 내부에 끼워지는 노브캡부; 및
    상기 노브캡부와 연결되며 상기 노브가이드부에 끼워지는 캡조립부와, 상기 캡조립부의 외면부에 전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부에 끼워지는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된 노브레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바디는,
    상기 엔코더볼륨의 외면부에 결합되는 엔코더결합부; 및
    상기 엔코더결합부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되는 조립홀부가 형성되는 링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
KR1020120081417A 2012-07-25 2012-07-25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 Active KR101870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17A KR101870637B1 (ko) 2012-07-25 2012-07-25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17A KR101870637B1 (ko) 2012-07-25 2012-07-25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716A KR20140014716A (ko) 2014-02-06
KR101870637B1 true KR101870637B1 (ko) 2018-06-25

Family

ID=5026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417A Active KR101870637B1 (ko) 2012-07-25 2012-07-25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9529B (zh) 2015-10-20 2018-12-18 深圳市大疆灵眸科技有限公司 旋钮结构及使用该旋钮结构的跟焦遥控器
CN107785203B (zh) * 2016-08-25 2019-09-20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车辆及其控制面板旋钮控制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3848A (ja) * 2000-03-01 2001-09-07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電気部品
KR20050104689A (ko) * 2004-04-29 2005-11-03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차량의 공조기용 스위치
KR20070016096A (ko) * 2003-09-03 2007-02-07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특히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용 작동 부재
JP2007149539A (ja) * 2005-11-29 2007-06-14 Alpine Electronics Inc ノブ
KR20090056463A (ko) *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회전식 스위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3848A (ja) * 2000-03-01 2001-09-07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電気部品
KR20070016096A (ko) * 2003-09-03 2007-02-07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특히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용 작동 부재
KR20050104689A (ko) * 2004-04-29 2005-11-03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차량의 공조기용 스위치
JP2007149539A (ja) * 2005-11-29 2007-06-14 Alpine Electronics Inc ノブ
KR20090056463A (ko) *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회전식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716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9946B2 (en) Operation unit and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provided with the same
US20190382074A1 (en) Integrated bicycle control device
USD596096S1 (en) Instrument panel for an automobile
US20140376990A1 (en) Collapsible Tubular Rod
KR101870637B1 (ko) 차량용 전자기기의 노브조립체
CN103821921A (zh) 变速杆用把手的按钮结构
US8695389B2 (en) Mechanical module for a vehicle key and a key provided with such a module
EP3147194A1 (de) Ansteuereinrichtung zum drahtlosen ansteuern wenigstens einer komponente eines fahrrads
USD695976S1 (en) Leash
US9006577B2 (en) Apparatus for detachable attachment of an electrical conductor to a current transformer housing
WO2009038967A3 (en) Fastener assembly
US20140137697A1 (en) Shift knob installation structure
EP2706001A1 (de) Fahrradgriffsystem
JP2006090439A (ja) パネル穴への取り付け体、および、クランプ具
WO2008081471A3 (en) Auto lock slider for slide fastener
JP2013007158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
EP2969398B1 (en) Quick fit adjustment mechanism for extension pole system for paint roller
EP3125572A1 (en) Headphone device
US20200255048A1 (en) Decorative part for vehicle steering wheel
EP2658037B1 (en) Insulating terminal base of a connector
USD605259S1 (en) Faucet
US10086778B2 (en) Cover assembly to detachably contact an interior trim and interior trim assembly employing the same
JP6407583B2 (ja) 車両用操作装置
CA2726112A1 (en) Locking cap for a connector-fastening screw
JP5985250B2 (ja) オーナメントの着脱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7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