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0429B1 - 헬스케어 칫솔 - Google Patents

헬스케어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429B1
KR101870429B1 KR1020160063702A KR20160063702A KR101870429B1 KR 101870429 B1 KR101870429 B1 KR 101870429B1 KR 1020160063702 A KR1020160063702 A KR 1020160063702A KR 20160063702 A KR20160063702 A KR 20160063702A KR 101870429 B1 KR101870429 B1 KR 101870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unit
photosensor
gripping
health ca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609A (ko
Inventor
박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Priority to KR1020160063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429B1/ko
Publication of KR20170132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42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08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from analysis of pulse wave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스케어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헬스케어 칫솔은 복수의 광센서를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칫솔로, 상기 칫솔의 외형을 정의하는 바디;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신체 적어도 일부의 접촉 시 빛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맥파 신호를 획득하는 제1 광센서부 및 제2 광센서부; 상기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제1 파지 센서부 및 제2 파지 센서부; 및 상기 제1 파지 센서부 및 상기 제2 파지 센서부로부터 획득한 신호에 기초하여 파지 자세를 판단하고 상기 파지 자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파지 자세 판단 결과 제1 자세인 경우, 상기 제1 광센서부로부터 상기 맥파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파지 자세 판단 결과 제2 자세인 경우, 상기 제2 광센서부로부터 상기 맥파 신호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헬스케어 칫솔{HEALTHCARE TOOTHBRUSH}
본 발명은 헬스케어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헬스케어 칫솔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병원 외에도 가정, 일상 생활 등에서도 생체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칫솔은 일상 생활에서 치아 관리 등을 위하여 잦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칫솔은 종래에는 치아 관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중점으로 전동 칫솔이나 칫솔모를 개량한 다양한 제품이 제공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칫솔은 치아 관리에만 중점적이었을 뿐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생체 정보를 획득하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칫솔의 경우에는 칫솔질을 하는 도중에는 파지 자세가 변경되어 연속적으로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칫솔의 파지 자세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수의 광센서부로부터 생체 신호를 획득 함으로써, 파지 자세가 변동되더라도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헬스케어 칫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칫솔의 파지 자세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수의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이미지를 획득 함으로써, 파지 자세가 변동되더라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헬스케어 칫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구강의 폐쇄 여부를 판단하여 보다 정확한 체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헬스케어 칫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광센서를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칫솔로, 상기 칫솔의 외형을 정의하는 바디;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신체 적어도 일부의 접촉 시 빛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맥파 신호를 획득하는 제1 광센서부 및 제2 광센서부; 상기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제1 파지 센서부 및 제2 파지 센서부; 및 상기 제1 파지 센서부 및 상기 제2 파지 센서부로부터 획득한 신호에 기초하여 파지 자세를 판단하고 상기 파지 자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파지 자세 판단 결과 제1 자세인 경우, 상기 제1 광센서부로부터 상기 맥파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파지 자세 판단 결과 제2 자세인 경우, 상기 제2 광센서부로부터 상기 맥파 신호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칫솔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칫솔의 파지 자세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수의 광센서부로부터 생체 신호를 획득 함으로써, 파지 자세가 변동되더라도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칫솔의 파지 자세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수의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이미지를 획득 함으로써, 파지 자세가 변동되더라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강의 폐쇄 여부를 판단하여 보다 정확한 체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10000)의 환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칫솔(100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000)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3000)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칫솔(1000)의 외형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칫솔의 외형을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림 부재(1830)가 부가된 헬스케어 칫솔(1000)의 예시도이다.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림 부재(1830)가 부가된 헬스케어 칫솔(1000)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1820)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칫솔(1000)의 생체 신호 획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파 신호 및 가속도 맥파 신호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000)에서의 생체 정보 및 이미지 출력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000)에서의 생체 정보 및 이미지 출력을 나타내는 다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광센서를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칫솔로, 상기 칫솔의 외형을 정의하는 바디;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신체 적어도 일부의 접촉 시 빛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맥파 신호를 획득하는 제1 광센서부 및 제2 광센서부; 상기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제1 파지 센서부 및 제2 파지 센서부; 및 상기 제1 파지 센서부 및 상기 제2 파지 센서부로부터 획득한 신호에 기초하여 파지 자세를 판단하고 상기 파지 자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파지 자세 판단 결과 제1 자세인 경우, 상기 제1 광센서부로부터 상기 맥파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파지 자세 판단 결과 제2 자세인 경우, 상기 제2 광센서부로부터 상기 맥파 신호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칫솔이 제공될 수 있다.
또 이미지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를 외부 전자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이미지 센서부는 제1 이미지 센서부 및 제2 이미지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지 자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부로부터 획득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구강 폐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구강 폐쇄 판단 결과 구강이 폐쇄된 경우,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획득한 신호에 대응 하는 온도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광센서부는 서로 다른 파장의 복수의 발광부 및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광센서부는 서로 다른 파장의 복수의 발광부 및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광센서부의 상기 복수의 발광부 및 상기 제2 광센서부의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서로 동일한 파장을 갖을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부가 점등될 때 획득한 상기 맥파 신호의 차이에 기초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맥파 신호를 2차 미분한 가속도 맥파를 획득하고, 상기 가속도 맥파의 특징점의 전압값을 미리 정해진 수식에 적용하여 혈관 탄성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 상기 바디는 상기 제1 광센서부 및 상기 제2 광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 빛에 대한 영향을 감소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광센서부 및 상기 제2 광센서부 적어도 하나의 위에 위치하여 제공되는 광가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광가림 부재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인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바디는 상기 칫솔을 파지 가능한 외형을 제공하는 칫솔 몸체 및 칫솔모가 제공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칫솔 몸체 및 상기 헤드부는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칫솔 몸체 및 상기 헤드부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칫솔 몸체 및 상기 헤드부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10000)의 환경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헬스 케어 시스템(10000)은 헬스케어 칫솔(1000), 전자기기(2000), 서버 장치(3000) 및 유관 기관(4000)을 포함할 수 있다.
헬스케어 칫솔(1000)은 전자기기(2000) 및 서버 장치(30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헬스케어 칫솔(1000)은 전자기기(2000)와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헬스케어 칫솔(1000)은 중계기(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헬스케어 칫솔(1000)은 중계기를 통하여 전자기기(2000) 및 서버 장치(3000)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계기는 통신 허브, 안테나 중계기, AP(Access Point), 비콘(beacon)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헬스케어 칫솔(1000)은 서버 장치(3000)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헬스케어 칫솔(1000)은 3G,, LTE, Wibro 등과 같이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제공하는 통신을 통하여 서버 장치(3000)와 연결될 수 있다.
헬스케어 칫솔(1000)은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전자기기(2000) 및 서버 장치(30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기기(2000)는 헬스케어 칫솔(1000) 및 서버 장치(30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2000)는 서버 장치(3000)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기기(2000)는 중계기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기기(2000)는 중계기를 통하여 서버 장치(30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자기기(2000)는 헬스케어 칫솔(1000)로부터 획득한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맥파 신호, 맥박 수, 산소포화도, 혈관 탄성도, 체온 정보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전자기기(2000)는 획득한 생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2000)는 획득한 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기기(2000)는 획득한 생체 정보를 서버 장치(30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장치(3000)는 헬스케어 칫솔(10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3000)는 전자기기(2000)와 연결될 수 있다. 서버 장치(3000)는 중계기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3000)는 유관 기관(40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유관 기관(4000)은 병원, 보건소, 건강 보험 공단 등의 서버일 수 있다.
서버 장치(3000)는 헬스케어 칫솔(1000)로부터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경우, 획득한 생체 신호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 장치(3000)는 전자기기(2000)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획득한 생체 정보를 저장하여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서버 장치(3000)는 생체 정보를 유관 기관(4000)에 전송할 수 있다.
유관 기관(4000)은 서버 장치(3000)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유관 기관(4000)은 획득한 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칫솔(10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헬스케어 칫솔(1000)은 통신부(1100), 이미지부(1200), 광센서부(1310), 파지 센서부(1320), 온도 센서부(1330), 디스플레이부(1600), 전원부(1700) 및 제어부(1800)를 포함할 수 있다.
칫솔 통신부(1100)는 전자기기(2000) 및 서버 장치(30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칫솔 통신부(1100)는 전자기기(2000) 및 서버 장치(300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유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칫솔 통신부(100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알에프아이디(RFID), 지그비(Zigbee), LTE, 3G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모듈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통신부(1000)는 직렬 통신, 병렬 통신, RS232, LAN 통신 등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모듈일 수 있다.
칫솔 통신부(1000)는 연결된 외부 전자기기 즉, 전자기기(2000) 및 서버 장치(3000)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생체 신호 및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칫솔 이미지부(1200)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부(1200)는 구강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이미지부(1200)는 구강 내 치아, 잇몸 등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칫솔 이미지부(1200)는 외부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부(1200)는 CCD, CMOS 등의 이미지 센서와 렌즈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일 수 있다.
칫솔 센서부(1300)는 생체 신호 및/또는 생체 정보 획득에 필요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칫솔 센서부(1300)는 광센서부(1310), 파지 센서부(1320) 및 온도 센서부(133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센서부(1310)는 공급되는 전원에 따라 빛을 방출하고 외부 빛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센서부(1310)는 전원이 공급되는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외부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센서부(1310)의 발광부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발광부는 각기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은 발광되는 빛의 파장 범위가 완벽하게 상이한 것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광 되는 빛의 파장 범위가 서로 일부는 겹치되, 그 중심 파장이 서로 상이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센서부(1310)는 적외선 파장의 제1 발광부 및 녹색 파장의 제2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부는 서로 교차하여 점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부와 제2 발광부는 서로 교차하여 점등 되어 제1 발광부의 점등 시에는 제2 발광부는 소등될 수 있으며, 제1 발광부의 소등 시에는 제2 발광부는 점등될 수 있다.
광센서부(131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센서부(1310)는 제1 광센서부(1300a) 및 제2 광센서부(1300b)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 센서부(1320)는 접촉 여부를 따른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 센서부(1320)는 신체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접촉 여부 따른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파지 센서부(1320)는 손가락의 접촉 여부에 따른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파지 센서부(1320a)는 예를 들어 전극, 터치 센서 및 스위치 등일 수 있다.
파지 센서부(132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 센서부(1320)는 제1 파지 센서부(1320a) 및 제2 파지 센서부(1320b)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부(1330)는 주변 온도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부(1330)는 온도계, 온도 센서 모듈 등일 수 있다.
칫솔 디스플레이부(1400)는 시각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600)는 생체 신호, 생체 정보, 헬스케어 칫솔(1000)의 동작 상태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칫솔 입력부(15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칫솔 입력부(1500)는 전원 On/Off, 이미지 센서 On/Off, 광센서부 On/Off, 온도 센서부 On/Off 등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고,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칫솔 제어부(1700)에 제공할 수 있다.
칫솔 전원부(1600)는 헬스케어 칫솔(1000)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칫솔 전원부(1600)는 전기 에너지를 미리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헬스케어 칫솔(1000)의 구성에 전달하는 전원 공급 모듈 등일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헬스케어 칫솔(1000)의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000)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기기(2000)는 전자기기 통신부(2100), 전자기기 입력부(2200), 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2300), 전자기기 저장부(2400), 전자기기 전원부(2400) 및 전자기기 제어부(2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 통신부(2100)는 헬스케어 칫솔(1000)과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 통신부(2100)는 헬스케어 칫솔 통신부(1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기기 통신부(2100)는 헬스케어 칫솔(100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자기기 통신부(2100)는 서버 장치(3000)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 통신부(2100)는 서버 통신부(4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기기 통신부(2100)는 서버 장치(300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자기기 통신부(2100)는 헬스케어 칫솔(1000)로부터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 통신부(2100)는 헬스케어 칫솔(1000)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기기 통신부(2100)는 서버 장치(3000)로 생체 신호 및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기기 입력부(22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 입력부(2200)는 버튼의 누름, 접촉 및 선택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기기 입력부(2200)는 예를 들어 버튼, 조그 셔틀, 터치 패널, 전극 및 스위치 등일 수 있다.
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230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2300)는 생체 신호, 생체 정보 및 GUI(graphical user interface)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기기 저장부(240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기기 전원부(2500)는 전자기기(20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자기기 전원부(2500)는 예를 들어 배터리, 전원 모듈 등일 수 있다.
전자기기 제어부(2600)는 전자기기(20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3000)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 장치(3000)는 서버 통신부(3100), 서버 입력부(3200), 서버 디스플레이부(3300), 서버 저장부(3400), 서버 전원부(3500) 및 서버 제어부(36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0)는 헬스케어 칫솔(1000), 전자기기(2000), 유관 기관(40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0)는 헬스케어 칫솔(1000), 전자기기(2000), 유관 기관(40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버 입력부(32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입력부(3200)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 패널, 스위치, 조그 셔틀 및 휠 등일 수 있다.
서버 디스플레이부(3300)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스플레이부(3300)는 생체 신호, 생체 정보 및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시스템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서버 저장부(340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 저장부(3400)는 헬스케어 칫솔(1000) 및 전자기기(20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생체 신호 및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 저장부(3400)는 서버 장치(30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 전원부(3500)는 서버 장치(30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600)는 서버 장치(3000)의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칫솔(1000)의 외형 및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칫솔(1000)의 외형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헬스케어 칫솔(1000)은 바디(1800), 이미지 센서부(1200), 광센서부(1310), 파지 센서부(1320) 및 온도 센서부(13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800)는 헬스케어 칫솔(1000)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바디(1800)에는 칫솔모가 제공될 수 있다.
바디(1800)는 칫솔 몸체(1810) 및 헤드부(1820)를 포함할 수 있다.
칫솔 몸체(1810)는 헬스케어 칫솔(1000)의 외형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칫솔 몸체(1810)는 헬스케어 칫솔(1000)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가 위치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칫솔 몸체(18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칫솔 몸체(1810)에는 칫솔모가 제공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부(1200)는 칫솔 몸체(1810)의 일 측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부(1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모가 위치한 상부의 일 측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광센서부(1310a)는 칫솔 몸체(1810)의 중간부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센서부(1310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 몸체(1810)의 중간부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광센서부(1310b)는 칫솔 몸체(1810)의 중간부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광센서부(1310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 몸체(1810)의 중간부에서 제1 광센서부(1310a)가 제공되는 위치의 반대측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파지 센서부(1320a)는 칫솔 몸체(1810)의 중간부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지 센서부(1320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센서부(1310a)가 제공되는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파지 센서부(1320a)는 제1 광센서부(1310a)와 인접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지 센서부(1320a)는 제1 광센서부(1310a)를 둘러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파지 센서부(1320a)는 제1 광센서부(1310a)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1 파지 센서부(1320a)와 제1 광센서부(1310a)는 제1 광센서부(1310a)에 손가락이 접촉하는 경우 동시에 제1 파지 센서부(1320a)에도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지 센서부(1320a)는 제1 광센서부(1310a)와 동일한 높이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지 센서부(1320a)가 전극으로 제공되는 경우, 제1 파지 센서부(1320a)의 최대 높이는 제1 광센서부(1310a)의 최대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파지 센서부(1320a)는 그 높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지 센서부(1320a)가 전극으로 제공되는 경우, 제1 광센서부(1310a)의 중심으로부터 상부에 제공되는 전극의 높이는 하부에 제공되는 전극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을 수 있다.
제2 파지 센서부(1320b)는 칫솔 몸체(1810)의 중간부에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칫솔의 외형을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예를 들어 제2 파지 센서부(1320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아 제2 파지 센서부(1320b)는 제1 파지 센서부(1320a)이 제공된 반대 측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파지 센서부(1320)는 제1 파지 센서부(1320a)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파지 센서부(1320b)는 제2 광센서부(1310b)와 인접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파지 센서부(1320b)는 제2 광센서부(1310b)를 둘러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파지 센서부(1320b)는 제2 광센서부(1310b)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2 파지 센서부(1320b)와 제2 광센서부(1310b)는 제2 광센서부(1310b)에 손가락이 접촉하는 경우 동시에 제2 파지 센서부(1320b)에도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온도 센서부(1330)은 칫솔 몸체(1810)의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부(1330)는 칫솔 몸체(1810)에서 칫솔모가 위치한 상부의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림 부재(1830)가 부가된 헬스케어 칫솔(1000)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헬스케어 칫솔(1000)은 광가림 부재(1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가림 부재(1830)는 광센서부(1310)에 유입되는 외부 빛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광가림 부재(1830)는 복수의 광센서부(1310) 중 적어도 하나의 광센서부(1310)를 덮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부(1310)는 고깔, 갓 등의 형상으로 제공되어 하부에 위치한 광센서부(1310)에 외부 빛의 간섭이 줄어들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광가림 부재(1830)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태양빛, 형광등 빛 등의 빛이 직접적으로 광센서부(1310)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가리는 역활을 할 수 있다.
광가림 부재(1830)는 원통, 원뿔, 육면체 등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가림 부재(1830)의 외형은 원통, 원뿔, 육면체 등의 형상으로 제공되고, 그 내부는 손가락이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가림 부재(1830)는 후면에서 보았을 때. 칫솔 몸체(1810)를 중심으로 둘러싸고 있는 원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가림 부재(1830)는 내부에 손가락이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동시에 손가락이 제1 광센서부(1310a)가 위치한 측면에서 제2 광센서부(1310b)가 위치한 측면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양 측면의 공간은 서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1820)의 예시도이다.
헤드부(1820)는 칫솔 몸체(1810)과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칫솔 몸체(1810)에 결합 및/또는 분리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820)는 다양한 방식으로 칫솔 몸체(1810)에 결합 및/또는 분리될 수 있다.
도 9(a)는 헤드부(1820)와 칫솔 몸체(1810)의 슬라이드 방식으로의 결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820)는 제1 방향(D1)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칫솔 몸체(1810)에 구비된 걸림 부재(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820)는 제1 방향(D1)과 반대인 제2 방향(D2)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칫솔 몸체(1810)에 구비된 걸림 부재(미도시)와 분리되고 칫솔 몸체(181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칫솔 몸체(1810)에는 헤드부(182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궤도, 레일, 홈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9(b)는 헤드부(1820)와 칫솔 몸체(1810)의 나사 결합 방식으로의 결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헤드부(1820)와 칫솔 몸체(1810)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1820)에 구비된 나사 돌기(미도시)와 칫솔 몸체(1810)에 구비된 나사 홈이 회전에 의해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헤드부(1820)가 제3 방향(D3)으로 회전하면 나사 결합에 의해 헤드부(1820)와 칫솔 몸체(181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제3 방향(D3)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D4)로 회전하연 결합이 해제돼 헤드부(1820)가 칫솔 몸체(18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헤드부(1820)와 칫솔 몸체(1810)가 나사 결합 방식으로의 결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헤드부(1820) 및 칫솔모 중 적어도 하나는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원형은 원, 타원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9(c)는 헤드부(1820)와 칫솔 몸체(1810)의 홈의 결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820)와 칫솔 몸체(1810)는 홈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헤드부(1820)에는 돌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칫솔 몸체(1810)에는 헤드부(1820)에 제공되는 돌기와 대응되는 홈이 제공될 수 있다.
헤드부(1820)에 제공되는 돌기의 고정부는 칫솔 몸체(1810)에 제공되는 홈에 인입될 수 있다. 홈에 인입된 고정부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P1)에 위치할 수 있으며, 헤드부(1820)의 회전에 의해 홈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고정홈에 인입된 제2 위치(P2)로 이동할 수 있다.
도 9(d)는 헤드부(1820)와 칫솔 몸체(1810)의 홈의 다른 결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820)와 칫솔 몸체(1810)는 홈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헤드부(1820)에는 돌기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칫솔 몸체(1810)에는 헤드부(1820)에 제공되는 복수의 돌기와 대응되는 홈이 제공될 수 있다.
헤드부(1820)에 제공되는 돌기의 고정부는 칫솔 몸체(1810)에 제공되는 홈에 인입될 수 있다. 홈에 인입된 고정부는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위치(P3)에 위치할 수 있으며, 헤드부(1820)의 회전에 의해 홈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고정홈에 인입된 제4 위치(P4)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칫솔(1000)의 생체 신호 획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헬스케어 칫솔(1000)의 생체 신호 획득 방법은 파지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S110), 파지 자세가 제1 자세인 경우 제1 광센서부로부터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120), 파지 자세가 제2 자세인 경우 제2 광센서부로부터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S130) 및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파지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S110).
칫솔 제어부(1700)는 파지 센서부(1320)로부터 획득한 신호에 기초하여 파지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칫솔 제어부(1700)는 제1 파지 센서부(1320a)에 손가락이 접촉되어 제1 파지 센서부(1320a)로부터 획득한 신호값이 초기 신호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으로 변화한 경우, 제1 자세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칫솔 제어부(1700)는 제2 파지 센서부(1320b)에 손가락이 접촉되어 제1 파지 센서부(1320b)로부터 획득한 신호값이 초기 신호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으로 변화한 경우, 제2 자세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칫솔 제어부(1700)는 제1 파지 센서부(1320a) 및 제2 파지 센서부(1320b) 모두로부터 획득한 신호값이 초기 신호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으로 변화한 경우 제1 파지 센서부(1320a) 및 제2 파지 센서부(1320b)에 미리 부여된 우선순위에 따라 제1 파지 센서부(1320a) 및 제2 파지 센서부(1320b) 중 우선순위가 높은 신호에 기초하여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파지 자세가 제1 자세인 경우 제1 광센서부(1310a)로부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S120).
칫솔 제어부(1700)는 파지 자세가 제1 자세인 경우, 제1 광센서부(1310a)의 발광부 및 수광부에 전원인가하여 제1 광센서부(1310a)의 수광부로부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파지 자세가 제2 자세인 경우 제2 광센서부(1310b)로부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S130).
칫솔 제어부(1700)는 파지 자세가 제2 자세인 경우, 제2 광센서부(1310b)의 발광부 및 수광부에 전원인가하여 제2 광센서부(1310b)의 수광부로부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칫솔 제어부(1700)가 파지 자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광센서부(1310a) 및 제2 광센서부(1310b)에 전원을 인가하여 신호를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칫솔 제어부(1700)는 제1 광센서부(1310a) 및 제2 광센서부(1310b) 모두에 전원을 인가하는 상태에서 제1 광센서부(1310a)의 수광부 및 제2 광센서부(1310b)의 수광부 중에서 선택적으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맥파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S140)
제1 자세인 경우 제1 광센서부(1310a)로부터 신호와 제2 자세인 경우 제2 광센서부(1310b)로부터 신호를 획득하여 맥파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1분의 맥파 신호를 획득하는 경우, 제1 자세가 0초부터 20초까지 이고, 제2 자세가 20초부터 60초까지일 때, 칫솔 제어부(1700)는 0초부터 20초까지는 제1 광센서부(1310a)로부터 획득한 신호를 맥파신호로 획득할 수 있으며, 20초부터 60초까지는 제2 광센서부(1310b)로부터 획득한 신호를 맥파 신호로 획득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맥파 신호를 전자기기(2000) 및 서버 장치(30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맥파 신호로부터 맥박 수, 산소 포화도, 혈관 탄성도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파 신호 및 가속도 맥파 신호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11(a)는 맥파 신호의 예시도 이며, 도 11(b)는 가속도 맥파 신호의 예시도이다.
칫솔 제어부(1700)는 맥파 신호의 피크점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칫솔 제어부(1700)는 맥파 신호의 값(예를 들어 전압값)이 상승 후 하강하는 위치를 피크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1분 동안의 피크점의 수를 맥박 수로 획득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맥파 신호를 2차 미분하여 가속도 맥파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맥파 신호의 2차 미분은 칫솔 제어부(1700)에서의 디지털 필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아날로그 미분 회로를 이용하여 2차 미분을 수행하고, 칫솔 제어부(1700)는 2차 미분한 결과 신호를 가속도 맥파로 획득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가속도 맥파에 기초하여 혈관 탄성도를 획득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가속도 맥파의 특징점에 기초하여 혈관 탄성도를 획득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의 혈관 탄성도 획득은 특징점들의 값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수식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미지 획득 방법은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S110), 제1 자세인 경우, 제1 이미지 센서부(1200a)로부터 이미지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S210), 제2 자세인 경우, 제2 이미지 센서부(1200b)로부터 이미지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S220) 및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S230)을 포함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S110).
칫솔 제어부(1700)는 파지 센서부(1320)로부터 획득한 신호에 기초하여 파지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칫솔 제어부(1700)는 제1 파지 센서부(1320a)에 손가락이 접촉되어 제1 파지 센서부(1320a)로부터 획득한 신호값이 초기 신호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으로 변화한 경우, 제1 자세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칫솔 제어부(1700)는 제2 파지 센서부(1320b)에 손가락이 접촉되어 제1 파지 센서부(1320b)로부터 획득한 신호값이 초기 신호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으로 변화한 경우, 제2 자세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칫솔 제어부(1700)는 제1 파지 센서부(1320a) 및 제2 파지 센서부(1320b) 모두로부터 획득한 신호값이 초기 신호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으로 변화한 경우 제1 파지 센서부(1320a) 및 제2 파지 센서부(1320b)에 미리 부여된 우선순위에 따라 제1 파지 센서부(1320a) 및 제2 파지 센서부(1320b) 중 우선순위가 높은 신호에 기초하여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제1 자세인 경우, 제1 이미지 센서부(1200a)로부터 이미지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칫솔 제어부(1700)는 자세 판단 결과 제1 자세인 경우, 제1 이미지 센서부(1200a)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1 이미지 센서부(1200a)로부터 이미지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제2 자세인 경우, 제2 이미지 센서부(1200b)로부터 이미지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칫솔 제어부(1700)는 자세 판단 결과 제2 자세인 경우, 제2 이미지 센서부(1200b)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2 이미지 센서부(1200b)로부터 이미지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S230).
칫솔 제어부(1700)는 이미지 센서부(1200)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칫솔 제어부(1700)는 전자기기(2000), 서버 장치(3000) 중 적어도 하나로 획득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제1 자세인 경우 제1 이미지 센서부(1200a)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제2 자세인 경우 제2 이미지 센서부(1200b)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온도 측정 방법은 체온 감지를 요청 받는 단계(S310), 구강 폐쇄를 요청하는 단계(S320), 구강 폐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30), 구강이 폐쇄된 경우, 체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40)를 포함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체온 감지를 요청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10).
칫솔 제어부(1700)는 칫솔 디스플레이부(1400) 및 별도의 음성 출력부(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체온 감지를 시작함을 알리는 알림을 출력하도록 칫솔 디스플레이부(1400) 및 별도의 음성 출력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구강 폐쇄를 요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20).
칫솔 제어부(1700)는 칫솔 디스플레이부(1400) 및 별도의 음성 출력부(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구강을 폐쇄해 줄 것을 요청하는 알림을 출력하도록 칫솔 디스플레이부(1400) 및 별도의 음성 출력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구강 폐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30).
칫솔 제어부(1700)는 이미지 센서부(1200)로부터 획득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구강 폐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칫솔 제어부(1700)는 획득한 이미지의 조도, 밝기 및 명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구강 폐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이미지 획득을 위하여 이미지 센서부(120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칫솔 제어부(1700)가 구강 폐쇄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구성에 의해 판단한 결과를 칫솔 제어부(1700)가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칫솔 제어부(1700)는 획득한 이미지를 전자기기(2000) 및 서버 장치(30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2000) 및 서버 장치(30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구강 폐쇄 판단 결과를 수신하거나, 이미지의 조도, 밝기 및 명암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구강 폐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칫솔 제어부(1700)는 구강이 폐쇄된 경우, 체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40).
칫솔 제어부(1700)는 온도 센서부(1330)로부터 온도 신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온도 신호에 대응하는 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칫솔 제어부(1700)가 온도 센서부(1330)로부터 3v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칫솔 제어부(1700)는 3v에 대응하는 37.5℃를 체온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의 단위는 ℃뿐만 아니라 화씨(F) 등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온도 단위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000)에서의 생체 정보 및 이미지 출력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2000)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2300)의 일영역에는 헬스케어 칫솔(1000)로부터 획득한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영역에는 생체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출력될 수 있으며, 전자기기(2000)의 제어, 시스템 상태, 스마트 칫술(1000)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000)에서의 생체 정보 및 이미지 출력을 나타내는 다른 예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2000)는 스마트 미러(smart mirror)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기기(2000)가 스마트 미러(smart mirror)로 구현되는 경우, 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2300)는 미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미러 상에 일영역에는 헬스케어 칫솔(1000)로부터 획득한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영역에는 생체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출력될 수 있으며, 전자기기(2000)의 제어, 시스템 상태, 스마트 칫술(1000)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미러에 비치는 상에 오버랩(overlap)되어 이미지, 생체 정보 및 시스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될 수 있습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00 헬스 케어 시스템 1000 헬스케어 칫솔
1100 칫솔 통신부 1200 칫솔 이미지부
1300 칫솔 센서부 1310 광센서부
1320 파지센서부 1330 온도 센서부
1400 칫솔 디스플레이부 1500 칫솔 입력부
1600 칫솔 전원부 1700 칫솔 제어부
2000 전자기기 2100 전자기기 통신부
2200 전자기기 입력부 2300 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2400 전자기기 저장부 2500 전자기기 전원부
2600 전자기기 제어부 3000 서버 장치
3100 서버 통신부 3200 서버 입력부
3300 서버 디스플레이부 3400 서버 저장부
3500 서버 전원부 3600 서버 제어부
4000 유관 기관

Claims (13)

  1. 복수의 광센서를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칫솔로,
    상기 칫솔의 외형을 정의하는 바디;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신체 적어도 일부의 접촉 시 빛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맥파 신호를 획득하는 제1 광센서부 및 제2 광센서부;
    상기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제1 파지 센서부 및 제2 파지 센서부; 및
    상기 제1 파지 센서부 및 상기 제2 파지 센서부로부터 획득한 신호에 기초하여 파지 자세를 판단하고 상기 파지 자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파지 자세 판단 결과 제1 자세인 경우, 상기 제1 광센서부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1 광센서부로부터 상기 맥파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파지 자세 판단 결과 제2 자세인 경우, 상기 제2 광센서부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2 광센서부로부터 상기 맥파 신호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광센서부는 상기 제1 광센서부가 제공되는 위치의 반대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파지 센서부로부터 획득한 신호값이 초기 신호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으로 변화한 경우 제1 자세로 판단하고,
    상기 제2 파지 센서부로부터 획득한 신호값이 초기 신호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으로 변화한 경우 제2 자세로 판단하고,
    상기 제1 파지 센서부 및 상기 제2 파지센서부로부터 획득한 신호값이 초기 신호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으로 변화한 경우 미리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제1 자세 또는 제2 자세로 판단하는
    헬스케어 칫솔.
  2. 제1 항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를 외부 전자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헬스케어 칫솔.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부는 제1 이미지 센서부 및 제2 이미지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지 자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헬스케어 칫솔.
  4. 제2 항에 있어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획득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구강 폐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구강 폐쇄 판단 결과 구강이 폐쇄된 경우,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획득한 신호에 대응 하는 온도값을 획득하는
    헬스케어 칫솔.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센서부는 서로 다른 파장의 복수의 발광부 및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광센서부는 서로 다른 파장의 복수의 발광부 및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광센서부의 상기 복수의 발광부 및 상기 제2 광센서부의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서로 동일한 파장을 갖는
    헬스케어 칫솔.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부가 점등될 때 획득한 상기 맥파 신호의 차이에 기초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헬스케어 칫솔.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맥파 신호를 2차 미분한 가속도 맥파를 획득하고, 상기 가속도 맥파의 특징점의 전압값을 미리 정해진 수식에 적용하여 혈관 탄성도를 산출하는
    헬스케어 칫솔.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제1 광센서부 및 상기 제2 광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 빛에 대한 영향을 감소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광센서부 및 상기 제2 광센서부 적어도 하나의 위에 위치하여 제공되는 광가림 부재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칫솔.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림 부재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인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헬스케어 칫솔.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칫솔을 파지 가능한 외형을 제공하는 칫솔 몸체 및 칫솔모가 제공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칫솔.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 몸체 및 상기 헤드부는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칫솔.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 몸체 및 상기 헤드부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칫솔.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 몸체 및 상기 헤드부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칫솔.
KR1020160063702A 2016-05-24 2016-05-24 헬스케어 칫솔 Expired - Fee Related KR101870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702A KR101870429B1 (ko) 2016-05-24 2016-05-24 헬스케어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702A KR101870429B1 (ko) 2016-05-24 2016-05-24 헬스케어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609A KR20170132609A (ko) 2017-12-04
KR101870429B1 true KR101870429B1 (ko) 2018-06-25

Family

ID=6092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702A Expired - Fee Related KR101870429B1 (ko) 2016-05-24 2016-05-24 헬스케어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4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3575A (ko) 2021-12-03 2023-06-12 조민형 사물 인터넷 기반 사용자 치아보험 제공 및 할인방법과 사용자 구강정보 분석 단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0437B1 (ko) * 2021-12-31 2025-02-21 차희찬 전동 칫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9844A (ja) 2010-01-08 2011-07-21 Omron Healthcare Co Ltd 電動歯ブラシ
JP2014068836A (ja) * 2012-09-28 2014-04-21 Bifristec Kk 検体情報検出ユニット、並びに電動歯ブラシ装置、及び電動シェーバー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9844A (ja) 2010-01-08 2011-07-21 Omron Healthcare Co Ltd 電動歯ブラシ
JP2014068836A (ja) * 2012-09-28 2014-04-21 Bifristec Kk 検体情報検出ユニット、並びに電動歯ブラシ装置、及び電動シェーバ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3575A (ko) 2021-12-03 2023-06-12 조민형 사물 인터넷 기반 사용자 치아보험 제공 및 할인방법과 사용자 구강정보 분석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609A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43752C1 (ru) Удерживаемое в рук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ичной гигиены и способ оценки положения и/или ориентации удерживаемого в рук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личной гигиены относительно субъекта
US11090003B2 (en) Systems for personal portable wireless vital signs scanner
US9750414B2 (en) Noncontact thermometry systems and methods
KR101630426B1 (ko) 개인용 건강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WO2014087843A1 (ja) 生体情報測定装置、生体情報測定装置の測定部、生体情報測定装置の指受け部、およびパルスオキシメータ
EP3397930B1 (en) Compact forehead thermometer
CN108738337A (zh) 基于紫外线的检测和分析
JP2021520940A (ja) ユーザーにパーソナライズされた口腔ケア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5073062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 toothbrush with smart sensors for communication with electronic devices
KR101870429B1 (ko) 헬스케어 칫솔
WO2008062967A1 (en) A skin condition measuring apparatus integrated pda
US20190350463A1 (en) Thermometer with wireless functionality
US123182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state of well-being
US118675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mperature determination
WO20160207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ploying customized care routines in a consumer device
US20170143198A1 (en) Hybrid detection apparatus
KR101730648B1 (ko) 다기능을 갖는 건강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디바이스
JP2016101343A (ja) 生体情報測定装置
KR101049020B1 (ko) 의료센싱 시스템 및 의료센싱 방법
RU2691929C1 (ru) Измерение показателя здоровь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ремени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ткани
US20170171437A1 (en) Multi-focal length range image capturing device
EP3398504A1 (en) Oral care system to detect localized inflammation
KR101736010B1 (ko) 치아 모니터링용 칫솔
KR102188367B1 (ko)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및 구강관리 방법
US115473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motion robustness during measurement of localized oral inflam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8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3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29